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픈 몸에 대한 사회적 낙인은 어디에서 오는가: 여성 건강에 사회적 인식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백영경(PAIK, Young-Gyu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17 문화와 융합 Vol.39 No.3

        본 논문에서는 우리 사회에서 비규범적인 몸에 대한 사회적 낙인 행위가 어떻게이루어지는 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낙인에 대한 비판은 종종 비규범적인 몸이 사회적 낙인을 만들어내고 강화시킨다는 사실을 지적하는 규범적인 차원에 그치곤 하며사회과학적인 개념으로서 낙인이라는 개념이 가지는 적실성에 대한 논의를 건너 뛴채 일반적이고 상식적인 용법으로 사용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인식은 종종 우리가 낙인이 무엇인지 알고 있다는 생각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그러나 낙인이란 고정된 것이라기 보다는 사회적 역동 속에서 만들어지고 작용하는 것으로서, 일상에 대한 구체적인 천착 없이 선험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이를 위해 2014년4월부터 8월까지 약 4개월 여 동안 25명의 중증 질환, 주로 암을 앓은 경험을 가진 여성들을 대상으로 한국여성민우회와 함께 진행한 인터뷰 조사를 자료로 삼았다. 본 논문은 정상과 비정상의 경계에 선 이들 여성들이 일상으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가족이나 일터, 병원에서 겪은 경험을 사회적 고통의 측면에서 살펴볼 것이며, 이를 통해 아픈 몸에 대한 사회적 낙인이 이루어지는 구체적인 과정에 주목하고, 동시에 그러한 낙인은 어디에서 어떻게 오는가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고자 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way social stigmatization of the non-normative body occurs in contemporary Korean society. Critiques of stigma often target the normative level and focus on the way society creates and strengthens social stigma; yet, they tend to perceive stigma in a commonsensical way and not as a social science concept. Thus, this approach often leads to the idea that we already know what stigma actually is and how it is experienced. However, stigmatization is not an automatic process, and stigma is being created and functioning in the dynamics of a specific social configuration. In this sense, stigma is not something that can be understood a priori without a concrete inquiry into everyday life. For this research, the author, with Korean WomenLink, a feminist NGO, interviewed 25 women who had experiences of severe illnesses, mainly cancer, from April to August 2014 for about 4 months. This paper explores their experience in family and at workplaces or hospitals in the process of returning to their normal lives. By focusing on the specific process of social stigmatization, this paper aims to locate the way social stigma as social suffering emerges, expands and disappears.

      • KCI등재

        출소자의 낙인이 사회적 지지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공정식,방진희 한국교정학회 2019 矯正硏究 Vol.2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mpirical causal relationship between offender stigma and social support,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on the two variables. Although previous studies have used stigma as various factors, this study is based on the opinion of Phillips(2016), The sub-scales of stigma were classified as public stigma, personal stigma, and self-stigma. He asserted that the stigma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stigma,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a result of statistical analysis, Frist, in Model 1 demographic variables were used as control variables and the final education, housing and income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family’s social support, In the social support of work colleagues, gender showed negative(-) effect and final academic ability had a positive(+) influence. Second, Model 2 increased the explanatory power of Model 1 by adding self-stigma, personal stigma, and popular stigma, which are risk factors, As a result, self-stigma has negative(-) effect on social support as compared to personal stigma and popular stigma, This self-stigma showed negative(-) effcts on both family and work colleagues, which are sub-factors of social support. Third, In the Model 3 the control factor positive and social factors, which are protective factors are added to the Model 2 as a result, the control factor, which is a sub-factor of resilience has a positive dffect on the social support of the work colleague. In summary, given that social support for displaced persons has an impact on the suppression of recidivism, Efforts to strengthen the base of social support for displaced workers are very meaningful tasks. In particular, the development of programs for strengthening the social support of family or work colleagues, which are the major influencers most influencing the behavior of the ex-prisoners is required. 본 연구는 출소자의 낙인이 사회적 지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실증적인 인과관계를 규명하고, 두 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들은 낙인을 다양한 요인들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Phillips(2016)의 견해를 기초로 하였으며, 낙인의 하위척도로는 대중낙인, 개인낙인, 자기낙인으로 구분하였다. 그는 출소자들에게 자기낙인이 대중낙인에 비해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도 일치되는 연구결과로 나타났다. 통계분석 결과, 첫째, 모형1에서 통제변수로 인구통계학적 변인을 투입한 결과 최종학력, 주거, 수입이 가족의 사회적 지지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직장동료의 사회적 지지에는 성별이 부적(-) 영향을 미쳤고, 주거, 최종학력은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모형2는 모형1에 위험요인인 자기낙인, 개인낙인, 대중낙인을 추가로 투입하여 설명력을 높였으며, 그 결과 개인낙인과 대중낙인에 비해 자기낙인이 사회적 지지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자기낙인은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인 가족과 직장동료 모두에서 부적(-) 영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모형3은 모형2에 보호요인인 통제성, 긍정성, 사회성을 추가적으로 투입하여 분석한 결과, 회복탄력성 하위요인인 통제성은 직장동료의 사회적 지지에, 긍정성은 가족의 사회적 지지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약하면, 출소자에 대한 사회적 지지가 재범을 억제하는데 영향을 준다는 점을 고려할 때, 출소자에게 사회적 지지 기반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들은 매우 의미 있는 작업이라 할 것이다. 특히, 출소자의 행동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주요타자인 가족 또는 직장동료의 사회적 지지 강화를 위한 맞춤형 프로그램의 개발 등이 요청된다.

