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이 바라본 세월호 보도 참사 : 목포MBC 기자들의 세월호 참사 뉴스 생산의 경험과 회고를 중심으로

        이오현,김철원 한국지역언론학회 2024 언론과학연구 Vol.24 No.3

        이 연구는 세월호 참사 관련 뉴스의 생산과정에 대한 심층적인 기록과 이를 통한 세월호 보도 참사 발생의 배경과 과정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자 뉴스 생산에 참여했던 기자들의 경험과 회고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특히 기존 연구들이 간과했던 지역의 시각에서 연구를 수행하여 세월호 보도 참사에 대한 이해를 다각화하고 확장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세월호 참사 현장에 가장 먼저 도착하여 취재보도를 하였고 이후 10여 년간 세월호 참사 관련 뉴스를 적극적이고 지속적으로 생산한, 그렇기에 세월호 보도 참사의 중요한 참여자이자 목격자라고 할 수 있는 목포MBC 기자들을 연구참여자로 심층인터뷰하였다. 연구 결과, 목포MBC는 세월호 참사 당일 오전에 이미 언론사들의 전원구조 보도가 잘못된 것임을 확인하여 이를 여러 차례 서울MBC로 전달하였으나 서울MBC는 이를 묵살하였다. 서울MBC는 이후에도 목포MBC가 현장에서 취재하여 올린 단독보도 대부분을 보도하지 않았으며, 이 외에도 세월호 참사 취재보도에 있어서 무관심과 무의지로 일관하고 저널리즘의 차원에서 여러 가지 비정상적인 행태를 보였다. 이는 세월호 참사와 관련하여 서울MBC가 여러 오보들을 생산한 주요 원인이 되었고 그 배경에는 서울MBC 수뇌부 및 보도책임자들과 당시 정치권력과의 밀착 이외에도 서울MBC 구성원들의 목포MBC와 그 구성원들에 대한 불신과 무시가 핵심적으로 자리 잡고 있었다. 서울MBC의 지역MBC에 대한 불신과 무시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뉴스 생산과정에서 행해지는 불평등과 차별은 오래전부터 지속되어온 것이었지만, 목포MBC 구성원들은 세월호 참사 보도에 있어서는 예전과 같이 무력감이나 체념 속에만 빠져 있지 않고 목포MBC 채널을 통해 서울MBC와는 다른 시각으로 독자적 보도를 하였고 세월호 피해자 가족들과 인터넷 시청자들로부터 인정과 지지를 받으며 서울MBC와는 다른 방송사로서 정체성을 획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세월호 보도 참사 이후 우리 사회에서 무차별적으로 성행하는 ‘기레기 담론’이 지닌 한계와 위험성에 대한 성찰을 요구한다. 또한 지역에서 일어난 재난 보도에 있어서 ‘지역’이라는 변수, 특히 지역언론과 중앙언론 사이의 불평등한 관계와 차별이 큰 장애로 작동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아울러 지역에서 일어난 재난 보도에 있어서 지역언론의 중요성 그리고 지역언론과 중앙언론의 상호협조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This study sought to explore the experiences and recollections of journalis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duction of news related to the Sewol ferry disaster in order to provide an in-depth record of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news and to expand our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and process of the Sewol ferry disaster. In particular, we wanted to diversify and expand our understanding of the Sewol ferry disaster by conducting research from a local perspective that has been overlooked by previous studies. To this end,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Mokpo MBC reporters who were the first to arrive at the scene of the Sewol ferry disaster, and who actively and continuously produced news related to the Sewol ferry disaster for over a decade, and therefore can be considered important participants and witnesses of terrible false reports of the Sewol ferry disaster. The research revealed that Mokpo MBC had already confirmed that the media organizations’ reports of the power structure were incorrect on the morning of the Sewol ferry disaster, and had communicated this to Seoul MBC several times, but Seoul MBC ignored them. Seoul MBC did not report most of the independent reports that Mokpo MBC reported on the scene afterwards, and in addition, Seoul MBC showed indifference and unwillingness in its coverage of the Sewol ferry disaster, and exhibited various abnormal behaviors in terms of journalism. This was a major reason for Seoul MBC’s production of multiple misinformation regarding the Sewol ferry tragedy, and the key factor behind this was not only the close proximity of Seoul MBC’s top management and reporters to the political power at the time, but also the distrust and disregard of Mokpo MBC and its members by Seoul MBC members. While Seoul MBC’s distrust and disregard for local MBCs, and the inequality and discrimination practiced in the news production process based on this distrust and disregard, have been long-standing, Mokpo MBC members did not remain helpless or resigned to the Sewol ferry disaster, but instead reported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than Seoul MBC through the Mokpo MBC channel, and gained recognition and support from the families of the Sewol victims and online viewers, acquiring an identity as a different broadcaster from Seoul MBC. The results of this study call for reflection on the limitations and dangers of the ‘giregi discourse’ that has been indiscriminately practiced in Korean society since the Sewol ferry disaster. It also suggests that the variable of ‘region’, especially the unequal relationship and discrimination between local and national media, can act as a major obstacle in the coverage of local disasters. It also raises the importance of local media and the need to establish a system of mutual cooperation between local and national media in reporting on disasters in the region.

