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한 사회복지 네트워크 분석

        이근명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건강정책학회 2019 비판사회정책 Vol.- No.6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yearly network change of social welfare by using big data of social media. For this, text mining and CONCOR of network analysis were performed. And to statistically verify the degree of correlation between each year’s network structur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each year’s matrices was conducted using QAP(Quadratic Assignment Procedure) correlation analysis, which is a typical statistical test method used in social network analysis. The analysis showed, words that had the highest frequency in 2010 were social welfare, society, research, social worker, social welfare facility, social welfare department; in 2015, social welfare, society, research, social worker certificate, social welfare course, social welfare facility; and in 2018, on top of social welfare, society and research, new words such as news, articles, documents, and analyzes were mentioned significantly. As a result of CONCOR analysis for network analysis, clusters of four groups in 2010, four groups in 2015 and four groups in 2018 were created. And as a result of QAP correlation analysis of three years,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2010 and 2015showed to be 0.757, 0.457 between 2010 and 2018; and 0.451 between 2015 and 2018. The former and current governments have carried out social welfare policies using a great amount of time and budget. However, the primary problem have not yet been identified and solved. Therefore,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measure the yearly network change using big data, to grasp future trends based on this, and to establish policies that will form the basis for social welfare development. And by combining big data information related to social welfare on SNS and existing large-scale research data, unstructured data created by millions of people should be systematically constructed and more extensive research should be done by combining these with empirical studies. 이 연구의 목적은 소셜미디어의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사회복지에 대한연도별 네트워크 변화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텍스트 마이닝과 네트워크 분석의 CONCOR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각 연도별 네트워크가 구조적으로 어느 정도의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통계적으로검증하기 위하여 소셜 네트워크 분석에서 사용하는 대표적 통계적 검정방법인 QAP(Quadratic Assignment Procedure) 상관분석을 활용하여 각연도의 매트릭스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단어의 빈도가 높은 순서는 2010년에는 사회복지, 사회, 연구, 사회복지사, 사회복지시설, 사회복지학과 등의 단어이고 2015년에는 사회복지, 사회, 연구, 사회복지사자격증, 사회복지학과, 사회복지시설 2018년에는 사회복지, 사회, 연구 등에 새로운 단어인 뉴스, 기사, document, 분석 등이 비중있게 언급되었다. 네트워크 분석을 위해 CONCOR 분석을 실시한 결과, 2010년 4개 그룹, 2015년 4개 그룹, 2018년 4개 그룹의 클러스터가 생성되었다. 또한 3개년도 간의 QAP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2010년과 2015년의 네트워크 간 상관계수는 0.757, 2010년과 2018년간 상관계수는 0.457, 2015년과 2018년간 상관계수는 0.451로 나타났다. 사회복지를 위한 정책은 역대 정부마다 많은 시간과 예산을 들여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일차적인 문제점 파악 및 해결방안은 아직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빅데이터를 활용한 연도별 네트워크 변화를 측정하고, 이를 토대로 미래 트렌드를 파악하여 사회복지 발전을 이루는데 기틀이 되는 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그리고 SNS상에서 발생하는 사회복지와 관련된 빅데이터 정보와 기존의 방대한 연구 자료를 접목하여, 수많은 사람들이 만들어낸 비정형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구축하고, 이를 실증적 연구에 접목함으로써 보다 폭넓은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사회적네트워크의 전략적네트워크로 성장가능성 실증분석 : 대덕연구개발특구기업의 사회적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양영석 한국산업경제학회 2008 산업경제연구 Vol.21 No.3

