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상공인 경쟁력 지수개발에 관한 연구

        신승만 ( Seung-man Shin ),노화봉 ( Hwa-bog Noh ),홍충표 ( Choong-pyo Hong ) 한국질서경제학회 2015 질서경제저널 Vol.18 No.3

        본 연구는 소상공인의 경쟁력을 측정할 수 있는 지수를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소상공인은 우리 국민경제의 핵심적인 뿌리로써 국가적 기여도가 매우 높은 기업군이다. 특히, 소상공인은 국내외 경제환경 변화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는 영역으로 소상공인의 경영 및 경쟁력에 대한 미래 예측 분석은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소상공인 경쟁력은 개별 소상공인의 체화된 기술 등 핵심역량이외에 소상공인 간 경쟁에 따른 상호작용 등과 같은 다양한 변수들이 내포되어있는 복잡한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복잡성으로 인해 지금까지 소상공인의 경쟁력을 측정하는 지수의 개발은 부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지수모델을 수립하기 위해 산업조직론에서 활용되고 있는 SCP 프레임워크 기준으로 국가 수준의 환경요소에 대한 부족함으로 보완하기 위해 인프라적 요소를 적용하여 지수모델을 설계하였다. 즉 SCP 프레임워크를 보완하여 인프라측면을 추가함으로써 I(기반)-S(구조)-C(행동)-P(성과) 프레임워크를 도출, 각 요소간의 인과관계를 기반으로 경쟁력 모델을 설계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소상공인 경쟁력 지수는 총 4개의 영역으로 구성되었으며, 각 영역을 구성하는 개별지수를 총 10개 발굴하였다. 그 후 지수평가의 신뢰성 및 일관성을 고려하여 동일한 기준으로 축정이 가능한 개별지수를 도출한 결과, 인프라영역에는 2개, 구조영역 2개, 행동영역 3개, 그리고 성과영역 3개 등 총 10개의 개별지수를 도출하였다. 이렇게 도출된 4개 영역의 10개 개별지수를 토대로 통계적 자료를 활용하여 소상공인의 경쟁력 지수를 제시하였는데, 2007년도를 기준으로 2008년~2009년도에는 경쟁력이 하락하다가 2010년도에 다소 증가하였지만 2011년도부터 다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소상공인 경쟁력 지수는 소상공인의 영업성과와 성과를 가능하게 하는 기반을 동시에 측정함으로써 정부지원 및 규제 등의 정책효과를 시계열적으로 분석하는데 유용한 도구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겠다. The competitiveness Index is the tools for measuring the levels of a particular field. It has been used to predict the level of the current situation assessment or future. Meanwhile, under the business environment, competitiveness index has been developed mainly in the large & medium company view. At present, the Small Enterprise and Market Service (SEMAS) have been conducted the BSI (Business Survey Index) to understanding the economic feeing in small enterprise area. However, there is a limit as to estimate for this situation or predicate the near future. Because this small business area is sensitive for economic environment, especially, there is need the tool to objectively estimation. The micro enterprises competitiveness index (MECI) can serve an important role profound one step up the competitiveness of micro enterprises that are very high share of economy in Korea. We proposed the specified competitiveness index model in micro enterprises that contribute to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micro enterprises. It consists of four large area and 10 details in competitive model. The first is the infrastructure area and this area includes the rate of economic growth and rate of inflation. The second is the structure area and this area includes the number of company per population and Number of companies per GDP. The third is the conduct and this area includes the rate of starting-up, sales growth rate, and employment growth. Finally, it is the performance area and this area includes the survival rate, sale growth rate, rate of operating profits and survival growth rate.

