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따밀어 문자 및 음운 체계에 관한 소고

        고태진(Koh, Tae-Jin)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2014 남아시아연구 Vol.20 No.2

        따밀어(Tamil)는 인도 남부에서 쓰이는 드라비다(Dravidian)어족 계통의 언어로 그 사용자 수는 약 7 천만 명에 이른다. 오늘날의 따밀어는 산스끄리뜨어와 브라흐미(Brahmi) 문자의 영향을 받으면서 문자 및 발음의 변화 그리고 문학적 특성에 의해 구별된 세 시기에 걸쳐 발전되었다. 따밀어의 문자는 다른 인도 문자들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단독 자음의 표기법인 점(Pulli, ?)의 사용과 원순문자(Vatteluttu, 圓脣文字)라는 독특한 모습을 띠고 있다. 그리고 깐나다어(Kannada), 뗄루구어(Telugu), 말라얄람어(Malayalam) 등의 드라비다 언어들과 달리 상보적 분포에 따른 이음들을 보여주는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다시 말해서 따밀어의 파열음과 파찰음은 원칙적으로 무성무기음만 존재하며 각각의 유성무기음과 무성유기음, 즉 파열음과 파찰음 그리고 일부 유음과 활음은 하나 이상의 변이음을 갖는 상보적 분포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상보적 분포는 음운 환경에 따라 규칙적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때로는 서로 혼용되어 쓰여지기도 한다. 또한 구어체와 문어체로 구별되는 따밀어의 역사적 발전은 발음의 편의성이 음운 규칙에 영향을 끼치는 결과를 낳기도 하였다. 그간 따밀어 문법학자들은 주로 『똘까삐얌』(T(l((((iyam) 중심의 전통 따밀어에 대하여 연구를 한 반면 구어체 중심의 현대 따밀어에 대해서는 등한시 하였던 것이 사실이다. 그리고 따밀어에 대한 국내 연구가 전무한 상황에서 본고는 힌디어 전공자들의 효율적인 따밀어 학습을 위한 연구의 기초 작업으로서 문자의 형성 과정 및 발음의 특징과 상보적 분포에 따른 변이음들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는 『똘까삐얌』 중심의 문어체 음운체계에서 벗어나 발음의 편의성에 따른 음운환경을 고려한 구어체 중심으로 대변되는 현대 따밀어 음운체계를 새롭게 정리하는 목적이기도 하다. Tamil is one of the Dravidian languages and is spoken mainly in the southern part of India, parts of Sri Lanka, Malaysia and Singapore. The Tamil grammatical tradition is traceable to the pre-Christian era. To be more specific, the earliest grammatical work, Tolk?ppiyam belongs to the fifth century B.C. The present work is divided into three sections starting with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amil and ending with complementary distribution. Between the two sections, the script is discussed. In order to describe the sound system of languages, linguists use the notion of the phoneme. A phoneme is a contrastive unit in the sound system of a particular language. Each phoneme has a series of realizations. Realizations of the same phoneme are called ‘allophones’. In Tamil, it is particularly required to conduct a study on allophones and the environment in which they occur since Tamil shows a complex sound system. This paper investigates the phonological rule of stops as well as some features of the script in Tamil. By doing this, this work is to present a description of the above structure as clearly as possible and makes a humble attempt to provide the basic learning material for Tamil’s sound system and script.