      • KCI등재

        세월호 참사의 정치사회학

        지주형(Joo-Hyoung Ji) 비판사회학회 2014 경제와 사회 Vol.- No.104

        이 글은 세월호 참사 피해자 가족과 그들을 지지하는 시민 행동의 정치화를 통해 우리 사회의 신자유주의화와 그 한계를 살펴본다. 1993년에 발생한 서해훼리호 참사와 2014년에 발생한 세월호 참사는 유사한 측면이 많지만 서해훼리호 참사와 달리 세월호 참사는 예외적으로 정치화되었다. 이는 많은 부분 세월호 참사와 서해훼리호 참사의 사고 처리 및 수습 과정에서의 차이 때문이었다. 세월호 참사는 서해훼리호와 달리 희생자의 낮은 연령, 선장과 선원의 무책임한 도주, 무능한 실종자 수색 작업, 국가의 정치적 책임 회피, 피해자 가족들과 사회와의 소통곤란 등을 특징으로 했다. 이러한 차이는 많은 부분 우연한 차이가 아니라, 1993년과 2014년 사이에 일어난 한국사회의 구조적 변화, 즉 신자유주의화에 기인한다. 세월호 참사는 산업화, 민주화, 선진화된 대한민국의 환상을 깨고, 이윤을 위해 개개인의 생명을 방치하는 신자유주의의 참혹한 현실을 드러냈다. 세월호 희생자 가족과 시민사회가 예외적으로 정치화되고 반신자유주의 투쟁에 나서게 된 것은 이러한 충격적인 현실에 대한 인식을 통해서였다. 이와 같은 세월호 참사의 정치화는 자본주의의 모순에 대한 신자유주의적 관리의 한계를 드러낸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politicization of the Sewolho victims’ families and their civil supporters, thereby reviewing the structural neoliberalization of Korean society and its limits. The West Sea Ferry disaster in 1993 and the Sewolho disaster in 2014 exhibits a number of similarities, but unlike the former, the latter has been exceptionally politicized. This is largely due to the differences between the West Sea Ferry and Sewolho disasters in terms of their management. Unlike the West Sea Ferry case, the Sewolho disaster is characterized by the victims’ younger age, the captain and crew’s irresponsible flight, the incompetent search operation for missing people, the evasion of responsibility by the state, and the communicative isolation of the victims’ families. Many of these differences are not contingent ones and reflect the structural change of Korean society between 1993 and 2014, that is, neoliberalization. The Sewolho disaster broke down the fantasy of advanced, industrialized and democratized Korea and exposed the brute reality of neoliberal capitalist state that lets individuals die for the sake of profits. It is through the recognition of such a shocking reality that the Sewolho victims’ families and civil society have become exceptionally politicized and entered into anti-neoliberal struggle. In this way, the politicization of the Sewolho disaster reveals the limits to the neoliberal management of capitalist contradiction.

      • KCI등재

        세월호참사 관련 국가배상의 법적 함의와 쟁점 - 헌법재판소 2017. 6. 29. 선고 2015헌마654 결정에 대한 평석 -

        최효재 ( Choi Hyo-jae )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2017 고려법학 Vol.0 No.87

