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대설치미술에서 오브제의 공간 확장에 따른 조형 표현 연구

        김현진,최주현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2019 조형디자인연구 Vol.22 No.4

        설치미술은 1960년대부터 미니멀리즘 이후 대두되기 시작한 미술의 한 장르로 주로 특정한 공간이나 장소를 위해 만들어진 입체작품을 말한다. 1970년대 비엔날레를 통해 미술사에서 처음으로 하나의 장르로 부각되기 시작하였고 이를 시작으로 오늘날까지 다양한 실험적인 사고를 통해 그 범주를 점차 넓혀가고 있다. 설치미술은 관람자의 직접적인 참여를 통한 관람자의 체험, 경험 등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이러한 장르적인 특징은 관람자의 직접적인 소통을 통하여 작가의 작품을 이해하는 데 있어 효과적으로 작용하게 되었다. 이러한 특징은 다양한 소재 즉 오브제를 통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오브제는 단순히 설치미술의 재료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작가와 관람자간의 교감을 제공하는 중요한 매개체로서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설치미술의 발전은 오브제의 발전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최근에도 설치미술은 다양한 실험적인 사고를 통해 그 범주를 점차 넓혀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미술의 한 장르로 발전하고 있는 설치미술의 개념을 살펴보고 오브제의 정의와 그 변화에 따른 설치미술의 발전과정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째, 설치미술의 기원과 개념 및 오브제에 대하여 문헌 고찰을 시행하였다. 둘째, 설치미술의 시대에 따른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작가들의 작품과 이에 사용된 오브제의 특징적 변화를 관람자와의 소통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셋째, 표본작가로 에르네스토 네토(Ernesto neto, 1964~)를 선정하여 그의 대표적인 작품들을 분석하고 그의 작품이 설치미술의 발전에 끼친 영향에 대해 오브제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최근 설치미술의 동향 및 발전 방향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설치미술에서 오브제의 역할 및 그 중요성에 대하여 살펴봄으로써, 향후 다양한 오브제의 적극적인 활용을 통해 작가와 관람자들이 소통하고 참여하는 설치미술의 확장을 기대한다. Installation Art is a genre of art that began to emerge after minimalism in the 1960s, mostly three dimensional works created for a particular space or place. It first began to emerge as a genre in the history of art throughout biennale in the 1970s and has gradually expanded its boundary through a variety of experimental thinking to this day. Installation Art values the viewer's undergoing and experience through direct participation by the viewer, and these genre features have become effective in understanding the writer's work through direct communication by the viewer. These characteristics are achieved through a variety of materials, or objects. Therefore, the object will not simply be limited to materials of Installation Art, but will serve as an important medium for providing interaction between the writer and the viewer. For this reason, the development of Installation Art is closely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object, and has gradually expanded its category through various experimental think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cept of Installation Art that is developing into a genre of Modern Art, and also the definition of an object and the development of installation art as a result of the change. First,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on the origin, concept of Installation Art, and definition of an object. Second, to see the changing times of Installation Art, the characteristic changes of the artists’ works and the objects used were analyzed around communication with the viewer. Third, I selected Ernesto Neto as a sample writer and analyzed his representative works and considered the effects of his work on the development of Installation Art around the object. Based on these details, we also looked for recent trends in Installation Art and its development directions. Through this study, we look at the role and importance of the object in Installation Art and look forward to the expansion of Installation Art in which writers and viewers interact and participate through active use of multi-sensory objects in the future.

