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국가지정 석조문화재의 훼손상태에 따른 보존처리 상관성 연구

        이명성,전유근,이미혜,이재만,박성미,김재환,Lee, Myeong Seong,Chun, Yu Gun,Lee, Mi Hye,Lee, Jae Man,Park, Sung Mi,Kim, Jae Hwan 국립문화재연구소 2013 保存科學硏究 Vol.34 No.-

        2001년부터 2005년까지의 국가지정 석조문화재의 정기조사 이후에 많은 석조문화재가 보수 보존처리 되었지만 아직까지 훼손상태 및 등급에 따른 보존처리 기준이 모호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국가지정 석조문화재의 훼손유형 및 등급에 따른 보수 보존처리의 원인을 통계분석하여 석조문화재의 훼손등급과 보존처리의 상관도를 분석하였다. 이 결과, 석조문화재의 모든 훼손유형에서 3등급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를 등급별로 보면 4등급은 풍화상태가 143건, 5등급은 생물영향이 61건으로 가장 많았다. 2002년부터 2011년까지 실시된 보존처리는 총 211건으로 집계되었다. 보존처리 유형은 표면세정(134건, 26.1%), 수지접합, 강화처리 등이 가장 많이 실시되었다. 석조문화재에 대한 직적접인 처리 이외에도 석조문화재의 보존환경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보호각 설치, 배수로 정비, 주변정비공사 등이 실시되었다. 보존처리율은 전반적으로 훼손등급이 높아질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성암석에 따라서는 변성암 및 퇴적암이 화성암으로 구성된 석조문화재 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조시대에 따라서는 삼국시대 석조문화재의 보존처리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통일신라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에 축조된 석조문화재의 보존처리율은 유사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국가지정 석조문화재의 최대훼손등급에 따른 보존처리율 살펴보면, 5등급에서 매우 높은 약 80%정도의 비율을 보이며 2012년에 보존처리된 석조문화재 수를 합하면 보존처리율은 더 높아진다. 이 결과는 향후 국내 석조문화재의 훼손상태에 대한 보존처리 여부를 결정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It is not easy to define the priority criteria of the need of conservation treatment for stone cultural heritage, although many of them have been treated and restored over the past decade. This study approached the correlation between damage grade and the need of conservation treatment based on damage diagnosis of stone cultural heritage carried out from 2001 to 2005. The number of Third-graded (from First to Fifth-grade) stone heritage in deterioration was the highest among state-designated stone cultural heritage. The Fourth-graded stone cultural heritage (143 in total) was mostly influenced by high physiochemical deterioration, whereas the Fifth-graded ones (61 in total) was dominantly affected by biological colonization. It was estimated that total 211 stone cultural heritage were treated for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from 2002 to 2011. They were usually cleaned (total 134, 26.1%), joined and consolidated, and maintenance works as shelter construction, drainage installation and surrounding cleaning were carried out for some of them. The number of conservation intervention increased with the high deterioration grade, and the case number of metamorphic and sedimentary rocks. By age, the stone cultural heritage in Three-kingdom Period were treated the most, and other heritage in Unified Shilla, Goryeo and Joseon showed an approximate ratio. The stone cultural heritage fallen in the fifth-grade in deterioration demonstrated the highest ratio, approximately 80% of conservation intervention.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preliminary data to define the emergency criteria for conservation intervention policy.

      • 선운사(禪雲寺)·내소사(來蘇寺)·개암사(開巖寺)의 석조문화재(石造文化財) 조사

        조용중 한국고고미술연구소 1999 동원학술논문집 Vol.2 No.-

        선운사, 내소사, 개암사는 전라북도 서남단에 위치한 고찰이며 여느 고찰과 마찬가지로 많은 문화재를 소장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국립중앙박물관 미술부의 사찰종합조사와 함께 실시된 조사 내용을 담고 있다. 많은 문화재 가운데, 부도(浮屠), 탑비(塔碑), 석탑(石塔), 석불(石佛), 석조(石槽), 석조괘불대(石造掛佛臺) 등 석조만을 간략히 소개하고자 한다. 이들은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는 석조미술 양식의 흐름을 잘 전달하고 있다.

