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상사지원인식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조직지원인식과 긍정적 호혜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김경민 리더십학회 2018 리더십연구 Vol.9 No.2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 of employees’ perceived supervisor support on their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We hypothesized that an individual’s perceived supervisor support is positively related to his(her)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This relationship is also mediated by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being moderated by individuals’ positive reciprocity propensity. These hypotheses have been tested by the survey result from 411 domestic employees based on the integrated statistical model of moderated mediation by Muller, Judd, and Yzerbyt(2005). The results showed that perceived supervisor support has an positive relationship with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is relationship was also partially mediated by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Finally, the mediation process was moderated by an individual’s tendency of positive reciprocity. As an employee has a stronger tendency of positive reciprocity, the effect sizes of mediating processes were getting larger.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relationship with supervisor could influence the perception of the relationship with the organization. They also point out the role of personality in these perceptual processes, newly suggesting the significant effect of positive reciprocity. Key words: perceived supervisor support,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positive reciprocity 본 논문은 최근 리더십 연구에서 주목을 받고 있는 상사지원인식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영향력과 그 과정에 연계된 변수들을 연구하였다. 구체적으로, 상사지원인식이 조직시민행동과정적인 관련성을 보일 것이라 예측하였다. 이와 함께 상사지원인식은 조직지원인식을 매개로 조직시민행동에 간접적인 영향력 또한 미칠 것으로 보았으며, 이러한 매개과정이 개인의 성격적 특성인 긍정적 호혜성의 정도에 의해 조절될 것이라는‘조절된 매개효과’모형을 가설로 수립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국내 기업 종사자 41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사용하였으며, Muller, Judd, & Yzerbyt(2005)의 통합분석모형에 기초하여 조절변수에 따른 매개경로의 단계별변화를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상사지원인식은 조직시민행동에 긍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상사지원인식과 조직시민행동 간의 정적인 관계에서조직지원인식은 부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매개과정은 개인의 긍정적 호혜성 정도에 따라 유의하게 달라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개인의 긍정적 호혜성이 강할수록 상사지원인식이 조직지원인식에 미치는 영향력과 조직지원인식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력 모두가 보다 더 강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상사와의 관계가 조직과의 관계에 대한해석을 통해 결과적으로 종업원의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으며, 이러한 인지과정에 있어 개인의 성격적 특성이 유의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키워드: 상사지원인식, 조직시민행동, 조직지원인식, 긍정적 호혜성

      • KCI등재

        조직지원 및 상사지원에 대한 인식이 비서의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지현(Kim, Ji-Hyun),최애경(Choi, Ae-Kyung) 한국비서학회 2014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3 No.1

        조직시민행동, 상사지원인식, 조직지원인식, 정서적 몰입은 조직의 성과 및 구성원의 태도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소이다. 특히 비서학에서는 조직원들의 상사와 조직에 대한 인식에 관한 연구들이 다수 이루어져 왔으나 정서적 몰입에 대한 연구는 거의 행해지지 않았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조직과 상사의 지원에 대한 인식이 비서의 직무태도(조직시민행동,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알아보고, 이 변수들 사이의 관계에 정서적 몰입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현직 비서 162명의 응답을 바탕으로 다중회귀분석, 단순회귀분석, 3단계 매개회귀분석기법을 사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비서의 조직지원인식은 조직시민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만, 상사지원인식은 조직시민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지원인식은 이직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고, 상사지원인식은 이직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원인식(조직지원인식, 상사지원인식)은 정서적 몰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고, 정서적 몰입도 조직시민행동, 이직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서적 몰입은 지원인식(조직지원인식, 상사지원인식)과 조직시민행동,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정서적 몰입은 지원인식에 영향을 받으며, 조직시민행동, 이직의도에 영향을 준다는 점과, 지원인식과 조직시민행동, 이직의도 와의 관계에서 정서적 몰입이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조직지원인식과 상사지원인식은 표면적으로 인식하기 어렵고 구성원들이 조직과 외부에 표현하기 어려운 점이 있어 이에 대한 조직과 상사의 정서적인 공감 및 지원의 필요성을 밝혀내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s of organizational and supervisor supports and job attitudes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turnover intention), followed by analysis of the effects of Affective Commitment on the above relationship. To verify the hypotheses, 162 responses were analyzed by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three-level mediation regression analysis. In the results, POS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of a secretary was shown to significantly affect OCB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hereas PSS(Perceived Supervisor Support) did not. POS did not have a meaningful impact on turnover intention while PSS did. Further, perceived support (POS, PSS) significantly affected AC (Affective Commitment) whereas AC had a meaningful effect on both job OCB as well as turnover intention. In addition, AC was shown to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upport (POS, PSS) and OCB as well as turnover int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elucidated the necessity of emotional sympathy and supports from both organization and supervisor. Second, the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upports and job attitude and these are influenced by AC, and perceived supports. In conclusion, AC and job attitudes are mutually connected.