        혁신소기업이라는 첨단기술기업들의 본원적 속성은 이들에게 핵심 경영자산으로 인적네트워크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대덕연구개발특구 지정 이후 특구지역 내 벤처기업의 성장이 촉진되며 초기의 개인 또는 모태기관인 연구소와 대학을 중심으로 개별적으로 형성되던 협력네트워킹 현상이 보다 조직적, 집단적으로 표출되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다. 본 논문은 대덕특구내 형성되고 있는 사회적인 네트워킹이 대덕연구개발특구가 당초 목표했던 사업성과를 달성하기 위한 전략네트워크로 성장 할 수 있는 가능성을 평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논문은 크게 세 가지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기존 문헌연구를 통해 사회적 네트워크와 전략적 네트워크의 상호연관 중요성을 제시하였고 이 결과 사회적네트워크는 전략네트워크 성립의 필수불가결한 요소로 인식됨을 확인하였다. 둘째, 본 논문은 대덕특구내 기업 498개를 대상으로 이들 간에 존재하는 사회적 네트워크의 존재를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 특구내 기업간에는 다양한 사회적네트워크가 존재함을 조사하였다. 셋째 대덕특구내 기업간에 이루어진 사회적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여 대덕연구개발특구내 기업간에 이루어진 사회적 네트워크가 전략적 네트워크로 성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평가결과, 대덕특구내 형성된 사회적네트워크는 전략적네트워크로 발전할 수 있는 맹아가 개별기업과 응집그룹 차원에서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Social network is one of major managerial resources innovative high-tech small firm own as of inherited nature. In particular, Social network of Daeduck entrepreneur has been enlarged and organized as type of managerial asset for Daeduck high-tech firm since Daeduck Special R&D Zone has been indicated. This paper is delivered to assess the evolving possibility of Daeduck entrepreneur's social network into strong business strategic network. This paper carries out three particular studies. First, this paper justified a symbiotic relationship between social network and strategic network by literature review. Second, this paper implement a field survey against 498 firms about social network each firm create. As a result, this paper find wide range of entrepreneur's social network exist among themselves. Third, this paper assess the evolving possibility of social networks into strategic networks as firm and high-tech cluster grows. This paper conclude that there is slim seed but strong enough to develop strategic network as a basis of social network.

      • KCI등재

        사회관계망분석(Social Network Analysis)의 발전과 고고학에서의 네트워크분석(Network Analysis) 동향

        홍은경 한국고대학회 2023 선사와 고대 Vol.- No.72

        This review was written to lay the groundwork for a progressive discussions on which network analysis in Korean archeology, which has recently gained attention but is still at a preliminary level. To this end, this paper briefly examines the development of network analysis, especially social network analysis(SNA), and the trends of SNA in archaeology in abroad and research cases in Korea. SNA is a representative research method in sociology, which is suitable for describing, exploring, and understanding complex social phenomena in structural and relational perspective. The characteristic of paying attention to relationships rather than individual attributes has become an important factor in the widespread use of SNA as a tool for analyzing network data of various types in various other fields beyond sociology. It has been more than 50 years since network analysis was introduced to archaeology, but most of the research has been published in the past 10 years. These studies have shown that network analysis is not only a very useful tool for exploring the relationships that can be detected in archaeological data of various forms and levels in multi-dimensional way, but also a means of accessing the flow of resources and information in the past,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social structure in a variety of ways. Currently, network research in archaeology is expanding in terms of application techniques, research subjects, and the scope of topics. In Korean archeology, network analysis was first attempted in 2019, and it is still in the early stages of being used as an analysis tool for data, so discussions on the concepts and applicability of analysis methods occupy a significant portion. As a result, most studies are in the position of providing concrete evidence for the existing understanding of the data and suggesting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the range of plausible inferences and interpretations, rather than denying the existing achievements or deriving completely new results.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the research topics, spatial and temporal scope, target data, and analysis techniques will be expanded, and the number of actual analysis cases will increase. However, network analysis is only a tool for research. It can identify relationships between specific units, but it is essential to have an archaeological understanding to give meaning to the nature or form of the relationship. Ultimately, it is up to the researcher to interpret the actual results. 이 글은 최근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초보적 수준인 한국 고고학에서의 네트워크분석이 발전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논의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작성한 것이다. 이를 위해 네트워크분석 특히 사회관계망분석(Social Network Analysis)의 발전 과정과 함께 국내에 사회관계망분석이 소개된 이후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이용하게 되는 과정을 간략하게 살펴보았다. 그리고 고고학의 네트워크분석 경향(외국)과 국내 연구에서의 적용 사례를 검토하였다. 사회관계망분석은 사회학의 대표적인 연구 방법으로, 구조적이고 관계적인 측면에서 복합적인 사회 현상을 기술하고 탐색하며 이해하는 데 적합하다. 개별적 속성이 아니라 관계에 주목한다는 특징은 사회관계망분석이 사회학을 넘어 여러 분야에서 다양한 유형의 네트워크 데이터를 분석하는 도구로써 폭넓게 이용되는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고고학에 네트워크분석이 도입된 지는 50년이 넘었지만, 대부분의 연구는 최근 10년 동안 발표되었다. 그간의 연구는 네트워크분석이 다양한 형태와 수준의 고고학 자료에서 감지되는 관계를 입체적으로 탐색할 수 있는 도구로써 매우 유용할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과거에 이루어진 자원과 정보의 흐름은 물론 사회적 구조의 특징과 변화 양상에 다각도로 접근할 수 있는 수단임을 보여주었다. 현재 고고학에서의 네트워크 연구는 적용 기법이나 연구 대상, 주제의 범위가 점차 확장되는 추세이다. 한국 고고학에서 네트워크분석은 2019년에 처음으로 시도된 바, 지금은 자료에 대한 분석 도구로 이용되기 시작한 단계에 불과하여 실제 적용 사례가 많지 않고, 분석법의 개념과 적용 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로 인해 대부분의 연구는 새로운 결과를 도출하기 보다는 고고 자료에 대한 기존의 이해에 구체적 근거를 마련하고 개연성 있는 추론과 해석 범위의 확장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렇지만 점차 연구의 주제와 시공간적 범위는 물론 대상 자료와 분석기법이 확대되고 실제 분석 사례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네트워크분석은 연구를 위한 도구일 뿐이다. 특정 단위 사이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지만, 관계의 성격이나 형태에 의미를 부여하는 것은 고고학적 이해가 기본이 되어야 한다. 결국 실제 그 결과에 대한 해석은 연구자의 몫이다.