      • KCI등재후보

        소상공인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요인 연구 : 사회적자본의 조절효과

        김용금 ( Kim Yong-keum ),허철무 ( Heo Chul-moo ) 한국벤처혁신학회 2024 벤처혁신연구 Vol.7 No.1

        소상공인이 한국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과 경기 침체로 인해 소상공인의 어려움을 감안해 볼 때 소상공인의 경영성과는 생존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상공인의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실증분석을 했다. 실증분석을 위해 소상공인의 개인적 특성 중 혁신성, 관리능력, 성취욕구, 기술능력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였고, 여기에 추가하여 소상공인의 제품차별화 요소를 설정하였다. 이러한 변인들이 소상공인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침에 있어서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도 함께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50부를 본 연구에 활용하였다. 실증분석은 SPSS 24.0을 활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 방법으로 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소상공인의 관리능력, 성취욕구 및 제품차별화는 경영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혁신성과 기술능력은 유의성이 검정되지 않았다.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친 변인의 영향력 크기는 제품차별화, 관리능력, 성취욕구 순으로 나타났다. 사회적자본의 조절효과는 관리능력, 성취욕구와 경영성과 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자본은 이들 관계를 강화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혁신성, 기술능력, 제품차별화와 경영성과 간 사회적자본의 조절효과의 유의성은 검정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한국 소상공인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소상공인의 관리능력, 성취욕구 및 제품차별화의 중요성을 밝혀낸 것이다. 또한 소상공인이 가지고 있는 사회적 자본에 따라 이러한 영향 관계가 달라질 수 있음을 밝힌 것으로 어려운 경제 환경 속에서 소상공인 경영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기초를 제공했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었다. This study was important considering the prevalence of small business owners in the Korean economy and the challenges they faced amidst an economic downturn. The business performance of these owners was crucial for their survival. Thus,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eir management performance. The analysis included personal characteristics of small business owners such as innovativeness, management capability, need for achievement, and technical capability as independent variables, along with product differentiation factors. Additionally,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on these variables and their impact on management performance was tested. To achieve this, a survey targeting small business owners across Korea was conducted, and data from 250 respondents were utilize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4.0 was employed for the empirical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management capability, need for achievement, and product differentiation significantly positively impacted business performance. However, the impact of innovativeness and technical capability was not tested. The influence of the variables on business performance ranked as follows: product differentiation, management capability, and need for achievement.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nagement capability, need for achievement, and management performance, enhancing these relationships. However,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veness, technical capability, product differentiation, and management performance was not tested. These findings underscored the importance of management capability, need for achievement, and product differentiation as key factors affecting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Korean small businesses. This study was significant as it provided insights into improving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small business owners in challenging economic conditions by highlighting how the influence of these factors varied depending on the social capital possessed by the owners.

      • KCI등재

        소상공인 기업가의 심리적 특성이 기업가정신과 소상공인 사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소상공인 정책자금지원의 조절효과

        이성인,이호택 한국벤처창업학회 2022 벤처창업연구 Vol.17 No.1

        This paper presented a research model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sychological traits of small business entrepreneurs and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performance.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a total of 202 entrepreneurs in Daegu were surveyed and the data obtained were us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PSS and AMO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all of the psychological traits except ‘Agreeableness’ and ‘Extroversion’ among the small business entrepreneur’s psychological trait had a positive(+) effect on entrepreneurial orientation.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entrepreneurship orient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performance, and government policy funding had a moderating effect between entrepreneurship orientation and performance. In conclusi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small business entrepreneur’s psychological traits and entrepreneurial orientation is examined,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government support programs is examined to find out what psychological traits of small business entrepreneurs affect the expression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In addition, since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ffects performance and government policy funds control, it suggests that continuous financial support for small business entrepreneurs is needed. 소상공인은 우리나라 전체 사업체의 84% 이상, 종사자의 36%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우리나라 경제의 중요한 주체이다. 국민경제의 근간이자 경제구조상 주요 축을 담당하는 소상공인들이 코로나 19 등 불확실성이 높은 환경에서 고통을 받고 있기에 이들에 대한 정책적 고려가 우선 시 되어야 하나 현실은 그렇지 않다. 이들이 직면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자기 자신을 찾아내고 자신의 생각과 능력을 발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즉, 소상공인 사업가가 지니는 자신의 독특성을 바탕으로 사업기회를 찾고 확보한 사업기회를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런데 이러한 개인의 독특성은 개인의 성격요인에서 비롯한다. 또한 성격은 인간의 일상생활에 가장 큰 영향력을 끼치는 요소 중 하나로, 성격을 기반으로 인간관계가 형성된다. 따라서 소상공인이 지니는 기업가적 성격적 특성이 기업가정신으로 발현되고 이는 소상공인 사업체의 경쟁력과 사업성과에 크게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것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상공인 기업가의 심리적 특성과 기업가정신과의 관계와 기업가정신과 소상공인 사업성과 와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하여 대구지역 소상공인 기업가 총 202명을 대상으로 설문하여 확보한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SPSS와 AMOS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소상공인 기업가의 심리적 특성 중 포용성과 외향성을 제외한 나머지 심리적 특성은 모두 기업가정신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업가정신은 사업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정부의 소상공인 정책자금지원이 기업가정신과 소상공인 사업성과 사이에 정(+)의 조절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소상공인 기업가의 심리적 특성과 기업가정신 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고, 정부지원프로그램의 조절효과를 규명함으로써 향후 소상공인 지원 사업에 대한 다양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소상공인의 기업가정신이 소상공인 사업성과에 대한 정부 정책자금의 조절효과는 소상공인 기업가를 위한 지속적인 금융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소상공인 지원제도가 경남지역 소상공인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정갑수,설병문 한국벤처창업학회 2016 벤처창업연구 Vol.11 No.2

