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셜 빅데이터를 활용한 사회복지 네트워크 분석

        이근명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건강정책학회 2019 비판사회정책 Vol.- No.6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yearly network change of social welfare by using big data of social media. For this, text mining and CONCOR of network analysis were performed. And to statistically verify the degree of correlation between each year’s network structur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each year’s matrices was conducted using QAP(Quadratic Assignment Procedure) correlation analysis, which is a typical statistical test method used in social network analysis. The analysis showed, words that had the highest frequency in 2010 were social welfare, society, research, social worker, social welfare facility, social welfare department; in 2015, social welfare, society, research, social worker certificate, social welfare course, social welfare facility; and in 2018, on top of social welfare, society and research, new words such as news, articles, documents, and analyzes were mentioned significantly. As a result of CONCOR analysis for network analysis, clusters of four groups in 2010, four groups in 2015 and four groups in 2018 were created. And as a result of QAP correlation analysis of three years,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2010 and 2015showed to be 0.757, 0.457 between 2010 and 2018; and 0.451 between 2015 and 2018. The former and current governments have carried out social welfare policies using a great amount of time and budget. However, the primary problem have not yet been identified and solved. Therefore,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measure the yearly network change using big data, to grasp future trends based on this, and to establish policies that will form the basis for social welfare development. And by combining big data information related to social welfare on SNS and existing large-scale research data, unstructured data created by millions of people should be systematically constructed and more extensive research should be done by combining these with empirical studies. 이 연구의 목적은 소셜미디어의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사회복지에 대한연도별 네트워크 변화를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텍스트 마이닝과 네트워크 분석의 CONCOR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각 연도별 네트워크가 구조적으로 어느 정도의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통계적으로검증하기 위하여 소셜 네트워크 분석에서 사용하는 대표적 통계적 검정방법인 QAP(Quadratic Assignment Procedure) 상관분석을 활용하여 각연도의 매트릭스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단어의 빈도가 높은 순서는 2010년에는 사회복지, 사회, 연구, 사회복지사, 사회복지시설, 사회복지학과 등의 단어이고 2015년에는 사회복지, 사회, 연구, 사회복지사자격증, 사회복지학과, 사회복지시설 2018년에는 사회복지, 사회, 연구 등에 새로운 단어인 뉴스, 기사, document, 분석 등이 비중있게 언급되었다. 네트워크 분석을 위해 CONCOR 분석을 실시한 결과, 2010년 4개 그룹, 2015년 4개 그룹, 2018년 4개 그룹의 클러스터가 생성되었다. 또한 3개년도 간의 QAP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2010년과 2015년의 네트워크 간 상관계수는 0.757, 2010년과 2018년간 상관계수는 0.457, 2015년과 2018년간 상관계수는 0.451로 나타났다. 사회복지를 위한 정책은 역대 정부마다 많은 시간과 예산을 들여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일차적인 문제점 파악 및 해결방안은 아직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빅데이터를 활용한 연도별 네트워크 변화를 측정하고, 이를 토대로 미래 트렌드를 파악하여 사회복지 발전을 이루는데 기틀이 되는 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그리고 SNS상에서 발생하는 사회복지와 관련된 빅데이터 정보와 기존의 방대한 연구 자료를 접목하여, 수많은 사람들이 만들어낸 비정형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구축하고, 이를 실증적 연구에 접목함으로써 보다 폭넓은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사회적네트워크의 전략적네트워크로 성장가능성 실증분석 : 대덕연구개발특구기업의 사회적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양영석 한국산업경제학회 2008 산업경제연구 Vol.21 No.3

