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노인복지시설에 대한 노인소비자의 요구도와 이용의도: 울산광역시 노인소비자를 중심으로
서정희,허은정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1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울산광역시 노인소비자들을 대상으로 노인복지시설에 대한 요구도와 이용의도를 살펴보고 관련요인들에 따라 노인복지시설 요구도와 이용의도가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울산광역시에 거주하는 노인소비자 500명을 대상으로 전문조사원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는 Andersen과 Newman (1973)의 모델에 기초하여 독립변수들을 선행요인, 가능성요인, 욕구요인으로 분류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울산광역시 노인소비자들은 노인복지시설에 대한 요구수준보다 실제 이용의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노인복지시설의 5가지 유형 중에서 노인들은 프로그램 수강과 시설만 이용하는 것에 대한 요구수준은 보통 이상이었지만 장기입소(상주)나 밤 시간만 이용하는 것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의향을 나타냈다. 둘째, 노인복지시설에 대한 요구를 유형화 한 결과, 고요구집단과 저요구집단으로 구분되었으며, 가능성요인(동거 가족의 수, 자녀의 수, 월평균 가계소득)에 따라 노인복지시설 요구도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는데, 노인복지시설에 대한 요구가 높은 집단은 낮은 집단에 비해 현재 동거하는 가족수가 적고, 자녀수가 적으며 월평균 가계소득이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노인복지시설에 대한 이용의도를 유형화한 결과 저이용의도집단, 부분이용의도집단, 고이용의도집단으로 구분되었다. 선행요인, 가능성요인, 욕구요인에 따른 이용의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선행요인(성별, 연령), 가능성요인(배우자 여부, 동거 가족수, 자녀수, 월평균 가계소득), 욕구요인(일상생활수행능력)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노인복지시설에 대한 요구도와 이용의도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노인복지시설에 대한 요구가 높다고 해서 반드시 노인복지시설 이용의도가 높은 것은 아니었다. 본 연구결과에 기초해 볼 때, 노인복지시설에 대한 요구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실제 이용의도가 높은 노인소비자는 저소득층 독거노인처럼 동거하는 가족수가 적고, 자녀수도 적으며, 가계소득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특성을 가지는 노인들이 우선적으로 노인복지시설을 이용할 수 있도록 노인복지 정책이 수립되고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결과는 울산광역시나 중앙정부에서 노인복지시설과 관련하여 노인복지정책의 수립과 운용시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김정희 대한지방자치학회 2019 한국지방자치연구 Vol.20 No.4
1995년, 우리나라에 지방자치제도가 도입되어 실시된 이래 각 지방자치단체들은 지방소비자행정을 활성화하기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여 왔다. 또한 다수의 연구자들이 지방소비자행정에 관심을 가지고 관련 연구들을 꾸준히 활발하게 해왔으며 중앙정부의 관련 부처와 지방정부에서도 정책과 제도를 통해 노력해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거의 모든 관련 선행연구에서 지적한 문제점들이 여전히 후속연구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나고 그 해결과 개선이 필요하다는 제언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에서도 그런 점에서 선행연구들과 크게 다르지는 않지만 다만 지방자치단체의 소비자행정 중 교육업무, 그 중에서도 고령소비자 교육을 중심으로 시행사례를 통해서 그 개선방안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특정 지역의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고 종래의 교육방법과는 다른 접근을 통해서 기존의 틀에서 벗어나 지역별로 특화된 교육업무 대안을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즉, 고령자들을 자주 접하는 여러 종사자들을 통해 일상생활 속에서 자연스럽게 소비자교육을 시행하는 시도를 해봄으로써 더 실효성 있는 교육 효과를 얻을 수 있을지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또한 지역 소비자행정 업무의 위상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찾아보고 소비자행정을 소비자복지, 즉 국민복지와 연계하여 그 문제점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우리나라가 이미 고령사회에 접어든 상황에서 지역별 고령소비자 복지정책과 고령소비자 교육이 무관하지 않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소비자행정 업무를 주민복지 분야에 포함시킬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Since 1995, when South Korea adopted local self-government system, local governments have been making vigorous efforts to encourage consumer public administration. Many related researches have been carried out by those who took interest in the concept, while the government tried its best to assist by utilizing policies and regulations. Despite the efforts, recent studies suggest that problems pointed out by previous researchers have not been rectified and still need improvements. This research does not deviate much from the consensus. But it will concentrate more on how to remedy the situation by utilizing education for senior citizens, with a case study. With an approach that is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ones, and by reflect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local governments, the aim is to provide a viable and locally-customizable alternative to the current system. This research looks at methods to achieve greater efficiency in educating senior citizens, if the knowledge is delivered by social services workers who interact with them daily. It examines ways for local governments to boost stature of their consumer public administration sector, and focuses on issues regarding consumer public administration in relation to consumer, and social, welfare. This research emphasizes that, with South Korea becoming a rapidly aging society, social service for senior citizens cannot be completely separated from providing consumer education to them. It provides alternative ways to integrate consumer public administration into social welfare.
