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비』의 서사 전환 전략 연구

        박영호(Young Ho Park)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8 No.4

        본 연구는 장르와 매체 전환 과정에서 요구되는 서사 전환 전략을 논의하기 위한 것이다. 서사 전환 전략이란 서사 작품의 전환을 통하여 향유를 활성화하고 경제적 부가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한 다양한 전략을 의미한다. 대중의 지지를 받는 텍스트라 할지라도 치밀한 전략이 전제되지 않으면 긍정적인 결과를 기대할 수 없다. 전환 전략에 관한 정치한 논의가 필요한 것도 바로 이런 이유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서사의 구성요소인 서사구성, 등장인물, 배경이 전환 과정에서 어떻게 활용되었는가를 고찰하였다. 서사학에 기초한 이와 같은 연구방법을 적용한 것은 소설과 영화가 서사성(Narrativity)이라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지만 독립된 장르라는 점에서 다른 매체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활용된 전략의 양상과 그 가치를 검토하는데 유용한 지침이 될 것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그리고 본 연구 결과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본 연구 주제와 관련을 맺고 있는 다양한 분야의 선행연구 결과와 각종 문헌 자료 및 각종 네트워크와 개인 블로그 그리고 관련 D/B 등을 종합적으로 활용하였다. 서사 전환은 장르와 매체를 가리지 않고 진행된다는 점에서 논의의 대상 또한 다양하다. 그렇지만 본 연구에서는 그 범위를 영화 『가비』로 한정하고 대중성 획득에 실패하게 된 요인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실패 요인에 주목한 것은 첫째, 선행연구가 주로 성공사례를 중심으로 진행되어 연구의 편향성을 극복할수 있을 것이라는 점 둘째, 서사 전환 전략에 대한 연구의 지평을 확장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점 셋째, 이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서사 전환을 위한 요건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점 때문이다. 논의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하였다. 먼저 영화로의 전환 전략을 서사 구성의 변형, 등장인물의 변형, 배경의 변형으로 세분하여 대중성 획득에 실패하게 된요인을 중심으로 점검하고, 이를 바탕으로 성공적인서사 전환을 위한 통합적 전략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것으로 논의를 마무리하였다. 본고는 지금까지 거의 시도된 적이 없었던 실패 사례를 분석하여 합리적인 전환 전략의 중요성을 재인식하는 계기를 제공해주었다는 점에서 일정한 의의를 갖는다. 따라서 본 연구를 기점으로 서사 전환 전략에 대한 구체적이고 진전된 방법론 개발을 위한 논의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focusing on a strategy of narrative adaptation of media genre converting. the strategy of narrative adaptation means vitalization of new narrative dramatization and maximization of economic profit. there is no positive result without a careful strategy even if it would success to the readers. so this sort of debates are needed on this situation. This study apply a research method as below. the narrative compositions like construction, characters, backgrounds are researched how they are used at adaptation process. I use the method which is based on narratology because of that there is common things between novel and film in narrativity though but they are independent contents genre each, and that is more useful on the examination of aspect and valuation of strategy. for the maximization of the result on the study I researched former study results and Papers and various networks and private-blog and concerned database synthetically. There are so many object because of that the narrative adaptation is not divide genre and media. so this study set the limit to the film 『Gavi』 and analysed the main cause of the failure. that is because first, overcome of former studies which are forcused on successful opponents, second, widen the research field of narrative adaptation, third, efficient requirement would be suggested from this result. The debate was processed as below. the narrative adaptation of the film was divide to transformation of narrative construction, characters, backgrounds and It was examined by the cause of faillure and efficient component is suggested on this adaptation process. this study acquires significance for offering some meanings on narrative adaptation strategy only because their are gained at analyzing of failure case. so I hope that the interesting of researchers will be grown in narrative adaptation field from this study.

      • KCI등재

        <구르믈 버서난 달처럼>의 서사 전환 전략 연구

        박영호(Young Ho Park)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2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8 No.2

