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소외계층 다문화 아동 조기미술교육 시사점 연구

        백중열 한국도자학회 2014 한국도자학연구 Vol.11 No.1

        Providing opportunities to learn Korean language to immigrant women and their children so that they could adjust to Korean society is desirable for the better lives of multicultural families. However,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rural areas or economically disadvantaged class are in worse condition because they can not access various benefits available. Therefore, diverse programs aiming to cultivate their abilities to communicate and socialize with others are needed. And this study examined the status and problems of the children of economically disadvantaged multicultural familie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argues that early art education is needed as a way to resolve these children's stress and cultivate their potentials. Early art education enables children to communicate with others using a method other than language, thus its use is more valuable. Suggestions for early art education for the children of economically disadvantaged multicultural familie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hildren can express their thoughts that are difficult to communicate to their family or people in society using pictures. Second, art can be used to diagnose the reasons for their difficulty in adjusting to school and present alternative solutions. Third, through early art education, their potentials can be discovered and cultivated. Fourth, early art education enables these children to empathize with other children by cultivating their abilities to adjust to their environment. Fifth, early art education can help them respect culture and establish right identity. Sixth, exhibition of their artworks could affect community people and village environment. Early art education for the children of economically disadvantaged multicultural families can supplement their mothers' insufficient language skills and it can also help resolve these children's stress and cultivate their creativity. 다문화가정 이주여성과 자녀들에게 우리나라 사회에 적응할 수 있도록 우리나라 언어를 배울 기회를 제공해 주는 것은 다문화가정의 보다 낳은 삶을 위해서 바람직한 일이다. 그러나 시골이나 경제적인 어려움을 겪는 소외계층 다문화 아동들은 다양한 혜택에서 벗어나 더욱 어려운 환경에 놓여있는 실정이므로 언어교육뿐만 아니라 친구들과 소통하고, 사회성을 길러주는 다양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소외계층 다문화아동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열악한 환경에 놓여있는 다문화아동들이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잠재성을 길러주기 위한 방법으로 조기미술교육의 중요성을 주장하였다. 특히 조기미술교육은 다문화아동들에게 언어 이외에 소통 할 수 있는 방법으로 그 활용가치가 더욱 크다고 볼 수 있다. 그 내용을 토대로 소외계층 다문화아동에 대한 조기미술교육의 시사점을 정리하면, 첫째, 가정과 사회에서 소통하기 어려운 생각을 그림으로 표현할 수 있다. 둘째, 소외계층 다문화 아동들이 학교에서 잘 적응하지 못하는 다양한 원인을 진단하고, 대안을 제시할 수 있다. 셋째, 조기미술교육으로 다양한 잠재성을 발견하고 육성할 수 있다. 넷째, 조기미술교육은 소외계층 다문화아동에게 환경에 대한 적응력을 길러주어 친구들과 공감대가 형성될 수 있다. 다섯째, 소외계층 다문화아동들이 문화를 존중하고 올바른 정체성 확립에 도움이 된다. 여섯째, 소외계층 다문화아동의 결과물을 전시를 통해 지역주민과 마을 환경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소외계층 다문화아동에게 조기미술교육은 이주여성의 부족한 언어능력을 보완해 줄 수 있으며, 아동의 잠재적인 스트레스를 해결하고, 창의성 육성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 피학대경험이 아동의 비행과 또래관계 소외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오연희 ( Yeon Hee Oh )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센터 2012 사회복지실천 Vol.11 No.-

