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선진국 초등 의생활 영역 교육내용 분석 - 영국, 미국,호주를 중심으로 -

        이윤정,정찬주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08 實科敎育硏究 Vol.14 No.2

        초등의생활 교육의 개선을 위해 영국, 미국, 호주 등 선진국들의 의생활 관련 교육내용을 우리나라 의생활 관련 교육내용과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영국의 경우는 한 가지 주제를 정하고, 이를 다양한 각도로 접근하여, 자유로운 표현과 창의성, 문제해결력을 기르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호주의 경우에는 적절한 도구와 재료의 선택, 평가의 과정을 경험하고, 문제해결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섬유와 소재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과 피복환경학적인 면을 강조하고 있다. 미국은 주별로 차이가 많으며, 의생활교육이 미술, 연극, 무용과 같은 과목에서 의상과 소품에 대한 제작과 관리를 통한 창의성, 심미성 등의 발달에 중점을 두고 통합적으로 운영되는 경우가 많고, 의생활과 관련된 다양한 직업을 소개하는 예도 많았다.우리나라의 초등 의생활 교육에 있어서도 실습이나 기능위주보다는 주변 환경에서 접할 수 있는 다양한 소재와 도구를 통한 통합적인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며, 비교적 저학년부터 의생활에 대한 교육을 통해 다양한 지식을 보다 빠른 시기부터 접할 수 있게 되었으면 한다. This paper was designed to compare the clothing & textile education curriculums in Korea with those in advanced countries like the United Kingdom, the United States and Australia to revamp clothing & textile education on the elementary school level. The findings from this paper are as follows. In the United Kingdom, emphasis are placed on developing problem solving ability, encouraging freely expression, and fostering creativity by allowing diverse approaches on a given topic. In Australia, emphasis are given to the selection of appropriate devices and materials and presenting evaluation thus developing problem solving abilities. Basic knowledge on textiles, materials and clothing environments are also emphasized. In the United States, clothing & textile curriculums vary from States to States. Clothing & Textiles education tends to be regarded as a part of an integrated curriculum rather than as an independent curriculum. Particularly, subjects such as ‘dance’ and ‘drama’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 clothing & textiles as an instrument necessary for the performances. Those subjects focus on the advancement of creativity and aesthetic sense by making and managing the costume and props. Various vocations related to the clothing & textiles are introduced in the curriculum in many States. Based on comparative analysis in this paper,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integrated teaching method using diverse materials and devices that are easily available in daily lives rather than relying on function and practice oriented methods for the Elementary textile and clothing education in Korea. It is also recommendable to start textile and clothing education at earlier school years so that students acquire diverse knowledges in the area form the early stage of their lives.

      • KCI등재

        초등의생활 논문의 연구 동향 분석: 1985년~2023년까지 게재된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이윤정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24 實科敎育硏究 Vol.30 No.2