      • KCI등재

        객체와 주체로서의 오브제 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

        김연희,정우용 한국기초조형학회 2022 기초조형학연구 Vol.23 No.2

        테크놀로지의 발달로 다양한 매체와 결합하여 관람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확장시키며 예술적 기호로사용되고 있는 오브제는 지속적인 확장 가능성에 대한 연구 필요성이 대두된다. 본 연구는 관람자가경험하는 오브제를 통해 관객과 오브제와의 커뮤니케이션 과정을 분석하여 오브제의 개념 확장 가능성 제시를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오브제의 정의와 개념 확장에 대한 시대별 특징을 파악하고 개념 확장에 의해 변화하는 전시 방식과 오브제와 관람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의 변화를 알아본다. 올라퍼 엘리아슨(Olafur, Eliasson)의 공간을 활용한 설치작품을 분석함으로써 관람자가 경험하는 오브제를 객체와 주체로서 분류하였다. 그리고 연구자의 작품을 관람하는 관객을 관찰하면서 경험하는 오브제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3차원 공간을 사용하는 설치 작품에서의 오브제 개념의 확장은 설치된 작품을 바라보는 관람자가 있는 것과 없는 것을 관찰하면서 관람자가 오브제 공간 안에서 또 다른 오브제의 역할을 담당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설치작품의 공간이라는 오브제 안에서 관람자는 오브제화 된 관람자를 보며 주체로서 오브제를 체험하는 태도를 관찰할 수 있다. 셋째, 오브제 공간 안에서 작품을 체험하고 있는 오브제화 된 관람자가 또 다른 오브제가 되는 것을 관찰함으로써 오브제 개념의 확장에 접근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공간을 사용하는 설치작품을 통해 관람자가 오브제를 경험하는 행위가 또 다른 오브제가 되는 것을 관찰함으로써 오브제와관객과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오브제 개념의 확장성을 제시하는 것에 그 의의를 둔다.

      • KCI등재후보

        설치미술의 장소성에 나타나는 다중 내러티브

        고경호(Ko, Kyung-ho),이현아(Ee, Huna)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1 조형디자인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설치미술이 장소성의 의미변화를 통해 어떻게 다중의 서사성으로 확장하게 되는지에 대해 다룬다. 이를 위해 먼저 현대미술에 나타나는 장소성과 그것의 시대별 변화를 통해 알아본다. 오늘날 예술은 다양한 매체를 통해 표현 방식의 확장을 시도함과 동시에, 다양한 장소에서 예술의 공간성의 지평을 확장하는 실험을 거듭해왔다. 이러한 과정에서 작품을 해석하는 의미화의 장 역시 확장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미술사 상에서 의미 확장의 소재적 출발점인 오브제 개념의 도입에서 보이는 언어적 확장성을 확인하고, 이어 장소성과 공간적 구성 요소들의 분석을 통한 설치미술의 의미 확장 가능성과 그에 따른 서사성을 살펴본다. 이어서 본고는 설치미술 작가들의 작품의 구체적 사례를 통해 설치미술이 장소성의 변화와 함께 작품의 의미화 방식이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함께 살핀다. 오브제 도입을 중점으로 그것이 갖는 다의성을 살피고, 작품과 설치장소 사이에 발견되는 다성성의 개념을 확인해본다. 또한 이러한 다성성의 원리가 설치된 공간 안에서 어떻게 의미 분화되는지 기존 설치 작품의 예를 통해 알아본다. 이렇게 설치미술이 갖는 공간 구성 방식의 발전 과정을 분석함으로써 설치미술의 새로운 미학적 해석 가능성을 열고, 결론적으로 다양한 매체의 설치가 가져오는 서사성의 확장을 짚어본다. 설치미술은 무엇보다도 지금까지의 순수 입체 조형 예술에 이용되어온 장소성과 관객의 능동적 해석이 결합하는 가운데 일어나는 서사성의 확장을 바탕으로 성찰되어야 한다. This study examines how contemporary installation art expands its multi-narrative through changing meaning of its site-specificity. To do so, I look into site-specificity in the contemporary art and its historical changes. Today not only art has tried to expand its expression by applying various media, but also it has attempted its experiments of expanding its space in various venues. These experiments have also broadened textuality of art work. Thus this study will first research on linguistic expansion which newly introduced concepts of object in art history resulted in, and then explore its possibility of expansion of meaning in installation art and its narrative by analysing site-specificity and elements of space. Then by looking at various installation art works, this study examines how objects develop various meanings based on space. Focused on introduction of object, this study will review its diverse meanings and examine the concept of its ambival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work and its space. Also by looking at some installation art works, I will explore how this ambivalence will be divided into various meanings. In doing so, this study will explore how installation art develops its various ways to construct its space and thus open up for new possibilities of aesthetic interpretation in installation art and confirm the expansion of narrative in installation art through introducing various media. More importantly, installation art should be considered in terms of the expansion of its narrative brought out by combination of site-specificity and active interpretation of the audience.