오문석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07 경영컨설팅연구 Vol.7 No.3
기업들이 저임금경영을 지향하면 근로자의 이익이 억제되지만 제품가격이 낮아지므로 소비자의 이익은 커질 수 있다. 반대로 기업들이 고임금경영을 지향하면 근로자의 이익은 증대되지만 그로인해 제품가격이 높아지므로 소비자의 이익은 억제된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근로자들은 임금소득의 수혜자이면서 동시에 소비자의 입장에 있다. 따라서 저임금경영이거나 고임금경영이거나를 불문하고 근로자들은 임금소득의 수혜자이면서 동시에 소비자로서 기업의 회계정보 내용을 잘 이해하지 않으면 안 된다. 기업의 회계정보에는 저임금경영과 고임금경영 중 어느 쪽이 더 소비자복지에 기여하는 것인가를 알 수 있게 하는 기업의 경제적 성과와 비용에 관한 정보, 기업조직에 관한 정보 그리고 기업의 사회활동에 관한 정보가 모두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즉 높은 소비자복지를 실현하기 위해서 회계정보의 내용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하는 문제는 현명한 소비자로서의 근로자가 감당해야 할 몫이 되는 것이다.
장애인복지 소비자주의에 대한 사회복지전문직의 주관적 개념화 분석
박경수(Park Kyung-Su) 한국사회복지학회 2006 한국사회복지학 Vol.5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 복지의 제공자 중심의 서비스를 극복하기 위해 새로운 대안으로 부상하고 있는 소비자주의에 대한 사회복지사들의 주관적 개념화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Q 방법론을 통해 사회복지사들의 소비자주의에 대한 주관적 개념은 임파워먼트형, 시장기제형, 다중개방형, 전통가치형등 4가지 유형으로 도출되었다. 이들은 각각 소비자주의에 대한 특정적·확장적 차원에 의해, 전통적·개혁적 차원에 의해, 수단적·목적적 차원에 의해 인식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우리 사회에서 모호하게 이해되고 있는 소비자주의 개념을 구체화함으로써 소비자 친화적인 정책 및 실천 프로그램과 전문가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그리고 소비자주의를 지향하는 장애인복지의 정책, 실천현장, 이론, 운동 등 제 영역들 간의 명확한 의사소통을 원활히 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As social work practice for the disabled is still centered in provider's perspective in Korea, this study started with concerns for consumerism that is emerging as an alternative for the social work practice for the disabled. Consumerism is rooted in organization process of the disability rights movement, and considered as an ideology that protects actively the rights and influence of consumers. However, consumerism is not operating as an accomplished ideology yet, but as a type of the practical discourse. Consumerism is interpreted in multiaxial meanings and the conscituents of consumerism is used ambiguously in practice. This is because theoretical reviews on the conceptual thinking of consumerism are scant and empirical inquiries into conceptual cognition of social workers who uses this concept as a professional are scarce. After analyzing the data using Q methodology, the result shows that social workers' major cognitive types on consumerism perspective consists of four types; Empowerment type, Market-mechanism type, Multi-opening type and Traditional-value type. These types are classified by the dimension of 'specific/extended', 'traditional/reformative' and 'instrumental/autotelic'. This result will attribute to develop consumer-intimate policy, practice program and professional training program and to give facilities for lucid communication among policy, practice field, theory and movement in social welfare for disabled as it materializes the explicit conception of consumerism that is understood ambiguously in Korea.