        본 연구는 장르와 매체 전환 과정에서 요구되는 서사 전환 전략을 논의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의 전환전략은 원작이라 할 수 있는 서사 작품이 장르와 매체 전환을 통하여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할 때요구되는 전술 전략을 의미한다. 원천콘텐츠와 거점콘텐츠 사이에 공통점이 내재하고 있다하여도 정밀한전략 없이 전환을 시도한다면 긍정적인 결과를 기대할 수 없다. 전환 전략에 관한 정치한 논의가 필요한것은 바로 이런 이유 때문이다. 논의의 생산성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 적용한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두 작품을 공급자와생산자의 관계로 인식하고 만화와 영화의 공통분모인서사성을 중심으로 서사구성, 등장인물, 주제의식을 하위 범주로 설정하여 각각의 양상들이 매체 전환 과정에서 어떻게 변용되었는가를 고찰하였다. 서사학에 기초한 이와 같은 연구방법은 동일한 서사적 요소가 매체 전환 과정에서 변용되는 양상을 체계적으로 검토하는데 매우 유용한 지침이 될 것이다. 그리고 본연구 결과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본 연구 주제와 관련을 맺고 있는 다양한 분야의 선행연구 결과와 각종 문헌 자료 및 인터넷을 이용하여 국내외의각종 네트워크와 개인 블로그 그리고 관련 D/B 등을종합적으로 활용하였다. 서사 전환은 장르와 매체를 가리지 않고 진행되고 있다는 점에서 전환 전략에 관한 논의 또한 다양한관점에서 진행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만화와 영화로 그 범위를 제한하였다. 이는 논의의 구체성과 결과의 실효성을 함께 기대할 수 있다는 점 때문이다.그 가운데서도 본 연구의 대상을 <구르믈 버서난 달처럼>으로 한정하였다. 이 작품에 특별히 주목한 것은 첫째, 만화와 영화 모두 대중성의 측면에서 이미 검증이 이루어졌으며, 둘째, 지속적으로 전환이 활성화되어 매체 전환에 따른 서사 전환 전략의 유효한 모델이 될 수 있다는 점, 셋째 비교적 최근에 영화로 전환되어 시의적 측면에서 의미를 갖는다는 점, 끝으로 이 작품을 대상으로 진행된 본격적인 선행 연구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였기 때문이다. 논의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하였다. 먼저 만화에 내재하는 서사적 양상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영화로 매체전환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각각의 양상들이 어떻게 변용되었는가를 점검하여 매체 전환과 정에서 적용된 전환 전략의 특성을 파악하고 그 의미를 제시하는 것으로 논의를 마무리하였다. 본고는 급변하는 문화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있는 전환 전략을 모색했다는 점에서, 그리고 서사 전환을 기획하고 있는 많은 창작자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는 점 그리고 한국 문화콘텐츠의 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일정한 의의를 갖는다. 따라서 본 연구를 기점으로 서사 전환 전략에 대한 논의가 확장되고 심화되어 한국 문화콘텐츠 경쟁력을 극대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concerned about a strategy for narrative adaptation which is needed when adaptation take place from genre to media. there is no positive result whether common element is not exist between original contents to positional contents, or adaptation attempt has not elaborate strategy. A fixed discussion on adaptation strategy is needed on the very that reason. The method of this study, For the maximum result, is as follows. perceiving cartoon and movies as provider and producer, I examined narrative composition, characters, themes as a sub-category and considered changing aspect of previous element during adaptation process. this method which is based on the narratologie support very useful guidelines to the examination of narrative adaptation on the same story elements. furthermore, I researched paper materials, internet informations, private blogs and all the database which is concerned synthetically. Narrative adaptation could be progressed by related debates and various point of study views. but this study set limits to the cartoons and films because of the concreteness and the effectiveness on the debate. The material of this study put to use of <Blades of Blood>. this is because of 1: Original cartoon and the film is verified on popularity. 2: they could be a model of narrative adaptation consistently. 3: the debate is a timely study. 4: this material film has not advanced research. The debate was progressed on the following order. first, the cartoon narrative aspect was analyzed. as successor, changing aspect was examined between cartoon and film, and narrative adaptation strategy was grasped and making its meaning was suggested as a conclusion. This study have some meanings ; narrative adaptation strategy was found for the active maneuver in these changing days. Useful methods were given to the writers who has plan like this kind of adaptations. and Korea culture content would have more power in this industrial environment. I expect that the related debates would be expanded and they would be helpful to Korea culture content which must have its competitiveness.

      • KCI등재

        YTN 〈돌발영상〉의 서사전략 연구

        조영권(Yung-kwon Cho),나미수(Misu Na)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007 미디어, 젠더 & 문화 Vol.8 No.-

        이 연구는 텔레비전 뉴스를 하나의 서사물로 보고 새로운 뉴스 형식으로 평가되고 있는 YTN 〈돌발영상〉의 서사전략을 분석했다. 이를 통해 새로운 뉴스미디어가 어떠한 정치현실 구성에 기여하는지 살펴보고자 했다. 분석 결과 〈돌발영상〉은 미디어 카니발 전략과 역파놉티콘 전략이라는 두 가지 서사전략으로 뉴스를 구성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두 가지 서사전략은 다시 하위전략으로 세분화되었는데, 미디어 카니발 전략의 하위전략은 첫째, 권위의 전복, 둘째, 희화화와 패러디, 셋째, 비공식적 언어의 사용 세 가지 유형으로, 역파놉티콘 전략의 하위전략으로는 첫째, 시놉티콘, 둘째, 의사사건 뒤집기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돌발영상〉의 서사전략은 다양한 현실 정치공간을 미디어 카니발의 공간으로 활용하면서 정치엘리트에 대한 수용자의 감시권력을 강화하는 뉴스 구성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이 같은 서사전략은 뉴스라는 제도화된 형식을 통해 정치적ㆍ사회적 이슈를 대중적인 구경거리로 제공하면서 정치엘리트의 권위주의적 속성을 전복시키고 패러디함으로써 정치 또는 정치엘리트의 위상을 끌어내리는 동시에 정치적 쟁점에 관한 수용자의 논쟁과 토론을 자극하는 계기를 마련한다. The news media play an increasingly powerful role in the process of constructing political reality. The narrative frame is the basic organization of the structural components used in the news story. Every narrative has its own strategies representing the news story. This study analyzes Korean political reality and political discourse constructed by YTN Dolbalyongsang, using narrative analysis method. In order to understand how YTN Dolbalyongsang represents Korean legislature, political parry, politician, administration, justice, civil organization, and the press, this study analyzes 478 Dolbalyongsang contents especially focusing on narrative strategies. As a result, this study finds two narrative strategies: media carnival strategy and a strategy that gives the surveillance power to audience. Media carnival strategy has three sub-strategies: the subversion of authority, making a caricature and parody, using abusive language. Reverse-panopticon strategy has two sub-strategies: synopticon, disclosing pseudo-event. Using those narrative strategies, YTN Dolbalyongsang contents represent Korean political reality as having three characteristics. They depict legislature, political parry, politician as main actors of Korean politics. They describe the political arena as consisted of political conflicts. Such political conflicts are represented as two main forms: discourse struggles and physical clashes. The narrative strategies are frequently adopted for describing Korean political reality as an interesting political serial drama. YTN sends out its program, Dolbalyongsang, on the air regularly, so it looks like an interesting political serial drama. As a consequence, it can gives the audience a great interest in politics and Korean political system.

