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민요 소리판의 양상과 청중의 상관성

        박현숙(Park, Hyeon-suk)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16 民俗硏究 Vol.0 No.32

        이 논문은 오늘날 민요 연행현장에서 형성되는 소리판의 여러 양상을 청중과의 상관성을 통해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하남시 민요 소리판 현장조사 자료를 기반으로 한다. 민요 채록을 위해 즉흥적으로 마련된 소리판은 소리판에 대한 청중의 인식과 반응에 따라 매우 다양한 형태로 형성된다. 민요 소리판에 대한 청중의 인식은 크게 긍정적 인식과 부정적 인식으로 나눌 수 있다. 청중이 소리판에 대해 긍정적 인식을 지닌 경우에 토론․재현형, 유흥․놀이형, 격려ㆍ응원형의 소리판이 형성된다. 토론ㆍ재현형 소리판은 청중이 과거 전통사회에서의 경험을 있는 그대로 재현하기 위해 소리판에 적극적으로 개입하여 의견을 제시하고 조율한다. 유흥ㆍ놀이형 소리판은 청중이 소리꾼의 소리에 맞춰 자발적으로 춤을 추거나 많은 청중들의 참여 유도, 나아가 가창자로 전환하여 신명나는 소리판을 주도해 나간다. 격려ㆍ응원형 소리판은 소리꾼이 가창을 망설이거나 소극적일 때 청중이 소리판에서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며 소리꾼을 응원하고 격려하여 소리꾼의 가창을 이끌어준다. 청중이 소리판에 대해 부정적 인식을 지닌 경우에 회피ㆍ침묵형, 거부형의 소리판이 형성된다. 회피․침묵형 소리판은 청중이 소리판의 구성원으로 존재하지만 소리꾼의 가창에 대해서는 외면하며 회피와 침묵으로 일관한다. 거부형 소리판은 청중이 소리판에 대해 강한 거부감을 드러내어 소리판 형성 자체가 불가능하다. 민요 소리판에 대한 청중의 긍정적 인식에는 민요에 대한 개별적 관심과 즐김, 마을 주민들 간의 일상적 어울림, 민요에 대한 긍정적 향유 경험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개인의 관심과 즐김이 공동체의 관심과 향유로 이어질 때, 민요 소리판은 관심 있고 즐기는 사람의 단순한 동조를 넘어서 공동체 안에서 함께 향유하고, 스스로 찾아 즐기는 마을 문화로 정착할 수 있다. This paper aims to show the diverse aspects of the folk song place that is formed in today’s folk song performance field through the correlation of its audience. An object of the study is based on the data of folk song places in Hanam-si, Gyeonggi Province, South Korea. The folk song place where is made on impulse in order to record folk songs can come in many different forms by the audience’s recognition and response about the folk song place. It is divided into two awareness: Positive and Negative. In the case that the audience has positive awareness of the folk song place, the folk song place is formed of three types: a type of discussion-reenactment, a type of entertainment-amusement, and a type of encouragement-support. In the folk song place of discussion-reenactment, the audience actively participates in the folk song place, expresses their opinions, and resolves differences among the opinions. In the folk song place of entertainment-amusement, the audience spontaneously dances to the folk song of singer, invites other audience’s participation, and leads cheerful folk song place as a singer by themselves. In the folk song place of encouragement-support, the audience keeps their distance from the folk song place and engages the singer to sing through cheering and encouragement when the folk singer hesitates to sing or be passive. In case of the audience has negative awareness of folk song place, the folk song place is formed of two types: a type of evasion-silence and a type of refusal. In the folk song place of evasion-silence, the audiences are still members of the folk song place, but they consistently ignore, evade and remain silence against the folk singer’s singing. The type of refusal folk song place is not able to form the folk song place because the audience reveals repulsion against the folk song place. Individual interest and enjoyment to the folk song, having daily relations among villagers by folk song, and positive experiences about folk songs become key factors of the audience’s positive awareness in the folk song place. When individual’s interest and enjoyment are connected with the community’s interest and enjoyment, it will be the appropriate place where is extended for a community and its culture beyond simple sympathy of the person who have interest and enjoyment to the folk song.

