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사회과 성별 차이 대표문항 분석 연구

        김혜숙(HyeSook, Kim)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1 사회과교육 Vol.50 No.2

        본 연구에서는 남학생과 여학생이 사회과의 학업성취에 있어서 성별에 따라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를 밝히기 위해 2009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의 사회과 문항 126개의 성별 정답률 차이와 성별 차이 대표문항을 분석하였다. 성별 정답률 차이의 분석 결과, 초중고 모두 여학생의 성적이 우수한 편이었다. 내용영역 중에서는 일반사회 영역의 성별 차이가 가장 컸으며, 학교급 중에서는 중학교의 성차가 가장 컸다. 성취수준별로는 우수학력의 남녀 차이가 가장 적은 반면, 기초학력의 차이가 가장 컸다. 성별 차이 대표문항의 분석 결과, 남학생은 여 학생에 비해 지리적 위치 정보의 기억에서 우수한 편이었고, 여학생은 남학생에 비해 분석적 사고 및 자료 의미 파악 능력에서 우수한 편이었다. 묻고자 하는 지식 혹은 주제의 범위와 폭이 넓은 경우 남학생이 더 우수하고, 좁은 범위의 사실 및 지식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요구하는 경우 여학생이 더 우수했다. 대체로 정답률이 낮은 고 난도 문항에서는 성별 차이가 크지 않았지만, 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현상과 관련된 내용을 묻고 있는 경우 여학생들의 정답률이 높았다. 본 연구에서 밝힌 성별 차이에 대한 정보는 현장교사들이 성차를 고려한 교수-학습전략을 수립하는데 유용하며, 궁극적으로는 사회과의 학력 향상을 위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study, I analyzed 2009 National Assessment of Evaluation Achievement(NAEA) 126 items to comprehend the gender difference in social studies’ academic achievement. As the results of analysis, the record of female students was excellent in all school levels. Looking into content area, female students‘score of social studies was very excellent at all school level. The biggest achievement difference depending on gender was found in the middle school. Looking into achievement level, the gender difference was small in ‘advanced level’, ‘below-basic level’ and was the biggest in ‘basic level’. As the result of analysis about the representative items, when the items were to remember location information or to synthesize a broad knowledge, male students‘score was higher than female students’ score. But female students were more excellent than male students when they were asked the analytical thinking or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material and were needed the precise recall of relatively narrow scope‘s fact and knowledge. Generally, gender difference was small in difficult items. But the correct answers percentage of female students was higher than males’ in the items to ask real life‘s event or familiar contents. This information may be useful when the social studies’teachers intend to build the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considering the gender difference. And this result ultimately will be able to use by data for improving of social studies‘ academic achievement.

      • KCI등재

        과학교육에서의 성별 차이 현황과 해결 방안

        최경희,신동희,이향연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08 여성학논집 Vol.2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rstly to analyze the gender difference in science achievement and the attitude towards science among regular students and gifted students; secondly, to examine the facts on the ratio of women in science and engineering and further explore efficient strategies to reinforce women's participation in the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 As results, there was an evident gender difference in science education in terms of science achievement and attitude towards science. This also contributed to a lower rate of female students majoring in natural science and engineering. The lack of a role model for women scientists and engineers effects a lower rate of female students who pursue further studies in science and engineering in graduate school.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ere has to be substantial government action, a change of attitude towards women in science and technology and efforts to improve the gender factors in teaching/learning in the science education curriculum. 이 연구에서는 과학교육에서 나타나고 있는 성차의 실태를 분석하고 성차 해결을 위한 정책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남녀 학생의 과학성취도와 태도에서 나타나는 차이와 이러한 차이를 만드는 교육적 요인을 일반 과학교육과 영재 과학교육 현황을 통해 분석하였다. 또한 우리나라 여성과학기술인력의 실태를 진단하고, 과학기술 분야에서 성차 해소를 위한 국내외 정책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 과학교육에서는 남녀 학생의 성차가 명백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수학·과학 영역의 국제비교연구인 TIMSS와 PISA에 의하면 우리나라 학생의 성차는 다른 참가국에 비해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였다. 이러한 현상은 성취도뿐 아니라 태도 영역에서도 일관되게 나타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과학에 재능과 흥미가 있는 여학생은 과학기술 분야로의 진학과 직업선택을 포기하기도 한다. 결과적으로 이공계 대학 및 대학원에 진학하는 여학생의 비율이 낮아지게 되며 여성과학기술인력의 부족이 심화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 여성과학기술인의 경우, 정규직 교수는 10%대, 책임급 연구원 이상의 비율은 한 자리수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여성과학기술인력의 부족은 과학기술 분야에서 여성의 역할 모델을 축소시킴으로써 다시금 과학교육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형태로 순환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과학 교육과정과 교수학습에서 성차 개선 노력, 과학기술과 여성에 대한 인식전환을 위한 사회적 노력, 국가 차원의 지원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사회적 지원이 일-가족 갈등 및 일-가족 촉진에 미치는 영향 : 남녀 간의 인식차이를 중심으로

