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서관 목록과 사회적 목록에 대한 비교 연구 - 목록규칙 분석을 중심으로 -

        백지원,Baek, Ji-Won 한국비블리아학회 2015 한국비블리아학회지 Vol.26 No.4

        본 연구는 목록규칙 분석을 바탕으로 도서관 목록과 사회적 목록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두 영역의 본질적인 특성과 상호관계를 파악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두 영역을 대표하는 목록규칙을 선정하고, 도서관 목록규칙과 사회적 목록규칙의 상대적 비교를 통해 각각의 본질적 특성, 목적, 기반 원칙, 전개 발전 방향, 목록규칙 작성의 주체, 존재와 작성 방식 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목록규칙을 분량과 구성, 총칙의 내용, 개인과 저작을 중심으로 한 개체의 속성과 관계, 주제 목록의 측면에서 상호 비교하여 두 영역 목록규칙간의 유사성과 차별성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사회적 목록규칙의 목록 작성 단계별 적용 특성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향후 정보조직 생태계를 전망하고 정보조직의 전개 및 발전 방향을 파악하는 근거로 삼을 수 있다는 점에 본 연구의 의의를 둘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and overall situation of cataloging ecosystem focusing o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raditional library and social cataloging site cataloging. For this, an extensive research and analysis was conducted concerning comparative analysis on cataloging rules of the library and social cataloging. As a result, not only the similarity and difference but also interrelationship between library and social cataloging was analyzed in detail.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ataloging rules were analyzed by the stage of cataloging in the library and the social cataloging environment.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for mutual understanding and cooperation between library and social cataloging. The result may have significant meaning in prospecting cataloging ecosystem and planning further study on facilitating interaction and leading knowledge organization development.

      • KCI등재

        종교의 자유가 서비스교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분석

        이종화 ( Chong Wha Lee ) 한국EU학회 2014 EU학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종교의 자유가 서비스교역에 미치는 영향을 중력모형에 기초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할 수 있었던 사실은 다음과 같다. 첫째, 특정 종교에 대한 정부의 규제나 지원, 사회적 규제는 서비스 교역에 모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특정 종교에 대한 정부의 규제나 사회적 규제는 상품교역보다 서비스 교역에 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관찰되었다. 셋째, 특정 종교에 대한 사회적 규제는 상품과 서비스교역 모두에 있어서 정부의 규제나 지원보다 더 높은 부정적인 영향을 초래하며 특히 수출국보다 수입국에 부정적인 영향이 더 크다는 점이 밝혀졌다. 넷째, 특정 종교에 대한 정부의 지원과 규제 그리고 사회적 규제는 서비스를 수입하는 국가의 무역체제가 느슨할수록 수입을 더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특정 종교에 대한 정부의 규제와 지원, 그리고 사회적 규제는 서비스를 수입하는 국가의 비관세장벽과 평균관세율이 높을수록 수입을 더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종교의 자유는 다양한 종교로 인한 문화다양성을 확대하고 다른 문화와의 조화와 공존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교역 상대국간의 문화적·제도적 차이를 극복하게 하여 교역확대에 기여할 수 있음이 밝혀졌다. This paper attempt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religious freedom on international trade in services using modified gravity model. To avoid biased results stemming from sample selection due to zero trade flow and heteroskedasticity problem, this study used Poisson Pseudo-Maximun Likelihoood (PPML) estimation suggested by Santos Silva and Tenreyro(2006) to estimate the effects of religious freedom on trade in services covering year 2003, 2005, and 2007. Several novel features deserve attention. First, governmental regulation, governmental favoritism and social regulation on religion exert negative influences on international trade in services. Second, governmental regulation and social regulation on religion have negative impacts on international trade in services more than international trade in goods. Third, social regulation of religion exerts even greater trade-restricting effect than governmental regulation and governmental favoritism of religion do, and this effect in service trade is even greater than goods trade. Fourth, governmental regulation, governmental favoritism and social regulation of religion have more service-import restricting effect in countries with weak trade regime. Fifth, governmental regulation, governmental favoritism and social regulation of religion have more service-import restricting effect in countries with high non-tariff barriers and high mean tariff rates. In short, religious freedom turns out to contribute to enhancing trade by circumventing cultural and institutional differences among trading countries.