        혁신소기업이라는 첨단기술기업들의 본원적 속성은 이들에게 핵심 경영자산으로 인적네트워크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대덕연구개발특구 지정 이후 특구지역 내 벤처기업의 성장이 촉진되며 초기의 개인 또는 모태기관인 연구소와 대학을 중심으로 개별적으로 형성되던 협력네트워킹 현상이 보다 조직적, 집단적으로 표출되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다. 본 논문은 대덕특구내 형성되고 있는 사회적인 네트워킹이 대덕연구개발특구가 당초 목표했던 사업성과를 달성하기 위한 전략네트워크로 성장 할 수 있는 가능성을 평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논문은 크게 세 가지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기존 문헌연구를 통해 사회적 네트워크와 전략적 네트워크의 상호연관 중요성을 제시하였고 이 결과 사회적네트워크는 전략네트워크 성립의 필수불가결한 요소로 인식됨을 확인하였다. 둘째, 본 논문은 대덕특구내 기업 498개를 대상으로 이들 간에 존재하는 사회적 네트워크의 존재를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 특구내 기업간에는 다양한 사회적네트워크가 존재함을 조사하였다. 셋째 대덕특구내 기업간에 이루어진 사회적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여 대덕연구개발특구내 기업간에 이루어진 사회적 네트워크가 전략적 네트워크로 성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평가결과, 대덕특구내 형성된 사회적네트워크는 전략적네트워크로 발전할 수 있는 맹아가 개별기업과 응집그룹 차원에서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Social network is one of major managerial resources innovative high-tech small firm own as of inherited nature. In particular, Social network of Daeduck entrepreneur has been enlarged and organized as type of managerial asset for Daeduck high-tech firm since Daeduck Special R&D Zone has been indicated. This paper is delivered to assess the evolving possibility of Daeduck entrepreneur's social network into strong business strategic network. This paper carries out three particular studies. First, this paper justified a symbiotic relationship between social network and strategic network by literature review. Second, this paper implement a field survey against 498 firms about social network each firm create. As a result, this paper find wide range of entrepreneur's social network exist among themselves. Third, this paper assess the evolving possibility of social networks into strategic networks as firm and high-tech cluster grows. This paper conclude that there is slim seed but strong enough to develop strategic network as a basis of social network.

      • KCI등재

        사회관계망분석(Social Network Analysis)의 발전과 고고학에서의 네트워크분석(Network Analysis) 동향

        홍은경 한국고대학회 2023 先史와 古代 Vol.- No.72

        This review was written to lay the groundwork for a progressive discussions on which network analysis in Korean archeology, which has recently gained attention but is still at a preliminary level. To this end, this paper briefly examines the development of network analysis, especially social network analysis(SNA), and the trends of SNA in archaeology in abroad and research cases in Korea. SNA is a representative research method in sociology, which is suitable for describing, exploring, and understanding complex social phenomena in structural and relational perspective. The characteristic of paying attention to relationships rather than individual attributes has become an important factor in the widespread use of SNA as a tool for analyzing network data of various types in various other fields beyond sociology. It has been more than 50 years since network analysis was introduced to archaeology, but most of the research has been published in the past 10 years. These studies have shown that network analysis is not only a very useful tool for exploring the relationships that can be detected in archaeological data of various forms and levels in multi-dimensional way, but also a means of accessing the flow of resources and information in the past,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social structure in a variety of ways. Currently, network research in archaeology is expanding in terms of application techniques, research subjects, and the scope of topics. In Korean archeology, network analysis was first attempted in 2019, and it is still in the early stages of being used as an analysis tool for data, so discussions on the concepts and applicability of analysis methods occupy a significant portion. As a result, most studies are in the position of providing concrete evidence for the existing understanding of the data and suggesting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the range of plausible inferences and interpretations, rather than denying the existing achievements or deriving completely new results.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the research topics, spatial and temporal scope, target data, and analysis techniques will be expanded, and the number of actual analysis cases will increase. However, network analysis is only a tool for research. It can identify relationships between specific units, but it is essential to have an archaeological understanding to give meaning to the nature or form of the relationship. Ultimately, it is up to the researcher to interpret the actual results. 이 글은 최근 관심이 증대되고 있으나 아직까지는 초보적 수준인 한국 고고학에서의 네트워크분석이 발전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논의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작성한 것이다. 이를 위해 네트워크분석 특히 사회관계망분석(Social Network Analysis)의 발전 과정과 함께 국내에 사회관계망분석이 소개된 이후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이용하게 되는 과정을 간략하게 살펴보았다. 그리고 고고학의 네트워크분석 경향(외국)과 국내 연구에서의 적용 사례를 검토하였다. 사회관계망분석은 사회학의 대표적인 연구 방법으로, 구조적이고 관계적인 측면에서 복합적인 사회 현상을 기술하고 탐색하며 이해하는 데 적합하다. 개별적 속성이 아니라 관계에 주목한다는 특징은 사회관계망분석이 사회학을 넘어 여러 분야에서 다양한 유형의 네트워크 데이터를 분석하는 도구로써 폭넓게 이용되는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 고고학에 네트워크분석이 도입된 지는 50년이 넘었지만, 대부분의 연구는 최근 10년 동안 발표되었다. 그간의 연구는 네트워크분석이 다양한 형태와 수준의 고고학 자료에서 감지되는 관계를 입체적으로 탐색할 수 있는 도구로써 매우 유용할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과거에 이루어진 자원과 정보의 흐름은 물론 사회적 구조의 특징과 변화 양상에 다각도로 접근할 수 있는 수단임을 보여주었다. 현재 고고학에서의 네트워크 연구는 적용 기법이나 연구 대상, 주제의 범위가 점차 확장되는 추세이다. 한국 고고학에서 네트워크분석은 2019년에 처음으로 시도된 바, 지금은 자료에 대한 분석 도구로 이용되기 시작한 단계에 불과하여 실제 적용 사례가 많지 않고, 분석법의 개념과 적용 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로 인해 대부분의 연구는 새로운 결과를 도출하기 보다는 고고 자료에 대한 기존의 이해에 구체적 근거를 마련하고 개연성 있는 추론과 해석 범위의 확장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렇지만 점차 연구의 주제와 시공간적 범위는 물론 대상 자료와 분석기법이 확대되고 실제 분석 사례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네트워크분석은 연구를 위한 도구일 뿐이다. 특정 단위 사이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지만, 관계의 성격이나 형태에 의미를 부여하는 것은 고고학적 이해가 기본이 되어야 한다. 결국 실제 그 결과에 대한 해석은 연구자의 몫이다.

