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제해결학습에서 학습자의 선수지식 수준에 따른 Worked-Out Example(WOE) 정보 유형의 효과 연구

        정재원(Jung, Jaewon),홍정화(Hong, Jeonghwa),신윤희(Shin, Yoon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5

        본 연구는 문제해결학습에서 학습자의 선수지식 수준에 따른 소거된 WOE 정보 유형이 인지부하와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 학습자의 선수지식을 고려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WOE 소거 전략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참여자는 대학생 22명이었고, 연구 대상자는 선수지식 수준과 소거된 WOE 정보 유형에 따라 네 집단으로 나누어 문제해결학습을 진행하였다(선수지식 수준이 높고 ‘문제해결원리’ 정보가 소거된 WOE를 제공한 그룹, 선수지식 수준이 높고 ‘문제해결방법’ 정보가 소거된 WOE를 제공한 그룹, 선수지식 수준이 낮고 ‘문제해결원리’ 정보가 소거된 WOE를 제공한 그룹, 선수지식 수준이 낮고 ‘문제해결방법’ 정보가 소거된 WOE를 제공한 그룹). 학습이 끝난 후 인지부하와 문제해결력을 측정하여 이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선수지식이 높으면서 문제해결원리 정보가 소거된 WOE를 제공받은 그룹의 내재적, 외재적 인지부하가 가장 낮고 본유적 인지부하가 가장 높았으며 문제해결력도 가장 높았다. 반면 선수지식 수준이 낮으면서 문제해결방법 정보가 소거된 WOE를 제공받은 그룹의 내재적, 외재적 인지부하가 가장 높고 본유적 인지부하가 가장 낮았으며 문제해결력도 가장 낮았다. 이를 통해 선수지식 수준이 높은 경우 문제해결원리를 완성해 나가는 WOE 정보 유형이 효과적이며 선수지식 수준이 낮은 경우에도 문제해결방법을 소거한 WOE 보다는 문제해결원리를 소거한 WOE 정보 유형이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faded information based on learners’ prior knowledge, cognitive load and problem-solving competency in problem-solving learning. The participants were 22 university students who were divided into 4 groups based on level of prior knowledge and type of faded information: a high prior knowledge with faded principle worked-out example (WOE) group, a high prior knowledge with faded-method WOE group, a low prior knowledge with faded principle WOE group and a low prior knowledge with faded-method WOE group. After problem-solving learning, the participants’ cognitive load and problem-solving competency were analysed using two-way ANOVA. The high prior knowledge with faded principle WOE group showed the lowest extraneous load, the highest germane load and the highest problem-solving competency. In addition, the faded principle WOE type was effective on the low prior knowledge group. Based on these results, a faded information strategy that considers learners’ prior knowledge is important, and a faded principle WOE strategy is more effective than a faded-method WOE strategy for both novices and experts.

      • KCI등재

        대학 축구선수가 지각한 축구 지도자의 코칭지식과 지도자 신뢰 및 경기력의 관계

        유용준(Yoo, YongJun),정구인(Jung, KooIn),최헌혁(Choi HunHyu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3

        본 연구는 대학축구 선수의 지도자 코칭지식 지각과 지도자 신뢰 그리고 경기력 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대한축구협회(KFA)에 선수로 등록된 대학축구 선수를 2018년 3월부터 7월까지 연구 참여모집단으로 선정하였으며, 그 중 312명의 대학축구 선수가 본 연구의 연구 참여자로 선정되었다. 연구 참여자들로부터 수집된 설문지 중 총 302부의 설문지를 본 연구의 최종 자료로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통계프로그램 SPSS 21.0과 AMOS 21.0을 이용하여 측정도구의 구성타 당도와 내적일관성을 확보하기 위한 확인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변인 간의 관련성을 분석하기 위해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가설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모형분석, 부트스트래핑 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변인 간 인과관계 분석을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축구 선수의 지도자 코칭지식 지각이 지도자 신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축구 선수의 지도자 코칭지식 지각이 경기력에 유의하지 않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코칭지식 지각에 영향을 받았던 지도자 신뢰는 경기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대학 축구선수가 지각한 축구 지도자의 코칭지식과 경기력의 관계에서 지도자 신뢰는 매개(완전)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지도자와 선수사이에 신뢰가 바탕이 되었을 때 코칭지식이 경기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현장지도자는 코칭지식만으로는 경기력을 향상시킬 수 없으므로 신뢰를 토대로 코칭지식을 전달하는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sual relations between the athletic performance, trust in coach and perception of college soccer player on soccer coaches coaching knowledge. College soccer players registered at KFA were set as a population for this research, amongst them, 312 college soccer players were set as a research participant for this research. 302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research participants and were used as a final data for this research. Collected data points went through statistical programs such as SPSS 21.0 and AMOS 21.0. Using these program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performed to guarantee the construct validity and internal consistency of the measurement tool.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and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bootstrapping analysis was performed.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following; first, a perception of college soccer player on soccer coache’s coaching knowledg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rust in an instructor. Second, acknowledging the coaching knowledge of the coach doesn 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athletic performance. Third, the trust level in a coach which was affected by the perception of college soccer player on soccer coache’s coaching knowledg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athletic performance Finally, trust in coach has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thletic performance and perception of college soccer player on soccer coache’s coaching knowledge. Through this results, we can conclude that when the coach and the athlete have built-in trust, coaching knowledge has a positive effect on athletic performance. Field leaders, coaches cannot improve athletic performance only applying the coaching knowledge, so they should find a way to pass the coaching knowledge based on trust.

