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상부위장관 상피하병변 환자에서 상피하종양과 위장관기질종양의 예측인자

        차라리 ( Ra Ri Cha ),오혜원 ( Hye Won Oh ),유현선 ( Hyun Seon Yoo ),홍정우 ( Jeong Woo Hong ),이상수 ( Sang Soo Lee ),김홍준 ( Hong Jun Kim ),하창윤 ( Chang Yoon Ha ),김현진 ( Hyun Jin Kim ),김태효 ( Tae Hyo Kim ),이옥재 ( Ok Jae 대한소화기학회 2014 대한소화기학회지 Vol.64 No.4

        목적: 위장관 상피하병변에서 종양성 병변을 비종양성 병변으로부터 감별하는 것은 환자의 적절한 치료에 매우 중요하다. 저자들은 상부위장관 상피하병변 환자에서 종양성 상피하병변을 감별할 수 있는 예측인자를 알아보고자 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8년 1월부터 2013년 6월까지 경상대학교병원에서 상부위장관 상피하병변에 대해 EUS를 시행한 527예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내시경적 또는 수술적 절제를 통하여 조직학적 확진이 가능했던 환자 84예를 선정하고, 종양 및 비종양성 상피하병변으로 분류하여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조직학적으로 확인된 84예의 상피하병변 중 상피하종양이 64예(76.2%), 비종양성 상피하병변은 20예(23.8%)였다. 상피하종양은 GIST (42.9%)와 평활근종(19.0%)이 가장 많았다. 성별(p=0.195), 병변의 크기(p=0.266), 에코상(p=0.051)은 상피하종양군과 비종양성병변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비종양성 상피하병변군에 비하여 상피하종양군의 평균연령 (p=0.047), 호발연령대(p=0.047) 및 50세 이상 환자의 비율 (p=0.015)이 높았으며, 고유근층 기원(79.7%)이 많았다. (p=0.001). 상피하종양 중, GIST는 평활근종보다 환자의 평균연령이 높고(57.7세 vs. 47.0세, p=0.049), 50세 이상 (p=0.016), 종양의 위체부 위치(p<0.001), 고유근층 기원 (p=0.003)이 많았다. 다변량분석에서 환자의 연령(≥50세), 종양의 크기(≥30 mm), 고유근층기원이 점막하종양의 독립적인 예측인자였고, 평활근종과 GIST의 감별인자는 찾을 수 없었다. 결론: 상부위장관 상피하병변으로 50세 이상, 30 mm 이상, 고유근층 기원이 상피하종양의 독립적인 예측인자였으며, 평활근종과 감별할 수 있는 GIST의 예측인자는 없으므로 고유근층 기원의 위 상피하종양은 GIST의 가능성을 고려하여 적극적인 치료 및 철저한 추적관찰이 필요하다. Background/Aims: Differentiating subepithelial tumor (SET) from non-neoplastic gastrointestinal subepithelial lesion (SEL) and gastrointestinal stromal tumor (GIST) from leiomyoma are very important for proper managemen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factors that could predict the presence of SET and GIST in patients with upper gastrointestinal (UGI) SELs. Methods: A total of 527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UGI SELs endosonographically at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2008 to June 2013. Among these patients, histologic diagnosis was made in 84 patients. Data were collected by retrospectively reviewing the medical records. Variables that could differentiate neoplastic from non-neoplastic SELs and GIST from leiomyoma were analyzed. Results: Among 84 patients with SELs, 64 (76.2%) had SETs including GIST (42.9%) and leiomyoma (19.0%). The patients` mean age (p=0.047), peak age distribution (p=0.047), proportions of patient ≥50 years (p=0.015), and number of proper muscle-originated lesions (p=0.001) were higher in neoplastic than non-neoplastic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p=0.195), size (p=0.266) and echogenicity (p=0.051) of the lesions. Older age (57.7 vs. 47.0 years, p=0.049), age ≥50 years (p=0.016), location in gastric body (p<0.001), and proper muscle origin (p=0.003)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presence of GIST compared to leiomyom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patients` age ≥50 years, size ≥30 mm, and proper muscle-origin of lesion were independent predictors of SET; however, there were no predictive factors that could differentiate GIST from leiomyoma. Conclusions: In patients with SEL, the possibility of having SET should be considered for patients ≥50 years with UGI SELs ≥30 mm that arise from the proper muscle. Thorough monitoring and aggressive management is warranted for those with gastric muscular SET since factors predictive of GIST are lacking. (Korean J Gastroenterol 2014;64:189-197)

