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아성향과 친환경심리 및 녹색소비자행동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신재욱,신민철 한국소비자·광고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Vol.12 No.2

        Recently interest in the concept of Self-construals as a new trial to explain Green consumer behavior is increasing. But existing studies had been only focused on the measurement of concept of Self-construals or partially studied on relationship between Self-construals and Green consumer behavior. This brought the result where logic did not coincide with empirical.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construals and Green consumer behavior by approaching causal relation between Self-construals and various variables of Green consumer behavior simultaneously using the model of structututuequation. As the results of the study, independent Self-construals only affected environment friendly psychology and dependent Self-construals did not affect environment friendly psychology and Green consumer behavior, while only metapeendent Self-construals affected both environment friendly psychology and Green consumer behavior. Consumers with independent Self-construals in strong individualistic tendency had an affirmative thoughts ab of environment friendliness while consumers considerate of others with dependent Self-construals in strong collective tendency showed low environment friendly psychology and they practiced Green consumer behavior, which was interesting findings. Finally, when consumer's knowledge about environment friendliness was in high level, environment friendly psychology appeared as a moderating variable strengthening influences on Green consumer behavior. 최근 녹색소비자행동을 설명하려는 새로운 시도로 자아성향 개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기존 연구는 자아성향 개념의 측정에만 초점을 맞추거나, 자아성향과 친환경심리 및 녹색소비자행동간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연구하고 있어, 논리적 예측과 경험적 관찰이 일치하지 않는 결과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자아성향(Self-Construals)과 확장된 친환경심리 및 녹색소비자행동 변수들 간의 관계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동시에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자아성향과 후행변수들 간의 인과적 관계를 규명함에 있다. 직장인과 주부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 독립적 자아성향은 친환경심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녹색소비자행동에도 일정부분(α=0.1수준)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상호적 자아성향은 친환경심리와 녹색소비자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주의적인 성향을 반영하는 독립적 자아성향이 강한 소비자들이 친환경에 대한 긍정적인 생각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자기와 관련된 타인을 중시하는 성향을 반영하는 상호적 자아성향이 강한 소비자들이 오히려 낮은 친환경심리와 녹색소비자행동에 무관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보편적 자아성향은 친환경심리 및 녹색소비자행동에 모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자연환경에 대한 소비자의 지식이 높으면 친환경심리가 녹색소비자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강화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 KCI등재

        남녀 중학생의 과시소비성향에 관한 연구

        이형실,이은정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04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1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actors related to the propensity for conspicuous consumption of adolescent consumers.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530 adolescent consumers who were in the 8th grade of middle school in Guri cit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boys and girls in the propensity for conspicuous consumption of adolescents. The propensity for conspicuous consumption of boys was higher than girls. The influences of friends and mass media, and self-esteem were found to predict the propensity for conspicuous consumption of adolescents. 본 연구에서는 남녀 중학생의 과시소비성향 수준을 알아보고 과시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들을 검증하여 청소년의 소비생활을 분석함으로써 청소년의 과시소비성향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 건전한 청소년 소비문화의 형성을 위한 청소년소비자 교육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경기도 구리시에 있는 중학교 2학년 남녀학생 530명을 대상으로 하여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녀 중학생 청소년의 과시소비성향은 중간정도로 나타났다. 과시소비성향의 하위영역인 지위인식적 과시소비성향, 브랜드지향적 과시소비성향, 수입품지향적 과시소비성향도 중간정도로 나타났으나 유행지향적 과시소비성향은 약간 높았다. 둘째, 청소년의 과시소비성향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남학생의 과시소비성향이 여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과시소비성향은 또래집단과 대중스타, 자아존중감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 소비자는 또래집단과 대중스타의 영향을 많이 받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과시소비성향이 높았다. 청소년의 과시소비성향 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또래집단과 대중매체의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국민계정과 가계조사 소비성향의 불일치 문제와 보정에 관한 연구

