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태적 감수성 신장을 위한 현대시 교육 연구

        윤호경 ( Yun Ho-gyeong ),김정우 ( Kim Jung-woo )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회) 2021 청람어문교육 Vol.0 No.79

        지속가능성을 위한 교육은 학습자로 하여금 미래 사회를 살아갈 세대가 가져야 할 핵심적인 역량을 길러준다. 생태적 감수성은 지속가능성을 위한 교육의 중요한 축을 이루며, 문학교육은 생태적 감수성을 길러줄 수 있는 가장 적합한 교육이다. 감수성을 외부의 자극을 받아들이는 감성적 능력이라고 볼 때, 감수성은 타자성을 받아들이기 위한 노력에 따라 구체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이 연구에서는 생태적 감수성을 ‘동일시의 생태적 감수성’, ‘관찰을 통한 생태적 감수성’, ‘교감을 통한 생태적 감수성’으로 유형화하고, 중고등학교 국어 및 문학 교과서에 수록된 제재를 분석하여 교육 현장에서 다루어지는 생태적 감수성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를 분석하여 교과서를 활용한 생태적 감수성 교육의 가능성을 다양한 수준으로 모색하였다. 분석 결과, 생태적 감수성 교육은 생태적 감수성에 기반한 감상 안내, 생태적 사유를 담은 표현 해석, 생태적 관점의 확장과 쟁점 제시 등의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Education for sustainability enables learners to have key competencies necessary for future society. Ecological sensitivity is an important pillar of education for sustainability, and literature education is the most appropriate education to foster ecological sensitivity. Given that sensitivity is an emotional ability to accept external stimuli, sensitivity can be embodied in efforts to accept them. According to this, ecological sensitivity can be presented in three types: ecological sensitivity through identification, observation and communication. This study analyzed works i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textbooks of middle and high schools and looked at the aspects of ecological sensitivity covered in the field of education. Also, this study explored the possibility of ecological sensitivity education using textbooks. According to the analysis, ecological sensitivity education was conducted by guiding appreciation of works, interpreting literary expressions, and expanding perspectives and presenting issues.

