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후기 宣祖에 대한 현창과 그 의미

        정해은 조선시대사학회 2013 朝鮮時代史學報 Vol.66 No.-

        Examined in this article is how King Seonjo came to be honored as the ‘Renaissance king’ after his death, and what was the meaning of such effort of the time. The kings of the Joseon dynasty were honored and commemorated in various forms and fashions after their deaths, so in that regard the honoring of Seonjo was not at all an unusual thing. Nonetheless, the reason it is extensively examined in this article is because Seonjo was “reevaluated” as a “king who saved Joseon after winning the Imjin Wae’ran war.” With the interests of King Injo and those of the Westerners faction meeting with each other, King Seonjo came to be portrayed in a new light, as a hero for the Joseon dynasty, who achieved the survival of the country and maintained loyalty toward Ming. In other words, he was newly decorated as a role model for the rest of the country. This new evaluation of him continued to spread, as the Joseon people’s sentiment of inheriting Ming and its legitimate traditions continued to grow, after Ming’s fall. Commemoration projects of King Seonjo continued to become more active. During the reign of King Injo, a musical score(樂章) alone for King Seonjo’s chamber at the Dynastic Shrine(宣祖室) was created. During the reign of King Sukjong, King Seonjo was designated with a Seshil chamber, and even Seonmyo Bogam(宣廟寶鑑) was published. Wa’ryong-sa(臥龍祠), in the Yeong’yu(永柔) area of the Pyeong’an-do province, where Seonjo remained before returning to the Capital, continued to be expanded in the reigns of kings Hyeonjong, Sukjong and Yeongjo, as a central stage of demonstrating ‘Loyalty.’ All these efforts of the time show us that the memory of King Seonjo was being strengthened with new images of himself as a savior of the country and loyal vassal to Ming (in the eyes of following kings), and as a model of loyalty, in the eyes of the public. This new image of King Seonjo continued to be strengthened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이 글은 선조가 사후에 ‘중흥’의 국왕으로 부각되는 양상을 추적하고 그 의미를 조망한 연구이다. 조선시대 국왕들은 후대에 각종 형태로 추숭을 받았다. 그러므로 선조에 대한 현창이 특별한 현상이라 말할 수 없다. 그럼에도 이 글에서 선조를 특별히 주목하는 이유는 선조 추숭이 임진왜란을 극복하고 조선을 구한 임금으로 초점을 맞추어 진행되었기 때문이다. 선조는 인조와 서인세력의 이해와 맞물리면서 중흥과 사대의 공을 이룬 국왕으로 추앙되어 후대의 모범이 되는 국왕으로 거듭났다. 이것은 명 멸망 이후 조선에서 ‘중화계승의식’이 확산되는 속도와 궤를 같이하면서 퍼져 나갔다. 선조에 대한 현창 사업도 활발해졌다. 인조 대에 종묘의 宣祖室을 위한 단독 樂章이 제작되고, 숙종 대에는 선조가 세실로 정해지고 『宣廟寶鑑』까지 편찬되었다. 그리고 선조가 환도하기 직전에 머물던 평안도 영유에 세운 와룡사가 현종, 숙종, 영조 대를 거치면서 ‘충’을 실현하는 본산으로 확대되었다. 이러한 양상은 선조에 대한 기억이 위로 국왕들에게는 조선을 구한 공열과 사대의 표상으로, 아래 民에게는 충을 실천해야 하는 본보기로서 거듭났음을 잘 보여준다. 그리고 새롭게 형성된 선조의 이미지는 17세기를 관통하여 18세기까지 지속 또는 증폭되었다.

