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민선자치 10년의 지방선거

        황아란(Ah-Ran Hwang) 한국정당학회 2005 한국정당학회보 Vol.4 No.2

        본 논문은 지난 10년간 지방선거의 결과에서 나타난 특징과 변화를 바탕으로 선거제도의 제도적 효과를 평가하였다. 특히 대표성과 책임성, 공정성의 기준에 비추어 선거구제와 정당공천제, 선거공영제가 지방선거결과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지방선거제도의 운영실적은 제도적 요인뿐만 아니라 정치문화적인 요인이 상호작용한 결과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지방선거의 부정적 성과에 대한 선거제도 개편논의는 일정한 한계를 지닐 수밖에 없지만, 제도공학적인 의미에서 선거제도의 효과를 논의할 필요는 있다. 본 논문은 지방선거제도 개선의 기본방향으로써 주민대표성의 강화, 정치적 책임성의 확보, 후보 간 선거경쟁의 공정성 제고를 제시하고 주요방안의 기대효과와 한계를 논의하였다. This paper analyzes the local electoral outcomes of the last ten years based on the effects of electoral institutions. In particular, it examines the influences of the electoral district, the party nomination of candidates, and the publicfinanced electoral management on local elections results in the light of representativeness, responsibleness, and fairness. The local electoral outcomes are affected by the Korean political culture as well as its institutional factors; therefore, the electoral reforms might have some limitations in curing all the negative features of local elections. Nevertheless, the institutional arrangements for the electoral systems do have their own effects. Several alternatives are proposed to discuss their anticipated results and their institutional defects.

      • KCI등재

        재 ․ 보궐선거의 현황과 과제: 책임정당정치의 복원

        윤종빈 중앙선거관리위원회 2021 『選擧硏究』 Vol.1 No.14

        This study has a somewhat critical perspective on the current system of by-elections and proposes solutions for the institutional development. The current system has been against the responsible party politics in a sense that it does not impose any penalties on the candidates and his/her parties who cased by-elections. On the basis of a critical perspective, this paper provides a few solutions for the institutional reforms. The first proposal is the abolition of the current by-election system. Second and third, the imposition of election cost should be on the candidates and his/her parties who cased by-elections. Fourth, the next runner-up in the previous election can take over the vacant position. Fifth, to run for another elective office should not be allowed by Public Official Election Act. Sixth, a national level election pledge should not be allowed because it cases public distrust. Lastly, it is a proper time to discuss the downsize of public financed election management. Ordinary citizens have a negative perspective on the frequent by-elections because of the huge cost of taxes. The current system of by-elections does not accord with the responsible party politics because it does not impose any penalties on the candidates and his/her parties who cased by-elections. At least, they must give up candidacy deposit and election campaign reimbursement money. This paper possibly provides insights of responsible party politics in a sense that Korean society should disconnect the new institutional settings of by-elections from old and bad previous practices. This might be the best way to secure the consolidation of representative democracy through recovering political trust and political efficacy. 이 글은 현행 재 ․ 보궐선거제도의 현실적인 문제의식에서 출발해 거시적인 차원에서 보다 종합적인 제도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현행 재․보선이 막대한 국민 세금을 투입하면서도 새롭게 선출되는 단체장은 짧은 임기에도 불구하고 거의 실현 불가능한 국가 수준의 공약을 제시하고 원인을 제공한 사퇴자와 그 정당은 아무런 책임을 지지 않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 이에 대해 이 글은 제도개선 방안으로 첫째, 과다한 선거피로감과 선거비용을 고려할 때 재․ 보선제도를 아예 폐지하고 결원은 일정한 기준을 정해 직전 선거의 차점자 혹은 부단체장이 승계하는 방안, 둘째, 원인제공자인 사퇴한 본인이 선거비용을 부담하는 방안, 셋째, 책임정당정치의 차원에서 사퇴자를 추천한 정당이 공동으로 비용을 부담하는 방안, 넷째, 비례대표뿐만 아니라 지역구에서도 차점자 당선제도를 활용하는 방안, 다섯째, 책임정치의 측면에서 임기 중에 타 공직선거 출마를 위한 사퇴를 제한하는 방안, 여섯째, 무분별한 공약 남발의 제한, 마지막으로 국가가 선거와 정당에 세금으로 지원하는 선거공영제를 축소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재․ 보선을 바라보는 국민들의 시선은 그다지 호의적이지 않다. 왜냐하면 추가적인 선거의 원인을 제공한 선출직 공직자와 그가 소속한 정당은 귀책사유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무런 책임을 지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책임정당정치의 실종은 국민들의 정치에 대한 불신을 가중하고 민주화 이후 30년이 지난 우리의 민주주의를 퇴보시키는 것이다. 재․ 보선의 비용은 국가나 지자체가 아닌 원인 제공자가 부담해야 하고 최소한 기탁금과 선거비용 보전금을 반납해야 국민들의 정치에 대한 신뢰는 조금이나마 회복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사회의 정치양극화가 심화되고 사회적 갈등이 증폭되고 있는 시점에서 각종 비리에 연루되어 엄청난 사회적 비용을 유발하는 재 ․ 보선을 둘러싼 부적절한 관행을 차단하고 유권자의 정치신뢰와 정치효능감을 제고하려는 노력에 매진해야만 우리의 대의민주주의는 더욱 공고해질 것이다.