      • KCI등재

        생태적 감수성 함양을 위한 생태교육 방법 연구

        박미경 한국실천신학회 2024 신학과 실천 Vol.- No.88

        오늘날 인류는 생태 위기의 심각성에 대해 그 어느 때보다 절실히 실감하고 있다. 코로나19를 겪으며 지구촌이 하나로 연결되어 있음을 다시금 깨달았고, 생태 위기 극 복을 위한 행동이 실행에 옮겨져야만 한다는 당위성을 받아들이게 되었다. 하지만, 우 리의 라이프 스타일을 단기간에 바꾸지 못하고 있다. 생태 위기의 시대를 살아가며 더 심각한 위기에 봉착하지 않으려면, 인류는 즉각적 이고 강도 높은 행동의 변화를 만들어야 한다. 생태 위기의 시대를 살아가면서 우리 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생태적 변화를 위해서는 생태 소양이 필요하고 그 생태 소양 중 중요한 요소가 바로 생태적 감수성이라고 할 수 있다. 생태적 감수성은 자연을 추구하고, 자연으로부터 생명을 발견하고 느끼는 감성적 능력, 즉 인간이 자연 에 대해 가지는 관심과 호기심, 사랑을 가지고 바라보며 공감하는 정서적 태도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기독교적 가치관은 생태적 감수성을 이해하는데 기초를 제공해 주고 있는데, 기독교는 하나님의 창조 세계관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자연을 하나님의 창조 세계 로 이해한다. 이는 생태계를 바라보는 데 있어 근원적인 경외감을 제공해 줄 수 있으며, 창조된 세계는 인간의 소유가 아닌 인간을 포함하는 모든 창조된 세계가 하나님 께 속해 있음을 알려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생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생태적 감수성 함양의 중요성을 인 식하고, 생태적 감수성 함양을 위한 생태교육의 방법을 제안함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생태교육에 있어 생태적 감수성의 중요성을 성찰하고 생태교육의 방법으로서의 체험 적 교육의 필요성을 주장한다. 이를 위해서 기존의 언어 중심의 교육에서 벗어나 생 태적 감수성 함양을 위한 다양한 체험적 생태교육의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구체적인 생태교육방법으로는 생태 현장으로의 필드트립 및 성찰보고서 작성하기, 특정 지역의 생태지도 만들기, 새싹 채소 키우기 및 관찰 일지 기록하기, 생태 동화 읽기와 연관 활동하기, 보드게임과 같은 생태 놀이를 활용한 생태교육의 방법을 제안 함으로써, 생태 위기를 넘어서기 위한 삶의 방식의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생태교육 을 지향하고자 한다. Today, humanity is more acutely aware of the severity of the ecological crisis than ever before. Experiencing COVID-19 has reminded us of how interconnected our world is and has led to the acceptance of the necessity for actions to overcome the ecological crisis. However, we are struggling to change our lifestyles in a short period of time. Living in an age of ecological crisis, to avoid more severe crises, humanity must create immediate and intense changes in behavior. What is most needed while living through this era of ecological crisis? To foster ecological change, ecological literacy is necessary, and a key element of this literacy is ecological sensitivity. Ecological sensitivity can be defined as an emotional ability to seek nature, discover life from nature, and feel – it is the interest, curiosity, and love for nature that humans hold, and an empathetic attitude that encompasses these feelings. Furthermore, Christian values provide a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ecological sensitivity. Christianity is based on the view of God's creation, understanding nature as part of God's created world. This understanding can offer a fundamental sense of awe when viewing ecosystems, and remind us that the created world, including humanity, belongs to God, not as a possession of human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ultivating ecological sensitivity in overcoming the ecological crisis and suggests methods of ecological education for fostering ecological sensitivity. It reflects on the importance of ecological sensitivity in ecological education and argues for the necessity of experiential education as a method of ecological education. To achieve this, it proposes various experiential methods of ecological education that move beyond traditional language-focused education to foster ecological sensitivity. Specific methods of ecological education include field trips to ecological sites and writing reflective reports, creating ecological maps of specific areas, growing and observing sprout vegetables and keeping a journal, reading ecological fairy tales and engaging in related activities, and using ecological games like board games as a method of ecological education. Through these methods, the study aims to promote a change in lifestyle to overcome the ecological crisis.

      • KCI등재

        자연 경이감과 생태적 감수성에 대한 심미적 해석:세 교사의 경험을 중심으로

        주은정 한국환경교육학회 2022 環境 敎育 Vol.3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esthetically interpret the ecological educational meaning of ecological sensibility and sense of wonder. For this study, the experiences of three teachers with rich experience in ecological education and outdoor environmental education were phenomenologically analyzed and the analysis results were interpreted with reference to previous studie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three teachers viewed ecological sensibility as an emotional characteristic capable of reacting sensitively to changes in nature and empathizing with them. People with high ecological sensibility tend to want to know about nature and have authentic ecological behavior. In order to develop ecological sensibility, it is necessary to experience a sense of wonder. A sense of wonder refers to an aesthetic experience of nature. The sense of wonder is felt when encountering something different from the nature has always seen or perceiving something different from what has often seen and marveled at it. The sense of wonder is emotionally connected with nature and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formation of ecological sensibility. Therefore, time spent in nature is absolutely important for ecological sensibility education, and opportunities to feel the wonder of nature should be given. In addition, learners should be given opportunities to experience nature on a daily basis, and teachers themselves need to have ecological sensibility. 이 연구는 생태적 감수성 및 자연 경이감의 생태 교육적 의미를 심미적으로 해석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를 위해 생태교육 및 야외 환경교육 경험이 풍부한 세 교사의 경험을 현상학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선행 연구를 참고하여 분석 결과를 해석하였다. 연구 결과, 세 교사는 생태적 감수성을 자연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이에 대한 감정이입을 할 줄 아는 정서적 특징으로 바라보고 있었다. 생태적 감수성이 높은 사람은 자연에 대해 알고 싶어 하며, 진정성 있는 생태적 행동을 하는 특징을 가진다. 생태적 감수성을 키우기 위해서는 자연 경이감의 경험이 필요하다. 자연 경이감은 자연에 대한 심미적 경험을 의미한다. 자연 경이감은 늘 보던 자연과 다른 것을 만나거나 자주 보던 것이라 하더라도 다르게 인식하고, 그에 대해 경탄할 때 느끼게 된다. 자연 경이감은 자연과 정서적으로 연결되어 생태적 감수성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생태적 감수성 교육을 위해서는 자연에서 보내는 시간이 절대적으로 중요하며, 그 속에서 자연 경이감을 느낄 수 있는 기회가 부여되어야 한다. 또한, 학습자에게 자연을 일상적으로 경험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져야 하며 교사들 자체가 생태적 감수성을 가질 필요가 있다.

