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사회구성주의와 기술의 민주화에 대한 비판적 고찰

        손화철(Wha-Chul Son) 한국철학회 2003 철학 Vol.76 No.-

        본 논문에서는 사회구성주의가 기술철학에서 가지는 의의와 한계가 무엇인지를 자세하게 알아보고 그 중에서도 과연 사회구성주의가 기술의 민주화 이론을 뒷받침하기에 충분한지를 비판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우선 사회구성주의가 기술철학의 역사라는 맥락에서 어떻게 받아들여지고 전개되었는지 개괄하고, 그 논의들을 과학철학에서 이루어진 사회구성주의 논의들과 비교한다. 이를 바탕으로 사회구성주의를 이론적 근거로 삼는 핀버그(Andrew Feenberg)의 ‘기술의 민주화’ 이론을 살펴보고, 이어서 위너(Langdon Winner)의 사회구성주의 비판을 토대로 핀버그 이론의 문제점을 지적할 것이다. 또 국내에서 사회구성주의와 ‘과학기술의 민주화’를 연계시키는 시발점이 된 김환석-오세정의 ‘과학전쟁’ 관련 논쟁을 위의 논의들과 비교, 분석한다. 이러한 논의들을 통하여 밝히고자 하는 것은, 사회구성주의가 과학철학과 기술철학에서 각각 다른 맥락을 가지므로 과학의 사회적 구성과 기술의 민주화를 직접 연결시키는 것이 타당하지 않다는 것과, (과학)기술에의 사회구성주의적 접근이 (과학)기술의 민주화를 이론적으로 뒷받침하기에 부족하다는 것이다. 이 문제들은 관련 인문사회학적 연구들에서 과학과 기술을 ‘과학기술’로 통칭함으로써 발생하는 혼란, 사회구성주의에서 사용되는 ‘관련사회집단’ 개념의 모호성과 현대기술의 전지구적 특성에 대한 무관심, 그리고 ‘기술의 자율성’ 개념에 대한 오해 등에서 비롯된다.

      • KCI등재

        사회구성주의를 변호하며: 사회와 자연의 사회적 구성과 자기준거성에 대하여

        김기흥 한국이론사회학회 2018 사회와 이론 Vol.32 No.-

        Social constructivism has been scandalous knowledge. It is partly because it has taken the anti-philosophical position and it's association with relativism. From the beginning, many raised questions about the meaning of the social and the construction. Since the term, social construction was suggested in the 1960s, many philosophers and social scientists have criticised the position. This paper is to discuss about the root and variations of social constructivist positions. Also, focusing on two major criticisms, so-called charges of political quietism and idealism of relativism. The former is that relativist social constructivism cannot take any political and ethical positions because relativists relativize anything. The latter is related to the allegation that social constructivism never consider the role of external world and it is a form of idealism. This paper is not only showing that social constructivist can deal with a variety of opinions in the community, but also it is based on self-referential process of making meanings and institution. Social constructions are social institutions, which are self-referential. 지금까지 사회구성주의는 항상 논란의 대상이 되어왔다. 그 이유는 아마도 사회구성주의가 갖고 있는 반철학적 입장과 상대주의와의 연관성 때문이었을 것이다. 본 논문은 사회구성주의를 둘러싼 다양한 논쟁 중에서 몇 가지 첨예한 문제에 대해서 논의할 것이다. ‘사회구성주의’에서 주장하고 있는 사회성과 구성성이 갖는 함의는 무엇인가를 논의하면서 사회구성주의가 형성된 토양이라고 할 수 있는 뒤르켐(Durkheim)의 영향과 만하임(Mannheim)의 지식사회학적 전통 그리고 토마스 쿤 이후 과학지식사회학에서 정식화한 사회구성주의에 대한 논의를 소개하면서 사회구성주의와 상대주의의 연관성에 대해서 논의하게 될 것이다. 또한 상대주의를 기반으로 하는 사회구성주의의 입장에 대해 제기되는 강력한 비판이라고 할 수 있는 정치적 정적주의(Political Quietism)의 문제에 대해서 논의하면서 과연 논쟁에 있어서 상대주의적 사회구성주의가 정치․윤리적 입장을 취할 수 있는가에 대한 해답을 찾아볼 것이다. 또한 외부세계에 대한 인식과정에서 외부세계에 존재하는 대상의 역할이 사회구성주의에서 전혀 고려되지 않으며 오로지 사회적 요인들만으로 현상을 설명함으로써 실재론과 동떨어진 관념론의 한 형태라는 비판에 대해서 사회구성주의는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에 대해 논의할 것이다. 그리고 외부세계에 대한 정보를 구성하는 방식으로서 자기준거성의 원칙을 제시하여 사회구성주의의 사회성과 구성성에 대한 논의를 할 것이다.

