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학설계 교육과정의 설계방식 분석 - P대학 공학설계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이은화(Lee Eun hwa),배원병(Bae Won Byong) 한국공학교육학회 2007 공학교육연구 Vol.10 No.3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 설계모형에 기초하여 기계공학부의 전공교육과정 중 공학설계 교육과정의 설계 방식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Drake & Burns(2004)가 제시한 교육과정 조직요소간의 관계모 형과 Toohey(1999)의 대학교육과정 설계유형을 분석의 틀로 활용하였다. 교육과정의 조직요소간의 관계와 설계유형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 조직요소간의 관계는 각 과목의 교육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설계의 구체적 정보, 주제와 주요 개념의 순서로 관련된 지식을 습득하고, 공학설계에 관련된 기초기능, 범학문적 기능과 고급 기능을 순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설계되어 있다. 둘째, 분석대상인 창의적 공학설계, 설계 및 제작과제와 졸업설계 및 제작과제의 교육과정 설계유형은 프로젝트, 탐구, 문제 중심설계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본 연구결과는 공학설계 교육과정의 교육내용들 간의 연계성을 검토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design pattern on engineering design curriculum of P University based on the curriculum design model. For this study, the relation model between organizational factors by Drake & Burns(2004) and university curriculum design pattern by Toohey(1999) were used as a frame of the analysis. From the analysis, we confirmed following results. Firstly, the relation between the subjects in the engineering design curriculum was designed to acquire the knowledges of facts, topics, and concepts and then to improve low-level skills, broad-range skills, and high-level skills related to engineering design sequently. Secondly, the design pattern of the engineering design curriculum analyzed in this paper is a project and problem based structure. This result will be useful for reviewing and improving the relation between engineering design curriculum.

      • RISS 인기논문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근거한 학교 및 교실 수준의 역량기반 교육과정 설계 유형 탐색

        조현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9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2 No.2

        본 논문은 학교 및 교실 수준의 역량기반 교육과정 설계에서 나타나는 의사결정 사안을 규명하고, 이러한 의사결정의 결과로서 창출되는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다양한 설계 유형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첫째, 역량기반 교육과정에 관한 주요 현안 및 쟁점을 바탕으로 역량기반 교육과정 설계에서 직면하는 의사결정 사안을 크게 두 차원으로 규명하였다. 이러한 의사결정의 한 차원은 역량기반 교육과정과 이해중심 교육과정의 공존가능성에 대한 쟁점에서 비롯된 것으로, 핵심개념 및 일반화된 지식에 대한 이해(understanding)와 역량(competency) 중 무엇을 중심으로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내용 및 활동을 선정․조직할 것인지에 관한 의사결정으로 가시화된다. 다른 한 차원의 의사결정은 학교 및 교실 수준의 역량기반 교육과정 설계에서 성취기준을 어떻게 이해하고 활용해야 하는가에 관한 쟁점에서 비롯된 것으로, ‘성취기준에 의거한(standards-driven)’ 교육과정 설계와 ‘성취기준을 의식한(standards-conscious)’ 교육과정 설계 사이의 의사결정으로 가시화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두 차원의 의사결정을 기반으로 역량기반 교육과정 설계의 4가지 유형(Type A, Type B, Type C, Type D)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 교육과정 체제에 적합한 역량기반 교육과정 설계 유형을 모색하고, 나아가 역량기반 교육과정 관련 정책 및 실행의 개선 방안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ypes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design based upon teachers’ decision-making for their curriculum planning. By investigating current issues related to competency-based curriculum reforms, this study identified two axes of teachers’ decision-making for their competency-based curriculum planning. One axis deals with what to present as a pivot for selecting and/or organizing curriculum content and activities, such as teachers’ decision-making between a deep understanding of core concepts and generalized knowledge and a key competency, which is caused from the controversy as to whether there is a thread of connections between the Understanding by Design (UbD) and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The other axis deals with how to understand and utilize curriculum standards, such as teachers' decision-making between standards-driven curriculum planning and standards-conscious curriculum planning, which is rooted in different epistemological stances. This study reveals that these two axes of decision-making come up with four types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design.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sought to identify a type for competency-based curriculum design that best fits the current status of South Korean education system.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policies and practices were also provided.

