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아동복지사절 생활지도원의 직무특성과 서비스 질과의 관계
임동호 ( Dong Ho Im ) 대한아동복지학회 2009 아동복지연구 Vol.7 No.2
아동복지시설은 요보호아동들에게 주거제공 및 생계지원의 사후적·시혜적 기능을 비롯한 교육, 상담, 자립, 치료서비스 둥의 사전적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아동복지서비스의 종합적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아동복지시설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생활지도원들은 아동들의 삶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생활지도원들이 지각하는 직무특 성은 이들이 제공하는 아동복지서비스 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아동복지 시설에 근무하는 생활지도원이 지각한 직무특성과 서비스 질과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그 발전방 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충남지역 아동복지시설에서 근무하는 생활지도원 124명을 대상으로 2008년 9월 1일부터 9윌 26일까지 우편조사 및 방문조사를 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생활지도원이 지각한 직무특성 수준은 다양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은 피드백, 과업정체성의 순이었다. 둘째, 생활지도원들이 지각한 서비스 질 수준은 감정이입, 유형성, 보증성, 신뢰성, 대응성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직무특성 변인과 서 비스 질과의 상관관계 분석을 보면, 피드백과 서비스 질과의 상관관계가 가장 높은 정적 상관관계 를 나타냈으며, 다양성, 과업정체성의 순으로 나타났다. 즉 생활지도원의 직무에 대한 피드백이 보 장 될수록 생활지도원 개인의 서비스 절이 높아진다고 지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아동복지서비스 질의 향상을 위한 제언을 하면, 첫째, 정기적 슈퍼비전을 통한 피드백 경로의 법적 도입, 둘째, 생활지도원의 직무체계 표준화 도입, 셋째, 아동복지시설 운 영매뉴얼의 제도적 마련을 들 수 였다. Child welfare facilities carry out the role of providing comprehensive services as they perform preliminary functions such as providing housing and livelihood assistance to children who are in need. They also perform post-management functions, including education, counseling, self-support assistance, and health services. The everyday life insrructors who provide these services in rhe child welfare facilities play crucial roles which have a direct effect on children`s lives. In this context, it would be assumed that the perceptions of everyday life instructors about their vocational characteristics impact on their perception of the quality of their service which they provide for the children in welfare service facilities. Thus, this study intend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vocat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quality of their service as perceived by everyday life instructors in child welfare facilities. For this study, 124 everyday life instructors who worked at child welfare service facilities located in Choongnam Province were surveyed from September 1st to 26th, 2008. The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mail delivery and direct visits.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ed the following: Firstly, the level of vocational characteristics perceived by everyday life instructors was highest in terms of diversity, followed by feedback and type of task. Secondly, the service quality perceived by everyday life instructors was the highest in terms of empathy, follow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ype of work, assurance, reliability, and responsiveness. Thirdly,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ariables of vocat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quality of service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between feedback and the quality of service, followed by diversity and the type of task. In other words, the service quality of everyday life instructors was highest when their feedback was assur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have to be made to promote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the service for the children`s welfare. Firstly, the route of feedback through regular supervision should be established legally. Secondly, the standardization of the vocational system should be put into place for everyday life instructors. Thirdly, a manual for the operation of child welfare facilities should be established institutionally.