      • 선거제도 개혁에 관한 연구 : 공영주의를 중심으로

        양순석 통일사상학회 2019 통일사상연구 Vol.16 No.-

        ‘민주주의의 실패’는 그 핵심이 선거제도에 있다는 것이 중론이다. 선거는 ‘민주 주의의 꽃’이라고 할 만큼 민주주의를 상징하는 대명사로 간주돼왔다. 현대의 거의 모든 나라가 대의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투표를 통해 국민의 대표를 선출하고 있다. 현행 투표식 선거제도는 대표성의 위기를 드러내고 있으며 민주주의의 이념을 제대 로 구현하지 못하고 있다. 선거제도 개혁은 국가 정치개혁의 핵심 의제이다. 공영주의가 주창하는 선거제도 가 미래사회의 정치제도가 되기 위해서는 먼저 불합리한 현실을 개혁하기 위한 도 구가 돼야 한다. 본 연구는 과연 공영주의의 선거제도가 현행 선거제도의 대안이 되 는가를 검토하는 것이다. 공영주의의 선거제도는 천거와 투표와 추첨을 결합한 혼합형이다. 공영주의 선거 제도는 천거를 통해 덕성 있고 신망 있는 후보자를 확보하고, 투표를 통해 효율성을 확보하며, 추첨을 통해 대표성을 확보하려는 취지다. 자유민주주의는 자유의 오남용으로 그 정신이 오염됐다. 공영주의의 선거제도는 사사로움을 제거하기 때문에 공인을 뽑는 선거의 본래 의미를 구현하기에 적합하다. 신의에 의해 선출된 공직자의 소명의식은 사사로운 이익과 집단이기주의를 극복하 고 참된 민주주의를 실현하는 기반이 될 수 있다. It is widely believed that the core problem of the “failure of democracy” lies in the electoral system. The election has been regarded as a symbol of democracy since it is called the “flower of democracy.” Today almost every country in the world adopts a representative system and elects representatives by voting. The current voting system shows a crisis of representativeness and does not properly embody the ideology of democracy. The reform of the electoral system is a key agenda of national political reform. In order for the electoral system, which is advocated by the principle of mutual prosperity, to become a political system in the future, it must first be a tool for reforming irrational realities.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 electoral system of the principle of mutual prosperity is an alternative to the voting system. The electoral system of the principle of mutual prosperity is a mixture of recommendation, voting and sortition. It can secure virtuous and trustworthy candidates through recommendation. It is efficient because it can elect competent people through voting. And it is possible to obtain a representativeness through sortition. Democracy has been polluted by abuse of freedom. The electoral system of the principle of mutual prosperity eliminates the desire for private interests, so it can fully realize the original meaning of election by which public figures are elected. The vocation of a public official elected by God’s Will is the basis for overcoming private interests and collective selfishness and realizing true meaning of democracy.

