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元曉의 彌勒淨土 上生의 信行觀 고찰 - 『彌勒上生經宗要』를 중심으로-

        박성춘(여연) 한국정토학회 2014 정토학연구 Vol.21 No.-

        『상생경』은 미륵육부경 중에 현존하는 유일한 상생신앙의 경전으로, 沮渠京聲이 운강석굴 축조시기인 460년경에 한역하 였다. 경전에서는 미륵이 염부제에 하생하기 전까지 도솔천에서 머무르게 되는 과정과 그곳에서 천인들에게 설법하는 모습 등 천상에서의 역할을 설명하고 있다. 위와 같은 내용으로 미륵보살의 도솔천 수행을 상세히 묘사하고 있는 『상생경』에서는 미륵신앙 수행자가 도솔천에 상생하기 위해 미륵신앙을 기반으로 ‘聞名의 功德’을 강조하는 동시에 그 수행방법으로 ‘觀行 ’을 제시하고 있다. 원효는 이를 그의 『미륵상생경종요』에서 『상생경』이 『하생경』을 전제하고 설해진 것처럼, 3부경 전체의 이해 위에 논 의를 전개하였다. 그는 미륵의 이름을 듣기만 해도 도솔천에 왕생할 수 있다는 『상생경』에 의거하여, 二觀三行四果의 관행 인과를 무상도의 불퇴전 지위에서 노니는 보살도로 설명하였다. 그 과정에서 특히 원효는 제2행의 聞名으로부터 미륵의 중 생구제 원력의 덕을 강조하였다. 제2행의 문명이 “자씨 이름을 듣는다. 이 이름이 나타낸 덕을 신앙한다.”라고 하듯이, 원효 의 미륵상생신앙은 미륵의 이름이 나타내는 덕을 신앙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하여 도솔천상생을 위한 3行과 依·正報 등의 2觀 의 결과로 무상도의 불퇴전지위에 오르게 됨을 설명하였다. 또한 원효는 『미륵상생경종요』에서 무상도의 불퇴전지위에 오르는 수행자를 삼품으로 나누어 설명하였다. 상품인은 미륵 을 바로 친견할 수 있지만, 중품, 하품인은 도솔왕생을 위하여 참회, 십선, 관행삼매 등의 수행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 과정에 서 依報의 장엄과 正報의 수승함에 머무르지 말 것과 그렇다고 이것이 虛妄하지도 않다는 것을 깨우쳐주기 위해 元曉는 다시 ‘報應會通’의 論理에 입각하여 미륵상생신앙의 수행도가 難行道가 아닌 곧 易行道임을 설명하였다. 원효가 이와 같이 보응회통의 논리로 미륵관법의 이행도를 중생들에게 설명하는 것은 교리의 난해함과 실천수행 등의 어려 움으로 인하여 불교가 중생들에게 쉽게 정착할 수 없음을 직시하면서부터 비롯되었다고 본다. 이로부터 원효는 중생들에게 현재 살고 있는 그곳에서의 중생구원을 말하고 있는 미륵상생신앙을 가장 이상적인 가르침으로 보고, 그는 일반 중생들의 손 에 닿을 수 없는 타방정토의 圓滿無缺한 이상세계가 아닌 현토에서 실현될 수 있는 미륵정토의 신행으로 정착하게 하였다. The Maitreya urdhva-janma sutra is the only sutra about the ascension of Buddhists to Tusita Heaven of Maitreya Bodhisattva’s Pure Land among six scriptures dealing with Maitreya Bodhisattva. Jǔ qú jīng shēng(沮渠京聲) translated the sutra into Chinese around 460 CE while Yungang Stone Caves were being constructed. The scripture describes how Shakyamuni Buddha recognized a common sentient being as Maitreya Bodhisattva in front of his disciples and other beings and the bodhisattva ascended to the Tusita Heaven. It also explains how Maitreya Bodhisattva practiced for himself and what he taught to heavenly beings while at the heaven before he descends to this mundane Jambudvipa Continent in the future. It emphasizes the benefits for practitioners to obtain through listening to the name of Maitreya Bodhisattva and also the practice for them to visualize the bodhisattva’s image. Wonhyo developed his argument in his The Commentary of the Maitreya urdhva-janma sutra based on his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three scriptures on Maitreya Bodhisattva. Based on the The Maitreya urdhva-janma sutra in which practitioners are able to ascend to the Tusita Heaven of Maitreya Bodhisattva’s Pure Land even if they just listen to the bodhisattva’s name, he expounded two visualizations, three practices, and four effects as practices that the bodhisattva who obtained the highest stage of practice (the non-backsliding stage of practice) should adopt. He referred to the second stage of practice obtained by listening to the name of Maitreya Bodhisattva and emphasized the benefits that Maitreya Bodhisattva obtains to save sentient beings. Just as the scripture explains the second stage from a sentence, “Practitioners listen to the name of Maitreya Bodhisattva and entrust themselves to the virtues manifested through the practice of listening,” Wonhyo argued that practitioners are able to ascend to the highest stage of practice (non-backsliding stage) through three practices and two visualizations of subject and object. Wonhyo categorized the practitioners who arrived in the highest stage into three sub-stages, the higher stage, the intermediate stage, and the lower stage. While the practitioners of the higher stage of the highest stage are able to immediately see Maitreya Bodhisattva, those of the lower two stages of the highest stage are required to practice confession, ten wholesome actions, and visualization concentration. He guided Buddhists to remove difficult doctrines and practices in various scriptures and adopt the easy way of doctrine and practice in the Scripture on Maitreya Bodhisattva’s Ascension to Tusita Heaven.