      • 석조문화재의 자연재해 피해양상 예비분석

        양동윤,김주용,김진관,이진영,김민석,이상헌,김정찬,남욱현,양윤식,Yang, Dong-Yoon,Kim, Ju-Yong,Kim, Jin-Kwan,Lee, Jin-Young,Kim, Min-Seok,Yi, Sang-Heon,Kim, Jeong-Chan,Nahm, Wook-Hyun,Yang, Yun-Sik 한국제4기학회 2007 제사기학회지 Vol.21 No.1

        90년대 이후 세계적으로 집중호우와 같은 자연재해에 문화재가 극심한 피해를 입고 있다. '05년도 문화재 보수건수는 '86년 건수 대비 거의 6배에 달하고, 특히 경상도와 전라도의 보수실적이 전국의 63%를 차지하였다. 이는 90년대 이후 발생한 태풍이 대개 남해안으로 상륙하여 북상하는 형태였고 경로에 해당하는 전남 및 경남 지역에 막대한 피해를 주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석조문화재 보수자료를 기반으로 현지조사를 거쳐 자연재해 발생 가능성이 높은 석조문화재를 예비 분석하였다. 이의 분포현황을 보면 토사재해와 사면 붕괴 등 사면과 관련된 재해가 58% 이상을 차지하였는데, 이는 석조문화재 중 사면에 분포하는 것이 59%로 다수를 차지하고 이들은 집중호우가 발생하면 산사태나 토사이동으로 인한 재해에 대해 매우 취약하기 때문이다. 집중호우 하에서는 산사면 표층수 또한 높은 에너지를 가지고 흐르면서 석조문화재 지반의 토양을 침식시킬 수 있다. 마애불과 같이 자연상태의 암석을 이용한 석조문화재 중, 전석상태의 것은 침식이나 지반침하 등의 지반변화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여 지반에 변화가 오면 기울음이나 전도 등의 피해를 볼 수 있다. 자연재해가 발생할 수 있는 석조문화재의 분포는 '90년대 이후의 5대 태풍의 전체 강우분포와 관련성이 보여 2등급 정도의 범주 안에 들어온다. 특히 태안반도와 경기의 일부 문화재는 전체 강우분포도 보다는 태풍올가 등의 강우분포와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The severe damage of cultural heritages induced by natural hazards like heavy rain has been dramatically increased since 1990. The number of the repair works of stone heritage of 2005 was six times as many as those of 1986 year. Especially the ratio of the repair works of Gyeongsang Province and Jeolla Province stood 63% of those of all over the country. Since 1990, the typhoons usually struck the southern part of Korea and went northward. The heavy damage of stone heritages in two provinces was caused by them. We made a preliminary survey the stone heritages that exposed to the natural hazards on the basis of repair works of them and a field survey.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the natural hazards such as landslide and soil disaster of the stone heritages related to a sloping surface stood 58% of all kind of natural hazards. The reasons are caused by the 59 % of all the stone heritages distributed in a sloping surface resulted in natural hazards like landslide and soil disaster. The bases of stone heritages can be easily eroded by the surface water with high energy induced by heavy rainfall. Most of the stone heritages like Maebul were engraved on a natural rock wall(outcrop). But some of them engraved on rolling stones are very vulnerable in a change of a base condition caused by erosion and ground subsidence and they can be tilted or fell down. The distribution of the stone heritages vulnerable in natural hazard is related to that of the rainfall distribution compounded five typhoons after 1990. Most of them are included in level two on the rainfall distribution map except those of Taean peninsula and some of Gyeonggi Province. They seem to be rather related to the rainfall distribution of the Typhoon Olga.

