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설원(說苑)》 《서록(敍錄)》을 통해 본 《설원(說苑)》의 성격 고찰

        권아린 한국중문학회 2014 中國文學硏究 Vol.0 No.55

        《說苑》是一部收集先秦以來至漢初的曆史故事集. 其中以記述諸子言行爲主, 不少篇章中有關於治國安民, 家國興亡的哲理格言, 用曆史故事來表達自己的政治思想和觀點. 敍錄是劉向《別錄》的遺文, 劉向受命參與校理宮廷藏書, 校完書後寫一篇簡明的內容提要. 主要介紹書籍槪貌, 書目篇名, 校勘經過, 著者生平思想, 書名含義, 著書原委, 書的性質, 評論思想, 史實, 是非, 剖析學術源流和書的價値. 而其文句殘缺, 存在기義, 因此, 正確解釋敍錄的內容, 就是硏究《說苑》的重要門徑. 據敍錄理解, 可知《說苑》的材料由《說苑雜事》, 劉向藏書, 民間書. 《說苑雜事》是先秦古書. 這種材料經過了編輯整理, 條別篇目, 以類相從的辦法. 與《新序》重復者, 淺薄不中義理者被去除, 重新編輯爲《百家》. 旣中義理是取舍材料的標准. 其目的爲給漢成帝閱讀. 劉向在選擇材料時盡量保存了原始面貌, 吸取了傳抄過程中産生的異文, 不計故事本身的是否事實. 所以可看出不同版本的故事, 此影響了小說的敍事. 選擇材料之後, 根據表達的需要, 添加評論等的辦法, 進行了一定的加工潤色, 《說苑》全篇貫通了劉向的思想.

      • KCI등재

        『說苑』에 실린 『新序』 중복편을 통해 본 劉向의 인식 변화 고찰

        권아린(Kwon, A-Rini) 한국중어중문학회 2016 中語中文學 Vol.0 No.64

        This thesis is a general study on the Liuxiang(劉向)’s political viewpoint and the value of Shuoyuan(說苑) focused on the receptiveness and the transformation of Xinxu(新序). Shuoyuan is a collection of historical stories from the Qin Dynasty to the early Han Dynasty. Liuxiang had collected narrative materials, and then finished editing. Each material is often classified by according to certain themes, which is serving to strengthen the theme. Liuxiang’s principle of editing is to remove repeated stories but to remain similar stories. There are about fifteen stuffs in the Shuoyuan and Xinxu that have similar stories. The basic plot of the story is similar but the wording and the focusing themes is different, which means that he selected the stories from the raw materials. The repeated theme stories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The first one has similar plots, and is written in different words and sentences. The second one has similar plots, but was changed to other themes by different comments. The last one has differences both in the plots and themes. Themes are designed to strengthen and deliberately orchestrated, which is reflected the changes of Liuxiang’s consciousness.