      • KCI등재후보

        박동진의 판소리와 소리판의 미학

        김석배 국립무형유산원 2020 무형유산 Vol.- No.9

        Pansori Master Park Dong-jin was very good at attracting an audience to his Pansori performing stage and holding them. It was the driving force of making the audience happy, which was the motive of Park Dong-jin’s Pansori and Pansori performing stage.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aesthetics of Park Dong-jin’s Pansori and Pansori performing scene. The results are summed up as follows:Above all, Pansori composing strategies of Park Dong-jin are as follows:First, Park Dong-jin acquired his own original voice by himself. In addition, his voice was not constant but very flexible. Second, he kept on seeking the voice suitable to ‘Saseol’, ‘Chang’, and ‘Neoreumsae’ by focusing on the inside. Third, he regarded ‘Aniri’ as very important, through which he provided a lot of laughter. He also touched and consoled the hurt hearts of the audience by criticizing the ways of the world using humor and satire. Next, Park Dong-jin’s Rules of Pansori performance are as follows:First, Park Dong-jin’s Pansori performing stage is full of vividness and extemporaneousness. So the performing scene has a strong characteristic of a scene being made with the audience. Second, Park Dong-jin causes the audience to cry and laugh, and to be excited and pleasant. Third, Park Dong-jin’s abusive language and joke has outstanding realism and ad lib, which is one of his intended strategies to let the audience know the essence of Pansori. 박동진 명창은 자신의 소리판에 청중을 끌어들이고 묶어 놓는 탁월한 재주를 지녔다. 그것은 소리판에 모인 청중들을 즐겁게 하는 원동력으로, 박동진의 판소리와 소리판이 지닌 힘이다. 본고에서는 박동진의 판소리 세계가 지닌 미학을 두루 살펴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박동진 판소리의 판짜기 전략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독공을 통해 자신만의 개성적인 소리를 만들었고, 그 소리는 고정불변의 것이 아니라 매우 유연한 것이었다. 둘째, 이면을 중시하여, 사설, 창, 너름새 등에 두루 이면에 맞는 소리를 추구하였다. 셋째, 아니리를 매우 중시하고, 이를 통해 익살과 풍자로 인정세태를 비판함으로써 웃음을 선사하고 마음의 상처를 위로하고 보듬었다. 다음으로, 박동진 소리판의 연행 문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박동진의 소리판에는 현장성과 즉흥성이 넘친다. 그래서 그 소리판은 청중과 함께 만들어가는 놀이판의 성격이 강하다. 둘째, 박동진은 청중들을 울리고 웃기며, 신명나게 하고 즐겁게 해준다. 셋째, 박동진의 욕과 재담은 현장성과 즉흥성이 뛰어난 것으로, 청중들에게 판소리의 맛을 알려주기 위한 의도적인 전략이었다.

