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려시대 안동지역 ‘삼공신<SUP>三功臣</SUP>’ 신사<SUP>神祠</SUP>의 기원과 성격

        이종서(李鍾書) 한국국학진흥원 2019 국학연구 Vol.0 No.39

        현재 안동시에 있는 ‘태사묘太師廟’는 삼공신의 공훈과 이로 인한 고창군의 안동부 승격을 중심으로 이해되고 있다. 그러나 1425년 이전에 안동 지역에서 삼공신에게 부여한 의미와 역할, 삼공신을 모신 사당과 이곳에서 이루어진 제향의 성격은 현재의 태사묘와 크게 달랐다. 태사묘와 그 전신인 ‘삼공신묘’는 조선시대 전 기간 현재의 위치에 있었으며, 이 위치는 향리가 관할하는 ‘부사府司’영역이었다. 위치를 보면 조선전기 삼공신묘의 성격은 관청의 서리 · 향리 집단이 주도한 ‘부근당’ 신앙과 유사하다. 그러나 고려시대에 삼공신은 고려시대 치소성의 성황신으로서 지역 전체를 수호하는 신이었을 가능성이 크다. 성황사에는 남신인 삼공신상 외에 여신상도 함께 안치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삼공신의 후손이자 지배층이었던 상급 향리집단은 성황제의를 주도하며 삼공신을 자신들과 연결시켜 권위를 높이고 지역사회를 이끌었다. The current understanding of Taesamyo (太師廟) in Andong is centered around the deed of Three Meritorious Retainers and the resulting promotion of Gochang-goon to Andong-bu. However, the original understanding of the Three Retainers’ significance and the nature of their temple until 1425 greatly differed from that of the present days. Throughout the Joseon Dynasty, The Three Meritorious Retainers’ Temple existed in the current location, which consisted the office area Busa (府司) administered by the local official Hyangli. Its location signifies that its character resembled that of the Bugeundang religion prompted by the Hyangli group. However, it is likely that the Three Retainers in Goryo period functioned as the patron gods of the central city of Andong area. Their temple also possibly enshrined female deity as well as the male Three Retainers. The ruling Hyangli class, which was the descendant of the Three Retainers, administered the ritual for them and thus secured the authority to lead the local society.

      • KCI등재

        고려시대의 三師와 三公

        권영국 숭실사학회 2016 숭실사학 Vol.0 No.36

        고려의 삼사ㆍ삼공은 성종대에 정1품의 최고 관직으로 설치되어 고위관료와 종실을 대상으로 제수되었다. 원 간섭기에 사도와 사공을 제외한 태위와 삼사직이 폐지되었고, 원의 간섭으로부터 벗어나 문종대의 관제로 환원되는 공민왕5년부터 8년 사이에 사도와 사공만 제수되다가 이후 완전히 자취를 감추었다. 唐에 비해 고려에서 삼사ㆍ삼공직의 제수가 많았던 것은 왕조의 존속 기간이 길었던 이유도 있지만 安史의 난 이후 濫授되었던 당의 삼사ㆍ삼공제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왕자는 처음 侯로 책봉될 때에 삼공직을 받았으나 이후 公이 되면 삼사직으로 승진하였다. 왕자 이외의 종실은 宗親不仕의 원칙에 따라 직사가 없는 3품 이상의 검교직이나 삼사ㆍ삼공직을 받았다. 부마가 되면 伯으로 봉작되었는데 이때에 삼공직이 제수되기도 하였다. 관료의 경우 삼사ㆍ삼공직의 제수 조건은 기본적으로 관품이 2품 이상이고. 3품일 때에는 재신직이나 추신직을 겸하였다. 삼사와 삼공직이 제수되는 배경을 보여주는 사료가 거의 없어 구체적인 내용은 알 수 없으나 축성이나 진보의 설치, 반란 진압, 국왕에 納妃, 은퇴 시, 사망 후의 追贈등 특별한 경우에 주어졌다. 삼사ㆍ삼공직은 모두 본직에 추가로 제수되는 加官이었으므로 겸직에게 전시가 지급되지 않았던 것처럼 삼사ㆍ삼공직에게도 전시가 지급되지 않았다. 녹봉 역시 겸직에게 지급되지 않는 것이었으나 삼사ㆍ삼공에게는 지급되었는데 본직의 녹봉에 추가로 지급되는 것이었으므로 지급액이 많지는 않았다. 백관의 儀從인 구사는 겸직에게도 지급되었는데 삼사와 삼공은 같은 관품이었지만 지급액에 차이가 있었다. 삼사와 삼공은 論道經邦이라는 상징적 직무 이외에 특별한 직무는 없었으나, 특히 三公은 길례ㆍ흉례ㆍ가례 등 각종 국가의 儀禮에 참여하였다. 삼사와 삼공은 같은 정1품직이지만 고위 재상이 겸하는 三師는 국왕의 스승과 최고 보좌관에 해당하였으므로 그 지위에 맞는 대우를 받아 각종 국가의 의례에는 참여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The public officers of Samsa(三師;Taesa, Taebu, Taebo) and Samgong(三公;Three Excellencies; Taewee, Sado, Sagong) were established as the first grade of the official ranks in the reign of King Seongjong(成宗), and appointed against the top officials and royal family. In the Yuan interference age, except Sado(司徒) and Sagong(司空), the public officers of Samsa were abolished, and in the period between 5 and 8 years of King Gongmin(恭愍王), only the Sado and Sagong were appointed, and since then totally disappeared. Compared with the Tang Dynasty(唐王朝), there were many appointments of the public officers of Samsa and Samgong because of the influence of Samsa and Samgong system of Tang Dynasty which was appointed excessively after the An Lushan Rebellion(安史의 亂), as well as the long-lasting duration of the Goryeo Dynasty. When the Prince was installed as the Marquis(侯) at the first time, he received the public officer of Samgong, and when he became the Duke(公), and then he advanced in a rank to the public officer of Samsa. The royal family except the Prince received the public officer of Geomgyo(檢校) or SamsaㆍSamgong without business according to the principle that they could not enter the government office(宗親不仕原則). When they became a son-in-law of the king (駙馬), they invested with the Count(伯) and appointed to the public officer of Samgong. In the case of officials(官僚), the qualification for appointment of the SamsaㆍSamgong was the second grade of the official ranks(2品) or more, and when they were the third grade of the official ranks(3品), they had to hold also the public officer of Jaesin(宰臣) or Chusin(樞臣). Because of the lack of historical materials that can instruct the background of appointment of Samsa and Samgong, we could not examine the details. But the public officers of Samgong and Samgong were given in the special cases such as construction of a castle, the suppression of a rebellion, devoting the queen to the king(納妃), the time to retire from office and the extra appointment after death(追贈). The Jeonsi(田柴; farmland and mountain for collecting firewood) was not given to Samsa and Samgong because they were additional officials(加官) as the plural offices(兼職) could not receive the Jeonsi. The feudal allowance(祿俸) also was not given to plural officials, but Samsa and Samgong received the feudal allowance. However, because the allowance was an additional provision to the stipend of one’s main business(本職), it was not much. The Gusa(丘史) which was an attendant of government officials was given to the Samsa and Samgong too, but the given quantity is different between the two largely. The Samsa and Samgong did not have special duty in addition to symbolic function of the mentor of King. But The Samgong participated in national ritual. The Samsa and Samgong were all the same official ranks, but the Samsa did not participated in various national ceremony because the Samsa corresponded to king’s teacher and prime aide.

