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설 서사론 연구 - 3항성에 기초한 서사 분석 모델 기획

        오세정 ( Oh Se-jeong ) 한국기호학회 2020 기호학연구 Vol.65 No.-

        서사문학 연구에서 허구성을 문학성의 주요 기준으로 세움으로써 전설은 이러한 기준에 도달하지 못하는 저급한 형식의 서사로 간주되어 왔다. 하지만 특정 기준으로 대상을 규격화시켜 바라보기 이전에 대상의 자체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전설이 갖는 서사로서의 고유한 특성을 살피고, 이를 바탕으로 전설의 서사 구성 원리를 찾아야 할 것이다. 전설의 정체성은 문학의 다른 서사와 달리 언어적으로 형성된 텍스트가 현실의 실제 대상을 지시한다는 데에 있다. 전설 텍스트를 하나의 기호로 본다면, 전설은 지시대상과 물리적ㆍ직접적 관계를 맺는 지표적 성격이 강하다고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전설의 서사 구성 원리, 즉 전설 서사를 형성하고 이해하는 방법을 탐색하려면 바로 이 점을 근간으로 해서 진행되어야 한다. 본 논의에서는 인간의 사고와 자연의 대한 보편 범주로 제시된 퍼스의 1차성, 2차성, 3차성의 개념을 활용하여 전설에 대한 서사 분석 모델을 기획하였다. 3항성을 참고하여 분석 모델의 단위와 단계는 다음과 같다. 1차 분석은 서사의 내적 형식에 대한 것으로, 이야기 구성의 요소와 배열 규칙을 기술한다. 2차 분석은 텍스트와 지시대상과의 관계에 주목하여 지시대상의 성격과 관계의 연결점을 파악한다. 3차 분석은 텍스트와 지시대상이 연결됨에 따라 형성되는 사유의 영역, 의미와 법칙을 파악한다. 이 서사 분석 모델에서 각 단위와 단계는 전설 서사의 형식 구조, 관계 구조, 의미 구조에 대한 분석이며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모델은 전설과 다른 서사와 변별되는 정체성을 잘 포착하고 있으며, 서사의 다양한 층위에서 구조를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해 준다. In narrative literature research, as fictionality was established as the main criterion for literary value, legend has been regarded as low-level form of narrative that fail to reach this standard. However, it is necessary to first grasp the identity of the object before looking at it by standardizing the object on a specific criterion. Based on the identity of the legend as a narrative, it is necessary to find the principle of the narrative composition of the legend. The identity of the legend is that, unlike other narratives in literature, the linguistically formed text indicates the actual object of reality. If the legend text is regarded as a sign, it can be said that the legend has a strong characteristics of index that establishes a physical and direct relationship with the indicated object. Then, to explore the principle of the narrative composition of the legend, that is, how to form and understand legendary narratives, it must proce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index. In this paper, the narrative analysis model of the legend was designed using Peirce’s concept of firstness, secondness, and thirdness, presented as a universal category of human thinking and nature. The first analysis is about the inner form of a narrative, and describes the elements of the story composition and the rules of arrangement. The second analysis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xt and the indicated object and grasps the connection point between the character of the indicated object and the relationship. The third analysis identifies the domain of thinking, that is, meaning and laws, that are formed as the text and the indicated object are connected. In this narrative analysis model, each unit and step is an analysis and process of the formal structure, relational structure, and meaning structure of the legend. This model captures the identity of a legend that is distinguished from other narratives, and makes it possible to systematically and comprehensively grasp the structure at various levels of the narrative.

