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漢韓大辭典」의 편찬과정과 향후 계획

        윤승준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12 東洋學 Vol.52 No.-

        I wrote this paper to achieve twin objectives. At first, I want to share the trials and errors,know-hows, information concerned with a dictionary compilation based on the compilation process of Han-Han-Dae-Sajeon. Also I purposed to prepare the white paper of Han-Han-Dae-Sajeon compilation. According to the President Chang Chungsik’s require,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established the compilation office of the Han-Han-Dae-Sajeon and pushed ahead the great project in 1977. Since 1977, the plan for the compilation and publishing the Han-Han-Dae-Sajeon was changed twice, and the special commission on Han-Han-Dae-Sajeon compilation was organized in 2004. At last the Han-Han-Dae-Sajeon (16 volumes) was completed 28 October 2008. During the 31 years,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held several meetings for reading research papers, published a news letter Bulletin of Oriental Studies semiannually, as well as running the reference room. And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introduced the computerized typesetting system and developed the Chinese character fonts. Now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is undertaking the integrating and digitalizing project of the Han-Han-Dae-Sajeon (16 volumes) and Dictionary of Korean Chinese Characters (4 volumes). Completing this project, Institute of Oriental Studies will carry out the projects as following ;on-line service of Han-Han-Dae-Sajeon, compilation of the essence dictionary for student or compilation of the disciplinary expert dictionaries, research for the lexicography, cooperation with the related organizations such as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Institute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s Classics, Academy of Korean Studies etc. 본고는 30여 년에 걸친 「漢韓大辭典」 편찬 과정에서 축적한 사전 편찬에 대한 경험과 지혜를 공유하는 한편, 「≪한한대사전≫ 편찬 백서」(가칭) 발간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정리하기 위하여 기필되었다. 특히 이 글에서는 「한한대사전」의 편찬과정과 향후 계획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동양학연구소에서는 1977년 漢韓辭典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던 張忠植 전 총장의 요청에 따라 편찬계획안을 수립하고 「한한대사전편찬실」을 신설하였다. 편찬실에서는 편찬위원회를 구성하고 실무를 담당할 편찬원을 선발하여 사전 편찬을 위한 지침을마련하는 한편, 어휘 채록과 주석 작업에 착수하였다. 사전 편찬 과정에서 본래 ‘전문 인력 20명에 14억 원의예산으로 15년에 걸쳐 편찬한다.’는 계획안은 2차례 수정을 거쳤고, 마침내 ‘한한대사전 편찬 특별대책위원회’까지 구성되어 사전 발간을 위한 각고의 노력을 기울인 끝에 2008년 10월 28일 「漢韓大辭典」 16책의 완간을볼 수 있었다. 이보다 앞선 1996년 11월, 동양학연구소는 우리나라 고유의 한자와 한자어를 수록한 「韓國漢字語辭典」 4책을 완간한 바 있다. 동양학연구소에서는 30여 년에 걸친 편찬 기간 동안 月例硏究討議會, 「東洋學簡報」의 발간, 동양학연구소 도서실 운영, 편찬원의 해외 시찰, 전산 조판 시스템의 도입과 한자 폰트 개발 등다양한 활동을 통해 「漢韓大辭典」 편찬을 위한 토대를 구축하여 왔다. 아울러 ‘통합디지털 한한대사전’ 편찬작업을 진행 중인 동양학연구원에서는 향후 ‘「한한대사전」의 웹 서비스를 통한 사회 기여’, ‘학습용 한자사전및 전문 갈래 사전의 편찬’, ‘사전학의 세계적 메카를 향한 학술 연구’, 국사편찬위원회·한국고전번역원·한국학중앙연구원 등 ‘유관 기관과의 긴밀한 협력 사업’을 계획 추진 중에 있다.