      • KCI등재

        비정형 보충절에 나타난 중간태 동사의 통사적 특성

        조기현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인문학연구 Vol.56 No.4

        영어에서 수동태 동사와 중간태 동사는 통사적으로 상보적 분포 관계에 있다고 분석할 수 있는데, ‘tough’구문의 경우에는 ‘to’ 부정사 구문을 하위 범주로 선택하고 ‘want’ 동사의 경우에는 ‘-ing’ 동명사 구문만을 하위범주로 선택한다. 이러한 상보적 분포관계는 정형절 T0는 [Active], [Passive], [Middle] 자질을 모두 선택할 수 있지만, 비정형절 T0는 완전한 태 자질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전제로 설명이 가능하다. 중간태 동사가 비정형 보충절인 ‘want + Vmiddle + ing’ 구문과 ‘tough + to + VMiddle’구문은 내포절의 내부 논항이 상위절 [Spec, TP]로의 의무적 논항이동이 일어나는 점에서 공통점을 가진다. 그러나 ‘want’ 동사는 중간태 동사의 비정형절을 하위 범주로 선택하는 경우에 ‘VMiddle +ing’ 구문만을 허용하고, ‘tough’ 술어의 경우에는 ‘to + VMiddle’ 구문을 허용하는데 이러한 차이점은 상위절의 술어동사의 하위범주화에서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영어에서 수동태와 중간태는 통사적으로 상보적 분포(complemental distribution) 관계에 있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비정형절을 하위 범주로 선택할 때, ‘VMiddle +ing’ 구문과 ‘to + VMiddle’ 구문 모두 허용하는 상위절 동사는 허용되지 않는다. The study aims at examining the syntactic distribution of non-finite sentential complements in English. The present study focuses its attention on sentential complements that are realized by a 'want + Vmiddle + ing' construction. The 'want + Vmiddle + ing' construction has certain features in the position of the argument and presence of expletives compared to control and raising constructions. For instance, the internal argument of the embedded non-finite clausal complement which includes a middle verb must be moved to the Spec position of the matrix clause by assuming that there is Voice features to be checked. Whether expletives, 'there' or 'it' is permitted in the 'want + Vmiddle + ing' construction should be examined, compared to control and raising constructions. In conclusion, this study argues that the 'want + Vmiddle + ing' construction has common and different(hybrid) syntactic properties compared to ‘tough + to + Vmiddle’ constructions.

      • KCI등재

        중세국어 피동 접사 ‘-이-’, ‘-히-’, ‘-기-’, ‘-리-’의 분포적 특성과 성격

        신승용(Shin Seung-Yong) 우리말학회 2019 우리말연구 Vol.58 No.-

        중세국어 피동 접사 ‘-기-’, ‘-히-’, ‘-이-’를 ‘*gi>*γi>(hi)>ɦi>i’ 음운 변화에 의한 이형태 관계로 해석하기도 한다. 그런데 ‘-기-’, ‘-히-’, ‘-이-’의 분포 환경과 ‘*gi>*γi>(hi)>ɦi>i’ 변화의 환경을 함께 고려할 때 이러한 가정에는 문제가 있다. 첫째, 피동 접사 ‘-기-’, ‘-히-’, ‘-이-’가 중세 국어 당시에 상보적 분포를 이루지 못한다는 점에서 이를 이형태 관계로 볼 수 없다. 둘째, ‘-기-’, ‘-히-’, ‘-이-’의 시간적 선후를 확정하기 어렵다. 이러한 사실을 고려할 때 ‘-기-’, ‘-히-’, ‘-이-’를 ‘*gi>*γi>(hi)>ɦi>i’ 변화에 의해 이형태로 분화된 것으로 보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It is interpreted that passive suffix in the middle Korean ‘-ki-’, ‘-hi-’ and ‘-i-’ is a relation of allomorph that are associated with the phonological change such as ‘* gi> * γi> (hi) > ɦi> i’ . However, this assumption is problematic when considering the environment of the suffix ‘-ki-’, ‘-hi-’ and ‘-i-’ in th middle Korean and the change of ‘* gi> * γi> (hi) > ɦi> i’ . First, they did not have complementary distribution in the middle Korean, so ‘-ki-’, ‘-hi-’ and ‘-i-’ can not be regarded as relation of allomorph. Secondly, it is difficult to confirm the development oder of ‘-ki-’, ‘-hi-’ and ‘-i-’. Considering these facts, it can not be seen that ‘-ki-’, ‘-hi-’ and ‘-i-’ was developed as allomorphs chronogically by the change of ‘* gi> * γi> (hi)> ɦi> i’.