      • KCI등재

        고려시대 안동지역 ‘삼공신三功臣’ 신사神祠의 기원과 성격

        이종서 한국국학진흥원 2019 국학연구 Vol.0 No.39

        The current understanding of Taesamyo (太師廟) in Andong is centered around the deed of Three Meritorious Retainers and the resulting promotion of Gochang-goon to Andong-bu. However, the original understanding of the Three Retainers’ significance and the nature of their temple until 1425 greatly differed from that of the present days. Throughout the Joseon Dynasty, The Three Meritorious Retainers’ Temple existed in the current location, which consisted the office area Busa (府司) administered by the local official Hyangli. Its location signifies that its character resembled that of the Bugeundang religion prompted by the Hyangli group. However, it is likely that the Three Retainers in Goryo period functioned as the patron gods of the central city of Andong area. Their temple also possibly enshrined female deity as well as the male Three Retainers. The ruling Hyangli class, which was the descendant of the Three Retainers, administered the ritual for them and thus secured the authority to lead the local society. 현재 안동시에 있는 ‘태사묘太師廟’는 삼공신의 공훈과 이로 인한 고창군의 안동부 승격을 중심으로 이해되고 있다. 그러나 1425년 이전에 안동 지역에서 삼공신에게 부여한 의미와 역할, 삼공신을 모신 사당과 이곳에서 이루어진 제향의 성격은 현재의 태사묘와 크게 달랐다. 태사묘와 그 전신인 ‘삼공신묘’는 조선시대 전 기간 현재의 위치에 있었으며, 이 위치는 향리가 관할하는 ‘부사府司’영역이었다. 위치를 보면 조선전기 삼공신묘의 성격은 관청의 서리 향리 집단이 주도한 ‘부근당’ 신앙과 유사하다. 그러나 고려시대에 삼공신은 고려시대 치소성의 성황신으로서 지역 전체를 수호하는 신이었을 가능성이 크다. 성황사에는 남신인 삼공신상 외에 여신상도 함께 안치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삼공신의 후손이자 지배층이었던 상급 향리집단은 성황제의를 주도하며 삼공신을 자신들과 연결시켜 권위를 높이고 지역사회를 이끌었다.