      • KCI등재
      • KCI등재

        여말선초 정치변동과 배타적 家門意識 : 정도전을 중심으로

        김난옥(Kim Nan-ok) 고려사학회 2007 한국사학보 Vol.- No.27

        여말선초 급변하는 정세 속에서 정치적 주도권을 두고 경쟁하던 정치세력들은 상대편을 적대적으로 내몰거나 정치적 입지를 약화시키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혈통적 결함이나 신분적 하자를 빌미로 삼았다. 고려 말 개혁을 주도하고 조선 건국에 중요한 역할을 한 정도전이었지만, 그의 가문적하자 문제는 정치적 고비마다 탄핵 구실이 되었다. 家系不正 · 派系未明하며 賤根 출신이라는 당대의 비판을 전적으로 수용할 수는 없지만, 그가 다른 사람에 비해 상대적으로 한미한 가문적 배경을 가지고 있었다는 점만은 분명하다. 아울러 이러한 가문적 배타성이 정치적 공방에서 상대방을 폄하하여 입지를 약화시키는데 유효한 수단으로 활용되었으며, 이는 중세 사회에서의 ‘나’는 ‘가’의 일원으로서의 ‘나’로 인식되고 평가되는 당대인의 가문의식을 잘 보여준다. 이후 정도전의 신분적 하자는 설원기를 통해 확대 재생산되고, 특정 가문의 우월함을 드러내는 비교대상으로 이용되기에 이르렀다. 그리고 개별 가문 차원에서의 배타적 가문의식의 변형에 그치지 않고, 『선조실록』의 상소문에서 나타나듯이 설원기에서 정도전을 車門4孼로 규정한 차씨가문의 차원부는 절개 높은 선량한 처사의 상징이 된다. 결국 배타적 가문의식의 확대를 넘어서 심각한 왜곡에까지 이른 것이다. 이러한 배타적 가문의식은 자신의 가문에 대한 강한 소속감과 자부심으로도 드러나지만, 다른 가문 내지 그 출신 개인에 대한 폄하 · 배척 및 상대적 우월감의 과시 등을 통해서도 표출된다. 그리고 가문 간 비교우위에서 비롯되는 신분적 우월성의 표현방식을 넘어 가문에 대한 과도한 왜곡 · 변형은 ‘가’를 매개로 ‘나’를 드러내려는 중세인의 家門觀을 보여주는 것이다. The political parties of Goryeo competed with each other over hegemony in the period near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The frequently used tactic to achieve their goal was to publicize the other's flaw in his blood line, or being a descendant of a lowly family. Jeong Dojeon, who was a leader of the major reformation of the Goryeo government, was also not free from this type of disgraceful rumor. Although we could not accept all the criticism of his being related to the lower people or his genealogy being untraceable, it is quite clear that his family was not considered as one of the noble families. Jeong Dojeon's case indicates that a person was recognized not as an individual personality, but as a member of a whole family which he was born to; we may call it 'the family consciousness' of the Goryeo-Joseon period. The family-consciousness was employed as a useful means of denouncing the opponents in the political debates both in the Goryeo and the Joseon court. Jeong's imperfection in his identity was massively reproduced through the publication of Vindication of Cha Wonbu during the king Sukjong's reign(1675-1720) of the Joseon dynasty, and was often brought up as a contrasting example to a noble identities. The Vindication of Cha Wonbu describes Cha Wonbu as a man of loyalty and Jeong as one of the 'Four By-Blows of the Cha family(車門4孼). We can see that the family consciousness at this stage had come to cause distortion of facts. This type of family consciousness reveals the members' strong attachment to their own families; on the other hand, it was also materialized in frequent derogation and exclusion of the members of other families, or in the way of self ostentation. The derogation, exclusion, and ostentation of a family in the Middle ages of Korea illustrate people's perception of 'family' through which they attempted to disclose individual selves.

      • KCI등재

        조선시대 劉向 《說苑》의 인식과 활용

        권아린 한국중문학회 2022 中國文學硏究 Vol.- No.86

        While studying 《說苑》 compiled by Han Dynasty 劉向, I discovered an interesting fact. It was highly likely that it had been introduced into the Silla period earlier. Later, the contents of 《說苑》 cited in the Joseon Dynasty literature were examined. It was also politically referenced during the Goryeo Dynasty. In the Joseon Dynasty, it was further officially published. Also, during the Joseon Dynasty, it was quoted and used in various fields. Therefore, the intellectuals of the Joseon Dynasty became curious about how they perceived and utilized 《說苑》. If we summarize these cases, we can look at the influence and acceptance process of 《說苑》.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first, 37 cases cited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were extracted and organized. and then 118 were calculated from the classical translation. Through the research subjects calculated in this way,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three areas. First, the types of use of 《說苑》 cited in the Joseon Dynasty literature were divided. Second, the use of 《說苑》 was analyzed. Third, the characteristics of 《說苑》 that could be actively utilized were derived. When we summarized the types of use of 《說苑》, it was most often used as a reference for cultivation of customs, followed by a means of drawing out the boundaries of the magistrates and as a standard of testimony. What could be known through the type of application is as follows. First of all, the Joseon Dynasty was actively accepted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Zhuzixue(朱子學). Second, it seems to have paid attention not only to the political content but also to the practical nature of 《說苑》. Third, as the status of 《說苑》 increased after the middle of Joseon Dynasty, it was used in various ways. Through this study, the foundation for a closer examination of the political and ideological acceptance of 《說苑》 was laid. 漢 劉向이 편찬한 《說苑》에 대해 연구하던 중 흥미로운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일찍이 신라시대에 유입되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었다. 이후 조선시대의 문헌에 인용된 《說苑》의 내용을 살펴보니 정식으로 출판되었을 뿐 아니라 서울과 지방 관청의 벽에 게시하여 참고토록 하였고, 외전과 승정원에 붙여놓고 수시로 참고한 기록을 찾게 되었다. 이러한 기록들은 《說苑》이 조선시대에 다양한 방면에서 활용되고 있었음을 보여주었기에 당시의 지식인들은 《說苑》을 어떻게 인식하고 어떠한 양상으로 받아들이게 된 것인지 궁금해졌다. 그런데 그동안의 《說苑》 연구는 출판 현황과 판본 등 문헌학적 논의에 집중되어 있어 조선시대 《說苑》의 구체적인 수용 의미와 영향관계를 파악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조선시대 문헌에 인용된 《說苑》의 내용을 분석하여 조선시대의 지식인들은 《說苑》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說苑》이 적극 활용될 수 있었던 배경은 무엇인지 고찰하였다.