      • KCI등재후보

        설계과정(Design Process)을 통한 중학생의 문제해결 사례 연구

        유재영,최준섭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3 實科敎育硏究 Vol.19 No.4

        이 연구는 학생들이 설계과정을 통한 문제해결을 진행할 때 설계과정의 상위영역과 하위영역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지, 설계과정을 통한 문제해결이 학생들의 학습 신장에 도움이 되는가를 확인한 현장사례 연구이다. 사례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학생들이 작성한 문서자료(학습활동지, 서술형 설문지, 작품 및 작품사진자료, 학생활동사진자료, 설계과정자료[스케치, 구상도, 부품도])를 살펴보았고, 질적조사(qualitative research) 방법 중에 하나인 문서자료를 의존함으써 발생할 수 있는 부족함을 보완하기 위해 학생들과 면담을 병행하여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얻은 연구 결과 값은 아래와 같다. 첫째, JH, SD팀의 학생들의 설계과정을 통한 문제해결 과정을 미시적으로 살펴본 결과 설계과정의 상위영역인 브레인스토밍, 스케치, 구상도, 부품도와 설계과정의 하위영역인 제작(실험, 관찰, 측정)은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학생들은 문제의 조건을 만족하는 설계과정을 통한 문제해결을 하기 위해 단순한 시행착오를 넘어 학습에 꼭 필요한 경험과 사고를 수반한다. 따라서 설계과정을 통한 문제해결은 학습 신장에 도움이 되며 특히, 기술과 과학, 기술적 지식과 과학적 지식 습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투석기 과제는 기술과 과학, 기술적 지식과 과학적 지식의 학습신장에 도움을 주는 유용한 학습도구 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is a field case study of students’ problem-solving process in the course of design in order to identif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upstream and the downstream of the design process and its impact on students’ learning. The study reviewed documents prepared by students, such as activity worksheets, essay-type survey papers, works and their photos, student activity photos and other design data (sketches, conceptual drawings, part drawings), while conducting interviews with students to supplement its dependence on document review,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First, the problem-solving process of JH team and SD team throughout the design process was thoroughly reviewed, an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upstream of design process including brainstorming, sketching, conceptual drawing and part drawing and the downstream of the design process, which covers a manufacturing stage including experiment, observation and measurement, had an influence on each other. Second, in the study, the students received a task to build a catapult that meets the suggested conditions through problem-solving during the design phase. Such a problem-solving task encourages students not only to learn by trial and error but also to mobilize necessary experiences and thoughts. It was found in the study that the problem-solving activities throughout the design process helped improve students’ learning and particularly affected their acquisition of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knowledge. Also, the catapult task was found to be an effective education tool to help students learning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knowledge as well as science and technology.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들의 백워드 설계 경험의 내러티브에 관한 사례 연구

        이윤복(Yun-Bok Lee),전호재(Ho-Jae Jeon)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20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8 No.2

        학교 교육과정의 전문가로서 교사들은 수업시간에 학생들의 완전한 이해를 위해서 노력을 한다. 그래서 학생들의 완전한 이해를 추구하는 이해중심 교육과정 설계의 한 방식인 백워드 설계는 최근에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현직 교사들의 이해중심 교육과정 설계의 과정에 대한 분석과 그 경험 내러티브를 이해함으로써, 현직 교사들의 이해중심 교육과정 설계 능력 향상을 위한 시사점을 탐구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초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8주 동안 백워드 설계에 관한 연수를 실시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다양한 사례를 수집하여 교육과정의 전문가들과 심층적인 분석을 하였다. 우선 초등학교 교사 5명과 이해중심 교육과정 설계 방식 중에서 백워드 설계를 통해서 여러 교과의 교육과정을 구성, 그 경험들을 이야기하도록 하였으며, 둘째, 그 과정에서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현직 교사들의 백워드 설계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를 기술하고 유목화를 통해 의미를 구성해내면 앞으로의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해줄 것이다. 이를 통해 현직 교사들에게 백워드 설계 과정의 절차를 명확히 제시할 수 있었으며, 각 단계별로 발생하는 설계상의 오류도 점검하고 수정할 수 있었다. 본 연구가 현직 교사들의 이해중심 교육과정 설계 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As experts in the curriculum, teachers seek a full understanding of students learning in class. Backward design, a method of understanding-oriented curriculum design that seeks full understanding of students, has recently received a lot of attenti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implications by analyzing the design of backward curriculum of current teachers. Describing teachers backward design experiences will provide many implications for future curriculum design. So, for eight weeks, we conducted training on backward design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in the process, we collected various cases and analyzed them in-depth with experts in the curriculum. Through this, the current teacher s backward design procedure is clearly presented.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a way to improve the ability of current teachers to design a backward curriculum.