      • KCI등재

        ‘자기 성찰적 서사’의 정신분석을 위한 고찰

        이인표 한국문학교육학회 2023 문학교육학 Vol.- No.81

        이 논문은 대학 글쓰기 수업에서 ‘자기 성찰적 서사’라고 불리는 학생의 서사 과제를 심리적 텍스트로 분석하기 위한 이론적, 사례적 고찰을 수행한다. 이론적 고찰에서 서사의 정신분석을 위한 이론을 정초한다. 이에서 프로이트의 심층 심리학과, 이것이 서사의 언어구조로 현상되는 바를 밝힌 라캉의 철학적 언어학이 석명하게 연동될 것이다. 또한, 서사적 언표의 구성원리를 밝힌 구조시학, 이의 기반인 구조주의 언어학, 결국 이를 고양하는 포스트구조주의의 언어학을 연동시킴으로써 학생 서사의 정신분석을 위한 이론을 예비적으로 고찰한다. 이 이론에 기초해 600여 개의 학생 서사들 중 전범을 들어 사례적으로 분석한다. 이를 통해 이 논문이 특별히 통찰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는 심리묘사의 은유로 점철되는 강박의 서사, 장면의 환유로 이를 완화하는 불안의 서사를 상상계적 구조로 통찰한다. 둘째, 장면과 요약의 환유로 자아의 욕구를 넘어 타자의 욕망을 내면화한 상징계적 구조를 구현하는 서사의 구체적 양상을 탐색한다. 셋째, 상징계로 감각할 수 없는 실재계의 초자아적 우울과 환상을 구현하는 서사의 구조와 양상을 탐색한다. 이를 통해 이 논문이 학생의 서사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학생과 소통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conducts theoretical and case studies to analyze students’ narrative assignment, called “self-reflective narrative” in college writing class, as a psychological text. Theoretical studies establish a theory on the psychoanalysis of narratives. In this, Freud’s psychology, and Lacan’s philosophical linguistics which reveal that Freudian psychology is embodied through the linguistic structure of narrative, will be clearly linked. In addition, we provide a preliminary review of theories for the psychoanalysis of student narratives by linking structural narratology which reveals the compositional principles of narrative, structuralist linguistics which is its foundation, and post-structuralist linguistics, which ultimately promotes it. Based on this theory, we take examples from over 600 student narratives and analyze them on a case-by-case basis. Through this, the special insigh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the narrative of obsession, filled with psychological metaphors, and the narrative of anxiety alleviated by metonymy of scenes are confirmed with an imaginary structure. Second, through metonymy of scenes and summaries, we explore specific aspects of narratives that embody a symbolic structure that goes beyond the desire of the ego and internalizes the desire of the other. Third, we explore specific aspects of the narrative that embody the superegoic melancholy and fantasy of the real world that can not be sensed in the symbolic world. As a result, this paper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understanding the students’ narrative in depth and communicating with the students.

      • KCI등재

        영화 〈매드맥스: 분노의 도로(Mad Max : Fury Road)〉 서사구조 분석

        한정국(Jung-Kook Han)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8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Vol.12 No.3

        어딘가로 갔다가 돌아오는 이야기는 서사의 오랜 문법과도 같은 정설로 여겨진다. 신화에서부터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는 이 이야기는‘오딧세이아’등과 같은 집으로 돌아오는 귀환의 이야기부터 중세시대의 로망스 문학까지 많은 서사 작품에서 그 흔적을 찾을 수 있다. 러시아의 민속 문학자 블라디미르 프로프는 이러한 신화적 서사를 구조화하고 기호화해 서사 구조를 분석한 학자이다. 100편의 러시아 마법담(민담)을 분석해 체계화한 그는 서사에는 공통된 캐릭터와 각각의 기호가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서사를 분석할 수 있다고 바라보았다. 19세기 말 탄생한 영화 예술은 산업화 이후에 탄생한 예술 장르이기에 신화적 서사에서 보여 지는 어딘가로 갔다가 돌아오는 모험이 불가능한 현실적 제약을 내재하고 있다. 현대 영화는 창작자가 실존하고 있는 외부적인 환경이 모험이 불가능하니 모험 서사의 창작이 쉽지 않고 주인공의 내면에 집중하고 반복적인‘일상성’그 자체에 집중하는 경향을 보인다. 그러던 중 2015년에 개봉한 〈매드 맥스 : 분노의 도로〉는 현대 영화로서 이야기의 기본 문법인‘갔다가 돌아오는’이야기의 포맷 그 자체를 표현해내고 있는 영화였다. 이 영화를 분석하는 것을 통해 이야기의 원형에 기반을 둔 모험 서사가 현대 영화에서도 유효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대한 분석 방법론으로 앞서 언급한 블라디미르 프로프의 〈민담 형태론〉을 활용하였으며, ‘갔다가 돌아오는’이야기의 기본 문법과 프로프의 이론으로 서사 구조 분석이 가능함을 확인하고 현대 영화에서의 신화적 서사 구조의 유효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Leave and coming back’ epic is the oldest and the most basic storytelling structure. The hero is leaving from his safe daily life to nondaily life because of his / her desire(Hamartia). Vladimir Propp is a scholar of Semiotics. Making comparison between semiotics and the narrative structure of the successful feature film is very meaningful and valid. In this paper, I analyzed the narrative of the film, 〈Mad Max : Fury Road〉. For searching the epic structure with academical methodology, this paper compared with Propp’s 〈Morphology of the Folk Tale〉. Propp’s semiotic narrative structure and narrative of the film 〈Mad Max : Fury Road〉 had almost similar structure. This result could be the evidence of usefulness of basic storytelling structure, ‘Leave and coming back’ epic.