      • KCI등재후보

        선조의 광해군 양위 과정

        이근호 ( Lee Geun Ho ) 한국불교사연구소 2016 한국불교사연구 Vol.10 No.-

        이 연구는 광해군이 선조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오르는 과정을 추적한 것이다. 광해군은 임진왜란이 발발한 직후인 1592년 4월 세자에 책봉되었다. 광해군의 세자 책봉은 조야의 여망에 부응하는 것이면서 전쟁에 직면하여 선조가 취한 정국 타개용이기도 했다. 세자로 책봉된 광해군의 지위는 순탄하지 않았다. 거듭된 선조의 선위 명령과 명나라에서 세자책봉을 미루었기 때문이었다. 광해군의 세자 지위를 직접적으로 위협한것은 1606년 대군의 출생이지만, 그 시작은 1602년 7월 인목왕후를 계비로 맞이하는 것에서부터였다. 인목왕후가 왕비로 간택된 과정에는 세자광해군과 입장을 달리하는 인빈 김씨가 간여하였을 가능성이 농후하다. 1606년 대군이 출생하자 진하하자는 주장이 제기되었는데, 이른바 유당이라고 하는 유영경을 중심으로 한 세력의 주장이었다. 유당의 활동은 선조의 의중을 반영한 것이었다. 대군이 출생하자 선조는 세자를 바꾸려고 구상하였는데, 이는 방계에서 왕위를 계승했을 때의 문제점을 고려한것이었을 것으로 추론된다. 대군 출생 이후 선조와 광해군의 갈등이 증폭되기 시작하였으며, 유영경이 정국을 주도함으로써 광해군의 입지는 더욱 곤란해졌다. 다만, 대북 세력 내에서도 정인홍이 광해군의 지원 세력으로 참여하면서 유영경 세력을 견제하였다. 두 세력이 서로 갈등하는가운데 선조는 위급 상황에서 광해군에게 전위한다는 의사를 표명하였다가 건강이 호전되면서 철회되었다. 이후에도 선조는 여전히 광해군을 견제하는 등 혼란이 거듭되었으나 선조의 승하로 광해군이 왕위에 오르게 되었다. 선조대 광해군의 왕위 계승 과정에 대한 검토는 시기에 따라 구분해서 이해되어야 하며, 선조가 방계에서 왕위를 계승했을 때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세자 교체까지 구상하지 않았을까 하는 점이 좀 더 분석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rocess in which Gwanghaegun ascended to the throne followed by Seonjo. Gwanghaegun was installed as crown prince in April 1592, immediately after the occurrence of Imjinwaeran(壬辰倭 亂). The installation of Gwanghaegun as a crown prince meet the desire of the whole nation and also served as means for Seonjo to take the new turn in political circumstances during the wartime. However, the status of Gwanghaegun as crown prince was not stable. Because Seonjo repeatedly commanded him to give up his status. What is worse, Ming(明) postponed the crowning of prince. What directly threatened Gwanghaegun`s position was the birth of Daegun(大君) in 1606, but its unstability had virtually originated from receiving Queen Inmok(仁穆王后) as a second queen. There was a strong possibility that Inbin(仁嬪) Kimssi(金氏), who had a different point of view with Gwanghaegun, involved in the process of Inmok becoming queen. As Daegun was born in 1606, it was suggested that Daegun should be congratulated. This suggestion derived from Yudang(柳黨) around Yuyeonggyeong(柳永慶). Yudang`s behavior reflects Seonjo`s suspicion about Gwanghaegun. Since Daegun was born, Seonjo tried to change the crown prince. It is estimated that he considered problems which was likely to arise when collateral succeeded the throne. After the birth of Daegun, conflict between Seonjo and Gwanghaegun began erupting. In this circumstance, as Yuyeonggyeong took the lead of political state, Gwanghaegun`s position was becoming more and more unsettled. Only Jeonginhong(鄭仁弘) in Daebuk(大北) group kept strict watch on Yuyeonggyeong group, participating as team for supporting Gwanghaegun. Seonjo expressed intention of abdicating his throne to Gwanghaegun amid conflict between two groups, but after his condition became better, he suddenly withdraw his mention. Even after this, Seonjo was checking Gwanghaegun and confusion repeated over again. After the royal death of Seonjo, Gwanghaegun finally ascended to the throne. The examination about the process of Gwanghaegun`s ascending to the throne should be understood separately by each period. Whether Seonjo even planned the change of crown prince, considering the succeeding throne in collateral. or not have to be more analyzed in the following research.

