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의 의미추구와 삶의 만족의 관계에서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의미발견의 매개효과

        고영남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1 敎育問題硏究 Vol.3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the presence of mean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arch for meaning and life satisfaction in adolescents. Participants were 342 high school students in Chungbuk province, South Korea.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the Meaning in Life Questionnaire, the Social Support Scale,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In examining the relationships amomg the variables, multi mediating effects were identified through conducting a test, multiple mediation model operating in serial. Then, using SPSS Macro Program, a bootstrapping methods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significance of indirect effect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the presence of meaning were found to fu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arch for meaning and life satisfaction in adolescents. Second, the search for meaning had significant indirect effects on life satisfaction in adolescents through the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the presence of meaning.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were discussed. 이 연구는 청소년의 의미추구와 삶의 만족의 관계에서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의미발견이 어떠한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결과들을 토대로 의미추구와 지각된 사회적 지지 간의 정적인 상관이 있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 의미추구와 삶의 만족의 관계에서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의미발견이 각각 단순매개효과가 있는지, 또한 사회적 지지와 의미발견을 순차적으로 거치는 이중매개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충청북도에 소재하고 있는 3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고등학생 342명을 대상으로 삶의 의미 척도, 사회적 지지 평가 척도, 삶의 만족 척도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과 SPSS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되었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의미추구는 삶의 만족에 직접적인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의미추구와 삶의 만족의 관계에서 의미발견과 함께 지각된 사회적 지지는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청소년의 의미추구는 의미발견을 통하거나 지각된 사회적 지지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청소년의 의미추구와 삶의 만족의 관계에서 의미추구는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의미발견이라는 경로를 순차적으로 거치는 이중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청소년의 의미추구는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의미발견을 통해서 간접적으로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주요 시사점,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안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주관적 사회적 지위가 일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

        박지영,손영우 한국감성과학회 2018 감성과학 Vol.21 No.2

        The primary goal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dividual's subjective social status on meaning of work. We hypothesized that individual's subjective social status, defined as the respect and influence an individual has at her/his workplace, would promote meaning of work. Further, we hypothesized that individual's subjective social status would be more highly associated with meaning of work based on her/his occupation's subjective social status. Using two experimental studies, we found that individual's subjective social status increased meaning of work in American (Experiment 1) and South Korean working adults (Experiment 2). Participant's meaning of work was more influenced by individual subjective social status than occupation subjective social status (Experiment 1). Also, the results from Experiment 2 indicated that objective social status within an organization (i.e., rank) moderated the effects of individual subjective social status on meaning of work, such that the beneficial effects of individual subjective social status on meaning of work were found only for participants with low objective social status. In contrast, meaning of work in participants with high objective social status did not vary depending on subjective social status.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study limitation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본 연구의 목적은 주관적 사회적 지위가 일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주관적 사회적 지위를 한 개인이나 조직이 갖는 존경과 영향력으로 정의하고, 조직 내 개인의 주관적 사회적 지위가 높을수록 일의 의미를 높게 지각할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또, 조직 내 개인의 주관적 사회적 지위는 개인이 속한 직종의 주관적 사회적 지위보다 일의 의미 향상에 더 큰 영향을 줄 것이라고 예측하였고 두 개의 실험을 통해서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실험 1에서 미국 직장인을 대상으로 조직 내 개인의 주관적 사회적 지위와 직종의 주관적 사회적 지위가 일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실험 2에서는 한국 직장인을 대상으로 해당 가설을 반복 검증하고, 조직 내 객관적 사회적 지위인 계급에 따라 조직 내 주관적 사회적 지위가 일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이 다를 것이라는 가설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과 미국 직장인 모두 조직 내 개인의 주관적 사회적 지위가 높을수록 일의 의미를 높게 인식했다. 또, 조직 내 개인의 주관적 사회적 지위는 직종의 주관적 사회적 지위보다 일의 의미에 더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실험 1). 실험 2에서 객관적 사회적 지위인 계급에 따라 조직 내 개인의 주관적 사회적 지위가 일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는데, 객관적 사회적 지위가 낮은 경우에는 개인이 조직 내에서 존경을 받고 영향력이 있다고 생각할수록 일의 의미가 향상되었지만, 객관적 사회적 지위가 높은 경우에는 조직 내 주관적 사회적 지위가일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학문적 의의, 한계와 미래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상대높임법 ‘경어-평어’의 사회적 의미와 이로 인한 사회적 사건 발생 양상-신문 기사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박지은,HSIEH YI CHING,장문수,신지영 한국어의미학회 2025 한국어 의미학 Vol.88 No.-

