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자고등학생의 여성성역할, 여성성역할갈등과 부모진로지지, 의사결정의존성 및 진로결정 간 관계

        하문선 한국직업교육학회 2014 職業 敎育 硏究 Vol.33 No.2

        본 연구는 성역할이론과 사회인지 진로이론을 바탕으로 여자고등학생의 성역할의 긍정적 측면인 여성성역할과 부정적 측면인 여성성역할갈등이 그들의 진로결정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여성성역할과 여성성역할갈등을 독립변인으로, 부모진로지지와 의사결정의존성을 매개변인으로, 진로결정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여자고등학생의 여성성역할과 진로결정은 부모진로지지를 통해, 여성성역할갈등과 진로결정은 의사결정의존성에 의해 각각 완전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여자고등학생이 여성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부모의 진로지지가 높아지고 그 결과 진로결정수준이 높아지며, 여성성역할갈등을 높게 지각할수록 의사결정의존성이 높아져 결국 진로결정수준이 낮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결과는 여자청소년의 성역할과 진로결정 간 관계에서 여성성의 긍정적 측면뿐만 아니라 부정적 측면인 성역할갈등에도 관심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여성의 성역할사회화가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에서 의사결정의존성과 부모진로지지가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으로 각각 작용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의의 및 시사점이 제안되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of positive aspects(feminine gender roles: FGR) and negative aspects(feminine gender role conflicts: FGRC) of femininity to parental career supports, decision-making-dependency and career decision in Korean female high school students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The results of SEM analysis about research model meaned that parental career supports mediated fully the relation of FGR and career decision and that decision-making-dependency mediated fully the relation of FGRC and career decision. This results suggested that positive aspects and negative aspects of femininity should be included simultaneously in the study to examine the effects of femininity on the psychological adjustment such as career decision.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성역할 태도와 우울

        송리라(Rira Song),이민아(Minah Lee) 한국인구학회 2012 한국인구학 Vol.35 No.3

        본 연구는 성역할 태도가 우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 이러한 성역할 태도의 효과가 성별과 연령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에 거주하는 20~40대의 남녀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는 다변량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성역할 태도와 우울증 간의 유의한 관계를 보여주었다. 응답자가 전통적인 성역할 태도를 가질수록 우울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성역할 태도의 효과는 성별, 연령집단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먼저, 전통적인 성역할 태도는 여성보다 오히려 남성의 우울에 더 부정적인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전통적인 성역할 태도는 남성의 우울을 높이는 스트레스 요인으로 작용하지만, 성역할 태도는 여성의 우울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성별, 연령집단 별 하위집단 비교분석을 실시해본 결과, 성역할 태도의 부정적 효과는 20대와 30대 남성에게만 나타났으며, 여성과 40대 남성에게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상식적인 예상과는 달리 한국에서 전통적인 성역할 태도가 청년층 남성의 정신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성역할 태도와 2, 30대 남성의 우울증의 관계를 역할기대와 성역할 태도 간의 긴장과 관련하여 논의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role attitude and depressive symptoms and analyze if and how gender role attitude has differential effects across gender and age groups. Respondents in 20s to 40s participated in the survey. The findings show that there i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gender role attitude and depressive symptoms. Respondents who have traditional gender role attitude are more likely to have depressive symptoms than others. The differential effects of gender role attitude across gender and age groups are also detected. Traditional gender role attitude has a deleterious effect on depressive symptoms for males, not for females. Moreover, subsample analyses by gender and age show that the deleterious effects of traditional gender role attitude are significant only for males in 20s and 30s whereas there is no significant effect of gender role attitude for males in 40s and all females. In conclusion, we discuss the findings in relation to role expectation and strains.

