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주택자산의 세대간 이동성에 관한 연구

        마강래(Kang-Rae Ma),권오규(O-Kyu Kwon) 한국주택학회 2013 주택연구 Vol.21 No.2

        주택의 소유는 부의 축적과 가처분 소득의 증대효과뿐만 아니라 소유자의 삶의 질을 제고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끌어왔다. 하지만, 주택소유에 대한 일반인들의 높은 관심에도 불구하고 고가(高價)의 주택을 구매한다는 것은 개인의 의지와 노력만으로는 대단히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특히 사회에 첫 발을 내딛는 젊은 층들이나, 새롭게 가구를 구성하는 세대에게는 더더욱 어려울 수 있다. 고가 재화인 주택은 구매를 위한 준비기간이 매우 긴 특징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최근의 연구는, 다수의 젊은 계층이 결혼을 전후로 주택 소유자로 변화하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집값이 빠르게 상승했던 현실과는 상반되는 이러한 현상은 주택자산의 세대 간 전이 현상, 즉 부모가 자녀세대에 가지는 영향력이 커지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영향력이 앞으로는 더욱 증폭될 수 있음을 짐작케 한다. 세대 간 이동성은 부모와 자식세대 간 사회적 지위의 변화를 의미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과정에서 부모와 자식 세대 간 사회·경제적 지위의 유사도가 높게 나타날수록 세대간 이동성은 낮다고 할 수 있다. 세대 간 이동성이 낮은 사회에서 부모의 자산이 자식에게 전이될 때 자식세대의 선발 이익(head-start advantage)을 발생시켜 자식세대의 사회·경제적 격차가 커질 수 있다. 특히 주택의 경우 전체 자산에서 부동산 자산 비율이 80%에 육박하는 상황에서 부의 대물림은 세대 간 이동성을 더욱 약화하고, 다음 세대의 불평 등을 심화 할 수 있다. 이처럼 사회·경제적 측면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질 필요가 있는 주택소유의 세대 간 전이현상은 지금까지 심증으로만 논의되었지, 구체적 사례 분석을 통해 증명된 것은 거의 없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세대 간 주택자산의 사회적 전이현상에 대한 실증분석을 바탕으로 주거복지와 사회적 형평성 제고방안에 대한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세대 간 사회경제적 지위의 이동성에 관한 기존 문헌의 분석을 통하여 이동성 제약의 추세를 살펴보고, 그 파급효과가 가지는 의의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세대 간 경제력의 이동성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주택을 중심으로 세대 간 주택자산의 전이가 어떠한 요인에 영향을 받는지에 대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부모세대와 자녀세대의 주택자산의 규모와 점유형태가 유사하게 나타나는 현상, 즉 주택 자산의 세대간 이동성이 낮게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경제적 측면에 국한되어 왔던 세대간 이동성에 관한 논의를, 자산 중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주택의 영역에 적용함으로써, 부의 세대간 배분에 관한 보다 다양한 논의의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Becoming a homeowner has important socio-economic attainment as it is one of the major sources of wealth accumulation for most households. It has been argued in the previous literature that the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one generation are quite similar to those of the next. It has been known that individuals who are well endowed with their parental supports tend to resemble their parents. As far as housing asset is concerned, parents may influence the amount of child's housing wealth through material or other types of aids, which is referred to as an intergenerational transmission of homeownership.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re has been an intergenerational effect of homeownership in Korea using the Korean Labor & Income Panel Study. The Multinomial logit models are used to find out whether the characteristics of parents affect the housing wealth of younger generations.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property assets of child have a very close relation to those of previous generation. It is also found that there is a close association of housing tenure between generations.