      • KCI등재

        그레마스 기호학을 이용한 서사 분석

        정유연(Youyeon, Jeong),이태구(Taegu Lee)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19 영상문화콘텐츠연구 Vol.16 No.-

        본 연구는 인문학과 철학을 바탕으로 그 시대와 사회의 문제점을 반영한 탄탄한 서사 구조를 가진 장편 애니메이션을 분석함에 목적을 두었다. 분석 대상은 우리 시대에서의 인간의 소외, 우울증, 물질만능주의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을 가감 없이 표현함에도 불구하고, 프랑스의 많은 이들에게 사랑받은 프랑스 장편 애니메이션 <파리의 자살가게>를 선정 하였다. 본 연구는 작품의 서사구조를 밝히는 독립적 분석틀로 작품을 분석하는데 있어서 심층적 의미를 파악할 수 있는 그레마스 기호학에 기반에 두었다. 이는 작품의 주요 행위자들을 여섯 개의 행위소로 분류하여 그들 사이의 관계를 파악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이야기의 의소를 추출해 서로 대립하는 두 가지 요소들의 차이를 기반으로 이루어진다. 분석 결과, 애니메이션 <파리의 자살가게>의 행동자 모델은 서로 대립되는 구조의 의소를 추출한 결과 죽음으로 얻은 물질만능주의에 따른 부와 웃음과 행복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기호학적 사각형을 분석한 결과 불행-행복, 죽음-삶으로 변하여 웃음과 행복의 희망적 서사 행로가 진행됨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long-length animations with a solid narrative structure reflecting the problems of the times and society based on humanities and philosophy. The subjects of the analysis chose the French feature film "The Suicide Store in Paris," which was loved by many in France despite its unabashed critical views on human alienation, depression and materialism in our time. This study was based on Greimas Semiotics, which provides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of the work"s analysis using an independent analytical framework that sheds light on its narrative structure. It is based on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elements that are divided into six actors,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and extracting the elements of the story based on the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Actant Model of the animation "The Suicide Store in Paris" was analyzed as wealth, laughter, and happiness based on the materialism that resulted in death after extracting the opposite structures. Based on this, the analysis of carre semiotique showed that unhappiness, happiness, death, and life led to a hopeful introduction of laughter and happiness.

      • 텔레비전 뉴스 프로그램의 서사구조 비교연구 : ‘화물연대 총파업’ 관련 < KBS 9시뉴스 >와 < MBC뉴스데스크 >

        안종묵 청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4 한국사회과학연구 Vol.45 No.2

        미디어 서사구조 분석은 미디어를 통해서 공유되는 지배적인 가치체계를 고찰하는데 목적을 둔다. 뉴스 미디어에 따라서, 같은 사회적 이슈라도 다른 시각으로 뉴스 보도되는 경우를 볼 수 있는데, 이것은 뉴스 미디어마다 가지고 있는 서사구조가 다르기 때문이다. TV 미디어의 영상화면은 텍스트 기사보다 더욱 다양한 표현 방식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것은 TV 미디어에 대한 서사구조 분석의 필요성이 제기되는 이유이다. 본 연구는 ‘화물연대 총파업’이라는 사회적 이슈에 대하여 < KBS 9시뉴스 >와 < MBC 뉴스데스크 >가 어떠한 가치체계를 시청자에게 각각 전달하고 있는지 탐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채트먼의 ‘서사구조 분석 틀’과 레비스트로스의 ‘이항대립분석’을 연구방법으로 사용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화물연대 총파업 관련하여 < KBS 9시뉴스 >와 < MBC 뉴스데스크 >는 다른 서사구조를 통해서 시청자에게 뉴스 보도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 KBS 9시뉴스 >와 < MBC 뉴스데스크 >는 사회적 갈등 이슈인 화물연대 총파업에 대해서 서로 다른 가치체계를 시청자에게 전달하고 있었다. 이것은 강력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한국 대표적인 2개 뉴스 미디어가 서로 다른 사회적 의제를 만들고 있음을 의미한다. Media narrative structure analysis aims to examine the dominant value system shared through the media. Even when reporting on the same societal issue, news media can present it from different perspectives due to the varying narrative structures each media outlet possesses. The visual screens of TV media allow for a more diverse range of expression compared to text articles, highlighting the need for narrative structure analysis in TV media. This study explores how KBS 9 o'clock News and MBC News Desk convey different value systems to viewers regarding the societal issue of the “Cargo Workers’ General Strike”. To achieve this, the study utilizes Chatman's ‘Narrative Structure Analysis Framework’ and Levi-Strauss's “Binary Opposition Analysis’ as research methods. The analysis results reveal that KBS 9 o'clock News and MBC News Desk present news to viewers with different narrative structures regarding the issue. In other words, these two major news media outlets in Korea communicate different value systems to viewers regarding the social conflict issue of the “Cargo Workers’ General Strike”, signifying that they are shaping different societal agendas.