        본 연구는 아동학대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비행과 또래관계 소외의 예방 및 치료를 강화하며 사회적 지지의 역할을 모색하고 다양화하는 계기를 마련하여 개입 방안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총 네 개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아동의 피학대경험이 비행행동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아동의 피학대경험이 또래관계소외에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아동의 피학대경험은 비행에 미치는 영향이 사회적 지지에 의해 조절되는가? 넷째, 아동의 피학대경험은 또래관계로부터의 소외에 미치는 영향이 사회적 지지에 의해 조절되는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분석 자료로서 서울아동패널 3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였다. 종속변수는 비행과 또래 관계 소외이며, 독립변수는 신체적 학대, 정서적 학대, 방임으로 구성되었다. 조절변수인 사회적 지지는 부모 유대감, 또래지지, 참여활동 및 서비스로 설정하였고 인구사회학적 요인(성별, 빈곤, 자아존중감, 부모의 학력, 가족 구성형태)을 통제변수로 보았다. 연구문제 및 가설을 감정을 검증하기 위해서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 하였다. 인구사회학적 요인을 통제하였을 때, 첫 번째 연구문제에서는 정서적 학대가 비행을 유의미한 수준에서 설명 하였다. 두 번째 연구문제 분석결과에 따르면 또래관계소외를 유의미한 수준에서 설명하는 독립변수는 없었다. 세 번째 연구문제 분석결과, 조절효과를 보기 위해 학대경험과 사회적 지지의 상호작용변수를 추가하였지만 유의미하게 비행을 설명하는 변수는 없었다. 네 번째 연구문제에서는 상호작용을 투입하였을 때, 조절변수인 부모 유대감이 유의미하게 또래소외를 설명했는데 이는 신체적 학대경험이 높은 아동의 부모유대감이 높을수록 또래 소외정도가 높아짐을 말한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해 볼 수 있는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피학대경험에 대한 비행과 또래 관계 소외라는 문제를 동시에 다뤘다는 부분에 의의를 갖는다. 둘째,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보았는데 여기서 사회적 지지가 받고 있는 서비스 및 참여활동을 포함하여 보다 거시적 맥락의 사회적 지지를 다루었다는데 의의를 갖는다. 셋째, 본 연구의 분석결과, 신체적 학대뿐만 아니라 정서적 학대와 같은 비가시적인 학대유형도 사회문제로 인식하고 예방하는 제도화가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hat people recognize the severity of child abuse, intensify prevention and treatment of delinquency and peer rejection, and offer useful information about intervention strategy by exploring role of social support and making various opportunity. The author sets four study questions to make an object of this study. First, does child abuse affect to their delinquency? Second, does child abuse affect to their peer rejection? Third, the impact of child abuse in delinquency is controlled by social support? Fourth, the impact of child abuse in peer rejection is controlled by social support? The author used Seoul Panel Study of Children(SPSC)`s third data as analyzing data to solve these study questions. In this study, a dependent variable is consist of delinquency and peer rejection, and a dependent variable is consist of physical abuse, emotional abuse, and neglect. Social support which is a moderating variable is set by parent-child bond, peer support, and service. Then, demographic factors(sex, poverty, self-esteem, parents` education level, and family form)are regarded as control variables. To verify study questions and hypothesis`, the author use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hen demographic factors are controlled, emotional abuse which is one of child abuse is significant at delinquency in first question result. In second study question result, There is no independent variable which is significant at peer rejection. In third study question result, there is no variable which is significant at delinquency despite of adding interacting variables about experienced abuse and social support to observe moderating effect. In fourth study question result, parents`bonding which is moderating variable is significant at peer rejection. It means that if parents` bonding is low, peer rejection will be high. There are some implications based on above results. First, this study handles the impact of child abuse in delinquency and peer rejection at the same time. Second, a meaning for this study to include social service. Third, it shows that people should recognize not only physical abuse but also emotional abuse as one of social problem, and need a system to prevent these problems.

      • KCI등재

        대학생의 아동기 대인 외상 경험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 -불안정 성인애착과 소외에 대한 두려움의 순차매개 효과 -

        남현지,하은혜 한국아동복지학회 2022 한국아동복지학 Vol.71 No.4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아동기 대인 외상 경험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불안정 성인애착과 소외에 대한 두려움의 순차매개효과를검증하였다. 또한 그 경로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다집단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에 소재한 4년재 대학교의 323명의 남녀 대학생(남 160명, 여 163명)을 대상으로 아동기 대인 외상, 불안정 성인 애착, 소외에 대한 두려움, SNS 중독경향성에 대한 자기보고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대학생의 아동기 대인 외상 경험은 불안 성인애착과 회피 성인애착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소외에 대한 두려움에도 정적 영향을 미쳤다. 불안애착은 소외에 대한 두려움에 정적 영향을 미쳤고, 회피애착은 소외에대한 두려움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또한 소외에 대한 두려움은 SNS 중독경향성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학생의 아동기대인 외상 경험이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불안정 성인 애착과소외에 대한 두려움의 순차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즉, 아동기 대인 외상경험으로 불안 성인애착을 갖게 되면 소외에 대한 두려움이 높아 SNS 중독경향성이 높은 반면, 회피 성인애착을 갖게되면 소외에 대한 두려움이 낮아SNS 중독경향성이 낮았다. 한편, 아동기 대인 외상 경험이 불안정 성인애착과 소외에 대한 두려움을 매개로 하여 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으로 이어지는 경로가 남녀 두 집단 모두에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아동기 대인 외상 경험이 불안정 성인애착과 소외에 대한 두려움을 매개하여 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력을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소외계층아동을 위한 지역참여 평생학습활동에 관한 실천연구