      • KCI등재

        헨리 데이비드 소로우(H. D. Thoreau)의 생태적 삶에서 살펴본 유아의 생태적 감수성 함양을 위한 유아교육적 함의

        장미연 ( Jang Mi Yeo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8 유아교육연구 Vol.3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산업화 시대를 살아남기 위한 무한경쟁시대에서 황폐화된 유아들의 생태적 감수성을 되찾아주기 위해 헨리 데이비드 소로우의 생태적 삶을 통해 생태적 감수성 함양을 위한 함의점을 찾는 것이다. 소로우의 삶은 심층생태주의적 요소가 짙다. 생태적 감수성을 느낄 수 있는 소로우의 생태적 삶의 요소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생명평등주의적 가치관과 생태적 자아실현, 둘째, 자연과 동화되는 소박한 삶, 셋째, 체험과 탐색을 통한 자연과의 만남이다. 이에 유아의 생태적 감수성 함양을 위한 함의점으로는 첫째, 생태적 사유를 위해 고전 및 생태문학 읽기, 둘째, 야생의 자연에서 느리게 걷기, 셋째, 철학자의 시선으로, 과학자처럼 관찰하기, 넷째, 자연에 대해 박물학적으로 기록하기, 다섯째, 생태적 아름다움을 담아내는 언어적 예술 작업을 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함의점이 유아교육에 적절히 반영한다면, 생태적 가치관과 더불어 생태적 감수성 함양에 도움이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Henry David Thoreau’s simple ecological living and to find out the implications to cultivate our society`s infant ecological sensibility. Thoreau`s guidance would restore and enrich today`s infants’ ecological sensibility in this era of unlimited competition. Henry David Thoreau’s ecological life factors are as follows: first, life-equality ethics and ecological self-fulfillment, Second, simple living surrounded by nature and assimilation with it. Third, immersion in nature through experience and exploration. From the above, this study suggest the below five implications as solutions to build up the infants’ ecological sensibility. First, reading classics and ecological literature for ecological thinking. Second, slow-walking in wild nature. Third, observing nature as if being a scientist, from the view point of a philosopher. Fourth, recording the nature naturalistically. Fifth, doing verbal artworks to describe the ecological beauty. If these implications can be reflected to the present infant education, They will help to cultivate ecological value and sensibility.