      • 상생의 노사관계 모델 연구

        최영기 경기연구원 2009 정책연구 Vol.2009 No.12

        2009년 쌍용자동차의 장기 농성 파업사태는 한국 노사관계의 여러 한계와 문제점을 잘 압축해 보여 주었다. 그 동안 개별 기업 차원의 노사협력 모범 사례들이 많이 축적돼 왔고 정부 차원의 노사협력 지원 사업이 꾸준히 진행돼 왔지만 쌍용차의 구조조정 갈등을 해결하는 데에는 별다른 도움이 되지 못했다. 쌍용차의 경영실패와 구조조정을 둘러싼 극단적인 군사적 대치와 노사 간의 전면전(open war)은 그 내용면에서 쌍용차 노사만의 실패와 대치가 아니었다. 민주노총과 금속노조 그리고 전투적 노동운동을 지원하는 시민사회 단체가 한 편이 되고 정부와 채권단 그리고 경제단체가 또 한 그룹을 형성하여 쌍용차 사태에 직ㆍ간접적으로 영향력을 행사했던 점을 감안한다면 쌍용차 노사갈등은 한국노사관계 전체의 갈등구조를 축약했던 것이고 그 과정에서 드러난 문제점은 고스란히 국가차원의 노사관계 문제를 압축적으로 보여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쌍용차 사태는 ’87년 이후 한국 노사관계를 특징지어왔던 노사관계의 「’87년 체제」가 더 이상 지속하기 어려운 한계에 도달했다는 실증사례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98년 현대자동차 구조조정 사태 이후 반복되는 사업장 차원의 군사적 대치와 갈등을 노사관계의 틀 안에서 수렴ㆍ조정한다는 것이 한 기업에서의 노사관계 관리문제가 아니라 국가 수준의 노사관계 시스템 문제라는 인식이 필요하다. 국가차원의 노사관계를 노사상생의 새 패러다임이 지배하는 포스트 ’87년 체제로 전환하지 않고는 개별 기업수준의 노사관계 전환도 어려울 것이다. 기업 수준에서 상생의 노사관계를 가능하게 하는 핵심 원리는 결국 경영자가 근로자들의 고용안정과 공정한 보상을 책임져 주고 노동조합은 생산성 향상과 생산의 안정을 담보해 주는 관계에 대하여 노사가 신뢰하고 그러한 관계가 안정적으로 지속될 수 있도록 제도적으로 뒷받침하는 것이다. 이러한 노사관계 이해관계의 교환과 타협이라는 핵심원리를 기업 차원의 생산성 연합(productivity coalition)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노사 간의 경제적 이해관계에서 win-win의 안정적인 거래관계가 형성되어야 相生의 노사관계는 지속가능하다. 일시적인 위기극복을 위하여, 아니면 잃어버린 신뢰를 회복하기 위하여 매우 파격적인 불평등 거래가 있을 수 있지만 이것은 어디까지나 일시적인 것으로 지속될 수 없다. 안정적인 경제적 교환은 공정해야 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노사가 추구하는 근원적 가치를 충족시켜 줄 수 있어야 안정적인 관계가 가능하다. 그렇다고 노사상생이란 것이 勞使不二나 勞使간의 이해관계갈등 자체가 소멸되는 상태를 상정하는 것은 아니다. 각자의 이해관계에 충실하더라도 상호 협력하고 서로에 이익이 되는 win-win의 타협질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균형상태라고 할 수 있다. 노사 간 경제적 이해관계만의 불안정하고 연약한 타협의 고리(생산성 현합)를 보다 안정화시키고 다층화시키는 제도적 보완장치들이 마련되어야 상생의 노사관계는 하나의 시스템으로 완성되고 신뢰의 연합(trust coalition)으로 발전해 갈 수 있다. 생산성 연합을 보완하는 노사관계 인프라로서 우선 강조되는 것이 노사 지도자의 리더십, 특히 최고경영자의 전략적 선택과 리더십이다. 최고 경영자의 리더십은 열린경영을 가능하게 하고 노사 간의 다층적이고 다각적인 커뮤니케이션 채널을 활용하여 신뢰와 협력을 정착시켜 나갈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이러한 신뢰가 쌓이면서 기업은 단순히 이윤과 임금을 나눠 갖는 이해관계의 집합이라는 인식을 넘어 하나의 생활공동체이자 가치의 공동체로 발전해 갈 수 있게 된다. 갈수록 그 중요성이 더해가는 구성요소가 교육ㆍ훈련 제도이다. 기술변화가 빨라지고 지식기반경제가 도래하면서 기업의 지식축적은 경쟁력을 좌우하는 핵심변수로 부각되었을 뿐 아니라 근로자의 입장에서도 지속적인 숙련향상은 자신의 고용가능성(employability)을 높일 뿐 아니라 보상에도 직결되는 중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는 점에서 노사의 이해가 일치하는 구성요소이다. 한 걸음 더 나아가 기업 차원에서 형성된 노사 상생의 협력관계를 더욱 안정시킬 수 있는 외부 노사관계 인프라로서의 거시노사관계 시스템을 환경요인으로 추가할 수 있다. 기업수준 상생의 노사관계 시스템을 환경요인으로 추가할 수 있다. 기업수준 상생의 노사관계 환경조건으로서의 거시 노사관계가 네덜란드나 아일랜드와 같은 사회적 타협 구조를 상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경우는 오히려 그 타협구조 자체가 그 나라에서 통용되는 상생의 노사관계 구조라고 해야 한다. 그리고 아일랜드에서 관찰되는 바와 같이 국가 수준의 이러한 상생협력(social partnership) 구조를 기업 수준에까지 전파시키기 위한 지원조치들이 동원되는 것이 보통의 예이지만 한국의 경우에는 기업 수준의 노사상생 관계가 중심축을 형성하고 국가 수준의 노사관계 지원 인프라가 보조축을 이룬다고 할 수 있다. 국가수준의 사회적 파트너십이 정착되기 위해서는 한국형의 유연안전성이 전제되고 있다. ’97년 이후의 노동시장 유연화 양극화 추세를 감안한 한국형의 유연안전성 모델이 자리 잡아야 기업 수준의 노사관계도 안정적인 상생협력 관계가 정착될 수 있다. 이는 구조조정을 둘러싼 극단적인 노사갈등이 결국은 적절한 사회안전망의 결여와 노동시장의 양극화에 기인한다는 인식 때문이다. 다만 흔히 제기되듯이 덴마크나 네덜란드와 같은 유연안전성이 아니라 한국 노동시장의 특성과 복지제도에 적합한 모델이어야 한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한국형의 유연안전성에 기초한 노사정의 파트너십은 기업 수준의 노사관계를 相生協力으로 전환시키는 데에 매우 긴요한 환경요인이다. 그리고 이러한 국가 수준의 상생구조 하에서 기업수준의 상생협력 모델이 정착될 수 있고, 기업과 국가 수준의 양 축이 상호작용을 하면서 상생의 노사관계 시스템이 단결된다고 하겠다.