      • KCI등재

        자유주제 : <지식채널 e>의 경쟁력, 자막의 서사전략

        강현구 ( Hyun Koo Kang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0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32

        EBS의 <지식채널 e>가 보인 가능성은 앞으로도 계속 주목을 받을 것이다. 5분정도의 런닝타임으로 다큐멘터리이면서도 지식콘텐츠로서의 사명과 역할을 온전히 감당하는 그 특유의 가능성과 힘은 여전히 탐구와 학습의 대상이 될 것이다. 우리는 그러한 가능성과 힘의 핵심에 동영상물로서는 특이하게 자막이 자리하고 있음을 보았는데, 그러한 자막의 중요성에는 역시 편마다 자막이 하나의 완결된 혹은 짜임새 있는 이야기로서의 서사적 완결성을 보인다는 것이 핵심이다. 따라서 <지식채널 e>의 경쟁력에 대한 탐구는 자막, 자막의 서사적 완결성, 자막의 서사전략에 대한 탐구가 되어야 한다. <지식채널 e> 가 심혈을 기울여 다루는 화두 및 주제는 ‘불편한 진실’, ‘반성적 시각’, ‘일상의 발견’, ‘소외된 이웃’으로 대별할 수 있다. <지식채널 e>의 모든 편들에서 자막은 서사적 완결성을 보이는데, 항상 <프롤로그 - 제목 - 본편>의 순서를 갖는다. 4개의 영역마다 대상을 다루는 시각, 소재, 강조점의 차이에 따라 상이한 서사전략이 보이니, 그 서사전략에 대한 탐구야말로 경쟁력 있는 다큐멘터리, 지식콘텐츠 창출의 핵심 방법론 구축이 될 것이다. 사회적 위기를 조성할 수 있어 그 심각성에 대해 주목해야 할 문제임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의도적인 지연이나 방관이 숨은 ‘불편한 진실’편들은 선택적 진실이라 부를만한 화두들이어서 판단의 불가측성으로 인해 매우 예민한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화두들이다. 첫째 불편한 진실 편들은 자책감과 두려움의 두 축에 기대어 서사를 진행하고 있다. 흔히 <권위 있는 기관의 진단> → <과학적 사실이 담보된 근거의 제시> → <피해 당사자들의 육성>의 서사구조를 특징으로 하는데 <자책감>에서 <두려움>으로 이어지는 서사적 전환이 문제의 심각성을 증폭시키는 역할을 한다. 둘째로 ‘불편한 진실’ 편들은 그 재앙이나 고통을 일선에서 감내해야 하는 희생자들을 다루는 경우가 많은데, 그 몰입과 감동은 자막으로 제시되는 희생자들의 육성을 다양하고 적절하게 제시하는 전략 - 자신들의 고통스런 현실을 일상처럼 받아들이는 담담한 어조의 진술, 자신들이 느끼는 두려움을 이야기 하면서도 그 책임을 스스로에게 국한하여 묻는 순진함이 배인 진술, 세상을 돌아보려는 덕스러운 품행과 희망에 대한 명랑한 희구가 한층 더 우리의 반성적 시각을 가슴 뭉클하게 불러오게 만드는 전략 -을 보인다. 셋째로 다큐멘터리로서의 생래적 특징을 잘 살린 경우로서 객관적 사실 자체의 충격성 혹은 압도적인 힘에 기대어 문제의 심각성을 일깨우는 경우인데, 이런 경우는 수치와 자료가 뒷받침된 사실들의 속도감 있는 전개에 기대어 정서가 증폭되는 격정성을 생성한다. 넷째로 반전적 서사를 적극 활용하여, 특정한 화두나 문제가 갖는 숨은 비밀을 정보의 누출과 인식을 최대한 배제한 채 놀람을 통해 제시하는 방식의 채택이다. <지식채널 e>가 갖는 가장 큰 관심 중의 하나는 우리의 통념적 사고가 갖는 위험성과 경직성에 대한 고발 즉 ‘반성적 시각’이라 부를 수 있는 것들이다. <지식채널 e>는 특히 통념적 사고나 관행적 제도 중에서도 일반 대중들이 그 모순성이나 억압성을 전혀 예상키 힘들었던, 즉예의 정상적이고 당연한 것으로 여겨졌던, 그래서 문제제기가 쉽게 회자되지 않았던 것들을 잡아내는데 매우 예민한 촉각을 가졌으며, 바로 그런 능력 때문에 대중들의 지적 호기심과 반성적 시각의 필요성을 촉발하는데, 큰 성공을 거두고 있다. 반성적 시각을 다룬 편들은 크게 보아 왜곡의 실상에 초점을 맞춘 경우와 진실의 규명에 초점을 맞춘 경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편마다 왜곡의 실상이 갖는 충격성에 치중한 경우와 통념적 사고를 거두고 진실을 규명해 보려는 노력의 기발함이나 치열성에 치중한 경우로 나누어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왜곡의 실상에 보다 더 초점을 맞춘 경우는 우선 과학적, 역사적 진실을 제시하여 확정적인 논거를 마련한 후, 그 권위에 기대어 왜곡의 역사, 실상, 주체 등을 차례로 파헤쳐 설명하며 마지막에는 그 대안적 시각을 제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역시 이 경우는 우리의 통념적 사고가 갖는 확고한 믿음에 반해 왜곡이 너무도 자연스럽고 집요하게 진행되었다는 것을 깨닫게 되는 충격성을 얼마나 잘 제시하였느냐에 달려있다. 또한 진실의 규명에 보다 더 초점을 맞춘 경우는 각성된 개인 혹은 집단이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진실에 접근하려는 노력의 치열함이나 수세적?열세적 힘을 뚫고 기성의 권위와 힘을 넘어서려는 전략의 기발함에 초점을 두려는 경우이다. 이 경우는 역시 각성된 개인이나 집단이 펼치는 진실규명의 노력의 과정에 드러나는 치열함이나 전략의 기발함이 주는 놀라움을 극적으로 잘 부각시키냐에 성패가 달려 있다. <지식채널 e>는 우리 주위의 자연물이나 사물의 비의 혹은 소중함을 일깨우는데 관심이 많다. 