      • KCI등재

        초등교육에서 생태적 소양의 의미

        주은정 ( Eun Jeong Ju ) 서울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16 한국초등교육 Vol.27 No.2

        이 연구는 생태학적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궁극적인 방안을 생태적 소양 함양이라고 보고, 초등교육에서 그 의미를 고찰하며 초등교육에서 생태적 소양 함양의 중요성과 방법을 논의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생태주의, 생태적 소양 연구 동향 등을 살펴본 후 생태적 소양의 의미를 정리하였다. 또한 생태적 소양이 초등교육에서의 의미를 고찰하고 실천을 위한 방향을 모색하였다. 생태적 소양의 이론적 배경이 되고 있는 생태주의는 다양한 스펙트럼을 가지고 있지만 공통적으로 생태학에 근간을 두고 있으며 참여적, 체제적, 전체론적이라는 특징을 지닌다. 생태주의 패러다임에서 생태적 위기의 극복은 생태적 소양(ecological literacy)을 갖춘 인간을 길러내는 것을 궁극적인 방법으로 보고 있다. 생태적 소양은 지구상의 삶을 가능하게 해주는 자연계(natural systems)를 이해하고 이를 실생활에서 이용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Capra (2003), Orr (1992), Berkowitz et al.(2005), Cutter-MacKenzie and Smith(2003)의 연구를 바탕으로 생태적 소양의 의미를 정리하면 생태학을 이루고 있는 기본 개념들을 이해하고 생태적 감수성을 통해 생태중심적 태도를 지니는 것이다. 생태적 소양이라고 하는 것은 생태학에 대한 기본 원리를 이해하는 것과 그에 따라 살아가는 것을 의미하므로 생태학에 대한 기 본 원리를 이해하는 것은 생태적 소양 함양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생태적 감수성은 자연의 변화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하며 자연에 대한 감정이입적 시각을 가지는 개인을 길러내는 정의적 특성을 말한다. 생태중심적 태도란 자연을 인간을 위한 도구나 인 간을 둘러싼 환경, 단순한 탐구의 대상으로만 바라보지 않고 그 자체로 가치가 있는 존재로 바라보는 태도로 정의할 수 있다. 특히 어린 시기에는 자연에 대한 경험에서 생태적 감수성을 키우고 이를 통해 생태적 지식, 생태중심적 태도를 갖추어 나가는 것이 중요하므로 초등교육 에서는 이를 위한 교사연수, 교육과정, 환경 개선 등의 실천적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aning ecological literacy and discuss the importance and practical method of it. In this study, the ultimate way to overcome the ecological crisis was assumed promoting ecological literacy. For the study, I investigated trend of previous study related with ecological literacy and ecologism and defined the elements of ecological literacy. Then, I explored the meaning of ecological literacy in elementary education and practical way for leaning it. Ecologism, which is theoretical background of ecological literacy, has a wide spectrum, but commonly rooted in ecology and has the participatory, systemic, and holistic features. The elements of ecological literacy based on the study of Capra (2003), Orr (1992), Berkowitz (2005), and Cutter-MacKenzie and Smith (2003) are ecological knowledge, ecological sensibility and eco-centric attitude. Especially, promoting ecological literacy through the experiences in nature is important. A practical plan, including teacher training, curriculum, improve the environment for it should be prepared in elementary education.