      • KCI등재

        宣祖와 駙馬의 시문수창 연구

        김은정 열상고전연구회 2008 열상고전연구 Vol.28 No.-

        왕실은 가장 높은 수준의 문화를 향유, 생산하므로 문화사적 관점에서 매우 흥미로운 연구 대상이다. 본고는 군왕 스스로가 문학창작의 주체가 된 경우로서, 宣祖와 여러 駙馬가 酬唱한 詩文을 살펴보았다. 집단적으로 이루어지는 시문 수창은 일정한 문학 집단을 형성하여, 문학적 지향을 공유한다. 선조가 여러 부마와 수창한 시문은 개인적으로 장인과 사위의 시문 수창이면서, 왕실 가족간의 문학 활동 양상을 드러내며, 당시 학계나 문단과 일정한 관계도 보여준다. 선조와 부마의 시문 수창은 세 가지 측면에서 살필 수 있다. 첫째 선조가 자연인으로서의 사위를 위로하고 자신의 내면을 토로한 시편이다. 선조는 부마들의 가정에 일이 있거나 궁궐에 입직하는 경우에 종종 시문을 내렸으며, 이에 화답한 부마들은 그 은혜를 어버이와 자식과 같다고 하였다. 둘째 性理學 공부에 정진할 것을 독려한 시편이다. 선조는 스스로가 성리학에 대한 이해가 깊었는데, 李滉과 李珥 등의 성리학적 업적을 받아들였기 때문이다. 선조가 성리학 공부를 독려한 시편을 부마들에게 내리며 갱화하도록 한 것은 성리학 공부를 통하여 심성을 수양할 것을 당부한 것이다. 셋째 韓文과『史記』를 하사하며 내린 시편이다. 선조가 부마들에게 韓文과『史記』를 하사한 것 역시 당대 조선 문단의 흐름을 반영한다. 당시 조선 문단은 明의 復古理論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史記』학습에 적극적이었다. 한편, 조선문단은 복고주의 이론을 조선의 현실에 맞게 비판적으로 수용하여 韓文의 형식미를 재발견하기 시작하였다. 선조의 부마들 또한 이러한 문단의 흐름에 민감하게 반응하였는데, 선조 역시 그러한 사실을 잘 알고 있었다 하겠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선조와 부마의 수창 시문은 궁정 내부에서 이루어졌으나, 그 내용은 궁정 범위를 넘어서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선조가 직접 제작한 시편과 부마들의 화답시를 통해, 임금 스스로가 학계와 문단의 동향을 정확하게 알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The Royal Family enjoy and produce the highest level of cultures, so is very interested subject of investigation. This paper researched the Cantillation of King SunJo(宣祖) and royal sons-in-law. King SunJo(宣祖) made many poetries and proses his sons-in-law and let cantillate them. The poetries and proses of King SunJo(宣祖) celebrated happy events, consoled the night duty of his sons-in-law. YunSinji(尹新之) and ShinYigSeong(申翊聖), royal sons-in-law of King SunJo(宣祖) represented their thanks and for parental affections. While, the Cantillation of Royal Families reflected academic circles and literary circles of at that time. In the middle Chosun(朝鮮) dynasty, the level of Neo-Confucianism was upgraded by LeeWhang(李滉) and LeeYi(李珥). King SunJo(宣祖) also studied their acheivements, and persuaded his sons-in-law to study in his poetries and proses. While, King SunJo(宣祖) send Shiji(『史記』) and writings of HanYu(韓文) his sons-in-law, persuaded to study them. The literary circles at that time well acquainted with the Reactionism(復古主義) of Ming dynasty, So Shiji(『史記』) was emphasized in the view of the prose should follow JinHan(秦漢). But also the Reactionism(復古主義) of Ming dynasty was critical accepted in the middle Chosun(朝鮮) dynasty, so writings of HanYu(韓文) was revalued in the view of the beauty of writing form. King SunJo(宣祖) and royal sons-in-law cantillated in the palace, but reflected academic circles and literary circles in the middle Chosun(朝鮮) dynasty.

