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년창업기업의 생존율 변화 분석

        박춘주(Choon Ju Park),홍재범(Jae-Bum Hong) 한국자료분석학회 2023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5 No.4

        본 연구는 청년창업기업의 창업 이후 생존율과 누적생존율 변화를 분석한 것이다. 청년창업기업의 창업 이후 생존율과 그 변화를 기술보증기금의 자료를 바탕으로 교차분석과 생존분석 방법인 카플란-메이어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청년창업기업의 창업자 특성으로 연령, 성별, 학력, 동종업종경험을 고려하고, 사업특성으로 기업 형태, 창업 업종, 창업지역을 고려하였다. 창업자의 특성으로 성별과 연령은 생존율에서 차이가 없었다. 학력은 고졸 이하, 전문대졸, 대졸, 대학원졸 순으로 생존율이 낮다. 누적생존율은 고졸 이하의 경우 24개월 이후 급격히 하락하며 그이후에도 높은 학력 수준에 비해 크게 하락한다. 동종업종경험에 따른 생존율은 1년 미만에서가장 낮고, 10년 이상에서 가장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 누적생존율 분석에서는 초기 12개월을 제외하고는 생존율이 일관되게 1년 미만, 10년 미만, 10년 이상 순으로 낮았다. 기업 형태는 생존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다. 창업 업종에서는 제조업과 정보통신보다 서비스업의 생존율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누적생존율 분석에서는 36개월까지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그이후부터 서비스업이 제조업과 정보통신보다 일관되게 높았다. 창업지역별 생존율 차이는 유의하다. 누적생존율 분석에서는 36개월 이후부터 충청이 가장 높고, 영남이 가장 낮은 추세가 일관되었다. 이를 종합해보면 창업자의 역량 중 학력과 동업종 경험이 높을수록 생존율이 높고, 사업특성에서는 창업 업종과 창업 지역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This study analyzes the survival rate and cumulative survival rate of young start-ups after their start-up. Based on data from the Korea Technology Finance Corporation, the survival rate and changes of young start-ups since their start-up were analyzed using Chi-square test and the Kaplan-Meier techniqu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under, gender and age do not differ in the survival rate, so they are not significant variables. In terms of education, the survival rate is low in the order of high school or less, college, university and graduate graduates. The survival rate according to experience in the same industry was the lowest in less than 1 year and the highest in 10 years or more. There i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rporations and individuals. In the start-up industry, the survival rate of the service industry was higher than that of manufacturing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 Survival rates by start-up region were the lowest in Yeongnam and the highest in Chungcheong,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urvival rates between regions. Taken together, the most important thing in young entrepreneurship is the founder's competency, and the higher the level of education and experience in the same industry, the higher the survival rate.