      • KCI등재

        單音節、雙音節帶賓形容詞比較硏究

        박덕준 중국어문학회 2010 中國語文學誌 Vol.34 No.-

        이 논문은 통사, 의미, 화용적인 측면에서 중국어 일음절과 이음절 사역형용사의 비교에 대해 고찰했다. 통사적인 면에 있어서, 일음절과 이음절 사역형용사는 목적어를 취할 때 공통적으로 세 가지 유형이 있음을 밝혔다. A형은 목적어를 취할 때 반드시 상표지와 공기해야 하며 [+의존] 특징을 지녔다. B형은 상표지에 관계 없이 목적어를 취할 수 있어 [±의존] 특징을 지녔다. C형은 일음절 사역형용사는 목적어를 취할 때 상표지 없이 문장이 완결되며 [-의존] 특징을 지녔다. 다만 이음절 사역형용사는 수량구와 공기해야 문장이 완결된다는 점에서 일음절 사역형용사와 차이가 있다. A형과 C형은 중첩하지 못하지만 B형은 중첩 할 수 있음을 밝혔다. 의미적인면에 있어서, 일음절 사역형용사는 [-통제], [-자주]의 의미특징을 지니고 있는 반면에, 이음절 사역형용사는 [+통제], [+자주]의 의미특징을 지녔음을 밝혔다. 이 두 가지 형용사는 의미 특징에서 相補的임을 나타냈다. 화용적인 면에 있어서, 일음절 사역형용사는 부정적 의미를 지닌 비율이 63%이지만 이음절 사역형용사는 긍정적 의미를 지닌 비율이 42%를 차지해 대조를 이루고 있음을 밝혔다. 긍정적 의미와 부정적 의미에 있어서, 일음절 사역형용사와 이음절 사역형용사가 상보적 분포의 특징을 나타냈다. 그리고 일음절 사역형용사는 구어체가 주를 이루고 있지만 이음절 사역형용사는 문어체와 준구어체 형식으로 쓰였음을 밝혔다. 문체에 있어서, 일음절 사역형용사와 이음절 사역형용사는 상보적 분포를 이루었음을 나타냈다. 앞으로 사역형용사의 발전 추세에 대해 전망한다면, 그것에 영향을 미치는 몇 가지 요소를 들 수 있다. 첫째, 지금까지의 다음절어 발전의 내재적 규칙이 앞으로 이음절 사역형용사의 발전을 이끌 것이다. 동시에 다음절어 발전의 내재적 규칙이 일음절 사역형용사의 발전을 제약시킬 것이다. 둘째, 중국어 성질형용사의 특성이 사역기능을 쉽게 재생하게 하며 더 많은 이음절 사역형용사를 생성하게 할 것이다. 셋째, 이음절 사역형용사 구조가 사역구문보다 경제적이고 간결해서 대중들의 구어체 요구에 부합된다. 넷째, 중국 의 체제와 사회의 대외개방이 지속되고 누리꾼과 인터넷, 매체들이 새것에 대한 추구가 지속되는 한, 이런 외부 요소가 새로운 사역형용사를 탄생케 하는 언어 환경을 조성할 것이다.