      • KCI등재

        사회적경제 생태계 분석: 경남의 사례를 중심으로

        송원근(Song, Won Keun),이은선(Lee, Eun Sun) 한국산업경제학회 2020 산업경제연구 Vol.33 No.1

        본 연구는 의미망 네트워크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 방법론을 적용해 지역내 사회적경제 생태계 구축 정도와 수준을 분석한 것이다. 사회적경제 생태계 관련 기존 연구는 이론적 논의에 그치거나 사회적경제 관련 통계데이터를 토대로 양적 지표들의 발달 정도를 보여주는 것이었다. 또한 광역시‧도나 지자체 등 특정지역의 생태계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 주로 정책적 차원에서 타 시‧도의 정책을 정확한 근거 없이 모방하는 경향도 많았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도출한 사회적경제 생태계 요소들이 보이는 기술적인 데이터 분석에 의미망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사회적경제 관련 담론 구조를 추가하여 지역의 사회적경제 생태계 분석을 보완함으로써 지역의 사회적경제 생태계를 좀 더 정확하게 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경남은 2017년이 되어서야 사회적경제 생태계 관련 핵심단어들이 등장하기 시작했으며, 2018년에 이르러서야 단순 일자리 창출에서 벗어나 사회적경제 담론이 질적으로 심화되었고, 따라서 경남 사회적경제 생태계 담론이 획기적으로 전환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적경제 생태계 구축을 위한 정책수립에서 담론 흐름과 핵심 내용을 아는 것이 중요함을 의미한다. 사회적경제기업 수나 매출액, 관련 법‧제도의 정비, 네트워크 참여율등과 같은 지표들은 분명히 사회적경제기업들의 성과를 나타내는 중요 지표들이다. 하지만 기존의 기술통계적 분석에 기초한 정책적 함의만으로는 잘못된 정책적 처방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기술통계적 분석에 전국 대비 경남 지표를 지수화한 비교 분석과 키워드 및 의미망 네트워크 담론분석을 추가하여 지역생태계를 좀 더 정확하고 풍부하게 이해하고, 이를 토대로 정책을 제시할 수 있다면 지속가능한 생태계 조성과 사회적경제의 양적· 질적 확대 효과도 기대해볼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nalyzes the degree and level of Social and Solidarity Economy(SSE) ecosystem establishment in the region by applying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methodology. Existing researches on the SSE ecosystem have been limited to theoretical discussions or have only shown the development of SSE quantitative indicators. In addition, in case of targeting local ecosystems such as metropolitan cities and local governments, they tended to be discussed in terms of policy.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study intends to supplement the analysis of SSE ecosystem in the region by combining the structure of macro discourse with the factors of social economy ecosystem composition derived from previous studies. According to the supplementary analysis, key words related to the social economy ecosystem began to emerge first in 2017, and by 2018, the social economy discourse deepened qualitatively, instead of creating simple jobs, and thus the discourse of Gyeongnam social economy ecosystem changed drastically.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it is important to know the discourse flow and core contents in policy making for social economy ecosystem. Indicators such as the number and turnover of SSE enterprises, the revision of relevant laws and systems, and network participation rate are clearly important indicators of the performance of SSE economy enterprises. However, analysis and policy implications based on existing descriptive analytical methodologies are likely to lead to incorrect policy prescriptions. Therefore, if it can add a whole discourse analysis to understand the local ecosystem more accurately and abundantly, and present policies based on this, we can expect to create sustainable ecosystems and expand the SSE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 KCI등재