        전수민(Su Min Jeon),주상영(Sangyong Joo) 한국경제발전학회 2019 經濟發展硏究 Vol.25 No.4

        소비에 관한 이론을 검정하거나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처분가능소득대비 소비지출로 정의되는 가계소비성향을 정확히 측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런데 한국은행 국민계정의 소비성향과 통계청 가계동향조사의 소비성향은 수준면에서 20%p 내외의 큰 격차를 보이는데다 변화의 방향도 일치하지 않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통계청 가계동향조사 방식의 개편으로 2017년 이후의 소비성향을 그 이전과 연속적으로 비교 관찰할 수 없게 됨으로써 소비성향에 대한 보정 지표 개발의 필요성은 더 높아지게 되었다. 본 연구는 두 기관의 소비성향에서 나타나는 격차의 원인을 파악한 뒤 서로 근접한 소비성향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소득과 소비에 관한 12개 항목을 보정하여 소비성향을 산출하였는데, 보정 후에 격차가 크게 줄어들었으며 2016년 기준으로 국민계정과 가계동향조사의 보정된 소비성향은 각각 80.5%와 74.8%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보정소비성향 간의 격차는 줄어들었지만 변화의 방향에 있어서는 여전히 차이가 사라지지 않고 있는데, 가용한 통계를 동원하여 소비성향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작업이 계속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We need an accurate measure of the propensity to consume (household consumption divided by disposable income) when designing policies having impacts on household consumption as well as testing macroeconomic theories. However, there are significant discrepancies between the two propensities in the National Accounts of the Bank of Korea and the Household Survey of the Statistics Korea. The average difference over the period from 1990 to 2016 is about 20%p, and the two even show different trends in direction. Furthermore, major revisions on the method of household survey starting from 2017 have made it difficult to use the consumption propensity series continuously in micro level studies. In this paper, we have identified the reasons for the discrepancies and tried to fill the gap between the two statistics. After 12 major adjustments of differences in concepts of income and expenditure, we significantly reduced the gap. The average propensities to consume of the National Accounts and the Household Survey are 80.5% and 74.8% in 2016, respectively. Nevertheless, two adjusted series still diverge during some period of time. The further adjustments are necessary to avoid measurement problems and observe spending behavior of households correctly.

      • 소비자의 적개심, 자민족중심주의와 한국산 제품의 구매의도 간 관계에서 과시소비성향의 조절효과 검증

        강지원(Ji-Won Kang),이재은(Jae-Eun Lee) 대한경영학회 2017 대한경영학회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집 Vol.2017 No.1

        본 연구는 중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적개심과 자민족중심주의가 한국산 제품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과시소비성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실증분석하고 있다. 중국 소비자 300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소비자들의 적개심은 한국산 제품의 구매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선행연구들과 일관되게 중국 소비자들이 한국에 대한 적개심을 지닐 경우 한국산 제품의 품질이나 가격과는 상관없이 한국산 제품에 대한 구매의도가 낮아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둘째, 중국 소비자들의 자민족중심주의는 한국산 제품의 구매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선행연구에서 강조하는 바와 같이 자민족중심주의 성향을 지닌 중국 소비자의 경우 자국 제품의 품질을 우수하게 평가하고, 한국산 제품을 구매하는 것을 비애국적이고 비도덕적으로 판단하여 한국산 제품의 구매의도가 낮아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셋째, 과시소비성향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과시소비성향은 중국 소비자의 적개심이 한국산 제품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약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과시소비성향을 가진 중국 소비자들의 경우 한국산 제품을 소비함으로써 타인에게 자신의 부를 과시하려는 경향이 존재하는 것을 나타낸다. 본 연구의 결과는 중국 소비자들의 적개심이 한국산 제품의 구매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그러한 경향은 과시소비성향에 의해 약화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는 점에서 글로벌 마케팅 분야에 의미 있는 이론적·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empirically looks into the effects of the animosity and ethnocentrism on the purchase intentions of the Korean products with the emphases on the moderating effect of conspicuous consumption. The empirical results from the 300 Chinese consumers are as follows. First, the animosity has negative (-) effect on the purchase intentions of the Korean products. These results, consistent with the previous studies, show that as the animosity increases, the Chinese consumers tend to have low intention to purchase Korean products regardless of the quality or price of Korean products. Secondly, the ethnocentrism has negative (-) effect on the purchase intentions of the Korean products. These results, consistent with the previous studies, show that Chinese consumers have ethnocentrism evaluate the quality of Chinese products better and have low intention to purchase Korean products. Third, as a verification result of moderating effect, conspicuous consumption adjus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nimosity and purchase intentions of the Korean products negatively (-). These results show that Chinese consumers with a conspicuous consumption tend to show off their wealth to others by consuming Korean products. This study show that although the animosity negatively affects the purchase intentions of Korean products, such tendency can be weakened by the conspicuous consumption. This study is considered to provide useful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global marketing.