      • KCI등재

        선조초반 사인조보(私印朝報)사건을 통해 본 정치상황과 조보(朝報)정책

        김경록 ( Kim Kyeong Lok ) 온지학회 2021 溫知論叢 Vol.- No.67

        조선시대 조보는 승정원에서 정리하여 전국에 전파함으로써 국왕의 선정 및 통치의도를 알리는 목적으로 발간되었다. 시간과 인력이 많이 소요되는 필사조보를 인쇄하여 보다 많은 부수를 보다 편리하게 전파할 수 있음에도 선조는 이를 사건화하여 정국을 경색시켰다. 그 결과 인쇄를 통해 신속하고 대량으로 전파할 수 있음에도 인쇄조보를 차단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조선은 유교국가로써 국왕을 정점으로 사대부의 지배체제가 공론정치를 지향했다. 공론정치를 지속하고 확장하기 위해 국왕의 정당한 정치를 알리고 민심을 안정시킬 목적으로 활용된 것이 조보였다. 조보는 국왕과 왕실의 동정 및 각종 예제, 인사정책, 관리의 공론정치 및 보고서와 이에 대한 국왕의 처분을 포함하였다. 조선은 건국직후 조보를 왕정의 전파수단으로 인식하여 철저히 통제하고자 하였으며, 각종 정치사건, 예제사건, 인사정책에 조보는 밀접하게 연관되었다. 선조는 즉위하며 명종대에 척신정치의 혼란을 수습하고 새로운 정치 질서를 확립할 필요가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배층의 분화 및 대립은 더욱 치열해졌으며, 유교국가의 정통성을 어떻게 확립할 것인가를 두고 논쟁이 격화되었다. 이런 정치세력간의 갈등이 심화되고, 군사적 위기의식이 고조되자 선조는 왕실의 권위를 확립하고 자신의 통치기반을 확립하고자 노력했다. 즉, 선조는 왕위계승의 문제를 극복하고 정치 상황에 대응하고자 정세를 활용했다. 이 과정에서 발생한 민간에 의한 사인조보의 발행을 왕권에 대한 도전으로 간주하고 강력하게 처벌함으로써 조보를 왕권의 대외 전파수단임을 강조했다. 1577년(선조 10) 선조의 備忘記에서 시작된 사인조보사건은 유교국가에서 조보가 가지는 역사적 의미를 잘 보여주는 사건이었다. 무엇보다 직계왕손으로 즉위하지 못한 선조가 초반기 왕위의 정통성과 통치권위를 확보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하였던 시기에 발생한 사건이었다. 국왕의 정당한 통치를 전파하는 조보를 민간에서 사적 이익을 위해 인쇄하였다는 점은 선조로써 결코 용납할 수 없는 사건이었다. 약 3개월의 조사를 통해 30여 명의 관련자를 처벌한 선조는 향후 조보의 인쇄를 금지하고 철저한 관리를 지시하며 사건을 종료했다. 선조에 의해 제기되고 처벌된 사인조보사건은 선조초반 정치상황의 전개과정 속에서 파악할 수 있다. 재위 10년을 경과하며 선조는 왕위의 권위를 회복하고 갈등구도의 정치상황을 주도적으로 운영하고자 사인조보사건을 정치사건으로 규정하고 이를 철저히 엄단하는 태도를 보였다. 실제 사인조보는 당시 명에서 일상적으로 시행되는 방식을 차용한 것으로 王政의 전파 및 전달단계를 원활히 함과 동시에 이의 발행을 수월하게 하여 민간에서 이익을 가지고자 했던 사회발전의 과정이었다. 그럼에도 선조는 사인조보사건을 정치적으로 활용하여 왕명출납의 한방식이라 강조하였다. 조보는 이후 매우 한정적으로 발행되었으며, 임진전쟁의 와중에 통치질서가 붕괴되자 이를 보완하는 매체로 활용됨으로써 선조초반 사인조보사건이 선조의 정치적 목적에 의해 발생하였음을 증명한다. The purpose of the Joseon(朝鮮) was to promote the selection and governance of the king by organizing Jobo(朝報) from the Seungjeongwon(承政院) and spreading them throughout the country. It is convenient to print a desperate Jobo that takes a lot of time and manpower, but King Seonjo extended this to case. This resulted in the degeneration of the printed Jobo, even though it could be quickly and massively propagated through printing. Joseon was a Confucian state, with the king at its peak, and the ruling system of the four great masters was aimed at public opinion politics. It was an Jobo that was used to promote the king's legitimate politics and stabilize public sentiment. Jobo included the king's movements and various ritual system, personnel policy, public opinion politics, reports, and the king's disposition. Shortly after the foundation, Joseon recognized Jobo as a means of propagation to the monarchy and tried to control it thoroughly. Jobo was closely involved in various political events, ritual events, and personnel policies. King Seonjo needed to patch up the previous political turmoil shortly after his ascension and establish a new political order. Nevertheless, the conflict among the ruling class has intensified. As conflicts and military crises between political forces escalated, King Seonjo tried to establish royal authority. In other words, King Seonjo used the situation to overcome the problem of succession to the throne and respond to the political situation. The issuance of the Civilian-printed Jobo Case(私印朝報事件) in this process was regarded as a challenge to the throne and severely punished. In conclusion, King Seonjo emphasized that Jobo was a means of spreading the king's politics externally. In 1577, the Civilian-printed Jobo Case, illustrates the meaning of Jobo in Confucian countries. This is an case that occurred in the process of securing the legitimacy of the kingship and the authority of King Seonjo who could not be crowned by the immediate royal family. The fact that Jobo, which propagated the king's legitimate rule, was printed for economic benefit in the private sector was an unacceptable event as King Seonjo. King Seonjo, who punished 30 people involved through a thorough investigation for about three months, ended the case by banning the printing of Jobo in the future and ordering thorough management. The Civilian-printed Jobo Case raised and punished by King Seonjo can be grasped during the development of the political situation at the beginning of the reign. After 10 years of reign, King Seonjo stipulated the Civilian-printed Jobo Case as a political case in order to restore the throne's authority and lead the political situation of conflict.