      • KCI등재

        강원지역 주요 석조문화재 주변의 사면재해 가능성 분석

        김경수,송영석 한국자원공학회 2010 한국자원공학회지 Vol.47 No.3

        The slope hazard probability around the main stone relics of five temples in Gangwon Province was investigated using the statistical method. The topography, the geology and the soil characteristics around stone relics were investigated firstly, and then the landslides prediction map was made up on the basis of the developed prediction model. The probability of landslides was classified with grades, and the vulnerability of slope hazard around stone relics was estimated. As the result of analysis of slope hazard probability, the landslides may be occurred around Seollimwon temple site among the main stone relics of five temples. The stone relics such as three stories stone pagoda and stupa remains of Seollimwon temple located in this temple site have a high vulnerability of slope hazard. Therefore, the permanent maintenance and the suitable mitigation should be set up to preserve the stone relics which the vulnerability of slope hazard is too high. 강원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5개의 주요 석조문화재들을 대상으로 산사태로 인한 사면재해 가능성을통계적인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먼저 석조문화재 주변의 지형, 지질 및 토질특성을 조사하고 기개발된 예측모델을 토대로 산사태예측도를 작성하였다. 그리고 산사태예측도의 발생가능성을 등급별로 분류하여 석조문화재의사면재해 피해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산사태예측도를 이용한 사면재해 피해가능성 분석결과 5개의 주요 석조문화재 가운데 선림원지 주변에서 산사태발생가능성이 높으며, 이로 인하여 해당 석조문화재인 선림원지삼층석탑과 선림원지부도가 피해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면재해로 인한 피해가능성이 있는 석조문화재에 대해서는 항구적인 유지보존 및 관리대책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석조문화재의 보존에 대한 철학적 고찰

        이상헌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18 보존과학회지 Vol.34 No.3

        석조문화재는 ‘석재’로 만들어진 문화재로 조성 목적에 따라서 여러 형태를 빌리고 있다. 그 중에서 석탑(승탑 포함)과 석불(마애불 포함)이 가장 많으며 문화사적 및 과학기술적 측면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문화사적인 것과 과학기술적인 특징은 왜? = why? 그리고 어떻게? = how?의 관계로 나타낼 수 있다. 전자는 이유, 원인 등으로 철학적인 면을, 그리고 후자는 방법론적인 면을 의미한다. ‘왜?’ 그들은 석탑과 석불을 제작하였으며 ‘어떻게’ 그것들을 조성할 수 있었을까? 이와 같이, 석조문화재는 대부분 (1) 정치-사회적, (2) 종교적, 그리고 (3) 문화사적 배경에 따라 형태적 측면의 영향을 받는다. 그러므로 문화재가 조성된 배경을 종합적으로 조사 및 분석하여 석조문화재 보존처리를 위한 원칙과 방법론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The forms of stone cultural properties vary depending on the purpose of construction. In general, pagodas and statues of the Buddha (including the Maebul) are representative of stone cultural properties and demonstrate important aspects of cultural history and scientific technology. The purpose for which cultural properties were constructed may influence construction technologies, so we must carefully think about and clearly understand the purpose of construction, namely the cultural and/or philosophical history, when conducting conservation treatments now. This may be examined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why?” and “how?”: Why did the builders construct these stone cultural properties, and how did they use such technologies? We may be deeply impressed by the form and delicacy of the sculpture, which is the “how” aspect of the technologies, but we must also understand the effect of the “why.” namely the soul and/or spirit of those who created the properties. The form of stone cultural properties may be influenced by (1) the political-social sphere, (2) religion, or (3) the cultural history of the period, which have changed over time. It is important that this is the view taken in current conservation treatment.

      • KCI등재

        산사태예측도에 의한 석조문화재 주변의 산사태재해 가능성 분석

        김경수 ( Kyeong Su Kim ),이춘오 ( Choon Oh Lee ),송영석 ( Young Suk Song ),조용찬 ( Yong Chan Cho ),김만일 ( Man Il Kim ),채병곤 ( Byung Gon Chae ) 대한지질공학회 2007 지질공학 Vol.17 No.3

