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애주기적 관점을 통한 여성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 교재 개발 방안 연구

        심혜령,조옥이 한국국어교육학회 2017 새국어교육 Vol.0 No.113

        The contents and topics within the Korean textbooks for female marriage based immigrants should be selected regarding the diverse roles these immigrants are to carry out and their area of activity, so that they can naturally get used to the relevant vocabulary. Also, various activities should be included to help them attain multilateral images as members of the society. Thus, the Korean textbooks for female marriage based immigrants should be restructured by thoroughly grasping their needs and reality, so that it can reflect their life cycle in the settlement process. This study faces up squarely to the changes in the aspects of Korean education for female marriage based immigrants and puts them in the category of ‘settlement-purpose learners’. Moreover, the necessity of appropriate language and culture textbooks and their format are presented in this study. 여성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 교재는 여성결혼이민자가 수행해야 할 역할의 다양성을 바탕으로 주제를 선정하고 관련 어휘 및 표현을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여성결혼이민자 대상 한국어 교재 분석과 여성결혼이민자 315명의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어 학습의 목적이 일상생활과 사회생활로 나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한국어 학습 중도 포기 원인 조사를 통해 그들이 기초생활 정착뿐 아니라 사회적 욕구를 가지고 구체적으로 구현하고자 노력하는 존재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현황 파악과 요구를 전제로 하여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 정착 과정에서의 생애주기가 반영된 교재를 구성하는 방법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전북 결혼이주여성의 농촌 일자리 궤적과 농촌 일자리 지원정책 방향

        조원지,정치형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2

        Jeonbuk Immigrant Women’s Rural Job Trajectoryand Support Policy DirectionsWonjee Cho & Chihyoung Jeong Abstract: To explore rural immigrant women’s entry into the workplace and job trajector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9 immigrant women living in Jeonbuk. It was to suggest support policies for meeting their needs of economy activities and for enhancing job competency of immigrant women There were two types of entering the workplace: some started to work in the beginning of Korean life for economic independence and the other got a job after job education and training. Their Korean language proficiency, child care, and cmulticultural acceptance were main causes of working or not. Three causes also influenced their choices and changes of job. It suggested four-step support projects (choice, entering, growth, main agents of coemonic activity) for a variety of their rural jobs. Jeonbuk’s rural immigrant women’s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jobs could not express all rural immigrant women’s need of getting a job; therefore, it is needed to considerately examine the meaning of Jeonbuk’s women’s narratives. Key Words: Immigrant Women, Rural Job, Life Course Perspectives, Job Trajectory, Rural Society 전북 결혼이주여성의 농촌 일자리 궤적과 농촌 일자리 지원정책 방향조 원 지*ㆍ정 치 형** 요약: 이 연구는 전북 농촌사회에 거주하고 있는 결혼이주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욕구 충족과 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정책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결혼이주여성 9명의 농촌 일자리 진입 경험과 궤적을 심층면접조사를 통해 살펴보았다. 전북 농촌 결혼이주여성의 노동시장 진입경로는 크게 두 가지로 경제적 필요로 한국생활 초기에 질 낮은 일자리에 참여하였으며, 일정기간동안 교육과 훈련 참여 후 노동시장에 진입하였다. 결혼이주여성은 한국어수행능력, 자녀양육, 직장과 사회의 다문화수용성 정도에 따라 경제활동을 유지하거나 중단하였다. 또한, 직종의 선택과 이동에도 영향을 미쳤다. 전북 농촌 결혼이주여성의 다양한 농촌 일자리 참여를 위해 선택, 진입, 성장, 주체 4개의 단계로 구분하여 관련 세부 지원사업을 수립・추진해야 한다. 이 연구의 대상인 전북 결혼이주여성의 경제활동 경험과 인식은 전체 농촌 결혼이주여성의 일자리 참여 욕구를 일반화하는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해석의 주의가 필요하다. 핵심어: 결혼이주여성, 농촌 일자리, 생애주기적 관점, 일자리 궤적, 농촌사회 □ 접수일: 2022년 3월 14일, 수정일: 2022년 4월 8일, 게재확정일: 2022년 4월 20일* 주저자, 전북연구원 산업경제연구부 부연구위원(First Author, Researcher, Jeonbuk Institute, Email: wonjee@gmail.com)** 교신저자, 전북대학교 농업경제학과 박사과정 수료(Corresponding Author, Completion of Doctoral Course, Jeonbuk National Univ., Email: wedeln2@korea.kr)