      • Lauritzen과 Jaeger의 내러티브 설계 모형을 적용한 초등학교 6학년 도덕과 ‘편견’ 단원의 설계

        오승민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14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2 No.2

        최근 내러티브를 활용하여 교육과정을 설계하는 방안에 대하여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내러티브 교육과정 설계는 내러티브라는 인간의 인식론적 도구를 바탕으로 교육과정의 목표, 내용, 교수, 평가의 일련의 과정을 정렬하는 과정이다. 본 연구는 내러티브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한 단원의 설계안을 제시함으로써 교육현장에서 내러티브 교육과정을 쉽게 설계하여 교사와 학생들의 배움을 촉진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장에서는 내러티브 교육과정의 이론적 측면을 다루었으며, 3장에서는 내러티브 교육과정 설계의 방향과 원리를 제시하였다. 4장에서는 Lauritzen과 Jaeger의 내러티브 설계모형을 적용하였으며 마지막에는 설계안을 시각화 하는 템플릿을 제시하였다. 내러티브 교육과정이 현장에서 내러티브의 교육목표 달성을 위한 교수-학습과정의 하나의 안으로 활용하는 것은 현재의 지식전달중심의 교육과정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design for narrative curriculum. In this study, I designed the curriculum using narrative, a subject of current active research. Narrative curriculum refers to the structure in which students' education opportunity can be organized constructively and analytically utilizing narrative, so that their knowledge and experience can be continually reconstructed. Narrative itself means a curriculum. In the study, the five-stage design template of Lauritzen and Jaeger(1997) model that includes the context, inquires, goals filter, explorations and culminations was applied to designing practical education. In chapter 4, the case of designing the theme of 'diverse culture, happy world' that deals with overcoming prejudices on different cultures in the moral course for elementary 6th grade students was discussed. In specific, the educational content of the designed template include the process of solve problems, The critically, creatively, use technology, communicate, quantify, direct own learning, and cooperate. In applications on individual and social aspects, ability to deliberate on public issues, to interpret human experience; to understand diversity, health habits, Science/Math relationships, humanities. Implementing narrative curriculum based on practical educational view in a country with nation-oriented curriculum development system such as Korea, requires mutual adaptation perspectives for each sides. As such, the role of teachers is a subjective practitioner with the ability of reconstructing curriculum. Finally, the effect from narrative curriculum based on the social practices can be analyzed from the measurement of output, evaluation of curriculum through evaluating process, investigation of students' level of interest on study, and observation on scenes from classes. Education in perspective of practices is an initiation process of practices for the better quality of life, in which individuals can form totality of their lives while studying the tradition. Thus, narrative curriculum is will help professor-learner develop narrative capability.