주로 그것들과 관련된 과학적 사실들에 기초하여 흥미로운 지식을 전하는데, 언제나 그것들의 소중함과 가치를 그린다. 우리가 우리의 일상 속에서 너무도 친근히 접하는 것이어서, 그 소중함과 가치를 미처 느끼지 못한 것들에 대해 과학적 사실에 기대어 새롭게 조명해 보는 것이다. 소금, 눈, 커피, 연탄 등이 그 예인데, 한결같이 그것들이 인간과 얽힌 의미나 가치를 조명한다. 일상의 발견을 다룬 편들은 크게 보아 자연물을 다룬 경우와 인공물을 다룬 경우가 관점이나 서사방식에 있어 차이점을 보인다. 우선 소금이나 눈처럼 자연물을 다룬 경우는 주로 과학적 사실에 기대어 그것의 과학적?실용적?생명적 가치를 포함한 놀라운 효용적 가치나 생명체적 존재감이 느껴지는 아름다움을 강조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역시 관심은 그 효용적 가치나 아름다움을 부각시키는 힘에 달려 있다 하겠는데, 많은 경우 일상적인 것들이라 이미 우리가 확연히 인지할 수 있어 흥미가 반감될 수 있다는 우려를 감안하여 그 실체를 숨겨 둔 채 중요성을 증폭하며 궁금증을 점증한 끝에 실체를 드러내는 즉 <의문의 사실 제시> → <주어진 정보를 통한 탐색> → <의외의 사실 발견>이라는 서사전략을 택한다. 반대로 라면이나 연탄처럼 인공물을 다룬 경우는 그것의 문화적?사회적 의미 등을 다룸으로써 인간과의 동반자적 의미를 집요하게 그린 경우가 대부분이고, 아울러 그것들의 모양, 특성, 기능에 감추어진 흥미로운 비밀을 지식의 형태로 전달하는 재미를 중시한다. <지식채널 e>는 늘 자본주의의 혹심한 경쟁체제 하에서 뒤쳐진 소외된 이웃들에 대한 관심을 표명한다. 그들에 대한 연민과 함께 개선에 대한 확신 그리고 사회적 책무가 두루 어우러진 채 소외된 이웃에 대한 각별한 관심이 남다르다. 이들 편들에서 주목하는 것은 두 가지인데, 하나는 그들 삶이 갖는 특수성이 주는 충격성이고, 다른 하나는 개선에 대한 열망과 함께 새로운 삶의 지평을 제시하는 구체성이다. 지상에서 벌어지는 여러 일들이 인권의 사각지대에 몰린 사람들에게 얼마나 치명적이고 왜곡된 상처를 주는지, 그 놀랄만한 실체가 어떤 것인지를 그려 내거나 혹은 그들 삶의 개선을 위한 노력이 어떤 결실을 맺을 수 있는지, 우리가 그런 노력들에 얼마나 큰 관심을 가져야 하는지를 보여준다. ‘소외된 이웃’을 다룬 경우는 소외된 이웃의 기막힌 현실을 그리는데 치중한 경우와 그들의 삶을 향상시킬 프로그램이나 대책에 초점을 맞춘 경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소외된 이웃의 기막힌 현실을 그리는데 치중한 경우는 그들의 불우한 처지에 담긴 사회적 책임을 드러내는 경우인데, 상상하기 힘든 불합리성이 존재하는 것을 찾아내어 보여주는 시각의 예민함과 함께 소외된 이웃이 기울이는 노력의 치명적 한계성과 그들 삶을 개선시킨다는 대책의 기만성과 무용성을 아우르는 중층적 구성이 특징이고, 소외된 이웃의 삶을 개선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나 대책에 치중한 경우는 그 프로그램이 갖는 상상을 뛰어넘는 기발한 착상과 집요하고 건강한 노력을 잘 포착하고 극적으로 부각시키는 힘에 성패가 달려 있다 하겠다. 1. The EBS program, `Knowledge-Channel e`, is both a kind of documentary and a knowledge content. Though it has no narration and has the limit of five minutes running-time, the secret of its competitiveness lies in the narrative completeness of the subtitles. 2. The central topics of `Knowledge-Channel e`, are classified into `inconvenient truth`, `reflective thinking`, `discovery of everyday life`, `neglected neighbors`, etc. 3. The characteristics of `inconvenient truth` are dealing with selective truth, coexistence of self-beating and fear, `utilizing various voices of victims`, `utilizing reversals`, etc. 4. The program pieces which are dealing with `reflective thinking`, rely on shocks of the real states of distortions, hard endeavors of clarifying the truths, originalities of deas. 5. The program pieces which deal with `discovery of everyday life`, in case of natural objects, have the characteristics of emphasizing their efficiency, or have the characteristics of utilizing mysteries` structures; in case of artifact objects, they have the characteristics of emphasizing the objects` hidden secrets (knowledge).