      • 정신장애인 부양가족의 낙인지각

        민혜진,정원철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4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4 No.5

        연구목적 : 정신장애인은 정신과 질병 뿐만 아니라 정신질환에 대한 사회적 낙인으로 인하여 치료율이 낮거나, 지역사회에서 살아가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정신장애인 뿐만 아니라 정신장애인을 부양하고 있는 가족들 또한 여러 가지 부담감과 어려움들을 가지게 되는데 그 중에서도 다른 장애들과 다르게 사회적 낙인이 크고, 이로 인하여 가족들의 심리사회적 스트레스가 가증되고 있다. 정신장애에 대한 지식의 부족과 문제 행동에 대한 합리적인 대처가 어렵고, 정신장애에 대한 죄책감과 주위에 비밀로 하게 됨으로써 정신장애인과 함께 고립된 생활을 하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낙인에 관한 대부분의 연구는 정신장애인 당사자가 경험하는 낙인에 관한 연구들에 집중되어 있으며, 가족의 낙인지각 수준이나 낙인 영향요인을 파악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가족의 어려움을 이해하고자 하는 인식의 부족관 정신장애인의 낙인을 극복을 위한 가장 중요한 자원인 가족의 입장을 살펴볼 기회가 부족하였음을 알 수 있으며, 정신장애인의 부양가족들이 겪고 있는 어려움들에 대한 개입 방안을 고려하는데 한계가 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신장애인 부양가족의 지각된 낙인의 수준을 파악하고,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이 가족의 낙인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정신장애인 부양가족의 낙인지각을 감소시키기 위한 사회복지적 개입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13년 10월부터 11월까지 부산ㆍ경남 지역의 사회복귀시설과 낮병원 등 총 13곳의 정신보건기관을 이용하는 가족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회수된 209부 중에서 최종적으로 196부를 분석자료로 활용하였다. 연구도구는 정신장애인 부양가족의 낙인지각을 측정하기 위하여 Ritsher 등(2004)이 개발하고, 황태연등(2006)이 신회도와 타당도를 연구한 정신질환의 내재화된 낙인척도(lnternalized stigma of mental illness scale)를 사용하였다. 사회적 지지는 박지원(1985)의 사회적 지지척도를, 자아존중감은 Rosenberg(1965)의 자아존중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에 대한 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뢰도 검증과 빈도분석, 기술통계를 실시하였다. 대상자 특성에 따라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 낙인지각은 어떠한 차이가 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T-test와 ANOVA. 사후검증(Scheffe)을 하였으며, 다증공선성 진단과 피어슨의 상관분석으로 관련 변수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이 낙인 지각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결과 : 낙인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 간의 상대적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모델1에서는 통제변수인 정신장애인 특성에서 정신장애인의 유병기간이 길수록, 나이가 어릴수록, 직업이 없을수록 부양가족의 낙인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델2에서는 정신장애인의 나이가 어릴수록, 가족의 나이가 많을수록, 유병기간이 길수록, 정신장애인의 직업이 없을수록 가족의 낙인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가족이 체계적인 가족교육을 받을수록 낙인지각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델3에서는 유병기간이 길수록, 정신장애인의 나이가 어릴수록, 가족의 나이가 많을수록, 정신장애인의 직업이 없을수록, 가족의 학력이 높을수록 낙인지각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은 모두 낙인지각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지지보다 자아존중감이 낙인지각을 감소시키는데 더 영향력을 보였다. 결론 : 정신장애인 부양가족의 낙인지각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가족을 위한 체계적인 가족교육 프로그램과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정신보건 상담 등이 필요할 것이다. 정신장애인의 질병관리뿐만 아니라 직업재활에 이르는 사례관리의 필요성이 강조되며, 마지막으로 가족협회나 가족 자조모임 등의 활성화를 통하여 부양가족의 사회적 지지체계 마련이 필요하다.