      • KCI등재

        상부 위장관 내시경 소견과 비만 관련 위험인자들 사이의 연관성

        장유진,이근미,정승필 대한가정의학회 2010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31 No.1

        Background: The reports that obesity could be associated with upper gastrointestinal disorders such as gastritis, gastric ulcer, duodenal ulcer, reflux esophagitis have not been consistent. Therefore, we studied the association between esophagogastroduodenoscopic (EGD) fi ndings and the related risk factors of obesity. Methods: The study subjects include 2,210 adults who visited the Health Promotion Center of one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2006 to December 2006. All subjects had standard physical measurements as well as resting blood pressure,fasting blood glucose, HbA1c, serum lipids, and gastroendoscopic examination. BMI was classifi ed into two groups (BMI ≥ 23 kg/m2, normal; BMI < 23 kg/m2, overweight or obese). The study subjects were classifi 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the EGD fi ndings; normal, gastritis, gastric or duodenal ulcer, refl ux esophagitis. Results: Mean BMI of gastritis, gastric or duodenal ulcer, and refl ux esophagitis groups were higher than normal group after adjusting age, sex, alcohol and smoking (P < 0.001). Gastritis risk (OR, 2.098; 95% CI, 1.195 to 3.682; P = 0.01), gastric or duodenal ulcer risk (OR, 2.562; 95% CI, 1.282 to 5.117; P = 0.008), and refl ux esophagitis risk (OR, 2.856; 95% CI, 1.522to 5.360; P = 0.001) were signifi cantly higher in overweight and obesity group compare with normal weight group after adjusting age, sex, alcohol and smoking. Conclusion: We suggest that overweight or obesity is the risk factor of gastritis, gastric or duodenal ulcer, and reflux esophagitis. 연구배경: 비만과 상부 위장관 질환(위염, 위궤양 혹은 십이지장 궤양, 그리고 역류성 식도염)과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들은 많이 있지만 일관된 결과를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상부 위장관 내시경 소견과 비만 관련 위험 인자들 사이의연관성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시행하였다. 방법: 2006년 1월부터 12월까지 일개 대학병원 건강검진센터를 내원한 2,210명을 대상으로 하여 기초설문조사를 시행하여 연령, 성별, 과거력 및 사회력 등을 조사하였으며 신장, 체중, 혈압, 공복혈당, 당화혈색소, 혈청지질을 측정하였고 상부위장관 내시경을 시행하였다. BMI < 23 kg/m2을 정상 그룹으로, BMI ≥ 23 kg/m2을 과체중 혹은 비만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대상자들은 상부 위장관 내시경 소견에 따라 4개의 그룹(그룹0, 정상; 그룹1, 위염; 그룹2, 위궤양 혹은 십이지장 궤양; 그룹3,역류성 식도염)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결과: 혈압, BMI, 공복혈당, HbA1c,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HDL-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은 그룹 0에 비해 그룹 1, 2,3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나 나이, 성별, 음주, 흡연, BMI로 보정한 후에는 BMI만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과체중혹은 비만인 군에서 상부 위장관 내시경 소견 정상(그룹 0)에대해 위염(그룹 1)이 있을 위험이 높았다(OR, 2.098; 95% CI,1.195-3.682; P=0.01). 또한 과체중 혹은 비만인 그룹에서, 상부위장관 내시경상 정상인 그룹(그룹 0)에 대해 위궤양 혹은 십이지장 궤양(그룹 2)이 있을 위험도 높았다(OR, 2.562; 95% CI,1.282-5.117; P=0.008). 그리고 과체중 혹은 비만인 그룹에서,상부 위장관 내시경상 정상인 그룹(그룹 0)에 대해 역류성 식도염(그룹 3)이 있을 위험도 높았다(OR 2.856; 95% CI, 1.522-5.360; P=0.001). 결론: 과체중 혹은 비만은 위염, 위궤양 혹은 십이지장 궤양및 역류성 식도염 발생의 위험 인자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 상부위장관 출혈이 의심되는 클로자핀과 부스피론의 상호작용