      • 한국 현대 생태시 교육 연구 - 2015 개정 교육과정 <문학> 과목을 중심으로

        안세희 ( Sehui Ahn ) 숙명여자대학교 한국어문화연구소 2022 한국어와 문화 Vol.31 No.-

        본 연구는 생태적 감수성을 함양하기 위한 생태시 교수·학습 방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국어과, 특히 <문학> 과목에서 생태시가 교육되어야 하는 필요성은 생태학적 인식이 시의 특성과 만날 때 나타나는 기존의 사회적, 과학적 언어로 설명된 생태학적 인식과는 다른 효과에 있다. 문학이, 시가 독자에게 주는 자문(自問)을 사회적, 과학적 언어의 사실적, 정보적 언술과 다른 특기할 만한 효과라 할 수 있다. 생태시가 가지는 교육적 가치로 ‘생태적 감수성’을 논의의 중심에 두었다. 생태적 감수성은 생태 문제에 예민하고 기민하게 반응하는 감수성이다. 특히나 이러한 생태적 감수성의 함양은 현재 <문학> 교과가 추구하는 ‘공동체·대인 관계 역량’과 맞닿아 있다. 현행 교육과정에서 생태시, 크게는 생태문학 교육이 당면한 가장 큰 문제점은 교육과정 속에 생태시가 자리할 수 있는 성취기준, 학습목표가 없다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행 2015개정 교육과정의 <문학> 교과의 생태시 교육 양상을 분석하여 생태시 교수·학습 방안을 마련하였다. 그 결과 교과서 수준에서 ‘동일시의 생태적 감수성’ 유형의 작품의 수록이 편중되어 있다는 점, 학습 활동이 생태적 감수성을 함양할 수 있는 활동으로까지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김기택의 작품, 「바퀴벌레는 진화 중」을 활용하여 생태시 교수·학습 방안을 구안하였다. 크게 ‘작품 이해 단계’와 ‘목표 활동 단계’로 나누었다. ‘작품 이해 단계’에는 작품의 내용 이해를 위한 중요한 시어와 제목, 화자의 태도를 중심으로 질문이 구성되어 있다. ‘목표 활동 단계’는 생태적 감수성의 세 가지 유형, 동일시, 관찰, 교감에 따라 ‘편지 쓰기’와 ‘같은 작가 다른 작품 읽기’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eco-poetry teaching and learning plans to foster ecological sensitivity. The need for eco-poetry to be educated in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especially in the subject of < Literature >, lies in a different effect from the ecological perception described in the existing social and scientific language when ecological perception meets the characteristics of poetry. Literature and poetry's questions to readers are remarkable effects different from factual and informational statements in social and scientific languages. Ecological sensitivity was at the center of the discussion as the educational value of eco-poetry. Ecological sensitivity is the sensitivity to sensitive and agile responses to ecological problems. In particular, the cultivation of this ecological sensitivity is in line with the ‘community-to-person relationship competency’ currently pursued by the subject of < Literature >. The biggest problem facing eco-poetry and largely ecological literature education in the current curriculum is that there are no achievement standards and learning goals for eco-poetry in the curriculum. Therefore, in this study, a teaching and learning plan for eco-poetry was prepared by analyzing the educational patterns of the < Literature > subject of the current 2015 revised curriculum. As a result, among the four areas of the < Literature > curriculum, the ‘Attitude to Literature’ area seemed the most appropriate for educating eco-poetry. At the textbook level, it was found that the collection of works of the “ecological sensitivity of the identification” type was concentrated, and that the learning activities did not move toward activities that could foster ecological sensitivity.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se problems, this study devised a teaching and learning plan for eco-poetry using Kim Ki-taek's work, “Cockroach is Evolving”. It was largely divided into ‘work understanding stage’ and ‘target learning stage’. In the ‘work understanding stage’, questions are organized around the attitude of the poet, title, and speaker, which are important for understanding the content of the work. The ‘goal learning stage’ consisted of ‘writing letter’ and ‘reading other works of the same artist’ according to the three types of ecological sensitivity, identification, observation, and communication.