      • KCI등재

        2000년대 신판소리의 변모 양상 -바닥소리의 창작활동을 중심으로-

        박정아(Park, Jeong-Ah) 동남어문학회 2017 동남어문논집 Vol.1 No.44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transfiguration aspects of Shin-Pansori through the creative activities of “Badak-sori , a Sori group in the 2000s. First of all, we examined the flow of cultural history on Shin-Pansori from the 1900s to the present time, discussing the performance aspects of Shin-Pansori which are changing rapidly in the 2000s. We understood that the variations of the account, performance style, performance place, and performance subject of Shin-Pansori have been caused by the fundamental changes in the culture and art market; and discussed this, centered on the attribute of ‘theatricalization’. As entering the 2000s, Shin-Pansori has actively accepted the changes in the culture and art market and executed the experimental attempts for the traditional performance style. A number of works theatricalized under the name of pansori drama, pansori musical, etc. were created, and the exception of performing grammar was attempted. Such aspects were established through the creative activities of Badak-sori, a Sori group playing a leading role in the creation of Shin-Pansori in the 2000s. The reinforcement of theatricality is accomplished through the changes in account, stage, subject, etc. While the traditional pansori is a story-telling performance through the auditory sensor, centered on a master singer of Pansori; in Shin-Pansori, the Sori-pan (performance stage) focusing on the master singer is disintegrated and the focus is put on the story of narration composing the pansori,rather than the Sori itself. In case of the early Shin-Pansori, a lot of short-type pansoris with the novel materials were also created by putting its purpose in creating the interesting stories, yet the medium-long type narration equipped with the distinctive characters and four steps in composition - introduction, development, turn, and conclusion - attempted to be created by complementing this in the late 2000s. Even though there is a case that the completely new story is created, it labors at creating the narrations containing the aesthetic sense of pansori by utilizing the existing classical poetry. In order to complete the literary property of pansori, the integrity as a performing art is pursued by introducing the professional manpower, such as dramatists, directors, etc. In addition, the group activities are more prominent than individual ones, and the change is promoted from the small-scale performances where one person performs to the nationwide-scale ones. Through various Sori-groups, the consciousness of co-creation and co-performance is enhanced, and the roles of Sori-group members in creation and performance are distributed. The aspects could be shown in which the performing place is relocated to the indoor venues and stages and the stage settings are actively utilized as the auxiliary means, to complement the attribute of story. The singer’s attire has become more diverse and the role of drummer has also become divided. It is not so difficult to find the case that the multiple singers get on the stage; the drummer also shows the colorful stage music by introducing a variety of instruments, other than janggu only, and the music in a different genre, and the multiple drummers would be arranged depending on the features of music. Whether in the form of one-man play or multiple-men play, as the work in which the story attribute is emphasized has appeared, the pansori encounters the masses as a fusion genre, called ‘Pansori-guk’. It was revealed that this phenomenon has become an indicator determining the direction of traditional performing arts, which could be a means to grasp the present position of traditional performing arts as popular culture. In addition, it was suggested that the thoughtful study should be necessary for the pansori genre in modern society. 이 연구는 신판소리의 변모양상을 2000년대 소리집단인 ‘바닥소리’ 의 창작활동을 통해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1900년대부터 현대까지 신판소리의 문화사적 흐름을 고찰한 후 2000년대에 들어 급변하는 신판소리의 창작과 연행양상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를 문화예술 시장의 근본적인 변화에 의한 것으로 이해하고 연극화라는 속성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1인극 판소리로 창작되던 신판소리는 2000년대 후반에 접어들면서 판소리 극, 판소리뮤지컬이라는 생소한 장르로 대중 앞에 모습을 드러낸다. 사설의 서사구조는 더욱 긴밀해지고 이야기성이 강화된 신판소리는 실내 무대공간과 무대장치를 기반으로 보다 연극화된 형태로 변화를 감행한다. 신판소리의 초기형태였던 단형판소리가 중・장형판소리로 확장되고 연행 양식도 1인극에서 다인극의 형태로 다양화된다. 판소리의 음악도 파격적인 변화를 보이고 창자에게는 소리꾼이면서 동시에 전문 연기자로의 역할이 강조 된다. 개인 창작・연행에서 집단 창작・연행으로 이행하고 연행의 각 요소에 전문인력이 투입되면서 판소리의 연극화는 보다 긴밀하고 체계적인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전통연행 예술의 방향성을 가늠하는 지표이 면서 전통문화와 대중문화의 경계에 선 판소리의 입지에 대한 고민과 그 속에서 나타나는 판소리 장르성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을 역설한다.

      • KCI우수등재

        임진택 창작판소리 〈소리내력〉의 예술적 특징

        이정원(Lee, Jeong-won) 국어국문학회 2017 국어국문학 Vol.0 No.180

        이 논문은 임진택의 창작판소리인 〈소리내력〉의 예술적 특징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소리내력〉은 김지하가 1972년에 발표한 담시 〈비어(蜚語)〉을 바탕으로 창작되었다. 〈소리내력〉이 판소리로 구현된 양상의 특징은 크게 네 가지이다. 첫째, 〈소리내력〉의 사설과 담시 〈비어〉의 원문은 별로 차이가 없다. 둘째, 〈소리내력〉의 장단구성에서 중모리 장단이 거의 쓰이지 않은 것이 특징이다. 이는 이 작품이 시의성 높은 단형 판소리이기 때문으로 보인다. 셋째, 판결문 연창 대목에서 세마치 장단의 소분박을 다채롭게 구사하였다. 넷째, 신체 절단 대목에서 창조를 통하여 다양한 시점을 구사하였다. 이러한 음악적 · 공연적 특징은 작품의 이면을 살리는 데에 기여한다. 〈소리내력〉은 담시 〈비어〉라는 이질적인 예술 장르의 작품을 원작으로 하였기에, 예술 형식의 활성화 면에서 몇 가지 문제가 나타나기도 한다. 가령, 담시에서 언어의 상징성은 판소리에서 크게 약화되었는데, 주인공의 이름 ‘안도’나 ‘두 발로 땅을 딛고 버텨서는 것’ 등이 그 예이다. 또한, 담시에서 자연스러웠던 발화자의 모호성이나 이야기세계의 모호성은 판소리의 예술적 의사소통 과정에서 장애가 되기도 한다. 〈소리내력〉은 전통 판소리와 달리, 담시와 판소리 모두의 의사소통 양식이 개입되어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features of Im Jintaek’s newly Pansory “Sorinaeryuk”. “Sorinaeryuk” is a Pansory version of a narrative poetry “Bieo(蜚語)” which was composed by Kim Jiha in 1972. As a Pansory work, the features of “Sorinaeryuk” are as below. First, on the linguistic expression, there is not a big difference between “Sorinaeryuk” and narrative poetry “Bieo”. Second, on the structure of Jangdan, Jungmori is not found in “Sorinaeryuk”. It is because “Sorinaeryuk” is a timely short Pansory. Third, at the part of reading the ruling, it is found that Semachi Jangdan has short beats. Forth, at the part of body cutting, it is found that a variety of the viewpoint is used through Changjo. These features of music and performance contribute the reality of “Sorinaeryuk”. Because “Sorinaeryuk” originate from narrative poetry “Bieo”, the phenomenon of deactivation of art form is found between these two different genres. For example, the linguistic symbolism in narrative poetry got lessen such as the meaning of the name of main character ‘Ando’ and ‘standing on the ground with feet’. And More, the ambiguity of the utterer or the story world which don’t matter in narrative poetry plays a kind of problem in art communication of Pansory.