        The impact of the recent small business start-up competition in the market, has become overheated. It is effected by early retirement of a generation of youth employment. This study is a study on the impact of SEMAS(Small Enterprise and Market Service) system operating of the funding system, education support programs, and consulting support system on the business performance of small business owners. It has surveyed 272 business owners, in Gyeongsangnam-province. The study includes specific support system for usage frequency and satisfaction and conducted from January 2013 to September 2015. In addition, it analyzes characteristic that motivation, business model, item, owner's experience, sales and demographic by small business owner. Analysis results,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small business that uses financial support system and consulting support system is shown to be high. But education support system is the opposite effect. As a result, the management performance is related to industry experience. Therefore education support system need to be reorganized to the support depends on the development stag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help small business owners entered the start-up market and a decision-making person with a policy decision. 최근 청년 세대의 취업률 하락과 직장에서의 조기퇴직 등의 영향으로 소상공인 창업 시장의 경쟁이 과열되고 있다. 또한 부동산 부양 정책 등과 맞물려 국가의 가계부채가 1,200조를 넘어선 가운데, 소상공인 창업 실패비용도 한 영역을 차지하고 있다. 위와 같은 이유로 소상공인에 대한 정부의 지원이 다양한 차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중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 지원하는 제도 중 자금지원제도, 교육지원제도, 컨설팅지원제도가 소상공인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이다. 소상공인 지원제도와 경영성과 간의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2013년 1월부터 2015년 10월 까지 위의 세 분야에 포함되는 소상공인 지원제도를 이용한 경남지역 내 소상공인 272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한 소상공인 지원제도와 경영성과 간의 유의적인 관계를 조사하였다. 또한, 각 지원제도별 이용 빈도, 이용 후 만족도 등을 조사하였으며, 추가적으로 각 지원제도를 이용하는 소상공인들의 특성을 창업동기, 창업형태, 아이템, 업종 경력, 종업원 수, 매출액 및 인구통계학적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자금지원제도와 컨설팅지원제도는 소상공인 지원제도를 이용한 경우에 경영성과가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교육지원제도는 해당 제도를 이용하지 않은 경우 경영성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교육지원제도를 이용한 대상자들을 분석, 교육지원제도와 경영성과는 운영경력과 유의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어 성장 단계별 지원이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창업 시장에 진입한 소상공인 및 정책 입안 담당자에게 도움이 되고자 수행하였으며, 향후 본 연구를 수행하며 도출한 결과 및 한계점을 분석하여 차기 연구를 수행하는데 중요한 참고사항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 KCI등재

        소상공인의 기업가정신이 경쟁전략과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채정협,이호택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0 경영컨설팅연구 Vol.20 No.4