      • KCI등재
      • 벤처기업 생존영향 요인분석

        임채윤,이윤준,이광호,김종선,배영임,김성진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8 정책연구 Vol.- No.-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벤처2기 정책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시점에서 지난 10년간의 벤처기업의 생존 및 성장에 대한 진단은 필수적이다. 그러나 벤처기업의 생존·성장 현황에 대한 정보는 벤처산업협회, 벤처캐피탈협회 등 각 전담기관이 각각 관리하고 있어 정보가 종합적으로 분석되지 못하고 있다. 이로 인해서 벤처의 생존과 성장에 대한 진단과 새로 시작되는 벤처2기 정책에서의 정부역할 설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분석이 어려운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서 다수의 기관에 산재되어 있는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통합하여, 벤처의 생존-성장-성공 현황과 관련 영향요인을 파악할 수 있는 연구기반을 구축하였다. 그리고 이를 기반으로 벤처기업의 생존 현황과 요인 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진단하고 생존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부의 벤처정책 방향을 제시하였다. 주요 연구내용 본 연구는 우선 벤처산업협회, 한국신용평가(주), 국세청의 폐·휴업 기업데이터 베이스, 벤처정밀실태조사 2003년, 2005년, 2006년 자료, 벤처캐피탈 투자 여부 확인을 위한 벤처캐피탈 투자 데이터베이스를 취합하여 생존 분석을 위한 종합적인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산업의 특성, 창업자 및 기업의 특성, 산업별 기업특성, 벤처의 창업시기에 따른 벤처기업의 생존율을 분석하였다. 우선, 산업특성을 기반으로 한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중기술군의 5년 생존율이 74.1%로 가장 높은 생존율을 보였으며, 고기술군이 73.2%로 조금 낮았다. 최소 효율규모별로 가장 높은 5년 생존율을 보이는 규모는 매출액 5백억원에서 1천억원 미만이었으며, 생산집중도의 경우는 40미만과 70-90미만에 속하는 기업이 69.3%의 5년 생존율을 보이고 있어 가장 높았다. 또한, 시장진입율에 따른 5년 생존율은 5-10%미만의 경우가 74.8%로 가장 높았다. 창업자 및 기업특성에 따른 생존율 분석결과는 창업자가 남자인 경우 여자보다 낮은 생존율을 보이는 반면에 생존기간은 여자의 경우가 길었다. 그리고 연령별로는 50대, 전공은 이공계 및 자연과학을 전공한 경우, 학력은 박사학위를 가진 경우, 교수 및 공공연구소 출신인 경우에 생존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의 특성에 따른 생존율 분석결과를 보면, 연구소의 보유여부와 보유형태는 큰 차이가 없는 반면에, 기업부설연구소를 보유한 경우가 생존율이 높았으며, 기술력이 미흡이나 경쟁열세인 경우는 생존율이 낮았다. 그리고 해외진출 경험이 직접진출이나 단순수출을 병행하는 경우에 생존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별 기업의 특성에 따른 생존율 분석을 보면, 고기술 및 첨단기술 분야의 경우 대표이사의 전공이 이공계, 석·박사 출신, 그리고 특히 교수, 연구원출신인 경우 생존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첨단기술 분야의 경우 기업부설연구소가 있는 경우 생존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산업별 진입장벽 정도와 기업특성에 따른 생존율을 보면, 창업자의 기술경험이 많을수록 생존율이 높았으며 세계유일의 기술력보다는 세계최고 혹은 약간 미흡정도의 기술력을 보유한 기업의 생존율이 높았다. 창업시기별로 생존율의 변화를 보면, 1996년 이전에 설립한 기업의 생존율이 70.7%로 가장 높았으며, 1998년과 1999년에 설립한 기업은 52.9%로 가장 낮았다. 이는 벤처지정제도 도입으로 벤처기업의 창업이 증가함에 따른 생존율의 감소로 보여지며, 창업인프라 확충과 중소기업 창업투자 활성화를 표방한“중소·벤처기업육성방안”과“중소기업창업지원법”의 개정이 이루어진 1999년에 생존율이 상승세로 전환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벤처기업의 생존요인에 대한 분석은 창업자의 특성, 벤처기업의 내부역량, 외부환경의 변화를 변수로 놓고 수행되었다. 우선, 창업자의 특성을 살펴보면 창업자가 50대인 경우 벤처기업의 생존기간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다분히 관련 분야에서의 경험이 벤처기업의 생존기간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벤처기업의 내부역량과 생존을 살펴보면, 기업의 외형적 규모를 결정하는 매출액, 종업원수, 고정자산이 많을수록 생존가능성이 높았으며, 수익성을 나타내는 매출총이익, 당기순이익 등이 커질수록 생존기간이 길어지는 반면에 부채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부역량의 또 다른 변수로서 혁신성(연구개발집약도, 연구인력집중도, 종업원 1인당 혁신건수)은 벤처기업의 생존에 의미있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연구인력의 집중도는 벤처기업의 생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혁신에 대한 벤처기업의 투입이 오히려 비용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정부 및 국가연구기관의 협력, 민간 연구기관과의 협력은 생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자체역량보다는 외부역량의 활용 및 흡수능력이 강화될수록 생존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벤처기업의 생존과 외부환경을 살펴보면, 거시경제 요인인 실질이자율, 실업률이 높아질수록 생존기간이 길어졌으며, 진입장벽을 의미하는 최소효율규모가 높은 산업분야일수록 생존기간이 짧아졌다. 이러한 현상은 특히 자본집약적인 분야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그리고 시장집중도가 높은 산업분야일수록 벤처기업의 생존기간이 길어졌다. 마지막으로 재미있는 현상은 벤처캐피탈 투자가 오히려 벤처기업의 생존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그 동안 산재되어 있던 벤처캐피탈의 데이터베이스를 통합 구축하여, 벤처캐피탈의 생존율과 생존요인에 대해서 다각적인 차원에서 분석을 시도하였다. 분석결과, 벤처기업의 생존율은 산업부문에서는 기술수준, 진입장벽수준, 생산집중도, 시장진입율에, 창업자의 특성에서는 주로 연령, 학력, 출신에, 기업특성에서는 기업부설연구소의 보유여부, 기술력 수준, 해외진출경험, 그리고 정부의 정책 변화가 벤처기업의 생존율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벤처기업의 생존은 창업자의 연령과 재무현황, 타 연구 기관과의 협력 유무, 외부역량의 활용 및 흡수 능력, 시장진입장벽, 시장집중도, 실질이 자율, 실업률, 벤처캐피탈 투자 유무 등이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때, 기업의 혁신성은 벤처기업의 생존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벤처캐피탈의 투자는 오히려 벤처기업의 생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의외의 결과가 나타났다. 이상의 벤처기업에 대한 생존율과 관련 요인에 대한 분석은 제2기 벤처정책에서 정부의 역할 설정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정책제언 본 연구의 분석결과 첨단기술분야의 벤처의 생존율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이들 기업의 생존율을 제고하기 위해서 첨단기술분야의 초기 벤처기업에 대한 공공구매 제도의 확대, 글로벌화 촉진, 연구개발조직 설립의 지원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또한, 기술인력과 공공·민간 연구기관과 기술협력 활성화가 벤처기업의 생존율 및 생존기간을 개선시키는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벤처기업의 기술인력 수급 원활화, 공공연구기관과 기술협력 활성화 강화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마지막으로 벤처캐피탈 투자기업의 생존 가능성이 오히려 낮다는 분석결과는 벤처캐피탈의 전문성제고를 필요로 한다. 이를 위해서 벤처캐피탈리스트의 투자이력 관리강화, 경력개발 경로의 마련 등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 KCI등재후보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생존수영 관련 연구 동향