      • KCI등재

        영남지역 판소리의 변화 양상과 활성화 전망- 2000년 이후 발표된 작품을 중심으로 -

        김영주 재단법인 대구경북연구원 2022 대구경북연구 Vol.21 No.3

        Even though the stage direction has changed over time, the essence of Pansori, ‘the unique sounds and melodies, composition of narrative, and artistic achievement through Imyeon’, still remains. In this paper, the characteristics of ‘creative, musical and theatric Pansori’ in the Yeongnam region were studied. In the Yeongnam region, Pansori is produced by Jo Ah-ra, Kwon Ga-yeon, Hong Joon-pyo, Koo Da-young, Kim Jin-ah, Kim Soo-kyung, Oh Young-ji, Ko Jeong-sook, and many others. These works are an independent art-form that can be a mixture of ‘process art’ and ‘conceptual art’, being adaptable to the taste of the community. Therefore, they are able to capture and convey the Zeitgeist of the 21th century, whilst also being entertaining and able to generate a buzz. In art, originality is more important than cultural succession. However, the succession of Pansori and the creation of new pieces, should complement each other. 본 논문은 영남지역에서 활동하는 소리꾼들의 창작 양상을 살피고 예술적 의의를 도출하여 향후 발전방향을 전망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소리판의 연출 방법이 이전 것과 달라졌어도 ‘서사적 구성’과 ‘판소리 성음 및 선율’, ‘이면으로 이루는 예술적 성취’를 갖춘 작품은 그 본질이 판소리다. 이 기준에 의거해 영남지역 소리꾼들의 새로운 작품들 가운데 판소리 장르로 귀속될 수 있는, 창작판소리 및 신형판소리(음악판소리, 극판소리) 작품을 선정하고 그 특징을 살폈다. 그 결과 이들은 취향이 유사한 집단을 향유자로 삼아 과정예술과 개념예술로의 발전을 꾀할 수 있다는 점에서 독립예술로서의 특성을 지니고 있음을 도출해 내었다. 그러기 위해서는 사회를 보는 관점을 자극해 다양한 시대정신 및 시대담론을 담아낼 수 있어야 함도 제언하였다. 뿐만 아니라 재미를 통한 밈을 창출할 아이디어를 모색하여 작품 향유의 자장을 넓혀가야 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현대 다양하게 만들어지는 판소리 작품들은 ‘퓨전 국악’ 정도로 이해되고 있고, 전통을 잇는 관점에서는 그리 긍정적인 평가를 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상황에서 본 연구는 예술에 있어서 계승보다는 독창성을 통한 발전적인 인식이 필요함을 피력하였고, 창작판소리와 신형판소리는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평가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본 논문에서 얻은 성과는 근래 새롭게 만들어지는 판소리 작품들의 유형을 분류하고 명명하는 작업으로 확장되어야할 것이다. 발생이래 끊임없이 변화한 판소리의 면모를 일정한 기준으로 분류하고 유형화하여 특징을 찾아 적절한 명칭을 부여하는 것은 연구자가 지속적으로 탐구하고 구명해야할 과제이기도 하다. 끊임이 없는 판소리창작에 적극적인 관심을 가지고 현상을 정리하여 이론적 체계를 마련해가는 것은 앞으로 연구자에게 맡겨진 과제라 여기고 후속 논문으로 연구를 이어가도록 하겠다.