        헌법재판소는 2017. 6. 29. 선고 2015헌마654 결정에서 4·16세월호참사 피해구제 및 지원 등을 위한 특별법(이하 ‘세월호피해지원법’이라 한다) 시행령 제15조 중 별지 제15호 서식 가운데 ‘4·16세월호참사에 관하여 어떠한 방법으로도 일체의 이의를 제기하지 않을 것임을 서약합니다.’라는 부분은 헌법에 위반된다고 선언하고, 세월호피해지원법 제16조에 대한 심판청구는 기각하고, 청구인들의 나머지 심판청구는 모두 각하하였다. 대상결정은 세월호피해지원법에 대한 최초의 헌법소원심판 결정으로서, 세월호피해지원법의 주요 내용 중 대부분이 심판대상이 되었다. 이 결정의 의의는 헌법재판소가 세월호참사 관련 국가배상의 각 쟁점이 가지는 헌법적 의미를 밝혔다는 데 있다. 이에 본고는 세월호피해지원법을 세월호참사 관련 국가배상의 법률관계를 구체화하는 실체법으로 해석하고, 이 해석에 기초하여 세월호참사 관련 국가배상의 법적 함의를 밝히면서 이 사건 결정을 평가해 보고자 한다. 국가는 여객선 운영사 및 해양경찰에 대한 관리·감독의무를 고의 또는 과실로 해태하였으므로 세월호참사 피해자에게 자신의 불법행위에 기한 손해배상책임을 직접 부담한다. 국가가 당해 손해배상책임의 구체적인 사항을 법률에 직접 규정할 의무는 없다. 그러나 국가가 당해 손해배상책임에 관하여 세월호참사 피해자의 제3자에 대한 손해배상청구권을 대위하는 것은 국가의 책임을 회피하는 것으로서 허용될 수 없다. 국가가 손해배상금을 지급했다는 이유로 세월호참사 피해자가 참사의 원인규명과 책임자처벌 등에 대한 문제제기를 할 수 없게 막는 것도 허용될 수 없다. 세월호참사 관련 국가배상의 이러한 법적 함의에 비추어 볼 때, 헌법재판소가 세월호참사 피해자들의 기본권을 가장 광범위하게 제한하여 가장 큰 위헌성을 가지는 세월호피해지원법 시행령 제15조 중 별지 제15호 서식 가운데 일체의 이의제기를 금지한 부분을 위헌이라고 선언한 것은 타당하며 바람직하다. 그러나 헌법재판소가 대상결정에서 위헌성이 있는 세월호피해지원법의 다른 조항들에 대한 청구인들의 청구를 기각하거나 각하한 것은 위헌선언의 범위를 최소화함으로써 국가가 사인을 통제하는 국가주의적 입법·행정을 용인하는 듯한 인상을 준다. On June 29, 2017,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made decisions on whether several provisions of Sewol Ferry Disaster Relief and Support Act (SFDRSA) are unconstitutional. Court declared that: Appeal Prohibition Clause, included in the Enforcement Ordinance for SFDRSA, art. 15, Form 15, is unconstitutional; the claim against Subrogation of State as Compensator Clause, SFDRSA art. 16, is rejected (i.e., the clause is constitutional); and the other claims are dismissed due to their procedural flaws. Filing the very first constitutional claim against the aforementioned clauses of SFDRSA and the Enforcement Ordinance for SFDRSA, Sewol Ferry Disaster victims initiated Court’s decisions on the clauses. In their decisions, Court clarified the constitutional meaning of main elements of State Compensation for Sewol Ferry Disaster. Concerning such meaning, this paper regards SFDRSA as a substantive law addressing State liability of compensation for Sewol ferry disaster, and analyzes aforementioned decisions accordingly. At the time Sewol ferry had sunk, State failed to meet her obligation to sanction life-threatening breach of safety regulations of the passenger ship carrier and to order Maritime Police to rescue as many passengers as possible. State is allowed to discharge subsequent duties through executive orders instead of statutes. Nonetheless, since the liability of compensation to Sewol ferry victims is directly imposed to State, she cannot subrogate the victims’ rights to get compensation from the responsible third party, if such third party exists. Also, State deserves no right to block the victims’ voices urging proper investigation of the disaster and criminal accusation against blamable entities. Therefore, Court’s decision to nullify Appeal Prohibition Clause, which infringes Sewol ferry victims’ rights the most, as an unconstitutional statute is righteous and welcomed. In contrast, the other decisions, which upheld unconstitutional statutes as constitutional and even dismissed some claims, are regrettable, because they virtually justify State-oriented nationalistic legislation and administration.

      • KCI등재후보

        사회적 참사를 그리스도교적으로 기억하는 방식―공간, 애가, 성찬

        박용훈 ( Yonghoon Park )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23 神學과 宣敎 Vol.67 No.-