        성유미,김수인,연규월,임원정,Sung, Yu-Mi,Kim, Soo-In,Yun, Kyu-Wol,Lim, Weon-Jeong 한국정신신체의학회 2006 정신신체의학 Vol.14 No.1

        서론: 치료저항성 환자 치료 시 선택될 수 있는 여러 약물들의 병용 투여에 의해 예측할 수 없는 심각한 부작용을 야기하는 약물 상호작용이 일어날 수 있다. 저자들은 만성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클로자핀(clozapine)과 부스피론(buspirone)을 병용 투여한 후 상부위장관 출혈이 의심되는 사례가 있어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 망상형 정신분열병으로 진단받은 69세 여자 환자로 입원 당시 혈색소가 약간 감소된 것을 제외하고는 신체검사와 검사실 검사 상 다른 특이 소견은 없었다. 불안 증상이 심하여 부스피론 15mg을 올란자핀(olnazapine) 30mg과 같이 투여하였다. 하지만, 병력상 약물에 반응이 좋지 않고 본원 입원 치료에서 치료 반응이 없어 올란자핀을 클로자핀으로 교체하였다 인원 11주째, 클로자핀으로 교체한 지 4주가 지난 후, 환자는 클로자핀 300mg과 부스피론 60mg을 복용하고 있었다. 이 시점에서 약 4일 동안 간헐적으로 복통, 발한, 저혈압, 구토, 발열과 함께 토혈, 흑색변 소견 보였지만, 위내시경과 위장조영촬영에서 상복부위장관 출혈 소견은 발견되지 않았다. 모든 약물을 중단한 후, 상부위장관 출혈 의심 증상은 사라졌다. 이후 클로자핀만 단독으로 투여한 후, 정신병적 증상 호전을 보였고 상부위장관 출혈 소견도 재발하지 않았다. 고찰: 상부위장관 출혈은 클로자핀과 부스피론 각각의 약리학적 작용 및 부작용의 측면에서는 예상할 수 없었던 부작용이었으나, 정신분열병 치료를 위해 투여하고 있던 클로자핀에 추가적으로 항불안 효과가 있는 부스피론을 복합 투여하는 동안 발생하였으며 부스피론을 중단한 이후에는 동일한 부작용이 재발하지 않았다. 따라서, 저자들은 상부위장관 출혈 부작용의 발생 원인을 클로자핀과 부스피론 두 약물의 상호작용에 의한 것으로 보고 참고 문헌에 기초하여 몇 가지 가능한 기전들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두 약물의 상호작용에 대한 명백한 기전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나 상부위장관 출혈은 잠재적으로 생명에 치명적인 부작용이므로 클로자핀과 부스피론의 병용 투여 시 특별한 주의를 요한다. Introduction: Unexpected serious and lethal drug interactions can be occurred by polypharmacy for treatment-resistant psychiatric disorders. We report a case who has suspected upper gastrointestinal bleeding after the combination of clozapine and buspirone. Case : A 69-year-old woman with DSM-IV schizophrenia who was admitted to our hospital had no previous medical problems. Findings on physical exam, laboratory values, EEG, and a magnetic reso-nance imaging scans were no abnormality, except for slightly low level of hemoglobin at admission. Because of aggravating anxiety symptom, a trial of buspirone was begun from 15mg, in addition to olanzapine 30mg. And then olanzapine was switched to clozapine due to her treatment-refractory his-tory and poor response on this admission. Moreover, At the admission 11 weeks later, after 4 weeks of starting buspirone and clozapine, she was placed on a regimen of clozapine 300mg and buspirone 60mg. At this point, she started to complaint nonspecific abdominal pain for 4 days and then hematemesis, melena and hypotension were developed suddenly with negative findings in gastroduodenoscopy. After stopping all medication, the suspected upper gastrointestinal bleeding was subsided. After the regimen was switched back to clozapine only, psychotic symptoms were improved without the recurrence of the adverse events. Conclusion : We concluded that the upper gastrointestinal bleeding in this case was attributed to the drug interaction with clozapine and buspirone, although the definite mechanism is not clear. The clini-cians should be very cautious to prescribe the combination of clozapine and buspirone due to a possible lethal adverse effect.