      • 공생공영공의주의로 본 공영정치 정책원칙과 선거제도에 관한 연구

        임현진 통일사상학회 2018 통일사상연구 Vol.14 No.-

        해방 이후 한국정치는 보수와 진보가 끊임없이 격돌하는 분열과 대립의 역사를 경험해 왔다. 정치이념과 세대, 지역 등 특성에 따라 패거리로 분열하고 대립해 온 한국사회의 정치현실을 바로 잡고 『통일사상요강』의 공생공영공의주의 이념을 기초 로 이해와 배려, 소통과 협력을 지향하는 대통합으로 나아가야 할 때다. 본 연구는 공생공영공의주의 이념을 기초로 한국사회의 정치적 개혁의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한국의 선거제도에 대하여 탐구하면서 개인 보다 사회 와 국가, 나아가 온 인류를 위한 사랑의 정신인 공공애(公共愛)에 기반을 둔 공영정 치를 개념화하고, 이에 기초한 선거제도의 원칙과 형식을 살펴보았다. 현대 대의민주주의 정치의 핵심기제인 선거제도가 작동하는 기제를 성찰하며, 특 히 한국의 선거제도가 갖고 있는 공영정치로 본 문제점을 도출하고 해결방안을 탐 구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하나님의 나라를 이 땅 가운데 구체적으로 실현하 고자 하는 공생공영공의주의 이념을 깊이 있게 논의하였다. Since the liberation of Korea from Japanese rule in 1945, Korean politics has experienced a history of division and confrontation in which conservatism and progress are constantly conflicting. It is time to correct the political reality of Korean society that has divided and confronted with groups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political ideology, generation, and region. It is time to understand and care each other, communicate and cooperate with each other on the basis of the ideology of ‘the Principle of Mutual Existence, Mutual Prosperity and Mutual Righteousness’ in Unification Though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political reform in Korean society based on the ideology of ‘the Principle of Mutual Existence, Mutual Prosperity and Mutual Righteousness’. In particular, it explores the electoral system of Korea and conceptualizes the ‘Mutual Prosperity’ based on public love(공공애), which is the spirit of love for society, nation and even humanity, rather than individual. This paper examines the mechanism of electoral system, which is the key mechanism of modern democracy politics. Through such a process, we deeply discussed the ideology of ‘the Principle of Mutual Existence, Mutual Prosperity and Mutual Righteousness’ in realizing the kingdom of God in this land.