      • KCI등재

        한국어 학습자 요인분석을 통한 학습 전략 사용의 비교 분석 연구

        원미진 ( Won Mi-jin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10 국제어문 Vol.48 No.-

        한국어 학습자들이 사용하는 학습 전략의 성격을 알아보기 위해 언어 학습 전략 목록표를 사용하여 98명의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들이 사용한 언어 학습 전략을 체계적으로 범주화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9가지 요인으로 묶어서 제시하였다. 제일 많은 설명력을 보인 전략은 연습과 분석을 위한 인지 전략이었고, 목표 점검 과정을 하는 상위 인지 전략이 그 다음이었다. 한국어 학습자가 사용하는 9가지 언어 학습 전략은 Oxford가 제시한 6가지 전략 유형별로 살펴 볼 때 인지 전략이나 상위 인지 전략에 비해 기억전략, 보상 전략, 사회적 전략의 사용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었다. 한국어 학습자들이 주로 사용하고 있는 전략의 집단별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 집단별 분석을 시도했다. 학습자 집단은 여성이 남성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전략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학습자의 수준은 전략 사용에 영향을 주는 변인인 반면에, 학습자의 나이나 학습자의 모국어 문화권은 전략 선택과 상관관계가 상대적으로 미약했다. 학습 전략 사용의 성격을 아는 것은 학습자 중심의 언어 교수를 계획하는데 필수적인 요소라는 점에서 한국어 학습자의 특성에 따른 집단별 특성을 살펴본 것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compared the use of language learning strategies of KSL learners. The data were measured by the ESL/EFL version of the SILL, the most widely employed strategy scale and collected from 98 KSL learners.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elicit the factor related to KSL learners` use of language learning strategies. A nine factor, principal components, Varimax solution was chosen for the SILL survey, this solution accounted for over 69% of the variance in the data. Among the most important factors explaining the variance were cognitive strategies (oral repetition, looking for practice, analyzing words roots and patterns) and meta-cognitive strategies (having clear goals, thinking about progress and). While cognitive and meta-cognitive or social strategies were independent factors from other strategy categories, affective and compensation strategies as a combination were common to another factors. In addition, frequency of use of language learning strategies appeared to be directly related to whether learners are male or female and a language level, young or old, easteren or western language background,and living period are not directly related to the frequency of the use.

      • KCI등재

        한국어판 대인관계 지지 평가 목록(ISEL-12)의 신뢰도와 타당도

        김도현,이건석,이혜경,김준원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12 신경정신의학 Vol.51 No.6

        Objectives The interpersonal support evaluation list-12 (ISEL-12) is one of the scales used for measurement of perceived social support. This study standardized self-report social support measure, ISEL-12. Methods Participants included 294 students of a university. Convergent validity was assessed by correlating scores on the ISEL-12 with those on other scales. A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factor structure of the ISEL-12. Results ISEL-12 showed acceptable reliability and validity. High level of internal consistency and reliability (Cronbach α=0.866) and item homogeneity was confirmed. We found two-factor structures of ISEL-12 via factor analysis. The Korean version of ISEL-12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other scales for evaluation of perceived social support. Test-Retest reliability was also confirme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0.65). Conclusion These findings support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ISEL-12for evaluation of perceived social support in young adults. 285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어판 ISEL-12의 신뢰도와 타당도는 비교적 높은 수준에서 검증되었다. 다른 유사한사회적 지지 측정 척도와 마찬가지로 외래 환경이나 검진상황에서 개인이 인식하는 사회적 지지를 평가 및 선별검사 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생각되며 향후 사회적 지지와 연관된 연구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The EU as a Global Role in a Multipolar World: Animal Spirits in European Integration and Implications for East Asia