        COVID 19, which began earlier this year, is accelerating the global economic downturn including South Korea. In this situation, the economic entity that suffered the biggest blow is the small business. As consumers' untouch tendency is reinforced due to COVID 19, the personal service industry, lodging and restaurant, or wholesale and retail businesses are hit hardest because these industries account for the highest proportion of small business owners. Scholars say that cultivating the entrepreneurship of small business owners is important as a way to overcome the uncertainty of the economy, but it is true that previous researches related to small business industry have overlooked the entrepreneurship. This study deals with the effects of small business entrepreneurship on their competitive strategies (e.g., cost leadership and differentiation strategy), and the differential effects of two types of competition strategies on the financial and customer performance of small business owners. As a result of a survey of 202 small business owners who have business sites in city of Daegu, it was found that the entrepreneurship of small business owners has a positive (+) effect on both the cost leadership strategy and the differentiation strategy of the small business owner. It was found that the cost leadership strategy had a greater positive effect on financial performance than customer performanc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differentiation strategy of small business owners had a greater positive effect on customer performance than on financial performance. Finally, the result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presented. In addition to academic im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policy implications for policy makers of government agencies and local governments that support small businesses. 올해 초 시작된 코로나19는 우리나라를 비롯한 글로벌 경기침체를 가속화 시키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가장 큰 타격을 입은 경제주체가 바로 소상공인이다. 코로나19로 인해 소비자들의 언택트 성향이 강화되면서 개인서비스업이나 숙박 및 음식점업 또는 도소매업의 타격이 가장 큰데 이러한 산업은 소상공인이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높기 때문이다. 학자들은 경제의 불확실성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으로 소상공인의 기업가정신 함양이 중요하다고 하고 있으나 지금까지 소상공인 관련 연구들은 기업가정신에 대해 간과해 왔던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는 소상공인의 기업가정신이 소상공인의 경쟁전략(원가우위전략, 차별화우위전략)에 미치는 영향과 두 가지 종류의 경쟁전략이 소상공인 사업의 재무성과와 고객성과에 미치는 차별적인 영향을 다루고 있다. 대구지역에 사업장을 두고 있는 소상공인 202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소상공인의 기업가정신은 소상공인의 원가우위전략과 차별화우위전략에 모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상공인의 원가우위전략은 고객성과에 비해 재무성과에 더 큰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상공인의 차별화우위전략은 재무성과에 비해 고객성과에 더 큰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결과 및 시사점 그리고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문적인 시사점 이외에도 소상공인을 지원하는 정부기관과 지방자치단체에 정책적인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 KCI등재

        소상공인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요인 연구 : 사회적자본의 조절효과

        김용금,허철무 사단법인 한국벤처혁신학회 2024 벤처혁신연구 Vol.7 No.1

        소상공인이 한국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과 경기 침체로 인해 소상공인의 어려움을 감안해 볼 때 소상공인의 경영성과는 생존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상공인의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실증분석을했다. 실증분석을 위해 소상공인의 개인적 특성 중 혁신성, 관리능력, 성취욕구, 기술능력을 독립변수로 설정하였고, 여기에 추가하여 소상공인의 제품차별화 요소를 설정하였다. 이러한 변인들이 소상공인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침에 있어서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도 함께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50부를 본 연구에 활용하였다. 실증분석은 SPSS 24.0을 활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 방법으로 하였다. 실증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소상공인의 관리능력, 성취욕구 및 제품차별화는 경영성과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혁신성과 기술능력은 유의성이 검정되지 않았다.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친 변인의 영향력 크기는제품차별화, 관리능력, 성취욕구 순으로 나타났다. 사회적자본의 조절효과는 관리능력, 성취욕구와 경영성과 간 유의한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자본은 이들 관계를 강화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혁신성, 기술능력, 제품차별화와 경영성과 간 사회적자본의 조절효과의 유의성은 검정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한국 소상공인 경영성과에 영향을미치는 요인으로 소상공인의 관리능력, 성취욕구 및 제품차별화의 중요성을 밝혀낸 것이다. 또한 소상공인이 가지고있는 사회적자본에 따라 이러한 영향 관계가 달라질 수 있음을 밝힌 것으로 어려운 경제 환경 속에서 소상공인 경영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기초를 제공했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었다. This study was important considering the prevalence of small business owners in the Korean economy and the challenges they faced amidst an economic downturn. The business performance of these owners was crucial for their survival. Thus,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eir management performance. The analysis included personal characteristics of small business owners such as innovativeness, management capability, need for achievement, and technical capability as independent variables, along with product differentiation factors. Additionally,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on these variables and their impact on management performance was tested. To achieve this, a survey targeting small business owners across Korea was conducted, and data from 250 respondents were utilize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4.0 was employed for the empirical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management capability, need for achievement, and product differentiation significantly positively impacted business performance. However, the impact of innovativeness and technical capability was not tested. The influence of the variables on business performance ranked as follows: product differentiation, management capability, and need for achievement.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nagement capability, need for achievement, and management performance, enhancing these relationships. However,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veness, technical capability, product differentiation, and management performance was not tested. These findings underscored the importance of management capability, need for achievement, and product differentiation as key factors affecting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Korean small businesses. This study was significant as it provided insights into improving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small business owners in challenging economic conditions by highlighting how the influence of these factors varied depending on the social capital possessed by the owners.