      • KCI등재후보

        엮기의 조형을 통한 "매달기" 설치오브제의 생명 개념에 관한 연구 - 박홍필의 작품을 중심으로

        박홍필 ( Hong Pil Park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5 예술과 미디어 Vol.14 No.3

        박홍필의 매달기의 조형개념은 설치미술의 영역을 확장하는 작업으로서 인체에서 벗어나 생물과 인간 사고의 대상인 사물과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생명의 실체를 탐구하고 있다. 박홍필의 ‘엮기’는 들뢰즈의 리좀과 같이 인간과 자연의 생명들을 보이지 않게 연결시키는 망을 표현하고 있다. 엮기는 지속적인 반복을 통하여 형태를 만들어 내며, 형태는 원초적인 단순한 고리의 형태를 벗어나 새로운 형태를 만들어 낸다. 이러한 형태는 들뢰즈의 리좀의 개념과 같이 형태와구조상에서 위계적이지 않고 어느 것이 먼저고 어느 것이 나중이라는 개념으로서 원초적인 단순한 고리의 형태를 벗어나 새로운 형태를 만들어 낸다. 박홍필의 매달기의 조형 개념은 엮기의 오브제의 개념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박홍필의 조형 개념은 공산품보다는 자연 재료를 소재로 가느다란 그물망으로 제작한 엮기의 오브제에서 비롯된다. 박홍필의 엮기 오브제와 매달기의 조형 개념은 엮기의 형태가 끊임없이 반복되며, 바람에 흔들리는 순간 움직임이 있으며 관람자가 그 앞을 지나는 순간에도 움직임이 있다. 그렇기에 박홍필의 엮기의 오브제는 니코스 스탠코스가 현대미술의 특징이라고 말한 ‘우연’의 요소를 지니고 있다. 엮기 오브제의 매듭에 있는 원형의 사각형과 설치를 통해 생기는 그림자의 형태 또한 박홍필의 매달기의 조형 개념을 구성하는 주된 요소이다. 원형의 사각형은 생명체의 상징을 의미하며, 그물망은 생명체 간의 보이지 않게 연결되어 있는 유기적인 선들을 표현 한 것이다. 그림자는 생명체의 죽음 이후의 세계 이다. 이러한 조형의 상징은 들뢰즈의 개념을 수용하였으며, 살아있는 생명의 이미지를 상징적으로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그것은 들뢰즈. 가타리의 생명의 개념을 차용한 것으로써 생명인 동시에 죽음으로써의, 생명의 실체라고 말할 수 있는 데, 들뢰즈의 의미에서 해석하자면 이 신체나 저 신체의 죽음은 전혀 부정적인 것이 아니며, 유기체의 죽음이 없다면 변화도 진정한 생명도 그 근본적인 의미에서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즉 박홍필의 매달기의 조형 개념은 인체에서 벗어나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생명의 실체를 엮기의 오브제를 통해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이며, 현대 미술의 주된 주제가 되는 생명의 개념을 인간 중심에서 벗어나 생물을 비롯하여 인간사고의 대상인 사물과 죽음이후의 세계까지 확장하고 있는 것이다. Park Hong-pil, whose modeling conception of Hanging is the extending work for the installation art. I have made a study for the true of life on connecting to the organism with free to human``s body and the object on the subject with human``s thought.My ``weaving`` which is expressed as the net on connecting the human as like Gilles Deleuze’s ``rhizome`` to life of nature invisibly. ``Weaving`` has to create forms trough the repetition continuously and forms has to create another new forms departing from the form, that is basic and simple linked with. This form,as like the conception of rhizome by Deluze,is not hierarchical on the form and the structure as like the conception, also, that is creat to new form depart form the basic, simple link with as the concept what comes first or later. The modeling conception of ``hanging`` by Park Hong pil means closely related to the conception of ``weaving`` object. My modeling concept derived from the woven object with thin nets made of natural materials, not from any industrial products. I have incarnated both of my modeling concepts of hanging and weaving with recurring square nets. Moreover, there are the movent at the moment when the wind blows, also, they repetitively move back and forth and even when a viewer passes in front of thework, the square nets also move. This explains that my work depends on the element of ``contingency`` Nikos Stangos referred to as one of the hallmarks of Contemporary art. The shadows shifting every minute by the movement of woven and suspended squares and nets are also a primary element of shaping on Park’s modeling concept of hanging. The squares in my works stand for life while the nets stand for organic lines invisibly linking life forms to one another. The shadows are the world after death for life. These modeling symbols are founded on the notion Deleuze underlined, symbolically representing the image of living bodies. They are also based on the notion appropriated from Deleuze and Guattari’s concept of life, referring to the nature of life. In Deleuze’s view, the death of bodies is by no means negative: it means that in an elemental sense any change and life would not exist without the death of organisms. That is, Park’s modeling concept of hanging is to represent the true of life on connecting to the organism and the object on the subject with human``s thought and the world after death for life.