      • KCI등재

        구성주의와 정신보건 사회사업 실천의 접목에 관한 연구

        고미영 한국 정신보건 사회사업학회 2000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10 No.-

        정신보건 분야에서의 구성주의적 사회복지 실천은 아직 생소한 주제로 간주된다. 그것은 전통적으로 정신보건 분야가 다른 분야에 비해 의학과 심리학의 영향을 많이 받은 까닭으로 보인다. 이 논문은 전통적인 사회복지 이론에 대한 구성주의의 입장을 밝히고 정신보건 실천 분야와 관련된 구성주의적 실천의 원칙과 함의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본고는 모든 이론은 가치와 이념의 영향을 받고있으며 이는 사회적으로 구성된 것임을 밝히고 이러한 과정을 실천에 반영하는 자아성찰적인 실천을 한 대안으로 제안하였다. 특히 내담자와 실천가의 협동작업으로 현실에 대한 인식과 정의의 폭을 넓히고 새로운 의미와 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이야기의 생성을 변화의 내용과 방향으로 제시하였다. 21세기를 맞이하여 전 학문 분야에서 일고 있는 포스트모더니즘의 확산과 영향력은 막을 수 없는 거대한 흐름을 이루어 인문 사회과학에도 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사회사업 실천에서도 이러한 사회적, 학문적 영향에 힘입어 조심스럽게 구성주의적 패러다임의 논쟁이 시작되고 있으나 아직 정신보건과 관련된 사회사업 실천에서는 그러한 논의가 매우 미미하다. 그것은 정신보건 분야가 사회사업 실천에서 가장 의학적이며 심리학적인 전통에 입각한 실천을 해왔고 그 학문들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다는 점과 정신보건 분야의 뿌리가 과학적이며 객관적이라고 인정받는 경험론적 패러다임에서 출발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미 포스트모더니즘과 구성주의적 논쟁은 모든 경험론적 패러다임에 기초한 학문 분야에 강한 도전을 주었고 실용성과 유용성을 문제 삼아 비판의 수위를 높여가고 있는 이때에 정신보건 사회사업도 그 예외가 될 수 없다는 것은 명확하다. 구성주의의 도전은 이전의 전통과 이론들을 모두 말살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이전에 아무도 제기하지 않았던 인식과 지식에 대한 의미를 고찰해봄으로써 실천에 주는 함의를 새로운 각도에서 도출하는 것이다. 이것은 외부로부터 주어진 객관적 지식에 대한 맹목적인 수용에 대하여 회의를 가져보고 앎이란 무엇이며 그것을 실천한다는 것의 한계는 무엇인지를 고민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한다. 특히 한국 정신보건 사회사업은 무분별한 서구 이론의 수용으로 한국적 상황에 적절한 실천 방법이 아직 없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우리가 간과해버리기 쉽고 비판 없이 받아들인 많은 실천 개념과 방법들에 대한 반성을 요구하는 시점에서 구성주의적 논의는 적절하다고 보여진다. 또한 구성주의적 시각이 제시하는 실천적 함의가 어떻게 정신보건 사회산업과 연관되어 적절하며 대안적인 실천 방법을 제시하는 지 알아보는데 본 논문의 의의가 있을 것이다. 본고에서는 정신보건 사회사업 실천에 관하여 구성주의가 어떤 점을 시사하며 현재 사용되는 이론에 대하여 어떤 입장을 가지고 있는 지를 먼저 살펴보고자 한다. 이와 더불어 새로운 시대와 내담자들의 욕구에 부응하는 실천의 가치와 방향을 구성주의적 실천 원리에 입각하여 모색해 보고자 한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ideological nature of theory and the ways ideology becomes infused into social work theory and practice. Social work has been a value-laden practice through out its history. However, the narrowness of our conceptual frameworks does not allow the recognition of the value and ideology behind the so-called scientifically based theory and knowledge. The constructivist approach in mental health suggests to move away from the narrow application of the diagnostic labeling and the upholding of normality. Instead, the reflecting practice is suggested as an alternative to get involved in the client's experience and to create a meaningful narrative that provides a broader choice for the client's life.