      • KCI등재후보

        한국민속대백과사전의 편찬 방향과 전망

        김창일(Kim Chang-Il) 실천민속학회 2009 실천민속학연구 Vol.13 No.-

        본 논문에서는 『한국민속대백과사전』편찬사업의 첫 성과물인 「한국세시풍속사전」의 장단점을 간략하게 살펴 본 후, 국내외의 주요 백과사전을 분석하여 현재 진행 중인 『한국민속신앙사전』편찬방향의 근거와 타당성을 논하였다. 앞의 논의를 통해 『한국민속대백과사전』편찬 방향은 단편적 지식의 참조에 거치는 사전이 아니라 학습을 할 수 있는 지식의 체계적 전달까지도 가능한 수준으로 편찬하는 것에 있음을 강조했다. 따라서 『한국민속대백과사전』은 어휘풀이 辭典(dictionary)이 아닌, 대상을 설명하고 해석하는 事典(encyclopedia)을 지향하기에 주제별 편찬방식을 선택했던 것이고, 이는 『한국민속대백과사전』의 편찬목적에 적합한 방식이었음을 확인했다. 그리고 『한국민속대백과사전』의 전망을 살폈다. 『한국민속대백과사전』 편찬에 있어서 웹사이트의 특징을 가장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웹사이트 구축에 필요한 기술적인 면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얼마 전까지만 하더라도 사전편찬자와 웹사이트 구축 기술자는 완전히 분리되어 있었다. 그러나 사전편찬자가 웹사이트 구축에 관한 지식이 없을 경우 인쇄본 사전중심으로 편찬 방향을 끌어나갈 가능성이 많아지게 되고 결국은 시대에 뒤떨어지는 설계를 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됨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브리태니커 백과사전》과 《위키피디아≫의 성공사례와 전략을 분석하여 《한국민속대사전》의 나아갈 길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앞으로의 과제로써 “사전의 갱신작업”과 “포털사이트 검색엔진을 통한 서비스”,“영문번역사업” 등의 필요성과 “시대의 변화와 어울리는 사전의 모델”, “충분한 사전편찬기간의 확보” 문제를 거론하였다. In this paper, I examined strength and weakness of “the Encyclopedia of Korea sesipungsok” that published by ‘the national folk meseum of Korea at first. I analyzed encyclopedia of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and described basis of compilation direction and validity of “the Encyclopedia of Korea faith”. Through this discussion, I emphasized that “the Encyclopedia of Korea folk” does not stop on reference of fragmentary knowledge and systematic transmission of knowledge that can study should be available. Therefore, “the Encyclopedia of Korea folk” is not encyclopedia that explain vocabulary. Because Encyclopedia intend that explains and analyzes subject, I have to selected compiling to subject. This is suitable in compilation purpose of “the Encyclopedia of Korea folk”. And I forecasted “the Encyclopedia of Korea folk”. I think that It needs to understand know-how in web-site construction to take advantage of “the Encyclopedia of Korea folk” characteristic of web-site effectively. Lexicographer and web-site construction engineer were detached perfectly even if until short time. But, in case of lexicographer does not have knowledge about web-site construction, possibility rises that lexicographer edits in-print encyclopedia. Finally, this is that possibility rises to design that is behind the times. And I analyzed example and strategy that succeed of “Encyclopedia Britannica” and “encyclopedia wiki”. Through this, I presented direction to go forward of “the Encyclopedia of Korea folk”. Finally, I referred the work ahead, I think that It Needs updating of encyclopedia, Service through search engine of portal site, translation to English, model of encyclopedia in times, enough time that can compile encyclopedia.