      • KCI등재

        타라 도노반의 반복적 집적과 일루전의 해방

        장지희(Chang, Jee Hui),김재도(Kim, Jae do)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7 조형디자인연구 Vol.20 No.4

        본 논문은 미국 뉴욕을 기반으로 세계적으로 활발하게 활동을 하고 있는 설치미술 작가 타라 도노반(Tara Donovan, 1969-)의 작품을 ‘일상 오브제의 반복적 집적’과 ‘자연 과정의 모방, 해방된 일루전’ 이라는 관점에서 다룬 연구이다. 현대 미술에서 오브제의 도입이 설치미술의 등장에 미친 영향 관계를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타라 도노반의 작품을 연구하였다. 타라 도노반의 작품은 형식적인 측면에서 일상적인 오브제를 선택하고 무수한 양을 반복적으로 집적하여 제작된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이때 집적의 방식이 갖는 특성은 작가의 의도가 최대한 배제되고, 오브제의 물질적 특성에 기인한 생성 원리와 우연에 의거한다는 것에 있다. 도노반의 반복적인 작업과정은 생명 체가 성장하는 듯한 유기적인 형태를 낳게 되는데, 이는 공간 속으로 무한히 성장할 수 있는 확장의 속성을 지니고 있다. 그는 자연을 충실하게 재현하기 보다는 유사 일루전을 형성하는 생성의 법칙을 적용한다. 일상의 재료와 집적의 과정을 통해 발아, 성장, 죽음과 같은 반복적으로 순환하는 자연의 과정을 암시하게 된다. 그는 작품 제작 과정과 재료를 있는 그대로 노출시킴으로써 팝, 미니멀리즘, 포스트 미니멀리즘 계열을 계승하면서, ‘집적’이라는 생성적, 확산적 방식을 도입하여 전통적 의미의 재현과 일루전의 족쇄에서 미술을 해방시킨다. 더불어 자연으로부터 추출되어 무분 별하게 사용되고 버려지는 것들이 만들어 놓은 허상의 자연을 작품으로 보여줌으로써 환경과 사회에 대한 메시지를 전달함에 의미를 갖고 있다. This study explores installation works of artist Tara Donovan(b. 1969-) who actively works without boarder based on New York United States in terms of ‘repetitive accumulation of daily necessaries’ and representation of ‘the improvisation of nature, liberation of the illusion.’ In contemporary art, the introduction of objects influences the effect of the introduction of the installation art and based on this analyze and research Tara Donovan s works. Donovan s art pieces are characterized of formality using everyday objects selected by Donovan, its create the work repeatedly integrated accumulation by countless amount. At this junctu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accumulation of integrated materials have featured by the exclusion of the her intentions, and the principle of creation of the matter based on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of accidental basis by objects. Rather than faithfully reproducing nature, she applies the laws of nature creating a similar composition. Through the process of daily materials and integration repeating cycles such as germination, growth, and death is suggested. By exposing the works of art and materials, she inherits the art of pop, minimalism and post-ministration, bringing the art of traditional meaning of representation. Also her works have a feature to extend space organic forms, such as the growing organism without any a definite plan through this process, Donovan’s repetitive work process ‘accumulation’ emancipate from traditional meaning of representation and fetters of illusion. Moreover, it is meant to convey messages about the environment and society aims by presenting illusion of nature produced from nature and being indiscriminate and abandoned by nature.