      • KCI등재

        ‘상생화용’의 재개념화를 통한 화법 교육의 지평 확장

        양수연(Yang, Soo-yeon) 국어교육학회 2019 국어교육연구 Vol.- No.70

        이 연구는 기존 ‘상생화용’의 재개념화로서 ‘상생 지향 화법’의 개념을 제안하고 상생지향 화법을 위한 전제와 양상, 그리고 이에 관한 교육적 함의와 방향에 대해 세밀하게 탐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고에서 제안하는 상생 지향 화법은 발화 상황의 상생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발화 혹은 소통 주체 간의 잠재적 이해관계에 의한 대립을 해소하고 ‘관계의 상생’을 지향하는 화법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생적 관계를 지향하지 않는 언어는 상생 지향 화법으로 볼 수 없으며 여러 가지 표현 방법 중 화자의 상생 지향적 의도에 따른 언어를 상생 지향화법이라고 보기로 하는 것이다. 여기에서는 다양한 화법 자료를 바탕으로 상생 지향 화법의 양상을 대인적 관계, 사회적 관계, 공동체적 관계의 세 가지 층위에 따라 나누어 살펴보았다. 먼저 대인적 관계층위에서의 상생 지향 화법의 양상은 소통의 주체가 1:1인 상황에서 드러난다. 화자와 청자의 관계가 견고한 상생적 관계 위에 놓여 있다면(혹은 이러한 관계를 지향한다면) 청자에게 부담이 되는 말이더라도 상생 지향 화법이 될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두 번째로 사회적 관계 층위에서 드러나는 상생 지향 화법은 소통 주체를 둘러싼 다양한 이해관계들의 상생적 관계를 지향하는 특징을 지닌다. 이는 발화 상황 당사자의 관계를 넘어서 발화상황에 참여한 사회 집단 구성원의 상생을 지향하는 화법이다. 마지막으로 공동체적 관계층위에서의 상생 지향 화법은 소통의 주체가 발화 상황에 놓인 소통 당사자가 아니라 역사 혹은 공동체 의식과 관련이 있을 때 드러나는 것이다. 이러한 층위에서의 화자는 스스로 개인이 속한 공동체와 분리될 수 없는 유기체적인 존재임을 인식하면서 공동체 구성원의 입장과 의식을 대변하게 된다. 이러한 상생 지향 화법 교육은 첫째, 대화를 바탕으로 낯선 타자와의 만남을 통해 자신의 경험의 지평을 넓히는 동시에 타자에 대한 진정한 이해에 이르는 교육, 둘째, 상극을 개선(극복)하는 교육, 셋째, 규범 중심의 국어교육과 기능 중심의 화법 교육에서 벗어나 인성 교육과 더불어 언어의 윤리적 측면에 관한 교육이라는 점에서 그 교육적 함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research paper reconceptualizes the existing Sang-Saeng language to propose the concept of sang- saeng- oriented speech communication and to explore in detail the premises and prospects of this form of speech, as w ell as its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direction. The sang-saeng-oriented speech communication proposed herein is not limited to use of the language in dialogue; rather, it is a speech method for resolving dialogues or disagreements caused by potential conflicts of interest between the subjects of communication and is oriented toward a relationship’s sang- saeng. Language not oriented toward sang- saeng relationships would not be considered sang- saeng- oriented speech communication, and among various expressions, the language indicating the speakers’ sang-saeng-oriented intentions are considered sang- saeng-oriented speech communication. Based on existing materials on various kinds of speech, this paper divides sang-saeng- oriented speech communication into three levels-interpersonal relationships, social relationships, and communal relationship sand examines each. The significance of such sang-saeng-oriented speech communication education and its educational implications are as follow s. First, awareness of the nuances of sang-saeng-oriented speech communication can prepare people for encounters and m ore meaningful dialogues with strangers, which has important advantages, especially in the business world. Second, it teaches people how to overcome opposition. Third, going beyond normative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skill- oriented speech communication education, it advances people skills and the ethical aspects of language.

      • KCI등재

        상생관의 비교와 확장 연구 - 강증산과 노장의 상생관을 중심으로

        김덕삼(Kim, Dug-sam)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1 한국학연구 Vol.78 No.-