        사회네트워크가 기업의 투자결정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박승민(Park, Seung-Min),안영규(Ahn, Young-Gyu) 한국산업경영학회 2013 경영연구 Vol.28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whether and how regional, educational networks play a role in the way companies make investment decisions. Using the biographical information of key executives and directors of the KOSPI 100 firms over the period 2008~2011, we build a 575 symmetric binary sociomatrix based on the regional and educational backgrounds. We apply three common measures of centrality(e. g. degree, betweenness, closeness) from social network literature to appraise the position of a company in the social network. We find that social connections are significant factors of investment decisions after running the partial F-test. Furthermore, the more centrally located a company is in the network, the less idiosyncratic is its investment strategy relative to the other members of the network. On the contrary, The more connections two companies share with each other, the less similar both their level and change over time in investment decisions. In conclusion, This paper provides evidence that managers are influenced by their social networks when making corporate investment decisions. 본 연구는 기존의 기업투자결정요인으로 거론되는 성장기회, 시장이자율, 재무요인 이외에 사회경제학적 관점에서 투자의사결정권자인 경영진의 사회네트워크도 기업의 투자결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사회네트워크분석을 통해 경영진을 둘러싼 사회네트워크를 파악하고 이를 기업의 투자결정과 연계시켜 살펴봄으로써, 기업의 투자결정요인과 투자결정과정 분석 시 사회네트워크변수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종합적으로 검토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사회네트워크분석을 이용하여 경영진의 사회네트워크변수를 설정한 후, 부분 F-검정(partial F-test)을 통해 사회네트워크변수가 기업의 투자결정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중심성모형(centrality model)을 통해 사회네트워크 내 개별기업의 포지션별 영향력을 점검해보는 동시에 대응모형(pair model)을 통해서는 인접기업의 영향력에 따른 기업의 투자결정 차이와 변화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기업의 투자결정을 설명함에 있어 사회네트워크변수의 유용성에 대해서는 일정부분 실증되었으며, 사회네트워크의 중심에 위치할수록 개별 기업 특유의 투자결정을 내릴 가능성은 낮아지는 반면, 인접기업과 사회적으로 밀접한 관계를 가질수록 상이한 투자결정을 내릴 가능성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넷노그래피를 활용한 성경의 핵심어 네트워크 분석

        임병학 한국로고스경영학회 2019 로고스경영연구 Vol.17 No.2

        The development of computer technology for processing large amounts of data has made great progress in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of social science. This study attempts to apply social network analysis to these text data. Content analysis provides a visual analysis of word cloud or word tree based on the frequency of thematic words, but there is a limit to analyzing the role or position of words or relationships among words. It is the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 which complements the limitation of this content analysis. Social network analysis is a method of quantitatively analyzing at the network level and node level based on nodes and links participating in the network.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a mixed research method combining the qualitative method of content analysis and the quantitative method of social network analy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of 66 volumes of online Bible, and to analyze the network of 66 volumes of the Bible by the simultaneous appearance of 66 words of the Bible. We also proposed a mixed research method combining content analysis and keyword network analysis by applying netology, a qualitative methodology for studying online community. The content analysis shows that the Bible is written around the key words of Jehovah, Jesus, and Christ. Social network analysis shows that the Bible is connected with around the key words of Jehovah, Jesus, and Christ. 다양한 대용량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컴퓨터 기술의 발달로 텍스트 데이터를 분석하는 방법은 사회과학의 양적 방법론과 질적 방법론에서 큰 진전을 이루어 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텍스트 데이터에 내용분석과 사회 네트워크 분석을 적용하고자 한다. 내용분석은 주제별 단어의 빈도수 기반 워드클라우드나 워드트리의 시각화 분석을 제공해 주지만, 각 단어 간 관계, 단어의 역할이나 위치 등을 분석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내용분석의 한계점을 보완해 주는 것이 사회 네트워크 분석 방법이다. 사회 네트워크 분석은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노드(Node)와 링크(Link)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수준과 노드 수준에서 계량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내용분석의 정성적 방법과 사회네트워크분석의 정량적 방법을 결합한 혼합연구방법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온라인 성경 66권의 내용분석을 통한 각 권별 핵심어 도출 방법을 제시하고 성경 66권의 핵심어 동시출현에 의한 성경 66권의 네트워크와 핵심어 네트워크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또한 온라인 커뮤니티를 연구하는 질적 방법론인 넷노그래피를 적용하여 내용분석과 핵심어 네트워크 분석을 결합한 혼합연구방법을 제시하였다. 내용분석을 통해 신약과 구약 성경 66권이 여호와, 예수, 그리스도 핵심어를 중심으로 기술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사회네트워크분석은 여호와, 예수, 그리스도 핵심어를 중심으로 연결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사회적 기업 지원 활성화를 위한 주요 쟁점의 도출 - 전북, 광주, 전남지역의 지역언론 기사 내용을 중심으로 -