      • KCI등재

        에드먼드 드 발의 작품에 관한 연구

        원경환(Won, Kyung-hwan),이영희(Lee, Young-hee)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6 조형디자인연구 Vol.19 No.4

        도예는 ‘용도’를 전제로 하는 공예의 한 분야에서 20세기 이후에는 현대미술의 한 장르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현대미술에서 사물은 인지적 상상력과 주관적 해석이 적용되어 본연의 기능, 의미,이데올로기로부터 해방되었다. 이러한 현대미술의 관점에서 도자기의 용도나 기능을 배제하고 특정 공간의 오브제로 재해석한 영국출신의 도예가이자 작가인 에드먼드 드 발(Edmund de Waal)의 작품은 주목받을 만하다. 대형설치작가로 알려진 드 발은 자기질 태토가 가지는 순백색의 특성과 물레성형이라는 전통적 제작 기법을 이용해 단순한 실린더 형태의 용기를 대량 제작한다. 그러나 용기는 용도를 전제로 만들어진 것이 아니라 유닛의 최소단위로 존재하게 되며 다양한 설치방법을 통해 공간을 구성하게 된다. 그가 제작한 단순한 형태와 소지의 흰색은 중세 해상실크로드의 주요 교역품 중 하나였던 ‘중국 도자기’와 바우하우스의 간결한 선을 모티브로 한 것인데, 이것은 동∙서양의 문화 교류를 작품을 통해 드러내려는 그의 의도가 담겨있다. 공간구성방법에도 그만의 특이한 점을 발견할 수 있다. 음악적 요소를 가미하기 위해 실린더 형태를 음표로 상정하여 공간을 구성하거나, 인식하지 못 하는 어두운 공간에 작품을 설치하여 날씨나 계절과의 연계성을 표현하는 등 관객과 소통 할 수있는 공간을 연출한다. 이러한 설치방법은 오브제와 건축공간의 교류의 가능성을 제시하는 한편 도자기가 주변 환경의 영향으로 인해 다양한 조형언어로 해석될 수 있다는 가능성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드 발의 작품에 나타나는 간결한 색과 형태 그리고 유닛 구성이라는 시각적 요소와 특정 공간에 설치하는 공간적 요소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도자예술의 영역확장 및 동시대적 표현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Pottery is establishing itself as a genre of modern art since the 20th century from a field of crafts based on the premise of ‘usage.’ Objects in modern art became free from their original function, meaning, and ideology by application of cognitive imagination and subjective interpret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modern art, works by Edmund de Waal, a potter and writer from England who excluded the usage and function of pottery and reinterpreted them into an objet of a specific space, are particularly noteworthy. De Waal, known as a large installation artist by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pure white in porcelain and wheel-thrown of traditional production techniques, is producing works that a large number of simple cylinder type containers. However, vessels are not made for the purpose of usage, but exist as the smallest substance of unit and comprises in the space by various installation methods. His simple form and white of vessels is produced with motifs that the simple line of Bauhaus and ‘Chinese porcelain’ which was the major trading good of medieval Maritime Silk Road. This is his intention to symbolize cultural exchange between East and West through his works. It is the special point of his works in the space composition method. He composes a space where interact with the spectators. For example, cylinder shape vessels assume the form of a note to add musical elements, or is installed in a dark space where is not recognized to express the connection with the weather and seasons. In the installation method, the function of exhibition space was assigned on space of building to suggest possibility of architectural exchange of a sculpture. In addition, ceramics are interpreted as a formative language of various meanings due to the influenc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is study intends to expand area and to find a new possibility of contemporary expression as modern art by looking at visual elements of simple colors, shapes and unit construction and the spatial elements that are installed in a specific space.