      • KCI등재후보

        캐런 바라드의 자연구성주의는 사회구성주의와 ANT의 대안인가?: ‘행위적 실재론’의 상보성/상호배타성, 주체적 책임성, 물질적 환원주의를 중심으로

        전대경 ( Jun Daekyung ) 한국기독교철학회 2021 기독교철학 Vol.32 No.-

        입자 물리학자 캐런 바라드는 양자 물리학에서 얻은 통찰력을 바탕으로 ‘자연의 본질과 현상’을 탐구하는 자연구성주의 ‘행위적 실재론’을 주장한다. 바라드는 자연의 미시 입자들 간의 양자적 현상을 일상적 사회에서의 관계적 현상들로 확장한다. 그녀는 자연이 원자들로 이루어져 있기에 이러한 확장은 단순한 유비나 비유가 아니라 자연에 실재하는 현상이라고 역 설한다. 본 소고의 주된 관심사는 캐런 바라드의 자연구성주의 ‘행위적 실재론’ 이 사회구성주의와 ANT(행위자 네트워크 이론)를 적절히 보완 및 극복하는 대체 이론인지의 여부이다. 바라드가 잘 지적하듯이, 사회구성주의는 과학 지식이 사회적으로 구성된다고 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과학적 반실재론의 입장을 견지한다. 그렇기 때문에 그녀는 사회구성주의가 우주를 구성하는 물질에 대해서 그 실체를 제대로 파악할 수 없다고 본다. 그리고 ANT는 파스퇴르 등의 사례에서 보는 것처럼 항상 카리스마적인 남성 지도자가 전체를 통솔하는 과학과 사회의 모습을 그린다. 바라드의 ‘행위적 실재론’은 여성주의 입장에서 ANT의 약점을 극복하려고할 뿐 아니라, 자연구성주의 입장에서 사회구성주의도 극복하고자 한다. 사회구성주의는사회가 인식의 주체이며 자연이 객체인 데에 반하여, ANT는 사회와 자연을 동등한 행위자로 간주한다. 하지만 바라드의 ‘행위적 실재론’은 인간 사회 또한 자연의 현상으로서 자연적으로 구성되는 실재라고 본다. 그녀는 남성의 역할과 여성의 역할이 결정적으로 규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불확정적이라고 본다. 그리고 서로 내적 작용을 통해 상보성으로 부족한 부분들을 보상한다고 본다. 그녀는 더 나아가 여성의 뱃속 태아는 여성이 혼자서 갖지 않으며 아이의 아버지를 포함한 많은 사회적 관계와 과학기술 해석 장치가 서로 얽혀 있기에 개별적 존재가 아닌 현상이라고 본다. 즉 ‘행위적 자름’을 통해, 태아의 엄마가 주체적 현상이며 아기는 객체적 현상이 라고 본다. 그녀의 이러한 입장은 낙태를 합리화하는 여성주의의 입장에 힘을 실어준다. 이러한 윤리적 측면에서의 급진성이 캐런 바라드의 ‘행위적 실재론’이 갖는 가장 큰 약점 중 하나일 것이다. ‘행위적 실재론’이 그 논리적 밑바탕에 전제하고 있는 양자 물리학에서의 ‘위치와 모멘텀 간의 상충관계’를 일상 세계로 확장하는 것도 직관적으로 잘 납득이 되지 않는 부분이다. 과학 및 사회에서 남성 중심적인 관례에 경각심을 일으켜준다는 측면에서 바라드 의 ‘행위적 실재론’은 큰 의의가 있다. 특히 그녀가 과학자로서 물질과 인간, 사회, 그리고 더 나아가 자연에 대해서 통찰력을 제시해 주는 부분은 분명 과학학(과학철학, 과학기술학, 과학사, 과학정책학)적으로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그녀의 신유물론은 인간을 포함한 모든 물질들이 상호 얽혀 있는 존재들이라고 봄으로써 개별적 존재들에게 윤리적 책임으로부 터의 면죄부를 쉽게 준다는 단점이 있다. 본 소고는 먼저 바라드의 ‘행위적 실재론’의 이론적 토대인 닐스 보어의 양자 물리 철학의 핵심 개념들을 간략히 다룬다. 그런 다음, 행위적 주체성과 책임성의 문제를 다룬다. 그리고 인간을 자연 물질로 환원하는 신물 질주의의 환원주의(reductionism)를 살핀다. 그런 다음, 윤리학 및 철학 등 에서의 비판들을 소개하고 그 비판들의 정당성 여부를 살핀다. 마지막으로 결론부에서는 바라드의 ‘행위적 실재론’이 사회구성주의와 ANT의 약점을 잘 극복했는지의 여부를 종합적으로 평가하면서, ‘행위적 실재론’에 수정 및 증보를 제언한다. Particle physicist Karen Barad advocates, based on insights gained from Quantum Physics, a Natural Constructionist “agential realism” which explores “the essence and phenomena of nature.” Barad expands quantum phenomena in the realm of sub-atomic particles into relational phenomena in our everyday social life. She contends that since nature consists of atoms, this expansion is not merely a metaphor or analogy but a real phenomenon that exists in nature. The main concern of this paper is whether Karen Barad's Natural Constructionist “agential realism” is an alternative theory which complements and overcomes - and even replace and reduce - both Social Constructionism and ANT(Actor Network Theory). As Barad points out, Social Constructionism basically maintains scientific anti-realist position since it sees scientific knowledge as socially constructed. That is the reason why she believes that the essence of the universe can not be properly grasped by