        최영출 한국자치행정학회 2015 한국자치행정학보 Vol.29 No.1

        본 연구는 사회적 기업의 활성화를 위해서 향후 더욱 강화시켜 나가야 할 사회적 기업 관련 정책적 분야를 도출하고, 자치단체 차원에서 수행해야 할 정책문제선정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2007년 사회적기업육성법이 제정된 이후 사회적 기업의 활성화를 위하여 다양한 연구방법들을 통하여 정책문제를 도출해 왔다. 그러나 그동안 활용한 방법들은 주로 인터뷰와 설문지 방법에 의존함으로써, 내재하고 있는 사회적 기업관련 정책문제를 도출하는데 한계를 보여 온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문제인식하에서 본 연구에서는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지역의 사회적기업들이 현장에서 겪고 있는 핵심적 문제점들을 도출시켜 보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둔다. 사회적 기업에 관련된 문제점에 대한 정확한 이해없이는 개선방향 제시도 어렵게 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비교적 사회적 기업이 덜 활성화되어 있는 전북, 광주, 전남지역의 지역언론에서 사회적기업에 대해서 다루고 있는 주요한 이슈들을 종합적으로 도출해 내 봄으로써, 향후 자치단체나 사회적기업 지원기관들이 제도적 지원체계를 구축하고 개선하는데 필요한 정책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This paper aims to derive major policy issues regarding social enterprises at local level, using network text analysis of articles, columns, editorials published in local newspapers. Inherently, local news papers take notice of local policy issues and propose troubleshooting, implying that it is necessary to analyze local newspapers in order to identify what kind of issues have been existed in relation to social enterprises. Under this background, this paper employes the network text analysis which is a combined method of network analysis and text analysis, and attempts to draw major policy issues involved in social enterprises being operated in three regions called Jeonbuk, Jeonnam, and Kwangju in Korea, expecting that these issues might be common in other regions in Korea. The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important to promote social enterprises, especially to strengthen activities in advertisement and sales. Second, support programmes for social enterprises in the vulnerable classes should be strengthened, and consulting could be important for enhancing the competitiveness of social enterprises. Third, in the Jeonnam area, universities are important for social enterprises and thus a culture friendly towards promoting social enterprises is recommended. Also, there is a need for development for a cooperative self-sustainable model. Fourth, the role of 'pro-bono' is important from the founding of a social enterprise, and education and academies, network, and the opening of new markets for selling products from social enterprises are especially important issues in Jeonbuk. At the same time, results show that Jeonbuk needs social enterprises in fields such as after-school programs. Fifth, it is important to provide customized support for the business and incubating of social enterprisesThis paper aims to derive major policy issues regarding social enterprises at local level, using network text analysis of articles, columns, editorials published in local newspapers. Inherently, local news papers take notice of local policy issues and propose troubleshooting, implying that it is necessary to analyze local newspapers in order to identify what kind of issues have been existed in relation to social enterprises. Under this background, this paper employes the network text analysis which is a combined method of network analysis and text analysis, and attempts to draw major policy issues involved in social enterprises being operated in three regions called Jeonbuk, Jeonnam, and Kwangju in Korea, expecting that these issues might be common in other regions in Korea. The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important to promote social enterprises, especially to strengthen activities in advertisement and sales. Second, support programmes for social enterprises in the vulnerable classes should be strengthened, and consulting could be important for enhancing the competitiveness of social enterprises. Third, in the Jeonnam area, universities are important for social enterprises and thus a culture friendly towards promoting social enterprises is recommended. Also, there is a need for development for a cooperative self-sustainable model. Fourth, the role of 'pro-bono' is important from the founding of a social enterprise, and education and academies, network, and the opening of new markets for selling products from social enterprises are especially important issues in Jeonbuk. At the same time, results show that Jeonbuk needs social enterprises in fields such as after-school programs. Fifth, it is important to provide customized support for the business and incubating of social enterprises.