      • KCI등재

        서울신용보증재단 지원 소상공인 예비창업자의 특성별 성과

        전덕영,윤병섭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22 유라시아연구 Vol.19 No.1

        최근 몇 년 동안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가 지속되면서 소상공인의 경영상태가 매 우 악화되고 있다. 정부는 시장실패(market failure)에 직면한 소상공인에게 금융위험을 낮추고 경영활동을 촉진해 수익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정책목적성을 지니고 지원한다. 소상공인 정책자금은 새로운 사업 형성, 재기(再起) 등을 지원해 소상공인의 성장을 돕고 소상공인을 통해 고용을 창출함으로써 국가 경제발전에 기여 하도록 유도한다. 정책자금의 전략적 배분은 소상공인 성공의 열쇠가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신용보증재단이 지원하는 소상공인 예비창업자 특성별 성과를 분석함에 있다. 서울신 용보증재단이 소상공인 예비창업자를 대상으로 펼치는 창업컨설팅을 통한 정책자금 지원이 예비창업자 특성 에 따라 총자산회전율, 매출액, 종업원 수 등에 나타나는 성과를 밝힌다. 서울신용보증재단은 예비창업자들을 대상으로 창업 전에 사업계획서 작성 등 1단계 컨설팅을 지원하고, 창업 후에 창업자금과 2단계 컨설팅을 지 원한다. 서울신용보증재단은 예비창업자 단계부터 창업 후 3년 이내까지 정책자금과 컨설팅을 지원하여 준비된 창업을 통해 실패를 낮추는 정책목적성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이전인 2016년부터 2018년까지 3년 동안 서울신용보증재단이 도운 예비창업자 500개 업체의 사업계획서 작성 등 1단계 컨설팅, 창업 후에 창업자금과 2단계 컨설팅 자료를 분석하였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이전 자료를 분석해 정부의 정책목적성을 살펴봄으로써 최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로 시장실 패(market failure)에 직면한 소상공인의 정책목적성과 그 당위성을 살펴본다. 독립변수는 성별, 연령, 창업 준비 기간, 동업종 경험, 신용관리 역량, 비은행 대출, 총자산, 자기자본비율, 부채비율, 목표순이익 등의 소상 공인 예비창업자 특성별 요인을 사용하였고, 종속변수는 총자산회전율, 매출액, 종업원 수 등의 성과를 사용 하였다. 회귀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상공인 예비창업자를 대상으로 창업컨설팅을 통한 정책자금 지원이 총자산회전율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성별, 자기자본비율, 목표순이익 등이며, 유의한 부(-) 의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총자산(창업소요 자금)이다. 이는 남성 창업자가 목표순이익을 높게 설정하여 자기 자본비율을 높이고, 창업비용을 적게 지출하여 총자산회전율을 높임으로써 소유자산을 효과적으로 이용한다 고 판단할 수 있다. 둘째, 소상공인 예비창업자를 대상으로 창업컨설팅을 통한 정책자금 지원이 매출액에 유 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성별, 총자산(창업소요 자금), 자기자본비율, 목표순이익, 동업종 경험 등 이다. 이는 동업종 경험이 풍부한 남성 창업자가 규모 있는 총자산, 높은 자기자본비율을 지니고 목표순이익 을 높이면 창업하여 경영할 때 매출액이 증대함을 시사한다. 셋째, 소상공인 예비창업자를 대상으로 창업컨설 팅을 통한 정책자금 지원이 종업원 수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총자산(창업소요 자금), 목표순 이익, 동업종 경험, 신용관리 역량(등급) 등이다. 이는 동업종 경험이 풍부한 소상공인 예비창업자가 규모 있 는 총자산을 지니고 목표순이익을 높여 신용관리 역량을 함양하면 창업하여 경영할 때 일자리 수 창출에 기여 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서울신용보증재단이 소상공인 예비창업자를 대상으로 펼치는 창업컨설팅을 통한 정책자금 지원 이 총자산회전율, 매출액, 종업원 수 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바탕으로 실무적 제언을 다음과 같 이 한다. 첫째, 남성 창업자가 여성 창업자에 비해 동업종 경험과 인적 네트워크가 풍부하여 경영성과에 기여 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여성 창업자에게 업종 경험과 창업 기회 확대 등 선택 폭을 넓힐 환경 조성 이 필요하다. 단기적 성과보다 장기적 성과에 초점을 두는 여성 창업자 육성방안을 심도 있게 연구해 여성이 미래 일자리 창출에 일익을 담당할 수 있도록 여성 창업관련 제도를 정비 및 확충해야 한다. 둘째, 동업종에 서 매출액을 증대해 본 경험과 관리 노하우, 판매네트워크 등 암묵지를 지닌 소상공인 예비창업자가 그렇지 않은 예비창업자보다 경영성과 창출에 유리하다. 특히, 실패한 소상공인이 재기할 경우 성과를 통해 종업원을 고용하는 등 확대재생산의 기반을 마련할 수 있으므로 정부는 실패한 소상공인의 재기방안을 확대해 재창업 을 유도하면 사회적 자본 손실을 극소화할 수 있다. 셋째, 목표순이익이 총자산회전율, 매출액, 종업원 수 등 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밝혀 소상공인 예비창업자를 대상으로 컨설팅을 통해 정책자금을 지원할 때 높은 목표의식을 가지고 창업할 수 있도록 의식훈련을 강화하여야 한다. 넷째, 소상공인 예비창업자는 정 보비대칭성으로 시장실패의 영역에 있다. 정부는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정책자금을 지원할 때 성장성 있는 창 업기업은 연성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창업자금 지원을 고려해야 한다. 다섯째, 예비창업자에 대해서는 창업 전 부터 상권분석, 사업계획서 작성, 사업타당성 분석을 통해 창업실행이 될 수 있도록 지속적 창업컨설팅 지원 이 이루어져야 한다. In recent years, as the pandemic caused by the coronavirus infection-19(COVID-19) continues, the financial status of small business owners has drastically deteriorated. The government supports small business owners facing market failure in accordance with the policy goals in lowering financial risks and promoting management activities in order to improve profitability. Small business policy funds support new business formation and recovery to help small business owners grow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national economy by creating employment opportunities. Strategic allocation of policy funds is the key to the success of small business own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erformance of consulting and funding support by characteristics of small business owner prospective entrepreneurs supported by the Seoul Credit Guarantee Foundation. The Seoul Credit Guarantee Foundation will disclose the results of total asset turnover ratio, sales amount, and number of employee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small business owner prospective entrepreneurs who provided start-up consulting and policy funds to small business owner prospective entrepreneurs. The Seoul Credit Guarantee Foundation supports small business owner prospective entrepreneurs with firstphase consulting, such as writing a business plan before starting a business, and supports second-phase consulting with start-up funds after starting a business. The goal of the Seoul Credit Guarantee Foundation is to reduce the number of failed start-ups through consulting and policy funds support from preliminary start-up stage to within three years after start-up. This study analyzed the first-stage consulting data including the preparation of business plans and the second-stage consulting data of 500 small business owner prospective entrepreneurs helped