      • KCI등재후보

        남성 성역할이 우리나라 남성들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박수애,조은경 한국문화및사회문제심리학회 2002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Vol.8 No.2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male gender role on the adjustment of Korean men. In study 1 Korean Male gender Role Scale was developed. A 52-item scale was constructed based on the responses of 432 college-aged and middle-aged men to theoretically- derived preliminary items. Five factors were extracted: achievement orientation, the initiative, task orientation, responsibility for family and friendship with male friends. Study 2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male gender role and several adjustment variables. Correlational analyses indicated that in the college men self-esteem and career identity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initiative and friendship with male friend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life satisfaction. College men's depression level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initiative and task orientation. Among the middle-aged men, self-esteem was also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initiative and task orientation. But responsibility for famil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depression and job dissatisfaction in the middle-aged men. In both groups satisfaction with male gender rol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but negatively correlated with depression. Finally,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남성 성역할이 우리나라 남성들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1에서는 한국형 남성 성역할 척도를 개발하였다. 20대 대학생과 40-50대 중장년 남성들을 대상으로 남성 성역할을 조사하여, 우리나라 남성들이 서구의 남성들과 부분적으로 다른 성역할을 갖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서구 남성들의 주요 성역할 요인인 과제지향성이나 성취지향성과 같은 요인들은 본 척도에서 주도성과 성취지향성으로 나타났으며 가족에 대한 책임도 공통적인 요인이었다. 반면 서구 남성 성역할의 공격성이나 남성간의 친밀성 거부, 정서 억제성과 같은 요인은 본 연구에서는 확인되지 않았으며 남성간의 의리가 우리나라 남성들이 갖고 있는 독특한 남성 성역할로 확인되었다. 연구 2는 한국 남성들이 남성 성역할을 내면화한 수준과 적응간의 관련성을 알아보았다. 연구 1에서 개발한 척도와 자아 존중감, 우울증, 정서 표현성 등의 변인을 측정하여 본 결과, 연령 집단 공통으로 주도성 요인이 강할수록 자아 존중감이 높았다. 반면에 우울과의 관계에서는 연령 집단에 따라 다른 결과가 나타났는데 20대 대학생은 남성 성역할 총점이 높을수록 우울 수준이 낮았던 반면, 중장년 집단에서는 가정에 대한 책임이 강할수록 우울 수준이 높았다. 또한 20대 대학생들에게서는 남성 성역할과 정서 표현성간의 상관이 없었던 반면에 중장년 남성들은 주도성이 강할수록 정서 표현을 억제하는 경향이 있었다. 20대 대학생들은 주도성이 강할수록 진로 정체감이나 학교 친구간의 적응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가정에 대한 책임이 강할수록 진로 정체감이 낮았다. 중장년 남성들은 성취 지향성과 가정에 대한 책임이 강할수록 직업에 대한 불만을 더 갖고 있었던 반면, 주도성과 결혼에 대한 불만은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성역할 고정관념이 데이트폭력에 미치는 영향 : 폭력허용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정희(Han Jeong Hee),허무열(Huh Moo Yul),박진희(Park Jin Hee) 사단법인 안전문화포럼 2021 안전문화연구 Vol.- No.12