      • KCI등재

        고등학교 과학탐구실험 교과서의 탐구활동에 나타난 공학 설계 과정 요소 분석

        한화정 ( Han Hwa-jung ),심규철 ( Shim Kew-cheol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21 교사교육연구 Vol.6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과학 탐구실험 교과서에 수록된 탐구활동 중 공학 설계 과정을 활용한 탐구활동을 대상으로 각 탐구활동에서 반영하고 있는 공학 설계 과정 요소와 공학 설계 과정이 어떤 방식으로 전개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7개의 과학탐구실험 교과서의 탐구활동을 대상으로 문제정의, 정보수집, 창안, 구현, 평가, 재설계 등과 같은 공학 설계 과정 요소를 활용하고 있는 탐구활동을 추출하였으며, 추출한 탐구활동의 공학 설계 과정 요소 반영 비율과 공학 설계 과정 요소가 어떤 순서로 전개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총 43개의 공학 설계 과정을 활용한 탐구활동이 과학탐구실험 교과서에 제시되었으며, ‘생활 속의 과학 탐구’와‘첨단 과학 탐구’영역에서 대부분의 공학 설계 과정을 활용한 탐구 활동을 다루고 있었다. 공학 설계 과정을 활용한 탐구활동은 문제정의, 정보수집, 창안, 평가를 비슷한 비중으로 활용하고 있지만, 구현과 재설계는 활용은 상대적으로 미흡한 편이었다. 공학 설계 과정을 활용한 탐구활동의 공학 설계 전개 방식 유형은 총 15개의 유형이 확인되었으며, 정보 수집, 문제정의, 창안, 평가 순서로 전개되는 방식의 유형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또한 43개의 탐구활동 중 공학 설계 과정 요소를 모두 활용한 탐구활동은 10개였다. 아울러 공학 설계 전개 방식 유형은 정보수집의 순서와 목적에 따라 4가지 영역으로 범주화하였는데, 문제정의 전에 정보수집을 먼저 실시하여 문제를 구체적으로 명료화하는데 필요한 과학 지식, 기술 지식 등과 같은 문제와 관련된 배경 지식 등을 수집하도록 공학 설계 과정이 전개되고 있는 경우가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학생들에게 구현과 재설계를 충분히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다양한 공학 설계 과정 요소들을 빠짐없이 다양하게 활용하도록 도울 수 있는 안내와 지도 방안의 마련의 필요성을 시사해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lements of an engineering design process reflected in each inquiry activity and the ways that such a process develops in inquiry activities based on an engineering design process in the scientific inquiry experiment textbook under the revised science national curriculum of 2015. For this purpose, the investigator extracted inquiry activities based on elements of an engineering design process such as defining the problem, collecting information, generating the solution, implementing the best solution, evaluating the solution, and redesign from the inquiry activities of seven different scientific inquiry experiment textbooks. These inquiry activities were analyzed in the percentage of elements of an engineering design process reflected and the order of engineering design process elements. The findings show that total 43 inquiry activities based on an engineering design process were found in the scientific inquiry experiment textbooks. Most of such activities were covered in the areas of “Scientific Inquiries in Everyday Life” and “Advanced Scientific Inquiries.” The inquiry activities based on an engineering design process utilized defining the problem, collecting information, generating the solution, and evaluating the solution in similar relative importance, but the utilization of implementing the best solution and redesign was relatively poor. There were total 15 types of developing an engineering design in these inquiry activities based on an engineering design process. The biggest proportion of them followed the order of collecting information, defining the problem, generating the solution, and evaluating the solution. Of the 43 inquiry activities, ten made use of all the elements of an engineering design process. In addition, the types of developing an engineering design were categorized into four according to order and purpose of information collecting. An engineering design process would develop in the highest frequency in a way that background knowledge was collected related to the issues of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knowledge needed to clarify a problem specifically with information collection before problem definition. These findings imply a need to provide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have full experiences with implementing the best solution and redesign and prepare guidance and instruction plans to promote their diverse utilization of all the various elements in an engineering design process.