        박준태 한국운동재활복지협회 2023 운동재활·복지 Vol.4 No.2

        In this study, text mining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research trend of survival swimming. To this end, data were collected from domestic academic journals listed in KCI from January 2015 to April 2023 when the keyword ‘survival swimming’ was searched for. At this time, 106 collected thesis abstracts were used as analysis data, and word frequency, TF-IDF and 2-gram analysis, center line analysis, and CONCOR analysis were performed by applying text mining techniques.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frequency analysis, TF-IDF and 2-gram analysis, in the frequency analysis, words such as 'program', 'swimming', 'swimming pool', 'instructor', and 'operation' related to the actual operation of survival swimming ranked at the top. Words such as 'survival swimming', 'survival swimming education', 'class', 'influence', and 'education' appeared to have a higher TF-IDF value than the word frequency ranking. 2 In g-ram, word pairs related to survival swimming, word pairs related to research methods, word pairs related to subjects participating in survival swimming, and word pairs related to programs are ranked high. Second, as a result of the center line analysis, words such as 'leader', 'research', 'program', 'guidance', 'participation', and 'life swimming education' showed high connectivity on the connection center line. Third, as a result of the CONCOR analysis, three categories named survival swimming program, survival swimming in school, and bare face of survival swimming research were derived. Through this study using text mining, it will be possible to identify trends in survival swimming research and find new insights, suggesting directions and implications for revitalizing survival swimming in schools and establishing future survival swimming policies. 본 연구는 생존수영 연구동향을 알아보고자 텍스트 마이닝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생존수영’이라는 키워드를 검색된 2015년 1월부터 2023년 4월까지 KCI에 등재된 국내 학술지를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이때 수집된 논문초록 106건을 분석데이터로 하여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적용하여 단어빈도, TF-IDF 및 2-gram 분석, 중심선 분석, CONCOR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빈도분석과 TF-IDF 및 2-gram 분석결과, 빈도분석에서는 생존 수영 실제 운영과 관련된 ‘프로그램’, ‘수영’, ‘수영장’, ‘지도자’, ‘운영’과 같은 단어들로 상위권에 도출되었으며, 단어빈도 순위보다 TF-IDF 값이 높은 것으로 보이는 ‘생존수영’, ‘생존수영교육’, ‘수업’, ‘영향’, ‘교육’과 같은 단어들이 높게 나타났다. 2 g-ram에서는 생존수영과 관련된 단어쌍과 연구방법과 관련된 단어쌍, 생존수영 참여하는 대상에 대한 단어쌍, 프로그램과 관련된 단어쌍이 높은 순위를 차지하고 있다. 둘째, 중심선 분석 결과, 연결중심선에서 ‘지도자’, ‘연구’, ‘프로그램’, ‘지도’, ‘참여’, ‘생존수영교육’ 등의 단어가 높은 연결성을 보였다. 셋째, CONCOR 분석의 결과, 생존수영 프로그램, 학교 안 생존수영, 생존수영 연구의 민낯으로 명명된 3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본 연구를 통해 생존수영 연구에 대한 동향 파악 및 새로운 통찰을 찾아 학교 현장의 생존수영 활성화 및 미래의 생존수영 정책 수립 시 방향 및 시사점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풍선 추체 성형술 후 새로운 골절 발생에 대한 생존율 및 위험 인자 분석