      • KCI등재

        사회적경제 생태계 분석: 경남의 사례를 중심으로

        송원근(Song, Won Keun),이은선(Lee, Eun Sun) 한국산업경제학회 2020 산업경제연구 Vol.33 No.1

        본 연구는 의미망 네트워크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 방법론을 적용해 지역내 사회적경제 생태계 구축 정도와 수준을 분석한 것이다. 사회적경제 생태계 관련 기존 연구는 이론적 논의에 그치거나 사회적경제 관련 통계데이터를 토대로 양적 지표들의 발달 정도를 보여주는 것이었다. 또한 광역시‧도나 지자체 등 특정지역의 생태계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 주로 정책적 차원에서 타 시‧도의 정책을 정확한 근거 없이 모방하는 경향도 많았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도출한 사회적경제 생태계 요소들이 보이는 기술적인 데이터 분석에 의미망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사회적경제 관련 담론 구조를 추가하여 지역의 사회적경제 생태계 분석을 보완함으로써 지역의 사회적경제 생태계를 좀 더 정확하게 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경남은 2017년이 되어서야 사회적경제 생태계 관련 핵심단어들이 등장하기 시작했으며, 2018년에 이르러서야 단순 일자리 창출에서 벗어나 사회적경제 담론이 질적으로 심화되었고, 따라서 경남 사회적경제 생태계 담론이 획기적으로 전환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적경제 생태계 구축을 위한 정책수립에서 담론 흐름과 핵심 내용을 아는 것이 중요함을 의미한다. 사회적경제기업 수나 매출액, 관련 법‧제도의 정비, 네트워크 참여율등과 같은 지표들은 분명히 사회적경제기업들의 성과를 나타내는 중요 지표들이다. 하지만 기존의 기술통계적 분석에 기초한 정책적 함의만으로는 잘못된 정책적 처방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기술통계적 분석에 전국 대비 경남 지표를 지수화한 비교 분석과 키워드 및 의미망 네트워크 담론분석을 추가하여 지역생태계를 좀 더 정확하고 풍부하게 이해하고, 이를 토대로 정책을 제시할 수 있다면 지속가능한 생태계 조성과 사회적경제의 양적· 질적 확대 효과도 기대해볼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nalyzes the degree and level of Social and Solidarity Economy(SSE) ecosystem establishment in the region by applying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methodology. Existing researches on the SSE ecosystem have been limited to theoretical discussions or have only shown the development of SSE quantitative indicators. In addition, in case of targeting local ecosystems such as metropolitan cities and local governments, they tended to be discussed in terms of policy.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study intends to supplement the analysis of SSE ecosystem in the region by combining the structure of macro discourse with the factors of social economy ecosystem composition derived from previous studies. According to the supplementary analysis, key words related to the social economy ecosystem began to emerge first in 2017, and by 2018, the social economy discourse deepened qualitatively, instead of creating simple jobs, and thus the discourse of Gyeongnam social economy ecosystem changed drastically.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it is important to know the discourse flow and core contents in policy making for social economy ecosystem. Indicators such as the number and turnover of SSE enterprises, the revision of relevant laws and systems, and network participation rate are clearly important indicators of the performance of SSE economy enterprises. However, analysis and policy implications based on existing descriptive analytical methodologies are likely to lead to incorrect policy prescriptions. Therefore, if it can add a whole discourse analysis to understand the local ecosystem more accurately and abundantly, and present policies based on this, we can expect to create sustainable ecosystems and expand the SSE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 KCI등재