      • KCI등재

        《說苑》과 그 문학성 연구

        김영식 ( Kim Young-sik ) 한국중국어문학회 2018 中國文學 Vol.95 No.-

        《說苑》是一部西漢末葉劉向編撰歷史故事的典籍. 編撰的主要目的在於提供皇帝的閱覽. 劉向爲了達成編撰的目的往往使用了文學的敍述方法, 由於如此理由 《說苑》裡面含有很多的文學成分. 所以這篇論文的寫作意圖在於探究 《說苑》裡面的文學的性質. 硏究的結果如此: 《說苑》所含有的諸多文學性當中有詩歌文學·傳記文學·小說文學方面的可注目的成就. 由於劉向受了家風的影響, 他熟悉了 《詩經》, 因此他常常引用了 《詩經》裡面的詩歌. 特別是他在比喩和誇張的修辭方面活用了 《詩經》活用得很好. 所以通過所要傳達的文學的表現, 他不但達成了自己的編撰目的, 而且更加提高了 《說苑》的詩歌文學的性質. 因爲 《說苑》含有衆多人物的言論和行迹, 於是不過言 《說苑》是一部收集人物的傳記的典籍. 通過敍述各種人物的生涯當中可注視的言行和逸話, 《說苑》不但提高了人物的聲價, 而且在文學方面描述了人物的性格·人品·智慧等描述得很好, 因此 《說苑》可以說達成了傳記文學的成就. 《說苑》雖然在根本上努力傳達了歷史的事實, 但是爲了達成勸戒的效果, 它有時候要表現得與事實不一樣. 因此 《說苑》裡面多有小說的因素包括虛構·想像·遺聞逸事·民間傳說什麽的. 甚至於一部分故事具有小說的內容和構造. 這種成果讓我們更加注視 《說苑》的小說方面的成就.

      • KCI등재

        《說苑》에서 “孔子曰”로 기록된 “報怨以德”의 인용과 해석의 문제

        박영희 중국어문논역학회 2019 中國語文論譯叢刊 Vol.0 No.45

        This thesis is written based on extensive researches for the authenticity of “Revenge by Virtue” citation which was regarded as mis-record and the contextual meaning of a relevant different copy. “Revenge by Virtue” of Confucius Sayings in the Shuoyuan(說苑) cited Saint’s words and actions, and meant a blessing brought by a misfortune. “Revenge by Virtue” recorded in “Confucius Sayings” was initiated from Liuxiang’s effort of preserving the review of a different copy. This established the basis of reinterpreting Confucius Sayings in the text of Shuoyuan(說苑) beyond the context of the Confucius classics by recording different copy from the Lunyu(論語). It is confirmed that the thoughts of Confucius is not quite opposite that of Laozi(老子) and there is Taoism’s bit portion in the Confusions. However, the posterities misinterpret the records of Shuoyuan(說苑) as mis-record in view of “Revenge by Virtue” uttered by Laozi(老子) and “Virtuous Revenge” reviewed by Confucius since they had been accustomed to the texts of Laozi(老子) and Lunyu(論語). 본고는 그동안 誤記로 치부되었던 《說苑》의 “孔子曰” “報怨以德” 인용문의 진위 여부와 이와 관련된 異本의 의미 작용에 대해 다각도로 고찰하였다. 《說苑》에서 “孔子曰”로 된 “報怨以德”은 聖人의 언행을 인용한 것으로, 轉禍爲福이라는 의미이다. “孔子曰”로 “報怨以德”을 기록한 것은 劉向이 異本에서의 평론을 보존하려 했던 의도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는 결국 《論語》와는 다른 판본의 孔子 말씀을 기록한 것이 되어 儒家 經書의 맥락을 벗어나 새로운 《說苑》이라는 텍스트 속에서 孔子의 말씀을 재해석할 수 있는 터전을 마련한 셈이 된다. 여기서 老子와 孔子의 사상이 정반대가 아니며, 孔子에게서 道家의 흔적이 있다는 점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후대인들은 이미 《老子》와 《論語》라는 텍스트에 익숙해져 있기에 老子가 말한 “報怨以德”과 《論語》에서 孔子가 비평한 “以德報怨”에 입각하여 《說苑》의 기록을 誤記라고 판단했던 것이다.