        원숙연,박지원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09 여성학논집 Vol.26 No.2

        The rapid changes in the composition of families and the workforce have made the relationships between work and family increasingly important. In response to these changes, many organizations, especially in the Korean public sector, have implemented programs or policies to accommodate conflicting needs from work and family. However, it is doubtful if the various policy measures for work-family reconciliation fulfill the needs in reality, in terms of policy formalism. In order to identify the gaps between policy rhetoric and reality, social and informal supports for work-family reconciliation need to be given attention. In this context, this study explores the substantial effects of informal social supports on the work-family interface, paying special attention to gender differences and marital status. The work-family interface consists of work-family conflict and work-family enhancement. Additionally, social and informal supports for the work-family interface have three sources; that is, from supervisors, co-workers, and organizational climate. In particular,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civil servants in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in social supports and the work-family interface. The level of social supports for men was higher than women. Moreover, women reported a higher level of work-family conflict. Second, in every facet, married women experienced in the hardest conditions. They reported the highest level of work-family conflict and a lower level of social supports. Third, organizational supports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 of work-family conflict. Likewise, supports from co-workers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 of work-family facilitation(->enhancement). These findings have certain implications. First, different strategies should be applied. That is, in planning policy measures, gender differences should be considered. Especially the differentiated conditions faced by married women need to be seriously taken into account. In addition, the organizational culture or climate can either advance or thwart the fectiveness of work-family programs. Family-friendly policy or programs should be directed towards changes in organizational culture or climate. 현실적으로 일-가족은 분리될 수 없는 상호의존적 영역임에도 불구하고 노동시장의 구조와 관행은 이들이 분리 가능하다는 전제에 입각해 있다. 이러한 현실과 관행사이의 간극으로 인해 조직 구성원은 갈등 상황에 노출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조직의 일-가족 양립을 돕기 위한 사회적 지원(social support)이 일-가족 갈등(work-family conflict) 및 일-가족 촉진(work-family enhancement)에 어떻게 작용하는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일-가족 양립을 위한 사회적 지원과 일-가족 갈등, 일-가족 촉진의 관계에 관한 기존의 이론적 논의를 정리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동료지원, 상사지원, 조직지원으로 구성되는 사회적 지원이 갈등과 촉진에 미치는 영향력을 추적하는 과정에서 남성과 여성 모두의 경험을 반영하는 성별차이에 특히 주목하였다. 실증연구를 위하여 서울시 25개 구청에 소속되어 있는 750명의 남녀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경험적 연구결과, 사회적 지원과 일-가족 갈등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현격한 성별차이가 존재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사회적 지원을 구성하는 동료, 상사, 조직 등 모든 차원에서 여성은 남성에 비해 낮은 수준의 지원을 받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일-가족 갈등은 남성에 비해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또한, 일-가족 양립을 위한 사회적 지원에 있어서 결혼이나 자녀유무가 갖는 의미가 성별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음도 확인하였다. 즉 남성은 혼인상태나 자녀유무에 따른 집단 간 차이가 크지 않은데 반해 여성에게 있어서 결혼은 집단 간 차이를 발생시키는 매우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사회적 지원을 포함한 다양한 요소가 일-가족 갈등과 촉진에 미치는 작용경로를 살펴본 결과, 일-가족 갈등에 가장 중요한 영향요인은 조직지원임이 나타났다. 무엇보다 여성의 경우, 결혼유무가 일-가족 갈등에 중요한 영향요인이지만 남성에게는 그렇지 않았다. 일-가족 촉진의 경우, 남녀 모두 동료지원이 강한 영향을 미치는데 남성의 경우는 상사의 지원도 한정적이나마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가 여성인력의 효과적인 활용 및 양성평등에 갖는 의미를 젠더관점을 통해 논의하였다. 이를 기초로 향후 연구 방향도 함께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情意的 領域을 부과한 漢文科 授業이 학업성취도 및 情意的 領域에 미치는 효과