        사회적 참사 중 2014년 4월에 발생한 세월호 참사는 한국교회사에서 그 이전과 그 이후를 나누는 결정적 사건이다. 어떤 이들은 이 참사를 1980년 5월 18일 광주민주화운동과 더불어 시대적 사건으로 이야기 한다. 그리고 이 참사는 그것으로 끝나지 않고, 스텔라데이지호 참사, 이태원 참사 등으로 이어졌으며, ‘세월호 세대’ 그리스도인은 세월호 참사 이후 계속된 참사에 연대하고 진상 규명을 외치며 애도에 앞장섰기에 구별점이 있다. 본 연구자는 신학이 ‘세월호 참사 이전의 신학’과 ‘세월호 참사 이후의 신학’으로 나뉜다고 생각한다. 세월호 참사 이전에도 삼풍 백화점 붕괴 참사, 성수대교 붕괴 참사,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 등 많은 사회적 참사가 있었지만, 세월호 참사를 시작으로 신학자들이 참사를 신학화 했기 때문이다. 그 방식은 홀로코스트(Holocaust)와 911테러를 기억하고 해석하며 사회적으로 애도하는 서구와 미국의 것과 결이 같다. 한국 교회사는 물론 한국 근현대사의 거대한 사건이었던 세월호 참사가 다시는 재발하지 않도록 사람들에게 회자되어야 하고, 교회는 그 아픔과 고난을 신학적으로 해석해야 한다. 그리스도교 전통에서 성찬은 기억의 예전이다. 유대인 조상들의 고난과 출애굽을 회상하고, 현재화 하는 유월절과 관계를 지니는 그리스도교의 성찬을 통해 그리스도인은 공간에 모여서, 빵과 포도주를 먹고 마시면서 예수 그리스도의 고난을 회상하고, 그를 찬양하고 감사하며, 그의 고난에 동참하고, 재림의 그날 종말론적으로 완성될 천국 잔치를 미리 맛본다. 따라서 본 논문은 세월호 참사를 기억하는 그리스도교적 방식으로서 공간, 애가, 성찬 세가지 신학적 주제를 통해 고찰할 것이고, 그 유산을 살피는데 일차적인 목적이 있으며, 이를 토대로 새로운 신학의 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신학적 주제를 중심으로 세월호 참사를 지나며 교회 역시 다짐한 “잊지 않겠습니다.”라는 것을 어떻게 신학적으로 이해해야 할지 제시하고자 한다. 성찬이 아남네시스를 중심으로 과거 지향적이듯, 성찬을 통해 예수 그리스도를 기억하고 그 성찬이 세월호 참사에 통감하며 그들과 연대하는 자리에서 행해지고, 삶 속에서 그것이 지속 될 때 우리는 “잊지 않겠습니다.”라는 다짐과 결단에 담긴 하나님 나라의 향기가 나는 사회로의 변혁에 대한 소망이 잊혀지지 않을 것이다. The Sewol ferry disaster, which occurred in April 2014, is one of the defining events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church. Some speak of this tragedy as an event of the times, along with the May 18, 1980, Gwangju Movement. And this tragedy did not end there, but led to the Stellar Daisy disaster, the Itaewon disaster, etc., and there is a distinction because the Christians of the “Sewol generation” took the lead in mourning in solidarity with the tragedy that continued after the Sewol ferry disaster, calling for the truth to be clarified, and so on. This researcher believes that theology is divided into “theology before the Sewol ferry disaster” and “theology after the Sewol ferry disaster.” Even before the Sewol ferry disaster, there were many social disasters, such as the Sampoong department store collapse disaster, the Seongsu Bridge collapse disaster, and the Daegu subway fire disaster, but starting with the Sewol ferry disaster, theologians theologized the disaster. The approach is like that of the West and the United States, which remember, interpret, and mourn the Holocaust and the 911 attacks. The Sewol ferry disaster, which was a huge event in the modern history of Korea as well as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church, must be recalled to the people so that a social tragedy does not happen again, and the church must interpret its pain and suffering theologically. In the Christian tradition, the sacrament is a liturgy of remembrance. Through the Christian sacrament, which recalls the suffering of the Jewish ancestors and the Exodus from Egypt and relates to the present-day Passover, Christians gather in space, eat and drink bread and wine, recall the sufferings of Jesus Christ, praise and give thanks to him, partake of his sufferings, and taste the table of the eschatological consummation of the kingdom of God. Therefore, this paper will examine the three theological themes of space, lamentation, and the sacrament as a way of remembering the Sewol ferry disaster, with the primary purpose of examining its legacy, and exploring the possibilities of a new theology based on this. Lastly, focusing on these theological themes, the Church also vowed to “not forget” after the Sewol ferry disaster. I would like to suggest how to understand this theologically. Just as the sacrament is centered on Anamnesis and oriented to the past, when the sacrament is celebrated in remembrance of Jesus Christ through the sacrament, when it is celebrated in solidarity with them in the wake of the Sewol ferry disaster, and when it is sustained in our lives, we will never forget the hope for the transformation into a society that smells of the kingdom of God contained in our resolve and determination, “We will not forget.” Subjects: Sacrament, Sewol, Tragedy, Anamnesis, Remembrance, Christianity.