      • KCI우수등재

        20년간의 세대 간 사회이동의 변화 : 30~49세 두 남성 코호트 비교 분석

        박현준(Hyunjoon Park),정인관(Inkwan Chung) 한국사회학회 2021 韓國社會學 Vol.55 No.3

        오늘날 한국사회에서 세대 간 사회이동이 감소하고 있다는 믿음은 ‘수저계급론’을 비롯한 다양한 담론들의 형태로 광범위하게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 발표된 경험적 연구들은 한국에서 세대 간 상대적 사회이동이 줄어들지 않았거나 오히려 늘어났음을 보고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연구는 〈한국 노동패널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1998년에 30~49세인 남성들(1949~68년생)과 2018년에 30~49세인 남성들(1969~88년생)을 대상으로 지난 20년 사이 한국의 세대 간 사회이동 수준이 어떠한 방향으로 변화해 왔는지 확인해보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특히 이 연구는 20년 차이를 두고 태어난 두 집단 남성들의 사회 계급을 30~49세라는 같은 나이에 측정한 자료를 가지고 세대 간 사회이동을 비교하기 때문에 기존 연구들의 한계로부터 비교적 자유롭다고 할 수 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사회의 절대적 이동률은 여전히 높은 편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지난 20년 사이 한국에서 계급의 상승 이동률은 감소하였으나 이는 부모들 중 농민계급에 해당하는 사람들이 감소함에 따른 자연스러운 변화로 볼 수 있다. 둘째, 1998년에 비해 2018년의 상대적 사회이동 수준이 유의미하게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핵심 유동성 모형을 이용하여 세대 간 사회이동의 증가 원인을 살펴본 결과 한국사회의 개방성 증대는 서비스 계급과 일상적 비육체 노동자 계급의 세습 약화에 따른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발견은 한국사회의 세대 간 사회이동이 낮아지지 않았다는 기존 연구의 결론을 재확인해준다. 그럼에도 세대 간 사회이동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과 현실의 괴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보다 정교한 계급구분에 대한 고려, 세대 간 소득이동 분석, 그리고 1990년대 이후의 출생코호트에 대한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Widely spreading out in contemporary Korea is a public perception that intergenerational social mobility is declining. However, recent scholarly works report that intergenerational social mobility has not decreased but rather has increased. Using individual data from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KLIPS) collected in two different years over the period of 20 years, we assess how intergenerational social mobility has changed during the last two decades between 30-to-49-year-old men in 1998 (i.e., those born between 1949 and 1968) and their counterparts of the same age range in 2018 (i.e., those born between 1969 and 1988). By comparing two groups of men born 20 years apart but measuring their social classes for the same age range, our study overcomes the main limitations of previous studies of intergenerational social mobility. The major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bsolute social mobility rates in Korea are still comparably high. Although upward mobility rates have declined somewhat during the last two decades, the trend is primarily due to rapid decline in the share of sons who originated from the farmer class. Second, relative social mobility has increased between 1998 and 2018. Third, the core social fluidity model applied to social mobility tables in both years shows that inheritance of service class and routine non-manual class, two classes often classified as a white-collar class, has decreased between two birth cohorts, probably contributing to the overall increase in relative social mobility. Our finding is consistent with recent studies showing that intergenerational social mobility in Korea has not declined. To better understand the discrepancy between the public perception and scholarly works on trends in social mobility, more research is needed, especially with more sophisticated class classification and additional analyses on the intergenerational income mobility and the more recent cohorts born in the 1990s.

      • KCI등재

        세대 간 사회이동에서 실제와 인식의 차이에 관한 탐색적 연구: 비관적 인식을 중심으로

        정해식(Jung, Hae Sik),송치호(Song, Chiho),백승호(Baek, Seung Ho) 한국사회정책학회 2021 한국사회정책 Vol.28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세대 간 사회이동에서 실제와 인식의 비관적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특히 이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분석하지 못한 국가의 불평등 수준과 세대 간 사회이동에 대한 비관적 인식의 관계에 초점을 두었다. 그 이유는 사회이동에 대한 비관적 인식이 증가함에 따라 사회적 갈등이 증가하고, 사회정책에 대한 개인의 수용성이 낮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분석자료는 2009년 국제사회조사의 4차 불평등 모듈이고, 분석방법은 다수준 로지스틱 회귀분석 방법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는 첫째, 국가의 불평등 수준이 세대 간 사회이동에 대한 비관적 인식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가짐을 확인했다. 즉, 사회가 불평등할수록 사람들이 세대 간 사회이동을 비관적으로 인식할 확률이 높았다. 둘째, 개인의 소득지위가 낮을수록 세대 간 사회이동을 비관적으로 인식할 확률이 높았다. 셋째, 젊은 세대일수록, 별거 · 이혼 · 사별 또는 독신(비혼)일수록, 고학력일수록 세대 간 사회이동을 비관적으로 인식할 확률이 높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사회 전체의 불평등 수준을 낮추기 위한 사회정책적 개입이 세대 간 사회이동에 대한 비관적 인식을 개선하고 사회통합을 달성하는데 중요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differences between objective and subjective intergenerational social mobility (ISM). The present study focu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nation-level social inequality and pessimistic perception of ISM, which has been overlooked in the existing social stratification literature. Using data from Social Inequality Module in 2009 International Social Survey Program, we conducted multileve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address the binary outcome as well as controlling for both individual- and country-level variables. We found a positively significant effect of a relative ratio (measured by dividing average earnings of the highest class by the lowest class) on pessimistic perception of ISM. It indicated that increasing social inequality may lead to more pessimistic view on upward ISM. Implications for social policy and the welfare state were discussed.