        김경희(Kyung Hi, Kim),정은희(Eun Hee, Jung) 한국평생교육학회 2013 평생교육학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소외계층아동을 위한 평생교육활동을 구성하고 실천함에 있어 교육대상자를 결핍모델 관점이 아닌 성장모델 관점으로 인식하고, 교육활동에 참여하는 주체들간 소통적 상호작용이 활발하게 진행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여 소외계층아동의 삶의 역량, 평생학습역량을 확장시켜가도록 돕는 교육실천연구이다. 교육실천연구의 과정은 크게 평생학습활동 준비와 시작, 학습활동 구성 및 실행, 학습결과의 확인 이렇게 세 가지로 구분될 수 있으며 그 과정에서 확인된 내용을 간단히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평생학습활동 준비와 시작단계에서는 소통과 상호작용의 통로 만들기 및 아이들과의 첫만남이 이루어진 단계이다. 가장 먼저 소통과 상호작용을 위한 지역참여 평생학습활동팀을 구성하였고 아이들의 학습욕구를 파악하기 위해 3차까지 인터뷰를 실시하였는데 처음에 소외계층아동들의 “경험의 부족”에서 오는 “학습의욕의 빈곤상태”를 확인하게 되면서 기존의 연구계획을 변경하여 아이들의 학습욕구 형성을 위한 사전 프로그램을 실시하기도 하였다. 사전 프로그램 후 다시 인터뷰를 통해 다양한 학습욕구를 갖게된 아이들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었다. 둘째, 학습활동 구성 및 실행단계에서는 소외계층아동들이 원하는 학습활동을 구성하게 함으로써 배움에 대한 실질적 자유를 경험해가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그리고 아이들의 학습역량이 발현될 수 있는 학습활동의 장을 만들어가기 위해 지역참여 평생학습활동팀안에서 지속적인 반성적 검토과정을 통해 학습활동을 촉진하는 요소들을 발견하여 학습활동의 원칙으로 적용하였다. 셋째, 학습결과의 확인단계에서는 참여주체들이 동반성장해 가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아이들은 평생학습역량 즉 삶의 역량이 확대되어가는 태도의 변화를, 지역참여 평생학습활동팀내 성인들은 평소 자신들의 고정관념이나 교수방법 등을 반성적으로 검토해가는 모습들을 보여주었다. This study is a critical action research. Based on the perspective of ‘growth model’ rather then that of ‘deficiency model’ and by constructing community involved, interactive educational activities, this study purports to expand lifelong learning capabilities of vulnerable children. The phases of this critical action research comprise three phases: Initiatives of community involved lifelong learning activities; actual practice of community involved lifelong learning activities; reflection of community involved lifelong learning activities. In the first phase, community involved research team is formed. Through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s among the members of this team, educational frameworks, purpose, goals and actual interactive lifelong learning activities have developed. In the second phase, actual lifelong learning activities for the development of lifelong learning capabilities of vulnerable children, have practiced. In the third phase, the research team have reflected together, with regard to effectiveness of lifelong learning activities, leading to enhancing and expanding lifelong learning capabilities.