      • KCI등재

        비심인성 흉통 환자에서 상부위장관내시경의 필요성

        표진실,김선문,엄유진,이주아,구훈섭,송경호,김용석,이태희,임의혁,허규찬,최용우,강영우 대한내과학회 2013 대한내과학회지 Vol.84 No.4

        Background/Aims: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GERD) is the most frequent cause of noncardiac chest pain (NCCP) in Western countries. Gastroduodenal disease has a high prevalence in Korea; thus, it is important to evaluate the stomach/duodenum.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findings in patients with chest pain who were diagnosed by coronary angiography (CAG) to be normal or who had minimal coronary lesions to evaluate the necessity of performing esophagogastroduodenoscopy (EGD) in patients with NCCP. Methods: A total of 565 patients with chest pain underwent CAG followed by EGD from February 2000 to March 2011 at Konyang University Hospital. We excluded patients who underwent EGD more than 3 days after CAG or had significant coronary lesion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EGD findings of the remaining 349 patients. Results: Of the 349 patients, 151 were male, and the average age of the patients was 57.7±11.44 years. After performing EGD, GERD was diagnosed in 35 patients (10.0%; LA [Los Angeles classification]-A, 30; LA-B, three; LA-C, two) and peptic ulcer was diagnosed in 48 patients (13.8%; gastric ulcer, 34; duodenal ulcer, 10; gastric and duodenal ulcer, four). Gastritis was diagnosed in 253 patients (72.5%; erosive, 89; erythematous, 90; hemorrhagic, 10; mixed, 64). Duodenitis, esophagitis, Barrett’s esophagus, hiatus hernia, and gastric cancer was diagnosed in 36 (10.3%), three (0.9%), two (0.6%), three (0.9%), and one patient, respectively. Conclusions: Unlike the situation in the west, stomach/duodenal lesions other than GERD are common causes of NCCP in Korea, Therefore, prior to proton pump inhibitor testing or empirical therapy, EGD is necessary to evaluate NCCP and to rule out gastroduodenal lesions. 목적: 비심인성 흉통의 원인으로 위식도역류 질환이 가장 흔한 서구와는 달리 우리나라에서는 소화성 궤양 등 위십이지장 질환의 빈도가 높기 때문에 상부위장관 내시경 검사의 필요성이 더 크다고 생각된다. 이에 저자들은 관상동맥조영술 검사에서 정상 또는 미세변화를 보이는 흉통 환자들의 상부위장관 내시경 결과를 분석하여 흉통과 이에 동반된 상부위장관 병변에 대해 알아보았다. 방법: 2000년 2월부터 2011년 3월까지 본원에서 관상동맥조영술 시행 후 2일 이내에 상부위장관 내시경을 함께 시행 받은 52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 중 의미 있는 혈관 이상이 발견된 172명을 제외하고 정상(200명) 또는 30%이하의 혈관 병변(149명)만 보인 349명의 의무기록과 상부위장관 내시경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총 349명(남자 151명, 여자 198명, 평균연령 57.7± 11.44세)이 본 연구의 대상이 되었다. 이들의 상부위장관 내시경 검사에서 GERD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는 10.0%인 35명(LA-A 30명, LA-B 3명, LA-C 2명)에서 관찰되었고 소화성 궤양은 13.8%인 48명(위궤양 34명, 십이지장 궤양 10명, 양측성 4명)에서 관찰되었다. 그 외에도 미란성 위염 89명, 발적성 위염 90명, 출혈성 위염 10명, 혼재된 형태의 위염이 64명으로 총 253명(72.5%)에서 위염이 보고되었으며 십이지장염 36명(10.3%), 역류성 식도염 외의 식도염 3명(0.9%), 바렛 식도 2명(0.6%), 열공 헤르니아 3명(0.9%), 위암 1명이 각각 관찰되었다. 결론: 서구와 달리 우리나라에서는 비심인성 흉통의 원인으로 위식도역류 질환 외에 다른 병변의 빈도가 상대적으로 높다. 이번 연구에서도 역류성 식도염, 역류성 이외의 식도염, 바렛 식도 등의 식도 내 병변과 비교하여 소화성 궤양이나 위염, 십이지장염 등의 빈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는 비심인성 흉통의 경우 PPI 검사나 경험적 PPI 치료에 앞서 상부위장관 내시경 검사를 통한 위십이지장 병변의 감별이 중요하다고 하겠다.