      • KCI등재

        세대 내 소득탄력성을 활용한 우리나라 세대간 소득탄력성의 추정과 국제비교

        김봉근 ( Bong Geun Kim ),석재은 ( Jae Eun Seok ),현은주 ( Eun Ju Hyun ) 한국국제통상학회 2013 국제통상연구 Vol.18 No.3

        본 연구에서는 독립적으로 발전되어온 세대 내 소득이동성의 개념을 활용하여 우리나라의 세대간 소득탄력성을 추정하고 국제비교를 시도한다. 세대 내 소득 이동성의 고저는 세대간 소득이동성과 두 가지 경로로 연계되는 데, 1) 세대 효용극대화 경제행위를 통한 자녀세대에 대한 투자행위에 영향을 미치고 2)단년도 세대간 소득탄력성의 추정편의의 크기를 결정한다. 본 연구는 외환위기의 높은 부모세대 내 소득이동성이 단년도 소득으로 측정되는 세대간 소득탄력성에서 하향 편의를 증가시키고, 세대 자원배분과정을 통해 높은 세대간 소득이동성을 유발함을 보인다. We reestimate the intergenerational income elasticity in Korea by applying the errors-in-variable regression method with intra-generational income elasticity as a reliability ratio. We show that the high intra-generational income mobility can bring a large downward bias in measured intergenerational income elasticity with yearly earnings and a low intergenerational income elasticity through intergenerational utility maximizing behavior.

      • KCI등재

        한국의 세대간 사회이동 : 출생 코호트 및 성별 비교

        계봉오(Kye, Bongoh),황선재(Hwang, Sun-Jae) 한국인구학회 2016 한국인구학 Vol.39 No.3

        이 연구는 한국의 세대간 사회이동 변화를 출생 코호트와 성별 비교를 통해 경험적으로 검토한다. 기존의 연구에 따르면 대부분의 산업사회에서 절대적 사회이동(absolute mobility)은 증가하다가 최근 들어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지만, 상대적 사회이동(relative mobility)에는 뚜렷한 패턴이 발견되지 않는다. 즉, 직업구조 변화에 따라 구조적 이동(structural mobility)의 양상은 변화하지만, 세대간 유동성(fluidity)에는 큰 변화가 없다는 것이다. 한국사회의 경우 급격한 산업구조 변동으로 인해 절대적 이동이 다른 국가들보다 높은 수준이며, 상대적 이동 또한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최근 들어 한국사회에서는 “수저계급론” 등 계층구조의 고착화에 대한 사회적 우려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계층갈등의 심화 및 사회적 신뢰수준의 저하로 연결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산업화가 일정 단계를 넘어서면 사회적 유동성이 오히려 감소할 수 있다는 “후기산업사회 경직화 가설(post-industrial rigidification thesis)”의 주장과 일맥상통한다. 이 연구는 절대적 이동과 상대적 이동이 사회이동 연구에서 갖는 함의를 고찰하고, 한국교육개발원의 “교육과 사회이동 조사연구”를 사용하여 세대간 사회이동 패턴의 출생 코호트별, 성별 변화를 살펴본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최근 코호트의 절대적 이동은 다소 감소한 반면, 상대적 이동은 크게 변화하지 않았다.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지만, 남성의 유동성은 다소 증가했으나 여성의 경우에는 감소하고 있다. 이는 사회적 유동성의 변화와 계층구조 경직성에 대한 인식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으며. 수저계급론 등과 같은 사회적 폐쇄(social closure)의 강화라는 단순한 개념으로는 사회이동의 패턴 및 계층구조 인식의 변화를 설명할 수 없음을 보여준다. In this study, we examine how intergenerational mobility changed across birth cohorts in Korea. Research in social mobility has found consistent relative mobility in industrialized countries as well as initially increasing and then decreasing absolute mobility during the socioeconomic development. Relative mobility in Korea was somewhat higher than other industrialized countries and absolute mobility was extraordinarily high due to high structural change. Recently, concerns about decreasing social fluidity increased, intensifying class conflict and dampening social trust. This phenomenon is consistent with the expectation of ‘post-industrial rigidification’ thesis; social fluidity may decrease at the late stage of industrialization. In this article, we critically review the implications of absolute and relative mobility in the study of social mobility, and examine how the intergenerational mobility patterns changed in Korea using the “Education and Social Mobility” data. While absolute mobility a bit decreased for the youngest cohorts, relative mobility showed no monotonic trends. We also find diverging patterns by gender; increasing rigidity among the women and increasing fluidity among men to some degree although these changes a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suggests that the recent change of intergenerational mobility patterns in Korea is not simple and warrants more careful investigation.