        본 논문에서는 증산사상과 노장사상에 나타난 상생의 의미, 동이(同異), 한계와 가능성, 상생관의 확장 등을 탐구했다. ‘2장 상생관의 이해’에서는 증산, 노자, 장자의 상생관을 알아보았다. 강증산의 상생관은 해원상생, 보은상생 등의 가르침을 통해 상생의 이해와 실천을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이를 실천할 때 “인세에 낙원을 이룩할 수 있다”는 상생에 대한 보답을 제시한다. 노자의 상생관은 『노자』 2장을 중심으로, 도(道)의 관점에서 상생을 생각했다. 장자의 상생관은 입장론(立場論)과 더불어 생(生)과 사(死)처럼 기(氣)의 이합집산(離合集散)으로 생각했다. ‘3장 공통점과 차이점’에서는 증산사상과 노장사상에서 상생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상호 관계적 측면’과 ‘방향성의 측면’에서 검토했다. 상생은 상호 관계에서 일어난다. 노자와 장자는 자신들의 상생관을 통해 분별을 없애고, 도의 경지에서 문제를 타파했다. 그런데 천하 사람은 도를 들어서 알기는 하지만 실천하기 어렵다. 반면 증산사상에서는 원한이 쌓이지 않기 위한 다양한 실천 덕목을 제시하며 상생을 실현하려 하였다. 상생에서 나와 너 모두가 주체지만, 증산사상에서 요구하는 내용을 보면, 먼저 나 스스로에게 원한을 풀도록 요청한다. ‘방향성의 측면’에서 보면, 노장은 굳이 내가 애쓰지 않아도 세상은 도에 따라 움직이기에, 결국 상생할 것이라 기대한다. 그 의미가 너무 크다. 반면 증산사상은 다양한 가르침을 통해 상생의 실천을 인도한다. 상생은 현실에서 실현하기 어려운 면이 있다. 그러나 비전 제시를 통해 꿈과 희망, 나아가 살아갈 가치가 있다는 자긍심을 심어주는 일까지 접을 수 없다. 그래서 어렵더라도 상생의 방향은 도를 이루고, 이상적 세상을 구현(具現)하는 데 모아진다. 4장에서는 상생관의 ‘한계점과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노자와 장자의 상생은 도의 세계에서 실현되는 상생이기에, 공감은 되지만 너무 먼 이야기로 인식된다. 증산사상의 상생은 신앙을 바탕으로 교리의 실천 속에서 빛을 제대로 발휘한다. 이에 상생의 한계를 극복할 방법으로 이론적 확충, 친절한 인도, 성공사례의 제시를 언급했다. 상생관은 보다 많은 이론적 연구를 통해 외연을 확장하고, 일반 대중의 눈높이에 맞춰 상생을 실천하는 친절한 안내가 요청되며, 성공사례의 제시를 통해 가능성을 확인시켜 주어야 한다. 상생을 널리 사용하게 된 데에는 강증산을 따르는 종교의 역할이 있다. 향후 사회적 요구와 종교적 이론의 공고화를 위해서도, 상생관에 대한 체계적 연구와 외연을 확장하는 시도가 필요하다. 그 속에서 노자와 장자의 상생관은 미흡하나마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In this paper, I explore the meaning, difference, limitations and possibilities of Sangsaeng in Kang Jeongsan and Lao-zhuang, and explore the expansion of Sangsaeng view. ‘Chapter 2 Understanding Sangsaeng View’, recognized the Sangsaeng view of Kang Jeungsan, Laozi, and Zhuangzi. Kang Jeongsan"s Sangsaeng view presents Sangsaeng"s understanding and practice through the teachings of Haewon-sangsaeng and Boeun-sangsaeng. In doing so, Sangsaeng"s reward is "to achieve paradise in the human world." Laozi"s Sangsaeng view focused on 『Laozi』 and thought of Sangsaeng from Dao(道)"s point of view. Zhuangzi"s Sangsaeng view thought that along with the theory of stance(立場論), Qi gathered and scattered like life and death. ‘Chapter 3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In Jeongsan and Lao-zhuang, Sangsaeng"s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were considered in "interrelational aspects" and "direction aspects". The sangsaeng, not alone in mutual relationship. Laozi and Zhuangzi eliminated their sense based on their Sangsaeng view and broke down the problem in Dao"s position. But people in the world know Dao by listening to it, but it"s hard to do it. On the other hand, Jeongsan"s ideas tried to realize Sangsaeng by presenting various virtues of practice in order not to build hatred against each other. I and you are both main players in Sangsaeng. In Jeongsan"s thought, I first ask myself to release my bad heart. ‘In terms of direction’, Lao-Zhuang expects the world to move according to Dao without having to struggle, and eventually Sangsaeng. The meaning is too great. On the other hand, Jeongsan"s ideas presents Sangsaeng"s practice through various teachings. Sangsaeng has a difficult part of reality to realize. However, cannot give up our dreams and hopes by suggesting directions, and even our self-esteem that it is worth living. So even if it"s impossible, Sangsaeng is focused on achieving Dao and creating an ideal world. In Chapter 4, looked at the ‘Limits and Possibilities’ of Sangsaeng view. Be realized in the world of dao in the world of zhuangzi and laozi sangsaeng. It is understandable but considered to be a story too far from reality. Sangsaeng in Jeongsan"s ideas is based on faith and practiced in the practice of religious doctrine. Sangsaeng view is the general public"s expectation, and more a theoretical target to expand the study to the friendly guide to practice sangsaeng is requested. The success of the feasibility through the presentation should be confirmed. Sangsaeng"s expansion is due to Kang Jeongsan"s religion. In the future, systematic research on Sangsaeng views and attempts to expand targets are also needed for the systematization of social needs and religious theories.