      • SCOPUSKCI등재

        3차 의료기관을 방문한 급성 상부위장관출혈 환자의 임상 양상

        백창렬 ( Chang Nyol Paik ),이인석 ( In Seok Lee ),오정환 ( Jung Hwan Oh ),박재명 ( Jae Myung Park ),조유경 ( Yu Kyung Cho ),김상우 ( Sang Woo Kim ),최명규 ( Myung Gyu Choi ),정인식 ( In Sik Chung ) 대한소화기학회 2006 대한소화기학회지 Vol.50 No.1

        서론: 급성 상부위장관출혈의 진단과 치료에서 응급내시경은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고 있다. 저자들은 급성 상부위장관출혈 환자에서 응급내시경 검사 결과에 따라 내시경 또는 약물 치료를 시행한 후 지혈 성공률과 예후 인자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상부위장관출혈로 내시경실을 방문하여 응급내시경을 검사하고, 내시경 소견에 따라 내시경 또는 약물 치료를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경과를 관찰하였다. 지혈 성공 여부는 초기 지혈성공률(응급내시경 검사 후 24시간)과 최종 지혈성공률(퇴원일 또는 응급내시경 검사 후 14일)로 판정하였다. 결과: 2003년 8월부터 2005년 4월까지 318명의 환자에서 응급내시경을 시행하였다. 출혈의 주 원인은 소화성 궤양(50.9%), 정맥류(28.3%), 말로리바이스증후군(10.3%)이었다. 내시경 지혈술은 62.9% (200/318명)에서 시행하였다. 초기 지혈성공률과 최종 지혈성공률은 각각 86.2%, 94.0%이었다. 지혈에 실패한 4명(1.3%)은 수술하였고, 13명(4.1%)은 출혈과 연관되어 사망하였다. 다변량분석에서 초기지혈 성공률과 연관된 인자는 수혈량(OR 0.80, 95% CI 0.72-0.89, p<0.001)과 인공호흡기 장착상태(OR 0.03, 95% CI 0.01-0.31, p<0.001)였고 최종지혈 성공과 관련된 인자는 수혈량(OR 0.79, 95% CI 0.69-0.90, p<0.001)과 중환자실에서 출혈한 경우(OR 0.12, 95% CI 0.13-0.49, p<0.001)이었다. 결론: 급성 상부위장관출혈 환자에서 응급내시경 소견에 따른 초기 지혈성공률과 최종 지혈성공률은 각각 86.2%와 94.0%였다. 총수혈량이 많거나, 중환자실 재원상태 또는 인공호흡기 장착 시 출혈한 경우는 예후가 불량하므로 치료에 주의를 요한다. Background/Aims: Acute upper gastrointestinal bleeding (UGIB) is still responsible for significant morbidity in spite of various therapeutic advances.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success rate in managing UGIB and predicting factors that affected clinical courses. Methods: From August 2003 to April 2005, medical data (registered in a standard database categories) of 318 patients who underwent endoscopic examination to evaluate UGIB were analyzed. Early and final treatment success rates were evaluated on the next day and 14 days after the initial endoscopic procedures respectively (or the day of discharge). Results: Main causes of UGIB were peptic ulcer (50.9%), varices (28.3%), Mallory-Weiss syndrome (10.3%). Endoscopic treatments were tried in 200 patients (63.0%). Number of patients who underwent operation and deaths were 4 (1.3%) and 13 (4.1%), respectively. Early and final success rates were 86.2% and 94.0%.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s related with early success rates were volume of transfusion (OR 0.80, 95% CI 0.72-0.89, p<0.001) and bleeding during the ventilator care (OR 0.03, 95% CI 0.01-0.31, p<0.001), whereas those factors related with final success rates were volume of transfusion (OR 0.79, 95% CI 0.69-0.90, p<0.001), bleeding during the stay in intensive care unit (ICU) (OR 0.12, 95% CI 0.13-0.49, p<0.001). Conclusions: Early and final success rates of bleeding control were 86.2% and 94.0% in acute UGIB. Volume of transfusion, bleeding during ICU state or ventilator state were important predictive factors of the treatment failure. (Korean J Gastroenterol 2007;50:26-35)