        본 연구는 데이트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성역할 고정관념, 폭력 허용도에 대한 변인 간 상관관계를 연구하였다. 데이트폭력은 엄연한 폭력이며 피해자에게 다양한 악영향을 끼친다. 따라서 데이트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성역할 고정관념, 폭력 허용도에 대한 변인 간 상관관계를 규명하고 인구통계학적으로 어떤 계층이 더 영향을 받는지를 밝히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 유성구 온천문화 축제(3일간) 참여자들과 일반 직장인(방문을 통해 수집)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650명)를 기반으로 수행되었다. 설문은 성역할 고정관념, 폭력허용도, 데이트폭력의 관련성과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측정하기 위해 likert 척도 방식을 활용하여 총 52개 문항으로 구성했다. 수집된 자료에 대해서는 통계분석을 기본으로 하되 자료 검증과 관계분석 등을 위해 빈도분석, T-test분석, 분산분석, 구조방정식모형분석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였다. 주요변인에 대한 연구결과 먼저 성역할 고정관념은 인구통계학적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기혼이 미혼보다, 60대가 20대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폭력허용도와 관련해서는 여성이 남성보다 폭력허용도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기혼이 미혼보다, 60대 및 50대가 다른 연령대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에 따라서는 중졸이 가장 높고 대졸 이상이 가장 낮아 학력에 따라서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성역할 고정관념이 폭력허용도를 매개로 하여 데이트폭력으로 발전해 가는지를 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성역할 고정관념은 인구통계학적으로 여성보다 남성이, 미혼자보다 기혼자가 높게 나타났다. 즉 남성은 가족의 경제를 담당해야 하는 수단적인 역할(instrumental role)을 부여받고, 여성은 가사노동과 자녀양육을 전담해야 하는 표현적인 역할(expressive role)을 부여받는 전통적인 성역할 규범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설명된다. 자녀출산 이후 가족 구성원수가 증가하면서 성역할 고정관념은 더욱 높아지고 있다. 이는 여성에게 가사와 자녀양육에 대한 역할요구와 기대치가 남성에 비해 가중된 무게로 환경적 · 규범적 · 심리적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성역할 고정관념이 직접적으로 데이트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목할 점은 성역할 고정관념이 폭력허용도를 매개로 했을 때 데이트폭력을 증가시키는데 더 큰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ariables of gender role stereotypes and violence tolerance that affect dating violence. Dating violence is violence and has a variety of adverse effects on the victim. As a result, it is necessary to identify gender role stereotypes affecting dating violence,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on the permissiveness of violence, and to reveal which classes are more affected demographically. Through this, we intend to propose measures to efficiently prevent violence arising from intimate relationships and establish safe and equal family relationships.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a survey (650 people) of participants and ordinary office workers (collected through visits) at the Yuseong-gu Hot Spring Culture Festival in Daejeon Metropolitan City. The survey consisted of a total of 52 questions using the likert scale method to measure differences in gender role stereotypes, violence tolerance, the relevance of dating violence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collected data is based on statistical analysis, but various methods such as frequency analysis, T-test analysis, variance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ere used for data verification and relationship analysis. Studies on major variables showed that first, gender role stereotypes are demographically higher for men than women, married women, and people in their 60s than those in their 20s. Next, when it comes to violence tolerance, it was analyzed that women have higher violence tolerance than men. In addition, married people in their 60s and 50s were found to be higher than unmarried people. Depending on the academic background, middle school students were the highest, and college graduates or higher were the lowest, indicating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academic background. In addition, the analysis of whether gender role stereotypes develop into dating violence through the medium of violence tolerance in this study found significant. The gender role stereotype was demographically higher for men than women and married people than for single people. In other words, it is explained that men are given instrumental roles to take charge of the family s economy, and women are given expressive roles to take charge of housework and child care. As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has increased since the birth of children, gender role stereotypes are increasing. This seems to be an environmental, normative, and psychological factor, with women s role demands and expectations for housework and child rearing weighted compared to men. Furthermore, gender role stereotypes have been shown to directly affect dating violence. It is noteworthy that gender role stereotypes have been found to be a greater factor in increasing dating violence when mediated with violence tolerance.

      • 부모의 성역할 유형, 양육방식과 아동의 남성성, 여성성간의 관계

        변명숙 서울여자대학교 2010 학생생활연구 Vol.23 No.-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성역할 유형과 양육방식 그리고 아동의 성이란 세 가지 독립변인이 자녀의 남성성/여성성에 상호작용효과를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5, 6학년 남녀아동 392명과 그 부모392쌍이었다. 아동에게는 KCSRI(한국판 아동용 성역할검사)와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방식을 측정하고, 그 부모에게는 KSRI(한국판 성역할검사)를 측정하였다.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방식은 이숙(1988)이 한국아동을 대상으로 표준화한 검사도구로 측정하였다. 부모의 성역할 유형은 양성적 유형, 여성적 유형, 남성적 유형, 미분화 유형 네 가지로 나누었고, 부모의 양육방식은 온정성 요인과 거부·권위주의 요인으로 분류한 후 각각 상, 중, 하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아동의 성은 남녀 두 수준이었다. 종속변인은 아동의 남성성점수와 여성성점수였다. 자료는 각 부모에 대해 4×3×2 삼원 변량분석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각한 아버지의 온정성 수준이 ‘하’이거나 ‘중’일 때는, 남성성이 높은 아버지(양성적 아버지나 남성적 아버지)의 딸이 남성성이 낮은 아버지(여성적 아버지나 미분화된 아버지)의 딸보다 더 여성성점수가 높았다. 반대로 지각한 아버지의 온정성 수준이 ‘상’일 때는, 미분화된 아버지의 딸이 다른 집단에 속하는 아버지의 딸보다 여성성점수가 훨씬 더 높게 나타났다. 한편 지각한 아버지의 온정성 수준이 ‘하’일 경우, 여성적 아버지집단의 아들이 여성성점수가 가장 높았지만, ‘중’, ‘상’일 때는, 양성적 아버지집단의 아들의 여성성점수가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아버지의 성역할 유형, 양육방식, 아동의 성이 아동의 여성성에 상호작용효과를 미치고 있었다. 이 결과는 ‘자녀의 성역할 유형과 부모의 성역할 특성간의 관계’ 혹은 ‘자녀의 성역할 유형과 부모의 양육방식간의 관계’에서와 같이 ‘일 대 일 변인 관계’로만 보았던 기존의 연구에서는 간과되었던 것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KCI등재