      • KCI등재

        물질을 둘러싼 논란의 검토를 통한 조선 중기 종교문화지형의 재고찰 -선조 대 황랍 반입 사건의 분석을 중심으로

        이종우 한국역사민속학회 2022 역사민속학 Vol.- No.6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the case of bringing yellow beeswax in royal court by King SeonJo and to reveal that the royal Buddhist faith was maintained in King SeonJo era, and through this, King SeonJo tried to raise the dignity of the royal family. In addition,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at the Seo-In(西人) consistently recalled the incident of King SeonJo's bringing in yellow beeswax in the process, using Lee Yi, who opposed the bringing in yellow beeswax, as their leader. On March 20th, the 7th year of King SeonJo(1574), King SeonJo ordered 500 Geun of yellow beeswax. Yellow beeswax was used for various purposes and was a very valuable item at that time. However, vassals opposed the bringing in of yellow beeswax, suspecting that the bringing in of yellow beeswax by King SeonJo was for the manufacture of Buddha statues. In response, King SeonJo protested using extreme words. Later, King SeonJo explained that he brought in yellow wax for making candles for reading, and the case ended by returning the remaining yellow beeswax after making candles SeonJo's bringing in yellow beeswax was intended to carry out Buddhist practices such as the manufacture of Buddha statues, considering that the royal family had performed a lot of Buddhist practices since the beginning of King SeonJo, the amount of yellow wax of 500 Geun, and the introduction of yellow beeswax and mercury together. However, it was canceled due to the opposition of vassals, and in the process, King SeonJo strongly protested the opposition of vassals, and through this, the authority of the royal family was confirmed. In addition, through the reproduction of this case, Seo-Ins later made Lee Yi, who strongly advised King SeonJo to bring in yellow beeswax and resigned, as the leader of Seo-in, and used Lee Yi's behavior as an example of advice.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royal family maintained its Buddhist faith until the king SeonJo’s era through the incident of bringing in yellow beeswax by King SeonJo. This is an example of opposition to the religious topography of the Joseon Dynasty, which is generalized as “Sungyueokbul(崇儒抑佛)” It is also confirmed that it is possible to grasp the religious topography of some era through the review of the material and discourse produced by people on the material. 본 논문의 저술 목적은 선조 대의 황랍 반입 사건을 검토하고, 이것을 통해 선조 대에 왕실의불교 신앙이 유지되었고, 선조가 왕실의 위엄을 높이려고 했음을 드러내는 것이다. 또한 서인(西 人)들은 선조(宣祖)의 황랍 반입에 반발했던 이이(李珥)를 자신들의 종주로 삼고, 대간의 모범의위상을 부여했는데, 이 과정에서 선조의 황랍 반입 사건을 꾸준히 상기시켰음을 드러내는 것도 본논문의 저술 목적이다. 선조 7년(1574) 3월 20일, 선조가 황랍 500근을 들이라는 명을 내렸다. 황랍은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당시로서는 매우 귀한 물품이었다. 그런데 유신들은 선조의 황랍 반입이 불상 제조를위한 것이라고 의심하면서 황랍 반입을 반대했다. 이에 대하여 선조는 극단적인 말을 사용하면서반발했다. 이후 선조는 독서를 위한 초 제작을 위해 황랍을 반입했다고 해명했고, 초를 제작하고남은 황랍을 반납하는 것으로 사건은 종료되었다. 선조의 황랍 반입은 왕실이 선조 초부터 불사를 많이 벌였다는 점, 500근이라는 황랍의 양, 황랍과 수은을 함께 도입했다는 점 등을 고려했을 때 불상 제조 등 불사를 벌이기 위한 것이었다. 그런데 유신들의 반발로 무산되었고, 이 과정에서 선조는 유신의 반대에 강력하게 반발하고, 이것을 통해 왕실의 권위를 확인했다. 또한 서인들은 훗날 이 사건의 재생산을 통해 선조의 황랍 반입에 대하여 강하게 간언하고 사직까지 했던 이이를 서인의 종주로 삼고, 이이의 행동을 간언의 모범으로 삼았다. 선조의 황랍 반입 사건을 통해 선조 대까지 왕실이 불교 신앙을 유지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것은 “숭유억불”로 일반화되는 조선시대 종교지형에 반대되는 사례이다. 또한 물질과 물질에관하여 사람들이 생산한 담론의 검토를 통해 특정 시대의 종교지형을 파악할 수 있음도 확인된다.

      • KCI등재

        선조16년 동서 갈등 전개와 "계미삼찬(癸未三竄)"

        이정철 ( Jung Chui Lee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4 嶺南學 Vol.0 No.25