        본 연구는 초등의생활 논문의 연구 동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KCI 등재지와 등재후보지 중 의생활 교육관련 학회지와 의생활 내용 관련 학회지에서 1986년부터 2023년까지 실린 논문 171편을 선정하여 시기별, 연구영역별, 연구주제별, 연구 방법별, 저자별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의생활 교육 관련 논문은 한국실과교육학회지와 실과교육연구를 중심으로 144편(84.2%) 이 게재되었고, 초등의생활 내용 관련 논문은 총 24편(14.0%)으로 교육학의 논문 비율이 높았다. 둘째, 연구영역별로 분석한 결과 교수·학습법 및 교재 연구(33.9%)가 가장 많았고, 초등의생활 내용 관련연구, 교육 내용, 교육과정 및 교과서, 교과 인식, 복합영역, 교육평가 순이었다. 셋째, 연구주제별로 보면 의생활 단원 전반(35.7%), 의복의 선택과 자기표현, 의복과 환경, 복합주제, 복식문화, 의복 디자인, 의복 관리 순이었다. 넷째, 연구 방법별로 보면 문헌 연구와 조사연구가 30.4%로 같은 비율이며, 실험연구, 사례연구 순이었다. 다섯째, 학회지에 게재된 저자 현황을 살펴보면, 저자 1인과 2인 연구가 많고공저율이 50.8%로 낮아, 학문적 발전을 위해 협력적 연구가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여섯째, 초등의생활 교육 분야와 초등의생활 내용 분야의 연구 경향을 비교하면, 논문 게재 수는 초등의생활 교육 관련논문 수가 6배가 많았고, 시기별 연구 동향에서는 의생활 교육 관련 학회지는 2000년 이후에 논문 편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에 반해 의생활 내용 관련 학회지에는 평균 2편 정도 꾸준히 게재되는것에 차이점이 있다. 연구영역은 초등의생활 교육 분야는 교육과정 개편에 따라 차이를 보여 교육과정과 연관성이 크며, 연구 방법은 초등의생활 교육 분야는 문헌 연구와 실험연구의 비율이 높으며, 초등의생활 내용 분야에서는 조사연구가 높아 서로 차이가 있다. 저자 현황도 의생활 교육 관련 학회지에는 저자 1명인 논문이 많고, 공저 비율이 낮으며, 직업은 교육대학교 교수와 초등교사의 비율이 높았다. 의생활 내용 관련 학회지는 저자 2명의 논문이 많으며, 공저 비율도 높았다. 본 논문의 결과를 통해 제언하면 첫째, 초등의생활 교육 관련 분야의 연구영역에서 교과 인식과 교육평가에 관한 연구가 더 이루어지기를 바라고, 둘째, 초등의생활 교육 분야와 초등의생활 내용 분야가분리된 것이 아니라 통합적인 연구영역과 연구주제에 관심을 가지고 진행되었으면 한다. 셋째, 저자 수도 연구 논문의 질적 향상을 위해 협력하여 두 분야 연구자들의 공동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온라인 시대와 디지털 시대에 대비한 실습 관련 교수·학습법을 개발하는 연구도 시급히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The In order to investigate research trends in elementary school clothing and life theses, this study selected 171 papers published from 1986 to 2023 in journals related to clothing & life education or clothing life contents among KCI registered journals or its candidate ones, and analyzed them by period, research area, and research area. Diving the analysis by research topic, research method, and author, I foun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of all, 144(84.2%) papers related to elementary school clothing & life education were published mostly at the Korean Journal of Practical Education or at the Journal of Practical Education Research, wherein a total of 24 papers(14.0%) were related to elementary school clothing & life content, with dominance in the field of education. Second, in terms of research are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textbook research(33.9%) was the largest, followed by research on elementary school life content, educational content, curriculum and textbooks, educational awareness, complex areas and educational evaluation. Third, in research topic, 'overall clothing and lifestyle unit'(35.7%) was more popular than 'clothing selection and self-expression', clothing and environment, complex topic, clothing culture, Clothing design, clothing management. Fourth, in research method, literature research(30.4%) was equal to survey research, followed by Experimental researchand case study. Fifth, when it comes to the status of authors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many studies were authored by one author or two authors, while the co-authorship rate is as so low as 50.8% that collaborative research may need to be strengthened in the future for academic development. Sixth, comparing the research trends of elementary school cclothing & life education research and elementary school clothing & life content research, the number of papers published in the former (on education) was six times higher than the number of papers in the latter (on content), probably due to the recent research growth in the number of papers of the former after the year 2000, whereas an average of 2 articles are consistently published per year in the latter case. Clothing & life education research is found to be different from content research in many respects. The research area in the field of elementary school clothing & life education focused on curriculum due to recent curriculum reform. And a major research method in the field of elementary school clothing & life education was literature research or experimental research, while survey method was popular in the content research. In addition, in terms of the status of authors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many papers in the former were written by one author, while the latter mostly by coauthors of university professors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Sugges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more research need to be done on 'subject awareness' and 'educational evaluation' related to elementary school clothing & life education, and secondly, more research will be conducted on 'subject awareness' and 'educational evaluation' in the field of elementary school life education. Secondly, more integrated research shall be conducted to combine clothing & life education and content area rather than silo-based approach. Third, although the number of authors is single or two-person in most cases, three or more authors from both fields may collaborate and improve the quality of their research papers. Fourth, digitalization may be adopted in research for development of practice-relat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digital transformation era.