        김정훈,김동혁 대한척추외과학회 2018 대한척추외과학회지 Vol.25 No.3

        Study Design: Retrospective study. Objectives: To evaluate the factors related to the incidence of a new fracture in an adjacent vertebra after kyphoplasty for single vertebral body fracture due to osteoporosis and to assess the impact of such factors on patients’ survival rate. Summary of Literature Review: It is controversial whether fracture of an adjacent vertebra after kyphoplasty is due to the natural course of osteoporosis or as a complication of kyphoplasty. Materials and Methods: From December 2006 to December 2016, among 490 cases of kyphoplasty for single vertebral body fracture due to osteoporosis, 153 cases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The survival rate was analyzed based on age, gender, body mass index (BMI), fracture level, leakage of cement, amount of cement, compression rate, recovery rate, bone density, osteoporotic medication rate and compliance, existence of a compression fracture, hypertension, diabetes, and smoking habit. The average follow-up duration was 15.1 months (range, 1 month to 8 years and 8 months) and the mean age was 74.4 years (range, 54-93 years). Results: A new fracture in an adjacent vertebral body occurred in 27 cases (17.3%). The 1-year survival rate was 82.6%, the 2-year survival rate was 72.5%, and the 6-year survival rate was 53.7%. The survival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patients younger than 75 years (p=0.0495). The survival rate was also significantly higher in patients with a preoperative vertebral bone density greater than −3.7 and hip bone density greater than −2.2 (p<0.0001, p=0.0114). The survival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patients with a BMI greater than 18.1 kg/m2 at the time of surgery (p=0.0014). Furthermore, the survival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patients with a postoperative recovery of vertebral height of 14% or less (p=0.0031). In addition, the survival rate was higher in patients without a compression fracture before surgery (p=0.0297). In multiple factor analysis, vertebral bone density (p=0.0049) and age (p=0.0408) were identified 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Conclusions: The survival rate was significantly lower at 1, 2, and 6 years in patients with an adjacent vertebral fracture. The most crucial factors affecting the survival rate were age and vertebral bone density. 연구 계획: 후향적 연구목적: 골다공증으로 인한 단일 추체 압박 골절에서 풍선 추체 성형술 후 인접 추체 골절 발생에 대한 생존율을 분석하고 그에 관여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선행 연구문헌의 요약: 풍선 추체 성형술 후 인접 추체에 새로운 골절 발생이 수술에 의한 것인지 골다공증의 자연 경과인지에 대해 논란이 많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12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본 교실에서 골다공증으로 인한 단일 추체 압박골절에 대해 풍선 추체 성형술을 시행 받은 총 490예중 추적 가능했던 153예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인접 추체에 새로운 골절 발생에 대한 생존분석을 시행하였다. 시술 시 나이, 성별, 체질량 지수, 골절 부위, 추간판 내로의 시멘트 유출, 시멘트 양, 시술 전 압박율, 시술 후 추체 높이 회복율, 술 전 골밀도, 술 후 골다공증 약물 복용 여부 및 순응도, 술 전 압박골절 유무, 고혈압, 당뇨 및 흡연 여부 등에 따른 생존 분석을 시행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15.1개월(1개월~8년 8개월), 시술 시 평균 나이는 74.4세(54~93세)였다. 결과: 총 153예 중 인접 추체에 새로운 골절이 발생한 경우는 27예(17.3%) 였으며 추체 압박골절 환자에서 풍선 추체 성형술 후 인접 추체에 새로운 골절발생이 없었던 1년 생존율은 82.6%, 2년 생존율은 72.5%, 6년 생존율은 53.7%였다. 수술 당시 나이 75세를 기준으로 75세 이하의 생존율이 유의하게높게 분석되었으며(p=0.0495) 술 전 척추 골밀도 -3.7을 기준으로 -3.7 초과, 술 전 고관절 골밀도 -2.2를 기준으로 -2.2 초과인 환자에서 생존율이 유의하게 높게 분석되었다(p<0.0001, p=0.0114). 또한, 수술 당시 체질량 지수 18.1을 기준으로 18.1 초과인 환자에서 생존율이 유의하게 높게 분석되었고(p=0.0014) 술 후 추체 높이 회복율 14%를 기준으로 14% 이하일 경우 생존율이 유의하게 높게 분석되었으며(p=0.0031). 술 전 압박 골절이 없는 경우에도 생존율이 유의하게 높게 분석되었다(p=0.297). 다중인자 분석에서는 수술 당시 나이(p=0.0408)와 술 전 척추 골밀도(p=0.0049)가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골다공증성 압박 골절로 풍선 추체 성형술 후 인접 분절 추체에 새로운 골절 발생에 대한 생존율은 1년, 2년, 6년째에 의미 있는 감소가 있었고 생존 분석 결과 가장 중요한 인자는 나이와 술 전 척추 골밀도로 볼 수 있다. 약칭 제목: 풍선 성형술 후 인접 추체 골절 생존율