      • KCI등재

        2018 교육감 주민직선 결과 및 쟁점 분석

        고전 대한교육법학회 2019 敎育 法學 硏究 Vol.3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results and issues of the Direct Superintendent election by residence(hereinafter referred to as ‘DSR’) in 2018, and suggest the direction of legislation policy. For this, I have reviewed the backgrounds and history of DSR and draw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tension process of democratic justness’. The judgment applied in this study is the same as in the 2014 study. The basis of analysis from the Constitutional Court's judgment is The DSR system should be keep the balance among the Democracy, Local government, and Independence of education At the chapter Ⅲ, I reviewed the result of Superintendent election in 2018 comparing with 2014 and 2010. DSR's voter turnout has risen to 60.2% from 56.8%(54.5 in 2010). and it's competition rate is 3.6 : 1(4.2 : 1 in 2014). The most impressive result is that all 12 incumbent Superintendents have been re-elected, and the 14(13 in 2014) progressive candidates have been elected among the 17 provinces of KOREA. As a conclusion are as follows. DSR is the most suitable system for realizing the Constitutional Spirits of Local educational autonomy. The appointing system by a city governor could pose a risk of subjugating education to politics. It is illegal to set an election method as an ordinance, not a law. There are two main problems with the election of Superintendent of education. The first problem is that voters don't know who the candidate is. The second problem is that the candidate's campaign expenses are too high. The answer to two problems at once is ; a complete public management system by the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이 논문은 2018년 6월 13일 실시된 교육감 주민직접 선거의 결과와 선거와 관련된 주요 쟁점에 대하여 분석한 논문이다. 연구자가 수행한 2008, 2010, 2014년에 이은 네 번째 민선 교육감 선거 결과에 관한 연속 논문으로 시계열적 변화를 살펴보는 것 또한 이번 논문의 주안점이다. 교육감 직선제 결과를 논의함에 있어서 제도의 헌법정신과 지방교육자치법의 목적 및 개정 취지, 그리고 제도의 운영원리를 논의의 준거로 삼았다. 접근방법 측면에서는 주민직선제의 규범적 정당성 판단과 관련하여 헌법재판소의 판례에 근거한 법해석적 접근을, 주민직선제의 사실적 실효성 판단과 관련하여서는 선거 결과 및 유권자 의식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한 법사회학적 접근 방법을 병행하였다는 점에서 교육법학적 접근을 시도했다. 특히, 이번의 분석은 수차례에 걸친 선거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제도사적(制度史的) 관점도 추가되었다. 선거결과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의 총람 자료를 근거로 투표율 및 득표현황, 당선자의 특성, 선거비용, 유권자 의식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고, 5대 공약과 관련하여서는 2014, 2018년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진보와 보수 비율이 14:3으로 2014년보다 심화되었고 12명이 현직 교육감이 전원 당선되었고 전교조 출신이 10명이었다. 교육감 선거는 도·지사 선거로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했지만 현직 교육감이라는 인지도는 결정적이었으며, 진보 성향 후보들의 교육혁신 공약에 대한 주민의 기대가 반영된 결과였다. 가로 열거형 순환 배열 방식에 따른 순번효과의 상쇄도 지속되었다. 그러나 시·도지사보다 두 배 많은 사표문제나 정당연계 연출형 선거 관행, 유권자에게는 낮 설고, 출마자에게는 부담되는 고비용·저효율 선거 문제도 지속되고 있었다. 주요 쟁점으로 후보요건 개정 실효성론, 깜깜이 선거와 사표론, 현직 교육감 불패론, 직선제 개정 입법론, 지방자치로의 통합론 측면에서 그 인과관계와 문제점을 분석했다. 결론으로서 주민 직선제를 종합 평가 한 후 향후 입법 정책적 과제를 제안했다.