      • KCI등재

        한국에서의 부녀의 세대 간 소득 이동성: 선별적 결혼의 역할

        최기림 ( Kilim Choi ),안태현 ( Taehyun Ahn ) 한국여성경제학회 2015 여성경제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KLIPS) 자료를 사용하여 딸의 세대 간 소득탄력성을 추정하고 세대 간 소득이동성에서 선별적 결혼의 역할이 유효한가에 대한 분석을 시도했다. 연구결과 딸의 세대 간 소득탄력성은 0.172였고 동일한 방법으로 얻은 아들의 세대 간 소득탄력성 추정치와 비교해 보았을 때, 딸의 세대 간 소득이동성이 아들에 비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혼인 딸을 표본으로 분석한 결과, 남편의 소득과 장인어른의 소득사이에 상당한상관관계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고 선별적 결혼의 경향이 부모세대와 자녀세대간의 경제력대물림을 더 확대시키는 경로가 될 수 있음이 발견되었다. 또한, 부녀간 간 소득 이동성에부부간의 유사학력에 따른 선별적 결혼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estimates intergenerational income mobility among daughters using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KLIPS) and investigates the role of marital sorting. The estimated intergenerational income elasticity among daughters was 0.172 which is larger than that of sons. We also find that there is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the income of father-in-law and that of son-in-law, and that marital sorting plays an important role in intergenerational income mobility. The results also suggest that marital sorting by education level can be a key factor of intergenerational income mobility.