by the Seoul Credit Guarantee Foundation for three years from 2016 to 2018, before COVID-19. By analyzing the data before COVID-19, the government's policy objectives and their justifications for those objectives are examined for small business owners who have recently faced market failure due to COVID-19. The characteristic factors of small business owner prospective entrepreneurs such as: gender, age, start-up preparation period, industry experience, credit management capability, non-bank loan, total asset, equity capital ratio, debt ratio and target net income were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Also, total asset turnover ratio, sales amount and number of employee were used as 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on the performance of each characteristic of small business owner prospective entrepreneurs are as follows. First, the variables in which supporting policy fund through start-up consulting for small business owner prospective entrepreneurs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otal asset turnover ratio are gender, equity capital ratio, and target net income. And a variable that has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otal asset turnover ratio is total assets(start-up expenses). This can be judged that the male entrepreneurs, the higher the target net income, the higher the equity capital ratio, and the smaller the start-up expenses, the higher the total asset turnover ratio, thereby effectively using the assets owned. Second, the variables in which supporting policy fund through start-up consulting for small business owner prospective entrepreneurs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ales amount are gender, total assets(start-up expenses), equity capital ratio, target net income, and industry experience. This suggests that if male entrepreneurs with a lot of experience in the same industry have a high total assets, a high equity capital ratio, and a high target net income, sales amount increase when starting and operating a business. Third, the variables in which supporting policy fund through start-up consulting for small business owner prospective entrepreneurs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on the number of employee are total assets(start-up expenses), target net income, industry experience, credit management capability(grade). This suggests that if male entrepreneurs with a lot of experience in the same industry have a high total assets, a high target net income, and cultivate credit management capabilities, they will contribute to creating jobs when starting and operating their new business. This study makes practical suggestions based on the results that supporting policy fund through start-up consulting conducted by the Seoul Credit Guarantee Foundation for small business owner prospective entrepreneurs has a positive effect on total asset turnover ratio, sales amount, and number of employee. First, it was found that male entrepreneurs contributed to business performance due to their richer experience and human network in the same industry than that of female entrepreneu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environment that will expand the range of choices for female entrepreneurs, such as industry experience and expanding the opportunities for the foundation of start-ups. The women's start-up-related system should be reorganized and expanded so that women can play a part in creating future jobs by in-depth research on ways to foster female entrepreneurs focusing on long-term performance rather than short-term performance. Second, small business owner prospective entrepreneurs with experience in increasing sales amount at a same industry, management know-how, and tacit knowledge such as sales networks are more advantageous in creating business performance than small business owner prospective entrepreneurs who do not. In particular, if failed small business owners make a comeback, they can lay the foundation for expanded reproduction, such as employees hirement through employees through results-based criteria, so the government can minimize social capital losses by expanding ways to revive failed small business owners. Third,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conscious training so that small business owner prospective entrepreneurs can start their own businesses with a high sense of goal when providing policy funds through consulting by revealing that target net income has a positive effect on total asset turnover ratio, sales amount, and number of employee. Fourth, small business owner prospective entrepreneurs have a higher threatness of market failure due to information asymmetry. When providing policy funds to small business owners, the government should consider supporting start-up funds based on soft information for start-up companies with growth potential. Fifth, for small business owner prospective entrepreneurs, continuous start-up consulting support should be provided for the execution of start-up through commercial district analysis, business plan preparation, and business feasibility analysis before start-up.