홍의철(Eui-Chul Hong),강환구(Hwan-Ku Kang),박기태(Ki-Tae Park),전진주(Jin-Joo Jeon),김현수(Hyun-Soo Kim),김찬호(Chan-Ho Kim),김상호(Sang-Ho Kim) 한국가금학회 2018 韓國家禽學會誌 Vol.45 No.3
본 연구는 국내 소비자의 계란 구매 형태와 산란계 동물복지에 대한 인지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살충제 계란 파동 사태 전후 2차례에 걸쳐 수행되었다. 조사대상은 가정 내 계란구입 주 결정권자 및 취식자인 전국 만 25∼59세 여성과 만 25∼35세의 1인 가구 남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방법은 웹조사(Computer Assisted Web Interview; CAWI) 방법과 Gang survey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계란 구매 시 주요 고려요인에 대하여 ‘가격’을 고려한다는 응답이 모두 가장 높았으며, 2차 조사에서 ‘포장일자/제조일자’를 고려한다는 응답률이 증가하였다. 계란 10개의 적정 가격으로 ‘2,000∼3,000원 미만’ 응답 비율이 1와 2차 조사에서 각각 53.8%과 42.9%로 가장 높았으며, 적정 가격 평균은 각각 2,482원과 2,132원 이었다. 국내 계란 소비자의 구매 장소에 대해 ‘대형마트’에서 구입한다는 응답 비율이 가장 높고, 다음으로 ‘중대형 슈퍼마켓’, ‘체인 슈퍼마켓’의 순이었다. 동물복지 관련 인지도를 보면 2차 조사의 결과에서 인지 비율(73.5%)이 높아졌다. 동물복지 용어 인지 시기는 살충제 계란 파동 사태 이전 59.0%, 이후 41.0%였다. 동물복지 인증마크와 동물복지 축산농장 인증마크를 본 적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처음 본다는 응답이 59.6%이며, 동물복지 인증마크를 알고 있다는 응답비율이 37.6%였다. 동물복지 사육시스템에 대하여 가장 현실적으로 적합한 동물복지형 계사로는 ‘방사형’ 응답율이 85.8%로 가장 높았다. 동물복지 사육시스템 정보 제시 후 ‘방사형’ 적합 응답은 34.2%p 감소한 반면, ‘평사형’과 ‘유럽형’ 적합 응답은 각각 13.2%p와 24.1%p 증가하였다. 국내 소비자의 동물복지 인증 계란에 대한 인지 및 취식경험에 대하여 ‘본 적이 없다’는 감소한 반면, ‘본 적이 있다’와 ‘먹어 본 경험이 있다’는 응답은 모두 증가하였다. 백화점, 유기농 관련 협동조합, 인터넷 쇼핑몰에서 동물복지 인증 계란을 구입했다는 응답이 일반 계란을 구입했다는 응답비율보다 높았다. 가격 제시 전 기준으로 전체 응답자 중 동물복지 계란을 구입할 의향은 92.0%이었으나, 동물복지 계란 가격을 제시 후 구입 의향은 62.7%로 가격 제시 전 대비 약 30%p 감소하였다. 동물복지 인증 계란 구입 의향 이유로는 ‘식품 안전성이 높을 것 같아서’ 응답이 71.0%로 가장 높고, 구입 의향이 없는 이유로는 ‘가격이 비쌀 것 같아서’가 38.1%로 가장 높았다. 동물복지 계란 관능평가 조사에서 일반 계란의 난각색과 껍질 촉감이 동물복지인증계란보다 유의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 삶은 계란은 동물복지인증계란의 흰자 색이 일반계란보다 더 밝은 것으로 인식되었다(P<0.05). 결과적으로, 본 연구결과는 동물복지 인증 농가들에게 소비자 인식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산란계 동물복지 인증제도의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wice to investigate egg purchase behavior and perception on animal welfare of Korean consumers. This study included women, who were the main decision makers and caretakers in the household, and men with one-person household. This survey was conducted with by the Computer Assisted Web Interview and Gang Survey methods. On the key considerations factor, the highest response rate was considered to be "price", and the response rate of considering "packing date" increased in the second survey. At a reasonable price based on 10 eggs, the response rate was the highest at 53.8% and 42.9% in both the first and second surveys and the appropriate price averages were 2,482 won and 2,132 won, respectively. The highest rate of purchase of egg consumers from "Large Mart" followed by "Medium sized supermarket" and "Chain supermarket". As for the awareness about animal welfare, the recognition ratio (73.5%) was higher in the result of the second survey than the first. The cognitive period of animal welfare was 59.0% before the insecticide egg crisis and 41.0% thereafter. Regarding whether or not they have ever seen an animal welfare certification mark and an animal welfare animal farm certification mark, 59.6% of respondents said that they saw it for the first time and 37.6% answered that they knew the animal welfare certification mark. On the animal welfare system, the "free-range" response rate was the highest at 85.8%. The "free-range" fit response decreased by 34.2%p, while the "barn" and "European type" fit