      • KCI등재

        일본 토야마[富山]대학 소장, <조선개화기대중소설원본(朝鮮開化期大衆小說原本)컬렉션>의 서지적 연구

        유춘동 ( Choon Dong Yoo ),함태영 ( Tae Young Ham ) 겨레어문학회 2011 겨레어문학 Vol.46 No.-

        이 글은 일본 국립 토야마대학의 <朝鮮開化期大衆小說原本컬렉션>(이하 컬렉션)을 소개하고 그 성격과 특성을 살펴본 것이다. 컬렉션의 규모는 방각본·활판본 소설, 활판본 간독, 재담(야담)집, 기타 자료 등을 포함하여 총 233종 267책이다. 고소설과 고전시가는 모두 179책으로, 고소설은 경판본 24종, 완판본 16종이며 나머지는 활판본이다. 근대소설(번역서 포함)은 69책으로 대부분 활판본으로 간행된 것이며, 한일 합방 전후의 역사전기문학과 <신소설>, 번안·번역소설, 통속대중소설 등이다. 이처럼 이 컬렉션에는 고전문학과 근대문학, 기타 서적에 이르기까지 한국문학과 관련된 자료들이 망라되어 있다. 이 자료들은 대부분 국내 주요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거나 영인본으로 소개되어 있다. 다만 고소설의 경우, 경판본 『임진록(권3)』, 『춘향전』과 활판본 『웅변대가 볌휴 채택』(현병주, 이문당, 1918). 『호상몽(湖上夢)』(손수근, 봉양서원, 1924) 등은 제명(題名)만이 알려졌거나 학계에 소개되지 않은 것이다. 근대소설의 경우, 『백의처녀』, 『불쌍한 남매』, 『실연의루』, 『의협의 아』, 『청춘의 애인』, 번역서 『데모쓰테네쓰』, 기타로 분류한 종교서 『극락가는 길』은 처음으로 확인된 작품이다. 이 중에서 이 글에서 다루었던 유일본을 다시 정리해본다면 다음과 같다. 경판본 『임진록(권3)』은 22장본을 가져다가 장차 표시를 변형하여 20장본으로 만든 것이다. 이 본을 통해서 경판본 『임진록』 22장본이 존재했고, 20장본의 선행본이 23장본이 아닌 22장본이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경판본 『춘향전』 20장본의 발굴을 통해서, 안성판본은 경판본 23장본을 토대로 축약-개각한 것이 아니라 20장본을 저본으로 해서 만든 것임을 알 수 있으며, 경판본의 『춘향전』의 이본은 <35장본>, <30장본>, <23장본>, <20장본>, <17장본>, <16장본>은 순차적으로 축약해왔음을 새롭게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근대소설의 경우, 유일본에는 번역/번안소설이 포함되어 있다. 대표적인 예가 『불쌍한 남매』와 『의협의 아』이다. 그러나 이 소설의 원작이나 번역/번안 대본에 대해서는 현재 알 수가 없는 상황이다. 이 자료들의 원작이나 번역/번안자, 번역/번안 대본이 밝혀진다면 한국 근대소설 연구는 작품 생산과 소비 양측면의 문제에서 연구영역의 확대는 물론 새로운 연구방법론의 개발도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이상과 같이 이 글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다루었다. 本論文は日本富山大學所藏<朝鮮開化期大衆小說原本コレクション>を紹介し,その性格と特性について考察したものである.このコレクションの規模は坊刻本及び活版本小說,活版本書簡,才談集(野談集)などを含め,計233種267冊である. 古小說と古典詩歌は計179冊であり,そのうち古小說は京板本24種,完板本16種,その他は活版本である.計69冊の近代小說(飜譯書含む)はほとんどのものが活版本で刊行されたもので,日韓倂合前後の歷史傳記文學と新小說,飜案·飜譯小說,通俗大衆小說などである.このようにこのコレクションには韓國の古典文學と近代文學,その他の書籍に至るまで,韓國文學に關する資料が通時的に網羅されている. このコレクションの資料は韓國の主要圖書館にも所藏されており,また復刻本も出版されている.ところが,古小說の場合,京板本『壬辰錄(卷3)』,『春香傳』と活版本『雄弁大家範수と蔡澤』(玄丙周著,以文堂,1918),『湖上夢』(孫洙根著,鳳陽書院,1924)などは,これまでその存在だけが知られており,本のそのものはまだ學界に紹介されていない作品である.近代小說の場合は,『滿洲哀話 白衣處女』,『人情悲劇小說 可哀想な兄妹』,『新小說失戀の淚』,『義俠の兒』,『靑春の愛人』,飜譯書『デモステネス』,宗敎書『極樂に行く道』などが今回初めて確認された作品である. このうち,本論文で取り上げた,このコレクションにのみ現存する本について整理してみると,京板本 『壬辰錄(卷3)』は22張本を對象にし,張次標を變更し,20張本に書き直したものである.この作品を通じて京板本『壬辰錄』22張本が存在したこと,20張本の先行本が23張本ではなく22張本であったことがわかる.そして,京板本』春香傳』 20張本の發掘を通じ,安城版本は京板本23張本をもとに縮約-改刻したものではなく,20張本を底本として書き直したものであることもわかる.京板本『春香傳』の異本は<35張本>,<30張本>,<23張本>,<20張本>,<17張本>,<16張本>は順次縮約されてきたものであることを新たに確認することができた.また近代小說の場合,このコレクションにのみ現存する本は計5冊(作品)で,これら5作品はすべてが通俗大衆小說であり,このなかで』人情悲劇小說可哀想な男妹』と』義俠の兒』は各タ飜案,飜譯小說である.しかし,この2作品を含めて,このコレクションのほとんどの作品は,現在,作者や飜案者,飜譯者,飜案飜譯台本などに關する確實な情報がない.これらの資料の作者や台本に關する樣タな問題が解き明かされれば,韓國近代小說硏究は作品の生産と消費との兩面において,硏究領域の擴大はもちろんこと,新たな硏究方法論が生まれるものと判斷される.