      • KCI등재

        민요 가창자의 전승과 소통

        이창식 한국민요학회 2011 한국민요학 Vol.31 No.-

        The folksinger of folksong will be able to discuss from the various side. Today the site where maintains the tradition of folk song is disappearing from direction of a ceremony. Must understand the transmission method and a being understood aspect of the folksinger because like that. The folk song every the folksinger is different. This paper researched the folksinger people intensively from this writing. Folksinger current quality confronts with a character the area by important folksinger research must be deepened the comparison research with existing literature data. Study of oral folksong will research with field folksong context. We conversed directly the folksinger life of four people with the method which is various. Seok Palrye folksinger was an ability which composes talk of a folk song. Han Taeu folksinger will be able to narrate orally a many kinds folk song. Hwang Okbun folksinger was possibility like the autobio- graphy of oneself of calling a folk song there. Sin Yongnyeo folksinger well folk song and talk. 제천(堤川)지역 구비민요는 지역민들에게 있어 삶의 표현방식의 그릇이다. 구전민요는 삶의 현장마다 부르는 소리가 제각기 독자적인 가치를 지니고 있다. 민요 가창자 전승의 가변성을 유의하면서 제천지역 민요 각편들을 두루 조사하여 일차적으로 각각 각편의 실상을 정리하고 주요 가창자의 이력을 제시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증보판 구비문학 조사에 참여하여 현시점에서 민요의 전승기반에 대해 주목하였다. 2009년 증보 한국구비문학대계 사업의 조사 일환으로 시작한 첫 번째 지역이 충청북도 제천시인데, 구비민요를 집중적으로 살폈다. 충북 제천지역에서 전승되는 민요 사설을 1차적으로 살펴 현시점의 전승실태를 드러낸다. 아울러 민요를 통해 제천지역 가창자들 현재 소통 가능성과, 이와 연관하여 오랜 세월에 걸친 민요 소통양상을 간접적으로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 논문에서는 구비문학으로서 민요의 현지적 조사의 실상과 한계-증보 한국구비문학 사업이 대체로 이러한 문제점을 지님-를 새삼 따져보았다. 제천지역의 민요 가창자를 통해 현재 소리판 위기를 간접적으로 진단하였다. 가창자 중심의 장기간 현지체류에 의한 참여관찰을 통해 민요맥락(folksong context)의 심층적인 기술이 중요하다. 구전민요지의 현재적 특성을 바탕으로 기존 문헌자료와의 비교 연구를 고려하여 지역별 주요 가창자 연구가 심화되어야 한다. 소리판의 변화추이도 지속적으로 주목하고 있다. 여러 제보자 중에서 네 명의 민요 가창자를 다양한 방법으로 면담하였다. 석팔례 가창자는 사설을 구성하되 이야기-민요적 재담과 신파에 가까운 구연-를 엮어 연극하듯 주변 사람과 어울렸다. 이야기를 민요로 구성하는 능력이 있다. 한태우 가창자는 상여소리로 이미 지역에 알려져 있으나 여전히 자신의 기량을 유지하고 있다. 나머지 가창자들과 어울려 어떤 각편도 소화가 가능하였다. 황옥분 가창자는 다양한 각편 사설을 보유하고 있고 어릴 때 고향-강원도 삼척지역 원덕-에서 익힌 각편도 기억하고 있어 자신의 자서전처럼 전달하였다. 신용녀 가창자는 소리꾼과 이야기꾼 양쪽의 소양을 지니고 있다. 친정이 영월지역 주천이라 전형적인 아라리 각편들을 지니고 있었다. 알지도 못했던 가창자들이 한 자리에 모여 금방 소리를 주고받으며 진한 동질감을 가졌다. 상대방 소리 때문에 잊혀진 각편이 생각난다고 하였다. 이해와 소통이 새로운 소리판을 짰다. 전승과 소통의 마지막 불씨 같았다.