      • KCI등재

        생태적 감수성으로 읽는 시그림책

        김태경,전연우,조희숙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2014 생태유아교육연구 Vol.13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poetic picture books from the perspective of ecological sensitivity. A total of 7 poetic picture books deemed to reflect ecological ideas were selected for inclusion and the texts and illustrations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indentify all attributes related to ecological sensitivity. Each attribute was assessed for its ability to be meaningful of effective in the creation or development of ecological sensitivity in young children. The results showed that attributes found in the picture books could be largely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love and vitality that orient reconciliation and creation, the humor of life on the basis of sensitive images, the aesthetics of emptiness and purity that symbolize hope, and a return to nature through the restoration of ecological sensitivity in young children and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such book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본 연구는 생태적 감수성을 바탕으로 시그림책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생태론적 시각이 반영되어 있는 것으로 간주되는 시그림책 7권을 최종 선정한 후, 글 텍스트와 그림 텍스트의 내용에서 생태적 감수성이 표출되어 있는 양상을 분석하고, 유아들의 생태적 감수성의 함양 및 증진에 있어서 어떠한 의미와 연관성이 있는지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시그림책에서 생태적 감수성은 ‘어울림과 창조를 위한 사랑과 생명성’, ‘감각의 이미지를 통한 삶의 해학성’, ‘희망찾기를 향한 비움과 순수의 심미성’, ‘생태적 감수성의 회복을 통한 자연 회귀’로 드러났다. 본 연구는 유아들의 생태적 감수성을 증진시키는데 있어 시그림책의 역할, 유아교육현장에서의 시그림책의 활용 가능성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생태적 감수성과 숲놀이 교수효능감이 2019 개정 누리과정에 기반한 숲놀이 실행에 미치는 영향

        김미진(Kim, Mi Jin),장상옥(Jang, Sang Ock)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1 유아교육학논집 Vol.25 No.5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생태적 감수성과 숲놀이 교수효능감이 2019 개정 누리과정에 기반한 숲놀이 실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경남 지역에 소재한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만 3∼5세 유아반 담당교사 373명을 연구대상으로, 2021년 1월 18일부터 2월 23일까지 생태적 감수성, 숲놀이 교수효능감, 2019 개정 누리과정에 기반한 숲놀이 실행에 대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신뢰도분석, 피어슨의 상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생태적 감수성은 높은 편이었으나, 숲놀이 교수효능감과 2019 개정 누리과정에 기반한 숲놀이 실행 수준은 중간 이상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생태적 감수성과 숲놀이 교수효능감은 2019 개정 누리과정에 기반한 숲놀이 실행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2019 개정 누리과정에 기반한 숲놀이 실행에는 유아교사의 숲놀이 교수효능감의 하위요인인 숲놀이 교수 효능에 대한 신념, 숲놀이 교수 결과에 대한 기대와 생태적 감수성의 하위요인인 자연에 대한 관심과 자연에 대한 동정과 연민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2019 개정 누리과정에 기반한 숲놀이 실행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유아교사의 생태적 감수성과 숲놀이 교수효능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사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ecological sensitivity and the forest play teaching efficacy on the implementation of forest play based o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To this end, 373 early childhood teachers in charge of ages 3-5 at day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in Gyeongsangnam-do were surveyed via questionnaires from January 18 to February 23, 2021.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5.0. As a result, first, the level of ecological sensitivity was high, and the level of forest play teaching efficacy and the implementation of forest play based o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were higher than the medium. Second, the ecological sensitivity and teaching efficacy of forest play in early childhood teachers have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implementation of forest play based o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Third, the implementation of forest play based o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was found to influence beliefs about forest play teaching efficacy, expectations about the results of forest play teaching, and interest in and sympathy and compassion for nature, which are sub-factors of ecological sensitivity. This result suggests that in order to promote the implementation of forest play based o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teacher education that can improve ecological sensitivity and forest play teaching efficacy is necessary.

      • KCI등재

        초등학생의 생태적 감수성 향상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 해양 생태전환교육 프로그램 개발