      • KCI등재후보

        정채봉 초기 동화에 나타난 소외의식과 서술 전략

        최미선(Choi Mi-sun) 한국아동문학학회 2017 한국아동문학연구 Vol.- No.32

        이 논문은 정채봉 초기 동화의 인물에 드러나 있는 소외의식에 관한 연구이다. 정채봉 동화를 면밀히 검토해 보면 결코 ‘행복’하거나 ‘따뜻하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 그럼에도 정채봉 동화는 ‘아름답다’, ‘행복하다’ 혹은 ‘동화답다’라는 감상이 지배적으로 작용하고 있는데, 그동안의 연구는 이 점에 대해 충분히 논의하지 못했다는 문제의식에서 이 논문은 시작되었다. 그런 점에서 본고에서는 정채봉의 초기 동화에 집중하여 인물에 나타난 소외의식을 고찰하고, 그것을 극복하기 위한 서술 전략을 고찰하고자 한다. 연구 범위는 「꽃다발」(1973), 「무지개」(1974), 「종이비행기」(1978), 「메리 크리스마스」(1979) 등 정채봉의 초기작 네 편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먼저 소외 이론의 역사적 전개 과정을 고찰하고, 작가의 성장기를 작가론적 관점으로 간략하게 정리한다. 그리고 인물들의 소외유형을 밝혀내고, 그것을 극복하는 서술 전략을 찾아내고자 한다. 정채봉 초기 동화의 인물은 주로 신체적 결함이 있거나, 아니면 경제적으로 취약하여 자신의 존재를 스스로 규정해 내기 어려운 처지에 놓인 인물들이다. 이와 같은 의식은 작가의 불우했던 성장과정과 불가분의 관계로 보인다. 작품에 나타나 있는 주요 인물들은 ‘말을 하지도 듣지도 못하는 환이’, ‘광녀(狂女) 어머니를 둔 웅이’, ‘딸에게 번듯한 크리스마스선물 하나 사 줄 형편이 안 되는 청소부 아버지’, ‘홍수에 떠내려오는 가재도구를 건져서 살림살이에 보태려 하는 어머니를 지켜보는 한수’ 등이다. 이들 모두가 하나 이상의 결여를 가졌거나 보통 이하의 생활을 하는 인물들이다. 이들의 소외 유형은 ‘신체적 결함’, ‘가난한 환경’, ‘결손가정’ 등 사회, 경제적 결여로 구분할 수 있다. 이처럼 약하고, 힘이 없고, 부족한 것이 많은, 슬픈 사람들을 주목한 정채봉동화가 ‘아름답다’, ‘행복하다’라는 평을 받게 된 것은 정채봉 특유의 문체와 환상성을 전략적으로 사용한 데서 찾을 수 있다. 더 나아가 외롭고 슬픈 인물들의 이야기를 아름답고 따뜻한 이야기로 상승시킨 결과도 확인된다. 정채봉이 선택한 이런 서술 전략은 소외된 인물에 대한 편견을 버리게 하는 데 기여하였고, 문체론적 특징에서 보여준 다듬어진 어휘들은 아동문학이 추구해야 할 가치를 지향하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정채봉은 초기 동화에서 아동문학의 문학성을 고취하였고, 아동문학다움을 지켜내는 데 기여하였다는 점에서 평가받을 만하다. This paper is about the awareness of alienation expressed by characters in early fairy tales of Jeong Chae-bong. When fairy tales of Jeong Chae-bong are thoroughly examined, it can never be simply determined to be ‘happy’ or ‘warm-hearted’. Nevertheless, the dominating impression on his fairy tales is mostly ‘beautiful’, ‘happy’ or ‘just like a fairy tale.’ Thus, this paper starts from the critical mind that the impression on his fairy tales was not sufficiently discussed in existing researches. To this end, this paper investigated the awareness of alienation observed from the characters with the focus on his early fairy tales and deliberated the narration strategy for overcoming such awareness of alienation. Four fairy tales of Jeong Chae-bong were selected for analysis, ‘Flower Bouquet(1973)’, ‘Rainbow(1974)’, ‘Paper Plane(1978)’ and ‘Merry Christmas(1979)’. As the methodology, the historic development process of alienation theory was examined and the personal history of the author was briefly summarized in the aspect of the theory on the author. Moreover, the kinds of alienation observed on characters were analyzed and the narration strategy to overcome alienation was identified. The characters in early fairy tales of Jeong Chae-bong are in the situation which they can’t identify their own existence by themselves because they have mainly physical disabilities or economic difficulty. Such awareness seems to be inseparable from unhappy growth process of the author himself. Major characters in his fairy tales include ‘Hwani who can’t talk, hear and see’, ‘Wungi whose mother is mad,’ ‘a father who is cleaner and so can’t afford to buy even a Christmas gift for his daughter’, and ‘Hansu watching his mother who had to survive by taking household items floating down due to flood.’ All of them have more than on insufficiency or live below the ordinary life. Their types of alienation are classified into ‘physical disability’, ‘poor environment’ and ‘broken family’ in social and economic aspects. Focusing on those who are vulnerable, powerless or sad or lack lots of things as described above, the fairy tales of Jeong Chae-bong received the reviews as being ‘happy’ or ‘beautiful’ because of the unique stylistic features of Jeong Chae-bong and appropriate adaptation of fantasy. It was identified that Jeong Chae-bong beautifully embodied the stories of lonely and sad people by strategically using his unique writing styles and fantasy in his early fairy tales. Moreover, this paper found out that such narration strategy selected by Jeong Chae-bong eliminated our prejudice on the alienated people and the refined words observed in the stylistic features pursued the value which had to be complied by juvenile literature. Accordingly, it can be concluded that Jeong Chae-bong enhanced the literary value of juvenile literature and kept the unique features of juvenile literature. As such, his fairy tales made significant contribution on the development of juvenile literature.