      • KCI등재

        과소비성향에 대한 계층적 성격모델 접근

        박소진(Park, Sojin) 한국소비문화학회 2008 소비문화연구 Vol.11 No.4

        본 연구는 과시소비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성격특성들에 대하여 동기와 성격에 관한 계층적 모델(3M모델)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3M모델의 계층적 구조에 근거하여, 과시소비성향을 표면특성으로 간주하고 이에 영향을 주는 상황특성변수로서 패션 선도성, 준거집단 순응성향, 독특성 욕구를 탐구하였으며, 복합특성변수로서 인지 욕구와 경쟁 욕구, 그리고 여덟 가지 기본특성을 탐구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모델이 매우 적합한 모델로 밝혀졌으며, 성격특성들은 과시소비성향을 45% 설명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과시소비성향이 경제적인 이유뿐만 아니라 보다 근본적으로 개인의 성격차이에서 기인함을 보여준다. 과시소비성향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성격특성요인들은 패션 선도성, 준거집단 순응성향, 인지 욕구, 물질적 욕구로 나타났다. 다시 말하면, 패션선도자이고 준거집단의 영향을 많이 받고 인지 욕구가 높고 물질적 욕구가 높은 사람들이 과시소비성향이 높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소비자의 독특성 욕구는 유의하지 않은 변수로 나타나, 과시소비성향은 제품의 구매와 소비를 통하여 남과 달라 보이고 싶은 욕구 보다는 유의하지 않은 변수로 나타나, 과시소비성향은 제품의 구매와 소비를 통하여 남과 달라 보이고 싶은 욕구 보다는 제품의 구매를 통하여 준거집단에 순응하려는 욕구에 기인함을 알 수 있게 해주며, 위신제품으로 포지셔닝하고 있는 제품의 마케터들에게 성격특성에 근거한 마케팅 관리적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personality trait antecedents of conspicuous consumption tendency applying the 3M model of motivation and personality. This study regarded conspicuous consumption tendency as a surface trait and investigated the fashion leadership, susceptibility to interpersonal influence, and need for uniqueness as situation traits, need for information and need for competition as compound traits, and eight elemental traits. The result revealed the hierarchical model of trait antecedents of conspicuous consumption tendency was fitted well. In addition, these trait antecedents account for an average of 45% of the variance in conspicuous consumption tendency. In this study, fashion leadership, susceptibility to interpersonal influence, need for information, need for material were positively related to conspicuous consumption tendency. However, consumers’ need for uniqueness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conspicuous consumption tendency. This means that conspicuous consumption was caused by the need to conform to the reference group, not by the need to be differentiated from the group. This hierarchical approach of personality variables help marketers to understand more basic motives of conspicuous consumption tendency and give some managerial implications to the marketers selling status products.

      • KCI등재

        중국의 지우링허우(九零後) 세대의 금전태도 및 과시소비성향

        이금붕,유현정 한국소비문화학회 2017 소비문화연구 Vol.20 No.4

        The iulinghou generation, who were born in the 1990s, show significantly different consumption characteristics from the previous generations due to such economic and social chang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jiulinghou generation’s attitude towards money and their tendency of conspicuous consumption through surveys, to measure factors affecting the generation’s attitude towards money, and to analyze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relevant variations on how jiulinghous’ attitude towards money affects their tendency of conspicuous consumption.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lassifying the jiulinghou generation according to their attitude towards money, they were divided into 4 groups: ignorance type (8.5%), control and restriction type (42.7%), ordinary type (32.9%), the enjoyment of mammon type (15.9%). Second,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difference in the averages of consumer sentiment by group and tendency of conspicuous consumption according to attitude towards money, both the control and restriction type and the enjoyment of mammon type showed relatively higher tendencies of conspicuous consumption, materialism and self-esteem. Third, although the two types constituting tendency of conspicuous consumption also had different influential elements, both friends and media had positive influence. In addition, as the jiulinghou generation has a unique propensity to consume compared to other generations, the Chinese society needs to develop social consumer education and consumer support systems with more interest in this generation and conduct education on consumption values and consumer attitude through various channels, including mass media and social network services, so that they do not reflect individual values in products or develop excessive materialism. 1990년대에 태어난 중국의 지우링허우 세대들은 급격한 경제적, 사회적 변화로 인해 이전의 세대와는 매우 다른 소비특성을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중국 지우링허우 세대의 금전태도와 과시소비성향을 알아보고 지우링허우 세대의 금전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측정하고 중국 지우링허우 세대의 금전태도가 과시소비성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관련변수들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우링허우 세대는 금전태도에 따라 무지형(8.5%), 관리속박형(42.7%), 평범형(32.9%), 배금향유형(15.9%)의 네 가지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둘째, 금전태도에 따른 집단별 소비심리와 과시소비성향의 평균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관리속박형과 배금향유형에서 과시소비성향, 물질주의심리, 자아존중심리가 모두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과시소비성향을 구성하는 두 가지 유형 역시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차이가 있었으나 친구와 매체의 영향이 모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우링허우 세대가 다른 세대와는 달리 독특한 소비성향을 가지고 있는 만큼 중국사회는 이 세대에 대해 보다 관심을 가지고 사회소비자교육 및 소비자지원제도를 마련해야할 것이고 상품에 개인의 가치를 투영하는 등 지나친 물질주의성향을 갖지 않도록 이를 경계하고 대중매체나 SNS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하여 소비가치 및 소비자태도 교육을 실시해야할 것이다.