response increased by 13.2%p and 24.1%p, respectively. The number of "I have never seen" and "I have ever eaten" responses to the recognition and eating experience of animal welfare certified eggs decreased while the number of those who answered "Have ever seen" and "Have eaten" increased. The answer of purchasing animal welfare certified eggs at department stores, organic farming cooperatives, and internet shopping malls was higher than that of buying conventional eggs. Of the total respondents, 92.0% were willing to purchase an animal welfare egg before the price was offered, but after offering the prices of animal welfare eggs, the intention to purchase was 62.7%, which was about 30%p lower than before. The reason for purchasing an animal welfare certified egg was the highest score of 71.0% for "I think it is likely to be high in food safety", and 38.1% for "I think the price is high" for lack of intention to purchase. In the sensory evaluation of animal welfare eggs, egg color and skin texture of conventional egg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certified welfare eggs (P<0.05), and boiled eggs showed that egg whites of animal welfare certified eggs were more (P<0.05). As a resul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activation of the animal welfare certification system for laying hens by providing basic data on consumer awareness to animal welfare certified farmers.
가계와 소비자 차원에서 본 대선캠프의 경제민주화 정책 평가에 관한 연구
박명희,이은희,양세정,조유현,유현정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2012 소비자정책교육연구 Vol.8 No.4
경제주체간의 조화를 통한 경제민주화의 중요성이 커지는 현실 속에서 정부는 경제활동의 주체들이 원활한 활동을 통해 효율성과 공평성을 추구할 수 있도록 조정하는 역할을 해야 할 것이다. 정부는 국가의 부를 축적하기 위해 성장 을 추구하는 동시에 성장을 통해 축적된 부가 효율적이고 공평하게 분배되어 사회후생을 높이는 노력을 하여야 한다. 경제의 세 주체중 하나인 가계나 소비자의 입장에서 정책의 해법을 찾는 노력은 매우 중요하지만 1990년 이래 로 역대 정책공약에 관한 모든 정책이슈에서 가계 및 소비자를 정책공약의 기준으로 제시한 적은 없었다. 지금까 지의 수동적인 역할에서 탈피하여 가계나 소비자의 관점에서 국민복지 향상과 국가경제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정 책을 전개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2012년 대선에서 가장 유력한 후보인 박근혜, 문재인 후보의 대선 캠프가 제시한 경제민주 화에 관한 정책들에 대해 가계 및 소비자의 관점에서 평가기준의 틀을 개발하였다. 평가기준으로 ①먹거리 안전 확보, ②공정한 시장조성, ③가계부채, ④금융소비자 보호, ⑤주거안정, ⑥물가 및 생활비안정, ⑦가계 및 소비자 중심의 행정체계, ⑧소비자역량강화를 위한 정보제공과 교육, ⑨소비자피해보상 강화, ⑩소비자권익기금 조성과 활용 등 10개 항목을 설정하였고, 각 기준별로 구체성, 실현가능성, 효과성측면에서 평가하였다. 평가는 소비자 학 전공 교수 및 강사이상 소비자학 전문가 7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양 후보의 정책공약을 비교한 결과 두 캠 프 모두 가계재무 건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공약에 많은 비중을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문후보 캠프는 금융소비자보호, 가계의 주거안정, 물가 및 가계생활비 안정 등 가계에 좀 더 초점을 맞추고 있는 반면, 박 후보 캠프는 소비자 및 가계의 부채문제, 공정한 시장 환경조성, 소비자 먹거리의 안전과 확보, 소비자 보호 기금 마 련 등에 더 많은 공약을 제시하고 있어 박 후보 캠프의 공약이 소비자권익 실현에 도움이 되는 공약들을 보다 많 이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두 캠프 모두 공약의 효과성은 기대할만 하지만, 구체성과 실현가능성에서 는 합격점을 받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실현가능성이 부족해 보이는 공약들이 많았고, 구체성 또한 떨 어져 정책 개발에 관한 연구와 검토가 필요해 보인다. 이 연구는 공약의 평가보다는 각 대선캠프에서 놓치고 있는 부분들을 보완하여, 위기에 있는 가계와 소비자에게 실질적 도움을 주는 정책이 다음 정부에서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었으며, 조사를 위한 공약 정리를 2012년 11월 26일자로 마무리하였기 때문에 그 이후부터 대선 전날까지의 추가된 공약은 반영하지 못하였음을 밝혀둔다
소비생활복지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객관적·주관적 디지털 역량 및 관련 요인의 탐색
홍미나 한국소비자원 2023 消費者問題硏究 Vol.54 No.3