        이미애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08 漢字 漢文敎育 Vol.2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earning effect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affective domain (practical attitudes for living, learning attitudes, self-esteem and schoolmate relations) in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of the Junior high school. To achieve the purpose of study, the following problems were formulated. First, Which is more effective in academic achievement on the traditional teaching method or the affective teaching method which emphasized the affective domain along with the traditional teaching method in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of the Junior high school? Second, Which is more effective in the affective domain on the traditional teaching method or the affective teaching method which emphasized the affective domains along with the traditional teaching method in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of the Junior high school? Third, When the effective teaching method which emphasized the affective domain along with the traditional teaching methods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is more affective in the affective domain on the low, middle or high academic achievement group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for attaining the purpose of study, the classe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e traditional teaching method was applied to the control group, but the affective teaching method which emphasized the affective domain along with the traditional teaching method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The questionnaire by Likert measurement as a test method was used. The respondence from the questionnaire were processed in SPSS/WIN 10.0. On the basis of the study results, we found that the affective teaching method was more effective than traditional teaching method for increasing th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growing the student's affective domain such as practical attitudes for living, learning attitudes, self-esteem and schoolmate relation. Thu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affective teaching method in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should be promoted as a means of the formating student's sound view of value and warm human nature from elementary school. 본 연구는 중학교 3학년 남녀학생들에게 건전한 가치관과 올바른 인성을 길러 주기 위해 정의적 영역이 부가된 한문과 수업을 하고 이 수업으로부터 정의적 영역과 학업성취도에 어느 정도 영향이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밝혀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가설설정과 함께 중학교 3학년한문교과서에서 정의적 학습요소를 추출하여, 이를 수업에 적용하였으며, 정의적 영역 전체 및 각 영역별 성별효과와 학업성적차이에 따른 학습효과를 나누어 살펴보았다. 표본은 중학교 3학년 남녀공학 2개 학급을 대상으로 각각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에서는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학업성취도 사후검사 평균점수가 4.3294점 더 높게 나타났다. 정의적 영역 전체에 미치는 효과에서는 실험집단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효과에서는 실험집단 남학생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영역별로 한문에 대한 學習態度 전체 효과에서는 두 집단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효과에서는 실험집단 여자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自我尊重感 전체 효과에서는 두 집단 중 실험집단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효과에서는 두 집단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生活態度와 交友關係 전체 및 성별효과에서는 두 집단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성적 차이에 따라 정의적 영역 전체 및 남녀별로 미치는 효과에서는 각 집단간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전체 효과에서 상위성적집단이 더욱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효과에서도 남녀 모두 상위성적집단이 제일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학업성취도와 학업성적차이를 고려하지 않은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에서는 실험집단 학생들이 통제집단 학생들보다 더욱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효과에서는 여학생보다 남학생들이 더욱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업성적차이를 고려한 정의적 영역 전체 및 성별효과에서는 학업성적이 하위 및 중위성적집단보다 상위성적집단이 제일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 대학생 성격 속성 및 위험기피도의 성별 차이에 관한 실험연구와 그 노동 및 교육 정책적 함의