        1583년(선조16) 동인과 서인 사이에 대규모 정치적 충돌이 발생했다. ‘계미삼찬’이 그것이다. 이 사건으로 동인 측 주요 인사인 송응개, 허봉, 박근원세 사람이 한반도 최북방 회령, 갑산, 강계로 귀양을 갔고, 그 보다 더 많은수의 삼사(三司) 언관(言官)들이 지방수령으로 좌천되었다. 동인과 서인의 갈등은 일차적으로는 권력투쟁의 양상을 띠었다. 하지만, 그것만으로 동서 갈등을 충분히 설명하기는 어렵다. 그 바탕에는 공론(公論)즉, 정치적 정당성에 대한 동인과 서인의 서로 다른 인식이 있었다. 그 정치적 정당성은 공론과 삼사의 관계에 대한 서로 다른 인식을 통해서 표현되었다. 삼사를 장악했던 동인은 삼사만이 공론에 대한 독점적 권리를 가졌다고 확신했던 반면, 서인은 그것에 동의하지 않았다. 동인과 서인은 공론의 소재에 대한 인식만 달랐던 것도 아니다. 동서분당이전 선조 대를 바라보는 프레임(frame)도 달랐다. 서인은 선조 즉위 초를사림이 과거의 훈척과 구신들이 저지른 구태를 청산했던 시기로 보았다. 반면, 동인은 여전히 심의겸과 그 당여(黨與)들이 정치적 실권을 가졌던 외척전횡의 시대로 보았다. 동인들은 명종 말에서 선조 초에 걸친 사림 주도의개혁을 인정하지 않았다. 계미삼찬은 이렇듯 동인과 서인이 정치적 정당성과선조 초 조정에 대한 서로 다른 인식의 기반 위에 충돌한 결과였다. 선조8년 동서분당 직후와 선조12년 무렵 동인의 인적 구성은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선조12년 무렵의 동인은 명종 대의 구신들을 대거 포함했다. 선조8년 이후 동인이 서인에 대해서 정치적 우위를 점하기 시작하자, 이전에 서인과 갈등했던 구신들 중 상당수가 동인과 정치적으로 결합했기 때문이다. 이이의 조제.보합론은 동인이 구신과 결합하고 서인과 적대하는 것에 대한 반대였다. 선조13년 조제보합(調劑保合)을 주장하면서 이이가 조정에 복귀했지만, 결국 계미삼찬을 통해서 이이의 주장은 좌초되고 말았다. 이이에게 조제보합론은 단일한 사림, 동서간의 화합이라는 정치적 이상을 향한 지향이었다. A series of big political conflict occurred between Dongin(東人) and Seoin(西人), which were 2 main political parties, in the 16th year of king Seonjo regime. That political conflict was known as Gyemisamchan(癸未三竄). Due to the event, many important figures who had belonged to Dongin party were banished from the central political stage, and be demoted. The strifes between Dongin and Seoin seemed to assume the power struggles. However, only the power struggles can not fully explain deeper causes of the strifes between Dongin and Seoin. Dongin and Seoin had their own different political correctness. Also they had their own opin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ublic opinions and Samsa(三司), which meant 3 journalist official departments of Jeoseon government. Dongin who dominated Samsa convinced that only Samsa had exclusive rights for the public opinions, but Seoin didn’t agree to the thought. Furthermore, Dongin and Seoin had different frames of the political aspects for the early period of King Seojo regime. Seoin assumed that the political reforms were performed at that period, which was lead by Sarim. On the other hand, Dongin just regarded the time as the political dark periods, when the maternal relatives of the king still had political powers. Dongin didn’t concede several political reforms carried out for the early period of King Seonjo regime, which were lead by Seoin party. In the 16th year of King Seonjo regime, Yi I’s political idea was eventually wrecked. For him, the reunion between Dongin and Seoin meant unitary Sarim(士林), and political idealism.

      • 實錄을 통해 본 郭再祐(1552~1617)의 義兵 활동

        강문식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08 규장각 Vol.33 No.-

        『선조실록』과 『선조수정실록』에 수록된 곽재우의 의병 관련 기사들을 보면, 비록 실제 전투에 참여한 관군 장수나 의병장들이 작성한 기록만큼 세밀하지는 않지만, 김성일을 비롯한 지방관들의 보고에 기초하여 곽재우 의병 활동의 전반적인 상황이 비교적 정확하게 기록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실록에는 곽재우에 대한 선조와 정부 관료들의 인식과 평가에 관한 내용이 수록되어 있는데, 이는 다른 자료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것으로 그의 의병 활동 및 임난 중반 이후의 행적을 연구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사료적 가치를 갖는다. 곽재우는 임진왜란 당시 의병들 중에서 가장 극적인 평가를 받았던 인물이었다. 임진왜란 발발한 지 불과 10여 일 만에 사재를 털어 가장 먼저 의병을 일으켰던 곽재우는 여러 전투에서 혁혁한 전공을 세우면서 장수로서의 능력에 있어서는 이론의 여지가 없을 만큼 확실한 인정을 받았다. 하지만 그는 전쟁 수행 과정에서 관군 장수들과 잦은 갈등과 의견 충돌을 일으켰고, 이는 그에 대한 부정적 인식의 근본 원인이 되었다. 특히 선조는 곽재우가 관군 장수 및 조정 대신들과 대립했던 것을 왕명에 대한 거부·부정으로 인식하였다. 그 결과 선조는 곽재우를 크게 불신하였고, 그에게 병권을 맡기는 것이나 그를 공신으로 책봉하는 것에 대해 반대 입장을 분명히 하였다. 이에 곽재우는 전란이 끝난 후 벼슬을 버리고 은거하여 辟穀餐松으로 생의 마지막을 보냈다. 임진왜란 이후 많은 의병장들이 전공에 대한 정당한 보상을 받지 못하였고 일부는 억울한 죽음을 당하기도 하였는데, 곽재우의 벽곡찬송은 당시 의병장들의 불우한 삶을 대변해 준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기록의 역사에서 집단 경험의 역사로- 역사 드라마 <징비록>의 선조와 류성룡 캐릭터 분석을 중심으로 -

        길태숙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17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28