      • 文書ㆍ文獻ㆍ文化

        Xiang Zeren(項澤仁) 경북대학교 아시아연구소 2018 아시아연구 Vol.- No.22

        Freeing for calamities and anomalies is a quite particularly political event in Western Han Dynasty. Scholars often discuss the relationship between calamities with anomalies and politics in terms of the history of politics and calamities with anomalies without the concern on the book policies. A variety of book policy for freeing has its own features in content, but its primary part are both composed of charge, negative evaluation and final judgment. Obscure book policies are composed of appreciation, charge, negative evaluation and final judgment. Explicit book policies are composed of responsibility, charge, negative evaluation and final judgment. The others are composed of charge, negative evaluation and final judgment. The content are documented on a wood slip by two lines in official script. The widespread of Confucian classics’ words and expressions indicates that the culture exerts a deep influence on politics. Consecutive calamities with anomalies and responsibility location of advanced officials both constitute the breeding ground of freeing the titles. During the process of restoring the historical truth, we can find that fight in the name of calamities with anomalies between cultural powers is also one reason of the events. Confucian Force represented by Emperor Yuan(元帝) and Emperor Cheng(成帝) defeated Legal Force represented by Yu Dingguo(于定國) and Xue Xuan(薛宣). No-Confucian Force represented by Empress dowager Fu(傳太后) and Zhu bo(朱博) defeated Confucian Force represented by Shi Dan(師丹) and Kong Guang(孔光). Confucian Force represented by Wang Mang(土莽) defeated Non-Confucian Force represented by Dong Xian(董賢). The legend that King Tang of Shang dynasty(商湯) pray for rain in the expense of his own body, was the start of mode that leader blame himself. The mode that leader blame himself, was shifted into a new pattern : leader blame others rather than himself in the middle and late of Western Han dynasty. The new pattern gave an obvious change in Eastern Han dynasty. The first one is the frequent occurrence of freeing for calamities and anomalies: the event was up to 12 times in Western Han dynasty, 58 times in Eastern Han dynasty. The frequency of the event implied the change of three dukes’power in Han dynasty. Three dukes(三公) of Western Han dynastyas the emperor’s right-hand man, whose responsibility is very important. Occasionally, there was freeing for calamities and anomalies. Meanwhile, under the guise of calamities and anomalies, the frequency is not high. After the emperor An(安帝) and emperor He(和帝) of Eastern Han dynasty, the young emperor made the female master take opportunities to govern the country. The responsibility of three dukes(三公) was in significant, freeing for calamities and anomalies became a powerful mean to deal with the officials. The second is the differentiation of historical records: the details of the record are quite different. In The Book of Han History(漢書), there are detailed book policies, However, we can see the freeing time, reason and outcome rather than book policies in The Book of Late Han History(後漢書). The presentation of such differences, or because of the frequent occurrence of freeing for calamities and anomalies with its numerous book policies, will result in the lengthy and complicated writing, which be deleted directly to ensure the simplicity of content. 災兔三公是西漢非常獨特的政治事件。後人多從政治史、災害史的角度出發,著重探討災害對政治的影響,但對作為災兔載體的策書缺乏足夠的電視。策書的具體的容雖有差異,但主體部分均由罪狀、貶詞及斷詞構成。隱晦性災兔策書由褒詞、罪狀、貶詞、斷詞四部分組成:明確性災兔策書由職責、罪狀、貶詢、斷詞四部分組成;其餘災兔策書則言簡意賅,僅由罪狀、貶詞、斷詞三部分組成。策文以隸書兩行寫於一支木簡之上,遍佈策文中的儒家經傳詞句顯示出文化對政治的深刻影響。自然災害的頻仍勻高級官吏的職責定位共同構成了災免事件的溫床。在勾勒災免事件原貌的嘗試中,發現不同 재난을 이유로 3공[三公 : 승상(丞相), 어사중승(御史中丞), 태위(太尉)]을 면직한 것은 서한(西漢) 시대 아주 독특한 정치 사건이었다. 후대인들은 정치사ㆍ재난사의 각도에서 출발하여 재해가 정치에 미친 영향을 심도 있게 토론하였으나, 재난으로 직책을 면직한 것에 대한 의의를 담은 책서[策書 : 중국 고대 역사적 사실을 기록하는 간책(簡冊)]는 중요성을 충분히 인정받지 못하였다. 책서의 구체적인 내용은 차이가 있으나, 주체 부분은 모두 죄상ㆍ폄의어(貶詞 : 부정적인 뜻을 가진 단어)와 단사(斷詞: 판단, 결단의 문구)로 구성되어 있다. 재난을 이유로 파면한 신하의 책서(策書)는 비교적 완곡하고 함축적으로 표현하기 때문에, 먼저 그간의 업적을 칭송하고 그 다음 과오를 문책하는 내용으로 책서(策書)에는 찬사ㆍ죄상ㆍ폄의어ㆍ단사(斷詞) 등 4개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나머지 재난으로 직책을 면직한 책서는 언간의해(言簡意賅: 말은 간결하나 뜻은 완벽함)이며, 죄상ㆍ폄의어ㆍ단사(斷詞)로 구성되어 있다. 책문(策文)은 예서체로 두 줄을 목간에 썼고, 책문(策文)의 유가 경전 문장은 문화가 정치에 미치는 심각한 영향을 나타내고 있다. 자연 재해의 빈번한 발생과 고급 관리의 직책(職責) 정립이 재난으로 인해 직책을 면직하는 사건의 온상이 되었다. 다른 문화세력이 재앙과 변고를 구실로 삼아 정치 무대에서 벌이는 권력투쟁 게임도 이런 재난을 이유로 직책을 면직하는 사건을 빈번히 발생시키는 원인 중 하나임을 발견하였다. 원(元)ㆍ성(成) 2명의 황제를 대표로 하는 유학세력과 우(于)ㆍ설(薛)을 대표로 하는 법가세력의 투쟁결과 법가세력의 실패와 종말을 고하였다. 전태후(傳太后)ㆍ주박(朱博)을 대표로 하는 비유학 세력과 사단(師丹)ㆍ공광(孔光)을 대표로 하는 유학세력간의 투쟁으로 비유학 세력의 실패와 종말을 고하였다. 상고시기, 상나라 탕왕은 몸으로써 비가 내리길 바라는 전설을 영수가 스스로 책임지는 모델의 맹아로 삼았는데, 역사의 부침을 거쳐 서한(西漢) 중후기에 이르러서는 영수를 문책하는 모델로 분화되었다. 이런 종류의 신 모델은 동한(東漢)시기에 나타난 변화이며, 재난으로 직책을 면직한 사건이 빈번히 나타났다. 서한(西漢) 시기 재난으로 직책을 면직한 사건은 모두 12차례, 동한(東漢) 시기는 58차례에 달하였다. 재난으로 직책을 면직당한 사건의 빈도를 통해 3공(三公)의 권력이 전후한(前後漢) 시기에 긴 파장을 일으킨 후 사라지는 형태를 엿볼 수 있다. 서한(西漢) 3공(三公)은 황제의 유력한 조수로서 직책이 막중하였다. 황제가 재난을 이유로 신하를 파면하는 일이 우연히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천재지변을 구실로 3공(三公)을 파면하는 일의 빈도는 높지 않았다. 동한(東漢) 안제(安帝)ㆍ화제(和帝) 이후, 황제는 아직 어려서 황후가 섭정하였으며, 외척의 화근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3공(三公)의 직책이 가벼울수록, 재앙과 변고를 구실로 3공(三公)을 면직함으로써 외척이 조정의 신하를 대응하는 유력한 수단이 되었다. 그 두 번째로 사적(史籍) 기록의 차이가 나타났다. 전후(前後) 『한서(漢書)』에서 재난으로 직책을 면직하는 일에 대한 기재는 정도 차이가 비교적 크다. 『한서(漢書)』를 통해 책서(策書)의 내용을 상세히 볼 수 있는데, 『후한서(後漢書)』에는 재난으로 직책을 면직하는 시간ㆍ연유와 결과를 몇 마디 정도만 기록하고 책서(策書) 원문과 출처를 상세히 기록하지 않았다. 재난으로 직책을 면직하는 사건이 매우 빈번하게 일어났기 때문에, 책서(策書)가 많아져 일일이 기록하면 문장이 길어짐으로 사관이 생략해서 문장의 간결함을 보장하였다.