      • KCI등재

        “영웅”에 대한 인식 - ‘동명성왕’과 ‘볼흐 브세슬라브예비치’의 대조

        김진원(Kim jinwon) 한국노어노문학회 2010 노어노문학 Vol.22 No.3

        본 논문에서는 한국과 러시아의 영웅서사시를 한편씩 선정하여 영웅을 키워드로 삼았고, 이에 대한 한국인과 러시아인의 의식이 어떻게 다른지를 대조해 보고자 하였다. 대체로 서사시에 나타난 영웅들은 그 서사시를 사용한 민중들에 의해 공유된 개념이다. 따라서 민중이 오랜 세월 지내오면서 스스로 그렇게 되기를 희망하는 이상적인 인간상을 ‘영웅’으로 내세우기도 하고, 또 이 ‘영웅’의 다양한 상황에 대한 대처방식 등을 대조해 봄으로써 민중의 삶의 태도 또한 엿볼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양적으로 한편의 서사시로 그 민중이 가지고 있는 대표적인 인간상을 찾는 것이 무리라고 여길 수 있겠으나, 두 서사시가 가지고 있는 고대문학에서의 위치와 두 편의 서사시 에 담겨있는 내용 및 표현에 일반성이 담겨져 있다고 여겨져 여러 편을 대조한 결과와 대동소이할 것이라 판단된다. 분석방법은 두 가지의 관점으로 하나는 구조적 관점의 분석이고, 다른 하나는 내용적 관점의 분석이다. 구조적 관점의 분석은 프롭의 개념인 불변요소를 응용하여 사용하였고, 내용적 관점은 언어학에서의 의미적 관계와 화용적 관계라는 개념을 활용하여 사용하였다. 결론적으로 한국인과 러시아인의 근본적인 차이는 한국인은 영웅을 하늘과 연결지어 사고한다는 특징이 있고, 러시아인은 지상의 강한 동물 등을 연상한다는 특징이 보인다. 이는 결국 사후에 대한 인식의 차이로도 연결되어 한국인은 하늘로 향하여 있고, 이에 반해 러시아인에게는 미 종결된 지상의 행복한 동화적인 삶으로 연결되어 있음이 발견된다. This article is reflection of my findings after compare and contrast of two selected poetries which depicts heroism in Korea and Russia I have selected the word ‘hero’ to be the keyword then analyzed how ‘hero’ was perceived differently by minds of both countries. Hero is men made figure representing a person traditionally believed to be a model being for rest of the humanity. Hence, we suppose behaviors of this figure reflected on these poems to be ideal attitude of its people and their values. In this article is tried to compare the different perception of hero in minds of peoples. As for methodology two different method of analysis were used; one is structural analysis and the other is content based analysis. Structural analysis mainly focused on conceptual point of view in the poetry as known as the “constant element” idea developed by a Russian scholar Propp. And for the content based analysis I’ve applied “the semantic relation” and “pragmatic relation” of linguistics. Drawing from the results, Koreans perception of hero is much different from that of Russians. Whereas Koreans have related a hero to Gods, the Russians’, on the other hand, perceived hero much differently. Hero is the strongest of all mankind. This difference continues on to difference in hero’s life after death. For most Koreans, once died the next logical prediction leads to life in heavens, unlike Koreans, Russians believe in eternal happiness on the earth.