      • KCI등재

        생존분석을 이용한 사회적협동조합의 생존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최희성(Hui-Seong Choi),민병익(Byoung-Ik Min) 한국지방정부학회 2022 지방정부연구 Vol.26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생존분석기법을 활용하여 사회적협동조합의 생존율과 생존기간을 살펴보고,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전국 510개 사회적협동조합의 경영공시자료(2016년~2020년)를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생존의 영향요인으로 조직특성요인, 재정요인, 정부정책요인, 사회적가치요인, 네트워크요인 등 5가지 요인을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생명표분석에서 5년간의 사회적협동조합의 생존율은 58%였으며, 1년차 폐업발생위험이 5.3%, 2년차 10.2%, 3년차 10.2%, 4년차 16.3%로서 연차가 증가할수록 폐업발생위험이 증가하였다. 둘째, 정부지원유형별 생존율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정부지원이 없거나 중단된 조합은 모두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위험률이 증가하였고, 정부지원이 중단된 조합의 경우 4년차 폐업발생위험률이 3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셋째, 조직유형별로는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나 위탁사업형의 생존기간이 4.7년으로 다소 짧았으며 4년차 폐업발생률이 37%로 가장 높았고, 모든 조직에서 연도별 폐업발생위험이 전반적 증가추세를 보였다. 넷째, 콕스회귀분석결과 정부지원금, 총회 및 이사회 개최빈도, 지역사회기여도 등이 주요 영향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정부지원이 중단된 조합은 지속된 조합보다 폐업발생위험이 10배 이상 높았으며, 총회개최는 한 단위 증가할수록 폐업발생위험률은 42%만큼 감소하였고, 이사회개최 횟수는 폐업발생위험률이 2.2%만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전반적으로 사회적협동조합의 생존은 조직과 재정요인보다 정부정책요인, 사회적가치요인, 네트워크 요인이 생존에 더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적협동조합의 생존율 제고 방안 및 정책적 시사점 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urvival rate and period of survival of social cooperatives using survival analysis techniques, an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survival. Management disclosure data(2016-2020) of 510 social cooperatives across the country was used for analysis, and five factors such as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financial factors, government policy factors, social value factors, and network factors were used as factors influencing survival.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follows. First, in the life table analysis, the survival rate of social cooperatives for 5 years was 58%, and the risk of business closure in the first year was 5.3%, the second year 10.2%, the third year 10.2%, the fourth year 16.3%. As the years increased, the risk of co-operative closure increased.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urvival rate by type of government support, and the risk increased over time in all cooperatives that had no government support or stopped receiving government support. In the case of cooperatives whose government support was stopped, the risk of business closure in the fourth year was the highest at 32%. Thir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organization type, but the survival period of the consignment project type was rather short at 4.7 years, and the 4th year business closure rate was the highest at 37%, and the risk of business closure by year showed an overall increasing trend in all organizations. Fourth, as a result of Cox regression analysis, government subsidies, the frequency of general meetings and board meetings, and contribution to the local community were derived as major influencing factors. The risk of business closure was 10 times higher for cooperatives whose government support was stopped than for cooperatives that continued to support the government, and the risk of business closure decreased by 42% as the number of general meetings increased by one unit. The number of board meetings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the risk of business closure by 2.2%. Overall, it was confirmed that government policy factors, social value factors, and network factors had a greater influence on the survival of social cooperatives than organizational and financial facto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measures to improve the survival rate of social cooperatives and policy implications were presented.