      • KCI등재후보

        가정식생활 수첩 ‘가족밥상’을 활용한 초등학교 바른 식생활교육 프로그램 개발

        최미숙,김정원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5 實科敎育硏究 Vol.21 No.3

        가정식생활 수첩 ‘가족밥상’은 바른 식생활교육을 위해 농림축산식품부가 최근 5년간 전국 초등학교에 보급해 온 알림장 형식의 소책자이다. 본 연구는 ‘가족밥상’ 소책자를 이용하여 초등학교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바른 식생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가정식생활 수첩 ‘가족밥상’의 내용에 따라 교육 프로그램의 주제를 선정하고 교육 프로그램의 각 차시별 목표를 설정, 학습내용을 선정 및 조직, 세부적인 교수·학습 과정안을 포함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서울시 강서구 H초등학교 3학년 1개 학급 24명을 실험집단으로 선정하여 2014년 4월부터 7월까지 12차시에 걸쳐 창의적 체험활동의 동아리 활동 시간을 활용한 바른 식생활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동일한 수준의 비교집단을 선정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서 가정식생활 수첩 ‘가족밥상’을 활용하여, 바른 식생활교육이 추구하는 3대 핵심 가치인 ‘환경’, ‘건강’, ‘배려’를 반영한 초등학생 대상 바른 식생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 둘째, 개발된 바른 식생활 교육 프로그램을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을 활용하여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에게 적용하였을 때, 실험 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환경, 건강, 배려’ 영역의 지식적 측면과 ‘환경, 건강’의 행동적 측면에서 유의미한 긍정적 변화(p<0.001)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바른 식생활에 도움을 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가정식생활 수첩은 학생들의 바른 식생활 형성에 도움을 주는 충실한 내용을 담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 개발된 가정식생활 수첩을 활용한 바른 식생활교육 프로그램이 학교 현장에 확산되기를 기대하여, 향후 다양한 학년 수준에 맞는 가족밥상 수첩의 내용과 구성에 대한 연구, 다른 학년을 대상으로 한 바른 식생활 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nd verify the effect of a dietary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using ‘Family Dining Table’ booklet, which was developed and distributed by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as an education booklet for desirable dietary life. The dietary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by the following process. First, the elements of dietary education were collected based on the analysis of primary education curriculum, related books, previous articles, and children’s prior knowledge and behavior on food. And total 12 themes for dietary education were selected by the contents of ‘Family Dining Table’ booklet. For each theme, instruction goals, educational contents, and a detailed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were developed. The developed program was applied to a 3rd grade elementary class consisting of 24 students in Gangseo-gu, Seoul, by using the time of Student Club Activity in Creative Experiencing Activities from April to July 2014, and the educational effect was verified by comparing with the control class.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a dietary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utilizing ‘Family Dining Table’ booklet was developed successfully. The developed program focused on learners’ activity and consisted of 12 themes needed for dietary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reflecting the three core values of ‘environment’, ‘health’, and ‘consideration’, and by using various educational materials. Secondly, the developed program showed significant increases in knowledge of environment, health, and consideration, as well as behavioral aspects of environment and health among students (p<0.001), proving its educational effects. Although the ‘Family Dining Table’ booklet contains useful information for students’ dietary education, it has not been utilized enough. Therefore, the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could promote the dietary education using ‘Family dining table’ booklet.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develop ‘Family dining table’ booklets and programs for other grade levels.

      • KCI등재

        유치원의 기본생활교육 내용분석을 통한 교육과정 통합화 방안 탐구

        강현석,황윤세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04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39