        본 연구는 1920년부터 2024년까지 발행된 신문 기사 2,075건을 분석하여 한국어 상대높임법의 경어와 평어의 사회적 의미를 고찰하고, 이들이 폭력 범죄나 사회 규범 도입과 같은 사회적 사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탐구한다. 경어의 경우 여섯 가지 예의 바름(존중), 자기 비하, 카리스마 부족, 거리감, 이성적, 비꼼의 여섯 가지, 평어의 경우 무례함(경시), 권위성, 거칠음, 비공식성, 불친절함, 친밀감, 평등감 등 일곱 가지 사회적 의미가 관찰되었다. 지표성 이론을 바탕으로 이러한 사회적 의미들이 어떻게 발달하였는지 논의하기도 하였다. 본고는 또한 경어-평어에 대한 이러한 사회적 인식으로부터 다양한 사회적 사건이 발달하였음을 관찰하였다. 평어의 부정적 사회적 의미로부터 다양한 대인 갈등이나 폭력 사건을 야기되기되었다. 경어의 긍정적 사회적 의미 및 평어의 부정적 사회적 의미들로부터 평어 사용을 금지하는 규범이나 상호 경어 사용 규범이 야기되었다. 반면, 평어가 긍정적 의미를 전달할 때에는 상호 평어 사용을 장려하는 규범이 만들어지기도 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ocial meanings and socio-pragmatic consequences of honorific speech and non-honorific speech in Korean hearer honorific by analyzing 2,075 newspaper articles published between 1920 and 2024. Drawing on indexicality theory, it identifies six principal social meanings associated with honorific forms—politeness (respect), self-deprecation, lack of charisma, social distance, rationality, and sarcasm—and seven meanings associated with non-honorific forms—rudeness (disregard), authoritativeness, roughness, informality, unfriendliness, intimacy, and equality. we analyse how these indexical meanings have evolved from social deixis meaning. The study further examines how these social meanings have spurred real-world social events: the negative connotations of non-honorific forms have precipitated interpersonal conflicts and violent incidents, while the prestige afforded to honorific forms and the stigma attached to non-honorific forms have given rise to norms prohibiting non-honorific form usage or mandating mutual honorific form use. Conversely, when non-honorific forms index intimacy or equality, they underpin emerging norms that encourage mutual non-honorific form address. By elucidating the complex interplay between linguistic form, indexical meaning, and social practice, this research deepens our understanding of Korean hearer-honorifics in their broader sociolinguistic context.

      • KCI등재

        대학생의 삶의 의미추구 및 의미발견,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사회적 관심의 조절된 매개효과

        이지은,이동형 한국상담학회 2020 상담학연구 Vol.21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the presence of meaning (PM) in life on the association between search for meaning (SM) and psychological wellbeing (PW), and analyze a moderated mediation model of social interest (SI) by testing if SI moderates such a mediating effect of PM among college students. Participants were 365 male and female students attending the universities located within B metropolitan city. The data from the self-report measures of SM, PM, PW and SI were analyz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among SM, PM, PW, and SI. Second, PM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M and PW. Third, the moderating effect of SI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M and PM was significant as SM had a stronger relationship with PM when the level of SI was higher. Finally, the mediating effect of P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M and PW was found to be moderated by SI, which supports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moderated mediation model of SI. Our findings implicate the potential facilitative role that SI plays in finding the meaning in life and experiencing psychological wellbeing when college students strive to search for meaning in life. Based on the result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our study and suggestion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대학생의 삶의 의미추구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의미발견이 매개효과를 갖는지 살펴보고, 이러한 매개효과를 사회적 관심이 조절하는지 조절된 매개 모형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B광역시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 재학생 365명을 대상으로 삶의 의미추구와 의미발견, 심리적 안녕감, 사회적 관심을 측정하는 설문조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의미추구와 의미발견, 심리적 안녕감, 사회적 관심 간에는 모두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었다. 둘째, 의미추구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를 의미발견이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의 관계에서 사회적 관심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여, 사회적 관심이 높을수록 의미추구가 의미발견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의미추구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의미발견의 매개효과는 사회적 관심의 수준이 높을수록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나 조절된 매개효과가 최종적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대학생들의 삶의 의미추구 시, 의미발견을 돕고 심리적 안녕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회적 관심의 역할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및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신문언설에 나타난「日本人」의 의미