      • KCI등재

        원효의 공(空)사상 -『금강삼매경론』 의 수공법(修空法) -

        김영미 한국불교학회 2021 韓國佛敎學 Vol.97 No.-

        Wonhyo is more than just a practitioner who awakened to the first of the ten bodhisattva bhūmis. In Wonhyo's Exposition of the Vajrasamādhi Sūtra, he describes his achievements, showing unique content and structures that cannot be seen in the work of other Zen masters. Wonhyo embraces and explains the doctrinal teachings of the twofold truth (二諦說) in Madhyamaka (中觀) and the three natures of cognition (三性說) in Yogâcāra (唯識) when interpreting śūnyatā. Wonhyo's idea of śūnyatā may be divided into the three levels of apprehension of emptiness (三空) before, and three levels after the ten bodhisattva stages. The three levels before the ten bodhisattva stages are divided into non-self (我空), non-dharma (法空), and non-emptiness (平等空) as is shown in the chapter on inspiration of original enlightenment. The three levels after the ten bodhisattva stages are classified into the characteristic of emptiness is also empty (空相亦空), the emptiness of emptiness is also empty (空空亦空), and the thing which is emptied is also empty (所空亦空) as is shown in the chapter on accessing the edge of reality. In addition, Wonhyo also refers to the five levels of emptiness (五空) as the emptiness practiced before the ten bodhisattva stages. These five levels refer to the three types of true thusness (三種眞如), which are the true thusness of transmutation (流轉眞如), the true thusness of the real characteristics (實相眞如), and the true thusness of consciousness- only (唯識眞如). If a person who practices by contemplating his or her original true mind and action (觀行) masters the five levels of emptiness, and completely deviates from existence, he or she will enter true emptiness (眞空) or enlightenment. Wonhyo explains in detail the moment when a person enters the stage of enlightenment with the concepts of the unwavering (不動) and attaining enlightenment (得入). One is unwavering from formlessness in that there is no form for the subject and object due to the equality of fundamental law (理) and wisdom (智). Wonhyo called it enlightenment when this unwavering-ness appears in the mind. After that, he or she practices the three levels of emptiness after the first of the ten bodhisattva bhūmis, a real stage of practice, transforms three times and totally penetrates to the one mind. In the end, wisdom and concentration can be achieved fully and transcend the three realms of existence. The greatest originality in an idea of śūnyatā, interpreted by Wonhyo, is not based in futility or nihilistic interpretations of emptiness, but the merciful true emptiness for sentient beings (慈悲眞空). 원효는 깨달음을 증득한 초지(初地) 이상의 수행자이다. 금강삼매경론 에서 원효는 본인이 증득한 공(空)에 대해 서술하는데, 다른 선사나 논서에서 볼 수 없는 독특한 내용과 구조를 보인다. 원효는 공을 해석할 때 중관학의 이제설(二諦說)과 유식학의 삼성설(三性說)을 수용하여 설명한다. 원효의 공사상은 초지(初地)를 기준으로 하여 십지 이전의 삼공(三空)과 이후의 삼공으로 나눌 수 있다. 십지(十地) 이전의 삼공은 「본각리품」에 아공(我空)・법공(法空)・평등공(平等空)이고, 「입실제품」에 십지 이후의 삼공은 공상역공(空相亦空)・공공역공(空空亦空)・소공역공(所空亦空)으로 구분한다. 또한, 십지 이전의 수행자가 닦아 나가는 공으로 오공(五空)에 대해 설명한다. 오공으로 유전진여(流轉眞如), 실상진여(實相眞如), 유식진여(唯識眞如)의 삼종진여(三種眞如)를 나타낸다. 관행(觀行)을 닦는 사람이 오공을 통달하여, 유(有)에서 완전히 벗어나면 깨달음인 진공(眞空)에 들어간다. 원효는 부동(不動)과 득입(得入)으로 깨달음의 경지에 들어가는 순간을 자세히 설명한다. 이(理)와 지(智)가 평등하여 능소의 상이 없는 무상(無相)의 부동법(不動法)이다. 이 부동법이 마음에 나타나는 것을 원효는 깨달음이라고 한다. 그 이후 보살의 실제 수행단계인 초지 이후에 삼공을 닦아 세 번 변화[三化]하여 일심(一心)을 통달한다. 결국 혜정(慧定)을 원만히 이루어 삼계를 초월할 수 있게 된다. 원효가 해석한 공사상의 가장 큰 독창성은 허무한 공이 아닌 중생들을 위한 자비진공(慈悲眞空)이다.