아동양육시설 생활지도원을 위한 다층구조 보편적 지원 훈련이생활지도원과 유아에게 미치는 효과
마은희,허계형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2018 유아특수교육연구 Vol.18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applying universal levels of the multi-tiered approach for caregivers’ parenting skills and their cared children’s social emotional competence in children’s residential care home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18 caregivers from two children’s residential care homes and their 38 cared young children in Seoul. All participants were voluntary and consent for young children were obtained by their legal representative. A total of 7 sessions of the trainings and interventions were provided, and the results were assessed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 Study instruments are ‘Children’s Social Emotional Competence Scale’, and ‘Childcare Competence Scale’, ‘K ASQ’, and ‘K ASQ:SE’. The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percentages, and t–test of pre and post-test using SPSS 21.0 Program. The results show that first, there is a positive effect on the caregivers’ parenting capacity in Children’s residential care homes. Second, as a result of the improvement of the parenting capacity of the caregiver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in participants’ cares improved. Finally, discussions including limitations, follow up studies, as well as strategies to improve parenting capacities of caregivers of children’s residential home cares are presented.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양육시설 생활지도원을 위한 ‘다층구조 보편적 지원 훈련 프로그램’이 아동양육시설 생활지도원의 양육역량과 유아의 사회정서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소재 아동양육시설 2개소에서 종사하는 생활지도원 18명과 사회적 보호 유아 38명으로, 생활지도원의 모든 참여는 자발적이었으며, 유아의 참여는 법정대리인의 동의를 얻었다. 다층구조 보편적 지원 프로그램은 총 7회기 중재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으며, 프로그램의 효과는 ‘사회정서양육역량 평가 도구’, ‘유아사회정서 교육진단/평가도구’, ‘K-ASQ’, ‘K-ASQ:SE’를 사용, 사전 사후 검사를 통해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통계 패키지를 이용하여 기술통계, 백분율, 통제집단에 대한 사전-사후 t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다층구조 보편적 지원 프로그램에 참여한 생활지도원들의 양육역량증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프로그램에 참여한 생활지도원들의 양육역량증진에 따라 이들이 양육하는 사회적 보호 유아들의 사회정서능력 함양에도 긍정적인 영향력을 보였다. 이 결과를 토대로 아동양육시설에 종사하는 생활지도원의 양육역량 강화를 위한 적용방안과 연구의 제한점,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장애인거주시설 생활지도원의 직무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조직신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웅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20 한국장애인복지학 Vol.47 No.47
This study is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job characteristics on the job satisfaction of careworkers in the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disabled. The research was conducted on 50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disabled and a self-recorded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The total of 42 residential facilities data were collected and finally 323 careworkers among 24 residential facilities data were used for analysi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ask significance and autonomy statistically-significant affected on job satisfaction of careworkers among core job characteristics. Namely, job satisfaction of careworkers was higher when task significance and autonomy was higher. Secondly, organization trust had not only direct effect but also interaction effect with autonomy on job satisfaction of careworkers. In other words, job satisfaction of careworkers was higher when organization trust was higher, and the higher organization trust, the higher positive effect of autonomy to job satisfaction of carework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 presented an poli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needed to manage and develop job satisfaction of careworkers in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disabled. 본 연구는 장애인거주시설 생활지도원의 직무만족 영향요인을 직무특성이론을 적용하여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전국 장애인거주시설 50개소를 대상으로 우편조사를 통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수집된 42개소 가운데 본 연구에서는 장애유형 별 거주시설 24개소에서 종사하는 생활지도원 323명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직무특성 요인 가운데, 과업중요성과 자율성이 생활지도원의 직무만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과업중요성과 자율성 모두 높을수록 생활지도원의 직무만족은 높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한편, 조절변수로 설정한 조직신뢰는 생활지도원의 직무만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핵심직무특성요인 중 하나인 자율성과 상효작용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서, 조직신뢰가 높을수록 생활지도원의 직무만족은 높아지며, 조직신뢰는 자율성이 높을수록 직무만족이 높아지는 관계를 보다 강화하는 효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거주시설 생활지도원의 직무만족을 향상 및 관리에 필요한 제언을 하였다.