      • KCI등재

        강건설계방법을 활용한 창의적 문제해결 실습과정

        김태운(Taioun Kim) 한국공학교육학회 2008 공학교육연구 Vol.11 No.1

        신제품의 개발 및 제품실현화 과정은 창의적 문제 해결과정을 통한 아이디어를 창출하고 피드백과 순환적인 과정을 통해서 이를 발전시키고 보완해 나가는 과정이다. 이러한 제품실현화 과정의 초기 단계인 개념설계와 제품개발의 단계가 절약가능한 비용 요소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이 단계의 최적 설계를 위한 방안으로 다구치가 제안한 강건설계 방법이 효과적이다. 품질은 검사를 통해서가 아니고 공학적 접근을 통해 향상될 수 있다. 강건설계는 제품의 연구개발 단계에 있어서 행해지는 공학적 방법론으로서 제품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화자체를 제거하 지는 않고 변화에 의한 효과를 최소화함으로써 품질을 향상시키고 최적 디자인 파라미터를 얻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강건설계 방법을 이용하여 제품 개발단계에서 효과적인 설계 파라미터를 탐색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이를 공학교육의 창의성 개발과 관련하여 적용해 보는 사례를 소개하고자 하는 것이 다. 주된 연구내용은 창의적 문제해결과정과 강건설 계의 파라미터 선정 과정을 제시하고, 강건설계 방법을 창의성 교육에 활용하는 과정 및 이에 따른 실습내용이다. 강건설계의 실습을 위해서 투석기를 이용하였고, 실험한 투석기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 할수 있는 장비를 창의적 접근방법으로 디자인 하도록 하였다. 또한 레퍼런스 모델을 제시하여 아이디어를 비교평가 하게 함으로써 창의적 문제해결의 반복 순환적 과정을 체험하게 하였다. A new product development and product realization process (PRP) is a circulating and feedback process by generating ideas through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The early stages of PRP correspond to conceptual design and product development, in which a large portion of product life cycle cost can be saved. The optimal design method for this stage is a robust design suggested by Taguchi. Quality must be ‘engineered in’ since it can not be ‘inspected out.’ A robust design is an engineering methodology to improve the quality of a product by minimizing the efforts of variations without eliminating the caus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scheme and a case study of robust design for exploring design parameters, and introduce a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Major research subjects include a creative problem solving process, robust design procedure and their implementation. For the experiment of Taguchi method, a toy catapult is adopted. For the creativity development, a short project is assigned to devise a similar tool with the toy catapult. A reference model is suggested to compare and evaluate their ideas.

      • KCI등재후보

        설계과정(Design Process)을 통한 문제해결과정에서 브레인스토밍의 역할

        유재영,최준섭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4 實科敎育硏究 Vol.20 No.3

        이 연구는 학생들이 설계과정을 통한 문제해결을 과정에서 브레인스토밍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확인한 현장사례 연구이다 . 사례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학생들이 작성한 문서자료(학습활동지, 서술형 설문지, 설계과정자료[스케치, 구상도, 부품도 ])를 살펴보았고, 질적조사(qualitative research) 방법 중에 하나인 문서자료를 의존함으써 발생할 수 있는 부족함을 보완 하기 위해 학생들과 면담을 병행하여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얻은 연구 결과 값은 아래와 같다. 첫째, 브레인스토밍이 활발하게 나타나는 시기는 문제를 확인하고 해결책을 찾기 위한 초기단계와 제작을 통해 문제의 조 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투석기가 제작된 시기였으며, 브레인스토밍의 문제해결 기여정도를 살펴본 결과 A팀은 85%, B팀은 74%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브레인스토밍은 설계과정을 통한 문제해결 과정에서 소단위 문제해결과 중단위 문제해결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였다 . 또한 브레인스토밍과 설계과정의 하위 영역인 제작(실험, 관찰, 측정)과정은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제작실패로 인한 원인분석, 제작 오류로 인한 재설계, 문제의 조건을 만족 시키지 못할 경우 상위단계로 피드백 작용을 하면서 서로 영향을 주고받고 있다. This study is a field case study of students’ problem-solving process in the course of design in order to identify the role of brainstorming in the design process. The study reviewed documents prepared by students, such as activity worksheets, essay-type survey papers, works and their photos, student activity photos and other design data (sketches, conceptual drawings, part drawings), while conducting interviews with students to supplement its dependence on document review,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First, the brainstorming process occurred most actively in the beginning step when students first spotted a problem and tried to come up with a solution, as well as when they completed the making process with a catapult that did not meet the conditions of the problem. In terms of how contributive the brainstorming sessions were to problem solving, it was observed that brainstorming influenced the problem solving process with the percentage of eighty five for team A, and seventy four for team B. Second, brainstorming played roles in both small unit and medium unit problem solving in the problem solving process through design process. Furthermore, brainstorming as part of the design process and making process, which is the lower domain of the design process (experiment, observation, and measurement), influenced each other by feed backing to the previous step when conditions of the problem failed to meet, and when redesigning was executed due to idea design, quality of catapult, cause analysis, and production errors.