      • KCI등재

        대학 스포츠선수가 지각하는 조직공정성, 지식공유, 혁신행동, 선수포기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하제현 한국스포츠학회 2022 한국스포츠학회지 Vol.2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organizational justice, knowledge sharing, innovative behavior, and athlete dropout intention toward college sports athlete.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with use of questionnaire platform provided by Google. The onlin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college sports athletes through mobile URL. 261 usable questionnaires were returned. Data were analyzed with correlation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SPSS Statistics 25.0 program and AMOS 25.0 program. There we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organizational justic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knowledge sharing. Second, organizational justic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innovative behavior. Third, organizational justice did not have an influence on athlete dropout intention. Fourth, knowledge sharing positively contributed to innovative behavior. Fifth, knowledge sharing did not have an influence on athlete dropout intention. Last, innovative behavior did not have an influence on athlete dropout intention. 본 연구는 대학 스포츠선수가 지각하는 조직공정성, 지식공유, 혁신행동, 선수포기의도 간의 구조적 영향관계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 대학 스포츠선수를 대상으로 표본을 추출하였다. 구글에서 제공되는 설문지 플랫폼을 활용하여 설문지를 제작하고 URL을 통해 직접 모바일로 전송하여 설문조사를 실행하였다. 총 회수된 유효 표본은 261부이며 최종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다. SPSS Statistics 25.0과 AMOS 25.0을 통해 상관관계분석, 신뢰도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순차적으로 실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스포츠선수의 조직공정성은 지식공유에 긍정적인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 스포츠선수의 조직공정성은 혁신행동에 긍정적인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 스포츠선수의 조직공정성은 선수포기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 스포츠선수의 지식공유는 혁신행동에 긍정적인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대학 스포츠선수의 지식공유는 선수포기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대학 스포츠선수의 혁신행동은 선수포기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청소년 골프선수들의 코칭지식이 스포츠 수행전략과 특성스포츠 자신감에 미치는 영향

        김주연,하상원,소영호 한국골프학회 2018 골프연구 Vol.12 No.4

        [목적] 본 연구는 청소년 골프선수들이 지각하는 지도자의 코칭지식이 스포츠 수행전략 및 특성 스포츠 자신감에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방법] 연구대상은 청소년 골프선수들로 하였으며, 편의표본추출법을 통해 총 250부의 표본 수집하여 최종분석에는 235부가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통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결과] 첫째, 청소년 골프선수들이 지각하는 코칭이론 지식과 시합전략 지식은 혼잣말과 컨디션 조절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심상과 목표설정 및 긴장풀기에는 선수이해 지식과시합전략 지식이 정(+)의 영향을 미친다. 또한 감정조절에는 훈련방법 지식, 선수이해 지식, 시합전략 지식이 정(+)의 영향을 미친다. 둘째, 청소년 골프선수들이 지각하는 훈련방법 지식, 선수이해 지식, 시합전략 지식은 특성스포츠 자신감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셋째, 청소년 골프선수들의 혼잣말, 심상과 목표설정, 긴장풀기, 감정조절은 특성 스포츠 자신감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 넷째, 스포츠 수행전략은 코칭지식과 특성 스포츠 자신감의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coaching knowledge on sports performance strategies and characteristic sport-confidence of youth golf players. [Method]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method, selected 235 survey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from youth golf players. With the collected dat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by SPSS 18.0.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summarized as follows. [Result] First, the coaching theory knowledge and game strategy knowledge impacts positively(+) influence on self-talk and control of condition, and the understanding of players knowledge and game strategy knowledge impacts positively(+) influence on imagery and goal orientation and relaxation. Moreover the training method knowledge, understanding of players knowledge, and game strategy knowledge impacts positively(+) influence on emotional control. Second, the training method knowledge, understanding of players knowledge, and game strategy knowledge impacts positively(+) influence on characteristic sport-confidence. Third, the self-talk, imagery and goal orientation, relaxation, and emotional control impacts positively(+) influence on characteristic sport-confidence. Fourth, the sports performance strategies was revealed to function as a mediat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aching knowledge and characteristic sport-confidence.