      • KCI등재

        중학생의 사회적 성취목표와 학교상담 추구 태도의 관계에서 상담에 대한 사회적 낙인의 매개효과

        김진아,오인수 한국상담학회 2015 상담학연구 Vol.16 No.3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students’ social achievement goal and social stigma on their school counseling attitude. In particular, social achievement goal in this study was categorized as two sub-goals of social mastery goal and social performance goal. The social performance goal was also categorized as two sub-goals of social performance-approach goal and social performance-avoid goal as well. 439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participated in this study. Especially,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tigma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achievement goal and school counseling attitude was investigated. The results showed that social stigma was identified as a perfect mediator between social mastery goal and school counseling attitude, so students with higher social mastery goal were more likely to have lower social stigma, thereby showing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school counseling. The social stigma was also found as a perfect mediator between social performance-avoid goal and school counseling attitude. In other words, students with higher social performance-avoid goal were more likely to have higher social stigma, thereby showing more negative attitude toward school counseling. Effective counseling interventions based on the results were discussed and recommendation was provided for the future research. 본 연구는 학교상담 추구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변인으로서 사회적 성취목표와 상담에 대한 사회적 낙인의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사회적 성취목표의 경우 사회적 숙달 및 사회적 수행으로 구분하고 사회적 수행을 다시 사회적 수행접근과 사회적 수행회피로 세분하여 사회적 성취목표의 하위 변인과 상담에 대한 사회적 낙인 및 학교상담 추구 태도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특히 사회적 성취목표가 학교상담 추구 태도에 미치는 영향의 관계에서 상담에 대한 사회적 낙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도에 재학 중인 중학생 439명의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일련의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사회적 숙달 목표와 학교상담 추구 태도의 관계에서 상담에 대한 사회적 낙인은 완전 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즉 사회적 숙달 목표 성향이 강할수록 사회적 낙인을 낮게 지각하여 결국 상담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졌다. 또한 사회적 수행 목표 중 오직 수행회피 목표만 학교상담 추구 태도의 관계에서 상담에 대한 사회적 낙인이 완전 매개효과를 나타내었다. 즉 사회적 수행 회피 성향이 강할수록 사회적 낙인을 높게 지각하여 결국 상담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학교상담 개입 전략과 활성화 방안을 논의하였고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제시하였다.

      • KCI등재

        조현병과 사회적 낙인 : 그 형성기제와 극복방안

        최명민(Choi, Myung-Min)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21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9 No.1