        능력주의와 성역할 태도의 사회적 균열: 능력주의 태도와 성역할 태도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우명숙,남은영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2 사회과학연구 Vol.61 No.2

        이 글은 능력주의 태도가 성역할 태도에 어떤 차이를 가져오는지를 탐구한다. 성역할 태도 연구들은 평등한 성역할이 성평등 성취에 핵심적인 것으로 보고, 주로 어느 집단이 더 평등한 성역할을 지지하는지, 또는 반대하는지를 보여줌으로써 성역할 태도의 사회적 균열을 드러내고자 했다. 이 글은 능력주의 태도가 성역할 태도의 새로운 균열을 드러내는지를 확인해 보고자 한다. 능력주의 태도는 ‘근로와 노력에 의한 성공’에 대한 동의 정도를 말하며, 성역할 태도는 공적영역에서의 성역할 태도로서 남성주도성에 대한 태도와 사적영역에서의 성역할 태도로서 여성정체성에 대한 태도로 구분한다. 남성주도성 성역할 태도는 남성리더십과 남성생계부양자 모델에 대한 태도를 말한다. 여성정체성 성역할 태도는 전통적 어머니 역할과 주부 역할에 대한 성역할 태도를 포함한다. 세계가치관조사 7차 조사(2017-2020)의 한국 자료를 분석한 연구 결과를 보면, 능력주의 태도는 남성주도성 성역할 태도에서 뚜렷한 차이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난다. 반면 능력주의 태도는 여성정체성 성역할 태도와는 유의한 관계를 갖지않는 것으로 나타난다. ‘근로와 노력에 의한 성공’에 대한 지지는 전통적인 남성리더십과 남성생계부양자 모델에 대한 반대로 이어지지만, 전통적인 어머니 역할과 주부 역할에 대한 찬반과는 관계가 없다. 능력주의 태도는 공적 영역에서의 평등한 성역할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지만, 사적영역에서의 평등한 성역할과는 무관하다. 능력주의 태도는 평등보다는 공정과 관련된 태도라고 할 때, 능력주의 태도에 동의하는 사람들은 기회의 평등을 보편적으로 확대하는 정책을 지지할 수 있을 것이다. 능력주의에 대한 강한 지지가 있는 사회에서는 공적영역의 성역할에서의 평등성을 강화하는 데 있어 보편적 기회의 확대가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및 성역할 유형과 자녀의 성역할 유형에 따른 진로타협과정에서의 선호도 차이 연구

        김경하(Kim, Kyung-Ha) 연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2 미래교육학연구 Vol.25 No.1