        ( Eun Young Choi ),( Tae Seok Jang ),( Min Chul Kim ) 한국EU학회 2014 EU학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유럽 연합(EU)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경제와 사회적 도전과제를 다룬다. 첫째, 유로 위기 기간 동안 및 그 이후에 발생하는 중심과 주변 국가들의 거시 경제 불균형을 논의한다. 본 논문은 유럽위원회(European Commission)가 발표한 구조 개혁에 대한 일련의 체계에 따라 정부와 중앙은행은 유럽의 인구 변화와 신흥시장국들의 경쟁에 대한 문제에 대처해야 한다는 논점을 소개한다. 둘째, 본 연구는 유럽 통합의 과정이 국가 간 긴밀한 공조를 기반으로 한 안정적인 조정과정을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는 관점을 다룬다. 이에 대해, EU에서 시급한 노동시장 문제를 설명하고, 유로 위기에 대한 법과 제도적 관점을 논의한다. 무엇보다도, 유로존에서 통화동맹을 완성시키고 통합경제의 이질성으로 인한 비용을 줄이는데 정치적 융합과 사회적 합의의 중요성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는 논점을 제시한다. 따라서 “야성적 충동”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경제통합의 진전과 함께 시장행위와 경기불황의 연관성을 통해 비대칭적 충격에 대한 경제적 효과가 확대되었음을 지적하였다. 마지막으로, 유로존 위기의 교훈을 통해 동아시아 거시경제의 불안정성을 검토하고 경제통합을 위한 정책적 함의를 점검한다. In this paper, we address the economic and social challenges facing sustainable growth in the European Union (EU). First, we discuss the macroeconomic imbalance in core and periphery countries incurred during and after the euro crisis. The European Commission``s structural reforms to correct the imbalance suggest that governments and central banks should take steps to adequately deal with growing competition from emerging economies, as well as challenges from demographic change in Europe. Second, we take the position that the stable adjustment in European integration should be based on a close coordination among member countries. We explore issues of a dire labor market in the EU, and go on to discuss a legal and institutional perspective on the crisis. In particular, a special priority should be given to a political amalgamation and social trust for completing a currency union and reducing significant costs from heterogeneity in the Euro area. Hence, the amplification effects of asymmetric shocks in the Eurozone are indicated by the term “animal spirits”, as the relation between market behavior and protracted decline in economic activity will be markedly important in the process of European integration. Finally, this study addresses macroeconomic instability and unemployment in East Asia, based on the lessons of the Eurozone crisis and provides policy implications for regional integration.

      • KCI등재

        의료기술평가를 통한 급여결정의 한계와 극복방안: 기등재의약품목록정비 사업에 대한 평가를 중심으로

        배은영 ( Eun Young Bae )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 2010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Vol.16 No.3

        Korea is among the countries which have experienced rapidly increasing drug expenditures. According to OECD health data, the annual growth rate of Korean drug expenditure was around 10% from 2001 to 2006. To control and keep this increase rate within sustainable levels, and attain the efficiency within the system, the Korean government announced the introduction of a positive list system in May 2006. Under the positive list system, only drugs which have established their value in terms of clinical efficacy and cost-effectiveness can be listed. In addition to new drugs, listed drugs have also been scheduled to have their value re-evaluated during the period from 2007 to 2012. Based on the evaluation results, existing drugs with low added value will be de-listed.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HIRA) has a mandate to review all listed drugs, and it reviewed migraine and hyperlipidemia drugs as a pilot project in 2007. Since HIRA opened its assessment reports and the preliminary decisions of the committee, there has been a debate over the assessment methodology and decisions made by the committee. This study will discuss the issues which have been raised in Korea during the re-evaluation of two therapeutics groups. These issues are: the relation between scientific assessment and decision making, the use of cost-effectiveness data in the determination of ceiling price, and the way social values are reflected in reimbursement decisions.

      • "2007년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1, 2학년 바른생활 교과용도서의 개발 방향

        차우규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08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 No.-

        `2007년 개정교육과정`에서 바른생활 교과는 현행의 간학문적 접근과 심리사회적 접근과의 `절충형`을 취하고 있다. 즉, 이는 「바른생활」 교과가 근본적으로 「도덕」 교과를 모 학문으로 본다는 것을 의미하지만, 「바른생활」 교과는 통합 교과이기 때문에 학생 생활중심의 심리 사회적 접근도 함께 지향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번 바른생활 교과용도서 개발 시 주요 특징으로는 세 통합교과간의 통합과 연계, 공통단원의 설정, 모든 차시에 인지, 정의, 행동적 요소의 포함, 교수-학습 과정 개요(학습문제 인지하기→바른 행동알기→바른 행동의 좋은 점 알기→실천동기 부여) 제시, 제재를 단원으로 수정, 단원 교수에 도움이 될 인터넷 사이트(Internet Sites) 소개, 단원의 학습경험 목록 제시 등을 들 수 있다.