      • 대구경북지역 소상공인 정책자금 성과분석

        윤상용(Yun, SangYong) 영남대학교 산경연구소 2013 영상저널 Vol.25 No.-

        소상공인 정책자금은 열악한 경영환경에 놓여 있는 소상공인 지원을 위한 정부의 대표적인 정책 수단이다. 소상공인 정책자금이 중요한 이유는 소상공인은 국민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적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정보의 양적ㆍ질적 수준이 낮아 금융기관이 소상공인의 신용위험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얻기 어렵고, 정보의 비대칭성에 의한 시장실패의 가능성이 높아 결국 정부의 개입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소상공인 정책금융의 지원 목적은 중ㆍ대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자금조달이 어려운 소상공인들을 정부가 정책적으로 지원함으로써 이들의 경쟁력을 높이고 건실한 기업으로 성장하도록 하여 국가경제의 안정성을 확보하는데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에 의하면, 소상공인들에 대한 정책자금 지원의 효과는 국가경제적으로는 총생산유발, 부가가치유발, 취업유발 등에서 긍정적 성과를 보여주고 있지만, 적어도 대구경북지역의 개별 기업단위에서는 그리 긍정적이지만은 않은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는 정책자금이 상대적으로 열악한 상황에 놓여 있는 소상공인들에 주로 지원되고 있고, 정책자금이 지원된 이후에도 경쟁력 제고 등 수익성 향상 노력보다는 우선적으로 생계를 위한 지출에 자금이 상당부분 소요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결국 이는 소상공인 정책 금융이 소상공인의 경쟁력 강화 및 자생력 확대라는 궁극적 목표의 실현보다는 단순히 소상공인의 정책 의존도를 높이는 부작용이 작지 않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우리나라 현행 소상공인 정책자금 지원제도와 유사한 제도를 운영했었던 선진국들은 이미 과거의 방식에서 탈피하여 신용보증 및 지분투자 위주의 소상상공인 금융지원정책으로 전환하고 있음을 볼 때, 본 연구의 소상공인 정책금융 지원제도의 성과에 대한 분석결과는 향후 정부/지자체의 소상공인 금융지원 정책의 방향전환이 필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evaluates the effectiveness of the public small business loan policy in Daegu-Gyungbuk area. Although small business are considered to be an engine for economic growth in Korea, it tends to regard the risk factor as the main deterrent to banks’ lending to small business. Moreover, small business have experienced relatively more difficulties in financing from banks because of the risk burden. Current policies, however, focus mainly on expanding direct support of credit by public institutions and government guarantees granted to individual borrowers with poor credit rat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effectiveness of the public support program for small business area is not always positive. Although the effects in I/O analysis is positive, the analysis results of individual survey data show that the public financial policies could give rise to some side effects including moral hazard of small business owners.