Social Constructionism. And ANT depicts science and society in which a charismatic male leader always ought to lead the whole, as seen in Pasteur and others. Barad's “agential realism” seeks not only to overcome the drawbacks of ANT from the perspective of feminism, but also to surmount weaknesses of Social Constructionism from the standpoint of Natural Constructionism. In that, while Social Constructionism sees society is the subject of cognition and nature the object, ANT regards society and nature as equal actors. Barad's “agential realism” sees, however, human society as a reality that is naturally constructed as phenomena of nature. She believes that the roles of men and women are not definitively defined, but indeterminate. She sees that through intra-actions with each other, men and women compensate for the shortcomings with complementarity. Furthermore, she believes that a fetus in a woman's womb is not an individual existence but an intertwined phenomena since a woman can not have the fetus alone, and many social relationships including the father of the fetus and techno-scientific interpretation apparatus are intertwined with one other. In other words, through an 'agential cut,' the mother of the fetus is a subjective phenomenon as the baby an objective. This position empowers the feminist stance justifying abortion. This ethical radicality may be one of the biggest weaknesses of Karen Barad's “agential realism.” It is also not intuitively understandable to expand the "trade-off relationship between position and momentum" in quantum physics, which is premised on the logical basis of “agential realism,” into our everyday life. Barad's “agential realism” is of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raises awareness of male-dominated conventions in science and society. Particularly, as a scientist, it can be said that the part where she presents insights on matter, humans, society, and even nature, is clearly meaningful in Science Studies - Philosophy of Science, STS, History of Science, and Science Policy. However, her new materialism contains a hurtful disadvantage of easily indulging individual beings from ethical response-ability by seeing them as beings in which all materials, including humans, are intertwined. This article first briefly covers the core concepts of Niels Bohr's philosophy of quantum physics, which is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Barad's “agential realism.” Second, the issue of agential subjectivity and response-ability are being dealt. Third, it is dealt that the reductionism of new materialism that reduces humans to natural matters. Fourth, the criticisms from ethics and philosophy on agential realism are introduced and examined if they are legitimate. Last but not least, it conclusively judges whether Barad's “agential realism” has overcome the weaknesses of both Social Constructionism and ANT, and proposes amendment and augmentation to “agential realism.”