        이진권 ( Jinkwon Lee ) 텔코경영연구원 2022 텔코 저널 Vol.10 No.-

        본 연구에서는 495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수집된 실험 데이터를 활용하여 빅 파이브 성격 속성에서의 성별 차이와 위험기피도에서의 성별 차이의 관련성을 분석한다. 성격 속성과 위험기피도가 청년층의 취업확률 및 임금 등에 영향을 준다는 많은 선행연구들을 고려할 때, 성격 속성과 위험기피도에 있어서의 성별 차이의 관련성을 파악하는 것은 성격 속성 및 위험기피도 성별 차이에 의해 노동시장 성과의 성별 격차가 발생하는 메카니즘을 규명하는 데 있어서 중요하며, 따라서 해당 문제에 대한 정책 방향 수립을 위해서도 중요하다. 특히 성격 속성 중 경험에 대한 개방성의 성별 차이가 위험기피도 성별 차이에 의해 매개될 수 있다는 본 연구의 결과는, 개방성과 위험기피도가 청년층 취업확률 및 임금에 있어서의 성별 격차에 영향을 미치는 한 메카니즘을 제시함으로써 노동시장 성과에서의 성별 격차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성격 속성 및 위험기피도 성별 차이를 해소할 수 있는 유청소년기 교육 정책이 또한 필요함을 제안한다. We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differences in Big Five personality traits and risk attitudes, using data collected in two independent experiments for Korean university students (N=495). Given that both personality and risk attitude can affect an employment probability and wage, clarifying the relationship is important for setting a policy for resolving a gender difference in job market performances. We find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in personality traits except extraversion, and a possibility that a gender difference in risk attitude mediates a gender difference in openness. Based on this finding, we suggest a mechanism by which gender differences in openness and risk attitudes may cause gender differences in job market performances. Our results support that early age educational policies reducing gender differences in personality traits and risk attitude would be important for resolving a gender difference in labour market performances.

      • KCI등재

        대학생의 도박 중독에 관한 연구

        신현주 한국사회안전범죄정보학회 2015 한국범죄정보연구 Vol.1 No.2

        이 연구는 대학생의 도박 중독에서의 성별 차이를 자기통제이론으로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대학생들의 도박 중독 유병률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를 자기통제이론으로 어떻게 설명 하는지 살펴본다. 그리고 조사된 자료를 통하여 도박 중독에서 성별 차이를 파악하고 자기통제이 론으로 검증이 가능한지 분석하고 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대학생의 도박 중독에서 성별의 차이가 존재하는지, 이러한 차이가 자기통제이론으로 설명이 가능한지, 그리고 성별 차이에 따른 도박 중독을 예방하기 위한 정책적 제언을 하고자 한다.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방법은 연구자의 편의표집방법에 의해, 강원도 내 2개의 지역 도시에 소 재한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1, 2, 3, 4학년생 265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방법을 통하여 수집하였다. 도박 중독에서의 성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및 회귀 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도박중독에 있어서 성별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통제이론에 서 주장한 바와 같이 성별에 따른 자기통제력의 차이가 검증되었다. 하지만 여학생의 저위험 도 박 수준에서만 자기통제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의 도박 중독 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성별에 따라 그리고 중독 수준에 따른 특화된 예방 정책의 마련이 필요하 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ability of self-control theory to account for the 'gender gap' in gambling addiction. The data that we have analysed here were obtained from a self-reported survey conducted in Kangwon area. The sample consists of a total of 265 University students. and analysis results were test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ng. In this study, the results indicate that gender is significantly related with gambling addiction, thus these data reveals the presence of a gender gap with males being more problem gambling. And we found that self-control is related significantly with both male and female gambling addiction. Focusing on such results, the author discussed meaning,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 KCI등재