        강경완(姜炅完) 한국일본어학회 2012 日本語學硏究 Vol.0 No.34

        본고는 단어「日本人」을 대상으로 신문언설에 나타난 사회적 코노테이션을 추출한 논문이다. 또한 동시에 현대일본어균형코퍼스(BCCWJ)를 보조자료로 사용하여 신문언설에서 추출된「日本人」의 사회적 코노테이션이 특정 텍스트에 국한되는 의미를 넘어서 간텍스트적인 (intertextual) 일반성을 지니고 있을 가능성에 관해서도 검토하였다. 사회적 코노테이션이란 단어가 지시하는 사물이나 관념에 관한 사회적 현실과 그것을 기반으로 형성된 가치관을 반영하는 언어사용(언설)의 반복에 의해 형성되는 암시적 의미이며, 사회적 코노테이션은「언설적 의미의 추출→ 언설적 의미경향의 추출→ 사회적 코노테이션의 추출」이라는 3단계를 통해 언설의 집합체인 신문코퍼스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신문언설에 있어서는 우선<이기적이다><바쁘다><몰인정하다><타인과의 연대, 타인에 대한 관심을 잃어버렸다><자연과의 공존을 상실하다><감정표현을 하지 않는다>등의 부정적인 언설적 의미경향이 추출되었으며 이들로부터 ≪인간본연의 모습을 잃어버린 존재≫라는 사회적 코노테이션이 추출되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부지런하다><성실하다><따뜻하다><관대하다><예의바르다><질서를 지킨다><가족 간의 유대가 깊다>등의 긍정적인 언설적 의미경향도 추출되어 이들로부터 ≪도덕적, 규범적으로 바르다≫라는 사회적 코노테이션을 추출할 수 있었다. 이상, 신문에 나타난 단어「日本人」의 언설로부터 자신들을 인간 본래의 모습을 잃어버린 부정적 존재로 인식하는 동시에, 한편으로는 도덕적 규범적으로 바른 존재로도 인식하는 현대일본사회의 일본인에 대한 양면적 가치관을 추정할 수 있다. 한편 현대일본어균형코퍼스에 나타난「日本人」의 언설에 있어서도 신문언설과 유사한 사회적 코노테이션을 추정할 수 있어 ≪인간본연의 모습을 잃어버린 존재≫≪도덕적, 규범적으로 바르다≫라는 의미가 일본어 전반에 퍼져있는 일반적인 의미임을 시사해주었다. 본고의 결과를 토대로「日本人」과「韓?人」의 언설에 나타난 의미경향?사회적 코노테이션의 비교, 나아가「日本人」「韓?人」의 사회적 코노테이션과 한국 신문에 나타난「일본인」「한국인」의 사회적 코노테이션과의 대조 등을 금후의 과제로 하고자 한다.

      • KCI등재

        지각된 사회적 지지가 대인관계 외상을 경험한 여대생의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의 순차적 매개효과

        이은영,김빛나 한국임상심리학회 2022 한국심리학회지: 임상심리 연구와 실제 Vol.8 No.2

        외상 후 성장이란 외상에 대처한 결과 개인이 외상 사건 이전보다 오히려 긍정적인 변화와 성숙을 경험하는 것을 가리킨다.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의미추구, 의미발견은 각기 외상 후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연구되어왔으나, 대인관계 외상을 경험한 여대생을 대상으로 이를 종합적으로 검증한 연구는 부족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의미추구, 의미발견이 대인관계 외상을 경험한 여대생의 외상 후 성장과 어떠한 관계를 맺고 있는지 탐색하고, 나아가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외상 후 성장의 관계를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이 순차적으로 매개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총 274명의 여대생이 참여하였으며, 관련 척도들이 포함된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분석 결과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은 각기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외상 후 성장 간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또한 지각된 사회적 지지는 의미추구와 의미발견의 순차적 매개를 통해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인관계 외상을 경험한 여대생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의미추구를 시도할 수 있는 심리적 자원으로 기능하며, 의미추구가 의미발견으로 이어질 때 외상 후 성장을 가져올 수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상담 장면에서 치료적 시사점과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사회적경제 생태계 분석: 경남의 사례를 중심으로