      • KCI우수등재

        한국어 후설원순모음의 음성 특징과 음성 인식 오류에 관한 연구

        김아름 국어학회 2023 국어학 Vol.- No.105

        후설원순모음은 세대와 성별에 따른 조음 위치 차이가 큰 모음으로, 이들의 이러한 조음 특성으로 인해 음성 인식 상황에서 다수의 후설원순모음 간 오류가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약 106시간의 음성 인식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각 후설원순모음들이 정인식되었을 때의 F1·F2값과 오인식되었을 때의 F1·F2값을 측정하여, 후설원순모음 간의 음성 인식 오류를 유발하는 음성 특성이 무엇인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음성 인식 모델, 성별, 후설원순모음 종류에 따라 음성 인식 상황에서 주요 인식 단서로 활용되는 음성 특징이 다르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ㅜ’의 인식 오류는 남녀 모두 F1에 의해 발생한다. 이때 F2는 ‘ㅗ’와 ‘ㅜ’의 판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데, 이로 인해 ‘ㅗ’와 ‘ㅜ’가 전후대립을 보이는 세대의 음성 인식에서는 다수의 인식 오류를 야기한다. ‘ㅗ’는 음성 인식 모델에 따라 주요 인식 단서가 차이가 있으며, 남녀 모두 F2가 인식 오류에 영향을 미친다.

      • KCI등재

        『說苑』에 나타난 소설적 요소 연구

        김영식 중국인문학회 2021 中國人文科學 Vol.- No.79

        역사고사 모음집으로 일컬어진 『설원』은 많은 이야기 속에 소설적 요소들을 상당히 내포하고 있어 소설 연구 방면에서 주목해볼 가치가 있는 전적이다. 『설원』에는 신화·전설·寓言들이 많이 채록되어 있어 신비한 느낌과 상상력을 북돋는 소설적 요소들이 많이 내재되어 있다. 편찬자 유향은 문장을 허구적으로 꾸며 소설적 요소들을 가미하였을 뿐 아니라, 史實과는 배치되는 문장 또는 단어들을 사용함으로써 『설원』을 상상력에 바탕을 둔 소설문학의 한 영역으로 다룰 수 있는 여지를 제공하였다. 특히 일부 문장은 문맥에 맞도록 치밀하게 구성하였다. 오늘날 소설에서 필수요소의 하나로 일컬어지는 플롯(plot)의 기법 곧 유기적인 인과관계에 따라 이야기를 전개해나가는 글쓰기를 시도해 소설의 영역에 더욱 다가서도록 함으로써 『설원』의 일부 문장은 소설로 간주해도 좋을 정도의 성취를 이루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