      • KCI등재

        국가대표지도자의 코칭 지식과 선수의 스포츠 몰입 및 훈련 태도의 관계

        김현식,윤찬수 한국체육교육학회 2024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8 No.6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of national sports team coaches' coaching knowledge perceived by national sports team athletes with athletes' sports commitment and training attitudes. Methods: To accomplish this purpose of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285 national sports team athletes who were training at the Jincheon National Training Center of Korean Sport and Olympic Committee. The collected data were subjected to analysis relevant to the purpose of study, using the programs of SPSS 27.0 and AMOS 27.0. As for the analysis of data,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conducted, and then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research variables and structural modeling analysis were carried out. Results: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national sports team coaches' coaching knowledge perceived by national sports team athletes had significant effects on athletes' sports commitment. Second, national sports team coaches' coaching knowledge had indirect effects on athletes' training attitudes. Third, national sports team athletes' sports commitment had significant effects on training attitudes. Fourth, sports commitment had a significant mediation effect between coaching knowledge and training attitudes. Conclusion: National sports team coaches' coaching knowledge has significant effects on athletes' sports commitment, and sports commitment has significant effects on training attitudes. With the mediation of sports commitment, coaching knowledge has significant effects on training attitudes. Therefore, a national sports team coach can only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training when he/she teaches athletes after establishing his/her expertise in coaching knowledge. 목적: 이 연구는 국가대표선수가 인식하는 국가대표지도자의 코칭 지식과 선수의 스포츠 몰입 및 훈련 태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구명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방법: 이러한 연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진천선수권에서 훈련 중인 국가대표선수 285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7.0과 AMOS 2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 목적에 적합하게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기술통계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후 연구변인 간의 상관관계 분석과 구조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이 연구에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국가대표선수가 인식하는 코칭 지식은 스포츠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국가대표지도자의 코칭 지식은 선수의 훈련 태도에 간접적인 영향을미치고 있었다. 셋째, 국가대표선수의 스포츠 몰입은 훈련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넷째, 코칭지식과 훈련 태도 사이에서 스포츠 몰입은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었다. 결론: 국가대표지도자의 코칭 지식은 선수의 스포츠 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스포츠 몰입은 훈련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코칭 지식은 스포츠 몰입을 매개할 때 훈련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국가대표지도자는 코칭 지식의 전문성을 정립한 후, 선수를 지도해야 훈련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 KCI등재

        대학 스포츠선수의 지도자신뢰, 선수만족, 지식공유, 혁신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하제현 한국스포츠학회 2020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스포츠선수가 지각하는 지도자신뢰, 선수만족, 지식공유, 혁신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국내대학교에서 스포츠선수로 재학 중인 학생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였고 비확률 표본추출법의 한 방법인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연구의 표본을 추출하였다. 총 295명을 대상으 로 여섯 곳의 대학교를 직접 방문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 부적절한 응답이라고 판단되는 11부를 제외한 284부를 유효 표본으로 설정하고 최종 자료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Statistics 25.0 version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상관관계분석,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고 AMOS 25.0 version을 활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 방정식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스포츠선수의 지도자신뢰는 선수만족에 정(+) 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 스포츠선수의 지도자신뢰는 지식공유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 스포츠선수의 지도자신뢰는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학 스포츠선수의 선수만족은 혁신행동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대학 스포츠선수의 지식공 유는 혁신행동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coach trust, athlete satisfaction, knowledge sharing, and innovative behavior toward college athletes.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total 295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college athletes at six universities with use of a convenient sampling method. Among them, eleven questionnaires were discarded due to inapplicable responses. There were 284 usable questionnaires. 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using SPSS Statistics 25.0 version and the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AMOS 25.0 ver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ach trust of college athletes positively contributed to athlete satisfaction. Second, coach trust of college athletes positively contributed to knowledge sharing. Third, coach trust of college athletes did not have an influence on innovative behavior. Fourth, athlete satisfactio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innovative behavior. Last, knowledge behavior had a positive influence on innovative behavior.