      • 2007년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1, 2학년 바른생활 교과용도서의 개발 방향

        차우규 ( Woo Kyu Cha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08 통합교육과정연구 Vol.2 No.1

        이 연구에서는 현행 「바른생활」 교과서의 문제점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2007년개정교육과정`에 따른 「바른생활」 교과서의 개발원칙, 특징과 내용 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2007년개정교육과정`에서 바른생활 교과는 현행의 간학문적 접근과 심리사회적 접근과의 `절충형`을 취하고 있다. 즉, 이는 「바른생활」 교과가 통합 교과이기 때문에 학생 생활중심의 심리사회적 접근을 기본으로 해야 하지만, 「바른생활」 교과의 성격과 내용이 「도덕」 교과와 관련이 깊기 때문에 모교과로서 매우 비중 있게 고려해야 함을 강조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번 바른생활 교과용도서 개발 시 주요 특징으로는 세 통합교과 간의 통합과 연계, 공통단원의 설정, 모든 차시에 인지, 정의, 행동적 요소의 포함, 교수-학습 과정개요(학습문제 인지하기→바른 행동 알아보기→바른 행동 실천해보기→실천동기 부여) 제시, 제재를 단원으로 수정, 단원 교수에 도움이 될 인터넷 사이트(Internet Sites) 소개, 단원의 학습경험 목록 제시 등을 들 수 있다. 「바른생활(Right Life)」 in `2007 Reformed National Curriculum` makes a compromise between interdisciplinary and psychological-social approach. 「바른생활」 is regarded as the mother of 「도덕(Moral Education)」 primally, but it is pursuit to the emphasis of psychological-social approach with because of integrated subject. The main features in developing 「바른생활」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integration and connection among three integrated subjects, the establishment of hour common units, inclusion of the cognitive, affective, behavioral elementary, presenting the outline of teaching-learning process(cognition of learning problems→knowing the right behavior→knowing the merits of right behavior→endowing practice motivation), introducing the internet site helped to ones in teaching, and list of quality learning experiences.

      • KCI등재

        다문화사회와 언어교육정책 - 사회언어학적 관점에서 -

        이재승 ( Lee Jae Seung ),김희재 ( Kim Hee Jae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교육문화연구 Vol.22 No.4

        본 연구는 빠른 속도로 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을 맞이하고 있는 한국사회의 다문화정책 중에서 언어 및 언어교육과 관련된 정책을 분석하고 강화되고 보완되어야 할 부분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제 2차 다문화가족정책기본계획(2013~2017)과 기본계획의 정책목표들과 과제들을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지방자치단체의 2013년, 2014년, 2015년 연도별 시행계획을 검토하였다. 사회언어학적 관점에서 연구 자료를 분석하고, 강화된 이중언어교육, 학습자특색에 맞는 언어교육, 지역문화를 전달하는 언어교육, 상향식 언어정책, 선주민의 언어교수참여 확대가 제시되었다. 사회적 상호작용을 위한 언어교육은 선주민의 다문화수용성을 증진시키고, 이주민의 역량을 강화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ulticultural society and language education policy focused on a sociolinguistic perspective. Based on two sociolinguistic keywords, code-switching and verbal repertoire, and 2nd Multicultural Family Policy(2013~2017), five suggestions are provided for social interaction. (1) Bilingual or multilingual education is needed for migrants` multicompetence. (2) Language education that meets migrants` situations and needs is necessary. (3) Dialect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to migrants for sharing local culture. (4) Bottom-up language policy that the local community leads is necessary. (5) Local residents are responsible for social mood that respects different culture. Language education policy for social interaction could improve local residents` multicultural competency and enhance migrants` empowerment.

      • KCI등재

        문학 범주 형성의 제도사적 이해를 위한 시론 -출판사,서점의 판매도서목록을 중심으로

        유석환 ( Seokhwan Yu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5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57

        This paper is an essay on institutional history understanding of formation of category of literature. Studies of formation of category of literature has already accumulated very much. But institutional aspect of formation of category of literature have not been studied sufficiently. Moreover, to in the late colonial period paid little attention. In the late colonial Korea, category of literature covering knowledge culture was formed. It was a uniquely cultural phenomenon in colonial Korea. Importantly, main causes of the phenomenon were originated in early colonial period. This means that a boom in literary marketplace is not the natural result of sustained growth of class of authors and readers. At the same time, Ite means that we can’t fully explain social status of literature covering knowledge culture without understanding of durability of institutional condition of literature structured in the early colonial period. In this paper, I express such a critical mind, focusing change of status of literary books in sales catalogs of books published by publisher & booksto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