      • KCI등재

        대구광역시 로컬 소상공인 성장지원을 위한 정책 제언

        김대건 대한지방자치학회 2023 한국지방자치연구 Vol.25 No.3

        상시근로자 10인 이하의 소상공인은 내수시장에 집중하는 특징을 지니고 있어 일반적인 중소기업에 비해 매출 및 고용 등의 성장에 한계를 지니고 있다. 이는, 소상공인이 가진 내·외부 자원의 한계를 적용하여 설명할 수 있으나, 근본적으로는 COVID-19 및 디지털 플랫폼 등의 등장으로 촉발된 디지털 전환의 이슈에 제대로 접근하지 못했다는 평가가 보편적이다. 이러한 환경속에서 대한민국 정부는 제2차 소상공인 지원 기본계획(2023년~2025년)을 발표하고, 소상공인이 혁신기업가로 성장하는 자생적 생태계 조성을 위해 기업가형 소상공인 성장단계별 육성전략, 소상공인 디지털 전환 확산 및 고도화 등 총 4가지 전략과제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대한민국 정부의 소상공인 지원 기본계획의 2가지 전략과제(기업가형 소상공인 성장단계별 육성전략, 소상공인 디지털 전환 확산 및 고도화)를 근간으로 대구광역시 소상공인에 맞는 지원정책을 제언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소상공인의 현황 및 실태를 조사하고, 대구광역시 소상공인 성장지원을 위한 정책을 도출하기 위해 중앙부처 소상공인 지원정책과 대구광역시 소상공인 지원정책을 분석하여, 최종적으로 전문가 대상 AHP 기법을 적용하여 정책의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전문가들은 대구광역시 소상공인의 실질적 성장을 위한 정책 방향은 ①디지털 전환, ②판로개척, ③교육 및 컨설팅 순으로 나타났다. Small business owners with 10 or fewer full-time employees are characterized by a focus on the domestic market, and thus have limitations in growth in sales and employment compared to general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This can be explained by applying the limitations of internal and external resources of small business owners, but fundamentally, there is a general assessment that the issue of digital transformation triggered by the emergence of COVID-19 and digital platforms has not been properly approached. In this environment,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nnounced the 2nd Basic Plan for Small Business Support (2023-2025) and developed a nurturing strategy for each stage of entrepreneurial small business growth to create a self-sustaining ecosystem in which small business owners can grow into innovative entrepreneurs, and the expansion and advancement of digital transformation for small business owners. A total of four strategic tasks were selected, including: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support policies tailored to small business owners in Daegu Metropolitan City based on the two strategic tasks of the Korean government's basic plan for small business support (nurturing strategy for each growth stage of entrepreneurial small business owners and expansion and advancement of digital transformation for small business owners). To this end, we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us and actual conditions of small business owners, analyzed the central government's small business support policy and Daegu City's small business support policy to derive policies to support the growth of small business owners in Daegu Metropolitan City, and finally applied the AHP technique for experts to determine the policy. Priorities were derived. Exper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policy direction for the actual growth of small business owners in Daegu Metropolitan City is in the following order: ① digital conversion, ② market development, and ③ education and consul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