        산사태가 일어날 지점을 예측한다든지 사태물질로 인한 피해 예상지역을 알아내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이는 산사태를 발생시키는 요인들이 여러가지가 있고 개개의 요인들이 산사태를 발생시키는데 기여하는 중요도도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그러나 많은 산사태자료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발생 메커니즘 규명과 통계적 해석기법을 통해 산사태 발생가능성의 예측과 위험지역의 분류가 가능해졌다. 석조문화재가 산사면 또는 그 직하부에 인접해 있는 경우는 산사태가 발생되면 재해에 무방비로 노출되어 있다. 이 연구에서는 여름철의 집중호우 등에 의해 석조문화재 및 그 주변지역에 산사태가 발생할 가능성을 사전에 예측함으로써 그로 인한 석조문화재의 피해가능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2002년 8월 산사태재해로 인해 피해가 발생된 바 있으며 중요 석조문화재가 위치해 있는 실상사 백장암지역을 연구대상지역으로 선정하여 산사태예측도를 작성하였다. 그리고 산사태재해 가능성을 발생확률로 표현하여 등급별로 구분함으로써 석조문화재 및 그 주변지역이 산사태에 취약한지의 여부를 평가하였다. 또한, 이러한 조사 및 해석기법을 앞으로 석조문화재 주변의 산사태재해 예측 및 평가를 위해 실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다. It is a very difficult thing to estimate an occurrence possibility location and hazard expectation area by landslide. The prediction difficulty of landslide occurrence has relativity in factor of various geological physical factors and contributions. However, estimation of landslide occurrence possibility and classification of hazard area became available correlation mechanism through analysis of landslide occurrence through landslide data analysis and statistical analysis. This study analyzed a damage possibility of a cultual heritage area due to landslide occurrence by a heavy rainfall. We make a landslide prediction map and tried to analysis of landslide occurrence possibility for the cultural heritage site. The study area chooses a temple of Silsang-Sa Baekjang-Am site and made a landslide prediction map. In landslide prediction map, landslide hazard possibility area expressed by occurrence probability and divided by each of probability degrees. This degree used to evaluate occurrence possibility for existence and nonexistence of landslide in the study site. For the prediction and evaluation of landslide hazard for the cultural heritage site, investigation and analysis technique which is introduced in this study may contribute an efficient management and investigation in the cultural heritage site, Korea.

      • KCI등재

        야마나카 상회(山中商會)와 일본으로 유출된 한국 문화재

        주홍규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7 한국학논총 Vol.47 No.-

        Yamanaka & Co was a famous corporation dealing in fine arts. A lot of cultural assets of Korea, China and many other Asian countries , including Japan, were introduced to North America and Europe. It was checked that Yamnaka & Co traded a lot of Korean cultural assets during Japanese occupation. Probably most of them might be smuggled into other countries illegally and be traded However, there are few evidences confirming that Yamanaka & co was related with the outflow of Korean cultural assets. In addition, we can't just confirm how many Korean cultural assets were taken to others by Yamanaka & Co but also where they are now. We inspected that Yamanaka & Co traded in Korean cultural assets in Japan, Then we grasped major genuine assets taken to Japan after checking lists published mostly and ,to take Korean cultural assets back to Korea later, examined it was the illegality that they were taken to Japan. Also we studied some unknown institutions with Korean cultural assets in Japan. Yamanaka & Co smuggled many cultural assets into other countries in the name of introducing Asian Arts to Europe and the U.S.A. A considerable of Korean cultural asset hardly got out of the clutch of Yamanka & Co. It was responsible for Korean cultural assets smuggled. We should examine the lists left by Yamanaka & Co, which is important task to claim the independent and natural right of recovering Korean cultural assets smuggled. We should examined continuously under which situation Koran cultural assets was smuggled and how they were taken to other countries. 야마나카 상회는 자국인 일본 이외에도 한국과 중국 등 다수의 아시아 문화재가 북미와 유럽으로 흘러 들어가는데 큰 역할을 한 유명한 미술상이다. 일제 강점기에 야마나카 상회는 다수의 한국 문화재를 거래한 정황이 포착된다. 이렇게 그들이 거래한 한국의 문화재 중에는 상당수가 불법적으로 유출되어 거래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이러한 야마나카 상회와 관련된 한국 문화재에 관해서 현재까지 명확하게 파악된 사실은 많지 않다. 또한 야마나카 상회가 유출한 한국의 문화재의 정확한 양에 관해서 파악되지 않았고, 유출된 이후의 대다수의 한국 문화재에 관한 행방의 파악이 이루어지고 있지도 않은 실정이다. 본 고는 일본 현지에서 야마나카 상회가 한국의 문화재를 거래한 상황을, 간행된 목록을 중심으로 살펴본 후, 실물을 중심으로 유출한 주요 유물을 파악하고, 차후에 진행될 한국의 문화재 반환을 위한 위법성에 대해 검토한 것이다. 또한 지금까지 잘 알려지지 않은 일본 내의 한국 유물 소장 기관에 대해서도 같이 살펴보았다. 야마나카 상회는 아시아의 미술품을 유럽과 미국에 소개한다는 명목으로 다수의 문화재를 지속적이고 대규모로 유출시켰다. 한국 문화재의 상당수도 야마나카상회의 마수에서 벗어나기 어려웠다. 이러한 한국의 문화재가 국외로 유출되는데야마나카 상회는 분명한 책임이 있다. 야마나카 상회가 남긴 목록의 검토는 유출된 한국 문화재의 반환이라는 자주적이고 당연한 권리를 행사하기 위한 기초 작업으로서 중요하다. 우리는 지속적인한국 문화재 유출의 배경과 경위를 찾아나가는 노력을 계속해 나가야 한다.