      • KCI등재

        논문 : 피해자를 위한 나라는 없다 -국가범죄 피해자학적 관점에서 본 세월호참사 대응과제-

        김한균 ( Han Kyun Kim ) 민주주의법학연구회 2015 민주법학 Vol.0 No.58

        세월호참사와 그 피해는 국가책임의 관점에서 분석할 범죄피해자학의 연구과제다. 세월호참사에서 피해 및 피해자의 구조적 특성을 살펴보면, 순수 피해자라는 통념의 폭력과 국가기관에 의한 2차 피해뿐만 아니라 피해 재경험이 구조적으로 반복된다. 세월호참사에 대한 국가책임 역시 구조책무 방기와 진압적 통제의 책임, 피해 사태의 왜곡 은폐와 피해자 권리침해의 책임, 국가책임 있는 행위의 피해자에 대한 보호 책임으로 분석해 볼 수 있다. 따라서 세월호참사 피해자의 보호를 위해서는 국가에 대한 피해자로서의 권리가 보장되어야 하며, 피해자 지향 및 참여형 안전정책의 실현이 요청된다. 또한 세월호참사 피해에 대한 국가책임을 분명히 묻기 위해서는 진상조사기구의 법적 기반이 실질적으로 확보되어야 하며, 진실화해 위원회 형태의 국가책임 규명제도가 고려되어야 한다. 국가책임의 관점에서 세월호참사 피해해결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국가범죄 피해자학(victimology of state crime)의 접근방식이 필요하며, 나아가 포스트 4/16 형사정책을 전망해 보아야 한다. 즉 4/16 이후 형사정책, 안전정책과 피해자정책은 세월호참사 이전과는 본질적으로 다른 안전의 평등과 국민안전에 대한 국가책임의 관철 이라는 과제를 짊어져야 한다. The Sewol Ferry disaster of 16th of April, 2014 in southern region of South Korea should be studied in terms of victimology of state crime as it is the matter of state crime and its victims. Victimization by the disaster has three structural characteristics: violence from the conventional idea of real victims; second victimization by state agencies; and repeated experiences of victimization. State responsibilities of the disaster have three dimensions: disregard of rescue and repressive control; concealment of the truth of the disaster; and protection of victims by state crime. Criminal justice and human security policy on the 4/16 disaster, should be based upon the perspective of the victimology of state crime. From the view of state crime victimology, victims tend to be among the least socially powerful actors. Victimizers generally fail to recognize and understand the nature, extent, and harmfulness of institutional policies. Victims of state crime are often blamed for their suffering. Victims of state crime must generally rely on the victimizer, an associated institution, or civil social movements for redress. Victims of state crime are easy targets for repeated victimization. Illegal state policies and practices, while committed by individuals and groups of individuals, are manifestations of the attempt to achieve organizational, bureaucratic, or institutional goals. Post-4/16 criminology and criminal justice policy in Korean society should take the tasks of securing equality in security and safety, and accomplishing state responsibilities on human security through criminal laws.