      • KCI등재

        극판소리의 특징과 발전 방향

        김영주 판소리학회 2023 판소리연구 Vol.55 No.-

        Even though the stage direction has changed over time, the essence of Pansori, ‘the unique sounds and melodies, composition of narrative, and artistic achievement through Imyeon’, still remains. This study focuses on theatrical pansori. Theatrical pansori includes “Red Cliff” “Wrinkled Girl” “Pansori Hamlet Project” “Over the Crowd-singing of Pansori: Munjeonbonpuri” and “Pansori Movement Research.” “Red Cliff” gave “Jeokbyeokga” a more contemporary direction. “Wrinkled Girl” eloquently expresses the life of “Gong og jin,” who was oppressed by the times. The “Pansori Hamlet Project” reinterprets western classics. “Over the Crowd-singing of Pansori: Munjeonbonpuri” is a pansori chorus, and “Pansori Movement Research” expresses sound through the body. One among the many varieties of pansori, theatrical pansori is an independent and distinct art form that expresses the creator’s artistic philosophy. These works are an independent art-form that can be a mixture of ‘process art’ and ‘conceptual art’, being adaptable to the taste of the community. Therefore, they are able to capture and convey the Zeitgeist of the 21th century. The transformation of pansori into modern art can be attributed to theatrical pansori. 서사적 구성을 갖춘 이야기, 판소리 성음 및 곡조, 이면의 성취를 갖추면판소리로서의 장르적 정체성을 가진다. 이러한 필수 요소를 갖추면서 판소리를창조적으로 이어가려는 시도는 창작판소리로 실현되다가 근래에 음악판소리, 극판소리의 형태로 확장되어 나타나고 있다. 본 논문은 극판소리 작품의 특징과예술성을 밝히고 향후 발전 방향을 전망해 보고자 하였다. <적벽>은 젊은 패기와역동감, 웅장함의 퍼포먼스로 <적벽가>를 재구성하면서 전통의 현대적 변용을실현했다. <주름이 많은 소녀>는 시대에 억압된 불우한 예술가의 처절한 예술성과 현대 예인들의 삶을 연결시켜 깊이 있게 고찰하도록 이끈다. <판소리 프로젝트 햄릿>은 서구 명작을 판소리가 어떻게 주체적으로 수용하고 재변용해 내는지를 명쾌하게 보여주었다. <오버더떼창:문전본풀이>는 ‘판소리는 1인 창’이라는고정된 관념을 판소리 합창으로 전환시킴으로써 새로운 판짜기를 선보였다. <판소리움직임탐구>는 소리와 몸의 관계를 파고들어 그 상호관련성을 고민하고 관객과 함께 풀어내고자 실험하였다. 극판소리는 판소리의 ‘극적 성격 강화’ 를 통해 (재)창작의도를 표출하였으며 이는 판소리 내부적 예술성의 병렬적확산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극판소리는 현재 우리에게 ‘독립예술’의 형태로 판소리의 예술적 기능을 살려내고 있다. 이에 대해 필자는 향후 ‘개념 예술’ 및‘과정 예술’의 형태로 발전시킬 것을 제언하였다. 또 현대의 시대정신을 포착해갈무리함으로써 판소리의 본질을 충실하게 이행해야 함도 주장하였다

      • KCI등재

        일반논문 : 잔혹소리극 <내다리내놔>의 가치 교육적 활용에 대한 고찰

        김정선 ( Jeong Sun Kim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6 공연문화연구 Vol.0 No.32