        본 연구는 부모의 양육태도와 성역할 유형에 따른 자녀의 진로타협과정에서의 선호도 차이를 살펴보고, 그 결과를 통해 진로지도가 필요한 청소년들과 부모들에게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녀의 성역할 유형에 따른 진로타협과정에서의 선호도를 분석한 결과, 아버지의 양육태도에 따른 진로타협과정에서의 선호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자녀의 성역할 특성과의 상호작용 효과는 없었다. 그러나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따른 진로타협과정에서 선호도는 유의한 경향성을 나타내었다. 둘째, 부모의 성역할 유형과 자녀의 성역할 유형에 따른 진로타협과정에서의 선호도 차이에서는 부모의 성역할에 따른 효과는 없었으나, 자녀의 성역할 유형에 따른 효과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의 성역할 유형에 따른 진로타협과정에서의 선호도 차이는 남성성 그룹, 여성성 그룹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남성성이 높은 경우 사회적 명성, 흥미, 성특성 순으로, 여성성이 높은 경우 흥미, 사회적 명성, 성특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진로타협과정에서의 선호도에서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른 큰 차이는 없다. 다만 어머니의 자율지향적 양육태도는 자녀가 흥미 있는 직업을 선택하는데 영향을 준다고 알 수 있다. 부모의 성역할 유형에 따른 진로타협과정에서의 선호도 차이는 없다. 성역할 유형에 있어서 부모보다 자녀 자신의 성역할 유형이 먼저 고려된다. 즉,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자녀의 성역할 유형은 자녀의 진로선택에 영향을 미친다고 결론 내릴 수 있다. 이 연구 결과는 부모 변인에 있어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고등학생 자녀의 진로타협과정에 일부분 영향을 미침을 보여주고, 성역할 유형에 있어서는, 부모보다 자녀의 성역할 유형이 진로타협과정에서의 선호도에 영향을 준다는 점을 밝혔다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the career compromise preference focused on parent's rearing attitude perceived by adolescents and parents' sex-role differences, children's sex-role differences. Participants were 446 high school students in Gyong-gi Nanyangju and were questioned about their perceived parents' rearing attitudes, parent's sex-role differences and their sex-role differences and interests, sex types of occupation and social prestige which enabled to measure the compromise preference. As a results, participants preferred social prestige and interest than sex types of occupation,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other's rearing attitude and children's sex-role differences. When controlled-goal oriented mothers group had a preferred in social prestige, sex type of occupation and interests in order, automous-non goal oriented mothers group had a preferred in interests, social prestige and sex type of occupation. When masculine children group had a preferred in social prestige, interests and sex type of occupation in order, feminine children group had a preferred in interests, social prestige and sex type of occupation respectively. This results imply there were mother' rearing attitude and children's sex-role differences on the finial considering factor of making a career decision to ensure the vocational self-concept.

      • KCI등재

        탈현대적 성역할 담론 구성을 위한 음양론적 접근

        이현지 동양사회사상학회 2006 사회사상과 문화 Vol.14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problems of modern gender role discourse and to construct post-modern gender role discourse based on the Yin- Yang theory. The root of modern gender role discourse is the modern world view which postulates man and woman as fundamentally separate being and man-woman relationship as having opposite interests. On the contrary, the Yin-Yang theory regards man-woman relationship as inter-related and harmonious. I will construct post-modern gender role discourse based on the Yin-Yang theory. The approach of Yin-Yang theory on gender role is valuable as follows. First, the approach of Yin-Yang theory can provide a new view on gender role. Modern gender role discourse regards gender role as fixed. But if we see gender role based on the Yin-Yang theory, gender role is not fixed entity. Gender role is changed by the social structural change. Second, the approach of Yin-Yang theory can provide post-modern gender role model. Modern gender role discourse can not provide a proper gender role model which meets the social structural change. The views of Yin-Yang theory includes the assumption of harmonious gender role. And we can construct post-modern gender role model based on harmonious gender role. Third, the approach of Yin-Yang theory can provide a new scheme to recover the limitations of modern gender role discourse. Modern gender role discourse insists that each man and woman has both sexes’ traits. But because this theory is based on the modern world view which postulates the separation of man and woman, this theory has a logical problem. On the contrary, Yin-Yang theory postulates that Yin includes Yang and Yang includes Yin. Therefore, we can recover the limitations of modern gender role discourse. 본 연구에서 연구자는 현대 성역할 담론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음양론陰陽論을 바탕으로 하여 탈현대의 성역할 담론을 구성하고자 한다. 현대 성역할 담론의 문제점은 남녀를 분리․독립된 존재로 인식하고, 남녀관계를 이해관계가 대립되는 것으로 보는 근대적 세계관에 뿌리를 둔다는 것이다. 이에 반해서 음양론은 남녀를 서로 연결되어 있는 조화로운 관계라고 간주한다. 이와 같이 근대적 세계관과는 상이한 남녀관계관에 대한 가정을 바탕으로, 새로운 성역할 담론을 구성할 수 있다. 성역할에 대한 음양론적인 접근에는 다음과 같은 의의가 있다. 첫째, 음양론적인 접근은 성역할의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다. 현대 성역할 담론은 성역할을 고정된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음양론의 관점에서 보면, 성역할은 더 이상 고정된 실체가 아니다. 음양陰陽의 변역變易 논리는 상황 속에서 변화하는 특수와 보편의 관계를 잘 설명해 준다. 이런 논리를 통해서 성역할이 사회적 구성물임을 확인하고, 사회구조적인 변화에 따라서 성역할도 시대의 요구에 맞게 새롭게 변화되어야 한다는 새로운 관점을 형성할 수 있다. 둘째, 음양론적 접근은 탈현대적인 성역할 모델을 제시할 수 있다. 현대 성역할 담론은 사회구조적 변화에 부응할 수 있는 성역할 모델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음양론의 시중時中적인 성역할의 관점은 상황 속에서 변화하는 성역할을 잘 설명해 준다. 그리고 조화로운 성역할의 관점은 상호 보완적인 남녀관계와 성역할에 대한 상호 존중을 추구할 수 있는 탈현대적인 성역할 모델을 제시한다. 셋째, 음양론적 접근은 현대 성역할 담론의 이론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할 수 있다. 현대 성역할 담론은 고정된 성역할에 대한 관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양성성 논의를 주장하고 있다. 양성성을 주장하는 학자들은 각각의 남녀 속에 양자의 특징이 모두 있다고 가정한다. 그러나 이런 주장에는 논리적인 문제가 있다. 남녀가 모두 양성성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면, 최초의 남성적인 그리고 여성적인 특징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에 대한 답을 제시할 수가 없다. 음양론의 음양 상함적相含的인 특징은 이런 문제를 해결하는 대안을 가지고 있다. 음陰은 양陽을, 양은 음을 자신 안에 품고 있다. 남성은 여성을, 여성은 남성을 자신 안에 품고 있다. 이런 음양론의 상함적 관점은 현대 성역할 담론의 양성성을 추구하는 논의가 가지고 있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이론적인 대안을 제시해 준다.