      • KCI등재

        재난 후 친족 간의 관계 양상과 친밀감에 관한 연구 : 세월호 참사 유가족의 경우

        이현정(Lee, Hyeon Jung) 한국가족학회 2019 가족과 문화 Vol.31 No.4

        지금까지 한국 사회에서 도시화와 친족 관계에 관한 연구가 상당히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도시화 이후에 전개되는 친족 관계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드물었다. 또한, 재난 상황에서 친족이 어떠한 역할과 관계 맺음을 수행하는가에 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하였다. 2014년 4월 16일 세월호 참사로 안산 단원고에 재학하고 있는 학생 250명을 포함한 304명이 희생되었다. 안산은 세월호 참사 피해자의 대부분이 거주하고 있을 뿐 아니라 지속적으로 외부인이 유입되는 도시라는 점에서, 재난 후 도시에서 나타나는 친족 간의 관계 양상과 친밀감을 다루는 데 의의가 있다고 판단되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이 논문은 세월호 참사 유가족의 친족관계의 양상과 참사 이후의 변화가 어떠한가를 살피기 위해 4.16기억저장소에서 발간한 4.16 구술증언록 『그날을 말하다』 48권을 자료로 분석하였다. 이 논문에서 사용된 48권의 구술증언록은 세월호 참사 피해자 유가족의 직접적인 경험을 육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주된 자료로서 적합하였으며, 좀 더 풍부한 이해를 위해 필자가 그간 안산에서 수행해온 현장연구의 결과를 필요에 따라 참조하였다. 구술증언록 자료는 친족 관계와 관련된 주요한 다섯 가지 항목에 따라 코딩된 후, 맥락을 고려하여 해석적 관점에서 분석되었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세월호 참사 유가족의 친족 관계의 양상은 대체로 명절이나 의례와 관련해서는 친가친이 처가친보다 더 의무감을 가지고 참여하고 있으나, 일상적인 교류나 친밀감에서는 처가친이 더 활발한 모습을 띠었다. 이는 참사 이후에도 비슷한 양상으로 전개되었는데, 예컨대 진도체육관을 방문하는 것과 같은 대소사 참석에는 친가친이 더 넓은 범위로 참여한 반면, 장기간 체육관에 머물며 유가족 부모를 돕거나 안산에 남아있는 아이를 돌봐주는 것과 같은 일상적 돌봄의 행위는 처가친(특히, 아내의 오빠나 남동생)에 의해서 주로 이루어졌다. 또한, 도시 간 이주의 상황에서는 친가뿐 아니라 처가의 친족 자원(특히, 아내의 언니)이 적극적으로 활용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둘째, 세월호 참사 이후 약 1년이 지나면서, 유가족의 친족 관계는 급속하게 긴장 관계를 생성하거나 심지어 단절되는 경향이 발견되는데, 이는 유가족의 태도나 상황 때문이라기보다도 한국 사회의 정치적 환경에 의해 영향받은 것으로 분석된다. 유가족이 친족과 멀어지게 된 계기는 크게 세 가지 요인-명절이나 행사에서 느껴지는 아이의 부재, 진상규명 투쟁에 대한 친족들의 반대, 그리고 배·보상안 공표 이후 주변의 시기와 낙인-이 관여하고 있었다. 이를 통해 세월호 참사 이후 대응 과정에서 국가의 무책임하고 미숙한 태도가 참사 피해자에게 불필요한 정치적 투쟁에 참여하도록 하였으며, 결과적으로 시간이 흐름에 따라 친족 관계가 소원해지도록 하는 데 영향을 끼쳤다고 결론지을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kinship and its changes after the Sewol ferry disaster among the bereaved families through field research and oral data analysis. Based on the accumulated understanding of the contexts through long-term field research in Ansan city, the researcher coded and analyzed a total of 48 volumes of the 4.16 Oral Testimonies, Tell the Day, published by the 4.16 Memory Archiv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relation to the holidays and rituals, paternal relatives are more obliged to participate than maternal relatives, who are more active in everyday exchanges and intimacy. This pattern of kin relations appears in a similar way after the disaster, for example, attending a major event such as visiting a Jindo gymnasium, where the paternal relatives visited in a wider range, while maternal relatives performed daily activities, such as staying in the gym for long periods of time to help the surviving parents or caring for the children remaining in Ansan. The act of caring was mainly carried out by maternal relatives (especially, the wife s younger brother). In addition, in the situation of inter-city migration, it was found that resources of maternal relatives (particularly the wife s sister) were actively used. Secondly, about a year after the Sewol ferry disaster, the relatives of the bereaved families were found to be rapidly in tension or even disconnected, not just because of the attitudes or circumstances of the bereaved families. There were three major factors that led to the separation of the bereaved from relatives: the feeling of absence of their child at holidays or family events, relatives opposition to the families’ struggle against the state for finding facts, and the social condemnation and stigma after the publication of the compensation plan by the Ministry of Maritime and Fisheries. As such, the country s irresponsible and immature attitude in the response after the Sewol ferry disaster led the victims to participate in unnecessary political struggles, which in turn influenced their kin relations over time. The results of this paper suggest two implications. First of all, in the event of a disaster, relatives still play a significant role as the most important support group for victims. Second, post-disaster government responses can have a profound effect on the victim s future life and social relations by affecting kinship.