      • KCI등재

        「삼공본풀이」에 나타난 ‘쫓겨남’의 의미와 신화적 성격

        정제호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8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81 No.-

        본고는 「삼공본풀이」가 갖는 신화적 성격을 밝힌 글이다. 「삼공본풀이」 서사에서 가믄장아기는 크게 두 공간에서 활약한다. 하나는 자신이 태어나고 자란 집인 ‘친정’이고, 하나는 집을 떠나 새로 정착하고 또 혼인까지 하게 된 ‘시댁’이다. 이 두 공간에서 가믄장아기가 추구하는 지향은 큰 변화를 보인다. 먼저 친정에서 가믄장아기는 그녀에게 주어진 ‘부’라는 복을 자신한다. 이에 부모를 거스르고, 자매와 대립하게 된다. 그녀에게는 분명히 부유함이라는 복이 주어졌지만, 결국에는 이러한 태도로 인해 집에서 쫓겨나는 신세로 전락한다. 부는 가졌지만, 화목한 가족은 갖지 못한 것이다. 이런 가믄장아기는 집에서 쫓겨남을 계기를 새로운 가치를 지향하게 된다. 마퉁이와 결혼한 가믄장아기는 배우자를 선택하는 데 있어 효를 가장 중요한 기준으로 삼는다. 부모와의 대립으로 집안 전체를 파국으로 이끈 자신의 과오를 스스로 바꾸고자 한 것이다. 또한 부를 축적함에 있어서 자신이 스스로 행하는 것이 아니라, 집안의 가장인 남편이 부를 축적할 수 있게 돕는다. 즉, 가문의 평화를 유지하면서 자신의 복인 부를 축적할 수 있는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다. 게다가 결말에서 가믄장아기는 부모를 찾기 위한 걸인 잔치까지 열게 된다. 이런 과정을 통해 가믄장아기는 단순히 주어진 복에만 머무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노력을 통해 만들어 가는 복에도 눈을 뜨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볼 때, 「삼공본풀이」는 무속에서 바라보는 운명에 대한 시각을 드러내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가믄장아기는 쫓겨남을 계기로 운명에 대한 시각을 바꿀 수 있게 된다. 즉, 운명은 주어지는 것도 중요하지만, 스스로 만들어가고 변화시키는 것 역시 중요하다는 사고이다. 실제로 무속에서는 신의 뜻으로 정해진 운명을 중요시 하면서도, 나쁜 운명을 신에게 정성을 다함으로써 바꿀 수 있게 한다. 이런 무속의 운명에 대한 이중적 사고가 「삼공본풀이」를 통해 명징하게 드러나게 된다. 그래서 「삼공본풀이」가 바로 운명을 관장하는 신인 전상신의 본풀이가 되는 것이다. This article is about “Samgongbonpuri”'s Mythical Feature. Gameunjang-agi play an active two part in “Samgongbonpuri”. One is the parents home and one the in-laws home. Gameunjang-agi's intention point is different in the two spaces. IIn his house he overconsured his fate. So it is abandoned. She got rich, but lost her family. The abandoned Gameunjang-agi changes his character. Gameunjang-agi sees the filial piety as a criterion for choosing her spouse. Because she thought it was wrong to confront her parents. Also, when accumulating wealth, the husband becomes the main agent. She chose to increase her wealth while maintaining her family. And she looks for her parents at the end. Gameunjang-agi realized that she was bless with her efforts. “Samgongbonpuri” is a work in which fate is expressed in shamanism. n shamanism, the fate decided by God's will is important. However, on the other hand, it changes the bad fortune by raising the spirit to God. The double thought about this destiny appears in “Samgongbonpuri”. So “Samgongbonpuri” is myth about Jeonsangsin.