      • KCI등재

        가족친화 조직지원 및 가족친화 상사지원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번영감의 매개효과, 직업소명의식의 조절효과

        심미라,조윤형 대한경영학회 2023 大韓經營學會誌 Vol.36 No.9

        본 연구는 일-삶의 균형 차원에서 가족친화 조직지원과 가족친화 상사지원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을규명하려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또한 번영감과 직업소명의식을 반영하여 어떠한 과정을 통해 가족친화 조직지원, 상사지원이 직무소진에 영향력이 나타나는지 그리고 어떠한 맥락 하에서 영향력이 강화 또는 완충되는지를살펴보았다. 번영감을 매개변수로, 직업소명의식을 조절변수로 설정하였다. 설문의 대상은 병원이며 간호사와의료기사에게 설문을 실시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동일방법편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설문은 시차를 두고2회 진행하였으며 1차 설문에서는 가족친화 조직지원과 상사지원, 직업소명의식을 측정하였으며, 2차에서는번영감과 직무소진을 측정하였다. 설문의 최종분석은 1차와 2차 동일한 응답자로 확인된 설문을 활용하였으며불성실응답 5부를 제외한 249부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가족친화 상사지원은 번영감을 높이고있었다. 가족친화 조직지원의 영향력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번영감은 직무소진을 낮추고 있었다. 셋째, 번영감은가족친화 상사지원과 직무소진과의 관계를 매개하고 있었다. 반면에 가족친화 조직지원과 직무소진과의 관계는매개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업소명의식은 번영감과 직무소진과의 관계를 조절하고 있었다. 직업소명의식이 높은 경우 번영감이 직무소진을 낮추는 영향력은 더욱 확대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조절된매개효과도 살펴보았는데 직업소명의식이 높은 경우 가족친화 상사지원과 직무소진과의 관계에 번영감의매개효과는 더욱 강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병원의 주요 인력인 간호사, 의료기사의 일-삶의균형을 위하여 가족친화를 위한 상사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론적 측면에서 자원보존이론을 통해직무소진을 낮추는데 가족친화를 위한 상사의 지원 뿐만 아니라 번영감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실무적 측면에서 간호사 또는 의료기사들의 직무소진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에서 가족친화를 위한 조직의노력도 의미가 있지만 상사의 노력이 더욱 필요하다는 것을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지고 있다. Balancing work and life demands has become an established area of research and practice have been carried out on work-life-balance(hereafter WLB) to understand the impact this concept has on individuals (employees) and their capacity to manage work and aspect of their lives. WLB defined ‘the extent to which an individual is equally engaged in-and equally satisfied with-his or her work role and family role. Based on WLB, we drawing the organization and supervisor’s effort to enhancing WLB reflected perceived family-friendly organizational support and family-friendly supervisor support concepts.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family-friendly organizational support and family-friendly supervisor support on job burnout in hospitals who are nurses and medical technicians. By examining the processes through which family-friendly organizational support and supervisor support influence on job burnout, as well as the process and contexts in which the reinforced or buffered. We used thriving at work(vitality, learning) as a mediator and job calling as a moderator. After literature review, we set the direct, mediate, moderate and moderated mediation of research hypotheses. The survey was conducted in hospitals, and nurses and medical technicians who provide medical services to test the research hypotheses. To solve the problem of the common method bias, the survey was conducted twice with a time difference, and the first survey measured family-friendly organizational support, supervisor support, and job calling, and the second survey measured thriving at work and job burn out. The final analysis of the survey used the same respondents from the first and second surveys, excluding five non-responses, and used 249 questionnair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first, family-friendly supervisor support increased thriving at work. There was no effect of family-friendly organizational support. Second, thriving at work decreased job burnout. Third, thriving at work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friendly supervisor support and job burnout. However, it did no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friendly organizational support and job burnout. Fourth, job calling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riving at work and job burnout. The effect of thriving at work on job burnout was magnified if high on job calling. Finally, we examined moderated mediation effect, and found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thriving at work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friendly supervisor support and burnout was stronger for those with high on job call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 the importance of family-friendly supervisor support for the work-life balance of female nurses and medical technicians, who make up the majority of the hospital workforce. In the theoretical aspect, the resource conservation theory suggests that not only the support of family-friendly supervisors but also thriving at work are important in reducing job burnout. In the practical aspect, it is significant that the efforts of family-friendly supervisors are necessary to reduce job burnout among nurses and medical technicians.