본 연구는 디지털 거래경험자를 대상으로 객관적 디지털 역량이 주관적 디지털 역량에 미치는 영향과주관적 디지털 역량의 매개를 통해 소비생활복지 인식에 기여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한국소비자원의 ‘2022 소비자역량지수(성인)’ 자료를 이용하여, 디지털 거래 경험이 있는 3,493명의데이터가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 객관적 디지털 역량인 디지털 지식과 디지털 실천은 주관적 디지털 역량에 정적인 영향을미치며, 디지털 실천은 주관적 디지털 역량의 매개를 통해서 소비생활복지 인식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령대별로 20대~50대는 60대 이상에 비해 소비생활복지 인식에부정적이었으나, 주관적 디지털 역량의 매개효과를 통해서 소비생활복지 인식이 향상되는 것을확인하였다. 그리고, 소비자 교육 및 소비자 문제 경험은 주관적 디지털 역량의 정적 간접효과를 통해소비생활복지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코로나 이후 더욱 급변하는 디지털 시장환경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와 디지털거래역량을 높이기 위한 소비자 교육의 중요성과 소비생활복지 향상을 위한 정책 방안 마련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In modern society, consumption is an important area for judging the quality of a life. This study identified the impact of objective digital knowledge and practice of digital transaction on subjective digital competency. Furthermore,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subjective digital competency on consumption life well-being awareness for those with digital consumption experience has been examined. Digital knowledge and practice, which are considered as objective digital competency, have a positive impact on subjective digital competency. The digital practice has a significant impact on improving awareness of consumption life well-being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subjective digital competency. It has been found that those in their 20s to 50s by age group had a direct negative impact on consumption life well-being awareness compared to those in their 60s and older. But, it was confirmed that consumption life well-being awareness was improved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subjective digital competency. In addition, consumer education and consumer problem experience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consumption life well-being awareness through the indirect effect of subjective digital competency. The results suggest the importance of consumer education to increase consumer confidence and digital competency. During this time of accelerating changes in the digital market environment after COVID-19 and the need to prepare policy measures to improve consumption life well-being.
A Critical Analysis on the Corporate Welfare Policy in America
KIM, Hang-Seok 국제지역학회 2002 국제지역연구 Vol.6 No.2
최근에 이르러 우리나라에서도 기업복지가 기업은 물론 사회복지 차원에서 그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기업복지는 사회복지, 가족복지와 더불어 그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을 뿐 아니라 기업복지가 전통적으로 단순히 노동자와 사용자 당사자 간에 문제에 국한되지 않고 중요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업복지에 있어 세계적으로 선도적 역할을 하고 있는 미국의 기업복지정책을 분석하여 그 문제점을 고찰하고 기업복지 프로그램의 개혁방안을 강구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먼저 미국의 기업복지정책이 어떠한 내용을 담고 있는지 그리고 기업복지 프로그램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를 고찰하였고, 또한 미국의 기업복지정책이 어떠한 사회경제적 배경하에서 형성되어 어떠한 발전과정을 거쳐 오늘에 이르렀는지를 역사적으로 고찰하였다. 그동안 미국의 기업복지정책은 사회복지정책의 일환으로 그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어 왔으나 투여되는 사회적 비용에 대비하여 그 경제적 효과가 효율적이지 못하다는 비판에 직면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미국의 기업복지정책에 대한 논쟁에 대한 검토와 함께 구체적인 통계분석에 근거하여 그 문제점과 비효율성을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미국 기업복지정책이 본래 추구하였던 사회복지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기업복지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5가지 개혁방안을 제시하였다.