      • KCI등재후보

        朝鮮時代 三公의 官歷分析 - 엘리트 코-스 추적의 일단 -

        정만조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9 한국학논총 Vol.31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racing of elite course in the official system of Joseon dynasty. Elites of Joseon are civil officials who filled official posts in the State Cousil(議政府), the Six Ministries(六曹), the Royal Secretariat(承政院) and the Three Censorates(三司). Because target was so extensive, target was limited to people who was former the Prime Minister(領議政)·the Second Minister(左議政)·the Third Minister(右議政). Official posts of 298 people who was the Three Ministers(三公) for 408 years(1456-1863) from Sejo(世祖) to Cheoljong(哲宗) was pursued and analyzed. Statistical results of this reconciliation is as follows. First, they entered official posts as Jeongja(正字) of the Office of special Counselors(弘文館) and an Office drafted diplomatic documents and notes(承文院), Geumyeol(檢閱) of an Office drafted literary arts(藝文館) and Juseo(注书) of the Royal Secretariat(承政院) when they were successful on civil examination(科擧) about 30 years old. They filled the lowest group of the third grade(參下官) in the Office of special Counselors(弘文館), an Office drafted literary arts(藝文館) and the Royal Secretariat(承政院) by turns. They promoted from seventh rank to sixth(出六) through this official posts. After that, they took course of the Post of honorable and king's trusted vassal(淸望近侍職) mostly as the office of Inspector-General(大司憲) Jeongeon(正言)·Jipui(執義) and the Office of special Counselors(弘文館) Suchan(修撰)·Gyori(校理)·Eunggyo(應敎). Subsequently, they entered high officials of the road through promoted as a upper first of the third grade(堂上官), when they reached Jikjehak(直提學) of the Office of special Counselors(弘文館) and Jipui(執義) of the Office of Inspector-General(大司憲). After they promoted as a the lowest secretary of the Royal Secretariat(同副承旨), they were filled the Third Minister(右議政) with career which was served as the minister of Personnel Ministries(吏曹判書) through the head office of Inspector-General(司憲府 大司憲) or the vice minister of Personnel Ministries(吏曹參判). That was most representative promotion course. Geumyeol(檢閱)·Juseo(注書) of the lowest group of the third grade(參下) was the official post drafted Recording and Compilation of History(史官職) and the Office of special Counselors(弘文館) Suchan(修撰)·Gyori(校理)·Eunggyo(應敎) was the Post of honorable and king's trusted vassal(淸望近侍職) which collected public opinion of confucianists to be reflected in national office and reported it to lord. And the Seungji(承旨) was king's secretary and minister·vice minister was key positions of power which was in charge of administration. After all, theory that the official post of the Honorable and the most Important was represented of bureaucracy of the Joseon dynasty was confirmed. Official post which directly connected to inner circle of king and confucianists that was two sovereign powers of the Joseon dynasty was elite course. Because tracking official post which he served from first to the third minister each per person is so vast, process of the statistics that tracking official post of 198 for analysis will require a lot of time. Opportunely, Institute of Korean Studies, Kookmin University finished "The Study on the constitution of databases in bureaucracy and its Management system in Korean history" that performed with the financial support of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 So take advantage of the results and could save a lot of time and effort. 이 논문의 목적은 조선시대 관직체계 내의 엘리트코스 추적에 있다. 조선시대의 엘리트라면 의정부·육조·승정원·삼사란 관청에 소속된 관직을 역임한 관인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그 대상이 너무 넓어서 여기서는 의정부의 三公, 즉 영의정ㆍ좌의정ㆍ우의정을 지낸 인물에 국한시켰다. 세조에서 철종에 이르는 408년간(1456~1863)의 기간에 삼공을 지냈던 298인을 대상으로 처음 받은 관직에서부터 三公에 이르기까지 역임하였던 관직을 일일이 추적하고 분석하여 통계화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그들은 30세를 전후한 나이에 문과에 급제하여 홍문관이나 승문원의 正字, 예문관의 檢閱, 승정원 注書 등의 관직을 받아 처음 벼슬길에 나선 것으로 파악되었다. 叅下官의 시절에도 初入仕職으로 받았던 홍문관, 예문관, 승정원의 참하직을 돌아가며 역임하던 그들은 이들 관직을 근거로 出六하여 중견관료의 과정을 대개 사헌부 正言-홍문관 修撰-홍문관 校理-홍문관 應敎-사헌부 執義를 중심으로 한 淸望近侍職의 코스를 밟았다. 이어 홍문관 直提學이나 사헌부 執義에 이르러 당상관으로 승진하여 고급관료의 길에 들어선다. 동부승지로 당상에 오른 후에는 사헌부 대사헌이나 이조참판으로서의 경력을 쌓고 이조판서를 거쳐 우의정에 선임되는 것이 가장 대표적인 승진코스였음이 통계 분석을 통해 알게 된 결과였다. 叅下의 검열ㆍ주서는 史官職이며, 叅上~堂下의 홍문관에 속하는 수찬·교리·응교 등은 淸望近侍職이라는 말 그대로 사림의 공론을 수렴하여 군주에게 전하고 국정에 반영하도록 하는 관직이다. 그리고 승지는 왕의 비서직이며, 참판·판서 등은 말할 것도 없이 임금을 보필하여 국정운영을 담당한 권력의 핵심직이다. 결국 조선시대 관료조직이 淸華要職으로 대표된다는 통설이 확인된다고 하겠다. 조선시대 권력 상의 두 개의 축이라고 할 군주와 사림의, 측근과 핵심에 직접 연결된 관직이 이른바 엘리트코스였다. 분석의 대상인 298인에 대하여, 한사람마다 그가 처음 받은 관직에서부터 삼공에 이르기까지 역임하였던, 수십 개에서 때로는 백 개가 넘는 관직을 일일이 추적하여 통계화하는 작업은 방대하여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 마침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에서 한국학술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하여온 연구과제인 “한국사상 관인관직 DB구축”사업이 일단 완료되었다. 그래서 그 결과물을 적극 활용함으로써 시간과 노력을 크게 절약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사록의 의미 -<삼공본풀이>와 <지장본풀이>를 중심으로