      • KCI등재
      • KCI등재

        상부 위장관 내시경 후 발생한 경부 국소농양 1예

        우현재,배창훈,김용대,송시연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8 Clinical Endoscopy Vol.37 No.3

        상부 위장관 내시경은 비교적 안전한 검사이지만 무리한 조작에 의해 상부 위장관의 천공이 드물게 발생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대부분 하인두 및 경부식도에서 발생한다. 천공이 발생한 즉시 적절한 치료가 시행되면 인접한 경부공간으로 염증이 파급되지 않고 치유될 수 있지만, 치료의 시작이 늦어질 경우 대부분 경부공간을 타고 하방으로 파급되어 종격동염, 심내막염, 췌장염, 패혈증 등의 치명적인 합병증으로 진행된다. 저자들은 상부 위장관 내시경 시행 직후부터 좌측 경부 통증을 호소한 31세 남자 환자에서, 경부식도 천공에 의한 경부 농양을 조기에 확인하여 보존적인 치료를 통해 성공적으로 치료하였다. 상부 위장관 내시경을 받은 환자가 수일 이상의 지속적인 인후통을 호소하는 경우, 인후두부에 특이소견이 없다고 해서 단순한 일과성 통증으로 간주할 것이 아니라 경부측방촬영을 즉시 시행하여 이상소견의 유무를 확인하거나, 이비인후과와의 긴밀한 협진을 통해 식도손상에 의한 심각한 합병증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 KCI등재

        일반 상부위장관 내시경의 전처치로서Cimetropium Bromide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이주용,김성중,최창순,김영묵,정현주,이정은,백광호,김진봉,김동준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8 Clinical Endoscopy Vol.37 No.6

        목적: Cimetropium bromide는 상부위장관 내시경 검사시 전처치제로 빈번히 사용되고 있으나 그 효과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일반 상부위장관 내시경 검사의 전처치로 cimetropium bromide의 효과를 위약과 비교하여 피검자의 편안한 정도와 시술자의 검사 용이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9월부터 2006년 11월까지 한림대학교 부속 춘천성심병원에서 일반 상부위장관 내시경을 받은 외래 환자를 대상으로 이중 맹검법, 무작위, 환자-대조군, 전향적 연구로 진행되었다. 검사 시행 30분전 cimetropium bromide 5 mg (1 mL)과 생리적 식염수 1 mL를 근주 후 내시경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검사가 종료된 후 내시경 시술시간, 검사 도중 피검자의 편안한 정도, 시술자가 판단한 위 분비물 정도, 그리고 위 장관의 연동운동 정도 등을 각각 5단계로 분류하여 설문조사를 시행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299명의 대상자 중 149명이 cimetropium bromide으로, 150명은 동일량의 생리식염수로 근주하여 전처치를 하였다. 평균 검사시간은 양 군에서 각각 2.79분과 2.66분으로 차이가 없었으며(p=0.337), 약제 투여에 따른 유의한 부작용은 없었다. 피검자가 느끼는 편안함의 정도(p=0.597), 시술자가 판단한 위 장관 연동운동의 정도(p=0.558)와 위 분비물의 정도(p=0.826)에서 양 군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일반 상부위장관 내시경 시 cimetropium bromide 5 mg 근주를 이용한 전처치는 위약과 비교하여 내시경 시술자의 검사 용이성과 피검자의 편안한 정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 KCI등재

