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의사결정나무모형을 이용한 공연예술시장의 소비자그룹 분석

        유은영 ( Eun Young You ),진현정 ( Hyun Joung Jin ) 한국소비자학회 2014 소비자학연구 Vol.25 No.6

        본 연구에서는 의사결정나무모형을 이용하여 공연예술시장의 소비자그룹 분류를 통한 소비자 분석을 실시하였다. 공연 소비자의 인구통계적 특성과 함께 인지 및 행동적 특성에 해당하는 관여도, 지식수준, 정보획득수단을 기준변수로 소비자그룹 분류를 시도하였는데, 본 연구의 결과는 국내 공연예술시장의 소비자 저변확대 및 수요촉진을 위한 전략 마련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분석 결과를 보면, 관람률이 가장 높은 그룹은 관여도가 가장 높고 공연예술에 대한 지식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아 전문성도 함께 갖춘 소비자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람률이 가장 낮은 그룹은 저관여 그룹 안에서도 40대 소비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연티켓 구매 시 가장 높은 등급의 좌석을 선택하는 그룹은 지식수준이 높은 여성 소비자로 분석되었으며, 가장 낮은 등급의 좌석을 선택하는 그룹은 중간 정도의 지식수준을 가지고 있으면서, 소득이 낮은 편인 40대 소비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주목 할 만한 사항은 공연관람 여부와 좌석등급 선택이라는 공연예술 소비행태에 대해 교육과 경험을 통해 개발 가능한 변수인 관여도와 지식수준이 인구통계변수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것이다. The domestic market of performing arts has been industrialized and its size has been growing. On the other hand, the number of audience in performing arts has not much increased. This suggests that a strategic approach based on in-depth analyses for consumers in the market is necessary to attract more audience. Most of previous studies had focused on consumer’s personal features that affect the consumption of performing arts products. But, this study tries to differentiate consumers in the market using the decision tree model. The model has an advantage, compared to the cluster analysis, that it can explicitly classify groups based on available variables. This study classified consumers into some groups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gender and income and cognitiveㆍbehavioral variables such as ‘involvement’, ‘the level of knowledge on performing arts’, and ‘means of acquiring information for performing arts’. In particular, although involvement and the level of knowledge have been utilized in the field of consumer behavior, they have not been used for analysis for performing arts market. Note that involvement and level of knowledge can be developed or learned by experiences and training. That is, if they would be the most important variables that classify the consumer groups, we can make consumers in performing arts market to be more active by offering more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watching experiences to the consumers. As for the classification according to ‘whether or not watching performance arts in the past year’, the results show that a consumer group that has the highest rate of watching performing arts is made of those who have relatively higher level of involvement and knowledge. On the other hand, a consumer group that has the lowest rate of watching is composed of those who have relatively lower level of involvement and older ages. As for the classification according to ‘a class of seats respondents chose when they were asked to assume a situation of purchasing a ticket for a show.’ A group that chose the highest class of seats consists of those who are women and have relatively higher level of knowledge. A group that selected the lowest class of seats is made of those who have the middle level of knowledge and relatively lower income. This study found a noticeable result that cognitiveㆍbehavioral variables, such as involvement and the level of knowledge, are far more important than demographic variables are. This result might have a significant implication for marketers or promoters in the domestic market of performing arts. Previous studies have showed that involvement and/or the level of knowledge can be developed by educations and experiences so policy makers or producers in the market could utilize the nexus between education/experience and involvement/education.

      • KCI등재

        소비자의 자민족중심주의가 한국와인평가, 지각된 가치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강지원(Kang, Gi-Won),고재윤(Ko, Jae-Youn) 한국외식경영학회 2016 외식경영연구 Vol.19 No.6

        본 연구는 소비자 자민족중심주의가 한국와인평가, 지각된가치,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으며 와인지식수준을 조절효과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 서는 한국와인을 구매하여 먹어 본 경험이 있는 20세 이상의 국내 소비자를 대상 으로 2015년 11월 4일부터 15일까지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총 315부 설문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소비자 자민족중심주의는 한국와인평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와인평가는 지각된 가치에는 정(+)의 영향을 주지만 만족도에는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다. 한편 와인지식수준은 소비자 자민족중심주의와 한국와인평가 변수 간에 조절효과가 부분적으로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customer ehnocentrism on Korean wine evaluation, perceived value and satisfaction , and also the moderation effect of wine knowledge. In this study, a survey was carried out on wine consumers over age 20 experienced in Korean wine purchase and drinking from October 15 through November 4, 2015. Overall, 315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ndicate that customer ethnocentrism tendency was significant on Korean wine evaluation. And the Korean wine evaluation had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value and negative on satisfaction. Wine knowledge’s regulation has positive effect between package design of Korean wine and customer ethnocentrism.