        This article is intended to investigate collective memory about people or historical experience through historical drama by looking into how the discourse about the main characters of Seonjo(宣祖, 1552~1608) and Seongryong Ryu(柳成龍, 1542~1607) from the historical drama <The Jingbirok: A Memoir of Imjin War> producted based on 『Jingbirok(懲毖錄)』 by Seongryong Ryu, has the impact on a collective reminding process. The historical drama <Jingbirok>, that was broadcasted fifty episodes in KBS starting from February to August, 2015, is structured most of its stories based on descriptions in 『Jingbirok』. In <Jingbirok>, Seonjo character is emphasized as a person who encourages factional politics, has lack of interest on real citizen life, and tries to heighten self-respect as a king by winning the confidence of people through kindness leaning on the fantasy of a sage king, but throws away his people and the royal ancestral shrine and the altars for the gods of land and crops(宗廟 and 社稷) for his safety at the national crisis. Although the public opinion on King Seonjo right after Imjin War(Japanese Invasion; 壬辰倭亂, 1592) was a king who abandoned and ruined the country by the execution of royal refuge(播遷) and dividing royal court(分朝), he was praised as a king who saved Chosun(朝鮮) and overcame Imjin War, and achieved the restoration and had profound knowledge of studies after King Injo(仁祖) period. However, the public who watched the drama <Jingbirok> equalized the Seonjo character with King Seonjo of Chosun that promoted factional politics, and abandoned the citizen at the national crisis. On the other hand, they did not identify Seongryong Ryu of historical person with the character Seongryong Ryu who has struggled against national destruction and tribulation in war with ideal faith and an inflexible attitude in the drama. The viewers of the drama reconstruct the memory of historical person King Seonjo through the media experience leaded from Seonjo character as they share their opinions with others and read historical records. Maurice Halbwachs claimed that the collective memories of actual experience are formed through the process of dismantling existing memories and reorganizing the memories using a social framework. The reaction of viewers reconstructing experiences and memories of King Seonjo through the drama character Seonjo implies the possibility that the reconstruction of collective memory happens not only with the real experiences, but also with the experiences from media. 본 논문에서는 역사 드라마를 통한 인물 및 역사 경험 대한 대중들의 집단 기억화의 문제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서애 류성룡의 『징비록』을 바탕으로 제작된, 역사 대하 드라마 <징비록: 임진왜란, 피로 쓴 교훈>을 대상으로 주인공인 류성룡과 선조 캐릭터에 대한 대중들의 담론이 역사적 인물에 대한 집단 기억화 과정에 어떻게 영향을 끼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역사 드라마 <징비록>은 2015년 2월부터 8월까지 50부작으로 방영된 KBS 대하드라마로, 대부분의 사건이 『징비록』에 서술된 내용에 따라 구성되었다. <징비록>에서 선조 캐릭터는 붕당정치를 조장하고 실제적인 백성의 삶을 돌아보지 못했으며 성군에 대한 환상에 기대어 선심으로써 민심을 얻어 국왕으로서의 자존감을 높이고자 하였으나 정작 국가의 위기 시에는 일신의 안위를 위해 백성과 종묘사직을 버리는 인물로 부각되었다. 임진왜란 직후 선조에 대한 여론은 그의 파천과 분조의 단행으로 나라를 버리고 망하게 한 왕이었으나 인조 이후 임진왜란을 극복하고 조선을 구한 임금, 학문에 조예가 깊고 국가 중흥의 업적을 이룬 왕으로 현창되었다. 그러나 드라마 <징비록>을 시청한 대중들은 붕당정치를 조장하고 백성을 버린 왕으로 재현된 선조 캐릭터를 내가 아는 실제 인물 선조 그대로라고 평가하였다. 반면 이상적인 신념과 태도를 견지하며 고군분투하는 류성룡 캐릭터는 실제 인물 류성룡이 아니라고 하였다. 드라마 <징비록> 시청자들은 역사 기록에 대해 살피고 다른 사람들과 의견을 공유하면서 선조 캐릭터를 통해 실재한 선조를 이끌어 내어 역사 인물 선조에 대한 기억을 재구성하였다. 모리스 알박스는 실제 경험에 대한 집단 기억은 사회적인 틀을 사용하여 기억을 해체하고 새롭게 구성하는 과정을 통해 형성된다고 하였다. 드라마 <징비록>의 선조 캐릭터를 통해 선조에 대한 경험과 기억을 재구성하고 있는 시청자들의 반응은 집단 기억의 재구성이 실제 경험이 아닌 매체를 통한 경험을 통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음을 시사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17세기 李舜臣 사적 정비와 宣祖대 역사의 재인식