      • KCI등재

        사전 편찬을 통해 본 리극로(李克魯)의 독립운동사적 위상과 냉전적 해석 굴레의 탈피

        이준환 ( Yi Jun-hwan ) 배달말학회 2018 배달말 Vol.63 No.-

        이 글은 이극로의 어문 연구 활동과 어문 운동의 결과물들을 통해 이것이 국어 연구, 표준적인 한국어의 성립과 발전, 국어사전 편찬에 어떻게 이바지 했는지 생각해 보려는 것이다. 이극로는 외국 생활을 하면서 국어가 민족의 생명이라는 인식에서 국어사전을 만들고 한글 중심의 표기를 하고 철자법을 고쳐야 한다고 생각하였고, 귀국 후 그의 활동은 이 두 가지 과제 달성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그는 음운, 문법, 표기법, 사전 편찬 연구에 매진했는데, 이런 연구는 ‘음운 → 철자법 → 표준어 → 문법(단어 중심) → 사전 편찬’의 흐름으로 이어진다. 그는 1929년에 조선어연구회에 입회한 후 그해 10월에 조선어사전편찬회가 조직되었을 때, 위원과 상무위원 겸 편집부 상무가 되어 사전 편찬을 주도했다. 또한 1931년에 이우식을 회장으로 선출하고 자신은 간사장 역할을 하며 사전 편찬에 필요한 자금 확보에 최선을 다했다. 이처럼 그는 사전 편찬을 실제로 이끌고 자금을 마련하면서, 사전 집필을 위한 큰 틀과 구체적 내용을 고민했다. 이극로는 1947년에 『조선말 큰 사전』 제1권을 발행하고, 1948년에 남북연석회의 참석차 평양에 갔다가 북한에 잔류했다. 이는 통일 민족국가 건설과 언어의 분단은 막으려는 생각에 따른 것이다. 이극로는 북에서 조선어문연구회의 위원장이 되어 조선어 문법 편수 간행, 조선어 사전 편찬 간행, 조선 어문 연구 잡지 간행, 조선 어문 연구 논문집 간행, 조선 어문 특별 강연회 개최 등과 같은 어문 정책을 주도했고, 음조에 관해 다룬 「조선어 조 연구」(1966)과 같은 음성학 연구 성과를 지속적으로 발표했고, 조사 ‘이다’의 문제를 다룬 「체언에 붙는 접미사 <이>의 본질」(1964)와 같은 문법 연구에 관한 성과를 발표했다. 이런 행적으로 보아 그가 북한에 잔류했다는 이유로 남북의 언어 통일을 위하여 사전 편찬과 문법 연구에 매진한 업적이 평가 절하되어서는 곤란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ctivities and the linguistic movement of Li Kolu, and how it contributed to the study of Korean language, th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standard Korean language, and the compilation of Korean dictionary. Li Kolu thought that he should make a Korean dictionary with the recognition that Korean language is the life of the nation, and write it in the center of Korean and fix the spelling method. His activities after returning home are focused on achieving these two tasks. In fact, he has been mainly devoted to the study of phonology, grammar, notation, and lexicography, and these studies seem to lead to the flow of phonemic → spelling → standard word → grammar(word-centered study) → dictionary compilation. He became one of the members of the Joseoneosajeonpyeonchanwiwonhoe( Korean Dictionary compilation committee) when he joined the Joseoneoyeonguhoe(Korean-Language Research Association) in 1929, and in October of the same year, he was also a member of the board of directors and editor-in-chief. Then, in 1931, when elected Yi Woosik as the chairman in Joseoneosajeonpyeonchanwiwonhoe, he acted as the secretary and did his best to secure the necessary funds for the dictionary compilation. This shows that he was in a central position in lexicography and in securing the necessary financial resources. When we compare this behavior with his previous research, we can see that Li Kolu has led the dictionary compilation and raised funds, and he himself has been contemplating a big frame for concrete writing and concrete contents. In the following year, 1948, when the first book of the late Joeseneokeunsajeon(Korean Grand Dictionary) was published in 1947, Li Kolu remained in North Korea in 1948. The purpose of remaining in North Korea was to construct a national unified nation and compile a dictionary of the North Korean. After remaining in North Korea, Li Kolu became the chairperson of the Joseoneomunyeonguhoe(Korean-Language Study Group). He published a number of Korean grammar, a dictionary of Korean language dictionary, a Korean-language research magazine, a Korean- -language research paper, a special lecture and the holding of the North Korean linguistic policy. And he continued to present his achievements in phonological research on tone and grammar research. As a result of this behavior, it would be difficult to devalue the accomplishments of dictionary compilation and grammar research for the unification of the languages of North and South, be remained in the North Korea.