      • KCI등재

        일반 논문 : 대중소기업상생협력 연구-LG전자 사례

        유병홍 ( Byung Hong Yoo ),김동원 ( Dong One Kim ) 한국중소기업학회 2012 中小企業硏究 Vol.34 No.1

        최근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대중소기업 상생을 강조함에 따라 상생협력에 대한 관심이 높다. 상생협력을 내실 있게 추진하기 위해서는 그동안 진행되어온 상생협력 선행사례를 살펴보고 사업 추진 과정, 성과와 한계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이 같은 문제의식에 따라 비교적 오랜 기간 상생협력사업을 추진해온 LG전자 사례를 살펴보았다. LG전자의 상생협력 사업은 다음과 같은 주요한 특징을 갖고 있다. 첫째, LG전자의 상생협력은 정도경영이라는 경영이념적 배경과 경쟁력확보를 위한 동반성장이라는 경제적 필요성을 갖고 자율적으로 추진된 사업이다. 둘째, LG전자의 상생협력 사업은 협력회사의 역량개발을 통한 경쟁력 확보에 초점을 두고 있다. 셋째, LG전자의 상생협력 프로그램은 협력회사의 참여를 이끌어 내기 위한 다양한 수단과 과정을 활용하고 있다. 이러한 상생협력사업에 대한 평가는 각종 조사에서 상생협력사업의 수혜자인 협력회사들의 긍정적 의견이 나타나고 있고, 외부에서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고, 부정적 사안 발생이 감소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평가할 만하다. LG전자 사례를 통해 다음과 같은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 LG전자 사례는 중소기업에게 실제 도움이 될 수 있는 맞춤형 상생협력 방안을 찾고 이에 집중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 중소기업이 상생협력사업에 참여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셋째, 상생협력사업에 노조 또는 노동자대표가 참여할 수 있는 방안 모색과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Recently, as the government has emphasized the social responsibility of large corporations and win-win of cooperation between large and SM (small/mid-sized) corporations, the interest in win-win cooperation is rising. The fact-revealing and precedent studies on win-win cooperation imply the following : First, a win-win cooperation project requires a large corporation, which is the subject of the project promotion, to recognize the necessity of the project and promote autonomously according to its own management ideology. Second, it is important to secure self-support ability through development of capacity of SM corporations. Third, the participation of SM corporations is necessary. Fourth, the increase of the role of the union is necessary. In order to promote win-win cooperation, it is necessary to examine precedent cases of win-win cooperation conducted so far, and review the project promotion process,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However, win-win cooperation projects are led by large corporations and the SM corporations are receiving, so it can be useful to first examine the awareness of the large corporations on necessity of win-win cooperation project and examination of the project execution program. In this study, the case of LG Electronics, which has promoted the win-win cooperation project for a relatively long time, is reviewed from this critical mind. LG Electronics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companies in electronics industry of Korea which has continued steady development in digital industry area since its foundation in 1958. First, being a large corporation in electronic industry, it has many SM corporations as partners, so it has a relatively greater need to develop win-win cooperation projects. Second, LG Electronics has long been interested in win-win cooperation projects with the management ideology of Jeong-Do Management. Third, LG Electronics has received an external evaluation regarding win-win cooperation so that project verification can be possible. LG Electronics has established the ``sustainable management principle`` to systematically practice social responsibility, which includes mutual development with a partner with high relativity with win-win cooperation, and a collection of the opinions of related personnel. The major win-win cooperation projects of LG Electronics are as follows : First, LG Electronics operates the program for diverse communications with the partner, utilizing it as the path to strengthen mutual trust, to motivate the partners, and to listen to their difficulties. Second, LG Electronics has announced the conclusion of the first ``subcontract fair trade agreement`` in the country in October 2007, and renewed it in November 2008 and is known as the leader in this area. Third, LG Electronics has the objective of fulfilling the duty of a responsible business partner and operates the human resource support program as one of the partner support systems. Fourth, LG Electronics is operating the partner education support program. Fifth, LG Electronics is directly providing funds to the outstanding partners or the partners deemed to have potential by appropriating a budget of 9 million dollars every year, and they are paying 100% cash for subcontract partners. Sixth, LG Electronics is exercising management that utilizes internal/external consultants for innovations of quality, productivity, cost-reduction, and process of the partners, and supports 6Sigma consulting. The win-win cooperation project of LG Electronics has the following major characteristics : First, the win-win cooperation of LG Electronics is a project autonomously promoted with the economic necessity of joint growth to secure a competitive edge, and the management-ideological background of Jeong-Do Management. The fact that the win-win cooperation of LG Electronics was autonomously executed according to its own management principle and economic necessity implies the necessity that future win-win cooperation projects should be conducted according to the independent needs of the corporations. Second, the win-win cooperation projects of LG Electronics focuses on securing a competitive edge through developing the capacity of the partners. This is the extension of the economic necessity that joint growth with partners is necessary to be competitive in win-win cooperation projects. Third, the win-win cooperation program of LG Electronics utilizes various means and processes to draw the participation of the partners. The win-win cooperation is not a unilateral project execution of LG Electronics, but the opinions of others are incorporated through various communication processes with the partners. Such characteristics show that the major implications from the precedent studies and fact-findings on the win-win cooperation projects, that is, the necessity of autonomous promotion, necessity to secure competitiveness through development of capacity of SM corporations, and the necessity of participation of SM corporations are well present. The win-win cooperation of LG Electronics requires improvements in the following : First, it is necessary to find the role of the labor union and enhance it. Among the implications in the fact-finding and precedent studies, the necessity to enhance the role of labor unions is not well handled. In case of LG Electronics, the relationship of union and management is fair and the union actively participates in the management and assumes an important role, so it is possible for the union to take part in the win-win cooperation as well, yet in reality it does not have a clear role, which can be said to be the limitation of LG Electronics win-win cooperation project. Second, it is necessary to further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the partners. Currently, the win-win cooperation program conducted by LG Electronics has the characteristics that most are partner support programs. This is meaningful, yet in the mid and long-run, there is the concern that it may not reach the level of securing competitiveness through the self-supportive ability of the partners to propagate. To overcome this, it is necessary to develop in conjunction with the partners the programs to enhance the quality by raising the ability of the partner to propagate. Various forms of partner participation methods can be useful in this process. Third, the unified integral win-win cooperation organization system is inadequate. LG Electronics win-win cooperation project has an inadequate company-wide organization system that integrates and controls the related tasks, so that redundancies are occurring due to different win-win strategies and support from different headquarters, and status monitoring is weak.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unified company-wide strategy in charge of the win-win cooperation and strengthen the integrated win-win cooperation organization in the purchase department. Also, the projects conducted in each department should be developed as strengths by training experts in each department, and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 system that integrates and manages the system to aim for synergy effects. Through the case of LG Electronics, the following practical implications could be drawn : First, the LG Electronics case suggests the necessity to review in detail a win-win cooperation method that can actually help the SM corporations. Considering that the junior executive resources relocation system or education support system has received positive responses among win-win cooperation projects conducted by LG Electronics, it can be seen that the support to strengthen the capacity of SM corporations in the mid and long-run is necessary beyond the financial support that appears outward. Second, it is necessary to search for a method to have the SM corporations participate in the win-win cooperation projects. In case when the SM corporations which are the beneficiaries participate in the win-win cooperation projects, the actually needed projects can be promoted along with motivation, so there would be a great degree of effectiveness. How the win-win cooperation program of LG Electronics utilizes various means and processes to draw out the participation of partners and its effort to incorporate the opinions of not only the partners, but also various related personnel, can be good examples. Third, it is necessary to provide support and find methods so that labor unions can participate in win-win cooperation projects. LG Electronics is a business establishment with a good labor and management cooperation, but the role of the labor union is limited regarding win-win cooperation. This is because the means to have the labor union to participate in the win-win cooperation project has not been found. Not only should this be found, not only in that company and union, but also the government or government-affiliated organizations need to provide a detailed plan through searching for exemplary cases and researches. Also,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institutional support for the operation of a consultative body with labor and management of both the large corporation and the partner. LG Electronics win-win cooperation case study has the following limitations : First, this study deals with an individual case so that it has the limitation that it is hard to compare to other corporate cases. It is impossible to find out what characteristics this outcome has compared to the win-win cooperation projects of other corporations or whether the performance is better or not, but it is limited to just the evaluation that it has improved compared to the past within LG Electronics itself, so it is difficult to actively interpret the performance evaluation. Secondly, this case study focuses on the large corporation of LG Electronics, and thus lacks the perspectives of SM corporations. The win-win cooperation project is promoted centering on the large corporations, so the necessity to preferentially examine large corporations is acknowledged, but the study is incomplete in that it does not reflect the positions and actual performance of SM corporations who are the beneficiaries of the win-win cooperation project. Third, this study fail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electronic industry regarding the win-win cooperation project, and practical restraints or limitations for being at a disadvantage in terms of resources for win-win cooperation resources since LG Electronics has a strong competitor within the electronic industry. To overcome such limitations and achieve advancements in research, additional research for individual cases is necessary. Especially, it is necessary to compare and evaluate the win-win cooperation project viewed from the large corporation through studies on actual performances with the pros and cons of win-win cooperation projects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SM corporations. Also,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interrelationship with government policies. LG Electronics has promoted win-win cooperation autonomously according to its own management principle before government policy has materialized, but may have been influenced by the win-win cooperation policy of the government. Also, considering that the promotion of win-win cooperation policy the government is preparing preferable conditions in promotion of win-win cooperation projects for individual corporations and the evaluations of win-win cooperation by SM corporations are changing,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interrelationship with government policies.