        유아교육에서 기본생활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증가하고 있고 아울러 현대사회에서는 기본생활교육을 비롯한 가정의 역할을 유아교육기관에서 일부 담당하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치원 교육과정에서의 기본생활교육과 관련된 ‘유치원 교육 활동 지도 자료집’분석을 통해 유치원 교육과정에서의 기본생활교육을 통합하기 위한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유치원 교육 활동 지도 자료집에 나타난 기본생활교육 내용은 다음과 같은 경향을 보였다. 연간교육계획에서 기본생활교육은 주제별 편중 현상이 심하게 나타났으며, 영역별로는 건강생활영역, 사회생활영역, 언어생활영역, 표현생활영역, 탐구생활영역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본생활영역의 덕목별 비중은 예절과 청결이 비슷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절 제, 질서 순이었다. 기본생활교육은 하루일과에서 집단 활동과 자유선택활동이 약간의 차이는 있는 정도로 활동이 계획되어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 기본생활교육의 내용은 자체가 가지는 특수성으로 인해 교육과정의 특정 영역에 치우치고 있으나, 이를 교육의 실제로 옮기기 위해서는 유아교육과정 운영의 주요한 원리인 통합의 원리를 따라야 할 것으로 판단되며, 그 구체적인 방안으로는 생활주제별 통합과 프로젝트접근법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a precedent study related with basic social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curriculum and raise problems about it. Through this process, First, I mean to set up a basis to integrate basic social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curriculum, To do this, I analyzed how basic social education was conducted through guide book of early childhood curriculum. Second, on the basis of these analyses, I mean to suggest a educational practice. This is to do integral management about basic social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curriculum. Basic social education in guidebook of early childhood curriculum was analyzed as follows. First, basic social education was not planned regularly in annual educational plan. Second, the result of domain analysis about basic social education was that health, social, language, expressive life, and exploration life domain were arranged in sequence. Items of basic social education were made up of manners 32%, cleanness 30%, temperance 22%, order 16%. Basic social education was planned 55% through group activity, 45% through free play in daily life. As a result of these analyses, education of basic social education was titled to specific domain because of the distinct attribute of the education itself. It is necessary to follow integral principle, a major one of early childhood curriculum to make these mentioned above a educational practice. Thanks to need of integral approach, integral approach about basic social education consists of two aspects. One is approach to integrate contents about basic social education by thematic approach. The other is project approach. Thus, first, contents about education of fundamental habits was planned according to unit in annual educational plan. Second, basic social education was integrated to daily life. Third, basic social education was integrated according to domain. Finally, basic social education was attempted through thematic approach and project approach.

      • KCI등재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가정과 교육과정과 인성교육과의 관련성

        이연숙,채정현,유태명,왕석순,이은희,김하늬,최민지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3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evious literature in home economics and contents and achievement standards of 2009 revised curruculum in relation to character education. To achieve this purpose 1) the literature review in human development and family, self-management and consumption life, food, clothing, and housing life area is critically discussed in relation to character education, and 2) curriculum contents and achievement standards are analysed in relation to the six pillars(trustworthiness, respect, responsibility, fairness, caring, and citizenship) of character education proposed by Josephson Institute. The results of analysis are verified by five experts in home economics content areas. Specific results of relation between home economics contents/achievement standards and six elements of character education are as follows. Human development and family area is most closely related with all elements of character education among other content areas. In Self-management and consumption life areas, self-management sub-area is very closely related with responsibility element; and consumption life sub-area is very closely related with citizenship element. In food area, health diet and eating sub-area is very closely related with trustworthiness, respect, and responsibility elements; and eco-frendly diet and food sub-area is very closely related with all six elements. In clothing area, clothing and self-expression sub-area is very closely related with trustworthiness, caring, and citizenship elements; and eco-friendly clothing and clothing reform sub-area is very closely related with responsibility, caring, and citizenship elements. In hosing area, housing and living environment sub-area is very closely related with responsibility and caring elements; and sustainable living and decorating living space sub-area is very closed related with trustworthiness, fairness, and citizenship elements. 본 연구는 가정교육학 분야에서 인성교육과 관련하여 어떠한 연구 성과가 축적되었는지 고찰하고, 가정과 교육과정은 인성교육의 요소와 어떻게 관련이 있는지 살펴보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내용은 2009 개정 중학교 가정과 교육과정에서의 인성교육 요소이다. 이를 위하여 2009 개정 중학교 가정과 교육과정의 교육내용 및 성취기준을 죠셉슨 연구소가 제안한 존중, 배려, 책임, 신뢰성, 공정성(정의), 시민성의 여섯 기둥 덕목을 기초하여 분석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전문가로부터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가정교육학의 제 영역인 인간발달과 가족, 자기관리와 소비생활, 식생활, 의생활, 주생활 영역의 인성교육관련 선행연구 고찰을 통하여 모든 영역이 인성교육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과 교육내용 및 성취기준과 인성교육 덕목과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인간발달 및 가족 영역에서는 인성교육의 모든 덕목과 가장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자기 관리와 소비생활 영역을 분석한 결과, ‘자기관리’ 중영역은 책임 덕목과 많은 관련이 있고 존중과 배려 덕목과도 일부 관련이 있다. ‘소비생활’ 중영역은 주로 시민의식 덕목과 많은 관련이 있고 책임 덕목과도 어느 정도 관련이 있었다. 식생활 영역에서 ‘건강한 식생활과 식사 구성’ 중영역은 진실성, 존중, 책임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고 공정성, 배려, 시민의식과 어느 정도 관련이 있었다. ‘녹색식생활과 음식만들기’ 중영역은 진실성, 존중, 책임, 공정성, 배려, 시민의식의 모든 덕목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의생활 영역에서 ‘옷차림과 자기표현’ 중영역은 진실성, 존중, 배려, 시민의식과, ‘친환경적 의생활과 옷 고쳐입기’ 중영역은 존중, 배려, 시민의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주생활 영역에서 ‘주거와 거주환경’ 중영역은 나와 다른 삶을 존중하고 배려하는 관용적 자세와 관련이 있다. ‘지속가능한 주생활과 주거 공간 꾸미기’ 중영역은 타인에 대한 배려와 관심, 환경에 대한 책임의식과 공동체적 협력과 관련이 있다. 종합적으로 자기 관리와 소비생활영역의 교육내용과 성취기준은 인성교육의 일부 덕목과, 그 외의 모든 영역은 인성교육의 모든 덕목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통일을 대비한 초등실과 가정생활교육 방안(Ⅲ)- 식생활 및 주생활 영역을 중심으로