        창작판소리 집단 판소리공장 바닥소리가 2006년 시연한 잔혹소리극 <내다리내놔>는 전설의 고향 ‘덕대골’을 각색하여 창작판소리로 재탄생시킨 작품이다. 전설의 고향 ‘덕대골’은 KBS에서 방영된 전설의 고향 중에서도 “내다리 내놔”라는 대사를 통해 무서운 작품의 대명사로 꼽힌다. 북과 대금이 연주하고 소리와 그림자극으로 전개되는 잔혹소리극 ‘내다리내놔’를 접하면서 관객의 정서는 잔혹함을 중심으로 형성되게 된다. 잔혹함의 정서는 공포를 기반으로 한다. 어릴 적 접했던 전설의 고향의 섬뜩함을 주된 감정의 기반으로 하면서, 이야기 속에 담겨 있는 효에 대한 가치를 짧은 시간 안에 교육 대상에게 제공한다. 판소리라는 장르를 이용하여 우리의 생활 속에서 이루어지는 정서 및 가치에 대한 교육을 효율적으로 학습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소리와 이야기, 몸짓 등 다양한 자극이 한데 어우러진 판소리는 훌륭한 교육의 수단이 될 수있고, 판소리로 공연되는 작품이 어떠한 내용과 가치를 지녔는가에 따라 효율적이고 다양한 가치 교육과 그로 인한 정서 함양을 이루어낼 수 있다. 생활 속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친근하면서도 다양한 소재를 통해 우리고유의 언어와 풍속에 담긴 가치와 정서, 문화에 대해 각 연령대에 많이 사용하는 어휘나 각 연령대별 선호하는 리듬을 통해 접할 수 있도록 한다면 판소리를 접하는 대상이 호기심과 흥미를 갖고 그것에 대해 지속적인 관심을 가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장르를 교육에 활용한다면 교육적 효과는 클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효과적인 접근성에 기반을 두고 각 연령대에 맞는 어휘를 구사함으로써 그 내용을 쉽게 이해하게 함으로써 교훈적 내용을 원활하게 습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므로, 중요한 교육적 가치를 Pansori of a creative group pansori 2006 demonstration factory floor sound brutal sorigeuk the home of <Give me my leg back> is a legend ‘deokttaegol’ in pansori, a creative for adaptation to remakes Work is. Evil Twin ‘deokttaegol’ called “Give me my leg back” in of Ghost Stories, broadcast on a kbs of lines from breakneck work is considered to be a pronoun. Sound and shadow play and playing drums and payments sentiments of the cruelty I``ve come across in this ‘Give me my leg back’ audience to be deployed to the cruel is formed by the center. Based on emotional horror of cruelty. When I was little, ever heard of Korean Ghost Stories, a bedrock of the main feeling revulsion of value in a short time and is contained in a story of filial piety, while in education, to the target Provided. Done in our lives using genre called ``pansori`` sentiment and efficient learning can move about the value education can know. Sound and stories, many carefree a stimulus such as Pansori is a great gesture can be a means of education. Valued with any information, work is performed in pansori, depending upon efficient and the various, education and made an emotional cultivation resulting from the value. In my life friendly, our own via a variety of materials that can easily access many values and sentiments, and to culture for each age group on languages and customs Each age groups and instructive preferred allowing them access through their rhythm, pansori, access to the target is persistent about it with curiosity and interest. Can have interest. This wealth not belong to the traditional pansori and new together private and to the tune called creative work for the Pansori. Therefore, our language and customs, their poems span a friendly, the pansori and created using the vocabulary for each age group creative content is educational effects if used in education It is expected to be big thing. These effective approach for each age group and based on the vocabulary by the content easily understood lessons by causing only a smoothly acquired Can to provide an opportunity. Therefore, the Pansori of a creative education is important to take advantage of educational value.

      • KCI등재

        녹음기 활용이 판소리 학습에 미친 영향

        김정태 판소리학회 2016 판소리연구 Vol.42 No.-

        This thesis studies how the use of recordings affects learning pansori and suggests how to use recordings effectively. Positive effects of recording use include the ability to learn an exact tune and technique by playing the recording repeatedly. Learners can access various works, and recordings can be a tool for memory. Recordings enable us to gather extensive information about pansori. Because of recorder, we can preview pansori and recognize instruction through record in advance. However, recordings also have negative effects on pansori learning. The convenience of recordings reduces practice time and reduces the depth of musical knowledge. And there are too many songs as variability of individual has been weakened. While the use of recordings has increased, the teacher’s role has decreased. Creativity and uniqueness in technique are disappearing. Even though the use of recordings is universal, they are just a tool. It is important to learn pansori from a live teacher. A serious attitude and concentration on pansori is the best way for students to learn. Recordings can be an effective way to learn pansori, but students can concentrate better on their studies in the presence of a teacher. We need to consider students' age, area, financial situation, and the type of recording to make effective use of recordings. 1960년대의 본격적인 산업화는 판소리의 전통적인 학습방식이 현대적인 학습방식으로의 변화를 초래하였다. 이러한 변화내용은 학교와 학원 등 학습장소의 변화, 바탕소리 등 학습내용의 변화, 공책과 소리책 등 학습교재의 변화, 녹음기 등 학습도구의 변화를 들 수 있다. 녹음기 활용이 판소리 학습에 미친 긍정적인 영향은 정확한 선율과 시김새의 습득이 쉬워졌고, 빠른 기간 동안의 많은 학습량으로 다양한 작품의 섭렵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녹음을 통해 배울 대목의 예습도 가능하게 되었으며, 학습한 내용의 자료구축과 활용도 가능하게 되었다. 녹음기 활용이 판소리 학습에 미친 부정적인 영향은 개인의 즉흥성과 변이성의 약화로 사진소리를 초래하였고, 스승의 역할과 권위의 약화를 가져왔다. 그리고 녹음기의 편리함은 학습내용의 연습 부족을 유발하였고, 자기 소리의 결점이나 학습현장의 인식이 부족하게 되었다. 결국 녹음기 활용은 학습내용의 정확성과 학습량이 강화되었지만, 소리의 즉흥성과 학습의 집중력은 약화되었다. 오늘날 판소리 전승과정에서 녹음기 활용이 보편화되었지만, 판소리 학습과 교육은 도제식 구전심수라는 전통적인 방법은 바뀌지 않았다. 즉, 녹음기라는 학습도구를 활용한 판소리 학습방법에 변화가 온 것일 뿐, 구전심수라는 전통적인 전승형태가 달라지지는 않았다. 결국 녹음기는 교육을 위한 도구일 뿐이며, 교육의 중심을 차지하는 것으로 바뀌어서는 안 된다. 중요한 것은 판소리 학습과정에서 녹음기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되, 공부하는 성실한 마음가짐과 더불어 스승과의 예술적 교류와 소통을 놓쳐서는 안 된다. 효과적인 녹음기 활용을 위한 고려조건은 학습자의 나이, 스승과 제자의 생활권, 학습능력, 활용시기, 경제적인 여건, 녹음기의 기종 등이다.