      • KCI등재

        대순진리회의 상생생태론 연구 : 상생의 의미를 중심으로

        김귀만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24 대순사상논총 Vol.48 No.-

        This study aims to define the meaning of ‘Sangsaeng (mutual beneficence)’ within the context of ‘Sangsaeng ecological theory,’ a form of discourse of that has emerged from Daesoon Jinrihoe’s perspective on ecology. Sangsaeng ecological theory applies the concept of interdependence to ecology in order to explain how Sangsaeng, which is commonly used as an ethical system for humans, can be applied to the realm of ecology such that it extends its scope of application to include non-human beings. Interdependence, when applied to ecology, is formed via relationships between individuals. Such relationships can be positive, negative, or neutral, and the type of interdependence that emerges can be competitive, predatory, parasitc, and symbiotic. Even if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s ends negatively, it can still exert a positive effect on the ecosystem. Consequently, all of these produce a type of ‘dependence’. However, relationships that end negatively can generate grievances, and from the perspective of Sangsaeng ethics, this type of interdependence is to be avoided. Therefore, by way of contrast, ecological Sangsaeng may include both relationships of positive interdependence and relationships of predation, parasitism, and competition in so far as there no grievances. Ecological theory requires a perspective that enables an understand of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e and humans in an integrated way that does not separate them. One view of universe, known as Cheonji-saengin-yongin (Heaven and Earth give produce humans make use of them) provides insights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niverse and humans and nature and humans from an interdependent perspective. Heaven and Earth take humans as the basis of their existence, and only after humans discover the law of nature and the sacredness behind it can a deep interdependence between Heaven and Earth and humans and nature and humans be established. However, as modern humans emerge, the interdependence between Heaven and Earth and humans collapses as they destroy nature and lower the authority of Shindo (divine order). Haewon Sangsaeng (the resolution of grievances for mutual beneficence) and Boeun Sangsaeng (the reciprocation of favors for mutual beneficence) is the solution to reestablish the interdependence that has been disconnected between Heaven and Earth and humans and nature and humans. The practice of Haewon Sangsaeng through Gongbu rituals is the way to restore interdependence between nature and humans. The process of humans achieving Dotong (mastery of the Dao) through religious practices is the practice of Boeun Sangsaeng, and humans will be reborn into Injon (Human Nobility or ‘divine humans’) with ecological nature and enjoy an eternal interdependent relationship with nature. In summary, Sangsaeng in the context of Sangsaeng ecological theory is the idea and practice of allowing nature and humans to restore their interdependence and live on eternally. 이 글의 목적은 대순진리회의 생태주의 담론인 ‘상생생태론’에서 ‘상생’의 의미를 생태적으로 규정하는 데 있다. 인간을 대상으로 윤리적 측면에서 통용되던 상생이 그 적용 범위를 비인간까지 확장시키는 생태학의 영역에서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상호의존성이라는 생태학의 개념으로 설명한다. 생태학에서의 상호의존성은 개체와 개체 사이에서 발생하는 긍정적, 부정적, 중립적인 관계를 조합하여 경쟁, 포식, 기생, 그리고 공생으로 구분한다. 개체와 개체 사이의 관계가 부정적으로 끝나더라도 생태계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으므로 모두 ‘의존’이라는 개념에 포함된다. 그러나 개체와 개체 사이의 부정적 결말은 원을 발생시킬 수 있고 이러한 상호의존은 상생윤리의 관점에서는 그대로 통용될 수 없다. 따라서 생태적 상생은 긍정적 상호의존의 관계만 해당하거나 혹은 포원이 존재하지 않는 포식, 기생, 경쟁의 관계도 포함될 수 있다. 생태론은 자연과 인간을 분리하지 않고 둘 사이를 통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관점을 요구한다. 천지생인용인(天地生人用人)이라는 우주관은 우주와 인간, 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상호의존적 관점에서 포착할 수 있게 한다. 천지는 자신의 존재 근거를 인간으로 삼았고, 지인은 자연의 법칙을 발견하고 그 배후에 있는 천지의 신성성까지 깨달아 비로소 천지와 인간, 자연과 인간의 깊은 상호의존의 관계가 성립한다. 그러나 근대적 인간이 등장하면서 자연을 짓밟고 신도의 권위를 떨어뜨림으로써 천지와 인간의 상호의존성은 붕괴된다. 해원상생과 보은상생은 천지와 인간, 자연과 인간 사이에 끊어진 상호의존성을 다시 잇는 해결책이다. 공부 의례를 통해 해원상생을 실천하는 것은 자연과 인간의 상호의존성을 회복하는 길이다. 수도를 통해 도통에 도달하는 과정이 보은상생의 실천이며 이로써 인간은 생태적 본성을 지닌 인존으로 거듭나 자연과 영원한 상호의존을 누리게 된다. 요컨대 상생생태론에서의 상생은 자연과 인간이 상호의존성을 회복하고 그것을 영원히 지속할 수 있게 만드는 이념이자 실천이다.