        정미경,김유정 한국실과교육학회 2008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materials of Unification Education in dietary life and housing area of practical Arts of elementary school as a preparation for the unification of Korea. First, this study introduces the basic direction for Unification Education and the current situation. Then it suggests the problems of elementary Unification Education in the Practical Arts Education with the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guidebooks, curriculum commentaries, periodical journal, and the thesis. It also collects and analyses the information on North Koreans' dietary life and hous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First, it confirms that the practical arts is a very useful subject in Unification Education in the point of that it can be approached by the life cultural approach method for the elementary Unification Education.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cognition on the issue and it needs studies which are more practical. Second, the dietary life of North Koreans had depended upon food rationing mechanism in the aspect of food supply, however the conventional mechanism has been broken down with extremely severe shortages of food since the mid 1990s. The shortages of food are reported to remain sever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in North Korea, the value of food is determined predominantly by its quantity, rather than its nutritions, taste or flavor, texture or preference, meal factories are operated for the purpose of securing female labor force, and thus, the dietary life of North Koreans differs much from that of South Koreans. Third, the housing of North Koreans involves public housing lease system in which they should make monthly payment for their rental houses assigned by the national authorities. Moreover, their houses are not furnished with proper water supplies or kitchen tables. Such the poor residential environment is attributed to economic hardship, and the housing supply policy is derived from their social system. Fourth, the aim to obtain the basic knowledge of North Korean dietary life and housing and inqure the North Korean dietary and housing based on the knowledge to develop a shared racial consciousness was established. Instructions & learning methods were suggested for the Unification Education in dietary life and housing area of Practical Arts Education. 본 연구는 초등 실과 ‘식생활 및 주생활’ 영역에서의 통일교육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실과교과에서의 통일교육의 실제적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으며, 통일교육에 관련된 연구 논문과 단행본, 통일부의 통일교육 관련 발간물 등의 문헌 자료를 수집, 분석하여 통일교육의 기본방향과 현황을 소개하고, 초등 실과교과서의 통일교육의 문제점들을 제시하였다. 또한 북한 정보에 대한 웹사이트, 인터넷 신문기사 등을 검색하여 북한의 식생활 및 주생활에 관한 정보를 수집·분석을 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해 보면, 첫째, 우리나라 통일교육의 체제에서 실과교과는 최근의 초등학교 통일교육에서 추구하는 생활 문화적 접근이 가능한 교과로서 그 역할을 담당할 수 있으나 여전히 그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므로 더 많은 실제적 연구의 수행이 요구되고 있었다. 이는 실과교과의 각 생활영역에 해당하는 북한의 현황에 대한 이해가 통일교육방안의 마련에 반드시 수반되어야 함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둘째, 북한의 식생활은 공급면에서 식량배급제에 의존해 왔으나, 1990년대 중반 이후 심각한 식량난을 겪으면서 배급제가 와해되었으며, 여전히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에서는 음식의 가치도 영양, 맛, 질감, 기호보다는 분량에 가장 큰 비중을 두며, 여성들의 노동력 확보를 위해 밥공장을 운영하는 등 남한의 식생활 문화와는 많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북한의 주생활은 주택을 국가로부터 배정받아 매달 사용료를 내는 임대형식으로 이루어진다. 북한의 가정에는 급수장치 및 조리대가 제대로 구비되어 있지 않는데, 이러한 북한의 열악한 주거 환경은 경제적 궁핍에 기인한 것이고, 주택의 공급 정책은 사회제도에 기인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넷째, 초등실과 식생활 및 주생활 영역에서의 통일교육은 ‘북한 식생활 및 주생활에 대한 기초지식을 습득하고, 북한의 식생활 및 주생활 문화를 탐구함으로써 남북한 민족 공동체 의식을 함양할 수 있다’로 목표를 설정하였으며, 북한의 식생활 및 주생활 현황과 교육내용을 바탕으로 실과 5,6학년 교과서의 식생활 및 주생활 단원에 관련된 통일교육내용과 교수-학습방법들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초등학교 역사교육에서 생활사의 도입과 담론 형성