      • KCI등재

        부패 카르텔과 제도화 부패의 비교

        정정목(Chung ChungMok) 한국부패학회 2014 한국부패학회보 Vol.19 No.3

        국가를 운영하는 제도가 진화함에도 불구하고 부패는 사라지지 않는다. 그 이유의 하나는 부패는 본 질적으로 인간의 행태이며, 인간이 제도를 만들지만 제도가 다시 인간의 행태를 변화시킨다는 데 있다. 바꿔 말하면, 인간이 제도에 적응하면서 인간의 행태인 부패도 진화한다는 것이다. 이는 우리나라의 부 패 카르텔과 미국의 제도화 부패를 비교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제도화 부패는 부패가 제도와 관행 그리고 입법화를 통하여 심리적 정당성, 윤리적 당위성과 합법성 을 확보한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삼권분립의 원칙과 법 지배의 원칙이 훼손되어 소수가 다수를 지배하는 비민주적 결과로 이어진다. 이는 도덕적 불감증이자 민주주의 정치제도의 한계이다. 제도화 부패의 가장 큰 원인은 선거비용에 있다. 천문학적 선거비용을 조달하기 위한 제도화가 악용 되어 법을 사고파는 것을 포함하는 다양한 제도화된 부패를 양산한 것이다. 부패 카르텔의 원인은 특정 지역 유권자들이 특정 정당을 지지하는 투표행태와 정당의 공천제도에 있다. 특정 지역에서는 특정 정당의 공천이 곧 당선을 의미한다. 그런데 지역구 공천권은 당내 소수가, 지방정부 선출직 공천권은 지역구 의원이 독점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공천을 둘러싼 매관매직 행위가 끊이지 않는다. 부패 카르텔은 아직 그 단계까지 진화하지는 않았다. 물론, 우리나라 정치인들이 미국의 정치인들보 다 더 청렴하기 때문은 아니다. 정치헌금으로 법을 사는 것은, 미국과 달리, 위법이기 때문이다. 부패 카르텔을 해체하고 제도화로 진화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대안은 선거 제도를 전반적으로 혁신하는 것이다. 선거를 공영화 하여 후보들의 비용지출을 원천적으로 축소하고, 비례대표제를 확대하고 중선거구를 채택하여 지역구의원의 권력을 제한해야 한다. 또한 정부의 의사결정을 가능한 한 개방하여 소수가 다수의 비용으로 혜택을 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방정부목록 등을 정하여 투명성과 정보공개법이 보다 실효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Human invents institutions, and institutions transform human behavior. This is why corruption never exterminated even after governing institutions evolved. Corruption, as human behavior in nature, and institutions coevolve. It could be witnessed in the comparison between cartel and institutional corruptions. Institutional corruption refers to a corruption which is legalized by democratic practices, customary, legalization, and even psychological as well as ethical rationalization. It undermines the principles of the separation of powers, and rule of laws. As a result, majority rule is destroyed and minority dominate majority. Such an undemocratic result is the sheer ethical anesthesia and a serious limit of democratic political system. Expenses for an election campaign contribute is the primary reason of institutional corruption. So called democratic practices to raise campaign funds that reached astronomical figures are made bad use of buying and selling laws. Causes of cartelized corruption are party alignment of regional voters and nomination system of political party. Party alignment of regional voters means the fact that voters in certain regions firmly endorse their supports to a specific party. In such regions party nomination guarantees winning with only few exception. Under this situation, party nomination rights for candidates for lawmakers in electoral districts are monopolized by a few party leaders and candidates for heads and councilmen in local governments are monopolized by incumbent lawmakers in each districts. As a consequence, trafficking of every kinds of nominations is so prevail. Cartelized corruption is not evolved at that point, yet. It, certainly, is not because Korean politicians are more incorruptible than American politicians. Unlike America, lobbying which is buying laws with political contributions is illegal in Korea. Strategies to dismantling cartelized corruption and to prevent it, in advance, from evolving to institutionalize can be found in the reform of election system: to minimize such an astronomical amount of election campaign expenses and to get rid of the just to collect funds from private sectors, public management of election system should be introduced; enlarge the number of proportional representative seats; above mentioned alternatives so far will cut back powers lawmakers from local electoral districts currently wield. Decision-makings in all levels of governments should be open to public so as to prevent minorities from profiting at the costs of majorities. To make transparency and free information act more effective, open government index like supportive means should be introduced.

      • KCI등재
      • KCI등재

        선거공영제의 평가 : 공직선거법 및 정치자금법 분석

        李在轍,朴明浩 한국의정연구회 2011 의정논총 Vol.6 No.2

        선거 공영제는 선거에서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국가가 선거를 관리하는 제도이다. 즉 선거 공영제는 국가가 선거에 참여한 모든 후보자들이 공정하게 경쟁할 수 있는 기회를 보장하고 정당과 후보자가 사용한 선거비용의 일부 또는 전부를 부담하는 제도로 이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선거 공영제를 통해 우리가 구현하고자 하는 것은 공정 선거이다. 나아가 공정 선거로 구성된 대의기구는 국가와 사회의 연결기구로서 제대로 기능을 하게 될 것이다. 그렇다면 한국의 선거 공영제는 그 제도적 취지에 부합하고 있을까? 만약 한국에서 선거 공영제의 도입목적이 현실적으로 적절하게 실현되지 못한다면 우리는 어떤 대안을 모색할 수 있을까? 본 논문은 한국의 선거 공영제가 제도적 목적과 취지에 부합하는지 평가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논문은 한국의 선거 공영제를 개선하기 위해 몇 가지 개선안을 제시했다. 첫째, 이전 선거에서의 비용 자료 등을 토대로 물가 상승률 등을 반영하여 사전에 지원하는 방식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둘째, 예비후보기간 동안 사용한 선거 사무장과 사무원의 인건비를 공식 선거운동기간과 같이 보전대상에 포함 시키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셋째, 국고보조금의 배분방식은 의석수보다 득표수가 먼저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예비후보제의 도입 취지에 부합하지 않는 사항 등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득표율에 따른 선거 비용의 보전 기준을 하향 조정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public campaign financing system in Korea. The country established the system to ensure a fair opportunity for candidates in election campaign. For managing this system, the state or local government in Korea provides financial support to candidates or political parties for campaign expenses. Then, how well is this system maintained? Do the system attain the purpose? If not, what is the problem of the system? This study attempts to answer these questions. The analysis shows strength and weakness of the system. Then, it presents several alternative suggestions to overcome the limitation of the system. First, the system needs to provide a fund to candidates in advance taking the latest election expenses report to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and inflation rate into account. Second, the system requires to include the staffs' labor cost for pre-candidates when reimbursing the candidates' expenditure. As distribution criterion, third, the study proposes that national subsidy to political parties is decided by vote rate in the election rather than seat number in National Assembly. Finally, it suggests that the system alleviates the condition for reimbursement of candidates' expenditure.