      • KCI등재
      • KCI등재

        가족친화 조직지원, 상사지원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직무열의의 매개효과

        조윤형(Cho, Yoon Hyung),유고운(Yu, Go Woon)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20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7 No.3

        본 연구는 워라벨 확산에 따라 가족친화 조직지원, 상사지원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며 이들 사이의 관계에서 직무열의의 매개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목적에 따라 수행되었다. 가족친화 상사지원은 감정적, 도구적, 역할모델, 창의적 가족친화 관리의 하위요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직무열의는 활력, 헌신, 몰두의 하위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가족친화 상사지원과 직무열의는 기존 연구의 주장들을 반영하여 하나의 변수로 묶어서 활용하였다. 연구가설은 직접효과와 매개효과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가설검증은 설문을 통해 이루어졌다. 설문은 동일방법편의 문제를 고려하여 3개월의 시차를 두고 2번 진행하였다. 1차에서는 가족친화 조직지원과 상사지원을 측정하였으며, 2차에서는 직무열의와 혁신행동을 측정하였다. 총 269부를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친화 조직지원은 혁신행동을 높이고 있었다. 둘째, 가족친화 상사지원은 혁신행동에 유의미한 영향력이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가족친화 조직지원과 상사지원 모두 직무열의를 높이고 있었다. 넷째, 직무열의는 혁신행동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직무열의는 가족친화 조직지원, 상사지원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매개하고 있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가족친화 조직지원과 상사지원은 직무열의를 높이고 ,높아진 직무열의를 통해 혁신행동을 촉진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가족친화 경영의 확산이 조직이 추구하는 변화와 혁신에 대한 조직구성원들의 수용에 있어서 중요하다는 것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질 수 있다. Recently, work and life balance(WLB), defined as ‘satisfaction and good functioning at work and at home, is more important concept of whole organization. Family-supportive work environment for their employees in order to help them better juggle work and family demands in ways that can benefit employees and organizations. This challenge has been discussed in the literature for over 20 years, and many organizations have put in place initiatives to assist their employees in maintaining a balance between work and family lives. family-friendly policies yields positive benefits for individuals and, ultimately, for the organization itself, others have suggested that the availability and usage of policies may not be sufficient to increasing profitability so that support from managers and supervisors is needed for individuals to experienc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perceived family-friendly organizational support(FFOS) and supervisor support(FFSS) have an positive impact on the innovative behavior of employees. Also verify the work engagement mediate relationship between FFOS, FFSS and innovative behavior reflected JD-JR model.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we set the main and mediating effect hypothesis. To test hypothesis, total of 269 questionnaires who have been working in Gwang-ju.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FOS has been shown to increase the innovative behavior of employees. Second, FFSS does not have impact on innovative behavior of employees. Third, FFOS and FFSS have positive impact on work engagement. Finally, work engagement mediate between FFOS, FFSS and innovative behavior specially, perfect mediate between FFSS and innovative behavior, partially mediate between FFOS and innovative behavior. As a result, we find that FFOS and FFSS are critical determinant of innovative behavior. JD-JR model, FFOS and FFSS are play the role of job-resource that increasing the work engagement also helping employee to balance work with home lives has generally meant offering arrange of ‘family-friendly’ policies.