      • KCI등재

        현대 국어사전의 편찬 목적과 그 특징 -『큰사전』을 중심으로-

        한용운(Han Yong-un) 한글학회 2019 한글 Vol.- No.325

        이 글에서는 현대 국어사전의 편찬 목적과 그 특징을 『(조선말) 큰사전』과 관련지어 살펴보았다. 그 결과 현대 국어사전의 대부분은 직 · 간접적으로 『(조선말) 큰사전』의 영향을 받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조선말) 큰사전』은 우리말을 집대성한 최초의 사전이며, 그 이후의 대사전들은 이 사전의 바탕 위에서 올림말 수를 늘리고 뜻풀이를 깁고 더해 왔다. 또한 『(조선말) 큰사전』 편찬 과정에서 ‘표기법 제정’, ‘사전 편찬을 위한 문법 및 문체 통일’, ‘표준어 선정’ 등의 작업을 완료하여 일제 강점기의 국어사전을 편찬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였으며, 분단 이후의 남북어문 규범 및 문법이 전혀 별개의 것으로 이질화되지 않도록 하는 데에도 크게 기여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일제 강점기에 『(조선말) 큰사전』편찬 작업을 추진하여 「한글 마춤법통일안」과 「사정한 조선어 표준말 모음」을 준비하고 광복 후 어문 생활의 토대를 마련했던 것처럼, 오늘날 우리도 『(조선말) 큰사전』 편찬 의의를 되새기면서 통일시대를 위한 준비를 하나하나 해 둘 필요가 있다. This article reviews the compilational purposes and characteristics of modern Korean dictionaries with a focus on how Joseonmal Keun-sajeon influenced modern Korean dictionaries. Korean dictionaries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ere compiled as part of the patriotic enlightenment movement. At that time, there was no corpus, notation, standardized language, grammar, or style which are the basic content of dictionaries. However, dictionaries such as Botonghaggyo Joseoneo Sajeon (1925), Joseoneo-sajeon(1938), Pyojun Joseonmal Sajeon(1947), and Joseonmal Keun-sajeon(1947) overcame these difficulties. After the North-South division, North Korean dictionaries were compiled only by government agencies. In contrast, in South Korea, most dictionaries were published by private publishers. The Joseonmal Keun-sajeon became the basis for dictionary compilation in both North Korea and South Korea after the North-South division. In addition, those who participated in compiling the Joseonmal Keun-sajeon played an important role in establishing notation and language policy after the North- South division, which in turn contributed greatly to preventing inter-Korean language heterogeneity. In 2005, dictionary editors from both Koreas agreed to compile the Gyeoremal Keun Sajeon to overcome language heterogeneity and prepare for the unific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 Although Korea is still divided, this dictionary will allow people in each country to access the other country’s vocabular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grammarians created Korean notation and compiled Korean dictionaries with faith in their eventual independence from Japan. Today that same level of faith in unification should drive dictionary compilation.