      • KCI등재

        사회적 참사를 기억하고 애도하는 방식 고찰 -영화 〈악질경찰〉과〈생일〉을 중심으로-

        김윤희(Kim, Yoon-Hee) 우리문학회 2021 우리文學硏究 Vol.- No.72

        세월호 참사가 발생한 지 7년여의 세월이 흘렀지만, 현재까지 제대로 된 진상규명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어떠한 사건이 온전한 기억이 되기 위해서는 그와 같은 사건이 일어나게 된 원인으로부터 시작하여 사후 처리에 이르기까지 논리적 체계를 갖춘 하나의 서사로 구성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놓고 볼 때 세월호 참사는 여전히 현재진행형이자 아직까지는 온전한 기억이 될 수 없는 사건이다. 세월호 참사의 진상규명이 지연되는 사이 사건은 정치 쟁점화되어 기억 투쟁이 일어남으로써 진상규명을 더욱더 어렵게 했다. 그러다 보니 지금까지 세월호 참사의 문화 기억화는 주로 당시 상황을 재현하여 진실에 다가가려고 하는 운동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상황에서 2019년 세월호 참사 5주기를 앞두고 이를 소재로 한 두 편의 상업 극영화 <악질경찰>과 <생일>이 비슷한 시기에 제작되면서 관심을 받았다. 이들 영화는 너무 이른 것이 아니냐고 하는 우려의 목소리 속에 2주의 격차를 두고 개봉하였는데 이에 대한 대중의 반응이 극명하게 엇갈려 주목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대중의 반응에 주목하여 경험 기억의 문화 기억화를 바탕으로 세월호 참사와 같은 사회적 참사가 서사 매체를 통해 문화적으로 재현될 때에는 어떠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고찰해 보았다. 그 결과 <악질경찰>이 치기 어린 남성 주인공의 낭만적 영웅화에 주력하는 범죄 액션 영화의 장르 관습을, <생일>이 개인의 서사를 공동의 서사로 통합함으로써 공동체의 서사를 지향해나가는 가족 멜로드라마의 장르관습을 따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더불어 이러한 장르적 관습에 따라 <악질경찰>은 주인공을 돋보이게 하기 위해 ‘악질경찰’과 세월호 참사 희생자들을 겹쳐 보이게 만듦으로써 그들을 기리고 애도하기보다는 오염시켰다는 혐의를 받을 수밖에 없었다. 이에 반해 <생일>은 여전히 세월호 참사가 일어난 그 시간 안에 머물고 있는 유가족들의 참사 이후의 삶을 멜로드라마의 관습에 따라 핍진하게 그려냄으로써 사회적 애도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마음껏 울 수 있는 애도의 장을 마련하여 세월호 참사로 인한 우리 모두의 트라우마를 위무하였다. It has been seven years since the Sewol Ferry disaster, but a proper investigation has not been carried out until now. To ensure an event becomes a complete memory, one should be able to composed it as a narrative with a logical system, from the cause of the event to its post-processing. From this perspective, the Sewol Ferry disaster is still an ongoing incident that cannot be fully remembered yet. As investigation into the truth about the Sewol Ferry disaster was delayed, the incident became a political issue and a memory struggle took place, making it even more difficult to determine the truth. In the meantime, cultural memorization of this disaster appeared as a movement to approach the truth by reproducing the situation at that time. Herein, ahead of the fifth anniversary of the Sewol Ferry disaster in 2019, two commercial feature films based on the disaster, Jo Pil-ho: The Dawning Rage and Birthday, were produced around the same time and attracted attention. However, there were voices of concern that it was too early to depict the disaster in film, and yet the two films were released about a month apart. The public’s reaction to these two films was remarkably different. In this study, we focus on such public reaction and examine how a social disaster such as the Sewol Ferry disaster should be reproduced culturally through a narrative medium based on the cultural memorization of experiential memories. The analysis shows that Jo Pil-ho: The Dawning Rage follows the genre conventions of crime action films while focusing on the romantic heroization of an immature hero. Birthday, however, follows the genre conventions of a family melodrama and aims toward a community narrative-integrating an individual narrative into a common narrative; however, the genre conventions in this film are relatively weak. Because of these genre conventions, Jo Pil-ho: The Dawning Rage was accused of polluting rather than honoring and mourning the victims because it seemingly overlaps the “bad cop” and victims of the disaster, as the title suggests, to ensure the main character stands out. In Birthday, the desperate life of a bereaved family during the time of the Sewol Ferry disaster and after was described according to the conventions of melodrama. In doing so, it was possible to relieve the trauma caused by this disaster by providing a place for social mourning where people could cry freely.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세월호 참사 이후 지역 커뮤니티에 형성된 치유의 공간에 대한 지리적 고찰