        성별 및 출산이 기업가정신에 미치는 영향: 여성 기업가정신 활성화 방안에 대한 함의

        추승엽,공혜원 한국벤처창업학회 2019 벤처창업연구 Vol.14 No.5

        The entrepreneurship can be a source of national growth potential as behavioral tendencies of people who seek innovation, take risks of failure, and proactively respond to opportunities. In particular, in the economic situation of Korea where growth has been stagnated,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entrepreneurship of women which is relatively lower than men’s in order to activate the start-up and economic participation of the whole people. In this regard, this study focuses not only on gender differences in entrepreneurship but also on the hidden impact of social contexts that cause gender differences in entrepreneurship.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s of childbirth, a factor that reflects the social context of Korea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der and entrepreneurship.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model that includes the interaction effect of these variables in addition to the independent effects of gender and childbirth, the gender effect disappeared, while the significant effect of both the childbirth variable and the interaction variable of gender and childbirth were confirmed. Furthermore, according to additional analysis, which identified the differences in entrepreneurship by creating four types of treatment groups based on gender and childbirth status, entrepreneurship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female and childbirth' group than in all other groups.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maining treatment group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ifferences in entrepreneurship levels between men and women overlap not with the unique trait of men and women, but with the social contextual effects of Korea, where women are under the full burden of childbirth and parenting. This study suggests implications that effective policy measures to promote women's entrepreneurship or economic activity should be taken by taking into account the social context of Korea that suppresses women's entrepreneurial behavior. 국가의 기업가정신은 혁신을 추구하고 실패 위험을 감수하며 진취적으로 대응하여 기회를 선도하려는 보편적인 국민 개인들의 행동성향의 정도로서 국가 성장 잠재력의 원천이 될 수 있다. 특히 저성장이 고착화되고 있는 한국의 경제상황에서는 전체 국민의 창업 및 경제활동참여를 활성화시킬 수 있도록 남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으로 나타나는 여성의 기업가정신을 제고시켜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단순히 기업가정신 수준의 성별 차이 자체에 주목하는 것이 아닌 기업가정신의 성별 차이를 발생시키는 사회적 맥락의 숨겨진 영향력에 초점을 두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성별과 기업가정신 수준 간 관계에 있어 한국의 사회적 맥락을 반영하는 요인인 출산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실증분석결과에 따르면, 성별 및 출산의 독립적인 효과 이외에 이들 변수들의 상호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검증한 모형에서는 성별 효과가 사라진 반면, 출산 변수와 성별 및 출산의 상호작용 변수의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또한 성별 및 출산여부를 바탕으로 네 가지 유형의 처리집단을 생성하여 기업가정신의 차이를 검증한 추가분석결과에 따르면,‘여성 및 출산’집단이 다른 모든 집단에 비해 기업가정신이 유의하게 낮았으며, 나머지 처리집단들 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일반적으로 관찰되는 성별 간 기업가정신 수준의 차이에 있어서는 남녀의 고유한 특성 자체가 아닌 자녀출산 및 육아부담을 여성이 전적으로 감당하는 한국의 사회적 맥락 효과가 중첩되어 있음을 의미하고 있다. 본 연구는 여성의 기업가적 행동 성향을 억제하는 한국의 사회적 맥락을 고려함으로서 여성의 창업 또는 경제활동참여 활성화를 촉진할 수 있는 실효성 있는 정책 방안 마련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 성별 차이에 대한 고찰

        김현진 광신대학교 2009 光神論壇 Vol.18 No.-

        이 연구의 목적은 소논문과 책들에 나와 있는 성역힐의 관점에 대해 요약하고 통합하고자 하는 것이다. 성역할 차이에 대한 사회적 역할과 생물학적 설명에 대한 견해들이 진술되어 있고, 또한 성경적 관점 에 대해서도 논의가 되고 있다. 많은 커플들이 정서적인 학대나 배우자의 성을 이해하지 못함으로 인한 갈등을 경험하고 있다. 또한 성역할과 성정체감에 대한 잘못된 인식으로 인한 동반 의존성으로 인해 갈등을 경험하고 있다. 커플들은 많은 차이를 가지고 결혼하게 된다 . 예를 들면, 원가족의 차이, 서로 다른 기대들, 의사소통이나 자녀양육의 관점의 차이, 그리고 기능적 관계에 대한 이해의 차이 등을 가지고 결혼하게 된다. 이런 차이들 중에 어떤 것들은 성역할에 기인한 것이며 갈등으로 이끌기도 한다. 만일 부부들이 이런 차이들이 성역할이나 성 (sex) 에 의한 것이란 것을 이해한다면, 그들은 부부관계의 불만족을 줄이는데 있어서 도움을 얻게 될 것이다.