      • KCI등재후보

        과정중심평가 측면에서의 백워드 설계 방식을 활용한 맥락적 수행과제 개발

        정수경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17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5 No.3

        2015 개정교육과정은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교수․학습 방법의 개선과 더 불어 과정중심평가를 강조한다. 올해부터 2015 개정교육과정이 순차적으로 적용됨에 따 라 현장의 과정중심평가 열기 또한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정작 과정중심평가를 어떻게 실천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연구가 미비한 실 정이다. 본 연구는 과정중심평가를 실천하는 한 가지 방안으로 백워드 설계를 통한 맥락 적 수행과제 개발을 제안한다. 먼저 백워드 방식의 평가 설계가 어떻게 과정중심평가의 실천 수단이 될 수 있는지 고찰한다. 그리고 백워드 설계 기반 맥락적 수행과제의 개발 사례를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백워드 설계 기반 맥락적 수행과제를 적용해 본 결과를 통 해 교육 현장에서의 가치를 논한다.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emphasize process-based assessment as well as improvement of instructional method with the purpose of educating the creative convergent person.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how to practice process-focused assessment. This research suggests contextual performance tasks based on backward design as a way to practice process-focused assessment. It considers backward design in its aspect of authentic assessment. And then it represents some examples of developing contextual performance task. At the last section, it discusses the value of contextual performance tasks based on backward design through experience of applying them.

      • KCI등재

        학생설계전공제도 참여자 인식조사를 통한 활성화 방안 연구: A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권은진(Eun-Jin Kwon)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4 교육혁신연구 Vol.34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A대학교의 학생설계전공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학습자, 교직원 및 교원을 대상으로 학생설계전공의 참여 경험에 대한 인식차이를 분석하고 종합하여 수렴함으로써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학생설계전공의 교육적 효과, 학생설계전공 이수 운영 상 경험하는 어려움, 학생설계전공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개선사항 및 융합형 인재양성에 있어 학생설계전공의 유용성을 주 내용으로 포함하는 반구조화된 설문지를 제작하였으며, 학생설계전공일 이수한 경험이 있는 학습자 2인, 현재 학생설계전공을 운영 중에 있는 교원 1인, 담당 교직원 1인을 대상으로 개별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반복적 비교 분석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결과 학생은 특정 분야의 지식을 집중적으로 습득하는 것과 학생설계전공을 이수하는 과정에서 자기주도성이 함양되는 것을, 교원은 학문적 흥미에 기반한 맞춤형 전공교육과정이 개설가능하다는점을, 교직원은 전공교육 재창조를 통한 학습자의 역량함양 및 전문성의 습득을 학생설계전공의 교육적 효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설계전공을 이수하고 운영하는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에 대한 인식조사 결과 학습자는 운영 교직원 및 교원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어려움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설계전공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개선사항으로 학습자와 교원은 공통적으로 교육과정 제도의 개선과 홍보 방안 마련을 이야기하였다. 마지막으로 교내 구성원은 학생설계전공이 융합형 인재양성뿐 아니라 전문인재 양성에 더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학생설계전공의 활성화를 위해 학문의 질 저하 방지 노력의 필요, 시스템 교육과정 등에서 필요한 제도상의 보완 필요, 전담부서 및 기관 필요, 정보 접근성 및 홍보강화 등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methods for improvement and activation of student-design major by analyzing, synthesizing, and coverging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students, professor and staff who have experience engaging in the student-desgined major. Method: To attain the aim of this study we design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based-on previous researches and conduct IDI(In Depth Interview) to 2 students, 1 professor and 1 staff in A university. The data was analyzed using constant comparison method.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students perceive that they can intensively acquire knowledge in a specific field and their self-direction is cultivated in the process of completing a student-designed major as a educational effect of student-designed major. For professor, to establish and provide a customized major curriculum based on students’ academic interests, for staff perceive that students competency development and acquisition of specialty. In completing and operation the student-designed major, students experience relatively more difficulties compared to the professor and staff. As a matter of improvement for the efficient operation of the student-designed major, learners and teachers commonly talked about improving the curriculum system and preparing promotion methods. Lastly, school members appeared to perceive that the student-designed major was more helpful in growing professionalism as well as convergence-oriented talent.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order to revitalize student-designed majors in the future, we suggest methods such as the need for efforts to prevent the decline in academic quality, the need for institutional supplementation in systems and curriculum, the need for dedicated departments and institutions, and strengthening information accessibility and promo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