      • KCI등재

        쉬빙(徐冰, 1955- )의 ‘배후의 이야기(背後的故事)’ 시리즈에 나타난 전통 해체와 재조합

        배현진 한국동양예술학회 2022 동양예술 Vol.54 No.-

        쉬빙(徐冰/ Xu Bing, 1955- )은 2004년부터 ‘배후의 이야기(背後的故事)’ 시리즈를 제작하였는데 이는 중국의 전통 산수화를 원본으로 실제 자연물과 각종 오브제를 활용해 3차원의 입체 공간을 창조한 설치 작업이다. 그의 작품은 1980년대 ‘문자’를 이용한 시리즈 작품에서부터 끊임없이 해체와 결합, 폐쇄와 개방의 이중성이라는 방식으로 문화적 정체성에 대한 의미를 확장하였고 자신의 혼성적 위치를 탐구하였다. 쉬빙의 ‘배후의 이야기’는 필묵을 이용한 그리기 결과가 아니라 라이트 박스 배후에 놓인 의외의 재료가 종이나 비단 위에 그려진 전통 산수화 속 필묵을 대신한 것이었다. 쉬빙은 새로운 시각으로 전통과 현대를 결합하였고 라이트 박스 정면의 전통 산수화와 뒷면의 무질서한 혼란이 뒤엉킨 공간을 구현하였다. 관객들은 자신이 정면에서 본 산수화가 착각에 불과한 것이었음을 깨닫게 되며 2차원의 회화가 3차원의 설치 작품으로 미묘하게 전환되는 순간을 경험하게 된다. 본 논문의 목적은 쉬빙의 ‘배후의 이야기’ 시리즈를 통해 중국 동시대 미술에 나타난 재료의 해체와 재조합에 대한 시각을 조명해봄으로써 중국의 전통 산수화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는 과정을 연구하고 열린 전통과 역사라는 시·공간의 초월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다시 말해, 라이트 박스 배후의 오브제들이 교차하고 전통과 현대가 하나의 화면에서 다른 화면으로 연결되는 과정을 시각화함으로써 새로운 배후의 이야기를 형성하게 하였다. 이는 중국화에 대한 사람들의 고정된 인식을 깨뜨리고 본다는 것에 대한 의미를 더욱 발전시켜 중국 전통 문화와의 정신적 소통을 진행하는 과정이 된다.

      • KCI등재

        설치미술의 국제화 흐름 속 1980-1990년대 한국현대조각의 변화

        안소연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2018 한국근현대미술사학 Vol.36 No.-

        In this study, based on the context of history of Korean contemporary sculpture, structures of contemporary visual culture will be analysed. It is 88 Olympics when the rapid globalization was accelerated, and international art trends were introduced and influenced Korean artists. In the 1950s and '60s, beginning with discussions on modernity through the expansion of medium and abstraction which was required in the fields of Korean sculpture, various styles of contemporary Korean sculpture began to be developed. This led to avant garde practice through experimental art in the 1960s and '70s, and various discussions on modernity became possible. In the meantime, due to the changes in the social structure around the 88 Olympics, contemporary perspective spread rapidly. This eventually changed the terrain of the sculptural scene through the expansion of the installation art. Therefore, in this study, I would like to investigate how the contemporary discussions focused on the installation art in the '90s after the debate on modernity in Korean contemporary sculpture is developed through individual artworks and exhibi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