        송원근(Song, Won Keun),이은선(Lee, Eun Sun) 한국산업경제학회 2020 산업경제연구 Vol.33 No.1

        본 연구는 의미망 네트워크분석(semantic network analysis) 방법론을 적용해 지역내 사회적경제 생태계 구축 정도와 수준을 분석한 것이다. 사회적경제 생태계 관련 기존 연구는 이론적 논의에 그치거나 사회적경제 관련 통계데이터를 토대로 양적 지표들의 발달 정도를 보여주는 것이었다. 또한 광역시‧도나 지자체 등 특정지역의 생태계를 대상으로 하는 경우, 주로 정책적 차원에서 타 시‧도의 정책을 정확한 근거 없이 모방하는 경향도 많았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도출한 사회적경제 생태계 요소들이 보이는 기술적인 데이터 분석에 의미망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사회적경제 관련 담론 구조를 추가하여 지역의 사회적경제 생태계 분석을 보완함으로써 지역의 사회적경제 생태계를 좀 더 정확하게 파악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경남은 2017년이 되어서야 사회적경제 생태계 관련 핵심단어들이 등장하기 시작했으며, 2018년에 이르러서야 단순 일자리 창출에서 벗어나 사회적경제 담론이 질적으로 심화되었고, 따라서 경남 사회적경제 생태계 담론이 획기적으로 전환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사회적경제 생태계 구축을 위한 정책수립에서 담론 흐름과 핵심 내용을 아는 것이 중요함을 의미한다. 사회적경제기업 수나 매출액, 관련 법‧제도의 정비, 네트워크 참여율등과 같은 지표들은 분명히 사회적경제기업들의 성과를 나타내는 중요 지표들이다. 하지만 기존의 기술통계적 분석에 기초한 정책적 함의만으로는 잘못된 정책적 처방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기술통계적 분석에 전국 대비 경남 지표를 지수화한 비교 분석과 키워드 및 의미망 네트워크 담론분석을 추가하여 지역생태계를 좀 더 정확하고 풍부하게 이해하고, 이를 토대로 정책을 제시할 수 있다면 지속가능한 생태계 조성과 사회적경제의 양적· 질적 확대 효과도 기대해볼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nalyzes the degree and level of Social and Solidarity Economy(SSE) ecosystem establishment in the region by applying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methodology. Existing researches on the SSE ecosystem have been limited to theoretical discussions or have only shown the development of SSE quantitative indicators. In addition, in case of targeting local ecosystems such as metropolitan cities and local governments, they tended to be discussed in terms of policy.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study intends to supplement the analysis of SSE ecosystem in the region by combining the structure of macro discourse with the factors of social economy ecosystem composition derived from previous studies. According to the supplementary analysis, key words related to the social economy ecosystem began to emerge first in 2017, and by 2018, the social economy discourse deepened qualitatively, instead of creating simple jobs, and thus the discourse of Gyeongnam social economy ecosystem changed drastically.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it is important to know the discourse flow and core contents in policy making for social economy ecosystem. Indicators such as the number and turnover of SSE enterprises, the revision of relevant laws and systems, and network participation rate are clearly important indicators of the performance of SSE economy enterprises. However, analysis and policy implications based on existing descriptive analytical methodologies are likely to lead to incorrect policy prescriptions. Therefore, if it can add a whole discourse analysis to understand the local ecosystem more accurately and abundantly, and present policies based on this, we can expect to create sustainable ecosystems and expand the SSE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 KCI등재