      • KCI등재

        공공 쟁점 중심 사회과의 사회적 구성주의 토대

        오연주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05 사회과교육 Vol.44 No.1

        I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in the social studies that the implication of the Public Issues centered social studies, representative approach in issues-centered education. There is no general agreement on the implication of Public Issues centered social studies in philosophical or ideological position and in classroom practical position. The advocators of issues-centered education tried to prove the outcome of Public Issues centered social studies, but they paid relatively little attention to the analytic meaning on Public Issues centered social studies. My aim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educational base of the Public Issue centered social studies through alternative framework. Two research problems were explored with text analysis. First, literature review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meaning of constructivism. Second, on the basis of the result of the fist research problem, it was analyzed to investigate educational foundation of Public Issues centered social studies. Constructivism had progressive viewpoint, and Public Issues centered social studies had social constructivist foundation as following conclusions. First, Public Issues centered social studies was suggested to be made a emphasis on individual intellectual process, analysis, and student's choice. Public Issues centered social studies was suggested to be manipulated social issues which give rise to conflict in cognitive process. Second, Public Issues centered social studies considered that student has cognitive structure in his mind and that he has capability of a cooperative inquiry in classroom debates. Last, Public Issues centered social studies was suggested to be made a emphasis on context or situatedness in group discussion and its utility on social constructive process in debates. 쟁점 중심 사회과의 대표적 사례라고 할 수 있는 공공 쟁점(public issue) 중심 접근의 본질에 관해 적지 않은 논란이 이어져오고 있다. 철학적․이념적인 입장에서뿐만 아니라 교육 실재의 효과성 면에서 비판과 한계가 제기되어 왔다. 공공 쟁점 중심 접근의 지지자들은 정당화 논거를 개발하고 교육 효과성을 입증하려고 시도하였다. 그렇지만 공공 쟁점 중심 사회과에 대한 본질적 의미를 분석적으로 드러내는 연구는 간과되어 온 편이다. 본 연구는 대안적인 교육 관점으로서 공공 쟁점 사회과의 교육 기초를 분석적으로 조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사회과에 대안적 관점을 제공할 수 있는 이론적 틀로서 구성주의에 주목하면서, 이를 전제로 공공 쟁점 중심 접근의 사회 구성주의적 토대를 밝히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연구를 통해 얻어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공공 쟁점 중심 사회과는 교과 내용으로서 인지적 과정 그 자체를 중시하며, 인지적 갈등을 유발할 수 있는 사회적 쟁점을 다룰 것을 제안하고 있다. 둘째, 학습자는 사회를 이해하는 나름의 선행 지식 구조를 갖고 논쟁의 맥락에서 협동적 탐구를 수행하는 존재로 상정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상호작용의 맥락성을 강조하고 수업의 효능성을 사회적 의미 구성과정에 두고 있다. 이러한 특징은 공공 쟁점 중심 사회과의 사회 구성주의적 토대를 강하게 시사하는 것이었다.

      • KCI등재

        기하학적 모델링을 위한 조작적, 사회적, 급진적 구성주의의 비교와 다차원적 적용 방법

        최예은(Ye-eun Choi),서대룡(Dae-ryong Seo)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3

        본 연구는 구성주의를 통해 나올 수 있는 수치들을 창의적인 기하학적 모델링으로 나타내는데 목 적이 있다. 조작적 구성주의, 사회적 구성주의, 급진적 구성주의라는 3가지 유형의 구성주의는 같은 뿌리로부터 시작되었지만 그 안에서 강조하는 부분은 각각 다르다. 이러한 강조점과 차이점에 따라 3 가지 유형의 구성주의를 분류하였고, 평가 기준 표를 제작하였다. 또한, 폴수학학교 웹사이트 상에서 보이는 설립 철학, 교육 목표, 교육과정 특징, 비교과교육과정, 전체교육과정의 내용들을 구문 분석하 여 3가지 구성주의의 평가 기준 표에 적용시켰다. 적용된 부분으로부터 수치를 얻어 낼 수가 있었으 며, 이 수치를 Excel 프로그램에 입력하여 다양한 그래프로 표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데이 터 수치와 그래프 상의 표현을 통하여, 폴수학학교 웹사이트의 내용들이 3가지 구성주의와 얼마나 관 련이 있는지를 알 수가 있었다. 구성주의의 3가지 유형 각각에서 나오는 5가지의 특징들과 폴수학학 교 웹사이트 5개 영역의 조합으로부터 전체 75개의 표본을 얻어낼 수 있었고, 평가 기준표 위에서 폴 수학학교 웹사이트 5가지 영역의 내용에서 추출한 평균들이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서 귀무가설과 대립가설을 세웠다. 일원분산분석이라는 통계적 기법을 사용하였으며, 분석 결과 유의확률이 0.015로 0.05보다 작으므로 대립가설을 채택하게 되어 평균값이 최소한 한 개는 다르다는 결론을 얻었다. 그리고 좀 더 세밀한 통계적인 분석을 위하여 기술통계량, 등분산 검정, 개체·간 효과 검정에 뒤이어서 사후 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 폴수학학교 비교육과정이 교육과정보다 구성주의 성향이 더 강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는 총합한 데이터들을 x, y, z라는 3가지 변수로 대응시켰고 Wolfram Mahematica 10.4 프로그램으로 시각화하여 베지어 곡선으로 나타내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how the numerical values of constructivism through creative geometrical modeling. Three types of constructivism are operational constructivism, social constructivism, and radical constructivism which are originated from the same root. However, they have different main points. This research classified three types of constructivism according to main points and differences, and an evaluation criteria table was created. In addition, contents of the founding philosophy, educational goals, curriculum features, extra curriculum, and the whole curriculum of the Paul Math school web site are analyzed and applied to the evaluation rubric table related to three types of constructivism. The numerical value obtained was input into the Excel program and was expressed on a variety of graphs. 75 samples from 5 different features from each of the three types of constructivism and from five areas of Paul Math school website were collected. A null hypothesis and an alternative hypothesis were set up in order to compare averages of five 5 areas of Paul Math school web site. One-way ANOVA was used for this tes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significance probability is 0.015, which is less than 0.05. Therefore, the alternative hypothesis was accepted and the researcher concluded that at least one of averages is different. For more detailed statistical analysis, post-hoc analysis as well as descriptive statistics, levene’s test for the equality of variances, and test of between-subjects effects were conduct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constructivist trend of extra curriculum of Paul Math school was stronger than that of core curriculum. Finally, the researcher applied the data to Wolfram Mathematica 10.4 program and expressed geometric objects in Bezier curves.