      • KCI등재

        창업이후 1인 창조기업의 생존율 변화 분석

        최승두(Seung Doo Choi),김영춘(Young-choon Kim),홍재범(Jae-Bum Hong) 한국자료분석학회 2021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3 No.2

        본 연구는 1인 창조기업의 창업 이후 생존율과 누적생존율을 분석한 것이다. 기술보증기금의 자료를 바탕으로 1인 창조기업의 창업 이후 생존율과 그 변화를 빈도분석과 생존분석(카플란-메이어)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1인 창조기업의 특성으로 창업자의 성별, 나이, 학력, 동종업종경험 그리고 사업특성으로 창업형태, 영위업종을 고려하였다. 창업주체를 기준으로 볼 때, 남성이 차지하는 비중은 높지만, 성별에 따른 생존율 차이는 거의 없다. 20대가 차지하는 비중은 작고, 20대의 생존율은 낮다. 20대의 생존율은 완만하게 하락하다 12개월을 기점으로 급격히 하락하였다. 학력은 대졸과 고졸이하가 대부분이며, 고졸이하의 생존율은 낮다. 고졸의 생존율은 완만히 하락하다 12개월을 기점으로 급락하여 20대의 생존율과 유사한 패턴을 보였다. 동종업종경험에 따른 생존율은 5년이하, 10년이하, 10년초과 사이에 큰 차이가 없다. 이들의 생존율은 일정하게 하락하는 경향이 있다. 창업형태는 개인사업자가 다수이지만 법인과 개인사업자 간 생존율 차이는 없다. 영위업종에서는 제조업이 서비스업이 비해 낮고 생존율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일정하게 하락하였다. 1인 창조기업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창업자의 역량이며 학력이 높을수록 해당업종의 경험이 많을수록 생존율이 높았다. 20대 창업이나 고졸창업, 5년미만 창업의 경우 생존율이 낮았다. This study analyzes the survival rate and cumulative survival rate of a one-man creative company after its founding. Based on the data from the Korea Technology Guarantee Fund, the survival rate and its changes after the founding of a one-man creative company a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and survival analysis (Kaplan-Meyer). As the characteristics of a single-person creative company, the founder s gender, age, education, experience in the same industry, and business characteristics are considered. Analysis on the types of business are also analyzed. Although the proportion of male is high, there is no difference in survival rates by gender. The proportion of those in their 20s is small, the survival rate in their 20s is low. The survival rate in the twenties declined gradually, and then declined sharply from 12th months. Most of them have a university degree or less than a high school graduate, and the survival rate for those with a high school graduate or less is low. The survival rate of high school graduates declined gradually, and then declined sharply from 12 months.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5 years or less, 10 years or less, and more than 10 years of experience in the same industry. Although there are many individual entrepreneurs, there is no difference in survival rate between corporations and individual entrepreneurs. In the business sector, the manufacturing industry is lower than that of the service industry, and the survival rate has declined consistently over time. The most important thing in a one-man creative enterprise is the competence of the founder, and the higher the education, and the more experienced in the industry, higher the survival rate. The survival rate is low in those in their twenties, high school graduates, and startups less than 5 years old.