      • 1인 가구 사회서비스 현황과 정책과제

        김은정 사회복지정책실천회 2018 사회복지정책과 실천 Vol.4 No.2

        Although family unit has long been a representative unit at social service policy, the singleton will be the most popular unit before long. This study starts at the point that our society is not fully ready to cope with this dramatic change, and we need to hurry to prepare the effective ways to deal with increasing number of singletons. The study first tries to grasp current features of our singletons and then to evaluate current social service policies for them under the criterion of whether current polices are meeting the needs of today’s singletons in our society. Singletons in Korea are segmented into various types in terms of generations, gender, and economic status. Yet, social services for the singleton are still focused on the specific groups such as the old singleton, and providing only the limited content of support such as care services. According to the directions of changes in the characteristics of singletons, existing ways to deal with singletons are not effective. Social service policy entitlement should be universalized and singletons should be regarded as a product of life-cycle process. Everyone would be a potential singleton in the process of their own life-cycle. Also, singletons do not only suffer economic hardships and care deficiency, but also suffer from lack of relationships and emotional isolations. Therefore social service should be expanded into the relational area. Community based social services would be more effective, especially for the singletons, so that collaborative governance should be established among policy agents such as central gov., local gov. and non-public organizations rooted in community. 지금까지 사회서비스를 포함한 사회정책은 결혼한 2인 이상 가구를 표준화하는 방식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사회서비스 정책을 포함하여 조세정책이나 의료, 보건 정책 전반에 이르기까지 모두 표준적 생활공유 단위를 가족으로 상정해 두고 있지만, 그다지 오래지 않은 미래에 1인 가구의 비중이 전체가구 중 가장 높아질 전망이다. 본 연구는 현재 우리사회가 1인 가구를 위한중장기적 사회서비스 정책을 시급히 설계해야 한다는 문제의식 하에서, 현재우리 사회의 1인 가구가 어떤 모습인지를 파악하고 이들에게 주어지고 있는사회적 지원들이 현재의 1인 가구가 갖는 특성에 부합하는지를 분석해 보았다. 1인 가구의 특성은 세대별, 성별, 경제적 특성별로 분화되고 있는데 비해이들을 위한 사회적 지원서비스는 특정한 집단과 특정한 내용, 특정한 방식에만 한정되고 있는 경향을 보였다. 1인 가구의 변화추세와 방향을 고려할때 정책대상을 특정 인구집단으로 한정하여 접근하는 것은 뚜렷한 한계가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향후 1인 가구 사회서비스 정책에서는 생애주기적관점에서 정책대상을 보편적으로 규정하여 각 생애단계에 적합한 사회서비스를 지원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1인 가구의 주된 어려움은 경제적인 측면을 넘어서서 정서적, 관계적 결핍으로 확장되고 있었다. 이에 사회서비스정책의 내용도 포괄적으로 확장할 필요가 있다. 1인 가구 사회서비스 정책의 대상과 내용이 이러한 방식으로 변화되기 위해서는 개인단위 정책지원방식을 넘어서서 지역공동체를 정책단위로 확장하고 정책 실행 주체들간의협력적 거버넌스 구축이 이루어져야 한다.

      • KCI등재

        고등학교 졸업이상 성인장애인의 취업현황 및 취업영향 요인연구

        박혜전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3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5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employment situation and contributing factors that influence employment of special education students after their high school education. Especially, the critical factors of careers and employment as the matter of life-cycle that aims effective transition to adulthood are explored in various ways such as sociology of population, disabilities and health, human capital, and employment.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the view of sociology of population, the identified factors include gender and marital status. The affected variables in relation to disabilities and health involve the degree of disabilities, presence of chronic diseases, and the level of disturbance in working. Moreover, in the perspective of human capital, interpersonal relationship skills, adaptability, and obtaining certification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Lastly, from the aspect of employment, previous working experience was a crucial influence.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the ways to make successful and smooth transition process for special education students from education to employment need to develop. In addition, educational curriculum and content from the view of career development and establishment of a link to vocational rehabilitation, which facilitates the transition process, can be discussed and examined. 본 연구는 고등학교 졸업 이후의 장애인의 취업현황 및 고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특히 교육이후의 성인기로의 전환을 목표로 하는 생애주기적(life-cycle) 과제로서의 진로 및 취업의 영향정도를 인구사회학적 요인, 장애 및 건강관련 요인, 인적자본 요인, 고용관련 요인에 따라 어떻게 나타나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구사회학적 요인으로는 성별, 배우자 유무가 영향요인으로 나타났고, 장애 및 건강관련 요인으로는 장애정도, 만성질환 유무, 건강의 일 지장 정도가 영향변수로 나타났다. 인적자본 요인으로는 대인관계 및 조직적응 능력, 자격증 유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이며 마지막 고용관련 요인에서는 고용서비스 경험 유무가 영향변수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장애학생의 교육에서 고용으로의 전환을 위한 방안이 모색될 필요가 있다. 더욱이 진로교육적 관점에서의 교육과정과 교육내용, 교육 이후의 직업세계로의 전환을 촉진하는 전문 직업재활과의 연계 방안에 대한 검토를 제안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