      • KCI등재후보

        인간과 세계의 미래에 관한 해원상생사상 연구

        배규한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18 대순사상논총 Vol.30 No.-

        본 연구의 목적은 세 가지이다. 하나는 한국 신종교의 대표적 평화사상인 해원상생사상의 의미를 통합적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두 번째는 해원상생과 해원공사를 후천선경 건설의 원리와 실행기제로 보고 구조적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세 번째는 해원상생사상에 내포된 사상적 특성으로 인간과 세계의 미래를 논리적으로 추론해 보는 것이다. 해원상생사상은 해원과 상생으로 구성되는 복합적 개념이다. 해원은 인간ㆍ신명ㆍ세계에 쌓인 원한과 원한의 구조를 풀어가는 것이고 상생은 서로 간에 잘 되게 하는 작용 또는 잘 산다는 상태를 말한다. 그래서 해원상생은 원한을 풀고 서로 잘 산다는 말이다. 대순진리회에서의 해원상생은 그 개념이 외연적으로 더욱 확대되어 나타난다. 해원상생은 전 세계의 평화이며 전 인류의 화평으로 확장된다. 선행연구의 통합적 분석과 필자의 새로운 해석에 의해 얻어진 해원상생의 가치와 의미는 원리ㆍ법리ㆍ윤리ㆍ이념으로써 공통적으로 인존, 상생, 평화, 조화, 후천, 선경 등으로 연결된다. 이것은 해원상생이 가지는 어원적 의미보다 해원상생사상이 인간과 세계와 그 미래에 관해 투영되는 가치적 의미는 더욱 깊고 넓다는 것을 말해준다. 인존과 상생, 평화와 조화, 후천과 선경이 가지는 공통의 특성은 모두 인류가 오랫동안 꿈꿔온 대망의 실현이라는 점이다. 이점이 해원상생의 가치와 의의를 세계적으로 확산시키는 이유이다. 해원공사는 상극이 지배하는 선천시대의 원한을 해소하고 상생으로 유지되는 후천세계를 건설하는 강증산의 종교적 행위이다. 그래서 해원상생의 원리는 해원공사에 의해 인간과 세계와 그 미래를 변화시키는 작용력을 가진다. 이 글에서는 해원상생이 ‘인간욕망의 충족’과 인간과 세계의 ‘상생적 조화관계’를 이룸으로써 인간은 인존(人尊)으로, 세계는 선경(仙境)으로, 미래는 평화로 변화시킨다고 추론한다. 그래서 해원상생사상은 사회-세계-우주의 변화원리로서 작용하며, 해원상생의 사회적 실현은 인존ㆍ선경ㆍ평화의 객관적 실재로서의 그 미래를 창출한다. 해원상생사상에 대한 연구는 아직도 어려운 여건 속에서 소수의 학자들에게서만 진행되고 있다. 이런 점에서 해원(解冤)ㆍ상생(相生)ㆍ인존(人尊)ㆍ선경(仙境)ㆍ평화(平和)를 실현하는 해원상생에 관한 연구가 앞으로 더욱 더 확대되어 세계종교사상의 주요 주제로 다루어지기를 기대해 본다. There are three purposes to this study: first, to understand comprehensively the meaning of Haewon-sangsaeng (Resolution of Grievances for Mutual Beneficence) Thought, which can be taken as representative thought regarding peace in Korean new religions. Next, Haewon-sangsaeng Thought and the works for Haewon (resolving grievances) will be examined as principles and practical mechanisms for building the paradise of the Later World and understanding the structure of this system of thought. Lastly, logical inferences will be made regarding the future of humanity and the world through the ideological characteristics implied by Haewon-sangsaeng Thought. Haewon-sangsaeng Thought contains the complicated concepts of Haewon and Sangsaeng. Haewon is the resolution of the enmity and grievances that have accumulated in the realms of humanity and deities. Sangsaeng indicates the action of mutually benefiting one another or a state wherein people live in prosperity and peace. In Daesoon Jinrihoe, the concept of Haewon-sangsaeng is expressed explicitly and has broad applications. It can be expanded for the global peace and the harmony of all humanity. As the result of an integrated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it can be stated that Haewon-sangsaeng has values and meanings in terms of principles, laws, ethics, and ideology all of which are commonly connected to Injon (Human Nobility), Sangsaeng, peace, harmony, the Later World, and paradise. This indicates that its valuable for the future of humanity and world is deeper and wider than its mere etymological meaning. The common factor among paired ideas such as human nobility and Sangsaeng, peace and harmony, and Later World and paradise is the realization of humanity’s greatest wish. This is the reason why the value and meaning of Haewon-sangsaeng can be expanded globally. The works of Haewon were a religious act of Kang Jeungsan who resolved the grievances of the Former World which was under the rule of mutual conflict and built a Later World that will operate according to mutual beneficence. Therefore, the principle of Haewon-sangsaeng has a motivative power, through the Reordering Works of the Universe, which can transform the future of humanity and the world. In this study, it can be inferred that as Haewon-sangsaeng ‘fulfills human desires’ and forms a ‘harmonious relations of Sangsaeng’ between humans and world, humans will be transformed into Injon (Human Nobility) while the world turns into a paradise, and the future turns into period of peace. Therefore, Haewon-sangsaeng Thought works as a principle that changes society, the world, and the universe. The social actualization of Haewon-sangsaeng is tantamount to bringing the future of Injon, paradise, and peace into objective reality. Previous studies on Haewon-sangsaeng Thought had been carried out under difficult circumstances by a small number of scholars. For all the above reasons, I anticipate that there will be more and more studies made on the topic of Haewon-sangsaeng Thought, which seeks the realization of Haewon (the Resolution of Grievances), Sangsaeng (Mutual Beneficence), human nobility, paradise, and peace. I hope it will emerge as a main subject in global religious thought.