      • KCI등재

        조선총독부편(編)《조선어사전(朝鮮語辭典)》의 편찬 맥락에 대한 사전학적 고찰

        최경봉 ( Choi Kyeong-bong ) 국어학회 2017 국어학 Vol.81 No.-

        본고에서는《朝鮮語辭典》(조선총독부編)의 체제와 내용에 대한 사전학적 고찰을 통해 이 사전의 편찬 맥락을 규명하였다. 이 과정에서《원고》(1914)부터《조선어사전》(1920)에 이르기까지의 체제와 내용상 변화가 이중어사전 편찬이라는 기획 의도에 따른 절차였음을 가정하고, 이를 사전의 구조 분석결과를 근거로 논증하였다. 2장에서는 이중어사전의 유형론에 기대어《조선어사전》의 체제와 내용이 정의사전(defining dictionary)의 성격을 띠고 있음을 밝혔고, 이중어 정의사전의 편찬 방법론에 기대어《조선어사전》의 기획단계부터 사전의 출판에 이르기까지 적용했던 편찬 방침을 검토했다. 3장에서는 사전의 체제와 내용을 분석하고 이 분석 결과를 토대로《조선어사전》의 편찬 맥락을 설명하였다. 이를 통해 이 사전이 조선어 뜻풀이의 존재 여부와 상관없이 일본어 화자의 조선어 이해를 목표로 기획·편찬된 것임을 밝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mpilation contexts of "Joseoneosajeon"(edition of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by taking a lexicographic approach to its system and content. For that purpose, the study made an assumption that the changes to the system and content in "Manuscript"(1914), "Manuscript" (1918), and "Joseoneosajeon"(1920) reflected the procedures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planning, which was to publish a bilingual dictionary, and demonstrated them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dictionary structure. Chapter 2 demonstrated that the system and content of "Joseoneosajeon" had the nature of defining dictionary based on the typology of bilingual dictionaries and explained its compilation policy applied from the planning stage to the publication stage based on the compilation methodology of defining dictionaries. Chapter 3 analyzed its system and content and gave an explanation about its compilation context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dictionary was planned and published to promote the understanding of Joseon language by Japanese people regardless of whether there were definitions in the Korean.

      • KCI등재

        <연세 현대 한국어사전>의 전문용어 표제어 선정과 기술에 관한 재고

        주향아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2023 언어사실과 관점 Vol.58 No.-

        이 글은 현재 편찬 과정 중에 있는 <연세 현대 한국어사전>(이하 <연세 현대>)의 전문용어 편찬 지침을 검토하고, 전문용어 표제어의 선정과 그 기술 방식을 다시 한 번 살펴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세 현대>는 말뭉치의 빈도수와 교과서, 교재 어휘 목록을 토대로 전문용어 표제어를 선정하였으며 전문영역에 해당하는 어휘라도 그것이 이미 일상 생활에서 널리 쓰이고 언중에게 잘 알려진 어휘라면 일반어로 처리했다. 전문용어의 뜻풀이는 백과사전적 풀이를 지양하고 언어사전적 풀이를 하고자 했다. 뜻풀이에서 누락될 수 있는 중요 정보들은 참고란을 통해 보충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으며, 용례는 개념의 이해를 돕는 것으로 제시하고자 했다. 또한 어휘 관계를 보임으로써 동일 개념을 지칭하는 여러 가지 어휘나 서로 관련있는 어휘들의 정보를 제시하고자 했다. 그러나 전문용어 지침이 마련되어 있다 하더라도 실제 사전 편찬 과정에서는 여러 가지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본고에서는 실제 원고 작성 과정에서 편찬자들이 마주하게 되는 여러 가지 문제를 현재 작성되고 있는 원고들을 예로 들어 살펴보았다. 사전 원고의 기본적 항목이라 할 수 있는 뜻풀이와 참고 정보, 용례를 처리하는 방식부터 시작하여 비표준형 혹은 비표준어의 처리, 사용역이 다른 비슷한말 관계 어휘들의 처리, 전문영역 표지 부여의 문제 등을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사전 편찬자가 전문용어의 집필에 있어 어떠한 점들을 고려해야 할지도 논의했다.