      • KCI등재

        사회구성주의와 자연

        장신옥(Shin-Ock Chang) 한국환경사회학회 2016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20 No.2

        사회구성주의는 사회학 이론의 한 차원으로 사회실재론에 대별되는 패러다임으로서 사회학에 오랫동안 자리를 잡고 있었다. 그러나 사회구성주의가 환경사회학 이론으로서 등장한 것은 1990년대이다. 존 해니건과 스티브 이얼리 등 환경사회학자들은 환경지식과 환경문제의 사회구성적 속성을 지적하며 그 당시 환경사회학의 지배적인 패러다임이었던 환경문제 실재론에 반기를 들었다. 사회구성주의자들이 주장하는 것은, 자연환경문제가 형성되는 데에는 과학자들의 지식이 절대적이나 과학자들의 지식은 그 자체로 불확정적인 한편 과학자 공동체 안의 합의로 볼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환경사회학자가 해야 할 일도 객관적 실체로서 환경문제의 존재를 전제로 환경문제와 사회와의 인과적 연결고리를 만들 것이 아니라, 특정한 환경적 사안/문제가 어떻게 관심을 끌게 되는 지 그 과정을 탐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글은 맥락적 사회구성주의 관점에 근거해 한국사회에서 그동안 제주의 자연과 한라산 야생노루에 대해서 말하는 방식이 크게 달라진 점을 분석했다. 제주의 자연과 한라산 야생노루의 의미를 규정하는 데에 관여한 핵심 행위자와 그들의 진술을 분석했다. This paper studies social constructionist views on environmental problems. The social constructionist perspective emerged in the 1990s in environmental sociology as a competing paradigm against the social realist perspective for understanding environmental problems. This paper clarifies the contours of social constructionist views to environmental issues by locating it within the broader theoretical terrains of environmental sociology. This paper further examines the two cases of Jeju Island’s nature and Halla mountain’s wildlife deer drawing upon the contextual approach of social constructionist perspective. The two cases present interesting points for social constructionist analysis in that the two issues have seen significant transformations in meaning makings. For Jeju Island’s nature, the discourse transformation indicates Jeju Island from the land in poverty with infertile natural conditions to the land in purity blessed with natural attractions; and for wildlife deer, it involves discourse change from beloved animal creatures that should be preserved to the animals exerting damage to the island’s agricultural households, accordingly to be caught (and put down) until the number of species are stabilized. Key players and their statements that are involved in defining the meanings of Jeju Island’s nature and the wildlife deer as such are examined.