      • KCI등재

        아동양육시설 운영비에 대한 각 지자체별 차이연구 : 요보호아동의 삶의 질 비교를 중심으로

        조춘범 ( Cho Choon-bum ),김미숙 ( Kim Mi-suk ) 동의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2016 공공정책연구 Vol.33 No.1

        2005년 중앙정부의 지방이양 정책에 따라 아동복지사업에서 국고보조금으로 지원되던 사업의 일부가 지방으로 이양되면서, 아동양육시설의 운영비 역시 지방으로 이양되었다. 2013년에 지방으로 이양 되었던 사회복지사업인 장애인거주시설, 노인시설(양로), 정신요양시설 운영예산은 중앙정부 예산으로 환원되었다. 하지만 아동양육시설의 운영비는 지방이양 정책으로 계속 존속되어 지방의 재정에 따라 다르게 집행되어 왔고, 지방에 따라 지역별 격차가 발생해 왔다. 이로인해에 요보호아동임에도 불구하고 지역이 다르다는 이유로 차별적인 지원을 받고 있어 지역별 요보호 아동의 삶의 질에 있어서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양육시설 운영비에 대한 각 지자체별 차이를 요보호아동의 삶의질을 중심으로 비교하고 이에 대한 결과를 토대로 사회복지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요보호아동 삶의 질에 있어서 재정적 결핍에 속하는 생계비와 교육급여, 기관운영비, 대학입학금, 퇴소아동자립정착금, 중학생 교복비를 살펴보았을 때, 생계비와 교육급여는 보장시설수급자의 기준에 맞게 지원되지만 일부 명절위로금에서 차이가 있었다. 나머지 항목 역시 대도시와 중소도시에 격차가 크게 나타났다. 요보호 아동삶의 질에 있어서 물질적 결핍에 속하는 운영지원비, 사업지원비, 고등학생 참고서 구입비를 분석한 결과 역시 지역별 격차가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아동양육시설 운영비가 각 지역별로 다르기 때문에 지역별 요보호아동에게 상대적 박탈감과 소외감에 악영향을 미치며 결국 지역에 따른 요보호아동의 삶의 질에도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아동양육시설 아동들의 차별적 지원에 따른 문제가 생기기 때문에 동등한 운영비가 지원될 수 있도록 기준선을 제시해야 하며, 아동양육시설의 예산을 중앙예산으로 환원하는 방법, 아동양육시설 운영비 지원에 대한 모니터링 강화를 제언한다. In 2005, some of the government institutionalized child welfare projects were transferred to municipalities as well as its operational costs, along with central government’s decentralization policy. In 2013, there was an announcement that operating budget of the province-transferred social welfare services, living facilities for the disabled, elderly facilities(nursing homes), mental care facilities, would be returned to the central government budget. This ended up with regional differences due to independent enforcement of operational cost with regard to municipality`s budget level. Consequently, welfare state and support level of dependent children has been in difference with regard to their municipa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operational costs of child care systems in relation to welfare states, to suggest meaningful implications for social welfare policy. Analysis showed that although living cost and educational cost are provided in accordance to the criteria of social security recipients for facility residents, whereas some holiday bonus showed differences. Also, Agencies` operating expenses, university admission fee, released child self-reliance residence fee, middle school uniform fee showed hug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regions. Material deprivation, which in detail are Operational support costs, Business Allowance, highschool reference purchase, turned out to have huge regional gap. This can have affect relative deprivation and isolation of dependent children, and cause welfare level gap between municipalities. Based on the result, it is clear that subsidiary criteria that is more explicit should be proposed, monitoring of the child care facility operational support should be strengthened, and budget of child welfare facilities must revert to central budget.