        사회네트워크가 기업의 투자결정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박승민(Park, Seung-Min),안영규(Ahn, Young-Gyu) 한국산업경영학회 2013 경영연구 Vol.28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whether and how regional, educational networks play a role in the way companies make investment decisions. Using the biographical information of key executives and directors of the KOSPI 100 firms over the period 2008~2011, we build a 575 symmetric binary sociomatrix based on the regional and educational backgrounds. We apply three common measures of centrality(e. g. degree, betweenness, closeness) from social network literature to appraise the position of a company in the social network. We find that social connections are significant factors of investment decisions after running the partial F-test. Furthermore, the more centrally located a company is in the network, the less idiosyncratic is its investment strategy relative to the other members of the network. On the contrary, The more connections two companies share with each other, the less similar both their level and change over time in investment decisions. In conclusion, This paper provides evidence that managers are influenced by their social networks when making corporate investment decisions. 본 연구는 기존의 기업투자결정요인으로 거론되는 성장기회, 시장이자율, 재무요인 이외에 사회경제학적 관점에서 투자의사결정권자인 경영진의 사회네트워크도 기업의 투자결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사회네트워크분석을 통해 경영진을 둘러싼 사회네트워크를 파악하고 이를 기업의 투자결정과 연계시켜 살펴봄으로써, 기업의 투자결정요인과 투자결정과정 분석 시 사회네트워크변수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종합적으로 검토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사회네트워크분석을 이용하여 경영진의 사회네트워크변수를 설정한 후, 부분 F-검정(partial F-test)을 통해 사회네트워크변수가 기업의 투자결정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중심성모형(centrality model)을 통해 사회네트워크 내 개별기업의 포지션별 영향력을 점검해보는 동시에 대응모형(pair model)을 통해서는 인접기업의 영향력에 따른 기업의 투자결정 차이와 변화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기업의 투자결정을 설명함에 있어 사회네트워크변수의 유용성에 대해서는 일정부분 실증되었으며, 사회네트워크의 중심에 위치할수록 개별 기업 특유의 투자결정을 내릴 가능성은 낮아지는 반면, 인접기업과 사회적으로 밀접한 관계를 가질수록 상이한 투자결정을 내릴 가능성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넷노그래피를 활용한 성경의 핵심어 네트워크 분석

        임병학 한국로고스경영학회 2019 로고스경영연구 Vol.17 No.2

        The development of computer technology for processing large amounts of data has made great progress in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of social science. This study attempts to apply social network analysis to these text data. Content analysis provides a visual analysis of word cloud or word tree based on the frequency of thematic words, but there is a limit to analyzing the role or position of words or relationships among words. It is the social network analysis method which complements the limitation of this content analysis. Social network analysis is a method of quantitatively analyzing at the network level and node level based on nodes and links participating in the network.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a mixed research method combining the qualitative method of content analysis and the quantitative method of social network analy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of 66 volumes of online Bible, and to analyze the network of 66 volumes of the Bible by the simultaneous appearance of 66 words of the Bible. We also proposed a mixed research method combining content analysis and keyword network analysis by applying netology, a qualitative methodology for studying online community. The content analysis shows that the Bible is written around the key words of Jehovah, Jesus, and Christ. Social network analysis shows that the Bible is connected with around the key words of Jehovah, Jesus, and Christ. 다양한 대용량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컴퓨터 기술의 발달로 텍스트 데이터를 분석하는 방법은 사회과학의 양적 방법론과 질적 방법론에서 큰 진전을 이루어 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텍스트 데이터에 내용분석과 사회 네트워크 분석을 적용하고자 한다. 내용분석은 주제별 단어의 빈도수 기반 워드클라우드나 워드트리의 시각화 분석을 제공해 주지만, 각 단어 간 관계, 단어의 역할이나 위치 등을 분석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내용분석의 한계점을 보완해 주는 것이 사회 네트워크 분석 방법이다. 사회 네트워크 분석은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노드(Node)와 링크(Link)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수준과 노드 수준에서 계량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내용분석의 정성적 방법과 사회네트워크분석의 정량적 방법을 결합한 혼합연구방법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온라인 성경 66권의 내용분석을 통한 각 권별 핵심어 도출 방법을 제시하고 성경 66권의 핵심어 동시출현에 의한 성경 66권의 네트워크와 핵심어 네트워크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또한 온라인 커뮤니티를 연구하는 질적 방법론인 넷노그래피를 적용하여 내용분석과 핵심어 네트워크 분석을 결합한 혼합연구방법을 제시하였다. 내용분석을 통해 신약과 구약 성경 66권이 여호와, 예수, 그리스도 핵심어를 중심으로 기술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사회네트워크분석은 여호와, 예수, 그리스도 핵심어를 중심으로 연결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복수학위 네트워크와 전공융합의 구조 : 사회네트워크 분석의 적용