      • KCI우수등재

        한국 대학들의 사회이동 성적표: 경제적 지위의 세대 간 이동과 유지에서 대학이 하는 역할

        이수빈(Subin Lee),최성수(Seongsoo Choi) 한국사회학회 2020 韓國社會學 Vol.54 No.1

        본 연구는 미국에서 대규모 행정자료를 이용해 개별 대학들 수준에서 세대 간 이동률(하위 소득 분위 가정 출신 자녀가 대학 졸업 후 상위 소득분위에 속할 확률)을 보고한 라지 체티 팀의 연구(Chetty et al., 2017)를 발전시켜 한국의 대학들이 세대 간 지위 이동 및 재생산 과정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종합적으로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대졸자 직업이동 경로조사(2005~2015) 자료를 활용하여 입시 서열, 국공립/사립 여부, 소재지역, 4년제 여부 등을 기준으로 17개 대학군을 분류하고 이들 대학군이 어떻게 상이한 세대 간 이동률과 유지율을 보이는지를 분석했다.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전체적인 수준에서 한국 대학들의 상향 이동률은 이상적인 기대확률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별 대학군 수준에서는 최상위권 대학들과 상위권 국공립대가 기대 이동률을 충족하며 중하위권 대학들보다 상향 이동에 더 많이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미국에서 엘리트 대학들의 상향 이동률이 매우 낮은 것과는 대조된다. 셋째, 사립대학들에 비해 국공립대들에서 상향 이동률이 지위 유지율과 비슷하거나 더 높게 나타나며, 저소득층 자녀의 상향 이동에 더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위 유지율은 최상위권 및 상위권 사립대학들에서 가장 높게 나타나 이들 대학은 높은 상향 이동률에도 불구하고 지위 재생산에 더 높은 기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이동률의 추세를 산정한 결과 지방 전문대의 성공률 및 이동률이 비교적 뚜렷하게 상승하는 추세를 보여, 세대 간 이동 및 기회공정성과 관련하여 그 동안 상위권 대학들에 비해 대중적, 정책적 관심을 덜 받아왔던 전문대의 역할이 재조명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모든 대학군에서 예외 없이 남성의 상향이동률 및 지위 유지율이 여성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이렇게 여성에게 불리한 차이는 특히 저소득층 출신 그리고 중하위권 대학군 졸업생에게 가장 두드러졌다. 이상의 결과는 저소득층 출신여성이 이중적 어려움을 겪는 집단이며 대학을 통한 상향 이동 기회는 거의 전적으로 남성에게만 해당됨을 보여주는 것으로 정리할 수 있다. We evaluate the role of Korean colleges in intergenerational mobility and reproduction of economic status, extending Raj Chetty et al.’s (2017) study based on the administrative data of the United States. Using data from Graduate Occupational Mobility Surveys (2005-2015), we estimate the rates of intergenerational upward mobility and reproduction across 17 college groups, which we define by whether they are public or private, institutional selectivity, geographic location, and whether they are a four-year or two-year college.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lleges generally show lower upward mobility rates than the expected levels, which suggests they are failing to play their roles as a key social mobility channel. Second, the most selective universities and public universities are the two college groups that meet the expected mobility rates. They also have higher mobility rates than low-tier non-selective counterparts do. This finding contrasts with the cases in US where selective elite colleges have comparatively very low rates of upward mobility. Third, public universities and two-year colleges show reasonably high upward mobility rates and relatively low maintenance rates, which indicates that they contribute better to social mobility, compared with private institutions. Status maintenance rates are the highest among the most selective institutions. Despite their relatively high mobility rates, those universities turn out to contribute more to reproduction of the status than to mobility. Fourth, two-year colleges show the rising trend of mobility rates over the past decade largely due to their low-income graduates’ rising success rates. This result suggests that policy attention needs to be shifted to these institutions to promote their potential as the channel for mobility, which has been relatively overlooked due to exclusive focus on elite institutions. Lastly, both mobility rates and maintenance rates are significantly higher for men than for women across all college groups, and such female disadvantages are more remarkable for women from low-income families and graduates of non-selective institutions. This highlights that women with low-income families are doubly disadvantaged and that the opportunities to move up the ladder for mobility through college education are given almost exclusively to men.

      • KCI등재

        청년세대 지역 간 이동자의 직업 가치관 변화에 대한 실증분석

        김현우 (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23 地方行政硏究 Vol.37 No.1

        The young people of the present generation, called the MZ generation, have characteristics that distinguish them from the older generation, but among them, there are characteristics that also existed in the youth of the past.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Z gener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occupational values.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young people moving between regions and moving to the metropolitan area were empirically analyzed. Using the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GOMS) from 2008 to 2019, the movement between regions and the movement to the metropolitan area were analyzed with a bivariate probit model. As a result of the analysis, highly educated people, full-time jobs, professional workers, and young people who value personal development potential were more likely to choose to move between regions and to the metropolitan area. Recently, the MZ generation is more likely to choose inter-regional movement for office or production jobs. While migrants in the metropolitan area valued earned income, they tended to place less importance on job security. This study proposed policies such as shifting the youth employment policy to a youth demand-oriented one, target-tailored policies, and preemptive and active administrative service support. MZ세대라고 불리는 현재 청년층의 가치관은 기성세대와 차별적인 특징이 있지만, 그 중에는 과거 청년층에게도 존재한 특징이 있다. 본 연구는 MZ세대의 특징과 직업 가치관의 특성을 살펴보고, 지역 간 이동과 수도권으로 이동하는 청년들의 특징을 실증 분석하였다. 이에 2008년부터 2019년까지의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OMS)를 활용하여 청년층 취업자를 대상으로 지역 간 이동과 수도권으로의 이동을 표본선택 이변량 프로빗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지역 간 이동과 수도권으로의 이동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은 청년들은 고학력・상용직・전문직 일자리 종사자와 개인 발전 가능성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청년들이었다. 그리고 최근 들어 사무직・생산직 일자리에 종사하는 청년일수록 지역 간 이동을 선택할 확률이 높았으며, 수도권 이동자들은 근로소득 직업 가치를 중요시하는 반면 직장(고용) 안정성에 대한 중요도는 낮다는 특징이 있다. 본 연구는 분석결과를 토대로 청년 수요 중심으로의 청년고용정책 전환, 대상 맞춤형 정책, 선제적・적극적 행정서비스 지원 등의 정책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도시취업자의 세대간 직업이동과 세대내 이동