      • KCI등재

        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경제적 소외계층 비교과 연계 프로그램 연구동향 분석

        엄윤재(Yoon-jae Eum),이신동(Shin-dong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7

        본 연구는 사회연결망 분석(Social Network Analysis) 중 토픽모델링과 키워드네트워크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경제적 소외계층 비교과 연계 프로그램에 대한 선행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누리미디어(DBpia), 한국학술정보(KISS)의 데이터베이스 및 Biblio Data Collector를 활용하여 경제적 소외계층 비교과 연계 프로그램 중 학술지에 등재된 114개의 논문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전처리 과정을 통하여 출현빈도 상위 40개의 키워드를 추출하였다. 연구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토픽분석, 키워드네트워크 분석이 적용되었는데, 네트워크 분석 도구로는 사회 연결망 분석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는 Netminer 4.3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간략하게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키워드 출현빈도는 자아존중감, 사회적 기술, 치료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LAD모델을 기반으로 한 토픽모델링 분석결과 심리적 어려움, 성장, 정서발달, 복지, 자아개념, 사회성 발달과 관련된 6개의 토픽그룹이 만들어졌으며, 이 중 5개의 토픽그룹이 자아존중감 키워드를 포함하고 있었다. 셋째, 시기별 키워드 등장빈도를 분석하였다. 2001년부터 2006년까지는 가정과 관련된 키워드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2007년부터 2012년, 20013년부터 2018년까지는 자아존중감 키워드가 가장 높은 빈도로 분석되었다. 교육학 분야에 새롭게 적용된 사회연결망 분석을 실시한 본 연구의 결과는 앞으로 개발 될 경제적 소외계층 비교과 프로그램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 발전시키는데 필요한 기초자료와 통찰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rends of previous studies on economic marginalization extracurricular linkage program using topic modeling and keyword network analysis methods in social network analysis. 114 articles published in journals among the economically marginalized extracurricular programs were selected as the final analysis targets using the database of Academic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RISS), Nuri Media(DBpia), Korean Academic Information(KISS), and Biblio Data Collector. The top 40 keywords of frequency of occurrence were extracted through preprocessing.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search trend, topic analysis and keyword network analysis were applied. As a network analysis tool, Netminer 4.3 program, which is widely used in social network analysis, was used. A brief summary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keyword frequency appeared in order of self-esteem, social skills, and treatment. Second, as a result of topic modeling analysis based on LAD model, six topic groups related to psychological difficulties, growth, emotional development, welfare, self-concept, and social development were created, and five topic groups included self-esteem keywords. Third, the frequency of keyword appearance by time was analyzed. From 2001 to 2006, keywords related to homes were the highest, and self-esteem keywords were most frequently analyzed from 2007 to 2012 and from 2013 to 2018. The results of this study, which analyzed social network newly applied to the field of pedagogy, can provide the basic data and insights needed to develop the research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economic marginalization extracurricular program.

      • KCI등재

        사회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한 국내 여객항로 분석 연구

        고재우,최창묵,김성호,정완희,Jae-Woo Ko,Chang-Mook Cho,Sung-Ho Kim,Wan-Hee Jung 한국항해항만학회 2015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39 No.3