      • KCI등재

        문화콘텐츠산업의 생존요인에 관한 분석

        김태훈(Taehun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2 No.2

        본 연구는 문화콘텐츠산업 소속기업들의 생존율이 어떠한 지를 파악하기 위해 생존분석을 이용하였다. 즉, 전체 기업의 생존율과 위험률을 추정하였고, 관심 있는 특성별로 생존기간 차이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분석들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연구기간에 설정된 문화콘텐츠산업의 중소기업들 평균 생존율은 74개월이고, 중위수 생존율은 72개월로 추정되었다. 둘째, 세부업종별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방송산업, 엔터테인먼트산업, 인쇄출판업의 생존기간이 광고 및 정보제공업과 기타 제조제품업의 생존기간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본사 소재지별로 차이가 있으며, 영남권의 생존기간이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종업원 규모별로 유의하였으나, 생존기간의 패턴이 U-형태로 생존기간이 감소하다가 증가하는 형태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재무등급과 동업종 종사업력 둘 다 커질수록 생존기간이 증가하였다. 이외의 특성들은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기여는 아직까지 적용되지 않았던 문화콘텐츠산업에 생존분석 방법을 적용한 것이고 이것을 기반으로 문화콘텐츠산업의 다양한 분야에 생존분석을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하였다는 점이다. This paper analyzes the survival rate of small & medium size-cultural contents industry, which includes printing, broadcasting, advertising, entertainment, other manufactures, and so on, by using survival analysis. In this article, after testing significance among characteristic factors and survival rate and hazard rate were estimat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There are some significants differences among industries in details. Also there are some significants differences by region, by the number of employees, by financial status, and working periods of CEOs.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to apply the method of survival analysis to the cultural contents industry in Korea.

      • KCI등재

        해외다국적기업 국내자회사의 생존율과 생존기간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연구

        성길용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2019 국제경영리뷰 Vol.23 No.1

        본 연구는 국내 시장에 진입한 해외 다국적기업 자회사의 생존 영향요인과 생존율에 관한 연구를 실증했다. 분석을 위한 자료는 2006년부터 2017년까지 NICE평가정보(주)의 Kis Value에 등록된 1,598개의 외국인 투자법인 자료를 활용했다. 콕스-비례 위험 모형을 통한 자회사의 생존기간 영향요인 분석에는 기업특성변수 5개와 재무특성변수 6개를 이용했다. 이후 추가적인 분석으로 자회사 생존에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작용한 기업 규모, 산업유형, 투자유형별 기업군을 활용해 카플란-마이어 분석했다. 분석 결과를 통해 자회사의 생존율 비교분석과 생존함수에 따른 생존 곡선을 제시했다. 전체 조사 대상기업 중 생존기업 수는 1,439개(90.05%), 사멸기업 수는 159개(9.95%)로 조사되었으며, 평균 생존기간은 253.9개월로 나타났다. 이중 생존기업의 평균 생존기간은 265.2개월, 사멸기업은 151.8개월로 조사되었다. 기업 생존의 영향요인 분석에서는 기업특성변수인 기업 규모, 종업원 수, 투자비율 요인이 정(+)의 영향요인으로 조사되었다. 재무특성변수의 매출, 영업이익, 매출이익 요인은 정(+)의 영향요인으로 조사되었으며, 부채대비자산 비율요인은 부(-)의 영향요인으로 조사되었다. 나머지 영향요인은 유의한 수준의 값을 갖지 못했다. 이후 추가 시행한 자회사 생존율 비교분석에서는 대기업과 제조기업 및 완전 자회사의 생존율이 중소기업과 비제조기업 및 합작기업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생존율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is to analyze firm survival ratio and the impact factors of survival duration of Foreign MNC`s Subsidiaries which in Korea between 2006 and 2017.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is used to analyze the impact factors of firms survival duration. The influence factors of firms survival duration are 11 variables which are the firm size, the manufacturing company, number of employees, total R&D cost, investment ratio, total investment, total sales, total debt/assets, net profit, operating profit, gross sales profit. The Kaplan-Meier method is used to analyze the survival ratio by dummy variables which are firm size, the manufacturing company, investment ratio. As a result of the number of surviving firms in the survey is 1,439 (90.05%) and the number of deaths firms is 159 (9.95%). The average overall survival duration is 253.9 months, the survival duration of survival firms is 265.2 months, and the survival duration of deaths firms duration is 151.8 months. The impact factors for survival duration of Foreign MNC`s, the firm size(FS), number of employees(NE), and investment ratio(IR) of characteristics of the firm have positive(+) effects. While the total sales(TS), operating profit(OP) and gross sales profit(GSP) of the financial characteristics have a positive(+) effect. But total debt to asset ratio(TBA) has a negative(-) effect. Other influencing factors do not have significant results. The survival rate of large businesses firm, manufacturing industries firm and the wholly owned subsidiary is higher than that of small businesses firm, non-manufacturing businesses firm, and joint ventures.