        조현병은 인류역사에서 대표적인 미지의 영역으로서 많은 편견과 낙인을 수반해 왔으며 과학이 발달한 현대사회에서도 그 양상은 지속되고 있다. 특히 우리 사회에서 조현병은 최근 몇년 간 발생한 주요 강력사건들의 원인으로 지목되면서 조현병에 대한 사회적 낙인은 범죄와 관련된 공포와 혐오로 고착화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우리 사회에 퍼져있는 조현병에 대한 사회적 낙인의 본질과 형성 기제를 분석하고 그로 인한 문제들을 논하였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사회적 낙인의 개념 중 ‘사회적’이라는 의미를 재조명함으로써 조현병에 대한 낙인이 불변의 객관적 사실에 근거하기보다는 역사적이고 상황적인 조건들이 반영된 결과물이라는 점을 논증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조현병에 대한 사회적 낙인을 극복하는 방안으로 분과학문의 장벽을 넘어선 지식의 공동 연쇄고리 구성, 타자윤리학적 관점의 모색, 미디어의 윤리성 확보를 통한 사회적 인식개선, 보다 적극적 지원을 통한 당사자 활동의 활성화, 예방적 차원의 다각적 서비스 지원, 그리고 낙인과 혐오의 재전유 등을 제안하였다. Schizophrenia is a representative unknown area in human history, with many prejudices and stigmas, and its aspects persist in modern society where science has developed. In particular, schizophrenia has been cited as the cause of major violent incidents in recent years in our society, and social stigma against schizophrenia is becoming fixed with fear and hatred associated with crime. In this study, it is analyzed the nature and formation mechanisms of social stigma against schizophrenia currently spread in our society, and discussed the problems that result. And by re-examining the meaning of “social” of social stigma, it was argued that the stigma against schizophrenia was a result of historical and social situations rather than based on scientific and objective facts. Finally, as a way to overcome the social stigma of schizophrenia, these are proposed: a knowledge community beyond the barriers of each disciplines, a search for ethics of the others, the improvement of awareness promoting media ethics, activation of movement of people concerned through more support, preventive and multi-faceted support, re-appropriation of stigma and hatred.

      • KCI등재

        가정외보호 청소년의 서비스 만족도와 친사회적 및 반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 자기효능감과 낙인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안은미 ( An Eunmi ),조수민 ( Cho Soomin ),정익중 ( Chung Ick-joong )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7 학교사회복지 Vol.0 No.39

        본 연구는 가정외보호 청소년의 서비스 만족도와 친사회적 및 반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과 낙인감이 매개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전국의 아동양육시설, 그룹홈, 가정위탁지원센터를 통해 표집한 중학교 1-2학년 가정외보호 청소년 428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를 활용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외보호 청소년이 인지하는 서비스 만족도가 증가할수록 자기효능감은 증가하고 낙인감은 감소하였다. 둘째, 자기효능감이 높아질수록 친사회적 행동은 증가하며, 낙인감의 감소는 친사회적 행동을 증가시키고 반사회적 행동을 억제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서비스 만족도가 친사회적 및 반사회적 행동에 이르는 경로는 자기효능감 및 낙인감을 통해 완전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친사회적 행동에 이르는 경로에서 보호요인인 자기효능감보다, 위험요인인 낙인감의 매개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사회적 행동 경로에서는 낙인감만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가정외보호 청소년 발달에서 낙인감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가정외보호 청소년의 서비스 만족도를 고려하여 자기효능감 증진 및 낙인감 감소를 통해 가정외보호 청소년의 친사회적 행동을 강화하고 반사회적 행동을 완화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and stigma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rvice satisfaction and prosocial/antisocial behavior among adolescents in out-of-home care. For these purposes, this study recruited 428 adolescents living in residential care facilities, group homes, and foster homes by using the cluster sampling method. Based on structural equational modeling,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satisfaction and prosocial/antisocial behavior was totally mediated by self-efficacy and stigma. In particular, service satisfaction had indirect effect on prosocial behavior via both self-efficacy and stigma, but the size of indirect effect on prosocial behavior via stigma was more than that via self-efficacy. The indirect effect of service satisfaction on antisocial behavior was found only by stigma. The importance of stigma was confirmed in the development of adolescents in out-of-home care. Based on these findings, further suggestions were provided to reduce adolescents’ antisocial behavior and to enhance prosocial behavior by decreasing stigma and increasing self-efficacy.

      • KCI등재

        금연 캠페인의 사회적 낙인 효과 연구 : 흡연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행위변화단계에 따른 조절효과