      • KCI등재

        한국영화 <차이나타운>과 <신세계>의 갈등구조 연 구: 정신분석학적 접근

        유세문 ( Yoo Semoon ) 한국비교문학회 2016 比較文學 Vol.0 No.70

        본 연구는 정신분석학적인 접근을 통해 한국 영화의 서사를 이해하려는 노력의 일환이다. 영화에서 가장 중요한 서사적 요소인 갈등 구조는 서사에 역동성을 부여함으로써 영화가 관객들과 성공적으로 소통할 수 있게 한다. 영화의 서사는 문자로만 이루어져있는 문학과는 달리 영상이나 사운드와 같은 다양한 요소들로 구성되어 있기때문에 분석 작업에 특별한 전략이 요구된다. 따라서 갈등이라는 서사적 요소에 집중함으로써 영화 서사 분석의 난관을 돌파하고자 하였으며, 그것을 다루는 틀로서는 `유사가족(類似家族)`라는 표상을 선택하였다. 유사가족이란 혈연을 통해 엮이지 않았으면서도 가족주의에 바탕을 둔 사회적 집단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국의 문화적 특성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가족주의` 이데올로기이므로 한국 영화의 갈등 구조를 분석하는 틀로 유사가족 표상을 활용하는 것은 본 연구만의 독창적인 시도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한국에서 유사 가족 표상이 나타난 영화는 너무나 많이 존재하기에 모든 사례를 점검하려고 시도하기보다는, <차이나타운>과 <신세계>라는 일부 사례를 통해 한국 영화의 서사를 보다 체계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하나의 전략을 시험함으로써 앞으로 진행될 후속 연구의 기틀을 마련하는 것이 본 연구가 지향하는 지점이다. 분석에는 정신분석적 방법이 집중적으로 도입되었으며, 기호학적 방법으로 기능적 차원을 보충하였다. This study concentrates on understanding narrative of Korean popular films through a psychoanalytic approach. Conflict as a important dramatic element makes dynamic narrative structure to communicate with audience successfully. In analyzing films, we need some special strategies because of complexity from non-textual components like image and sound of film, unlike literature. Therefore, focusing on the conflict structure of film narratives allows us to overcome difficulties of narrative analysis of films. In addition, as a framework of the analysis of this study , the representation of `quasi-family` is chosen. Quasi-Family includes various forms of social unit that have shape of family, but these are not real family. Using the framework of quasi-family for analysing the conflict structure of Korean film narratives is a unique attempt for this study because the representational ideology of Korean society and culture is `familism`. The destination point of this study is not analyzing all the cases but testing the method to analyze narrative of films through studying on just two cases, < The Coinlocker Girl > and < The New World > because there are too many films of film related with the representation of `quasi-family`. Analysis method consisted of psychoanalytic approach mainly, and semiotic method was used partially for functional purpose.

      • KCI등재

        한ㆍ중 가족드라마 서사 비교분석 - <부탁해요, 엄마>와 <둘째시대(二胎时代)>를 대상으로

        이매,남태수,한혜경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6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4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conflict structures of Korean family drama(<Second Child’s Generation>) and Chinese family drama(<Second Child’s Generation>), using the semiotic method of Greimas. The results of the narrative analysis on the actantial model and the semiotic square show that in both of Korean and Chinese dramas the object which the subjects will desire to achieve is the same. It is the ‘harmony of the family.’ But the contrary terms that bring disharmony and cause conflicts among the family members are different. In Korean drama, the contrary term is ‘discrimination’, while in Chinese drama it is ‘difference’. In Korean drama, the subject is the daughter-in-law, Jin-Ae Lee. She has been discriminated against for being a woman. Her marriage was opposed by her future mother-in-law because she was poor and has not graduated outside of high school. After she succeeded in marriage, she has been ignored by her mother-in-law. She has continued to adjust to her mother-in-law until her sacrifice is recognised by other family members, especially her mother-in-law. By that she finally achieved her desire-having a harmonious family. In the Chinese drama, the subject is the wife, Chan-Chan Jin. She has the different opinions about the family issues such as parenting and livelihood with her husband and mother-in-law. She has continued to argue with them. Finally, she carried her points through with them and by that she acquired the harmonious family. So the heroine of the Chinese family drama goes farther from the existing patriarchal system.