      • KCI등재

        상장폐지율과 상장폐지기업의 재무적 징후에 관한 연구

        최승빈 공주대학교 KNU 기업경영연구소 2019 기업경영리뷰 Vol.10 No.1

        Survival analysis for analyzing and summarizing survival data is an univariate analysis. This method describes the survival rate or hazard rate according to one risk factor under investigation, but ignores the impact of any other possible factors(covariates). Additionally Kaplan-Meier survival analysis is useful only when the predictor is categorical variable. So, an alternative method to survival anlysis is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The Cox regression model analyzes simultaneously the effect of several risk factors on survival time(duration period of listing) This study aims to find the delisting rate of KONEX-listed firms as a survival and hazard rate and the effects of financial indicators of firms on survival(hazard) rate, using survival analysis and Cox PHM. The resultss are that the average survival rate is 4-5 years, and the determinants of hazard ratio are firm size, ROA, Firm Age(before listing), asset turnover ratio. In this study, the firm age are computed by three measures; 1)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m’s founding date and the date when a firm was listed on KONEX for the first time(IPO date), 2) the difference between listing(IPO) date and delisting date. But the results show that some are statistically siginificant and the others are insignificant. Expected signs are also mixed on the contrary of our general expectations. 본 연구는 특별히 코넥스 시장 도입된 2013년을 연구시작시점으로 하고 가장 최근인 2018년의 기간까지를 연 구종료시점으로 하는 연구기간을 설정하고, 코넥스 상장기업들의 생존율인 상장유지기간을 생존분석기법을 적용 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존분석의 결과 전체 코넥스 기업의 평균 생존시간은 정상분포를 가정할 경우 4-5년 정도인 것으로 분석 되었고 타 시장에 비해 일천한 코넥스 시장의 역사로 인해 아직 생존율 50%에는 이르지 않았기 때문에 중위 생존 기간은 구할 수 없었다. 따라서 전체의 50%가 상장폐지되는 기간은 구할 수가 없었다. 둘째, 분석기간 전체의 생존함수 그래프를 살펴보면 기간중 생존율의 급격한 감소는 없이 완만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Cox의 비례위험모형을 적용한 결과 기업규모, 수익성 비율, 활동성 비율, 상장시기까지의 업력 등이 분석 에 포함되었다. 이중 업력과 총자산회전율은 예상했던 방향으로 위험률(상장폐지율)에 영향을 주었지만 나머지 공변량은 예상과는 다른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그 유의미 정도는 다른 것으로 나타 났다. 업력과 기업의 활동성을 측정하는 총자산회전율은 높은 기업일수록 위험률에 (-)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 타났지만 통계적 유의성은 낮았다. 이상의 코넥스 시장을 대상으로 하는 생존분석에서 일부 공변량은 상장폐지율(위험률)에 기대했던 방향과는 다른 결과를 보여 주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코넥스 기업을 대상으로 한 최초의 상장폐지율 분석이라는 점에 그 의미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