      • KCI등재

        저소득층 아동 대상 기초 국어 능력 향상 교육의 현황과 전망 - 국립국어원 언어 소외 계층 지원 사업을 중심으로 -

        이유원 ( You Won Lee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15 한국어문교육 Vol.17 No.-

        국립국어원은 국어 발전과 국민의 언어생활 향상을 위한 사업의 추진과 체계적 정책 수립의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설립된 기관으로, 그 역할 중 하나로 1992년부터 ‘국어문화학교’라는 이름으로 교육 연수 기능을 수행하 고 있다. 본 논문은 국립국어원의 교육 연수 기능과 관련하여 ‘국어문화학교’를 소개하고, 언어 소외 계층인 저소득층 아동의 기초 국어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사업 부문에 대해 살펴보았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교육 현황과 진행 방향에 대해 살펴보고, 더불어 현 단계에서의 한계점을 검토해 보고 앞으로 이를 충족할 수 있는 교육 방안의 수립과 발전 방향에 대한 당위성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국어 교육은 대부분 정규 교육 과정 내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말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정규 교육 과정을 따라가기에는 기초 국어 능력 차원에서 부족한 경우도 많이 있다. 이것은 단순히 ‘글자 깨치기’ 차원의 문해 문제가 아니라, 언어를 통한 사고력과 표현력, 의사소통 능력 차원의 문제로 올바른 국어 사용과 원활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상황을 만들어 낼 수 있어 사회 문제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에 국립국어원은 저소득층 아동의 기초 국어 능력 향상을 위하여 어휘, 기초 문법, 글쓰기 관련 교육 내용을 개발하고, 이를 전국의 지역아동센터 아동을 대상을 교육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2012년부터 시작된 본 교육 지원 사업은 앞으로도 지역아동센터에서 아동들과 즐겁게 공부하며 기초 국어 능력을 갖추는 데 함께 할 아동 대상 국어 강사 양성과 다양한 기초 국어 교육 교재 개발에 힘써, 전국의 저소득층 아동들이 본 교육 지원 프로그램을 통해 골고루 국어 능력 향상 교육의 기회를 접할 수 있도록 계속해서 확장해 나갈 것이다. 21세기에 접어들면서, 국어 사용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국민의 관심과 학습 욕구도 커져 가고 있다. 그러나 기존 연구들이나 현재 국립국어원 국어문화학교의 교육 내용은 대부분 어문규정 해설을 하고, 그와 관련된 문법 지식을 전달하는 위주였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앞으로의 국어문화 학교의 교육 과정은 단순 어문 규정 지식의 전달이 아닌 의사소통을 위한 국어 능력 향상에 초점을 맞추어야 함이 분명하다. 이를 위하여 특히 언어 소외 계층에 대한 국가 차원의 지원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학력과 부의 대물림 현상에서 소외된 저소득층 아동의 학습 능력 향상을 위한 국가적 지원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으며, 이들에 대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국어교육 지원은 국가적 책무이다. 따라서 국립국어원은 저소득층 아동의 국어 능력 향상이 가정과 학교만의 책임이 아니며, 국가가 함께 나서야 할 국민의 권리란 인식으로 이에 대한 예산 확보 노력을 통해 관련 사업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was established for the purpose of developing the Korean language, improving the language-life of the people and administering research activities. The Korean Language Culture Academy, founded in 1992, operates to help people succeed in the correct and educated language-life and spreading of correct linguistic rules. The purpose of the article is as follows: first, it is to introduce the mission of the academy; second, we will have a look at the status and prospects of primary Korean education on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Last but not least, we will also review the challenges and solutions from the current system. When it comes to “Korean education,” most of the times it refers to the education within the regular school system.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in the current curriculum to cover the primary Korean education and this could bring about uneven level of reasoning and communication skills. This is the main reason that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develops primary education contents on vocabulary, basic grammar and writing for children from low-income families to provide a quality Korean education. The program is currently run by every regional child-care centers, and the Korean Language Culture Academy strives to train professional Korean teachers along with research on developing learning materials. Even though the improvement on Korean language skills is considered as a matter of national importance, researches from either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or the Korean Language Culture Academy have so far focused mainly on grammar and vocabulary. Recognizing the significance of Korean language skills as means of communication, a state-level support on education for the underprevileged children is undoubtedly essential.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will therefore promote the program as providing necessary education is not only the responsibility of a single household, but a duty of a government.