      • KCI등재

        내추럴와인 소비자의 경험적 가치가 재구매 의도와 프리미엄 지불의사에 미치는 영향: 환경관심도와 와인 지식수준을 조절효과로

        정의석,황조혜 한국서비스경영학회 2023 서비스경영학회지 Vol.24 No.3

        본 연구는 내추럴와인 소비자의 경험적 소비가치가 재구매 의도와 프리미엄 지불의사에 미치는 관계와 더불어 와인지식수준과 환경관심도의 조절역할을 규명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6개의 경험적 소비가치를 도출하였고 연구결과 내추럴와인 소비자들은 내추럴와인의 품질 우수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내추럴와인을 마신다는 것은 사회적 관계에서도 좋은 인상을 심어줄 수 있다고 인식하여 다소 비싸더라도 재구매의사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환경관심도는 상징적가치가 재구매의사에 조절효과를 보였으며 와인지식수준은 유희적가치가 재구매의사에, 기능적가치가 프리미엄 지불의사에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내추럴와인 마케팅 전략수립을 위한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riential consumption values of natural wine consumers' repurchase intention and willingness to pay a premium, as well as the moderating role of wine knowledge level and environmental concern. Six experiential consumption values were derived from previous studies, and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mong domestic consumers aged 20 and above. The results showed that natural wine consumers appreciate the high quality of natural wine and view it as a valuable asset in social relationships, hence they are willing to repurchase natural wine despite its cost. Concerning environmental impact, the symbolic value had a moderating effect on repurchase intention, but not on willingness to pay a premium. As for cognitive awareness, the study found that playful value has a moderating effect on repurchase intention and functional value affects premium payment intention. The study draws meaningful implications for natural wine marketing strategies based on its findings.

      • 사회적 크라우딩과 전문가 생성 콘텐츠가 소비자 정보 채택에 미치는 영향

        육묘(Miao Lu),육기(Qi Lu) 한국외국어대학교 지식출판콘텐츠원 글로벌경영연구소 2023 글로벌경영연구 = Journal of global business research Vol.35 No.1

        소셜 미디어 마케팅은 통합된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일환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기업과 소비자 간 강력한 관계를 구축하고자 하는데 큰 도움이 되고 있다. 전문 블로거가 생성한 콘텐츠를 체험 관련 콘텐츠와 프로모션 관련 콘텐츠로 구분하고 소비자의 제품 정보 및 리스크 인식 수준이 다르기 때문에 그들의 정보 채택 의도에 영향을 미친다. 콘텐츠 마케팅 과정에서 외부 환경은 소비자 가치 및 리스크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다. 따라서 기업은 제품 콘텐츠 유형에 따라 적절한 환경을 선택하여 소비자의 정보채택 의도를 강화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일상에서 흔한 볼 수 있는 사회 현상인 사회적 크라우딩을 시각으로 휴리스틱 체계적 모델 이론을 적용하여 사회적 크라우딩과 전문 블로거 생성 콘텐츠 유형이 소비자의 정보 채택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는 3가지 실험을 통해 연구 가설을 검증되었다. 즉, 전문 블로거 생성 콘텐츠 유형과 사회적 크라우딩 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소비자 정보 채택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정보 처리 유창성이 전문가 생성 콘텐츠 유형과 시회 크라우딩이 소비자의 정보 채택에 미치는 영향에서 매개 효과를 나타났다. 그리고, 소비자의 지식수준이 전문가 생성 콘텐츠 유형과 사회적 크라우딩 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소비자 정보 채택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절효과를 있는 결과를 검증됐다. 이론적으로 본 연구는 사회적 그라우딩 및 콘텐츠 마케팅 분야의 연구를 풍부하게 되고 기업이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되는 시사점도 제공하였다. 즉 다양한 유형의 콘텐츠 마케팅 활동을 수행하기 위해 적합한 사회적 크라우딩 상황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Social media marketing has become an integral part of 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s, playing a significant role in establishing strong relationships between businesses and consumers. The study focuses on categorizing content generated by professional bloggers into experiential and promotional types, considering that consumers’ levels of product information and risk perception vary, influencing their intent to adopt information. Therefore, businesses should select appropriate environments based on the type of product content to enhance consumer’ willingness to adopt information. Consequently, the exploration of how to effectively increase consumers’ intent to adopt information by selecting environments is a relevant issue. In this study, the common social phenomenon of social crowding is explored visually, applying the heuristic-systematic model theory. The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social crowding and professional blogger content types on consumers’ intent to adopt information. The research hypotheses were validated through three experiments, demonstrating that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professional user-generated content types and social crowding influences consumer information adoption. Furthermore, information processing fluency showed a mediating effect on the impact of professional generated content types and social crowding on consumer information adoption. The study also verified a moderating effect of consume knowledge levels on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professional generated content types and social crowding on consumer information adoption. Theoretically, this study enriches research in the fields of social crowding and content marketing, providing insights for businesses in formulating marketing strategies. I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selecting appropriate social crowding situations for various types of content marketing activities.