        정동일(Dong-Il Jung) 한국자료분석학회 2021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3 No.5

        이 연구는 4년제 대학생의 복수학위전공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학과 간 융합의 구조와 특징을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둔다. 구체적으로 2019년 『GOMS』 자료와 사회네트워크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복수학위전공 네트워크의 거시적 특징, 계열 간 융합의 구조, 네트워크에서 각 학과가 차지하는 위치와 역할 등을 분석했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복수학위전공 네트워크는 중심부와 주변부가 명확히 분화된 위계적 구조를 보이며, 중심부의 높은 응집성은 이행형 삼자관계의 중첩적 결합에 그 미시적 기초를 두고 있다. 둘째, 계열 내 연결에 비해 계열간 연결의 비중이 3배가량 높았으나, 계열 간 연결은 경영학 중심의 경영계열과 학문적 다양성이 높은 사회과학계열로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일부 계열을 제외하면 계열 간 전공융합이 그렇게 활발하지 않다는 것을 시사한다. 셋째, 블록모델링을 수행한 결과, 총 9개 블록이 나타났는데, 이들 블록은 네트워크에서 수행하는 역할에 따라 자족형, 순환형, 배출형, 징검다리형, 저수지형 등 5개 유형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결과는 전공 간 융합의 형태가 매우 다양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 연구를 토대로, 향후 개별 전공의 구조적 속성, 나아가 주전공-복수전공 쌍의 네트워크 특성이 복수학위전공자의 노동시장 성과 및 경력 경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심도 있게 탐구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purports to explore the structural features of inter-departmental convergence by examining the dual degree network emerging from a collection of university students’ choices of minor fields. In so doing, the paper used GOMS data (2019) and applied social network analysis, investigating the macro-structure of the dual degree network, sub-structure of intra- and inter-college ties, and the roles and positions each department occupies in the network. The dual degree network is found to be scale-free, with the strong segregation between core and periphery, which results from overlaps of cohesive triadic relations among a few core departments and relatively sparse network among peripheral departments. In addition, the blockmodeling reveals that departments can be grouped into nine blocks with five different network roles (independent, circular, distributor, linking, and reservoir), suggesting that departments can perform at least three different roles in knowledge convergence in universities; core platform, brokering convergence, short-distance convergence. Implications are discussed and future research is suggested: how structural features of the department an individual student selects for minor such as centrality, ego-homophily, and major-minor distance can affect students’ labor market performance and career development.