장애인거주시설 생활지도원의 조직신뢰 영향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이웅 한국장애인개발원 2020 장애인복지연구 Vol.1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organizational trust of the careworkers of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disabled by dividing them into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severe disability and infants with disability and by types of disabilities. 50 domestic facilities for the disabled were surveyed by mail, and 536 careworkers in 39 facilities were selected as the final analysis targets. The mai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onthly average wage, all the job characteristics factors, the delegation, the procedural provisions and the decision-making opportunities among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factors, and the organization trust showed differences between the residential facilities for severe disability and infants with disability and those by disability type. Second, the more experienced, the more autonomy, and the higher the level of delegation, the higher the organizational trust of careworkers in residential facilities for severe disability and infants with disability. Third, the higher the level of task importance and autonomy, the higher the level of delegation while the lower the level of standardization and procedural provisions, the higher the organizational trust of the carewrorkers.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for policy and interventions were discussed in regards to organizational trust of careworkers in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disabled. 본 연구는 생활지도원의 조직신뢰 영향요인을 중증 및 장애영유아거주시설과 장애유형별거주시설로 구분하여 탐색적으로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전국 장애인거주시설 50개소에 대해 우편을 통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39개소의 생활지도원 536명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삼았다(중증 및 장애영유아거주시설 213명, 장애유형별거주시설 323명).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월평균급여, 모든 직무특성요인, 조직구조의 권한위임, 절차규정, 의사결정참여기회, 그리고 종속변수인 조직신뢰 각각은 중증 및 장애영유아시설과 장애유형별 시설 간 차이를 보였다. 둘째, 중증 및 장애영유아 시설의 경우, 경력이 많을수록, 직무특성으로서 자율성이 높을수록, 그리고 조직구조로서 권한위임 수준이 높을수록 생활지도원의 조직신뢰가 높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셋째, 장애유형별 시설의 경우, 남자보다는 여자인 경우, 직무특성으로서 과업중요성 및 자율성 수준이 높을수록, 조직구조로서 권한위임 수준이 높고, 표준화와 절차규정 수준은 낮을수록 생활지도원의 조직신뢰가 높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거주시설 생활지도원의 조직신뢰 향상 및 관리를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생활지도원의 직무자율성 향상과 보다 많은 권한위임이 필요하며, 나아가 각 시설유형 별 특성을 반영해야 함을 제언하였다.
장애인거주시설 생활지도원이 지각하는 시설장의 리더십과 이직의도 관계 연구 : 조직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웅(Woong Lee)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20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65 No.-
본 연구는 장애인거주시설 생활지도원이 인식하는 시설장의 리더십이 생활지도원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및 이들 간의 관계에서 조직신뢰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국내 장애인거주시설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생활지도원 536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생활지도원이 인식하는시설장의 리더십 가운데, 혁신·모험적 리더십과 배려·지원적 리더십 수준이 높을수록 생활지도원의 이직의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직신뢰는 혁신·모험적 리더십과 이직의도관계에서는 완전매개효과를 보였으며, 배려·지원적 리더십과 이직의도의 관계에서는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 본 연구모형의 적합성 제고를 위해 설정한 통제변수들 가운데, 사회적 바람직성, 교육, 연령이 생활지도원의 이직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거주시설 생활지도원의 이직의도를 낮추고 이를 적절히 관리할수 있는 실천적·정책적 방안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impact of the facility manager s leadership on the turnover of care-worker and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tru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survey was employed for the data collection. The data was collected from 536 care-workers working in 39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disabled. the results showed firstly that innovative leadership and considerate leadership negatively affected on turnover intention of care-workers. Secondly, organizational trust had the fully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relationship on innovative leadership and turnover and ha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relationship on considerate leadership and turnover. In addition among the control variables set up to enhance the suitability of this research model, social desirability, education, and ag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 presented practical and political implications needed to mange turnover intention of care-workers in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disabled.