      • KCI등재

        최고경영자의 비윤리적 행위가 종업원 성과에 미치는 영향 : 상사 및 동료지원인식의 조절효과

        강희경 한국전문경영인학회 2023 專門經營人硏究 Vol.26 No.2

        본 연구에서는 최고경영자의 비윤리적 행위와, 상사지원인식⋅동료지원인식이 종업원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최고경영자의 비윤리적 행위가 종업원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상사지원인식, 동료지원인식이 완화할 수 있는지 조절효과 검증을 통해 확인하였 다. 실증연구 결과, 최고경영자의 비윤리적 행위는 종업원 성과에 부(-)의 영향을 미치며, 상사지원인식과 동료지원인식은 종업원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절효과 분석 결과, 최고경영자의 비윤리적 행위가 종업원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상사지원인식은 조절효과가 있으나 동료지원인식은 조절효과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국내 기업의 최고경영자의 비윤리적 행위로 인해 종업원들은 불안과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되며 목표달성이 방해받는 부정적 영향을 받게 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최상위 리더로부터의 부정적 영향력은 직속상사로부터의 지원과 상호작용을 통해 완화할 수 있음을 본 연구에서는 제시하였다. 반면, 동료들과의 상호작용은 평소의 직무성과와 직무에 긍정적 효과를 가지지만, 최고경영자의 비윤리적 행위로 인한 부정적 영향을 조절 하는 효과는 발견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조직의 최고경영자의 비윤리적 행위 로 인한 리스크가 존재할 경우, 동료와의 수평적 관계보다 상사와의 수직적 관계에서 인식하는 감정적 지원을 강화해야 함을 알 수 있다. In this study, the impact of CEO unethical behavior, perceived supervisors support(PSS) and perceived peer support(PPS) on employee performance was examined. Also, this study analyzed moderating effect of PSS and PPS on the relation between CEO unethical behavior and employee performance. Empirical studies have shown that CEO unethical behavior has a negative (-) effect on employee performance, and that PSS and PPS have a positive (+) effect on employee performance. As a result of the moderating effect analysis, PSS ha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the effect of CEO unethical behavior on employee performance, but PPS had no moderating effect. From these results, it can be seen that Korean employees experience anxiety and stress due to CEO's unethical behavior and are negatively affected by hindered goal achievement. This study suggested that such a negative influence from the top leader can be moderated through support and interaction from the direct supervisor. On the other hand, interaction with colleagues has a positive effect on job performance and job, but no effect has been found to control the negative impact form CEO's unethical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when there is a risk due to unethical behavior of an organization's CEO, emotional support recognized in a vertical relationship with a supervisor should be strengthened rather than a horizontal relationship with a colleague.