      • KCI등재후보

        비구조적 과제수행에서 나타나는 개인 지식창출활동의 분석

        고진경,강명희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2005 교육과학연구 Vol.36 No.1

        본 연구는 비구조적과제수행에서 나타나는 개인 지식창출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과제수행시기와 학습자특성, 그리고 과제유형에 따라 변화되는 각 지식창출활동의 빈도를 비교하였다. 이를 위하여 과제 영역에 대한 지식수준이 다른 연구참여자들이 비구조적 형태의 협력 및 개별과제를 수행하는 30개의 사례를 선정하고, 과제수행 과정을 관찰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의 내적, 외적 활동의 관찰을 위해서 성찰저널, 인터뷰, 설문, 학습시스템의 게시판메시지 등 다양한 형태의 질적자료를 수집하고 내용분석을 통해 빈도자료로 변환하였다. 도출된 양적자료는 ANOVA, Mann-Whitey 검정, Kruskal-Wallis 검정을 시행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30개 사례의 과제수행시기 간 지식창출활동 빈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중기의 활동 빈도가 가장 높았다. 또한, 4개의 지식창출활동 유형 간에는 유의한 빈도차가 나타났고, 그 중에서 의미화 및 지식창출 유형의 빈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과제수행시기와 지식창출활동 유형 간 상호작용 효과도 있었다. 학습자의 지식수준에 따른 지식창출활동 분석결과, 초심자 집단이 전체 지식창출활용 빈도가 더 높았던 반면 경험자집단에서는 시기와 유형에 따른 빈도변화의 폭이 컸다. 마지막으로 과제유형에 따른 지식창출활동 분석 결과 협력과제를 수행할 때 학습자들에게서 보다 많은 활동이 관찰되었으며 협력과제와 개별과제 모두에서 지식창출활동의 빈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individual knowledge construction phenomenon in activity-based learning environment by identifying specific activities composing the knowledge construction process and analyzing how they work differently according to participant' knowledge levels, the types of tasks, and time periods. The concrete research questions according to research purposes we as follows. When performing ill-structured task : Do the times, Participants' prior knowledge and the task types affect the utilization of activities for the individual knowledge construction? 1) Do the times affect the utilization of activities for the individual knowledge construction? 2) Do the times and participants'prior knowledge affect the utilization of activities for the individual knowledge construction? 3) Do the times and the task types affect the utilization of activities for the individual knowledge construction?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bove questions, I selected 30 cases in which collaborative/independent tasks were performed by the participants with different levels of knowledge in educational technology, respectively. While they performed the tasks, I observed their inside knowledge construction activities. To observe knowledge construction activities, diverse kinds of data were collected, such as interviews, reflective journals, surveys, and messages on the bulletin board in the learning system. They were converted to the frequency data according to category by content analysis method. Based on the frequency data, the utilization for knowledge construction activities were analyzed by using ANOVA, Mann-Whitney test, Kruskal-Wallis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As for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utilization of knowledge construction activities according to the periods of time.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utilization of knowledge construction activities according to the knowledge levels of participants and the periods of time. The Beginners Group showed a higher utilization in the sum of activity types. On the other hand, the Experience Group recorded radical change in utilization of knowledge construction activities with laps of tim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utilization in knowledge construction activities according to task type: the Collaborative Task showed higher utilization than Individual Task In both Task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utilization between knowledge construction activities.

      • KCI등재

        유도지도자의 전문지식과 선수의 승부근성 및 훈련태도의 관계

        조민선,남광우 한국스포츠학회 2021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9 No.1

        본 연구는 유도지도자의 전문지식과 선수의 승부근성 및 훈련태도의 관계를 구명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연구목적 에 따라 2020년 대한체육회에 등록된 유도선수를 모집단으로 편의표집방법을 이용하여 표본을 추출하였으며, 최종분석 에는 총 213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은 통계프로그램 SPSS 22와 AMOS 22를 활용하여 빈도분석, 확인적 요인분 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도지도자의 전문지식 은 선수의 승부근성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도지도자의 전문지식은 선수의 훈련태 도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도선수의 승부근성은 훈련태도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instructor’s professional knowledge, tenacity and training attitude of Judoka.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Judoka from registered in Korea Judo Association. A total of 213 survey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Frequenc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s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ere executed using SPSS 22 and AMOS 22 programs. As the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derived. First, it was discovered that the instructor’s professional knowledge had influence to the tenacity. Second, it showed that the instructor’s professional knowledge gave influence to the training attitude. Third, it showed that the tenacity affect to the training attitude.