      • KCI등재

        A Study on Gender Differences in Korean Students’ Foreign Language Learning: Effects of Gender on Oral Proficiency Improvement across Proficiency Levels

        Kim, Na-Young(김나영)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5

        본 연구는 성별의 차이가 외국어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것으로, 국내 IT 전공학과 재학생을 대상으로 그들의 외국어 능숙도를 초급, 중급, 고급으로 나눈 뒤, 성별에 따라 외국어 말하기 능력 향상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는 경기도 소재의 한 대학에서 외국어로서의 영어 수업을 수강하고 있는 204명의 대학생이 참여하였으며, 그 중 남학생은 100명, 여학생은 104명이었다. 총 16주 동안 모든 참가자들은 일주일에 한번씩 3시간동안 외국어 수업을 들었고, 수업 전후 성별에 따라 외국어 실력 향상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사전 및 사후 시험을 보았다. 또한 외국어 학습에 대한 인식과 경험에도 성별 차이가 존재하는지 파악하기 위해 인터뷰 역시 진행하였다. 주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국내에서 외국어를 배우는 것은 고급 수준의 남학생을 제외한 모든 능숙도 수준의 남학생과 여학생에게 효과적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초급 및 중급 수준에서는 외국어 말하기 능력 향상에 대한 성별의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고급 수준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높은 점수를 받아 외국어 학습에 대한 유의미한 성별 차이를 보였다. 인터뷰 결과, 외국어 학습에 대한 반응 역시 전반적으로 긍정적이었지만 성별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었다. 본 연구는 국내 외국어 교사들이 어떻게 해야 학생들을 성별과 능숙도에 따라 도울 수 있는지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s of gender differences across proficiency levels on foreign language learning among Korean students majoring in IT at a university in Korea. Participants were 204 students (100 males and 104 females) who enrolled in a 16-week class to improve their English oral proficiency in 2017.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ir improvement, the participants took an OPIc test as pre- and post-tests. Interviews were then performed to understand their perceptions of and experiences with foreign language learning. Paired samples t-tests and independent t-tests were administered to examine the changes between the pre- and post-tests and to determine gender differences in foreign language learning. The qualitativ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content analysis method. Findings reveal that foreign language learning in Korea is effective for both genders at all proficiency levels, except for male students at advanced level. No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were observed at novice and intermediate levels. However, at advanced level, female students performed better than male students. An analysis of interview results was positively observed although there were some differences by gender. The current study provides insights on how foreign language teachers can help their students according to gender and proficiency.

      • KCI등재

        학력성취의 계급별ㆍ성별 차이

        장상수(Sang-Soo Chang) 한국사회학회 2004 韓國社會學 Vol.38 No.1

        학력성취에 관한 선행연구가 발견한 경험적 규칙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력성취의 계급별 차이는 거의 모든 나라에서 감소하지 않았다. 스웨덴과 같은 소수의 국가들만이 예외적이었다. 둘째, 학력성취의 성별 차이는 1970년대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이 글은 한국에서 학력성취의 계급별ㆍ성별 차이의 유형과 경향을 살펴보고, 이를 위와 같은 경험적 규칙성과 비교하고자 한다. 한국에서의 발견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남자의 경우 학력성취의 계급별 차이는 교육체계의 급속한 팽창에도 불구하고 감소하지 않았다. 그러나 여성의 경우 가족배경의 영향력은 도리어 증가하였다. 둘째, 지난 수십 년 동안 학력성취의 성별 차이는 거의 모든 이행단계에서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다만 고등학교에서 4년제 대학으로 이행하는 단계에서 이 감소는 가족배경에 따라 불균등하게 이루어졌다. 이 단계에서 성별 차이는 아버지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더욱더 크게 감소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수요측면에 초점을 맞춘 선행 가설과 부분적으로 일치하지만, 부분적으로 일치하지 않는다. 이 글은 한국 사회의 경험적 현실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공급측면의 요인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The general empirical regularities that previous research on educational attainment has found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lass differentials in educational attainment have not decreased over time in almost all countries. Only a few countries such as Sweden served as exceptions. Second, gender differentials have steadily declined across cohorts since 1970s. This paper looks into the patterns of and changes in class and gender differentials in educational attainment in Korea, and compares them with these empirical regularities. The findings from Korea are as follows: First, class differentials in the case of men have not decreased despite a rapid expansion of the educational system. In the case of women, however, the effects of father’s education on completing a four-year university have rather increased during the past decades. Second, gender differentials in educational attainment have steadily declined in almost all transitions, although these reductions have been unequal among the different social groups. The decline of gender differentials has been more prominent in daughters of highly educated parents. These findings cannot be fully explained by the existing hypotheses, which focused on demand-side factors. This paper suggests that supply-side factors should be considered for empirical facts in Korea to be properly understoo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