      • 소비자의 화폐태도와 과시소비성향 연구: - 한 ․ 중 대학생 소비자를 중심으로 -

        한 미(Han Wei);이승신(Lee Seung Sin) 건국대학교 경제경영연구소 2013 商經硏究 Vol.2016 No.1

        현대사회는 소비자의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소비자들의 욕구수준도 상승함에 따라 소비자들의 소비성향이나 소비방식도 바뀌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화폐태도와 과시소비를 중심으로 소비자의 과시소비성향을 주목하여 연구를 하였다. 화폐태도란 감정적인 의미 외에도 화폐를 어떤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수단으로 이해하느냐 하는 차원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의미와 가치관 또는 신념으로 정의한다. 과시소비란 자기가 특정한 사회계급, 특히 상류계급이나 보다 특수한 유한계급에 속해 있는 것을 상징하기 위해서 재화나 서비스를 아낌없이, 또한 헛되게 소비하는 행위를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과시소비 성향 유형은 ‘브랜드 지향’, ‘수입 지향’, ‘유행 지향’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는 2012년 4월 9일부터 16일까지 한국과 중국 대학생을 대상으로 각 215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총 415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중 대학생소비자의 과시소비성향이 심각한 정도는 아니지만 어느 정도의 과시소비성향을 나타내고 있다. 한・중 대학생소비자의 과시소비성향 차이에서는 전체적으로는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지만 문항별로는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한・중 대학생소비자들의 화폐태도 차이에서는 불안의 원천요인에서 전체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중국 대학생소비자에 비해 한국소비자가 불안의 원천이라는 태도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소비자 화폐태도중 한국의 경우 성공의 상징, 감정충족의 도구라는 태도가 높은 집단이 과시소비성향이 높았고 중국의 경우는 성공의 상징, 감정충족의 도구, 불안의 원천이라는 태도가 높을수록 과시소비성향이 높게 나타났다. In the modern society, the consumers consider the social factors, subjective meanings or the symbolism carried by the products to be more important than their necessary functions. In this paper, the self-recording survey was implemented to the Korean and Chinese undergraduate consumers aiming to figure out their rhetorical consumption tendency according to their attitude to the currency. The undergraduates residing in the Korean Seoul districts and the Chinese Beijing districts were selected. The analytic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rhetorical consumption tendency showed by the consumers from the two countries has not reached the serious degree, but the trend has reached to a certain extent. Secondly, to the Korean consumers, the females showed higher rhetorical consumption tendency than the males. To the Chinese consumers, the higher degree of the rhetorical consumption tendency was showed in according with the higher consumed amount. Thirdly, according to their attitude to the currency, both consumer groups showed higher rhetorical consumption tendency to the ‘brand directivity’, ‘income directivity’, and the ‘fashion directivity’ with the increasing degree of the ‘symbolic factor of success’, ‘factors of emotion satisfactory’. To the Korean subject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showed. Fourthly, both groups showed great influence from their friends and the mass media, which increased their higher rhetorical consumption tendency to the ‘brand directivity’, ‘income directivity’, and the ‘fashion directivity’. The influences from the mass media showed the higher effects. Moreover, to the Korean group, greater influences from their parents made their rhetorical consumption tendency to the ‘brand directivity’, ‘income directivity’ higher. Fifthly, the two groups showed higher rhetorical consumption tendency to the ‘brand directivity’, ‘income directivity’, and the ‘fashion directivity’ with the higher materialism inclination according to the psychological variables. Furthermore, the Korean subjects showed higher rhetorical consumption tendency to the income directivity with the increasing of their self-worth. Sixthly, the Korean subjects from the natural sciences department showed lower ‘fashion directivity’ than other undergraduates. On the contrary, the rhetorical consumption tendency to the ‘income directivity’ and ‘fashion directivity’ were increased by the means of consumer education from the consumer-related organization. To the Chinese subjects, the rhetorical consumption tendency to the ‘fashion directivity’ was increased via the consumer education from the consumer-related organization. On the other hand, the consumption tendency increased with the higher materialism inclination