      • KCI등재

        중·고 유도선수들의 영양보충제 부작용 실태 및 안전성 지식 수준

        이지연,강형숙 한국스포츠학회 2019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e of nutrition supplements intake, the experience of side effects caused by nutrition supplement side effects, knowledge level about nutrition supplements, and anti-doping perception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judo athletes. Middle and high school judo athletes took nutritional supplements in order of carbohydrate sports drinks, caffeine, lactic acid bacteria and vitamin drinks; the majority of the reason for taking supplements was to fuel themselves up. All athletes who had experienced side effects due to nutritional supplements were consuming three or more supplements. Therefore, knowing the exact cause of side effects was not possible and the level of knowledge regarding the safety of nutritional supplements was very low. While most of the athletes have been educated regarding doping and supplement intakes, many wanted to be reeducated. This study focused on nutritional supplement intake and side effects of middle and high school judo athletes, and is significant in terms of preventing risk stems from nutritional supplements intake of judo athletes by including information about supplements and anti-doping perception and providing basic information for health education. 본 연구는 중・고 유도선수들의 영양보충제 섭취와 반 도핑 인식에 대한 행태를 조사・분석하여, 주니어 엘리트 유도선수들의 영양보충제 섭취에 대한 위험성을 예방하고 건강관리 교육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중・고등학교 유도선수들은 탄수화물 스포츠 음료와 카페인, 유산균 및 비타민음료 순으로 영양보충제를 많이 섭취하고 있었으며, 영양보충제 섭취 이유로는 에너지를 보충하기 위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영양보충제 섭취로 인하여 부작용은 세 가지 이상의 보충제를 섭취하고 있어 어떠한 보충제에 대한 부작용인지 정확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양보충제에 대한 안전성의 지식수준은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선수들이 도핑과 보충제의 교육을 받은 경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기적인 재교육의 실시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추후 전 종목의 중・고 엘리트 운동선수들을 대상으로 영양보충제의 지식수준 및 섭취실태조사를 실시하여 올바른 영양보충제 섭취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하다고 사료된다.

      • KCI등재

        장애인 전문체육 선수의 코칭지식, 스포츠수행전략, 인지된 경기력의 인과관계

        조창옥 ( Chang Ok Cho ),장지훈 ( Jee Hun Jang ),구교만 ( Kyo Man Koo ) 한국특수체육학회 2013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21 No.3

        이 연구는 코칭지식, 스포츠수행전략, 인지된 경기력의 인과관계를 검증하여 장애인 전문체육의 발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스포츠심리학적 근거자료를 제시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대상은 2012년 장애인 전문체육 선수로 등록되어 있는 지체장애인을 모집단으로 설정하고, 편의표본추출법을 실시하여 총 235부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전체 자료에 대한 기술 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Amo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측정모형과 구조모형을 검증하였다. 또한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Shrout와 Bolger(2002)가 제시한 Bootstrap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거쳐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칭지식은 스포츠수행전략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포츠수행전략은 인지된 경기력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포츠수행전략은 코칭지식과 인지된 경기력의 관계에서 완전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본 논의에서는 장애인 전문체육 선수의 경기력 향상을 위한 코칭지식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to sports psychology that can help you to present evidence with the development of the disability sports for elite athletes with disabilities that coaching knowledge, performance strategies, recognized performance is to verify the performances of the causal relationship. This study is registered as professional athletes with disabilities and the population is set to the physically disabled, convenience sampling carried out a total of 235 samples were analyzed material wealth. In order to analyze the data using SPSS 18.0 program for the entire data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Amos 20.0 program using the measurement model and the structural model was verified. In addition, in order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Shrout and Bolger (2002) was proposed by using the Bootstrap method. Than the results obtained by the process are as follows: First, the coaching strategy of knowledge to perform the spor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was found. Second, what strategies do sports in a performance -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was found. Third, do sports coaching strategi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and perceived performance - was fully mediated. In this discussion, based on the results of more than Disabled for performance enhancement of professional players coaching knowledge activation strategies we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