      • KCI우수등재

        ‘한국사회복지행정’의 최근 10년간 연구경향 특성

        최재성(Choi, Jae-Sung),정세정(Cheong, Sejeong),조자영(Cho, Jayoung) 한국사회복지학회 2016 한국사회복지학 Vol.6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사회복지행정학 연구가 어떠한 경향적 특성을 보여왔는가를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관련 연구논문들에 대한 연구경향성분석을 사용하였다. 특히 대표적인 연구경향성분석 방법으로 알려진 내용분석과 네트워크분석을 사용하였다. 각각의 분석방법이 가지고 있는 강점을 모두 취하고 반대로 약점은 상호보완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분석사례는 한국사회복지행정학 학술지에 게 재된 최근 10년간의 논문 221편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네트워크분석 및 내용분석 결과 사회복지행정학 연구는 크게 ‘사회(복지)서비스’와 ‘사회복지조직’의 클러스터로 구분 되며, 그 가운데에서도 인적자원과 관련된 연구에 편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천현장 중심의 새로운 주제들도 등장하나, 전통적인 주제들과는 독립적으로 연구가 수행되는 경향이 있었다. 셋째, 조직구성원을 대상으로 한 양적연구의 비중은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질적연구, 근거 기반 개입 연구, 혼합연구방법, 담론적 논의 등은 상대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사회복지의 사각지 대인 농어촌지역을 대상으로 한 연구나 정보관리, 재무관리, 마케팅, 조직혁신 등의 전통적 복지행정 영역의 주제들도 중요성에 대한 논의에 비해 희소한 것으로 드러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rend of the studies on Korean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over a recent 10 year period. Employing both network analysis and content analysis, which are representative statistical strategies to identify research trends, we analyzed 221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from 2005 to 2014.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we found two clusters –“social (welfare) service” and “social welfare organization”– in the studies of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In addition, more than 80% of articles are mainly related with human resource management, including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so forth. Second, the newly emerging academic subjects such as social enterprise and community network appeared to be done independently of traditional subjects. Third, the proportion of quantitative studies being focused on human resources was overwhelmingly high compared to the other types of studies; therefore, there are a few studies using qualitative or mixed method, evidence based practice, and discourse studies. In addition, the studies of the rural areas, which are a blind spot of the social service delivery system, and the studies about information management, financial management, marketing, organization innovation rarely appeared, despite their significance.

      • KCI등재

        사회선택 통계모형의 방법론적 특성과 p2와 p*모형을 활용한 남자고등학생의 영어도움 네트워크 분석

        김종민(Kim, Chong Min) 한국교육평가학회 2015 교육평가연구 Vol.2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 네트워크 분석 중 사회선택 통계모형의 방법론적 특성을 탐색하고 이를 활용하여 남자고등학생의 영어도움 네트워크 구조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에 첫째, 사회선택 통계모형인 p2 와 p* 모형을 중심으로 방법론적 특성을 탐색하였고, 둘째, 경기도 소재 남자 고등학생의 영어도움네트워크 자료를 토대로, p2 와 p* 모형을 활용하여 네트워크의 구조(호혜성과 전이성)와 고등학생의 특성(성취목표, 영어 학습동기 및 영어 학업성취도)이 영어도움 네트워크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였다. 먼저 방법론적 특성으로 p* 모형은 p2 모형에서 모형화하기 힘들었던 전이성을 포함한 복잡한 네트워크 구조를 모형 명세화 할 수 있는 반면, p2 모형은 전이성 등의 복잡한 네트워크 구조가 존재하지않는 네트워크나 네트워크 자체가 별로 없는 경우 네트워크의 다변량 분석과 다층분석 그리고 다양한모형 명세화가 가능하고 또한 추정의 수렴성과 추정의 표준오차의 효율성 측면에서 유리하다. 그리고 남자고등학생의 영어도움 네트워크를 p2 와 p* 모형으로 분석결과, 남자고등학생의 특성인 사회적 수행접근목표, 영어 학습 내재적 동기 그리고 영어 학업성취도 점수가 높을수록 영어도움 네트워크가 증가 하였고, 네트워크 구조인 호혜성과 전이성은 같은 반 남자 고등학생의 영어도움 네트워크에 긍정적인영향을 주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of social network analysis with a focus on social selection models and to analyze male high schools students’ help networks for English learning using p2 and p* models. Among social selection models, p2 and p* models were presented as statistical models and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of both models were introduced. Each social selection statistical mdoel has its own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p* models can specify complex network structure like transitivity which could hardly be specified in p2 models. On the other hand, p2 models can analyze multivariate models and multilevel models and specify various models when social networks are sparse or simple without complex network structure-like transitivity, with an advantage in the convergence of estimation and efficiency of estimation errors. The application of p2 and p* models was demonstrated using male high school students’ social networks for English learning in Korea. The research question was to examine which attributes(achievement goals, English-learning motivation, and English achievement scores) and network structure(reciprocity and transitivity) affect English-learning help networks. The results of p2 and p* models indicated that the transitive triplets(transitivity), social performance-approach goals, the intrinsic motivation to learn English, and English achievement scor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positively related to providing and seeking help for English learning among students in the same classroom.