        문재경 한국역사교육학회 2019 역사교육연구 Vol.- No.33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troduction of life history and the embodiment of the discourse of life history in the elementary school history area. First, the introduction of life history in the elementary school history area started as a history teaching strategy considering the reflection of problems of history education by rote centering on the complete history during the Imperial Japan occupation period and the concern and interest of children, and the life history taught was conducted with the integration of the history subject into the social life subject and the influence of the child, life, and experience‐centered history education of Dewey’s Experimental School since the syllabus period.To examine the discourse of life history education, during the syllabus period, under the influence of Hwang Ui‐don's Culture Nationalist view of history, the chronicles in Grade 6 consisted of life history related cultural history, and under the influence of Dewey's life‐centered history education perspective, it consists of the contents of industrial history and intellectual history in Grades 4 and 5. It can be said that the meaning of life history education in this period is to teach history with contents related to children's life and interest to understand the present life.The discourse of life history established in the syllabus period continued until the 1st and 2nd curriculum period, and the history education centering on life history was conducted from the 3rd to the 6th grade. 이 논문은 초등학교 역사영역에서 생활사의 도입과 생활사 담론의 형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먼저 초등학교 역사영역에 생활사의 도입은 일제시기 통사 중심의 암기식 역사교육이 갖는 문제의 반성과 아동의 관심과 흥미를 고려한 역사교육 방안으로 출발하면서 사회생활과에 역사과가 통합되는 것과 Dewey 실험학교의 아동, 생활, 경험중심 역사교육의 영향 등으로 교수요목기부터 이루어졌다. 생활사 교육의 담론을 살펴보면, 교수요목기에 6학년 연대사에서는 황의돈의 문화민족주의 사관의 영향으로 생활 관련 문화사 중심으로 내용이 구성되었으며, 4~5학년에서는 Dewey의 생활중심 역사교육관의 영향으로 산업사, 지성사의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이 시기 생활사 교육의 의미는 현재의 생활을 이해하기 위해, 아동의 생활과 관심에 관련된 내용으로 역사를 가르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교수요목기에 형성된 생활사 담론은 1차와 2차 교육과정기까지 이어졌고, 3~6학년까지 생활사 중심의 역사교육이 이루어졌다.