      • KCI등재

        남자대학생의 요가수업 참여 후, 성역할, 성역할 갈등이 자기낙인, 자기공개에 미치는 영향

        김욱기,김남영 한국스포츠학회 2019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7 No.2

        이 연구는 대학 교양체육 수업 중 요가수업에 참여하는 남자대학생들의 성역할과 성역할 갈등이 자기낙인과 자 기공개에 미치는 인과관계를 분석하여 긍정적인 삶의 질로 연관되는 과정의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되는데 연구의 목 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69명의 남자대학생에게 설문지를 회수하여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결과를 살펴보면, 가설1인 ‘남자대학생의 성역할은 자기낙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지배성 요인이 부정적 자기낙 인에 영향관계가 성립되었다. 가설2의 ‘남자대학생의 성역할은 자기공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와 가설 3인 ‘남자대학생의 성역할 갈등은 자기낙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유의성이 성립하지 않았다. 마지막, 가설4의 ‘남자대학생의 성역할 갈등은 자기공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는 성공, 권력, 경쟁의 요인이 위험기대와 유용 성기대에 유의한 영향 관계가 성립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대학생 시기는 성에 대한 긍정적인 이해와 인식이 필요한 시기이며, 남자대학생들에게 요가수업과 같이 여성성이 강할 수 있는 신체활동을 통해 한쪽의 성에 치우칠 수 있는 부정 적인 측면을 분산시켜 줄 수 있는 운동에 참여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ex role conflict and gender role conflict in male college students participating in yoga classes in university physical education classes as an important basic data of positive life quality There is a purpose of the study. To achieve this goal,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269 male college students and used for final analysis. As a result, Hypothesis 1, "Sexual role of male college students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self-stigma" has a negative influence on self-labeling. The hypothesis 2 'sex role of male college students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self-disclosure' and hypothesis 3 'gender role conflict of male college students will positively influence self-stigma'. Finally, Hypothesis 4, 'Sexual conflicts among male college students will positively affect self-disclosur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 expectancy and usefulness expect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period of college students need to have a positive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of gender, and it is important for male college students to be able to distribute negative aspects that can be biased toward one sex by physical activity, It is judged that participation in exercise is necessary.