      • KCI등재

        ‘ㅸ’의 음가론

        이동석 국어사학회 2013 국어사연구 Vol.0 No.17

        ‘ㅸ’은 초성 17자에 포함되어 있지 않지만, 『訓民正音』 ‘예의’에 순경음에 대한 규정이 있고, ‘제자해’에 음가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있다. ‘ㅸ’의 음가에 대해서는 그동안 많은 논의가 있었으나, 양순유성마찰음 / /로 보는 것이 일반적인 견해다. 그러나 초성 17자에 포함되지 못하고 사용 시기가 20년을 넘지 못하며 각자병서, ‘ㅭ’과 같은 인위적인 표기와 비슷한 시기에 폐기된 것을 볼 때 인위적인 표기였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순경음에 대한 제자해의 음가 설명이 한자음을 대상으로 하는 ‘飜譯老乞大朴通事 凡例’에서의 설명과 유사한 것을 보면 ‘ㅸ’의 음가는 /w/일 가능성이 높다. 『鷄林類事』, 『朝鮮館譯語』와 같은 차자표기 자료에서도 ‘ㅸ’의 존재를 발견할 수 없으며, ‘ㅸ’을 포함하는 대부분의 단어가 복합어로 분석된다는 점에서도 ‘ㅸ’을 기저 음소로 보기는 어렵다. 음운론적으로는 ‘ㅂ’과 ‘ㅸ’이 상보적 분포를 이루지 못하므로 ‘ㅸ’을 변이음으로 볼 수 없고, 또한 ‘ㅸ’이 ‘ㅂ’과 최소대립쌍을 이루지 못하므로 ‘ㅸ’을 음소로 보기도 어렵다. 오히려 ‘쉽다’의 파생부사가 ‘쉬’가 아닌 ‘수’로 나타나는 점, ‘*샙 + -이’의 구성이 ‘*새’가 아닌 ‘사’로 표기되는 점 등은 ‘ㅸ’이 /w/의 음가를 가질 때에만 설명이 가능하므로, ‘ㅸ’은 기저의 /p/가 [w]로 약화된 현상에 대한 인식을 반영하는 인위적인 표기라고 할 수 있다. ‘ㅸ’ doesn’t belong to onset characters, but there are the explanation of sungjeong-um in ‘yeui’ and ‘jejahae’. This character had been used for fifteen years and thereafter changed to ‘ㅗ’, ‘ㅜ’ or vanished. ‘ㅸ’ has been studied for a long time, but the phonetic value of ‘ㅸ’ has not been decided yet. It is general theory that the phonetic value of ‘ㅸ’ is voiced bilabial fricative / /. But It is likely for ‘ㅸ’ to be artificial character, because it had been used for fifteen years. While not part of onset characters, ‘ㅸ’ had been used in native word notation. It also raise the posobillity of artificial character. In terms of the phonetic value, as it is similar for two descriptions, Jejahae and Beonyeok-Nogeoltai-Paktongsa-Beomlye, it is likely for the phonetic value of ‘ㅸ’ to be same, in the case of native word and sound of chinese characters. Then it is almost certainly that the phonetic value of ‘ㅸ’ is /w/. In terms of phonology, as the complementary distribution of ‘ㅂ’ and ‘ㅸ’ isn’t established, it is impossible for ‘ㅸ’ to be allophone. As the minimal pair of ‘ㅂ’ and ‘ㅸ’ isn’t established, also it is impossible for ‘ㅸ’ to be phoneme. In addition, there are some grounds to assure that the phonetic value of ‘ㅸ’ is /w/. First, the derivational adverb of ‘suipta’ isn’t ‘suibi’ but ‘subi’. Second, the combination of ‘sap’ and ‘-i’ isn’t ‘sabi’ but ‘*saibi’. These are evidence that the phonetic value of ‘ㅸ’ is /w/.

      • KCI등재

        현대 국어의 사이시옷은 과연 형태소인가

        최형용 형태론 2009 형태론 Vol.11 No.1

        주지하는 바와 같이 사이시옷은 관형격을 나타내는 문법형태소로서의 자격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현대 국어에서의 사이시옷은 거의 합성 명사 내부에서만 나타날 뿐이고 문장에서는 그 문법적 지위를 잃었다. 단어 내부에서 문법적 기능을 갖는다는 것 자체가 무리일 뿐만 아니라 그동안의 논의에서 그 분포를 설명하기 위해 베풀어진 의미론적 환경 제시도 예측력을 상실하였다. 즉 현대 국어의 사이시옷은 독자적 의미를 가지고 있지 못하며 애초에 가지고 있었던 상보적 분포도 보여 주지 못한다. 따라서 이를 형태소로 간주하는 것은 사이시옷의 과거에 집착한 결과라 할 수 있다. 또한 선행 요소나 후행 요소의 일부분으로 간주되는 사이시옷이 적지 않고 출현에서 임의성을 보여 주는 예들의 존재는 사이시옷을 공형태소로 간주하는 것도 쉽지 않다는 사실을 말해 준다. 유형론적으로도 현대 국어의 사이시옷과 비슷한 지위를 가지는 것이 보고된 바 있는데 이들도 형태소로서의 자격을 가지지는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As has been well-known, ‘Sai-sios’, in the past, had a status as a grammatical morpheme for genitive case. But in modern Korean ‘Sai-sios’ only occurs in a compound and has lost such a grammatical status in a sentence. It is implausible to state that ‘Sai-sios’ functions in a word if it were a syntactic unit. Moreover, the previous literature which mainly relies on semantic meanings to explain the distributions of ‘Sai-sios’ does not make consistent predictions and hence cannot be sustained. ‘Sai-sios’ in modern Korean does not have its independent meaning nor does it exhibit complementary distributions. Therefore, we cannot maintain the analysis of ‘Sai-sios’ as a grammatical morpheme unlike in the past. Since the distributions of ‘Sai-sios’ cannot be explained straightforwardly, ‘Sai-sios’ cannot be considered as a null morpheme. The claim that ‘Sai-sios’ is not a morpheme gets another support from typological evidence involving the equivalents of ‘Sai-sios’ in many languages.