        박수경(Sookyung Park) 대한지리학회 2017 대한지리학회지 Vol.52 No.1

        본 연구는 세월호 참사 이후 안산시의 고잔동과 와동을 중심으로 나타난 대안적 치유의 공간의 지리적 특징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세월호 참사의 내면을 들여다보면 치유 대상의 스펙트럼이 넓게 퍼져있어 개별 치유의 공간이 지향하고 있는 치유의 목표는 그 주체에 따라 다소 상이하다. 현재 세월호 참사 관련치유의 공간은 약 7개 내외로 추산되며, 민간에서 주도하는 형태가 주류를 이룬다. 또한 이러한 공간은 가장 많 은 희생자가 나온 단원고등학교 주변이되 시선에서 약간 빗겨간 곳에 위치해 있고, 특별한 활동을 하기보다는 깨어진 일상을 다시 원래의 자리로 회복시키기 위한 단순하며, 반복적인 일, 예를 들어, 식사, 뜨개질, 학습 등을 주요 치유의 활동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세월호 참사 관련 치유의 공간의 주요한 특징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치유의 대상이 개별 치유의 공간을 장소로 점점 받아들이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세월호 참사 관련 치유의 공간은 제3자에 의해 처음 제안된 경우가 대부분이었지만, 이제는 치유의 주체들이 스스로 끌어가거나, 기억하며, 심지어 앞으로의 방향까지 설계하고 있어 마치 그들만의 전유물처럼 인식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둘째, 앞서 언급한 것처럼 세월호 참사는 직접적인 피해자뿐만 아니라 희생자의 부모, 형제, 친척, 친구, 지역주민 등까지 넓은 범위의 집단에게 트라우마를 지운 사건이었던 만큼 치유의 공간이 지원하는 대상은 폭넓지만, 개별 치유의 공간을 활용하는 대상은 겹치지 않는다. 그렇지만 지역 커뮤니티가 가지고 있는 집단 트라우마를 효율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지역 내 네트워크를 조밀하게 유지하고 상시적으로 협력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셋째, 참사와 같은 트라우마 극복에 있어 사건의 지속적인 기억은 매우 중요한 부분으로 지적되는데, 세월호 참사의 경우에는 지역주민들의 피로감 혹은 갈등, 노후화된 안산시를 떠나는 이들, 시간이 지나감에 따른 퇴색되는 분위기 등이 기억의 유지에 위험 요소로 작용되고 있다. 이를 위해 치유의 공간을 중심으로 지역공동체 회복, 다양한 이벤트 기획 등을 시도하고 있으며, 안산시 외의 다른 단체와도 유기적으로 연결해 세월호 참사의 기억이 오래 지속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The ultimat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rapeutic spaces where have been appeared in Wa-dong and Gojan-dong, Ansan-si after the disaster of the MV Sewol. As looking into the inside, the aim of the therapeutic spaces, which cover each target group (victims) individually, is various and different because the disaster of the MV Sewol generated various direct and indirect victims requiring healing. The therapeutic spaces are estimated at about 10 organizations and are leaded by private agents predominantly. Furthermore, the therapeutic spaces are located near, but are aside from Danwon high school where many students are reported killed and injured in the incident. And the therapeutic spaces provide simple and repetitive diversions, for example, having a meal, knitting and studying, rather than special programs to restore a broken daily life to the original state. On the basis of such a background,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therapeutic spaces related to the disaster of the MV Sewol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seems that target groups accept the therapeutic spaces as the concept of place gradually. Even though most of the therapeutic spaces were suggested by third parties at first, target groups are involved in the management and recollection of their own therapeutic spaces as well as the plan for a future direction now; and consider the therapeutic spaces as exclusive properties. Second, the disaster of the MV Sewol have embedded collective trauma to not only direct victims, but extensive groups such as parents, brothers and sisters, relatives, friends and neighbors as noted earlier. Therefore, the therapeutic spaces support comprehensive target groups; but each therapeutic space is not overlapped each other. However, to solve collective trauma in a local community effectively, the therapeutic spaces are networked closely and build a regular cooperative system. Third, a continuous memory is mentioned as an important point to overcome collective trauma, but some phenomena such as fatigue and conflict with neighbors, out-migrants and a faded atmosphere as time passes act as risk factors in Ansan-si. To keep a continuous memory, the therapeutic spaces attempt the recovery of local communities and devise various events, for example, cultural performances; furthermore, are closely connected with external organizations.

      • KCI등재

        세월호 참사와 치유적 글쓰기

        최강민(Choi Kangmin) 중앙어문학회 2017 語文論集 Vol.71 No.-

        구술 글쓰기인 『금요일엔 돌아오렴』·『다시 봄이 올 거예요』와 생일시 모음인 『엄마. 나야』는 작가들이 세월호 피해자들을 인터뷰하거나 정보를 제공받아 쓴 일종에 공동창작물이다. 세월호 참사 피해자, 416세월호참사 작가기록단, 시인들은 구술 글쓰기나 생일시 창작을 통해 망각되어가는 세월호 참사의 비극성을 다시 한번 주지시켰다. 세월호 참사 유가족 중 부모의 구술 글쓰기는 ‘재난 상황의 기록, 희생자와의 추억, 재난 이후의 고통스러운 삶, 세월호 참사 진실 규명’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생존자인 단원고 학생들의 구술 글쓰기는 ‘재난 상황의 기록, 병원과 연수원의 치료 과정과 학교 복귀, 세월호 참사 이후의 고통스러운 삶’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생일시는 가족에 대한 그리움과 가족에 대한 걱정을 기본 내용으로 삼아 시상이 전개된다. 구술 글쓰기와 생일시 창작은 세월호 참사로 희생된 사람들을 기억하면서 애도하는 치유의 글쓰기였다. “Come back on Friday,” “Spring will come again,” and the anniversary poem “Mom, it’s me” are all types of oral writing, which is a kind of co-creation between writers and interviewees, victims of an event, who have provided oral accounts of the experience. The poet once again, through oral writing and the creation of an anniversary, reminded the public of the tragic nature of the Seowol tragedy that had been forgotten. Parents recount their family members and the writing is focused on “records of the disaster, memories with victims, the pain of life after the disaster, and the truth of the disaster.” Oral writing that was created by survivor Dan Won-Goo is focused on “recording the disaster, the treatment process in hospitals and training centers, a return to school, and the pain of life after the disaster.” Anniversary poetry is based on the family’s nostalgia and the worry about the family. Dictation writing and the creation of anniversary poems were used for healing and lamenting the memory of the victims of the Sewolho disas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