        본 연구에서는 2005년부터 2013년까지 운용되었던 국내 연안여객선의 항로를 사회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통해 파악하였다. 우선 국내 연안여객 항로의 네트워크 특성을 살펴본 결과 네트워크 복잡계 특성인 멱함수의 법칙을 따르는 Scale-Free 형태를 보이고 있음을 확인하 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회 네트워크 분석의 중요 척도라고 할 수 있는 중심성을 바탕으로 살펴보았으며, 연도별 연결정도 중심성의 변화추세, 기존의 정량적인 방법과의 비교를 통한 양의 상관관계 확인, 마지막으로 연결정도 중심성과 매개 중심성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두 가지의 척도 를 기준으로 우선시되는 항구를 순위별로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연안여객 항로를 하나의 네트워크로 간주하고 분석하여 유용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앞선 결과들을 바탕으로 국내 연안여객 항로의 개발 등 발전방향을 설정할 시 보다 효과적으로 진행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또 한 공항의 중심성 분석, 주변국의 외교 관계 분석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회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활용한다면 유용한 결과를 산출하는데 효과적 일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research, sea routes of domestic coaster liners between 2005 and 2013 were studied via social network analysis. Study of the sea routes revealed that they follow power-law in a scale-free form, a characteristic found often in social network. We have looked into centrality, which is a major standard in the field of social network analysis. We have also analyzed the annual changing trend in the centrality of the connectivity, examined the effect of quantity through the comparison with the original quantitative analysis method, and lastly, ver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entrality of connectivity and mediation. Then, we were able to identify ports according to priority using these factors. This research assumed and interpreted the coaster liners route as a single network and suggested useful results. Based on these results, directing of development of domestic coaster liners route development and other factors will be achieved more smoothly. And if we utilize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 in other various fields - for example, the centrality of airport and the diplomatic realations analysis of the neighboring country - we will be able to effectively analyze events in diverse perspectives.

      • KCI등재

        사회 연결망 분석과 문학 연구 : 영미문학과 한국문학을 중심으로

        김용수(Yongsoo Kim) 한국비평이론학회 2021 비평과이론 Vol.26 No.2

        사회 연결망 분석(social network analysis)은 20세기 내내 사회과학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발전해온 사회구조 분석 이론이자 방법으로서 개체, 조직, 인간, 사물 사이의 복잡다기한 연결을 거시적, 미시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관계형 데이터를 구축하고 이를 연결망으로 시각화하여 유동적이면서도 구조화된 전체 장을 파악하고자 하는 분야이다. 이러한 사회 연결망 분석은 최근 인문학 연구 분야에서, 특히 2000년대 이후 디지털인문학이 각광을 받기 시작하면서 그 방법 중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영미문학 연구 분야에서도 사회 연결망 분석의 이론과 기법을 영문학 자료에 적용하여 그 동안 전통적인 연구 방법으로 파악하기 어려웠던 특정 국면의 문학 관계망을 복원한 성과들이 나타나고 있다. 한국의 국문학 연구 분야 역시 사회 연결망 분석 기법을 적용한 사례가 드물지만 꾸준히 등장하고 있다. 본 논문은 사회 연결망 분석 이론 및 방법이 문학 연구에 지닌 함의와 가능성에 주목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소개하여 한국 학계의 디지털인문학적 문학 연구를 활성화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먼저 사회 연결망 이론을 소개하며 그 의미와 역사를 되짚어 본다. 그리고 이것이 인문학, 그 중에서도 문학 연구에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은 무엇인지 등을 점검하기 위해 영미문학 분야 연구 성과들을 비판적으로 점검한다. 나아가서 사회 연결망 분석이 국문학계에서는 어떤 성과들을 축적하고 있는지 검토하여 한국에서의 사회 연결망 분석 기법을 활용한 문학 연구의 가능성을 모색한다. Social network analysis has been evolving as a social structure analysis theory and methodology in the social science discipline throughout the 20th century. It strives to understand the complex networked relationships among entities such as objects, individuals, social groups, organizations, etc. by preparing and visualizing their relational data so as to grasp the fluid dynamics of any given field. Many humanities scholars have also paid close attention to social network analysis as a new research method as digital humanities emerges as a formidable discourse in the new millennium. There are quite a few remarkable cases that apply social network analysis concepts and techniques to English literary data and thus manage to delineate literary networks at the particular junctures in literary history, which might have remained opaque otherwise. A similar trend can be observed in Korean literary studies though only a small number of researchers are interested in the method. This paper introduces social network analysis, focusing on its possibilities as a new literary research method and hence facilitating digital humanities approaches to literature in Korean academia. First, it briefly presents social network analysis theory, its history and concepts, and its methodological significance. And then, it goes on to critically review the actual research cases in the fields of English and Korean literature to examine how social network analysis can be employed in literary scholarship and what potentials it contains as a research method. Finally, this paper suggests that social network analysis helps deepen our knowledge and appreciation of literature by engaging literary history with a fresh loo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