      • KCI등재

        해방기 박태원 역사서사의 의미

        유승환(Yoo Sunghwan) 구보학회 2012 구보학보 Vol.8 No.-

        이 논문은 해방기 박태원 역사서사의 상호텍스트 전략을 살펴봄으로써 해방기 박태원 역사서사의 의미를 재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방기 박태원 소설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박태원이 역사소설 작가로 탈바꿈하게 된 계기 혹은 박태원의 역사의식 자체의 발전 과정을 문제삼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는 해방기 박태원이 매우 다양한 형태의 역사서사를 실험하면서 문학이라는 범주를 넘어 역사서술의 방법론 자체에 대한 질문을 지속적으로 던지고 있었다는 점을 간과하고 있다. 박태원의 역사서사는 일차적으로 해방이라는 새로운 정치적 상황 속에서 새롭게 대두된 출판 • 언론 운동의 분위기 속에서 이해할 수 있다. 이 시기 출판 • 언론계에서는 조선의 역사에 대한 저서, 기사들을 활발하게 생산하면서 민족적 영웅을 호출하려는 시도를 했다. 민족적 수난기에 등장한 민족 영웅을 다룬 해방기 박태원의 역사서사는 일차적으로 이러한 흐름에 합류한다. 하지만 동시에 박태원의 역사서사는 공식적인 역사서술에서 배제된 하위주체들의 발화에 대한 관심을 통해, 사료가 가진 텍스트의 권위에 대한 비판적 거리감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해방기의 일반적인 역사서사와 변별된다. 이는 다양한 상호텍스트적 전략의 활용을 통한 텍스트의 위계에 대한 전복의 시도로 나타난다. 박태원은 <춘보>에서, 금지되었기 때문에 공식적인 역사서술에서 배제된 하위 주체들의 발화에 대한 상상적 복원의 전략을, 약산과 의열단에서는 구술적 텍스트에 권위를 부여하여 이를 다른 문헌 자료와 비교하는 전략을 취하며, <홍길동전>에서는 권위적인 텍스트에 대한 비평적 논평자로서의 서술자를 등장시켜 권위적 텍스트를 비판 • 교정케 하는 전략을 취한다. 박태원은 이러한 작업을 바탕으로 <군상>에서 역사에서 배제된 다양한 하위주체들의 존재를 재현하려고 시도 한다. 이때 박태원이 취하는 상호텍스트 전략은 상이한 계열의 텍스트들을 마주치게함으로써, 각 텍스트에서 기원한 인물들이 서로 다른 텍스트의 논평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을 통하여 박태원은 당대의 사회적 세태에 대한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의 기록되지 않은 발화를 상상적으로 재현한다. 이러한 해방기 박태원의 역사서사는 해방이라는 새로운 정치적 가능성 속에서 한 명의 작가가 ‘문학’이라는 협소한 범주를 떠나 당대의 다양한 역사적 형식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통하여 공식적인 역사 서술 속에 배제된 다양한 발화의 양식을 포함하는 역사서사의 새로운 방법들을 모색해나가는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intertextuallity-strategy of historical-narrative written by Park Tae-won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Previous studies about Park Tae-won’s novels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had interest in reasons why he turned into writer of historical novels or in development of his historical consciousness. These studies, however, did not focused the fact that he experimented various forms of historical-narratives and raised questions about methods of historical-narrative. The social background of his historical-narrative was the demand of historical-narrative stirred by new political ambience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Publishers and the press of the time produced a mount of books and articles about history of Korean to summon national heroes. Historical-narratives written by Park Tae-won were different from usual historical-narratives of the time because of his interest in unspoken speeches of subalterns and his critical consciousness about authoritative texts of historical sources. Using various intertextuallity-strategies he tried to subvert hierachy of texts. His intertextuallity-strategy was to restore unspoken speeches of subaltern imaginativly in “Chun-bo”(a man named Chun-bo), to give authority to oral texts and comparing these and formal texts in “Kim Won-bong and Euiyeoldan”, and to use a critical commenter as narrator to criticize and revise authoritative text. Based on these experiments, he tried to represent beings of various sublaterns. Intertextuality-strategy of this novel was to make various characters from various texts commenters to other texts, making various affiliations of texts to be crossed. These historical-narratives of Park Tae-won show us the process that a writter overcame a limited concept of ‘Literature’ and researched new methods of historical-narrative, criticizing various forms of historical-narratives of the time and including various modes of unspoken speeches which had been excluded by formal history.