      • KCI등재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에 따른 국악교육 내용 연구

        모형오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09 국악교육연구 Vol.3 No.2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은 유치원의 교육내용에 대한 전국 공통의 일반적인 기준을 제시 한 것으로 유치원 교육을 문서로 계획한 교육설계도라 할 수 있다. 여기에는 건강생활ㆍ사회생활ㆍ표현생활ㆍ언어생활ㆍ탐구생 활 등 다섯 개의 생활영역을 두고 있으며, 이 중에서 표현생활영역은 국악교육 내용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생 활영역이다. 아울러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생활주제는 유치원 교육활동의 기본이 됨과 아울러 유아의 생활을 이루고 있는 요소이다. 유치원 교육과정의 표현생활내용과 생활주제에 따른 국악교육의 내용체계를 마련하는 것은 유아를 위한 국악교육의 체계를 마련하는데 있어 무엇보다 중요한 일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유치원 교육과정의 표현생활영역에 제시된 내용체계별 국악교육의 내용체계를 마련하고, 각 생활주제별 국악교육 내용을 모색하였다. 표현생활영역은 ‘자연과 생활에서 아름다움 찾아보기’, ‘예술적 표현 즐기기’, ‘감상하기’등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연과 생활에서 아름다움 찾아보기’에서는 주변의 소리를 관심 있게 듣고 이를 다양하게 표현하는 과정 과 여러 국악기의 음색을 비교하여 들어보고 표현하는 과정, 그리고 기본적 리듬을 듣고 연주하는 과정이 국악 교육 내용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술적 표현 즐기기’에서는 전래동요ㆍ국악동요를 부르고 이를 통합적으로 표 현하는 과정, 음악을 듣거나 노래를 부르며 춤을 추는 활동, 음악극과 같은 통합적인 표현활동이 이뤄질 수 있다 . ‘감상하기’는 예술적 표현에 대한 아름다움을 느끼는 활동이 중심을 이루며, 음악ㆍ춤 등 예술작품을 감상하고 창의적으로 표현 하는 과정이 국악교육 내용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어 11가지의 생활주제별 국악교육의 내용을 모색하였다. 각각의 생활주제는 월별로 이뤄지기도 하고, 여러 생 활주제가 교사에 의해 분리ㆍ재조직되어 유치원의 특성과 연령 등에 따라 적용되는데, 이에 따른 국악교육은 유 아의 생활을 음악적으로 표현하게 하는 매우 중요한 활동이라 할 수 있다. 각 생활주제에 따라 ‘악기연주’, ‘노래 부르기’, ‘움직임과 춤’, ‘감상’, ‘음악극’ 등의 국악 교육 내용을 모색해 보았으며, 이를 통해 유아기부터 생활 속 에서 자연스럽게 한국의 음악적 모국어를 익히며, 유아의 예술적 표현력을 신장시키고 언어ㆍ신체ㆍ정서ㆍ사회 성 등 전인적 발달을 도울 수 있는 유아국악교육의 내용을 체계화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Korean music education as laid out in the 2007 revised kindergarten curriculum. Since musical aptitude is developed in early childhood and highly valued in Korean society, exposure to Korean music in the early years of schooling is critical. This study seeks to reinforce the belief that early music education advances the whole person artistically, linguistically, emotionally and culturally and must therefore be considered a key component of the Korean educational system.

      • KCI등재후보

        실과교육을 위한 생활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이성숙,박행모,방기혁,김용익,박광렬,박지혜,김석경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09 實科敎育硏究 Vol.15 No.2