      • 인지적 구성주의와 사회적 구성주의에 대한 비교고찰

        방선욱 청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5 한국사회과학연구 Vol.27 No.3

        지식의 형성 및 습득의 본질과 과정에 대한 인식론적 입장은 객관주의라는 패러다임과 구성주의라는 패러다임으로 요약될 수 있다. 객관주의적 인식론에 따르면 지식은 이미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그것은 보편적ㆍ초역사적ㆍ범우주적 성격을 띠고 있다고 전제한다. 이와는 달리 구성주의적 인식론은 객관적이고 보편적인 성격의 지식이나 진리를 부정하며 지식은 사회ㆍ문화ㆍ역사적 상황 하에서 개개인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라고 전제하고 있다. 지식은 구성되는 것이란 전제 하에 지식 구성의 주요 요인을 개인의 인지적 작용에 두느냐, 혹은 사회적 상호작용에 두느냐에 따라 구성주의는 다시 '인지적 구성주의'와 '사회적 구성주의'로 구분된다. 인지적 구성주의는 Piaget의 인지발달이론에 근거하여 지식구성의 주요 요인을 개인의 내면적 인지작용으로 보고 있는 반면 사회적 구성주의는 Vygotsky의 사회적 인지발달이론에 근거하여 지식 구성의 주요 요인을 인간의 인지적 작용과 사회적 관계의 상호작용에 의한 것이라고 본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구성주의의 두 가지 관점을 비교고찰해 보고자 한다. Constructivism is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as cognitive and social (or sociocultural) constructivism, which place their theoretical basis in Piagetian and Vygotskian psychology, respectively : It is cognitive constructivism, when individual psychological aspects are emphasized over social aspects, while it is social constructivism, when social interaction is emphasized over individual psychological aspects, in the process of knowledge construction ; and it is cognitive constructivism when individual cognition and social interaction are regarded as independent factors, while it is social constructivism, when mutual interplay between these two factors is emphasized. Constructivist approaches view learning a process in which individual sYudents construct or build their own internal interpretations of external events. Therefore Constructivists view learning as the result of mental construction. After all, this research intends not to highlight differences between cognitive and social constructivism, but rather to build mor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constructivism, and develop diverse constructivist principles and strategies which can be widely applied for real situations of teaching and learning.

      • KCI등재

        사회구성주의와 미국의료보장의 역사적 기원

        김흥식 ( Heung Sik Kim ) 한국사회사학회 2012 사회와 역사 Vol.0 No.96

        이 글은 사회구성주의 관점에서 미국 의료보장정책의 역사적 기원을 재조명해 보았다. 사회구성주의 관점에 비추어 볼 때, 미국 의료보장정책은 객관적이고 고정된 실재이기보다는 사회적 구성을 통해 그 의미가 형성되고 변화되었던 주관적 실재였으며, 상징적인 언어를 통하여 다양한 의미로 묘사되고 이해되었던 정치적 과정의 산물이었다. 메디케어 이전의 사회의료보험 논쟁은 국민건강욕구의 충족과 관련된 기술적 문제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기 보다는 전제주의 산물의 수용 대 미국전통적인 가치의 보호라는 이분법적인 이념적 차원에서 전개되었다. 이러한 대결 구도에서 당시 미국인들 사이에 팽배했던 반독일 및 반사회주의 감정은 미국의사회로 대표되는 반대자들에게 유용한 자원이 되었고, 상징적 언어와 은유를 통하여 부정적으로 이끌어 갈 수 있었다. 결국 사회의료보험의 사회적 구성은 반대자들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형성되었으며, 이는 메디케어 이전까지 시도되었던 사회의료보험의 도입을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모두 좌초하게 된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이에 따라 사회의료보험의 지지자들은 사회의료보험 도입이 반복되어 실패하자 상징의 정치에서 우위를 담보할 수 있는 새로운 내용의 정책을 발굴하는 데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으며, 이것이 바로 부정적인 사회적 구성을 막을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사회의료보험인 메디케어였던 것이다. 메디케어의 도입성공은 과거와는 다르게 노년층을 수혜대상으로 하는 정책설계의 변화에 따라서 이에 대한 사회적 구성이 긍정적으로 변화되었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이처럼 사회구성주의 관점은 정책에 대한 사회적 구성을 둘러싼 대립과 갈등 그리고 이에 따르는 정책설계의 변화 등을 역사적으로 조망할 수 있게 함으로써 행태주의와 실증주의에 함몰된 주류 정책연구가 간과해 왔던 상징의 정치를 이해하는 데에 필요한 새로운 통찰력과 이론적 기반을 제공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historical origins of American health security policies by utilizing the perspective of social constructionism. In view of social constructionism, American health security policies have been neither objective or constant realities that defy divergent subjective interpretations. Rather they have been the products of complex political processes with their characteristics and images being intersubjectively constructed and understood in diverse ways by symbolic languages. Before Medicare, the repeated attempts to adopt social health insurance had all failed because the social construction about them had been formulated negatively by their opponents who had successfully exploited anti-German and anti-socialist feelings to depict social insurance as the socialized medicine made first by authoritarian German regime and then exported into America by the Soviet. Facing the repeated failures, the supporters of social insurance turned it to their advantage by limiting its target population to the aged, and with this change, they could prevent their opponents from defeating social health insurance by opening the ideological issues like in the past. As this study shows, social constructionism allows us to closely look into the historical processes in which the conflicts and confrontations surrounding social construction of public policies are the key elements of symbolic politics. Moreover, bringing historical analysis back into policy study is a necessary step to effectively meet the crisis of present social sciences.