      • KCI등재

        소비자의 구매력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제품특성과 과시소비성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진옥선,이영일,TIAN WENBO 한국경영컨설팅학회 2022 경영컨설팅연구 Vol.22 No.4

        본 논문은 소비자의 구매력에 따른 제품 특성과 과시소비성향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작성되었으며,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해 6가지 가설을 설정했다. 본 논문은 소비자의 구매력을 독립 변수로, 소비자의 구매의도를 종속 변수로, 제품 특성(실용적 특성 및 쾌락적 특성), 과시소비성향의 유무를 조절변수로 삼았으며, 시나리오 형식의 2x2x2 설문조사를 설계했다. 응답자는 2~30대 중국 소비자로 시나리오에 따라 각 집단은 설문지 40장, 총 320장을 답변했다. 설문조사는 온라인으로 진행되었으며 회수 후 분산 분석을 진행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비자 구매의도는 소비자 구매력의 영향을 받는다. 소비자 구매력이 높으면 구매의도 또한 높다. 이와 반대로 구매력이 낮을수록 구매의도가 낮아진다. 둘째, 구매의도는 제품 특성에 따라 변화한다. 구매력이 낮은소비자는 실용적 제품을 선택하는 경향이 있고, 구매력이 높은 소비자는 쾌락적 제품을 선택한다. 셋째, 소비자 구매의도는 과시소비성향의 영향을 받는다. 과시소비성향이 강할수록 구매의도가 높아진다. 이 밖에도 과시소비성향은 실용적 제품을 구매해야 하는 저소득 계층이 쾌락적 제품을 구매하도록 만든다. 따라서 기업은 마케팅 계획을 세울 때 소비자의 과시소비성향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

      • KCI등재

        소비자의 정보탐색시기별 모바일 정보검색행동에 대한 탐색적 연구- 소비자 성향을 중심으로 -

        신수아 ( Sooa Shin ),한상만 ( Sangman Han ),옥경영 ( Kyungyoung Ohk ),홍재원 ( Jae Won Hong ) 한국소비자학회 2016 소비자학연구 Vol.27 No.3