      • KCI등재

        “장애인 다큐멘터리”의 다층적 서사구조와 문화적 함축 의미: 다큐멘터리 <달팽이의 별> 의 유럽과 일본 버전에 대한 기호학적 비교분석

        한지원 ( Ji Won Han ),백선기 ( Seon Gi Baek ) 한국기호학회 2014 기호학연구 Vol.41 No.-

        본 연구는 장애인 다큐멘터리 <달팽이의 별>에 대한 다층적 서사구조를 밝혀내고그러한 서사에서 내재된 문화적 함축 의미를 숙고하고자 하였다. 장애인에 대한 서사가 어떠한 특징을 지니면서 구성되고, 그러한 과정에서 무엇이 주목되고 중점적으로주제화되는지 살펴보았다. 나아가 그러한 시각과 중심 주제가 문화적으로 어떠한 차이를 보이면서 재현되는가에 주목하였다. 따라서 분석 대상으로 같은 장애인 주제를다루었으나 유럽의 버전과 일본의 버전이 있는 <달팽이의 별>을 선정하였고, 다양한기호학적 방법들, 즉, 서사구조 분석방법, 계열체 분석방법, 행위주 분석방법 등을 적용하였고, 특히 장애인에 대한 감성과 정서적 시각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정념의기호학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결과, 유럽과 일본의 버전은 각기 다른 서사구조와계열적 관계를 지니고 있으며, 서로 다른 문화적 함의을 지니고 있음이 발견되었다. 특히 장애를 인식하는 동서양의 문화적 차이가 극명하게 드러났다. 동양에서 장애인은 상호의존적이고 주변에 민감한 주체로 인식되는데 비해, 유럽에서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은 자아 중심의 독자성을 지닌 개별적인 주체로 인식되고 있음이 드러났다. 또한 정념적으로 보면 동양에서는 장애를 동정적 시선으로 바라보고 있고, 서양에서는 동정과 배려의 시선이 아닌 일반인의 시선으로 바라보고 있음이 발견되었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documentary, <Planet of Snail> that wonthe best documentary award from the Amsterdam International DocumentaryFilm Festival on 2011 for the first time in Korean movie history. Themovie told a story about an ordinary life of one handicapped couple,Husband was deaf and blind and his spous was troubled with spine disability. The movie was funded from international media organizations and madewith producers from different countries. This was speculated to reduce"cultural discount effects", and thus two different versions of documentarieswere created - the one for Amsterdam`s Film Festival to take Europeanconsumers and the other for Japanese, which was produced with NHK. This study maily focused on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in repectsof narrative and meaning structures even though they both were basedon same topic and content. In order to indicate how cultural differencesaffect narrative and meaning structures, the two versions were analyzedby several semiotic research methods ssuch as Syntagmatic Analysis,Paradigmatic Analysis, Narrative Structure Analysis, especially EemotionalSemiotic Analysis of Greimas & Montaigne`s. As results of this study,it proved that there were many differences between two versions in respects of narratvie structure, main thems, subjects and objects, relations withothers, self-cognition, self-actualization, challenge and recovery, emotions,etc. Such differendces would be resulted from different cultural valuesand recognitions.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one version represented for westerner culture tending to emphasize more on individual`sindependence, while the other based on Asian culture focusing more onhuman-relationships. As a conclusion, it confirmed that each of versionsreflexed its own cultural values and cognitions which could be explainedby the interesting concept, "Cultural discount".