이민정,최선남 한국미술치료학회 2014 美術治療硏究 Vol.21 No.6
This study inquired into the accounts by child care providers at child care centers about what their lives meant to them and their self-growth experiences, while they received group art therapy. The study participants were 8 child care providers. They received 14 sessions of group art therapy. The therapy focused on an existential inquiry seeking the meaning and understanding of human existence.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interpretations of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nts, observations of their sessions, and artificial objects. The therapy was presented in a way to encourage the participants to reveal their lives from their perspectives. The inquiry into the participants' lives, meanings of their lives, their experiences of personal growth branched into the five themes: <feeling at a loss>, <as you have pains, I do too>, <connecting each other through revealing yourself><accepting the differences>, and <meeting your complete self>. The participants had some difficulty interacting with one another at the beginning of the therapy program. As the therapy progressed, they became close and more open to one another sharing their artworks and revealing their personal stories and pains. The participants came to accept their differences through group art therapy, which also helped them to understand the children in the centers and enabled them to meet their complete self in their story lines. 본 연구는 아동시설 생활지도원들이 미술치료 과정을 통해 자신의 삶에 대하여 어떻게 이야기 하고 있으며 삶에 대한 의미와 자기성장의 경험을 어떻게 하고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 참여자는 현재 생활지도원으로 근무하고 있는 8명을 대상으로 총 14회의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였으며, 연구 방법은 인간존재의 이해와 의미를 구하는 존재론적 탐구로 이루어졌다. 자료 수집은 면접, 관찰, 인공물 해석의 세 가지 방법을 활용하면서 참여자의 전체적인 삶이 그 사람의 관점에서 온전하게 드러날 수 있도록 탐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생활지도원의 삶에 대한 모습, 의미, 성장의 과정에서 5개의 본질적 주제 즉, <막막함> <상처 너도 있고 나도 있다> <내어놓음이 서로를 연결한다> <다름을 인정하다> <온전하게 나를 만나다>로 나타났다. 함께 생활하는 생활지도원끼리 자기 탐구를 시작하는 과정에서 어떻게 해야 할지에 대한 막막함이 있었으나, 집단과정에서 작품을 작업하고 나눔을 통해 서로의 이야기와 상처를 드러내는 용기를 가지게 되었고, 노출 경험이 서로를 더 돈독하게 하였다. 또한 집단과정에서 자신과 타인의 다름을 인정하게 되면서 시설 아동을 수용하게 되고, 온전히 자신을 만나는 경험을 하게 되는 스토리 라인을 발견하였다.
장애인거주시설 생활지도원이 지각한 직무만족도가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 및 조직 네트워크의 조절효과
김태형,손인봉 한국장애인개발원 2019 장애인복지연구 Vol.10 No.1
본 연구는 장애인거주시설에 근무하고 있는 생활지도원이 지각한 직무만족도가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조직 네트워크 수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조사 기간은 2015년 8월 27일부터 9월 14일까지이며, 대전 지역의 장애인거주시설 20개소, 생활지도원 251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자료는 우편조사로 진행되었고, SPS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장애인거주시설 생활지도원이 지각하고 있는 직무만족도는 서비스 질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그러한 영향은 조직 네트워크 수준에 따라서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직무만족도가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직 네트워크 수준의 조절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인거주시설 생활지도원의 서비스 질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정책적·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networking levels on the associations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service quality perceived by care workers in the residential facili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For this purpose, 251 care workers in 20 residential facili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Daejeon were surveyed from August 27 to September 14, 2015. This study conducte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4.0 to examine moderating effects of networking levels. The analysis showed that job satisfaction had positive effects on service quality and the effects were moderated by networking levels.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for policy and practice were suggested to improve service quality of care workers.
이웅,엄명용 한국장애인재활협회 부설 재활연구소 2019 재활복지 Vol.23 No.3
The primary goal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ing factors of turnover intention of careworkers in the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disabled.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survey was employed for the data collection. The data was collected from 536 careworkers working in 39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disabled. The results showed firstly that task efficacy negatively affected on turnover intention of careworkers. Secondly, facilitiy size, education and trainning program, innovative and goal-oriented leadership of mid-level manager had an negative and positive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respectively. Thirdly, as for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individual and organization factors, there were postive effects between task efficacy and facility size, and negative effects between task efficacy and innovative leadership of mid-level manager.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 presente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needed to manage turnover intention of careworkers in residential facilities for the disabled.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거주시설 생활지도원의 이직의도 영향요인을 개인 및 조직수준에서 다차원적으로 검증하는 것으로 가설검증을 위한 이론적 틀로써 조직이론인 상황이론과 심리학 이론인 자기결정이론을 종합적으로 활용하였다. 검증을 위해 국내 장애인거주시설 50개소를 대상으로 우편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시설 39개소, 생활지도원 536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개인수준 요인 중 과업효능감이 생활지도원의 이직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고, 조직수준 요인 중에는 조직규모와 사무국장의 혁신적, 목적지향적 리더십이 유의미한 효과를 보였다. 다음으로 개인 및 조직수준 간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한 결과, 개인수준인 생활지도원의 과업효능감은 조직수준인 조직규모, 그리고 중간관리자의 혁신적 리더십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장애인거주시설 생활지도원의 이직의도를 관리할 수 있는 실천적, 정책적 방안을 제언하였다.