        이혜진,안순태 한국광고PR실학회 2016 광고PR실학연구 Vol.9 No.4

        본 연구는 정부 주도의 흡연규제 정책을 통해 적극적으로 실행되고 있는 흡연의 ‘비주류화’ 전략을 낙인(stigma)의 관점에서 논의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흡연자에대한 낙인찍기를 전략으로 하는 금연 캠페인을 주시하고, 그러한 낙인의 효과가 흡연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행위변화단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성인 남녀 흡연자 163명이 온라인 설문에 참여하였고, 흡연자들의 사회적 낙인 인식은 흡연자의소득 및 행위변화단계와 상호작용하여 금연행동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소득은 사회적 낙인이 금연상담전화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고소득 집단의 경우 사회적 낙인을 크게 인식할수록 더 높은 금연상담전화이용 의도를 보인 데에 반해, 저소득 집단의 경우 사회적 낙인의 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행위변화단계와 관련하여, 금연에 대한 동기가 전혀 없는 계획전단계의 경우, 사회적 낙인을 크게 인식한다 하더라도 이것이 금연 의도 및 금연상담전화이용 의도와 같은 건강개선행위로 이어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공중 세분화의 관점에서 흡연자 낙인의 부정적 효과를 검증하고, 보다 효과적인 금연 캠페인을 위한 전략적함의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anti-smoking campaign promoting smoker-related stigma. We investigated whether stigmatization is effective in curbing smoking and more importantly, smoker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stages of change moderate stigma effects. A total of 163 adult smokers participated in the online survey. Results revealed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of income and stages of change on cessation intentions. The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perceived stigma and income indicated that the perceived stigma led the high-income smokers to show higher intentions for using cessation hotline, while it did not for the low-income smokers. Regarding stages of change, pre-contemplators did not show enhanced cessation intentions with heightened stigma, while the rest of the smokers demonstrated significantly increased cessation intentions with heightened stigma. Based on the results, side effect of smoking stigma and communication strategies in terms of target segmentation were discussed.

      • HIV 감염인의 사회적 낙인이 자기낙인과 내면화된 수치심을 매개하여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

        권경애(Kwon, kyung-ae),홍혜영(Hong, Hye-young) 한국통합치료학회 2019 통합치료연구 Vol.1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HIV 감염인의 사회적 낙인이 자기낙인과 내면화된 수치심을 매개로하여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247명의 HIV 감염인이며, 자료 분석을 위해 기술 분석 및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SPSS와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사회적 낙인과 자기낙인, 자기낙인과 내면화된 수치심,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살사고는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낙인은 자기낙인을 매개로 하여 자살사고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낙인은 내면화된 수치심을 매개로 하여 자살사고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사회적 낙인과 자살사고 사이에서 자기낙인과 내면화된 수치심은 이중매개효과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HIV 감염인의 사회적 낙인, 자기낙인, 내면화된 수치심이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확인했고 HIV 감염인이 경험하는 사회적 낙인과 자기낙인의 존재만으로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내면화된 수치심도 함께 가지고 있을 때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 외에 연구의 결과에 대한 논의와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ocial stigma on suicide ideation through the mediums of self-stigma and internalized shame in HIV-infected people. The objects of this study were 247 HIV-infected people,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ediation analysis, and dual medi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using SPSS and PROCESS Macro.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meaningful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social stigmatization and self-stigmatization, self-stigmatization and internalized shame, and internalized shame and suicide ideation. Second, social stigmatization through the medium of self-stigmatization had no meaningful influence on suicide ideation. Third, social stigmatization through the medium of internalized shame had no meaningful influence on suicide ideation. Fourth, between social stigmatization and suicide ideation, self-stigmatization and internalized shame were meaningful in terms of having a double mediation effect. This research identified social stigmatization, self-stigmatization, and internalized shame in HIV- infected people as variables that influence suicide ideation. It also concluded that the social and self-stigmatization of HIV-infected people alone does not influence suicide ideation, and that this effect takes place with the additional presence of internalized shame. Possible implications and discussion points of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lso suggested.

      • KCI등재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장벽과 사회적 낙인감의 종단적 인과관계 검증: 남녀 청소년의 모형 비교