      • KCI등재

        사회적 구성주의 관점에서 분석한 한부모 문제화 : 영국 신노동당과 연립정부를 중심으로

        전미양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6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49 No.-

        This research aims at exploring how lone parents on social assistance benefits become problematised and approached under New Labour and the Coalition government. Using the perspectives of social constructionism as an analytical tool, the paper explores how the ideologies, discourses, and policy measures around lone parenthood are constructed and shifted. As lone parenthood and their ‘welfare dependency’ become a policy challenge, both New Labour and the Coalition adopt labour market activation and welfare conditionality. However, there are a number of shifts between the two periods. First, from the perspectives of contractualism, New Labour builds the support side first and then imposes gradual demands on lone parents. However, the Coalition increases the existing demands without strengthening the support side. In addition, the Coalition alters New Labour``s paternalism into moralistic arguments around welfare dependency. Second, discourses under New Labour start from paternalistic argument of ``work is good for you``, but gradually transform into blaming and ``othering`` the behaviours of dependency. Third, while the intensity of conditionality becomes stronger, the policy measures of the two governments mainly focus on the supply side of employment supports. 1970년대 이후 영국 사회에서 급격하게 증가한 한부모 가정은 2014년을 기준으로 전체 가정의 25%를 이루고 있다. 한부모 가정은 다른 형태의 가정에 비해 사회적 위험에 상대적으로 더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과 관련된 빈곤, 실업, 복지급여 등이 영국 사회의 주요 정책문제로 대두되어 왔다. 그렇다면 이들에 대한 영국 정부의 정책적 접근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을까? 이에 답하기 위해 본 연구는 사회적 구성주의 관점에서 신노동당과 연립정부를 대상으로 한부모 가정이 어떻게 문제화되었는지를 분석하였다. 사회적 구성주의는 사회에서 일반적 상식으로 여겨지는 특정시각 속에 내재된 추측이나 편견에 의문을 제기함으로써 그러한 현상이나 관점이 사회적 맥락에서 어떻게 발전되어 왔는지를 설명하는 관점이다. 신노동당과 연립정부를 아우르는 한부모에 대한 기본적인 정책 기조는 노동시장 활성화와 조건부 복지였다. 하지만 두 정부 간에 몇 가지 변화를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신노동당의 계약주의는 ‘개인은 유급노동 참여라는 경제적 의무를 다하고 정부는 이를 지원한다‘는 기조였으나 연립정부에서는 정부의 지원 수준보다 개인의 의무가 강조되었다. 둘째, 신노동당의 담론은 ‘유급노동은 개인의 행복에 기여한다’라는 온정주의적 태도를 가졌으나 연립정부에서는 한부모 가정이 전통적 가정형태가 아니라는 윤리적 비난과 복지에 의존한다는 경제적 측면의 비난 등 도덕적, 규범적 논의가 등장했다. 셋째, 한부모 가정의 복지급여 수급조건을 강화시키면서 신노동당은 육아지원 등 유급노동을 가능케 하는 정책을 도입했으나 연립정부는 정부지원보다 유급노동을 통해 개인에게 돌아가는 경제적 보상에 초점을 맞추었다. 본연구는 사회적 구성주의라는 관점으로 한부모에 대한 영국 정부의 접근을 다차원적으로 분석했으며 이는 추후 사회적 구성주의가 다른 사회 문제의 분석틀로 적용될 때 좋은 참고가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