      • KCI등재

        대순사상의 무자기(無自欺)에 나타난 상생윤리 : 칸트와 밀의 윤리관과의 대비를 중심으로

        김태수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16 대순사상논총 Vol.27 No.-

        이 연구는 서구 윤리사상과의 대비를 통해 대순사상의 무자기 개념에 나타난 상생적 윤리관의 특징을 드러내고자 하는 시도이다. 논의를 위해 서구 규범윤리의 두 축을 이루는 칸트의 의무론적 윤리학 및 밀의 공리주의와 대비하여 무자기 개념이 지니고 있는 상생적 특성을 검토한다. 나아가 대순사상의 맥락에서 오늘날 논의되고 있는 덕 윤리적 특성을 새롭게 제시한다. 자연권사상에 기반하여 개인과 사회 전체의 권익을 보호하는 데 방점을 둔 의무론이나 공리주의 윤리학과 대비할 때, 대순사상의 윤리관은 동양의 수행론적 전통에 입각해 있다. 여기서 무자기는 수도의 목적이면서도 윤리도덕 수행의 근간으로써 도와 인격의 완성을 위해 진실된 마음과 언행을 행해야 하는 기반이다. 이 점에서 최고선을 추구하는 덕 윤리학적 요소가 전제되어 있다. 한편, 무자기에 나타난 의무론적 측면은 도통을 목적으로 인륜을 바로 하고 도덕을 밝혀나가는 수도 개념과 맞물려, 하늘로부터 부여받은 천성 그대로의 본성을 회복해야 하는 당위로 나타난다. 또 수도의 목적인 도통을 이루기 위해서는 인륜도덕을 실천해야 하기에, 무자기의 실천 또한 상생적이어야 한다는 목적론적 설명구조를 보여준다. 이렇듯 상호 긴밀하게 연관된 제 윤리관의 중층적 요소는 상생윤리와 관련하여 그 상생적 측면을 한층 잘 드러내고 있다. 특히 해원상생의 이념과 관련하여 무자기는 ‘척을 짓지 않고, 남을 잘되게 하는’ 인륜 실현의 근간이자 천지자연의 법리로 제시된다. 또 이 개념은 양심에 기반을 두기에 신명과의 상생조화를 의미하는 신인조화와도 연관된다. 나아가, 신도로부터 출발하여, 상생윤리로 펼쳐지는 무자기는 누스바움이 제시한 덕 윤리 모델에 대한 새로운 대안으로서 제시된다. 이렇듯, 대순사상에서 ‘스스로의 마음을 속이지 않는다’는 의미로서 무자기는 양심과 인륜도덕에 기반하는 것이기에 인예의지의 발현으로서 자연스럽게 남을 위한 실천으로 이어지는 상생적 개념이다. 기준이 양심과 인륜이기에, 물이 위에서 아래로 흐르듯이, 본성을 실현하는 과정으로서 상생의 실천으로 이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로써, 무자기에 나타난 상생적ㆍ관계론적 사유는 서구윤리에 대한 대안으로서 이기심과 소외를 극복할 수 있는 한층 효과적 윤리관으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is an attempt to detail the multi-layered ethical characteristics of ‘mutual beneficence’, shown in the principle of ‘guarding against self-deception’ in Daesoon Thought while focusing on its major differences as well as the similarities with Kantian and Utilitarian ethical views. In these Western ethical perspectives, the concept of self-deception has received a considerable amount of attention, centering on the context of natural rights and contract theory. Meanwhile, in Daesoon Thought, ‘guarding against self-deception’ is presented as one of the principal objectives as well as the method or deontological ground for practice. It further encompasses the features of virtue ethics oriented toward the perfection of Dao. Here, the deontological aspect is interlinked with the concept of cultivation and the pursuit of ethics and morals. Hence this makes it a necessary condition for achieving the perfection of Dao, and likewise renders the practice of ‘guarding against self-deception’ more active through facilitating mutual relations based on the expansion model wherein human nature is characterized as possessing innate goodness. With regard to the tenet of ‘resolution of grievances for mutual beneficence,’ this concept is presented as a positive ground for practicing virtues toward others without forming grudges. Furthermore, as long as it reveals the great principle of humanity built on conscience, it will come to harmonize practitioners with others and spirits in an expression of beneficence. Moreover, originating in the Dao of Deities, guarding against self-deception is expressed as a form of life ethics and can be suggested as a new alternative for the model of virtue ethics proposed by Nussbaum. All in all, there is a natural causal relationship by which ‘guarding against self-deception’ in accord one's own conscience and the principle of humanity as a pursuit of perfect virtues in Dao result in the fulfillment of mutual beneficence. This readily akin to how gravity causes water to flow from high ground to low ground. Consequently, these relational features of mutual beneficence can serve an effective alternative to the Western ethical views which also address the need to overcome the egoistic mind which is liable to self-interest and alienation.

      • KCI등재

        사례 연구를 통한 전통시장과 대형마트의 동반성장 방안

        노화봉 ( Hwa-bong Noh ),정남기 ( Namki Chung ) 한국질서경제학회 2016 질서경제저널 Vol.19 No.4

        이 연구에서는 국·내외의 전통시장과 대형마트 간 상생협력 사례의 분석을 통해 전통시장과 대형마트가 경쟁상대가 아닌 함께 동반성장할 수 있는 상생협력 방안을 마련하여 보았다. 기존연구를 바탕으로 전통시장과 대형유통업체의 상생사례를 7가지 기능별 상생유형으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많은 사례가 지자체의 강요에 의한 것이거나 보여주기 식이며, 진정으로 상호이익이 되는 자발적인 상생협력 사례는 많지 않았다. 상생협력 사례 및 문제점의 분석과 전통시장과 대형유통업체의 지역적 상황, 활성화 정도를 고려하여 4가지 상생협력 모형을 도출하였다. 첫째는 전통시장과 대형유통업체가 1km 이상 떨어져 있어 소비자가 동시에 방문하기 어렵고 상권의 확대가 어려워 상생보다는 경쟁관계에 있는 경우에 적용할 수 있는 CSR 모형이다. 둘째는 전통시장에 대형유통업체가 입점해 있는 경우에 해당하는 상생모형으로 품목차별과 편의 및 기반시설 공동이용을 통해 자연적인 상권확대를 통하여 상생을 도모하는 자연상생 모형이다. 셋째는 관광 및 쇼핑명소로 자리 잡은 시장이나 주변에 유명관광지를 두고 있는 전통시장에 해당하는 문화관광형 모형이다. 마지막으로는 쇠퇴하는 전통시장에 대형마트를 유치하여 핵점포로 육성 후 상권을 활성화시키는 집적화 모형이다. 네 가지 전략적 선택에서 CSR 모형은 상권의 특성상 상생이 어려운 경우에 적용 가능하여 상호이익형이 아닌 피해보상형 상생협력방안에 해당된다. 그리고 나머지 세가지 전략적 선택 방안인 자연상생 모형, 문화관광형 모형, 집적화 모형은 품목차별 및 편의시설 공공 이용, 상권공동개발 및 확충 등의 방법으로 상호이익이 될 수 있는 상생모형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