        고은영 영주어문학회 2018 영주어문 Vol.39 No.-

        This is clarify sarok’s meaning in Jeonsangnori. To understand a driving out Sarok, in advance we should find the meaning about Sarok. It needs to investigate <Samgongbonpuri> and <Jijangbonpuri>. It is a complex aspect through the meaning of Seongeum in <Samgongbonpuri> and the meaning of Sae in <Jijangbonpuri>. These are having same directivity, it is connected with a principle of life. Jeonsangnori is a descriptive action of <Samgongbonpuri>. Except for the word of Jeonsang and Sarok in Jeonsangnori. So it is clarify what the Sarok and Jeonsang how to use them. To solve the problem we should know what the problem is, and to understand the Jeonsang we also need to know what the Jeonsang is.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good fortune, viciousness and death for <Samgongbonpuri> and <Jijangbonpuri> in a simple way. The relationship of these two looks like extremely different, but they are in the same line of context and principle of life. One of the most important part for Gutnori is giving humor to people. Through the humor people can solve the problems. It is remained in Gutnori. It is realized the hope for removing a bad atmosphere and for enjoying happiness. 전상놀이에서 사록을 쫓는 행위가 나타난다. 이러한 행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사 록의 의미를 먼저 알아야 한다. 사록의 의미를 밝히기 위하여 <삼공본풀이>와 <지장 본풀이>를 살폈다. <삼공본풀이>의 선금의 의미와 <지장본풀이>에 담긴 새의 의미를 파악하여 사록의 의미 양상이 복합적임을 파악하였다. <삼공본풀이>의 복록과 <지장 본풀이>의 새의 의미는 단독적으로 이해되는 것이 아니며 동일한 지향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삶의 원리와 상통한다. 전상놀이는 <삼공본풀이>의 행위 서사물로 일컬어지나 <삼공본풀이>가 구연되는 중에 ‘전상’이라는 단어가 사용되지 않으며 ‘사록’이라는 단어도 사용되지 않는다. 그 렇기에 전상이라는 의미가 어떻게 사용되는지 사록은 무엇을 의미하는지부터 알아야 한다. 사록의 의미와 전상놀이 제차와의 관련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전상놀이의 제차는 다른 제차와 특수하게 본풀이와 놀이가 거리를 두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거리 두 기가 사록의 의미와 관련이 있음을 지적하여 전상놀이를 이해하는 실마리를 마련하 고자 하였다. 굿놀이의 핵심 중 하나는 바로 웃음이다. 웃음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이 러한 문제 해결방법이 굿놀이에 남아 있다. 나쁜 기운들을 털어내고 복록을 누릴 수 있다는 희망이 이러한 웃음으로 실현된다.

      • KCI등재

        결혼 이주 여성의 자아존중감 강화를 위한 <내 복에 산다>형 설화의 문학치료적 의미 ―베트남 설화집 '영남척괴열전' 소재 <일야택전>과 <서과전>을 중심으로―

        하은하 한국구비문학회 2011 口碑文學硏究 Vol.0 No.3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way of communicating in multi cultural society through folklore. Especially, for mutual understanding with Vietnamese in Korea, Vietnamese folklore which is similar to Korean folklore is studied in this paper. Vietnamese folklore A pond made in one night(一夜澤傳) is similar to Korean folklore Muwangseolhwa(武王說話) which is one of <My Own Fortune> type folklore. The common feature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se two folklore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a daughter from each folklore confronted with her father, and left the father’s world. Then both daughters got married, and established their own world. However, while the daughter from Muwangseolhwa(武王說話) made peace with her father later, the daughter from A pond made in one night failed to make peace with her father. The father from A pond made in one night had a doubt that his daughter would rise in rebellion against to him. Another Vietnamese folklore Fruit from the west is similar to Korean folklore Sam-gong Bon Pu-ri which is also one of My Own Fortune type folklore. A subject from Fruit from the west and a daughter from Sam-gong Bon Pu-ri got kicked out by a king and a father. The reason both characters were expelled is that they said they lived well because of their own fortune. Their statement made both the king and the father upset. However, the subject and the daughter came out well after they were thrown out. Some roles and background are different between these two folklores, however the main conflict and the way of dealing with the problem are the same.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both Korean and Vietnamese shares My Own Fortune type folklore. From a literary therapeutic view, communication is the connection between different epic. In a multi cultural society, having the same epic can help to have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different culture. Using My Own Fortune type folklore, the way of communication between Korean and Vietnamese can be examined. 본 논문의 목표는 결혼 이주 여성들의 자아존중감 강화를 위해 <내 복에 산다>형 설화가 갖는 문학치료적 의미를 밝히는 것이다. 결혼 이주 여성과 <내 복에 산다>형 설화는 자기 삶의 본질은 자기에게 있다는 확신을 지닌 딸이 가난한 남편을 만나 스스로 자기 삶을 주관해 가는데 결국에는 그 딸이 이룩한 세계가 부모에게 인정을 받고 부모를 구원하는 것에 이르게 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이와 같은 내용은 결혼과 이주를 자발적으로 선택했음에도 불구하고 여러 가지 이유들 때문에 그것을 비자발적인 것으로 담론화하다가 정착에 실패하고 마는 결혼 이주 여성들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예상하였다. 특히 결혼 이주 여성 가운데 가장 많은 숫자를 차지하는 베트남 여성들의 자아존중감 강화를 위해 베트남 최초의 설화집인 『영남척괴열전』에 실린 <일야택전>, <서과전>과 한국의 <내 복에 산다>형 설화의 관련 양상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야택전>은 <내 복에 산다>형 가운데서 <무왕설화>와 가까운 거리에 있었다. <일야택전>과 <무왕설화>의 공통점은 아버지의 눈 밖에 난 딸이 나라를 세우는 위업을 이룬다는 것이었다. <일야택전>에서 선용공주는 가난한 저동자와 제멋대로 결혼했다가 아버지 웅왕의 눈 밖에 나게 되지만 저동자와 힘을 합쳐 나라를 세우게 된다. 이것은 <무왕설화>에서 선화공주가 서동과 몰래 사랑에 빠졌다는 소문 때문에 아버지 진평왕에게 쫓겨나게 되고 나중에는 서동과 혼인하여 백제의 왕비가 되는 과정과 동궤를 이루고 있었다. <일야택전>과 <무왕설화>의 차이는 성공한 딸과 아버지의 관계 회복의 문제였다. <일야택전>의 선용공주는 끝까지 아버지와 화해하지 못했다. 웅왕은 딸이 나라를 세운 것이 반역을 일으킨 것이라 의심해서 군대를 보냈다. 그 때문에 선용공주와 저동자가 세운 성곽은 하늘로 올라가 버리고 그 땅은 하룻밤 만에 못이 되고 만다. 반면 <무왕설화>에서 선화공주는 진평왕에게 금을 보내 아버지의 분노를 풀어내었다. 아버지는 서동을 존경하게 되었고 서동과 선화공주가 백제의 무왕과 왕비가 될 수 있도록 지원했다. 둘째, <서과전>은 <내 복에 산다>형 가운데 <삼공본풀이>와 유사했다. <서과전>과 <삼공본풀이>의 공통점은 삶의 본질은 부모의 은혜에 있기 보다는 자신에게 있다고 내세우 것에 있었다. <서과전>에서는 신하 매안섬이 왕의 은혜 대신 자신의 전생 복을 내세우다가 쫓겨났지만 무인도에서 부자가 되었다. 이것은 <삼공본풀이>에서 가믄장애기가 누구 덕에 사느냐는 아버지의 물음에 내 복에 산다고 답했다가 쫓겨나지만 숯구이 총각을 만나 부자가 되는 것과 같다. <서과전>과 <삼공본풀이>의 차이는 쫓겨난 이가 쫓아낸 이를 구원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서과전>의 매안섬은 부자가 된 이후에 왕을 염려하거나 왕을 그리워하지 않는다. 왕이 그의 잘못은 인정하고 매안섬의 지위를 회복시켜 준다. 반면 <삼공본풀이>에서 가믄장애기는 부자가 된 이후에는 부모를 염려하고 결국 거지잔치를 열어서 자신을 쫓아낸 부모를 구원했다. 한국과 베트남의 <내 복에 산다>형 설화의 비교를 통해 공통점과 차이점을 정리한 결과 <무왕설화>와 <삼공본풀이>을 통하여 <일야택전>과 <서과전>을 보완하게 되면 결혼 이주 여성에 대한 베트남과 한국 사회의 부정적인 시각 때문에 위축된 자아를 존중하고 강화시켜 나갈 수 ...