        문승태(Seung-Tae Mun),주지영(Ji-Yeong Joo) 한국진로교육학회 2021 진로교육연구 Vol.3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종단자료 분석을 통해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장벽과 사회적 낙인감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고 상호작용 하는지를 살펴보고, 학교 밖 청소년들의 진로장벽과 사회적 낙인감의 종단적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의 3차년도부터 5차년도까지(3, 4, 5차)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총 296명의 학교 밖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자기회귀 교차지연모형을 검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전 시점의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장벽은 이후의 사회적 낙인감을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둘째, 이전 시점의 사회적 낙인감은 이후 학교 밖 청소년들의 진로장벽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학교 밖 청소년들의 진로장벽과 사회적 낙인감 간의 관계에서 성차가 있는지를 살펴본 결과, 이전 시점의 사회적 낙인감이 이후의 진로장벽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여학생에게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사회적 낙인감의 시간의 흐름에 따른 지속성은 학교 밖 청소년 중 남자 청소년에게서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학교 밖 청소년들의 진로장벽과 사회적 낙인감이 서로 영향을 주고 받는다는 상호인과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상호인과관계에서 성차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들의 진로에 대한 적응을 높이기 위한 진로 교육 프로그램 설계 시 개인적, 환경적으로 고려해야 할 변인으로 진로장벽과 사회적 낙인감을 언급함으로써 학교 밖 청소년들의 진로 지도 시 지향해야 할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가진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장벽과 사회적 낙인감을 낮추기 위한 다양한 정책과 프로그램 설계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longitudinal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our-of-school adolescents’ career barriers and social stigma. For the purpose, the three-year data, 3<SUP>rd</SUP>, 4<SUP>th</SUP>, 5<SUP>th</SUP> data of the Panel Survey of School Dropouts conducted by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were analyzed by applying a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A total 269 adolesc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As a result, first, career barriers dependency(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ocial stigma(t+1). Second, out-of-school adolescents’social stigma(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barriers t+1). Third, the influence that career barriers gave social stigma had defference between boy and girl. In case of girl, social stigma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barriers(t+1). Based on these findings, further suggestions are provided to reduce out-of-adolescents’ social stigma and career barriers.

      • KCI등재후보

        지역아동센터 이용 초기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낙인감이학교생활적응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이용희 한국청소년상담학회 2023 청소년상담학회지 Vol.4 No.4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social stigma perceived by early adolescentsusing Community Child Centers on their adaptation to school life and depression. For this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320 middle school students among youth who used localchildren's centers in Busan and Gyeongnam.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through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statistical program. As aresult of the analysis,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independent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s set in this study. This means that adaptation toschool life and level of depression may vary depending on the social stigma perceived byearly adolescents using Community Child Centerss. Second, the sub-factors of social stigma perceived by early adolescents using CommunityChild Center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sub-factors of school lifeadjustment. This is an important result that shows that in our society, a sense of socialstigma exists against early adolescents who use Community Child Centers, and that awarenessof this stigma has a negative impact on adolescents' adaptation to school. Third, thesub-factors of social stigma perceived by early adolescents using Community Child Centers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depression. This indicates that social stigma has anegative effect on depression in adolescents, either directly or indirectly, and that they canbe affected by social stigma to a greater extent than adults. In summary, the stigmaperceived by adolescents using Community Child Centers was found to have a negative impacton their adaptation to school life and depression. Therefore, this suggests that efforts should be made to ensure that Community Child Centers, which are mainly used by poor children andadolescents, not only expand the quantity of services and programs, but also prevent socialstigmatization during the service process.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이용 초기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낙인감이 학교생활적응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경남에 소재한 지역아동센터 이용 청소년들 중 중학생 3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거된 설문지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통해 상관분석과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본 연구에서 설정한 독립변수와 종속변수들간에는 유의미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지역아동센터 이용 초기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낙인감에 따라 학교생활적응 여부와 우울정도가 달라질수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지역아동센터 이용 초기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낙인감의 하위요인들이 학교생활적응하위요인에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우리 사회에 지역아동센터 이용 초기청소년들에 대한 사회적 낙인감이 존재하며, 이러한 낙인에 대한 인지가 청소년의 학교샹활적응에 부정적인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결과이다. 셋째, 지역아동센터 이용 초기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 낙인감의하위요인들이 우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사회적 낙인감은 직간접적으로청소년의 우울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며, 성인보다 더 크게 사회적 낙인감의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나타낸다. 종합하면 지역아동센터 이용 청소년들이 지각하는 낙인감은 학교생활적응과 우울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나타났다. 따라서 빈곤 아동·청소년이 주로 이용하는 지역아동센터가 서비스와 프로그램의 양적 확대뿐만 아니라서비스 과정에서 사회적 낙인이 부여되지 않도록 하는 노력이 병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