      • KCI등재

        의존 명사 "것"으로부터 도출된 몇몇 형식에 대한 고찰

        이은섭 ( Eun Sup Lee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5 비교문화연구 Vol.41 No.-

        본고는 의존 명사 ``것``으로부터 도출된 ‘거’, ‘게’, ‘걸’의 성격 구명을 위해 작성된 것이다. 최근 이 형식들을 ‘것’의 이형태로 간주한 논의가 있다. 그러나 이는 교체와 이형태 개념의 전제가 되는 엄밀한 조건들에 대한 고려를 결한 것으로서 재고되어야 한다. 특히 ‘거’는 기능과 분포의 면에서 ‘것’과 거의 동일하므로 이형태가 아닌 수의적 변이형이며, 부사격 조사와 통합하는 ``걸``은 비록 제약이 강하기는 하나 ‘거’의 수의적 변이형으로 보아야 한다. 또한 격조사구의 일부로서의 ``게``나 ``걸``은 이미 형태소의 층위를 넘어선 통합 형식이므로 이형태 논의와는 무관하다. 결국 ``것``의 이형태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some forms, “거” [k.], “게” [ke], and “걸” [k.l], which originated from a dependent noun “것” [k.t]. Nowadays, some studies have argued that these forms are allomorphs of “것” [k.t]. However, they are not allomorphs because they do not show a complementary distribution with “것” [k.t]. Moreover, we should not deal with “게” [ke] and “걸” [k.l] as at the same level of “것” [k.t] and “거” [k.] because they respectively consist of “거” [k.], and the subjective case marker “이” [i] or the accusative case marker “ㄹ” [l]. In other words, they function as an element of a sentence. Therefore, just the “거” [k.] and “걸” [k.l] remain to be argued about concerning variation among them. Especially, the “거” [k.] is almost freely alternated with “것” [k.t], whereas even though “걸” [k.l], which is not part of KP (N + case marker), is very restricted so as to appear to be from “거” [k.]. Of course, the restriction they show cannot be under the condition that corresponds to the conception of the alternation. In conclusion, only the “거” [k.] is just an optional variation morph of “것” [k.t], whereas “걸” [k.l] is an optional variation morph of “거” [k.]. There is no allomorph of “것” [k.t] in the forms originated from itself.

      • 영어 전치사구의 명사구적 속성

        이순열 새한영어영문학회 2002 새한영어영문학 Vol.4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PP as NP. An argument PP has the same status as NP in the argument structure while they are in complementary distribution in the categorial structure. In the traditional grammar based on Latin, PP has been treated as an adverbial constituent because Latin doesn't have PP corresponding to English PP. Within the domain of formal syntax, PP is one of the universal major categories with NP, VP, and AP and "preposition stranding" have been explained by ECP and Case Theory. However, the formal analysis has too many counterexamples to solve them theory-internally. In addition, PP is different from the other major categories in that its meaning depends on its complement NP, not the head, preposition. This study argues that PP typically occurs except before and after verb, that PP and NP overlap in the focus position of cleft sentence and COMP, which demonstrates the two categories share some properties in the argument structure, and that "preposition stranding" is a mapping process of an argument to NP or PP (in LFG). A locative argument can be realized as subject PP with a theme (In the corner was a lamp.) A peripheral locative argument can be subject NP with an missing agent (This bed was slept in). In sum, the syntactic similarity of NP and PP can be found in the argument structure and the distribution of the two categories are determined by the construction-specific rule in English.