      • KCI등재

        조선전기 태사묘<SUP>太師廟</SUP>의 변화

        정재훈(鄭在薰) 한국국학진흥원 2019 국학연구 Vol.0 No.39

        현재 안동에 있는 태사묘는 안동의 대표적 인물인 김선평 · 권행 · 장길을 모신 사묘이다. 삼공신의 사당은 대체로 고려시대부터 대체로 안동의 향리들이 자신이 근무하는 읍사에서 이들을 모신 것으로서 주로 권씨 출신의 향리들이 주관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다만 고려시대에는 지방민들에게 지역의 수호신으로 여겨지는 인물들이 성황사에 모셔져서 제사의 대상이 되었던 점을 고려한다면 부사府司에 모셔졌던 것도 같은 맥락으로 파악된다. 조선 초기에는 관련 기록이 거의 없지만 16세기 중반 부계친족의식이 강화되면서 지방관으로 부임한 관인들에 의해 ‘태사묘’는 새롭게 주목되었다. 중종 때에 안동부사로 부임한 외손인 김광철이 삼공신묘를 새롭게 별도의 건물로 만들거나 친손들이 제사의례를 『주자가례』의 형식과 유사하게 정비한 것이 그러한 예이다. 제사의 주체도 향리에서 사족으로 바뀌며, 명칭도 삼공신묘에서 태사묘로 바뀐 것은 가문의 시조로서 삼공신이 새롭게 자리매김되는 계기가 되었다. 그 결과 제향시의 위차논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게 되었다. The Taesa-myo shrine, now in the Andong area, is a sacred facility which enshrines the tablets of Kim Seon-pyeong, Gweon Haeng and Jang Gil, all representative historical figures of the Andong area. Commemoration of these ‘Three Meritorious Vassals’ had been overseen by the Andong area’s local Hyang’ri clerks since the Goryeo period, when these historical figures would have been enshrined at a place arranged where those Hyang’ri clerks would have worked (namely the “Eubsa” offices). It is also believed that those enshrining places would have been dominantly managed by the local figures from the Gweon house. In the Goryeo period, mythic figures who were regarded as local guardians used to be enshrined in the Seong’ hwang-sa local shrines, so the local Bu-sa(府司) offices could have overseen the enshrinement of these three vassals from a similar sentiment and spirit. There is virtually no record of how things were done regarding the three figures and their enshrinement in the early years of Choson, but in the mid-16th century, as the society’s consciousness of paternal kindred continued to intensify, the shrine for these figures came to be newly recognized by the local officials in the area. During the reign of king Jungjong, Kim Gwang-cheol, who was the maternal descendant of the house and also assigned to the post of Andong’s area prefect, newly constructed the “Three Meritorious Vassals Shrine” as a separate building, while paternal descendants of the house chose to modify the ritual protocols observed for memorial services at the shrine, to have them become more similar to the protocols described in Juja Ga’rye. Later these ‘Three Meritorious Vassals’ were newly established as the founders of the Andong Gweon house, as the force behind these memorial services shifted form local Hyang’ri clerks to influential Sajok figures, and as the name of the Shrine (originally “Samgongshin-myo,” The Three Meritorious Vassels’ Shrine) changed to “Taesa-myo.” However, such changes also led to potential controversies regarding issues of order and hierarchy in ritual ceremon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