      • KCI등재후보

        상사의 지원과 종업원 침묵: 조직 공정성의 매개효과

        최용준(Choi, Yongjun),하순복(Ha, Sun-Bok) 한국비즈니스학회 2024 비즈니스융복합연구 Vol.9 No.3

        종업원 침묵은 조직의 경쟁 우위를 저해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많은 종업원들은 조직 내에서 침묵이라는 수동적인 행동을 취하고 있다. 이는 잠재적으로 조직 역학을 해칠 수 있는 현상으로, 조직은 종업원 침묵을 보다 깊이 이해하고 이를 적극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조직에서 종업원 침묵을 줄이기 위한 방안을 탐구한다. 구체적으로 종업원 침묵에 대한 기존 연구들이 상사의 부정적 행동에 주목한 것과 달리, 본 연구는 상사의 지원이라는 긍정적인 행동에 초점을 맞추어 상사의 지원이 종업원 침묵에 미치는 영향과 그 메커니즘을 규명하고자 한다. 국내 기업에서 정규직으로 종사하는 296명의 종업원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상사의 지원은 종업원의 조직 공정성에 대한 지각과 정(+)의 관계가 있었으며, 조직 공정성에 대한 지각은 종업원의 침묵 행동과 부(-)의 관계가 있었다. 이에 더해 상사의 지원과 종업원 침묵 간의 부(-)의 관계는 종업원의 조직 공정성 지각에 의해 매개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상사의 지원과 종업원 침묵 간의 조직 공정성을 통한 간접 효과는 종업원의 셀프 리더십에 의해 조절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종업원의 침묵 행동을 줄일 수 방안으로 조직 내 상사의 지원의 중요성을 강조할 뿐만 아니라 종업원의 셀프 리더십을 개발하는 것이 조직 내 침묵 행동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에 따라 조직은 상사와 종업원 간의 관계를 강화하고, 더 나아가 상사들이 적절한 지원을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 및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Despite the potential negative impact on an organizations competitive edge, many employees still engage in passive behavior, such as remaining silent. This trend has the potential to disrupt organizational dynamics, emphasizing the necessity for organizations to deepen their understanding of employee silence and take proactive actions to manage it. Therefore, this study seeks to explore strategies for mitigating employee silence. In contrast to previous research, which has mainly focused on supervisors negative behavior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mechanisms by which supervisor support is linked to employee silence. Data were collected from 296 full-time employees within domestic companies and subjected to analysis. The findings uncovered several significant insights. First, supervisor support was positively related with employees perceptions of organizational justice, while organizational justice showed a negative association with employee silence. Moreover,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or support and employee silence was mediated by employees perceptions of organizational justice. Lastly, the indirect effect of supervisor support on employee silence via organizational justice was moderated by employees self-leadership. These result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supervisor support in attenuating employee silence and suggest that fostering employees self-leadership could complement organizational efforts to address silence. Consequently, organizations are encouraged to prioritize the enhancement of supervisor-employee relationships and to implement support and educational initiatives aimed at empowering supervisors to provide effective support to their subordinates.

      • KCI등재

        The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s, Perceived Supervisory Supports and Perceived Peer Supports on Innovative Behavior: Focused on the Job Embeddedness of Automotive Industry Research Institute Using VR Technology

        Hao Dai,Hao Zhang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9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4 No.10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 조직 구성원의 직무배태성을 높이기 위해 내적동기를 유발시킬 수 있는 방법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최근 관심이 증가되고 있는 내적동기를 유발시킬 수 있는 변수인 조직지원인식, 상사지원인식, 동료지원인식을 선정하고 직무배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고 직무배태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이 과정은 중국과 한국은 차이가 있는 지롤 검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한국 경기도와 중국 하복성에 있는 VR기술을 활용한 자동차 기업의 연구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할 것이며, 설문조사 실시하였다. 연구의 대상들에게 총 200 쌍의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그 중 195쌍이 회수되었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 불성실한 응답을 제거한 191쌍이 최종분석에 이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들을 SPSS 24.0과 AMOS 24.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식모형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을 통해 확인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지원인식(조직지원인식, 상사지원인식, 동료지원인식)이 직무배태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둘째, 직무배태성은 혁신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셋째, 지원인식(조직지원인식, 상사지원인식, 동료지원인식)이 혁신행동에 부분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넷째, 한국과 중국에 있는 기업 직원의 직무배태성의 형성과정과 영향력이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paper, we propose to explore ways to create internal motivation to enhance the job disposition of Korean and Chinese employees.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we would like to select parameters that may trigger an increasing number of internal motivations for interest in recent years: perceived organisational support, perceived provider support, and perceived peer support, and to explore the impact on job embeddedness. I would like to find out the effect of job embodiedness on involved beauty. The process also seeks to verify that China and South Korea are different. To verify the research theory of this research, we will use a questionnaire to researchers of automotive companies using VR technology in Gyeonggi-do, Korea and Hadong-seong, China, and conducted a survey. A total of 200 pairs of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the study subjects, 195 of which were retrieved, 191 of which eliminated unfaithful respons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used for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identified through empirical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Perceived Supervisor Support will have a positive impact on Job Embeddedness. Second, Job Embeddedness will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Innovative Beehivior. Thir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Perceived Supervisor Support will have a partial positive effect on Innovative Behavior. Fourth, the formation process and influence of Job Embeddedness of corporate employees in Korea and China are partly different, the report showed.