        윤정 진단학회 2015 진단학보 Vol.- No.125

        Examined in this article is how the Joseon people’s general evaluation of King Seonjo’s era as a “Prosperous Age[‘穆陵盛世’]” was formed, and how it was overlapping with the people’s review and recompiling of historical references & documents related to Yi Sun-shin. The task itself, which began after Yi Sun-shin died, was overseen by the Westerners, and primary data collected from the Yi Sun-shin house were used in compiling 『Revised Annals of King Seonjo’s era』 as well as 『Seonmyo Bogam』. Inserted contents served to dilute Seonjo’s own responsibility in the punishment of Yi Sun-shin, and praised them both as war heroes. Such attitude was designed to downplay the negative image that was imposed upon the king during the war. 본고는 ‘穆陵盛世’로 이상화되는 선조대의 정치에 대한 조선시대의 평가가 수립되는 과정을 이순신 장군의 사적정비와의 연관성 속에서 살펴본 것이다. 이순신이 전사한 후 그의 막하에 있던 군관들이 중심으로 사적이 정비되었으며, 병자호란 이후에는 정부도 새로이 주목하였다. 이 움직임은 『선조수정실록』과 『선묘보감』 등 선조대에 대한 정계의 재인식이 매개되었는데, 광해군 정치를 부정한 인조 정권이 선조 계승을 통해 자신의 정통성을 찾았기 때문이다. 사적정비를 주도하였던 인물들은 서인으로서 『선조수정실록』과 『선묘보감』 편찬하면서 이순신 가문의 자료를 기초자료로 삼았다. 이를 매개로 이순신 처벌과 관련된 선조의 책임을 해소하고 승전의 주역으로서 양자를 묶어 선양함으로써 임진왜란 당시 선조에 대한 부정적 입론을 해소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임진전쟁 초기 선조의 전쟁인식과 파천(播遷)논쟁

        김경록 ( Kim¸ Kyeong-lok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1 民族文化硏究 Vol.92 No.-

        임진전쟁은 16세기말 동아시아 국제질서 및 한중일의 역사전개를 변동시킨 역사적 사건이다. 동아시아 국제전쟁으로 임진전쟁의 역사적 의미를 분석하기 위해 국왕 선조의 전쟁인식과 전쟁지도에 대한 연구는 필수적이다. 전대미문의 국제전쟁이었던 임진전쟁이 발발하자 선조는 전쟁에 대비했다고 인식하고, 초기에 전통적인 방식의 전쟁지도를 시행했다. 그러나 국왕에게 신속한 전황보고가 없고, 왜곡된 보고내용으로 선조의 전쟁지도는 제한되었다. 선조는 신립의 패전으로 소극적으로 전쟁을 인식하고 전쟁지도에 혼선을 보였다. 일본군 병력, 전쟁지도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없는 상황에서 선조는 도성사수론을 일방적으로 폐기하고 정치·군사적 위험이 많았던 파천을 결정했다. 파천은 조선이 개국이후 최대 국가위기였다. 선조와 신하들은 파천기록이 후대에 전해질 것을 우려했다. 그럼에도 선조와 신하들은 파천논의에서 갈등했다. 반대에 직면한 선조는 신하들이 요구한 세자책봉을 수용했다. 세자책봉은 중요한 정치행위로 신중하게 이루어져야 했다. 그러나 전쟁이란 위기상황에서 신속하게 결정되어 향후 정치 갈등의 원인이 되었다. 선조는 한양에서 개성에 이르는 파천과정을 통해 국왕으로서 난처한 경험을 했다. 관원들은 도망하고, 백성들은 국왕에게 적대적인 자세를 취했다. 일본군의 추격은 급박하게 이루어졌다. 선조는 개성에 도착한 뒤 파천책임론에 직면했다. 파천의 최종책임자였던 선조는 책임론에 소극적이었다. 한강방어선, 임진강방어선이 무너지자 선조는 평양, 의주 등지로 파천하고 명군의 파병을 요구하였다. 이 과정에 세자의 분조를 구성하도록 하여 조선군에 대한 지휘를 포함한 전쟁지도의 혼선을 초래했다. The Imjin War was a historical event that changed the international order of East Asia and the development of history in Korea, China, and Japan in the late 16th century. In order to analyze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Imjin War, it is essential to study the understanding of War and War command of the King Seonjo of the Joseon. When the Imjin War, which was an unprecedented international war, broke out, the King Seonjo recognized that they had prepared for war in advance, and in the early days implemented the traditional method of war command. However, the war situation was not quickly reported to the king, and the report was poor, so it was not possible to effectively command the war. In the absence of accurate information on the invading force's troops and war command, the King Seonjo unilaterally abolished a capital city saber theory and decided to wandering in a distant land, which had many political and military risks. Faced with opposition from his officials, King Seonjo accepted the crowning of the prince demanded by his officials. In the Joseon Dynasty, which was then a dynastic state, crowning of the prince had to be carefully carried out as a very important political act. Nevertheless, war was decided very quickly in a crisis situation and became the cause of future political conflict. King Seonjo had a very embarrassing experience as a king through the wandering in a distant land process from Hanyang to Kaesong. King Seonjo, who lost his authority as king, left Hanyang and arrived in Kaesong, and faced responsibility debate of wandering in a distant land. King Seonjo, who was well aware that wandering in a distant land's final responsibility lies with him, was passive in his responsibility debate of wandering in a distant land. When the Imjin River defense line collapsed, King Seonjo moved to Pyongyangand Uiju and strongly demanded the dispatch of Ming troo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