      • KCI등재후보

        민요 가창자 지속과 마을문화

        이창식(Lee, Chang-sik)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16 民俗硏究 Vol.0 No.32

        마을문화 소리판에서 민요 가창자 연행과 공동체 청중의 호응이 중요한 관계를 이룬다. 조사자와 연구자의 문제의식이 구체적으로 있을 때 과거 소리판과 가창자 혼자 부르기 현재 소리판을 역동적으로 정리할 수 있는데 2015년까지는 고로 가창자의 전형문법이 부분적으로 존재한다. 지정 문화재, 비지정 문화재 공히 적용된다. 마을문화로서 구비민요의 가창자 보호는 필요하다. 전통형 구비민요의 전형은 가창자연속성과 내발적 생동성을 높이는 측면이 분명히 있다. 경기민요 지정 사례와 구비민요 국가지정(문화재청 기준)의 취지에서 보듯 특정 종목 자체의 가치와 복수성(한 종목 여럿)으로도 지정 확대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새로운 대책으로 문화재 제도 보강이 필요하다. 마을문화 전승 지속 차원에서 민요 가창자 공동체의 인위적 구연 기반 조성을 장려해야 한다. 최근 마을문화 활성화 사업이 많다. 구비민요 영역이 어렵지만 공연과 놀이와 연계된 활동은 호응이 바림직하다. 문화자원의 활용론에서 가창자 보존은 중요하다. 긴급종목을 포함하여 가창자 보유 중요항목을 고려한 지방정부, 연구소, 연구자 등의 노력이 집중되어야 한다. 아울러 마을문화 지속 차원에서 민요 가창자에 대한 일본 아마미제도의 시마우타처럼 민요가수제 도입이 필요하다. 가창자를 통해 구비민요유산의 마을자산 또는 활용자원으로 활성화할 수 있다. 설화와 달리 민요 전승은 어려움 크기에 창곡의 특수성으로 민요의 지속화와 차세대 육성에 대한 전승의 다양한 전략이 요구된다. Village took a person who takes part in singing and cooperation from the audience is important relationships in the sound board, past and when investigators a matter of conscious by 2015 can organize a dynamic, the sound board now to sing A person who takes part in singing alone A person who takes part in singing classic example of the Typical grammar partly. The quintessence of folk song a person who takes part in singing in a row of the refining side of a spontaneous burst of vitality and ability. As shown in the tenor of certain specified cases and a folk song Arirang, Gyeonggi-do, Korea country event of revenge against its own values and (several in a stock) Also designated as possible to extend. In order to continue on with the village culture, it is very important that we keep proper environment for Folklore singers. It is definitely true that there are many industries related to village culture and it comes out to be successful in terms of performance. However, a theme which involves Folk song needs to be developed more and deeply in order to attract more visitors. When we talk about the resources regarding the culture, Folklore singers are considered as top priority. In order to keep them as top priority as their resources, the effort of Local governments and Research Institutes are needed at all circumstances. This paper suggests adopting a system for traditional narrators and Folksong-singers. folksong-singer system reflects creating commercial values like Shimauta in Amami Island, Japan. Preliminary approval system and license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in relation to judging activities by examiners, researchers and experts on narration capability. Intangible Cultural Asset Protection Act and application and role of National Intangible Heritage will be in effect in 2016. It can grow through appointing intangible cultural assets. If the singers are of generations, it can be an advantage to vitalize transmis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