      • KCI등재

        서사 전환과 현대적 적합성 연구 -창출 전략과 지향 목표를 중심으로-

        박영호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9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5 No.4

        The purpose of the narrative adaptation is to maximize the value of cultural contents and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of the enjoyment. I have suggested creative imagination, public universality, and modern appropriateness as the key strategies of the narrative adaptation. In this study, I am going to discuss modern appropriateness. Modern appropriateness is to extend the value and meaning of source content by creatively reinterpreting it to actively respond to social changes. Therefore, in this study, I will focus on the strategy and goal of creating modern appropriateness. This study has an aim to modern appropriateness can be newly recognized as a key strategy for the adaptation of narrative. That 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t adopts the literature review and online case studies to achieve the above research objectives. First, the theoretical basis for the creation strategy and directional goals of modern appropriateness was reviewed with the paper material. In addition, relevant cases were collected through the Internet, domestic and international D/B, and networks to enhance the objectivity of the discussion. And it was actively reflected. I hope that these research methods will provide useful guidance for the establishment and utilization of future narrative transition strategies. The scope of this study was limited to the strategy and goal of creating modern appropriateness. In particular, it is essential to discuss the pattern of implementation through case analysis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is research result. However, due to a number of reasons, such as the restriction of the ground, we will continue to discuss the issue in a another paper. As noted, a win-win combination of cultural and industrial values is essential for cultural content. However, cultural content research is mainly focused on identifying cultural values. Therefore, this study has a certain meaning in that it will contribute to restoring a sense of balance in the current research environment. In addition, this study has implications in the following respects: First, it presented a strategy to practice modern appropriateness, a key strategy in the adaptation of the narrative. Second, the importance of revitalizing cultural contents has increased, and it has presented a useful strategy to implement them at this time. And the fact that it will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of research related to this field. Finally, I hope that this research will expand and deepen the discussion on the strategy of turning the narrative into a more competitive one for Korean cultural contents. 서사 전환의 목적은 문화콘텐츠의 가치를 극대화하여 향유의 활성화에 기여 하는 것이다. 필자는 서사전환의 핵심 전략으로 창의적 상상력, 대중적 보편성, 현대적 적합성을 제시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 가운데 현대적 적합성에 관하여논의하고자 한다. 현대적 적합성이란 사회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원천콘텐츠의 내용을 창의적으로 재해석하여 그 가치와 의미를 확장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대적 적합성의 창출 전략과 지향 목표를 중심으로 논의할 것이다. 본 연구를통해 현대적 적합성이 서사 전환의 핵심 전략으로서그 중요성과 유용성이 새롭게 인식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그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상기한 연구 목적에 부합하기 위하여 문헌 조사방법과 온라인 조사방법을 병행하였다. 먼저 현대적 적합성의 창출 전략과 지향 목표의 이론적 근거를 문헌자료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그리고논의의 객관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인터넷과 국내외D/B 그리고 네트워크 등을 통해 관련 사례를 수집하였다. 그리고 이를 적극적으로 반영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방법은 향후 서사 전환 전략의 수립과 활용에 유용한 지침을 제공해줄 것이다. 연구범위는 현대적 적합성의 창출 전략과 지향 목표로 제한하였다. 특히 본 연구결과의 실효성 여부를검증하기 위해서는 사례분석을 통한 구현 양상에 관한 체계적 분석과 심층적 논의가 필수적이다. 그러나지면 제약 등 여러 가지 사유 때문에 이에 대해서는별도의 논문을 통해 발표하는 등 논의를 계속해 나갈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문화콘텐츠는 문화적 가치와산업적 가치의 상생적 결합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문화콘텐츠 연구는 주로 문화적 가치 파악에 주력하고있다. 따라서 본 연구가 작금의 연구 환경에 균형감각을 회복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는 점에서 일정한 의미를 갖는다. 뿐만 아니라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첫째, 서사 전환의 핵심 전략인 현대적 적합성을 실천하기 위한 전략을 제시했다는 점. 둘째, 문화콘텐츠 향유의 활성화에 대한 중요성이 확산되고 현시점에서 이를 실천하기 위한 유용한 전략을 제시해주었다는 점. 그리고 이 분야와 관련된 연구의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라는 사실 등이다. 끝으로 본연구를 계기로 서사 전환 전략에 대한 논의가 확장되고 심화 되어 한국 문화콘텐츠의 경쟁력이 강화될 수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전통서사의 문화콘텐츠화 전환 연구

        박영호(Young Ho Park)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7 No.3

        본 연구는 문화콘텐츠 개발에 있어 필수 과정인 전통서사의 전환 전략을 고찰하고, 이를 통하여 전통서사의 가치를 새롭게 조명하기 위한 것이다. 논의의 효과적 전개를 위하여 연구 범위를 설화에서 소설로 전환된 작품 즉 <아랑의 정조>와 <몽유도원도>를 대상으로 하는 한편 필요에 따라 동일한 유형의 작품을 포괄적으로 참고하여 보다 이상적인 결론이 도출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문화콘텐츠 개발과 전통서사와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전통서사의 가치와 전환 전략의 필요성을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전통서사의 전환 전략에 따라 문화콘텐츠의 성패가 결정된다는 사실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 같은 논의를 구체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도미설화>와 이를 소설 작품으로 전환한 <아랑의 정조>와 <몽유도원도>를 대상으로 전통서사의 전환 전략을 새로운 서사로의 전환과 모티프의 기능, 등장인물의 역할 변화와 주제의 재창조 그리고 다양한 향유기회의 창출을 위한 전환 전략의 순서로 고찰하였다. 이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전통서사의 전환 전략을 연구한 선행연구 결과 그리고 각종 문헌 자료 등을 종합적으로 고찰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가 전통서사를 문화콘텐츠 원천 소스로 활용하기 위한 효과적 전환 전략을 수립하는데 이바지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considers an adaptation strategy of traditional narrative which are essential of the culture contents developing, and is proposed to re-illuminate the value of traditional narrative. For this, the range of the study <Virginity of Arang> and <Domi-folktale> which are adaptations from folk tale, and as occasion demand, extend to adaptations which have similar formulation. So, desirable conclusion would be deducted from this study. The method of this study is as below. First, the value of traditional narrative was re-illuminate by concentrating of interrelationship between contents developing and traditional narrative. From this processing, the result was found that the strategy of traditional narrative adaptation is very important for the success of culture contents. For the definite result of study, <Domi-folk tale>and <Virginity of Arang> and <Mongyudowondo> which is adaptation of it, were analyzed and try to find out the strategy of this adaptation. First, the strategy of traditional narrative adaptation was examined by meaning of narrative, motif function and character`s roll change and reproduction of the main subject. Second, this adaptation strategy show that everyone should have a opprtunity for making a various enjoyment. For this result, the various books as a work of art like a novel, studies and papers were researched synthetically. So, I hope this study would be helpful for making and developing strategy of adaptation on traditional narrative to culture contents.