      • KCI등재

        의사결정나무모형을 이용한 전통무용공연 소비자그룹 분석

        성재형 ( Jae Hyung Sung ) 한국무용연구학회 2015 한국무용연구 Vol.33 No.2

        본 연구에서는 의사결정나무모형을 이용하여 전통무용공연의 소비자그룹 분류를 통한 소비자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전통무용공연 소비자의 인구통계적 특성과 함께 인지적 특성으로서 심리적 거리와 지식수준을 설명변수로 소비자그룹 분류를 시도하였다. 분석 결과, 관람률이 가장 높은 그룹은 전통무용공연에 대한 심리적 거리를 가깝게 인지하면서, 전통무용공연에 대한 지식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아 전문성도 함께 갖춘 소비자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통무용에 대한 심리적 거리를 멀게 느끼는 그룹일수록 관람률이 적어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주목할 만한 사항은 전통무용공연관람 여부라는 전통무용 소비행태에 대해 교육과 경험을 통해 개발 가능한 변수인 심리적 거리와 지식수준이 인구통계변수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하겠다. Attending performing arts received much attention as the one of the leisure activities. However, there was not much attention in the Korean traditional dance because the most of performing arts were concentrated in the western performing arts and the popular arts. This study classified consumers into some groups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gender, income and cognitive variables such as ‘psychological distance’, and ‘the level of knowledge on traditional dance’. In particular, although psychological distance and the level of knowledge had been utilized in the field of consumer behavior, they had not been used for analysis for traditional dance market. Note that psychological distance and level of knowledge could be developed or learned by experiences and training. That is, if they would be the most important variables that classify the consumer groups, we could make consumers in traditional dance to be more active by offering more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watching experiences to the consumer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광고의 언어적 수사 표현방식에 따른 소비자 반응 차이 연구: 소비자 지식수준을 중심으로

        조곤 ( Zhao Kun ),이종민 ( Chong Min Lee ) 국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5 社會科學硏究 Vol.2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광고의 언어적 수사 표현방식과 소비자 지식수준에 따라 소비자 반응에 있어 어떠한 차이가 발생하는지 살펴보는데 있다. 다시 말해, 지식수준(고 vs. 저)과 광고표현 방식(비유적 수사 표현 vs. 명시적 표현)사이의 상호작용 효과가 소비자 반응(회상력, 인지처리 깊이, 광고태도, 브랜드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소비자의 사전지식 수준과 광고 표현 방식사이의 상호작용 효과는 오직 회상에서만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는 회상과 관련된 선행 이론 및 가설들과 맥락을 같이하는 것으로 보인다. 다른 광고 반응 변인들과 관련해서는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adrhetoric representation(verbal rhetoric representation vs. verbal explicit representation) and consumer knowledge level(high vs. low) on consumers’ ad response variables such ad recall, depth of ad processing, ad attitude and brand attitude).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interaction effect was found to be significant only in ad recall. This finding appears to be supported by the prior related theories and studies.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in other ad response variable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