        상부 위장관 내시경 후 발생한 식도천공에 의한 심부 경부감염증

        심성곤,이항락,이강녕,이오영,윤병철,최호순,함준수,태경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9 Clinical Endoscopy Vol.38 No.4

        Diagnostic upper gastrointestinal endoscopy is a very commonly performed procedure. Physicians use it as a safe diagnostic tool to evaluate patients with a wide range of problems and complaints, but it can cause several complications in few cases. Esophageal perforation is a rare complication of upper gastrointestinal endoscopy, but it is associated with a relatively high mortality rate. Surgical management is required in most such cases. However, medical treatment can be considered for selected patients who are without a large perforation or systemic effects such as sepsis. Deep neck abscess can develop in patients who have had difficult intubations, and this may be related to retropharyngeal trauma or unapparent perforations. We experienced a case of deep neck infection due to an esophageal perforation that developed as a complication of diagnostic upper gastrointestinal endoscopy, and we successfully treated this patient with incision and drainage. 상부 위장관의 진단적 내시경은 다양한 증상의 환자들의 진단 방법으로 매우 자주 사용하며, 안전한 술기이나 종종 합병증이 발생한다. 식도 천공은 상부 위장관 내시경에서 매우 드물게 발생하지만 비교적 치사율이 높은 합병증이다. 대게 수술적 치료를 하게 되지만 천공이 크지 않고 폐혈증 같은 전신적인 합병증이 없는 경우에는 내과적 치료로 완치될 수 있다. 심부 경부감염증은 삽관이 잘 되지 않아 어려움을 겪었던 환자에서 생길 수 있으며 후인두에 상처가 생겼거나, 임상적으로 뚜렷하지 않은 식도천공과 연관하여 발생할 수 있다. 저자들은 진단적 상부 위장관에 의해 식도 천공이 발생하고 이후 심부 경부감염증이 생겨 배농술로 완치된 1예를 경험하여 보고한다.

      • KCI등재

        상부 위장관 스텐트 삽입술의 현황과 미래

        박종재,양창헌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2009 Clinical Endoscopy Vol.38 No.2

        Stent implantation in the upper gastrointestinal (UGI) tract is now widely accepted for achieving palliative symptom relief of patients who have malignant UGI obstruction and causative symptoms such as nausea, vomiting, malnutrition and acid reflux. With the increased technical progress and clinical experiences, it has become possible to perform this procedure with more safety and convenience. However, clinicians should also focus on the post-procedural management because complications such as stent migration or in-stent tumor growth could occur. On the other hand, temporary stent insertion is an effective treatment option for benign diseases such as pyloric strictures due to benign peptic ulcer, esophageal perforation or leakage on the anastomosis site. In this review, several issues about stent implantation in the UGI tract, such as the main indications, the current status and the expected applications in other fields in the near future, are briefly discussed. 상부 위장관의 스텐트 삽입술은 근치적 수술이 불가능한 상부 악성 종양에 의한 협착 환자의 폐쇄 증상 완화를 위한 보존적 치료로서 확립되었다. 내시경 개발 기술이 발달하고 임상 경험이 축적됨에 따라 이제는 여러 상부위장관 질환에서 스텐트 삽입술을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게 시행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악성 병변의 보존적 치료뿐 아니라 소화성 궤양에 의한 양성 협착, 식도 천공 혹은 수술 후 문합부 누출 등의 질환에서도 일시적인 스텐트 삽입술로 치료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종설에서는 최근 상부 위장관 스텐트 삽입술의 현황, 그리고 앞으로 기대되는 임상적 응용 분야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