      • KCI등재

        미국의 선거 보조금 지급제도에 관한 분석

        김정곤(Jeong-Gon Kim) 한국정당학회 2009 한국정당학회보 Vol.8 No.1

        이 글은 미국에서 선거 보조금제도에 관한 최근 연구에 대한 전반적인 고찰을 하고 기존 연구가 선거 보조금제도를 분석하는 데 있어서 어떤 한계를 지니고 있는지를 제시하였다. 선거 보조금을 지급하는 것이 만병통치약은 아닐지라도 선거 보조금제도는 민주주의의 다양한 역기능들을 개선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선거 보조금이 정상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 몇 가지 변수들이 있다. 기존학자들은 이런 변수들을 고려하지 않은 채로 선거 보조금이 선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왔다. 첫째, 기존 학자들은 선거 보조금을 제공하는 목적 중부패방지라는 관점에서 선거 보조금의 효과에 대하여 관심을 두지 않아왔다. 둘째, 기존 학자들은 후보자가 선거 보조금을 받을지 거부할지를 전략적으로 결정한다는 사실을 연구하지 않고 있다. 보조금 지급을 조건으로 하는 선거비용 제한은 후보자들이 전략적으로 선거보조금을 선택하도록 촉진한다. 셋째, 기존 연구들은 선거비용 제한과 기부한도가 선거 보조금과 함께 선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지 않았다. 이들 선거자금 제도들은 상호작용하고 서로 영향을 미친다. 마지막으로, 기존 연구는 선거 보조금의 영향을 분석하면서 제3자의 선거비용 지출을 간과해 왔다. 선거 보조금제도를 정치자금제도에 새롭게 도입한다고 할지라도 선거 보조금제도는 제3자 선거비용 지출을 감소시킬 수 없다. 따라서 선거 보조금은 목표를 달성할 수 없고 정치자금 개혁은 실패하고 말 것이다. 후보자의 역선택과 제3자 선거비용 지출 등의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추가적인 선거 보조금 지급과 강제적인 선거비용 제한이 그것이다. To assess the impact of public funding on election in the USA, I have examined previous studies. In my view, even though public funding is not panacea, it may cure various ills of democracy. However, for public funding to function normally, there are prerequisites. As described below, previous studies have failed to notice the prerequisites. In the absence of considering them, they have analyzed the impact of public funding on election. As a result, their studies have various limitations. First, previous scholars have not studied the impact of public funding on corruption. Second, existing literatures fail to notice that candidates decide strategically to receive public funding. Third, campaign finance system consists of public funding, contribution limits, and spending limits. These sub-campaign finance systems are interacting and influencing each other. Previous studies analyze public funding without controlling the effect of spending limits and contribution limits. Finally, they have overlooked non-candidate spending in the analysis of the impact of public funding. Even though public funding is introduced into campaign finance system, it cannot decrease non-candidate spending. Consequently, public funding cannot achieve goals and campaign finance reform results in failure.