      • KCI등재

        석조문화재 영향평가를 위한 화강암, 사암 및 응회암의 산성용액 반응 실험

        조훈회,현창욱,신동준,신동진,유종호,임정균,윤명섭,박형동 한국자원공학회 2011 한국자원공학회지 Vol.48 No.4

        Various weathering factors affect stone monuments located outdoors. Among these factors, acid rain caused by rapid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has been recognized as an important factor in weathering of rocks for the stone monuments. In this study, artificial weathering assessment were performed to analyze quantitative weathering effect of rocks by acid rain. To consider actual outdoor environment, both meteorological data and stone monument distribution data were examined, and granite, sandstone and tuff were chosen for test specimens. Weight, absorption rate, color, ion contents, pH changes were measured in four cases, under fully soaking condition, continuous raining condition and natural weather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upper cover. Result showed that the weathering effect on rock specimens at an early stage was bigger than the later stage. Weight changes of granite, tuff and sandstone under continuous raining condition for 100 days, 0.157%, 0.290% and 0.560% respectively, reflect weathering effect on rocks caused by acid rain for about 3 years under domestic raining condition. Ca^(2+) was the most detected ion due to dissolution of calcite and feldspars caused by acid solution. Upper cover under natural weathering condition showed decreased change of weight up to 22%, so the cover can be used to reduce weathering effect on stone monument. 야외에 노출된 석조문화재는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풍화가 진행되는데 최근 도시화와 산업화로 인한 강우의 산성화는 암석의 풍화에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국내 실정을 반영한 산성비에 의한 석조문화재 구성 암석의 풍화 영향에 대해 정량적인 분석을 수행하였다. 기상측정자료와 석조문화재를 구성하는 암석의 지역별 분포 경향을 결합하여 분석하고, 분석 결과로부터 선정한 화강암, 사암, 응회암을 대상으로 완전침수 조건, 인공강우 조건, 보호각 유무로 구분한 자연풍화 조건에 따라 인공산성강우 실험을 수행하였다. 무게변화, 흡수율변화, 색변화, 이온변화, pH변화를 통해 산성비에 의한 암석의 풍화 정도를 비교한 결과, 모든 암석에서 실험 초기에 풍화 정도가 크게 나타났다. 인공강우 조건에서 100일 동안 실험을 반복한 결과, 화강암, 사암 및 응회암의 무게 감소가 각각 0.157%, 0.290%, 0.560%로 나타났고 이는 국내 강우 조건에서 약 3년 동안의 산성비에 의한 석조문화재 구성 암석의 풍화 영향을 모사한 결과이다. 산성용액의 이온변화에서는 방해석 및 장석류 광물의 용출로 인해 Ca^(2+) 이온이 가장 뚜렷한 변화를 보였다. 자연풍화 조건에서 보호각을 설치했을 경우 무게 변화가 최대 22% 감소한 결과를 통해 산성비에 의한 석조문화재 풍화예방 대책에 보호각 설치가 암석의 풍화를 억제하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석조문화재의 풍화물성을 고려한 구조보강방법 연구

        이동식,김현용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15 보존과학회지 Vol.31 No.4