      • KCI등재

        한국시민사회단체의 연대활동에 대한 네트워크적 접근

        정민수 ( Min Soo Jung ) 한양대학교 제3섹터연구소 2008 시민사회와 NGO Vol.6 No.2

        시민사회 영역의 자발적 결사체들이 서로 연대하는 것을 중위동원이라고 한다. 이 연구는 1987년 정치적 민주화 이후 시민사회 영역이 등장한 한국에서 사회운동단체들 간의 네트워크가 현재 어떻게 형성되어 있는지를 탐색적으로 살펴보고 여기서 발견된 군집화 현상을 사회운동론의 네트워크적 연구 동향에 따라 진단하고자 한다. 연구자료는 <시민의 신문>의 2005년 시민사회 참여 네트워크이다. 이 자료는 한국에서 2005년 한 해 동안 결사체들이 연대활동을 한 기록을 신문사 DB에서 추출하여 단체, 사건, 연대강도를 (i, j, d)의 행렬로 정리한 것이다. 전체 사건 자료에서 공동성명 발표와 공동행동을 강한 연대로 규정하고 이 자료를 (ina, jmb, d)의 연합 행렬로 변환하였다. 분석방법은 명목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활동영역별로 네트워크 지표의 영향력 차이를 알아본 후에(영역 내 분석), 주요한 역량 단체의 군집화를 다차원척도로 살펴보았다(영역 간 분석). 시민사회 결사체들은 조직속성 변수(설립연도, 회원수, 예산규모)를 통제한 상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네트워크 지표(지위, 등위성 등) 차이를 보였다. 2005년 현재 지위 지표가 높은 단체들은 환경 및 지역활동 영역의 결사체들이거나 여성 단체일 가능성이 컸다. 관계맺기는 그 선점효과가 중요하다는 점에서 90년대 이전에 설립된 단체들만을 추출하여 정교화한 결과 상대적으로 설립연도가 오래된 환경 및 지역 단체들의 중심성이 더 강하였다. 그러나 민주화 과정을 이끌었던 노동/정치 영역의 단체들은 예상과 달리 네트워크 효과가 없었으며, 90년대 이전에 설립된 단체들은 예산규모가 영세하였고 다만 90년대 이후 전반적 회원수가 다소 증가했을 뿐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차원척도의 결과는 시민사회 내부의 군집화가 몇몇 거대 노동/정치 단체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결사체들이 논제형성을 위하여 중위동원을 한 결과 시민사회에는 활동영역이 유사한 조직들 간의 네트워크와 이질적인 조직들 간의 네트워크가 상이하게 나타났다. 전자의 경우 90년대 이전에 이미 설립되었던 환경 및 지역사회 단체를 중심으로 집단 내부의 네트워크가 발달했다. 그러나 후자의 경우 80년대 민주화를 이끌었던 노동/정치 단체들은 집단 내부의 네트워크 보다는 소수 연합단체들의 집단 간 네트워크를 통한 세력화가 두드러졌다. 이러한 결과는 기존의 정치과정론과는 별도로 사회운동에 대한 관계론적 접근을 요청하는 것이다. The collaboration of voluntary associations in the civil society is called mesomobilization.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clustering of the civil society, which is the result of networking through the mesomobilization of the associations. This research employed the data obtained from Participation Network of Korean Civil Organizations in a number of issues during 2005 published by <NGO Times>. It collected the records of the collaboration of associations during the year 2005 and transformed them into the matrix of the form. A collaborative network showed distinction by both attributive effects and the network effects. Multidimensional scaling analysis showed four remarkable clusters in civil society. Concerning attributive factors, the associations established before `90s in the labor/political fields hold less budget scale than the reference group(B=-0.614; 95%CI: 0.296-0.989). Concerning network factors, collective index(B=0.008; 95%CI: 1.003-1.013) and hierarchical index(B=0.005; 95%CI: 1.002-1.007) showed high values in the environmental fields and hierarchical index(B=0.005; 95%CI: 1.003-1.007) in local community fields. These clusters are affected by several important factors: First, differentiation by its domain of activity, that appears gradually in environmental and local community fields from `90s. Second, diastrophism in the labor/political fields, meaning that small informal associations before `90s have been merged into a large cluster of ideology struggle in the public doma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