        사회적 가치관이 반영된 어의확장에 관한 연구 - 「凡人」을 예로 -

        강경완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21 비교일본학 Vol.53 No.-

        본고에서는 「凡人」을 예로 사회적 가치관이 반영된 의미의 존재와 추출법에 관해서 검토 하였다. 코퍼스에 나타난 실례를 통해 「凡人」에는 변별적 의미 <普通でなみである>의 상대 성에 기인한 <普通でなみであることを否定的に捉える>, <普通でなみであることを肯定的に捉え る>라는 다의의 사회적 의미가 존재함을 밝혔다. 또한 이와 같은 변별적 의미와 사회적 의미 의 관계는 「凡人」의 내재적인 자질과 외향적인 행동에 관한 평가에 관련된 담론적 의미경향 을 매개로 하고 있음을 제시하였다. 본고의 연장선상에서 ‘다수의 일반인’을 지칭하는 人名詞 를 대상으로 사회적 가치관이 반영된 어의확장의 가능성에 관하여 한국어와의 대조를 포함하 여 금후의 과제로 삼고 싶다. In this paper, BONJIN as an example was reviewed on the existence and extraction method of the meaning reflecting social values. It was analyzed through the examples appearing in the corpus that BONJIN has the polysemous social meaning of <understand the normal and ordinary negatively> and <understand the normal and ordinary thing positively> due to the relativity of the denotation <normal and ordinary>. In addition, it was suggest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denotation and social connotation is mediated by discourse meaning tendencies related to the evaluation of BONJIN's intrinsic qualities and extroverted behavior. As an extension of this paper, I would like to make a future task, including the contrast with Korean, regarding the possibility of expanding word meaning reflecting social values f or human nouns, which refer to ‘the majority of ordinary people’.

      • KCI등재

        자유놀이에서 나타나는 유아들의 사회적 갈등의 의미

        김희태(Kim WheeTai)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4 열린유아교육연구 Vol.8 No.4

        본 연구는 유아들의 사회적 상호작용의 과정에서 나타나는 사회적 갈등을 유치원의 실내ㆍ외 자유놀이 시간이라는 자연적 상황에서 살펴보아 그 의미를 논의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유아들의 사회적 감동의 특성을 요약하면 첫째, 사회적 갈등은 유아들이 사회적 기술을 연습하는 장(場)이고 둘째, 사회적 갈등을 통해 유아들은 사회적 규칙의 의미를 학습하며 셋째, 사회적 갈등을 통해 사회적 정보를 교환하고 학습하며 마지막으로 사회적 관계에 따라 사회적 갈등은 다소 다른 양상을 보여준다는 점이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ontextual meaning of young children's social conflicts occurring in their social interactions with peers during free play sessions in a kindergarten. Previous research on young children's social conflicts had focused on 'the structure' of young children's conflicts, which contains conflict issue, opposition and resolution, and outcome. It did not reflect the contextual meaning of young children's social conflicts. Thus, this study tried to focus on the context of conflicts occurring in a naturalistic situation and to find out the meaning of them. 33 5-year-old children had been observed for the free play sessions both in the classroom and on the playground in a kindergarten. This study showed that there were several features of young children's social conflicts depending on its social contexts. They are as follows: First, social conflict was a kind of the context in which young children could exercise their social skills such as yield and proposal; Second, young children learned the meaning of social rule through experiencing social conflicts during social interaction with others; Third, by experiencing social conflicts young children could take social exchange in social knowledge and information to take adaptation to our society and thus could internalize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And. fourth, young children's social conflict was different in their social relationship such as friendship relations.

      • KCI등재

        노인의 삶의 의미와 우울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이송이,이재창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9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meaning of life and social support on depression of the elderly. The study targeted 230 members from Daejeon senior welfare center over age 60 living in Daejeon. As for the measuring tool, the study used meaning of life scale, depression scale, social support scale.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eaning of life had effect on negatively depression, and among the subcategories of meaning of life, value of life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to depression. Second, the social support had effect on negatively depression, which the higher social support led to lower depression, and among the subcategories of social support, the family support wa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to depression. Third, social support had moderation effect between meaning of life and depression.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level of social support is, the better it helped to overcome the depression through the experience of meaning of life. When integrating the above results, the meaning of life and social support affected depression of the elderly, and social support had its moderation effect between meaning of life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본 연구는 삶의 의미와 사회적 지지가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는 대전에 거주하고 있는 만 60세 이상의 어르신 중 대전광역시노인복지관 이용회원 중 23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측정 도구는 삶의 의미 척도, 사회적 지지 척도, 우울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삶의 의미는 우울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삶의 의미의 하위 변인 중 삶의 가치가 우울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지지는 우울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우울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의 하위변인 중 가족의 지지가 우울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삶의 의미와 우울 사이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 효과가 있어서, 사회적 지지 수준이 높을수록 삶의 의미의 경험을 통해서 우울을 극복하는데 많은 도움을 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삶의 의미는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따라서 노인의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그들의 삶의 의미와 사회적 지지를 증진하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