광고공시정보의 제시형태와 잠재적 결과에 대한 정교화성향이 금융소비자의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연구
이태준(Tae Jun Lee),윤태웅(Tai Woong Yun) 한국광고홍보학회 2013 한국광고홍보학보 Vol.15 No.3
글로벌 경제위기 이후 금융산업 전반에 혼란과 어려움이 지속되면서 소비자의 금융활동과 경제생활에 나타난 여러 가지 폐단과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자유주의적 개입주의(Libertarian Paternalism)에 입각하여 각종 금융광고와 마케팅 활동에 다양한 외부의 개입(External Intervention)이 시행되고 있다. 그 일환으로 금융지식과 경험이 부족한 일반 소비자들이 금융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광고정보를 보다 쉽고 편리하게 처리하고,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금융광고에 의무적으로 공시정보(Disclosure Information)를 사용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금융광고에 필수적으로 사용해야 하는 공시정보의 제시형태(Presentation Format)와 잠재적 결과에 대한 정교화성향(Elaboration on Potential Outcome)의 영향에 따라 금융소비자가 어떠한 의사결정을 하는 가를 실험연구로 알아보았다. 특히 최근 소비자연구와 행동경제학 연구에서 우려해 온 소비자의 판단의 어림법(Judgmental Heuristic)이 나타나는 가를 알아보기 위해, 금융광고에 사용된 공시정보의 제시형태와 잠재적 결과에 대한 정교화성향에 따라 소비자가 의사결정을 하는 데 심사숙고형 휴리스틱(Thoughtfulness Heuristic)에 의존하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공시정보의 메시지 특성과 소비자 개인적 특성 간의 상호작용으로 인하여 소비자가 금융상품에 대해서 착각(Illusion of Knowing)에 기인하여 판단을 내릴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본 연구를 통해 기존의 소비자 심리학, 행동경제학 연구에서 다루지 않았던 이론적 함의를 도출하였고, 동시에 금융광고를 통해 금융지식(Financial Literacy)과 소비자복지(Consumer Welfare)에 기여할 수 있는 정보적 개입(Informational Intervention)의 정책적, 실무적 방안을 논하였다. The current research aims to extend our knowledge of the effects of disclosure information format used in financial services advertising and individual tendency to engage in predecision outcome elaboration in consumer`s information processing and decision making. Given there is continuing concern that many financial consumers are affected by judgmental heuristic that can lead to irrational cognitive forces and suboptimal economic behavior, of important interest is to know whether consumers who engage in predecision outcome elaboration are influenced by thoughtfulness heuristic (i.e., the mere perception of elaboration creates individual evaluation and judgment of object) when exposed to mandated disclosure information in financial services advertisements. Findings show that consumers can produce anomaly in financial decision making as a function of information format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 by indicating that even consumers with a strong tendency of elaboration on potential outcome are likely to fall prey to the effects of thoughtfulness heuristic. The authors discuss the managerial, public policy, and research implications for the design, presentation, and communication of financial products in terms of financial literacy and welfare.
소비자 금융 문제 해결 방안 모색: 지속 가능한 금융 구축을 통한 사회적 시장 경제 소개
박희중 ( Park Heejung ),허욱재 ( Heo Wookjae ) 한국금융소비자학회 2020 금융소비자연구 Vol.10 No.3
사회적 시장경제로 소개된 경제학적 개념은 마케팅과 금융에 적용이 가능하다. 특히 사회적 시장경제라는 주제는 소비자 금융에서 소비자가 생존하는 문화와 같은 역할을 하는 시장 시스템과 연관이 깊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의 두 가지이다. 우선 사회적 시장경제와 소비자의 지속가능성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두 번째로, 거시적인 측면에서 소비자의 복지를 위해 잠재적인 발전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거시마케팅을 연구하는 사람이자 정책제안자로써, 본 연구를 통한 제안은 한국과 같은 시장 경제 국가들에 사회적 시장경제 개념을 상황에 맞게 조정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한다. 이를 통해, 각 국가는 급변하는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금융 시장 안에서 소비자와 국가 정책 간의 상호작용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concept of social market economy is formed to apply in marketing and finance. It is related to the field of consumer finance in macrosystem which to describe the culture of individuals residing in market system.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the combined concepts of a social market economy and consumer sustainability that can provide a helpful model of social economy that would suggest a potential way forward in terms of consumer well-being as a macro-level goal. As academic macro marketers and policy maker, it is our mission for countries such as Korea need to adapt the social market economy for their own benefit, and each country building a unique interaction between the consumer and national policy in order to respond effectively to change in the consumer financial mark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