        황덕순 한국노동경제학회 2001 勞動經濟論集 Vol.24 No.2

        본 연구에서는 한국노동연구원 패널조사(KLIPS)의 1차년도 자료를 이용해서 자녀의 최초 직업 및 현재 직업귀속을 결정하는 데 부모의 직업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최초 직업이 현재의 직업귀속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다항로짓분석을 이용해 살펴봄으로써 세대간 직업이동과 세내내 이동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세대간 직업이동에서 교육이 중요한 매개변수로 작용한다는 점, 각 직업집단마다 정도는 다르지만 현재의 직업귀속에 최초의 직업선택이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직업집단간 이동의 가능성이 어려운 정도로부터 고용주, 자영자 일부(상층), 사무직, 자영자 일부(하층), 생산직의 순으로 도시취업자 내부에 서열이 나타난다는 시사점을 얻었다. 정책적인 함의와 관련해서는 이미 세대간 직업이동에서 교육이 중요한 매개변수로 작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사회이동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교육기회가 직업집단간에 달라지지 않도륵 하는 방향으로 정책이 개발되어야 한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Using panel data (KLIPS) we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respondents' occupation and their fathers' occupation. We divide the urban employed into four subgroups according to their occupation: employer, self-employed, white collar worker and blue collar worker. We find that the effects of fathers' occupation on respondents' occupation are mediated by the level of respondents' education. The effects of respondents' initial occupation on their current occupation are also significant. In terms of the extent of mobility, we can rank the occupational groups as follows: employer, upper layer of self-employed, white collar worker, lower layer of self-employed and blue collar. In order to encourage occupational mobility, we should level the opportunity of education among different occupational groups.

      • KCI등재후보

        수도권으로 인구이동에 따른 경제력의 세대 간 이동성에 관한 연구

        강은택(Kang, Eun Taek) 대한부동산학회 2014 大韓不動産學會誌 Vol.32 No.1

        본 연구는 수도권으로 집중하는 원인을 개인들을 대상으로 매년 반복적으로 조사한 패널데이터를 사용하여, 본인의 이동에 따른 경제적 효과가 자녀 세대로의 세대 간 이동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하여 다양한 측면에서 살펴보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경제력의 세대 간 이동성을 살펴본 결과, 부모의 수도권으로 이동 결정은 부모의 경제력에 영향을 미치고, 그 결과 수도권으로 이동한 부모의 자녀와 그렇지 않는 부모의 자녀 간의 교육기회 및 경제력에 상당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conomic inter-generational mobility of migration to the metropolitan area. In this study, people who moved to the Seoul Metropolitan Area (SMA) after being born and raised outside the SMA were distinguished from the people who had not made a move. In this study, the economic differences between the two selected groups were analyzed using the Korean Labor & Income Panel Study (KLIPS). In addition, the inter-generational mobility of economic powers of the two groups were investigated to understand how the geographical relocation of individuals into the metropolitan area affects the intra-generational mobility which in turn impacts on inter-generational mobility. The result showed that the children of parents who moved to the SMA are likely to have better educational and economic opportunities and achievements. This empirical finding indicated that a variety of opportunities given to the children s generation could be associated with the geographical relocation of the parents gene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