        김민선,신동훈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24 초등과학교육 Vol.43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생태적 감수성 향상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 해양 생태전환교육 프로그램을개발하는 것이다. 개발한 인공지능 기반 해양 생태전환교육 프로그램은 19명의 연구집단을 대상으로 11회에 걸쳐 4주간 수업하였고, 프로그램 적용 전-후에 생태적 감수성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개발한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생태적 감수성을 향상시킨다는 통계적 결과를 얻었으며, 심층 면접을 통해서도 생태적감수성 하위 영역인 생물에 대한 공감, 자연에 대한 흥미, 자연 향유, 자연에 대한 경이감 등 모든 영역에서의 향상을 발견하였다. 인공지능과 가상현실을 활용한 해양 생태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자연에 더욱 가까이 접근할 수 있었고, 이러한 학생 참여 활동이 생태적 감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이는 학생들의 생태적 감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단순 설명식 수업보다 체험 중심의 교육 방법이 중요하며, 인공지능 기술이 학생들의 수업 몰입도를 높이는 데 효과적임을 나타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marine ecological education program to improve the ecological sensitiv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program was taught 11 times within 4 weeks, and an ecological sensitivity test was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e statistical results of the tests showed that the developed program improved the ecological sensitiv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ough in-depth interviews, improvements were found in all the areas, such as empathy for the living things, interest in nature, enjoyment of nature, and wonder about nature. Through the marine ecological classes, which used artificial intelligence and virtual reality, the students were able to get closer to nature, and the student participation activities showed a positive effect on their ecological sensitivity. This indicates that experienceoriented education methods are more effective than simple explanatory classes to improve the students’ ecological sensitivit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proved effective in increasing the students’ immersion in the class.

      • KCI등재

        프로젝트 학습에 기초한 환경미술수업이 학습자의 생태적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김규래,김효정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9 미술교육연구논총 Vol.56 No.-

        Several previous studies were reviewed for this study, which investigated the educational concept and paradigm of environmental arts, the integrity of environmental and art education, and the approach to environmental arts education. Based on the theories from previous studie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environmental fine arts class based on Project-Based Learning (PBL) on learner's ecological sensitivity.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10 members of the environment club at G-high school in Guro-Gu, Seoul, and they were participated in a total of 8 classes. The object of classes was set as improving perception of stray cats based on the common interests of learners. Thus, it was hypothesized the self-directed activity of subjects that PBL were emphasized. In conclusion, the environmental fine art class based on PBL 1) cultivated ecological sensitivity defined as emotional/cognitive empathy and reaction regarding the environment, 2) suggested practical direction of action such as interaction, and 3) deepened learner's ecological sensitivity. Thus,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environmental arts class based on PBL can provide systemicity while learners internalize their selected learning, and a problem-solving by using visual communication of arts. In addition, it can be thought that the environmental fine arts class will be extended and proposed in the education field by identifying the educational combination of art activity through the environmental club from this study. 본 연구는 프로젝트 학습에 기초한 환경미술수업이 학습자의 생태적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프로젝트 학습법, 환경미술 그리고 생태적 감수성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하였으며, 환경교육과 미술교육의 통합적인 활동을 동아리 활동을 중심으로 확인하였다. 따라서 연구대상은 서울특별시 구로구 소재 G고등학교의 생명존중 동아리 10명을 선정하였다. 이들은 길고양이라는 공통의 관심사로 모인 환경동아리로서 학교 주변의 길고양이 급식소 운영 등의 자발적인 활동을 이룬다. 이러한 특성이 프로젝트 학습으로의 미술과 접근 그리고 주변의 환경문제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생태적 감수성을 확인하는 데 효과적일 것이라 기대하였다. 학습주제는 ‘환경미술을 통한 길고양이 인식개선하기’로 총 8차시의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수업을 통한 학습자들의 생태적 감수성 변화와 학습자 주변인들의 길고양이 인식 변화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는 환경부에서 제공하는 환경교육에 의한 환경의식ㆍ태도변화 조사 보고서(2014)의 ‘환경의식과 태도변화 조사 설문지’를 수업 사전ㆍ사후에 실시한 후 IBM SPSS 24 통계 프로그램을 통해 Paired t-test(대응표본 t 검증)을 사용하여 검사결과를 통계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실기 결과물과 활동지, 차시별 활동 인터뷰, 수업평가지 그리고 연구자의 관찰일지를 분석하여 학습자들의 생태적 감수성 변화를 종합적으로 도출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프로젝트 학습에 기초한 환경미술수업은 학습자의 생태적 감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고등학교 환경동아리 활동을 중심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