      • KCI등재

        탈현대적 성역할 담론 구성을 위한 음양론적 접근

        이현지(Lee Hyun-Ji) 동양사회사상학회 2006 사회사상과 문화 Vol.14 No.-

          본 연구에서 연구자는 현대 성역할 담론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음양론陰陽論을 바탕으로 하여 탈현대의 성역할 담론을 구성하고자 한다. 현대 성역할 담론의 문제점은 남녀를 분리?독립된 존재로 인식하고, 남녀관계를 이해관계가 대립되는 것으로 보는 근대적 세계관에 뿌리를 둔다는 것이다. 이에 반해서 음양론은 남녀를 서로 연결되어 있는 조화로운 관계라고 간주한다. 이와 같이 근대적 세계관과는 상이한 남녀관계관에 대한 가정을 바탕으로, 새로운 성역할 담론을 구성할 수 있다.<BR>  성역할에 대한 음양론적인 접근에는 다음과 같은 의의가 있다. 첫째, 음양론적인 접근은 성역할의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다. 현대 성역할 담론은 성역할을 고정된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음양론의 관점에서 보면, 성역할은 더 이상 고정된 실체가 아니다. 음양陰陽의 변역變易 논리는 상황 속에서 변화하는 특수와 보편의 관계를 잘 설명해 준다. 이런 논리를 통해서 성역할이 사회적 구성물임을 확인하고, 사회구조적인 변화에 따라서 성역할도 시대의 요구에 맞게 새롭게 변화되어야 한다는 새로운 관점을 형성할 수 있다.<BR>  둘째, 음양론적 접근은 탈현대적인 성역할 모델을 제시할 수 있다. 현대 성역할 담론은 사회구조적 변화에 부응할 수 있는 성역할 모델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음양론의 시중時中적인 성역할의 관점은 상황 속에서 변화하는 성역할을 잘 설명해 준다. 그리고 조화로운 성역할의 관점은 상호 보완적인 남녀관계와 성역할에 대한 상호 존중을 추구할 수 있는 탈현대적인 성역할 모델을 제시한다.<BR>  셋째, 음양론적 접근은 현대 성역할 담론의 이론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할 수 있다. 현대 성역할 담론은 고정된 성역할에 대한 관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양성성 논의를 주장하고 있다. 양성성을 주장하는 학자들은 각각의 남녀 속에 양자의 특징이 모두 있다고 가정한다. 그러나 이런 주장에는 논리적인 문제가 있다. 남녀가 모두 양성성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면, 최초의 남성적인 그리고 여성적인 특징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에 대한 답을 제시할 수가 없다. 음양론의 음양 상함적相含的인 특징은 이런 문제를 해결하는 대안을 가지고 있다. 음陰은 양陽을, 양은 음을 자신 안에 품고 있다. 남성은 여성을, 여성은 남성을 자신 안에 품고 있다. 이런 음양론의 상함적 관점은 현대 성역할 담론의 양성성을 추구하는 논의가 가지고 있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이론적인 대안을 제시해 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problems of modern gender role discourse and to construct post-modern gender role discourse based on the Yin- Yang theory. The root of modern gender role discourse is the modern world view which postulates man and woman as fundamentally separate being and man-woman relationship as having opposite interests. On the contrary, the Yin-Yang theory regards man-woman relationship as inter-related and harmonious. I will construct post-modern gender role discourse based on the Yin-Yang theory.<BR>  The approach of Yin-Yang theory on gender role is valuable as follows. First, the approach of Yin-Yang theory can provide a new view on gender role. Modern gender role discourse regards gender role as fixed. But if we see gender role based on the Yin-Yang theory, gender role is not fixed entity. Gender role is changed by the social structural change.<BR>  Second, the approach of Yin-Yang theory can provide post-modern gender role model. Modern gender role discourse can not provide a proper gender role model which meets the social structural change. The views of Yin-Yang theory includes the assumption of harmonious gender role. And we can construct post-modern gender role model based on harmonious gender role.<BR>  Third, the approach of Yin-Yang theory can provide a new scheme to recover the limitations of modern gender role discourse. Modern gender role discourse insists that each man and woman has both sexes’ traits. But because this theory is based on the modern world view which postulates the separation of man and woman, this theory has a logical problem. On the contrary, Yin-Yang theory postulates that Yin includes Yang and Yang includes Yin. Therefore, we can recover the limitations of modern gender role discour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