      • KCI등재

        공직선거법 체계정비를 위한 법제 개선 검토

        조소영 한국부패학회 2023 한국부패학회보 Vol.28 No.4

        우리나라의 선거법은 헌정사의 흐름 속에서 형식적인 변화를 겪기도 했고, 법률의 구체적인 내용 개정은 현재까지 선거시기별로 시대적 변화나 제도개선적인 고침을 반영하는 변천과정을 겪어 왔다. 정권의 통치구도를 편의적으로 강화하거나 권력기반의 정당성 확보를 위한 의도적 개편의 역사도 있었다. 하지만, 그래도 대략적인 선거법 개정의 역사는 선거의 자유와 공정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에 집중되어 왔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행 공직선거법은 선거의 자유보다 선거의 공정을 우선한 규제 중심의 법제로 평가될 만해서 변화된 선거환경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또한 현행 공직선거법은 선거에 관한 절차규정과 선거운동 규정의 내용상의 혼란은 물론이고 제한 및 금지규정과 벌칙 규정의 복잡한 구성 등으로 수범자에 대한 행위규범으로서의 기능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현실적인 문제점도 크다. 때문에 현행 공직선거법의 체계정비를 위한 개선작업은 반드시 실행되어야 할 법제상 과제인 것이다. 우리나라의 선거법은 선거를 치르면서, 특히 정권이 바뀔 때마다 통치구조의 변경에 따른 제ㆍ개정의 과정을 거쳤다. 그 과정 속에서 선거법은 법률의 존재형태에 따라 개별선거별법제와 통합선거법제로 구분할 수 있으며, 통합선거법제도 다시 ‘공직선거법’ 전후로 구분된다. 공직선거법은 선거가 있을 때마다 많게는 한 해에 세네번의 개정을 거칠 정도로 선거시기마다 변화를 이뤄왔다. 공직선거법은 계속해서 변화해야 한다. 선거의 민주적 기능을 제대로 실현하기 위한 변화가 필요한 법제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우리 선거법의 개정내용과 역사를 살펴보면, 민주적 선거제도 구현이라는 당위적 요청과 기득권을 가진 정치세력이 주가 된 현실적 상황의 충돌과 그로 인한 갈등적 양상이 적잖았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정치현실의 결과는 법제 체계성의 혼란과 유권자인 수범자를 간과한 법제내용을 산물로 하고 말았다. 이런 문제의식을 전제로 이 글에서는 현재의 단일법률체계를 이원화하는 방안을 검토해 보았다. 즉 현행 공직선거법 조항들을 선거절차법과 선거운동법으로 이원화하는 방안이다. 그래서 현행 공직선거법 규정 중 선거관리 및 선거절차와 관련된 조항들은 선거절차법으로 분류하고, 선거 참가자들과 관련된 내용은 선거운동법으로 분류하되, 정당의 활동과 관련된 규정들은 정당법으로, 선거비용 관련규제는 정치자금법으로 이관하여 재정비하는 방안을 검토하였다. 동시에 법률전문가가 아닌 일반인의 경우에도 선거와 관련된 행동의 기준으로 기능하는 법제가 됨으로써 예측가능성과 법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각 금지규정의 구성요건들을 재정비하는 방안을 제안해 보았다. Our country's election law has undergone formal changes over the course of constitutional history, and revisions to the specific content of the law have gone through a process of change that reflects the changes of the times or institutional improvements by election period. There has also been a history of intentional reorganization to conveniently strengthen the regime's governance structure or secure the legitimacy of its power base. However, it can be said that the rough history of election law revision has been focused on efforts to secure freedom and fairness in elections. However, despite this, the current Public Official Election Act is evaluated as a regulation-oriented legislation that prioritizes election fairness over election freedom, and is therefore evaluated as failing to properly reflect the changed election environment. In addition, the current Public Official Election Act shows confusion in the content of election procedural regulations and election campaign regulations. In addition, the complex structure of prohibition and penalty regulations creates a realistic problem in that it cannot function as a code of conduct for criminals. Therefore, improvement work to reorganize the system of the current Public Official Election Act is a legislative task that must be implemented. With this awareness in mind, this article examines ways to dualize the current single legal system. In other words, it is a plan to dualize the provisions of the current Public Official Election Act into the Election Procedure Act and the Election Campaign Act. Therefore, among the provisions of the current Public Official Election Act, I would like to classify the provisions related to election management and election procedures as the Election Procedure Act, and the provisions related to election participants under the Election Campaign Act. Next, we considered reorganizing the regulations related to political parties' activities by transferring them to the Political Parties Act and the regulations related to election expenses to the Political Funds Act. At the same time, we proposed a plan to reorganize the components of each prohibition provision to ensure predictability and legal stability by becoming a legal system that functions as a standard for election-related behavior even for the general public, not legal exper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