      • KCI등재

        역사서사물 『뿌리 깊은 나무』의 서사 전략

        김종태,정재림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3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58 No.-

        This thesis looked at narrative strategies in novel 『The Deep Rooted Tree』, and drama <The Deep Rooted Tree>. Novel 『The Deep Rooted Tree』, basically shows two narrative strategies. First, it is to be faithful to binary structure of good and evil. Second, it is to have distinct characteristics and universality simultaneously. Furthermore, this thesis looked at narrative strategies of drama <The Deep Rooted Tree>. Drama <The Deep Rooted Tree> showed complicated contest appearance with conflicts of the original novel, the young turks vs. the conservatives debate, so made descriptive tension. Here it added narrative of love. Through this narrative strategy analysis, we can get three implications. First, it is important to develop new Korean materials. Second, we should observe impact phenomenon of fact and fiction closely. Third, the pursuit about the typical structure of a detective story can be a important method of creating historical narratives. Forth, we should respect the trend of present historic narrative reacting nationalism nature violently. 이 논문은 소설 『뿌리 깊은 나무』와 드라마 <뿌리 깊은 나무>의 서사 전략을 분석하였다. 소설 『뿌리 깊은 나무』은 기본적으로 두 가지 서사 전략을 보여주고 있다. 첫째, 추리소설의 일반적인 구조를 지향하는 동시에 선악의 이분법적 구조에 충실하였다는 점이다. 이 명백한 이분법적 구조는 독자들에게 친숙하게 이해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갖지만, 동시에 구태의연하고 식상하게 느껴질 수 있다는 한계를 갖는다. 둘째, 이 소설이 대중에게 ‘세종’과 ‘훈민정음’이라는 특수한 이야기로 해석될 뿐만 아니라 동시에 이미 역사 교육을 통해 잘 알려진 보편적인 이야기로 이해되고 있다는 점이다. 즉 특수성과 보편성을 동시에 획득하고 있다는 점이다. 거기에 더하여 서양과 동양, 근대와 전근대 등 다양한 이질성을 용해시켜 놓았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소설 『뿌리 깊은 나무』의 서사 전략을 논의한 다음 간략하게나마 드라마 <뿌리 깊은 나무>의 서사 전략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드라마 <뿌리 깊은 나무>는 개혁파와 보수파의 대립이라는 원작 소설의 갈등 위에 복잡한 대결 양상을 구현함으로써 서사적 긴장을 형성시켰다. 또한 애정의 서사를 가미하였다는 점이 부각된다. 소설 『뿌리 깊은 나무』에서 소홀히 했던 애정의 서사는 관객들의 흥미를 불러일으키는 원인이 되었다. 위와 같은 서사 전략 분석을 통해서 역사서사물 창작을 위한 세 가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한국적인 소재를 중심으로 새로운 역사 소재의 개발이 중요하다는 점이다. 둘째, 사실과 허구의 충돌 현상에 주의해야 한다는 점이다. 셋째, 추리소설의 전형적인 구조에 대한 지향이 역사서사물 창작의 중요한 방법이 될 수 있다는 점이다. 넷째, 민족주의적 성격을 강하게 보이는 현재의 역사 서사물의 경향을 주목해야 한다는 점이다.

      • KCI등재

        서사전환과 대중성 강화 전략 연구 (Ⅰ)

        박영호(Park, Young Ho)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7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3 No.2