      • KCI등재

        독서프로그램이 소외계층 아동에게 미치는 효과와 의미 - 도서관과 함께 책읽기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이연옥,노영주,Lee, Yeon-Ok,Noh, Young-Joo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2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43 No.1

        이 연구에서는 독서프로그램이 소외계층 아동에게 마치는 효과와 의미를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이 운영하는 '2011년 도서관과 함께 책읽기 사업'에 참여한 소외계층 아동 1,643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특히, 독서프로그램의 효과와 의미를 다각적으로 고찰하고자 독서프로그램에 대한 관찰,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설문조사, 사업 수행과 관련된 사서, 강사, 기관 담당자와의 면담과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독서프로그램 참여 후 소외계층 아동의 독서에 대한 관심과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화하였으며 아동의 정서적인 면에서도 긍정적인 변화가 일어났다. 또한, 도서관에 대한 아동의 경험과 관심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독서프로그램에 대한 아동의 평가는 긍정적이었으며 프로그램에 대한 기대와 요구가 매우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and meaning of reading program for alienated children. To accomplish this, this study collected its data through surveys and observations with 1,643 children that participated in the reading program by Library of National Library for Children and Young Adults and through surveys and interviews with librarians, instructors and representatives of agencies that related to the program. The results show that there were improvements in children's reading interests, reading attitude and affect in the program. And children's experiences and interests in libraries were increased after the program. Children evaluated affirmatively the program and children's demand for the program was increased.

      • KCI등재후보

        소외계층 아동을 위한 과학체험 교육연극 프로그램 개발 및 현장 지원 효과 연구

        오진호(Jin-Ho Oh),홍성택(Seong-Taek Hong)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5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9 No.2

        본 연구에서의 주 연구대상으로 선정한 경제적 소외계층 아동은 용어 그대로 일반적으로 ‘정상적 교육을 받을 수 있는 환경적, 물리적, 경제적, 양육적 여건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아동’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선험적 교육정보 제공이 상대적으로 열악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학업성적 및 학교적응에 많은 문제를 안고 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처럼 기존의 교육적 정책 및 환경 내에서 지속적으로 나타나게 되는 교육 소외 및 박탈현상에 따른 부정적, 불합리적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사회복지차원에서 부가적 교육 체계 마련 및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대안 중에 하나가 경제적 소외계층 아동을 위한 연극을 통한 재보수 교육이라 볼 수 있다. 따라서 연극을 통해 얻을 수 있는 교육적 가치 및 역할중에서 특히 지식 교육으로서, 정서 교육으로서의 가치와 역할 등을 함양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적, 사회경제적 소외계층 아동들을 대상으로 교육연극의 역할과 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해서 과학체험 교육연극 프로그램을 기획 및 개발하여 이를 실제 현장에 지원함으로써 과학문화 격차해소 및 과학문화 민간활동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여 대중화 확산에 기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cience-experiencing educational acting program to maximize the role and value of educational acting for the disadvantage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North Korean refugees, who get inadequate educational and cultural-environmental support. Additionally, the study aimed to apply this program to the real environment in order to reduce the scientific-cultural gap between the classes and to enhance educational value and effect. Forty-five children from the disadvantaged who attend local children center were select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and the space-science experiencing educational acting program was developed after the experts from the space science and educational acting fields had discussion. The final program developed is designed to be performed in 6 sessions depending on the educational acting title (main theme), “Save the earth, space explorers!”; each session lasted for approximately 45 minutes. The sub-themes of each session are as follows: the entrance of Spacemen School for the first session, the solar Olympics for the second session, the Orion and star’s lifetime for the third session, rescuing the space dog for the fourth session, exploration of the galaxy for the fifth session, and graduation of Spacemen School for the sixth session. We designed the program so that each educational acting session can be operated systematically by setting science education goals and play goals for each session. Also, we developed the program so the participants could evaluate the effects of the educational acting participation and do self-evaluation after each session. The effects of field supports of the educational acting program were analyzed via field observation (monitoring) and evaluation of the experts, in-depth interview of the participants, written evaluation of the participants, and some other methods. As a result, children of the disadvantaged showed some positive changes in understanding of the space science knowledge, social connection with the others, imagination, creativity, judgment, problem-solving skills, confidence, cooperation, active attitude, academic achievement in science, self-concept, confidence, development of social skills, sense of accomplishment, and challenging spirits.