        본 연구는 최근 소비자들의 주요 구매 채널로 급부상하고 있는 모바일을 대상으로 소비자 성향에 따라 발생하는 정보탐색행동의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구매에 이르기까지의 탐색시기를 탐색 초기, 탐색 중기, 구매 기간으로 분류하고 정보탐색행동의 차이를 파악하였다. 이에 따른 분석과정과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소비자 성향을 충동과 과시 정도에 따라 충동.과시적 성향, 충동.실용적 성향, 계획.실용적 성향, 계획.과시적 성향인 4가지로 분류하였으며, 각 성향에 해당되는 소비자들의 탐색시기별 정보탐색행동을 키워드 검색 수준 즉, 브랜드 검색, 제품명 검색, 제품군 검색 등으로 살펴보았다. 소비자 성향별 정보탐색행동 분석결과, 충동.과시적 성향의 소비자는 탐색 초기와 구매기간에 브랜드와 제품군에 대한 정보탐색량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충동.실용적 성향의 소비자는 정보탐색 자체가 탐색중기에만 활발히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탐색활동 자체에 연속성이 없으며 탐색행동은 강하고 짧은 충동적인 성향을 보였다. 그리고, 계획.실용적인 성향의 소비자는 전 탐색기간에 걸쳐 탐색량이 매우 낮다가 구매기간에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계획.과시적인 성향의 소비자는 전반적으로 모든 시기에 걸쳐 탐색량이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검색 수준 측면에서는 구매기간으로 갈수록 제품명 검색은 줄고 제품군과 브랜드 검색이 점차적으로 급증하는 것으로 보아 구매 제품의 상품 자체의 효용보다는 브랜드나 제품군이 가지는 이미지와 가치에 더 중점을 두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분석결과는 기존 소비자를 세분화하여 키워드 검색 수준에 따른 정보탐색행동의 차이를 발견함으로써 모바일 소비활동에 있어서의 소비자 이해에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Latest Mobile is emerging as a significant platform, and thus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related to the mobile. Because of the advantage of simple and efficient, amount of information searching via mobile continues to increased which led to the purchase. In this regard, many studies were conducted on the obtained information of the mobile navigation. However, research has been analyzed by focusing on the tendency of consumers is not enough. In this paper, we conducted a study in more depth by mainly focusing on the propensity of consumers. Navigate to the purchase period was divided into initial-search, mid-search, and purchase period, depending on the amount of information search term was derived appears that any differences by propensity of consumers. Consumer tendencies were classified as impulsive- conspicuous propensity and impulsive-utilitarian propensity, planning-utilitarian propensity, and planning and planning-conspicuous propensity. Consumer of impulsive-conspicuous propensity of information search volume increased significantly. Search the initial period, however, the time of the searching behavior seemed short and noncontiguous. Consumer of impulsive-utilitarian propensity was made only actively search the medium term. In addition, it is strong and short search behavior. Amount of search information of planning-utilitarian propensity is very low in all of search period. But it is showed the appearance of an explosion in the purchase period. Finally, consumer of impulsive-conspicuous propensity generally showed a similar incidence of the search volume across all the time. The research results were found differences in information search behavior based on keyword searches by consumer level. This will provide a very useful practical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consumer behavior on mobile.

      • KCI등재

        소비자 소비성향이 바이오 화장품 선택속성 및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최미정 한국피부과학연구원 2023 아시안뷰티화장품학술지 Vol.21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consumers' consumption propensity on functional choice attributes and purchasing behavior through empirical analysis.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for two weeks from March 5 to March 19, 2022, targeting adults in their 20s or older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the 237 questionnaires that faithfully responded were used as analysis data. Results: First, among the consumption propensities, resourcesaving propensity, planned purchasing propensity, and value-oriented propens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functional selection attributes. However, impulse buying tendenc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functional selection attributes. Second, the functional selection attribute of cosmetic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purchase behavior of bio cosmetics. Third, among consumption propensities, resource-saving propensity, planned purchasing propensity, and value-oriented propensity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bio cosmetics purchasing behavior, and impulse purchasing propensity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product purchasing behavior. Fourth,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election attribut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ption propensity (resource-saving, planned purchasing, value orientation, impulse purchase) and purchasing behavior was confirmed.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mpirically examines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consumption propensity and bio cosmetics purchasing behavior and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 of functional selection attributes. It will have great implications for the bio-cosmetics industry preparing for the post-corona era. 목적: 본 연구는 화장품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소비성향이 기능적 선택 속성과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을 통해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서울 수도권 20대 이상의 성인들을 표본 집단으로 하여 2022년 3월 5일부터 3월 19일까지 2주동안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성실하게 응답한 237명 설문지를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결과: 첫째, 소비자 소비성향 중에서 자원절약 성향, 계획구매 성향, 가치지향 성향은 기능적 선택속성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충동구매 성향은 기능적 선택속성에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화장품의 기능적 선택속성은 바이오 화장품 구매행동에 유의미한 정(+)의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비자 소비성향 중에서 자원절약 성향, 계획구매 성향, 가치지향 성향은 바이오 화장품 구매행동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쳤고, 충동구매 성향은 제품 구매행동에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소비자의 소비성향(자원절약, 계획구매, 가치지향, 충동구매)와 구매행동간의 관계에서 선택속성의 매개 효과를 확인하였다. 결론: 연구결과는 소비자들의 소비성향과 바이오 화장품 구매행동간에 영향 관계를 실증적으로 살펴보고 이들간의 관계에서 기능적선택속성의 매개 효과를 규명해 보았다는데 의미가 있을 것이며,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준비하는 바이오 화장품 산업에 주는 시사점이 클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