        오늘날 서사는 대량으로 생산되고 소비된다. 대중은 이제 서사를 더 이상 각성과 성찰의 대상이 아니라 소비와 향유의 대상으로 인식한다. 대중성 강화 전략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것은 서사에 대한 대중의 인식 변화에서 기인한다. 특히 서사전환은 매체와 장르전환을 통하여 대중의 향유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전개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그 필요성이 더 더욱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사전환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필수 요소 가운데 하나인 대중성 강화 전략 수립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문헌조사 방법과 온라인조사 방법을 병행하였다. 먼저 서사 작품의 대중성과 관련된 이론적 근거를 문헌자료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그리고 논의의 객관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인터넷과 국내외 D/B 그리고 네트워크 등을 통해 본 연구 주제와 관련된 사례를 수집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반영하였다. 연구범위는 서사구성으로 제한하였는데, 이는 지면의 제약 등 여러 가지 사유 때문이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수립된 전략의 유효성 여부를 입증하기 위한 사례분석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이 또한 위와 같은 사유 때문에 별도의 논문을 통해 논의할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문화콘텐츠는 문화적 가치와 산업적 가치의 상생적 결합이 필수적이다. 그런 점에서 대중성 강화 전략은 산업적 가치를 실현하기 위한 실질적 기능을 수행한다는 측면에서 그리고 주로 문화적 가치를 파악하는데 주력하고 있는 작금의 연구환경에 균형감각을 기대할 수 있다는 점 등에서 일정한 의미를 갖는다. 끝으로 대중의 공통적 성향이나 보편적 취향을 구체화하기 위한 대중화 전략에 관한 본 연구를 기점으로 관련 분야 연구가 더욱 더 확산되기를 기대한다. Narrative is widely made and consumed these days. People appreciate the story as consumer goods and entertainment things rather than introspection and awakening. The strategy of popularization is needed for that reason that the change of people"s awareness to the narrative. Especially, The adaptation is going out to the way of strength which is ruled by people"s likeness. For that reason the necessity is widely demanded. So this study has purpose to make strategy of strength of popularization. For the doing this purpose, I research the papers and on-line content. First, I try to find narrative structure, subject, materials, character and place in the research results. With this work, I deduct specific strategy with former researches. And for the objectivity, I reflect all of database on and off lines on this paper. The range of this study is limited within the strength of papularization, the case-study is necessary for the demonstration of result effectiveness. But the some reasons like shortage of papers, the case-study results would be published later. As well known, culture contents must combine the value of culture and industry. So this study has some meaning that the value of culture and the value of industry would be recognised at the same time and the purpose of popularization should have this kind of awareness. Lastly I finished this study with expectation that the result of this study would be going on to the other researchers.

      • KCI등재

        서사적 중역요소를 기반으로 공공공간 디자인 전략에 관한 연구

        노욱,서동진,김주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4

        (연구배경 및 목적) 1970~80년대에는 서사가 도시과학 분야에 도입되어 도시의 문화적 의미를 표현, 해석 및 형성하는 새로운 길을 제공했다. 서사적 공간 디자인 이론은 주로 다른 예술 분야의 서사 구조와 방법을 직접 참고하여 연구한다. 그러나 고전 서사학이 포스트 클래식 서사학으로 발전함에 따라 연구의 내용은 이야기의 구조에서 인간의 인지 및 감정에 대한 경험적 차원으로 확장되었다. 따라서 서사적 공간 내부에서 중역 과정에 필요한 핵심 요소를 다시 한번 분석해야 한다. 또한, 공공공간은 특수한 서사 텍스트로서 도시사건을 서사적 주제로 삼는 것을 바탕으로 도시사건을 어떻게 교묘하게 공공공간에 융합하여 사용자에게 서술할 것인가는 서사적 공간 디자인의 또 다른 핵심 과제이다. 따라서 본 논문의 연구 목적은 서사적 중역 과정에서 공공공간이 가져야 할 핵심 요소를 명확히 하고 공공공간이 도시 이야기를 표현할 수 있도록 구체적이고 실현 가능한 전략을 도출하려고 한다. 서사적 디자인 전략을 통해 도시이야기를 보다 생생하고 다양한 디자인으로 시민의 일상생활에 반영할 수 있는 공간이며, 도시 공공공간에서 이야기와 공간의 내부 논리를 수립하고 공공공간 서사 디자인의 전반적인 틀을 보완하려 한다. (연구방법) 첫째, 이론적 고찰을 통해 서사 연구의 내용을 명확히 한다. 유형화된 방법을 통해 다양한 분야의 서사 표현에서 서사적 중역과정에 필요한 공통 요소를 요약하고 비교 분석 방법을 통해 공공공간 서사적 중역의 연관성과 차이점을 도출한다. 둘째, 도출된 서사적 중역의 5요소를 공공공간의 특성과 결합하고, 중역요소를 기반으로 공공공간의 서사적 디자인 전략의 구체적인 내용과 특성을 구체적으로 분석한다. 셋째, 연구내용을 바탕으로 분석틀을 설정하고 도시사건 내용을 설계배경으로 하는 4개의 공공공간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한다. 분석 결과에 따라 서사적 중역 요소의 구체적인 표현을 명확히 하고, 도시사건을 표현할 때 서사적 디자인 전략이 발휘하는 역할을 도출한다. (결과) 첫째, 도시 사건이 만들어내는 공공공간은 서사적 중역 요소들을 활용하여 서로 다른 서사적 전략으로 공간설계에 적용되며, 매체성은 사용자에게 다양한 감각적 경험을 제공한다. 둘째, 동선의 선형적 질서성은 이야기 내용에 근거하여 충실하게 사용자에게 전달되며, 비선형적 질서성은 이야기에 대한 사용자의 다양한 느낌과 인지에 더 중점을 두게 된다. 셋째, 서사적 기법성의 암시적, 명시적 표현기법은 중역 요소와 이야기 사이의 합리적인 관계를 형성하게 된다. 넷째, 공간에서는 물질과 체험을 통해 서로 다른 서사 기능을 형성하여 공간을 서사적 다양성이 주는 감정의 리듬으로 변화시킨다. 사람은 공간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서사적 요소를 따라 감정 변화를 형성할 수 있다. 다섯째, 서사적 공간에서는 물질적 요소와 체험적 행위를 통해 이야기의 내용과 사회적 측면의 이중적 의미를 전달할 수 있다. (결론) 도시 공공공간의 서사적 디자인은 전통적인 공간 디자인 사고방식을 깨뜨렸다. 다른 예술 분야의 서사 방법을 공공공간과 연결하여 의미 있는 도시 환경을 조성하여 사람들에게 풍부한 신체적, 심리적 경험을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된다. 서사적 디자인 전략은 서술자(설계 참여자)와 수용자(사용자)가 사상적, 정서적 공감을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