      • KCI등재

        장애인활동지원사의 감정노동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동료 및 상사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신영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2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on Job Attitude of Disability Assistance Workers: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Support for Fellows and SuperiorShinyoung Park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peer and supervisor support on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perceived by disability assistance workers on job attitude.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non-face-to-face survey through e-mail from Feb. 7 to 18, 2022, targeting 216 people working as activity support workers for the disabled in daegu metropolitan c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program. First, emotional labor, peer and supervisor support, and job attitude perceived by disability assistance workers were significantly related, and emotional labor's inner behavior, peer and supervisor support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attitude. Second,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peer and supervisor support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s inner behavior and job attitud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plan to establish a support system for peers and supervisors so that they can relieve emotional labor of disability assistance workers and concentrate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Key Words: Disability Assistance Worker, Emotional Labor, Fellow Support, Superior Support, Job Attitude 장애인활동지원사의 감정노동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동료 및 상사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박 신 영* 요약: 본 연구는 장애인활동지원사를 대상으로 이들이 인식한 감정노동이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동료 및 상사지지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구광역시에서 장애인활동지원사로 근무하고 있는 216명을 대상으로 2022년 2월 7일부터 18일까지 2주간에 걸쳐 e-mail을 통한 비대면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장애인활동지원사가 인식한 감정노동, 동료 및 상사지지, 직무태도는 유의한 관련성이 있고 감정노동의 내면행동, 동료 및 상사지지는 직무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감정노동의 내면행동과 직무태도 관계에서 동료 및 상사지지의 부분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장애인활동지원사의 감정노동을 완화하여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몰입할 수 있도록 동료 및 상사지지의 지원 체계를 구축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핵심어: 장애인활동지원사, 감정노동, 동료지지, 상사지지, 직무태도 □ 접수일: 2022년 3월 10일, 수정일: 2022년 3월 29일, 게재확정일: 2022년 4월 20일* 성운대학교 겸임교수(Professor, Sungwoon Univ., Email: jinblouse@daum.net)

      • 일반논문 : 상사지원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직무열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진윤희 ( Yoon Hee Jin ),김성종 ( Sung Jong Kim ) 가톨릭대학교 정부혁신생산성연구소 2015 정부와 정책 Vol.8 No.1

        본 연구에서는 상사지원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직무열의의 매개효과를 통해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이의 검증을 위해 H 공기업 본사 직원을 대상으로 2014년 3월 10일부터 3월 31일까지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회수된 200부의 설문지 가운데 189부의 유효설문을 최종 통계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상사지원은 직무열의(상사지원-직무열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직무열의가 혁신행동(직무열의-혁신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상사지원이 혁신행동(상사지원-혁신행동)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직무열의를 매개로 하여 상사지원에서 혁신행동(상사지원-직무열의-혁신행동)으로 가는 간접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나 직무열의가 상사지원과 혁신행동을 매개역할을 수행하면서 조직 내 개인의 혁신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살펴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공기업의 조직 내 구성원의 혁신행동을 촉진시키기 위한 요인으로 상사지원과 직무열의의 중요성을 설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supervisors support on innovative behavior in public enterprise was empirically validated with the mediating effect of job engagement. To verify, a survey was proceeded with the employees from a company KEPCO headquarters from March 10th, 2014 to March 31st, 2014 and out of 200 surveys collected, 189 valid surveys were used for the final statistical analysis. From the analysis, supervisors support gives a significant impact on the job engagement, and the job engagement brings significant impact on innovative behavior. However, this supervisors support appears that it does not give direct effects on innovative behavior. Finally, the job engagement is used as mediated parameter to give indirect effect from supervisors support to innovative behavior significantly and this leads as major effects of influencing the innovation behavior of individuals within the organization. This study describes the importance of the firm support and job engagement as a fact to boost up the innovative behavior within all employees of public organiz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