아동양육시설 생활지도원의 양육스트레스와 아동의 행동문제 관계에서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의 매개효과
오혜정,임희수 한국아동권리학회 2023 아동과 권리 Vol.27 No.4
연구목적: 본 연구는 아동양육시설 생활지도원의 양육스트레스와 아동의 행동문제 관계에서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서울시 아동양육시설에 근무하고 있는 생활지도원 209명 대상의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SPSS 26.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와 상관관계를 분석하였고, PROCESS Macro 3.5(Model 4)를 사용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결과: 첫째, 양육스트레스, 양육효능감, 양육행동, 아동 행동문제는 서로 유의미한 관련이 있었다. 둘째, 생활지도원의 양육스트레스와 아동의 행동문제 관계에서 양육행동은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아동양육시설 아동의 건강한 심리·사회정서 발달을 위해 생활지도원의 양육스트레스를 완화하고 긍정적 양육행동을 강화하기 위한 지원방안을 논하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ing efficacy and behavi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givers’ parenting stress and children’s behavioral problems in children’s residential care homes. Methods: The study collected data from 209 caregivers of children’s residential care homes. The study analyzed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mong variables through SPSS (ver. 26.0), and verified mediation effects by using the model 4 of PROCESS Macro (ver. 3.5). Results: First, correlations among parenting stress, efficacy and behavior, and children’s behavioral problem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parenting behavior was proven to have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givers’ parenting stress and children’s behavioral problems. Conclusions: Based on above results, the study discussed how to relieve parenting stress and reinforce positive parenting behaviors of caregivers for the healthy psychological and social-emotional development of children in child care facilities, and presente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코로나-19(COVID-19) 상황에서 아동양육시설의 변화와 생활지도원의 정서적 경험에 관한 연구
주해란,김한나,이예진,황소연,안태구 한국청소년학회 2022 청소년학연구 Vol.29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motional experiences of experiencing certain changes after COVID-19 and experiencing changes for life instructors working in child care facilities dedicated to infants among social welfare facilities.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ix life instructo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abor Standards Act was not observed as life instructors performed heavy roles and tasks other than their original roles. Second, psychological exhaustion was experienced due to work increase or decrease and overtime work. Third, even though COVID-19 was confirmed, the life instructor who worked felt skeptical about the job and considered changing jobs. Fourth, life instructors who self-quarantined due to COVID-19 had conflicting feelings of relief and sorry for their colleagues. This study presented practical implications for establishing practical countermeasures that can be implemented in child care facilities and social welfare sites.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시설 중 영유아 전담 아동양육시설에서 근무하는 생활지도원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이후 어떤 변화를 겪었고, 변화를 겪을 때의 정서적인 경험에 대해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생활지도원 6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지도원은 본래의 역할 이외의 과중된 역할과 업무를 수행하게 되면서 근로기준법은 지켜지지 않았다. 둘째, 업무 증감과 초과근무로 인해 심리적 소진을 경험하였다. 셋째, 코로나 확진이 되었음에도 근무를 하는 생활지도원은 직업에 대한 회의감을 느끼고 이직을 고려하였다. 넷째, 코로나 확진으로 자가 격리를 했던 생활지도원들은 확진에 대한 안도감과 동료에 대한 미안함이라는 상반된 감정을 가졌다. 본 연구는 아동양육시설과 사회복지현장에 실천할 수 있는 실질적인 대응방안을 구축하는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