        본 연구에서는 석조문화재에 대한 금속보강재의 최소 개입을 통해 원형부재의 이차 훼손을 줄이고 , 동시에최대의 구조보강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제안된 실험을 통해 처리기술의 객관적 기준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금속보강재의 설계 기준은 석조문화재의 풍화도에 따라 보강재비의 산정이 이루어져한다. 둘째, 석조문화재의 원형이부분적으로 훼손되어 형태나 구조적으로 보강이 필요할 때 보형처리(구부재 + 신석재 접합)는 풍화등급이 높은 부재를기준으로 금속보강재 비율을 계획해야 한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석조문화재의 구조적인 안정을 꾀할 수 있는 조건을고려한 금속보강재 비율을 풍화영역별로 제시하면, 접합단면 대비 800kgf/cm2 이하는 0.13∼0.23, 800kgf/cm2 이상1200kgf/cm2 이하는 0.24∼0.28, 1200kgf/cm2 이상은 0.29∼0.5의 금속보강재비를 권장할 수 있다. 특히 더욱 세분화된풍화등급에 따른 금속보강재의 적용 여부는 석조물의 파괴계수와 금속보강재의 물성을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t this, in this study, some tests were conducted to come up with a method to minimize intervention, to reduce the secondary damage to original materials, and to produce remarkable reinforcing effects. The followings show objective standards. The proportion of original material to steel reinforcement bar (the ratio of steel reinforcement bar) needs to be calculated in light of weathering intensity. Second, in the case of partial damage, prosthetic treatment is applied to add new stone materials to original materials. In that case, the ratio of steel reinforcement bar should be calculated based on material that is highly resistant to weathering. Wit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suggest conditions that can structurally stabilize stone cultural heritage, according to the weathering area. As a result, the ratio of steel reinforcement bars can be 0.13 to 0.23 in the case of 800kgf/cm2 or less, 0.24 to 0.28 in 800kgf/cm2 or higher, and 0.29 to 0.5 in 1200kgf/cm2 or higher. In particular, there is the need to take the coefficient of rupture of stone material and the properties of the steel reinforcement bar into account in cases of calculating the ratio of steel reinforcement bars according to weathering intensity.

      • KCI등재

        네브라 사암의 강화처리에 미치는 염의 영향

        도진영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06 보존과학회지 Vol.18 No.-

        염을 함유하고 있는 석조문화재들의 표면층은 대부분 매우 약한 상태이기 때문에 강화처리가 필요하다. 이제까지의 연구들은 강화제의 침투깊이와 강화제가 손상된 조직의 역학적 안정성에 끼치는 영향에 대해 주로 다루었다. 그러나 염을 함유한 석조문화재에 에틸실리케이트를 기반으로 한 강화제를 처리했을 때 성공적이지 못한 결과가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염이 손상된 석조문화재의(Nationalgalerie, Berlin, Germany) 강화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서 사암시료를 염용액에 담구어 함염처리를 시킨 후에 에틸실리 케이트를 기반으로 하는 강화제를 함침시켰다. 연구결과, 석조문화재가 함유하고 있는 염들은 암석 내의 공극을 채움으로 해서 강화제가 내부로 충분히 들어가지 못하는 차단작용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네브라 사암으로 구성된 Nationalgalerie 건물의 강화처리에 에틸실리케이트 계열의 강화제를 사용하고자 한다면 우선 표면오염층에 함유되어 있는 높은 함량의 염을 줄이거나 없애는 작업을 강화처리 전에 선행하여야만 효율적인 강화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다. 염을 함유하고 있는 석조문화재를 손상을 악화시키지 않고 강화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정확한 염을 파악하여 그 위해성 여부를 고려하고, 암석, 염과 강화제의 상관관계를 시험한 후 적절한 강화제와 사전처리법을 찾는 일련의 선행연구가 필수적이다. Surface layers of stone cultural properties including the soluble salt need consolidation because they are mostly very weak. There is a lot of research on the penetration depth of consolidant in stone and the effect of consolidant on mechanical stability of deteriorated structure. But some conservation experiences show that consolidation with silicic acid ester is not successful on salt contaminated stone cultural properties. In this study, in order to assess the influence of soluble salts on the efficiency of consolidation on the deteriorated stone cultural properties(Nationalgalerie, Berlin, Germany) sandstone samples have been soaked with the salts solution. The impregnation of consolidant based on ethyl filicate have been afterwards carried out on these samples. As a result, it confirms that the soluble salts act as a preventer or consolidation. They fill up the pores in the stone and prevent that sufficient amount of consolidant enter deeply into the stone. According to this result, if use silicic ethyl ester as a consolidant for the research object which is built by Nebra sandstone, desalination is necessary before the treatment with consolidant. But it is also reported by other researches that some soluble salts improve the consolidation effect. Therefore it should be necessary to pre-study about salt and its harmfulness before the consolidation treatment. In order to consolidate without the aggravative damage in salt contaminated stone cultural heritage, we must first of all study the relations among salt, stone and consolid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