      • 마가복음 5장 1-20절의 서사-수사적 주해

        조배현(Baehyun Cho),심상법(Sang-Beop Shim) 신학지남사 2020 신학지남 Vol.87 No.1

        마가복음 5장 1-20절은 마가복음의 난해 본문 중 하나로서 그 해석을 위해 그동안 여러 가지 시도가 이루어졌지만 만족할 만한 결과를 도출해내지 못하였다. 근본적인 문제는 가장 서사적인 본문을 서사적으로 풀지 않은 데 있었고, 서사적인 접근을 하더라도 역사적 배경 연구 및 신학적 의미 탐구와 균형을 이루지 못하여 해석자의 주관이 본문의 의미를 왜곡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그러한 가운데 심상법 교수는 본문을 갈등구조에 따른 장면분석을 통해 풀어냄으로써 본문 자체의 의미(저자의 의도)를 서사적으로 동시에 본문의 극적인 특성들을 살려서 실감나게 드러내고 있다. 그 연장선상에서 필자는 본 논문에서 서사-수사적인 해석을 통해 본문의 신학적 의미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논문을 요약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절의 지리적 전환에 대한 내레이터의 진술은 거라사인의 지방(데가볼리)에서 새로운 사건이 일어날 것(발단)이라는 사실을 독자들에게 암시한다. 이어 2절에서 예수님(과 그 일행)이 배에서 나오자마자 더러운 귀신 들린 사람이 등장한다. 그가 무덤에서 나와 예수님께 접근함으로써 사건은 극적으로 전개되며 독자들은 이와 같은 스토리의 극적 전개에 참여하게 된다. 이어지는 3-5절은 더러운 귀신 들린 사람의 상태에 대한 내레이터의 설명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한 설명이 끝나고 더러운 귀신 들린 사람이 예수님과 대면하는 모습에 대한 내레이터의 진술(6-8절)은 사건을 갈등 국면으로 이끈다. 특히 이 장면에서 예수님과 더러운 귀신 사이의 대화는 갈등을 더욱 고조시킨다. 이어지는 더러운 귀신의 정체에 대한 예수님의 질문과 귀신의 대답 그리고 이어지는 군대 귀신의 간구(9-12절)는 갈등을 절정으로 이끈다. 예수님이 군대 귀신의 간구를 허락하심에 따라 군대 귀신이 들어간 돼지 떼가 몰사하게 되면서(13절) 사건은 마침내 파국을 맞는다. 이제 더러운 귀신 들렸던 사람은 온전해졌고, 이것을 본 마을 사람들이 두려움에 사로잡혀 예수님께 마을에서 떠나시기를 요청하면서 갈등으로 나아갔던 사건은 종결되고, 스토리는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된다(14-17절). 이후 스토리는 귀신이 떠나 온전해진 사람과 예수님 간의 문답(18-20절)을 통해 사건의 의미를 제공해주는 대단원으로 나아간다. 즉 이 대단원에서 사건에 내포된 선교 모티프(motif)가 구체적으로 드러난다. 특히 19절과 20절에서 복음 전파를 가리키는 비슷한 내용이 두 번 반복되면서 저자의 의도가 강조된다. 실제로 귀신 들렸던 사람이 복음을 전하고 그것에 대한 구체적인 반응까지 진술함에 이르러서 독자들은 마침내 사건이 지닌 의미가 무엇인지를 간파하게 된다. Mark 5:1-20 is one of the most controversial text in the Gospel of Mark. Various attempts have been made to interpret it but failed to produce a satisfactory result. The fundamental problem was that the most narrative text was not narratively dealt with, and even with a narrative approach, it was not balanced with historical background research and the exploration of theological meaning, resulting in the interpreter’s subjective opinion distorting the meaning of the text. Meanwhile, professor Sang-Beop Shim unraveled the text through a scene analysis based on the conflict structure, both narratively and dramatically, which realistically revealed the meaning of the text itself. In the extension, we tried to derive theological meaning of the text through narrative-rhetorical interpretation in this paper. To sum up the paper, it is as follows. Narrator’s statement of the geographical transition in verse 1 suggested to readers that a new event was likely (the beginning) to occur in the region of Gerasenes (Decapolis). In the second verse, a man with an unclean spirit appeared immediately after Jesus (and his followers) came out of the boat. As the man came out of the tomb and approached Jesus, the event developed dramatically and readers came to participate in the dramatic development of the story. Subsequent verses 3-5 can be said to be a narrator’s explanation of the condition of the man with an unclean spirit. After such an explanation, the narrator’s statement about the appearance of an unclean spirit facing Jesus led the incident to a state of conflict (verses 6-8). Especially in this scene, the conversation between Jesus and the unclean spirit further escalated the conflict. Jesus’ questions about the identity of the unclean spirit, the answer of the unclean spirit, and the subsequent plea of the Legion (verses 9-12) led the conflict to its climax. The incident finally broke down when Jesus allowed the Legion to ask for help, and a herd of pigs with the Legion destroyed (verse 13). Now the man who had been possessed by the Legion became fully intact, and the incident, in which the villagers, who saw it, were seized with fear and asked Jesus to leave their village, was closed, and the story took a new turn (verses 14-17). The story then moved on to the grand finale, which provides the meaning of the incident through the question and answer between Jesus and the man who had been with the unclean spirit (verses 18-20). In other words, the implied missional motif in the incident was revealed in detail in this finale. In particular, the author’s intention was emphasized as similar content the man’s proclaiming the Gospel was repeated twice in verses 19 and 20. In fact, when the man who had been with the unclean spirit preached the Gospel and got specific responses, readers finally see what the incident me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