      • KCI등재후보

        현진건 소설에 나타난 경북 방언(1)

        김태엽 우리말글학회 2004 우리말 글 Vol.31 No.-

        The primary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scribe the grammatical forms of Gyeongbuk dialect in Hyeon, Jin-geon’s novels and the relation the Gyeongbuk dialect in Hyeon, Jin-geon’s novels between this regional dialect of nowaday. We can find out the grammatical forms of Gyeongbuk dialect in Hyeon, Jin-geon’s novels. There are not so much the grammatical forms of Gyeongbuk dialect in his novels. We can find out endings and postpositions of Gyeongbuk dialect in these novels. There are the interrogative final-endings such as ‘-ga’, ‘-go’, ‘-na’, ‘-no’, ‘-ngo’, ‘-nga’, ‘-lkko’, ‘-lkka’, ‘-ngio’ and the declarative final-endings such as ‘-guma’, ‘-numa’, ‘-deoma’ and the imperative final-endings such as ‘-geora’, ‘-go’ in Hyeon, Jin-geon’s novels. And there are the conjunctive endings such as ‘-e gajigo’, ‘-eulla’ in his novels. The interrogative final-ending ‘-ngyo’ of Gyeongbuk dialect ‘-ngio’ is formed the contraction of ‘-ngio’ in Hyeon, Jin-geon’s novel of 1920’s. The interrogative final-endings such as ‘-go’, ‘-no’, ‘-ngo’, ‘-lkko’ are distributed complementary with an interrogative pronoun, but the ‘-ga’, ‘-na’, ‘-nga’, ‘-lkka’ are not distributed complementary with an interrogative pronoun. These interrogative final-endings and the declarative final-endings such as ‘-guma’, ‘-numa’, ‘deoma’ are widely used in Gyeongbuk dialect of nowaday. And the imperative final-endings such as ‘-geora’, ‘-go’ and the conjunctive endings such as ‘-egajigo’, ‘-eulla’ are widely used also in Gyeongbuk dialect. The conjunctive ending ‘-egajigo’ in Hyeon, Jin-geon’s novels is formed by the grammaticalization of verb ‘gajida’. The ‘-egajigo’ and ‘-ega’ is used as a conjunctive ending in Gyeongbuk dialect of nowaday. The degree of grammaticalization of the ‘-ega’ is a little above than that of the ‘-egajigo’ in these regional dialect. We can find out the postpositions such as ‘-i’, ‘-eullo’, ‘-maero’, ‘-kkeojeong’, ‘-bodam’, ‘-kang’ in Hyeon, Jin-geon’s novels. The postposition ‘-i’ is distributed after the vowel and the ‘-ga’ is distributed after the consonant in Jungbu dialect. But that complement distribution of the ‘-i’ and ‘-ga’ not carry out in Gyeongbuk dialect. The postposition ‘-eullo’, ‘-maero’, ‘-kkeojeong’, ‘-bodam’, ‘-kang’ of Gyeongbuk dialect confront each other the ‘-eul’, ‘-gachi’, ‘-kkaji’, ‘-boda’, ‘-wa’ in jungbu dialect of nowaday. The verb ‘kada’ that is widely used in Hyeon, Jin-geon’s novels and Gyeongbuk dialect of nowaday is formed by the contraction of the ‘-go hada’.(Daegu University)

      • KCI등재

        ‘않-’와 ‘말-’의 교체에 대하여

        양정호 ( Yang Jeong-ho ) 국어학회 2016 국어학 Vol.7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alternation of ‘anh-’ and ‘mal-’ in the tiers of lexeme.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identity of meaning and the complementary distribution will be examined, assuming that these two criteria, which constitute key criteria that confirms the alternation in the tiers of morpheme, can be applicable in the discussion of alternation in the tiers of lexeme. In addition, this study includes a discussion on the types and the conditions of alternation of ‘anh-’ and ‘mal-’. The discussion lead us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1) ‘anh-’ and ‘mal-’ have the same meaning, negation of an action or state expressed by the preceding verb. (2) ‘anh-’ and ‘mal-’ are in complementary, not exclusive, distribution. ‘anh-’ and ‘mal-’ are not in the exclusive distribution in some cases because of a historic change, the expansion of the distribution of ‘anh-’. (3) Identity of meaning and complementary distribution of ‘anh-’ and ‘mal-’ confirm that they are in the alternation. (4) The alternation of ‘anh-’ and ‘mal-’ occurs at the level of morpheme, not of lexeme. (5) The alternation of ‘anh-’ and ‘mal-’ is resulted from the semantic condition of ‘repeatability’ and ‘a broad meaning of impera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