      • KCI등재

        지역교육네트워크를 통한 소외지역 아동·청소년의 삶과 성장에 관한 존재론적 해석

        서덕희(徐德姬),설상숙(薛相淑),김유정(金柔諪),김유리(金洧利)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아시아교육연구 Vol.19 No.2

        소외지역 아동청소년의 교육적 성장에서 마을 혹은 지역의 문제는 고른 자원과 기회의 배분의 문제가 아니라 어떻게 아이들이 주어진 생활세계 내에서 온전히 ‘거주’하고 이를 통해 주체적으로 자신과 세계를 형성해 나갈 힘을 갖도록 지역교육네트가 작동할 것인가라는 존재론적 관점에서 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이 연구는 한 구체적인 지역적 경계를 갖추고 교육적 관계망을 형성하고자 오랜 기간 노력해 온 한 지역교육네트워크를 사례로 하여 생활세계 속에서 방치되거나 ‘존재자’의 이름과 범주로 배제되고 거부당했던 소외 계층 아동·청소년들이 지역교육네트워크를 통해 어떻게 온전히 자신의 생활세계 속에서 ‘거주’하게 되며 이를 통해 어떤 교육적 성장을 하게 되었는지를 존재론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통해 지역교육네트워크의 의미를 드러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민들래’라는 한 지역교육네트워크를 주 연구사례로 선정하고 전문연구자와 이 네트워크의 실무자들이 함께 협력하여 네트워크의 교육적 지원 속에서 자라온 6명의 아동·청소년들을 만나 질적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아동·청소년의 존재론적 성장과 그에 따른 지역교육네트워크의 의미를 ‘세계내 거주하기: 지역 내 인격적 관계 형성의 공간 만들기’, ‘나의 세계 찾기: 실천전통에 입문하도록 돕기’, ‘나를 만들어 나가기: 지속적 교육적 관계망 확보하고 확대하기’, ‘타자와의 주체적 관계 맺기: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되기’라는 5가지 주제로 이해할 수 있었다. 이러한 존재론적 이해는 교육에 있어서 진정한 ‘거주’의 우선성과 중요성을 밝혀주며 ‘마을’ 혹은 ‘지역교육네트워크’를 통한 아동과 청소년의 교육이 지향해야 할 바가 무엇인지를 드러내어 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dopts the ontological perspective that the issue of local community in the lives and educational growth of children from a marginalized area has to be addressed in terms of how local educational network should operate in order for them to ‘dwell’ within their everyday lives and to enjoy the ‘freedom’ to step into the bigger world. From the above perspective, by conducting a qualitative case study on an excellent case of an educational network of local community, this study aims to reveal and understand the process of how children from a marginalized area, who had been excluded and ignored by the mainstream categorization, have ‘dwelled’ properly and ‘grown’ educationally within their everyday lives. For this purpose, this research has selected ‘Mindlae’, an educational network of local community, as a case and has described and understood the lives and educational growths of 6 children who have been supported by this network As a result, five themes have been interpreted from the ontological perspective: ‘dwelling within the everyday life: constructing the space to enable the personal relationships within the local area.’, ‘finding my own world: initiating the children into the reliable tradition of practices’, ‘forging my identity: providing and expanding the educational network of the tradition for children’, and ‘stepping into the bigger world: supporting them to make relationships with others’. This ontological understanding has revealed the priority of proper ‘dwelling’ within the everyday life to the development of specific competences and the significance of local community in that sen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