        이 연구에서는 실과 수업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생활문화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생활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하여 설날, 정월대보름, 단오, 칠월칠석, 추석, 동지 등 5가지 소재를 중심으로 의생활, 식생활, 주생활, 세시풍속, 전통놀이의 생활문화 영역이 포함되도록 학습 내용을 추출하고 조직하였다. 프로그램은 재미있게 참여할 수 있는 활동 위주로 구성하였고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하여 적정 수준의 활동 자료를 제시하여 원리 학습을 한 후 다양한 만들기와 해보기 활동을 포함하였다. 개발된 생활문화교육 프로그램은 총 30차시로 활동 주제 및 목표에 맞게 수업 지도안 및 학습지, 교육 자료를 각각 제작하였다. 개발한 생활문화교육 프로그램을 초등학교 5학년 아동에게 적용하여 생활문화교육에 대한 태도 및 지식에 대한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개발한 프로그램의 교육 효과의 유의성을 알아보았다. 생활문화에 대한 태도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생활문화교육의 필요도, 전통음식 만들기에 대한 관심도, 전통 놀이에 대한 관심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생활문화에 대한 지식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설날과 추석은 현대에도 대부분 실행하고 있고 친숙하여 아동들이 음식이나 풍속 등을 잘 알고 있었으므로 프로그램 전후 지식의 변화가 없었다. 정월대보름, 단오, 칠월칠석, 동지에 대한 지식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생활문화교육 프로그램은 생활문화에 대한 태도 및 지식 증가에 효과가 있었다. 생활문화는 실과의 내용 요소를 많이 포함하고 있으므로 아동들이 실과교육을 통해서 생활문화를 습득하여 실생활에서 실천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ducational program for living culture for children and to applicate that program on children and to analyze the change of attitude and knowledge for living culture. A living Culture Program focused on Seonal, Jeongwal daeboreum, Dano, Chilwal chilsuk, Chuseok and Dongji containg contents of clothing, food, housing, season`s custom, traditional play. This program was contained various activity related with Seonal, Jeongwal daeboreum, Dano, Chilwal chilsuk, Chuseok and Dongji and consisted of 30 hours about 21 subjects with teaching and learning lesson plan, workbooks, education materials. The living Culture Program was applied to children(5thgrade). The positive effects on the change of attitude and knowledge for living culture. In attitude for living culture, mean scores of need of living culture education, interest of making traditional food, interest of traditional play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knowledge for living culture, the knowledge of Seonal and Chuseok were not significantly increased. the knowledge of Jeongwal daeboreum, Dano, Chilwal chilsuk, Dongji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 KCI등재

        사회수요맞춤형 생활체육 표준교육과정의 개발방향 및 역할

        유정애 ( Jeongae You ) 중앙대학교 학교체육연구소 2021 Asi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of Sport Scien Vol.9 No.1

        최근 생활체육에서 스포츠교육학의 교육적 역할이 그 어느 때보다 강조되고 있다. 본 글에서는 스포츠교육학 관점에서 필요한 사회수요맞춤형 생활체육 표준교육과정의 개발방향 및 역할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사회수요맞춤형 생활체육 표준교육과정 개발은 생활체육의 내적 요구와 외적 요구를 반영하는데 맞추어져야 한다. 생활체육의 내적 요구는 생애주기별 맞춤형 생활체육 교육프로그램의 필요성과 통일성으로 볼 수 있고, 외적 요구는 생활체육의 공적 가치 및 사회적 역할 강화로 집약될 수 있다. 또한 본 글에서는 사회수요맞춤형 생활체육 표준교육과정이 기여할 수 있는 3가지 역할(협회주도 생활체육교육의 질 관리, 종목별 생활체육의 교육철학 확립, 생활체육의 교육내용 체계성 홍보)을 제시하였다. 끝으로, 본 글에서는 생활체육의 교육전문성 향상을 위한 실천과제로 스포츠교육학 연구자들의 체육프로그램 개발 전문성 공유와, 협회주도의 종목별 교육체계 확립을 강조하였다. Recently, there is a growing focus of Sport Pedagogy’ educational role in sports for all.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direction and roles of societal demand based standardized curriculum making in sports for all. First, the societal demand based standardized curriculum making in sports for all should be focused to meet internal and externals needs toward sports for all. The internal needs toward sports for all has been met the necessity and unification of tailored educational programs of sports for all in different life stages, whereas the external needs should be summarized the reinforcement of public value and societal roles. Moreover, this paper has suggested three roles (such as the quality management of association initiated education in sports for all, the establishment of educational philosophy per each sport in sports for all, and the advertisement of systematic structure in educational contents) that the societal demand based standardized curriculum making in sports for all could contribute. Finally, this paper has emphasized practical tasks to improve educational expertise in sports for all like sharing expertise of sports program development by sport pedagogists and association-initiated establishment of educational system per each spo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