      • KCI등재

        어문규범 갖추기에 쏟은 조선어학회의 노력

        리의도 ( Lee Ui-do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13 국제어문 Vol.59 No.-

        조선어사전 편찬은 국어연구학회(1908)로부터 조선어연구회에 이르기까지 조선어학회의 중요한 과업이었다. 초창기부터 나름대로 노력했으나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하다가, 1929년 한글날에 조선민족 각계의 인사로 조선어사전편찬회를 발기하여 사전 편찬 작업을 본격화하였다. 하지만 작업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아 1936년 4월에는 편찬회를 해산하고 모든 일을 조선어학회에서 실행하였다. 그렇게 사업을 진행하는 중에도 여러 위기를 겪었다. 재정적인 어려움은 기본이요, 말로 다할 수 없는 `조선어학회 수난`까지 겪었으며, 민족 분단과 6·25 전쟁의 피해도 있었다. 하지만 끝내 포기하지 않고 작업을 계속하여 1957년에 `민족적 권위`를 가진 대사전을 완간하였다. 조선민족의 머리와 손과 힘으로 이루어 낸 한겨레말 사전, 『(조선말) 큰사전』이었다. 그것은 조선민족 말글살이의 준거가 되었으며, 그 이후 모든 한국어사전의 본보기가 되고 출발점이 되었다. 사전 편찬과 병행하여 「한글맞춤법 통일안」, 「외래어 표기법 통일안」, 「일본어음 표기법」 등을 제정하였다. 그 모두 조선민족의 자유 의지로 이루어 낸 `조선어의 한글 표기법`이며, 『(조선말) 큰사전』 탄생의 초석이 되었다. 특히 「한글맞춤법 통일안」은 조선어의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고 조선민족의 지혜를 결집한 것으로, 단기간에 한국어 공동체의 공식 표기법으로 자리 잡았다. 어휘 수집과 표준어 사정(査定), 각종 표기법 제정, 대사전의 편찬과 간행, 그 하나하나가 방대한 사업인데, 조선어학회는 제 한 몸 가누기도 어렵던 질곡 속에서 그런 모든 일을 한꺼번에 성공적으로 해내었다. 그러한 희생과 노력이 있었기에 8·15 광복과 동시에 한겨레는 시행착오 없이 겨레말 교육에 매진할 수 있었던 것이다. 또 하나 중요한 점은 그런 일들을 광범위한 참여 속에서 진행했다는 점이다. 각계각층의 사람들을 여건과 능력에 따라 참여하게 했으며, 자유롭지 못한 여건 속에서도 공론의 과정을 거치는 데에 소홀하지 않았다. 그렇게 함으로써 폭넓은 관심과 공감과 신뢰를 얻게 되었고, 그것은 성공의 밑거름이 되었다. 실로 조선어학회의 어문규범 갖추기는 민족의 총력―지력, 금력, 심력이 조화롭게 융합된 결정체였다. Compilation of Korean language dictionary was a crucial task for each of the Society from `the Gugeo Yeongu Hakhoe`(국어연구학회) to `the Joseoneo Hakhoe`(조선어학회, the Joseon Language Society). But, due to several reasons, it wasn`t achieved. On Hangeul Day in 1929, some famous people from various areas of the Korean race established `the Committee for Compilation of Joseon Language Dictionary`(조선어사전 편찬회) and kicked into high gear to work for it. In April, 1936, it was dispersed and instead the Joseoneo Hakhoe became to plan and execute all the work for it. While they worked for compilation and publication of it, they had to pass through many crises. They were suffered from financial difficulties as well as `the ordeal of the Joseoneo Hakhoe` which can`t be described in words. They were also damaged by the Korean War. But they were never disappointed but continued their work for compilation and publication of it. Finally, they made a dictionary, with pro `racial authority`, which they had been longing for such a long time. It was (Joseonmal) Keunsajeon (조선말 큰사전, the Unabridged Dictionary for Joseon language) that was made by brains, hands and powers of the Korean race. It became a criterion of verbal and written language life for the Korean race. Since then, it has become a model as well as starting point for all of the dictionaries of Korean language. In parallel with compilation of the dictionary, “Hangeul Matchumbeop Tongilan”(한글맞춤법 통일안, the unified draft for Korean language orthography), “the unified draft for loan-word orthography” and “the phonetic transcription for Japanese language” were established. All of them were the Hangeul orthography for Korean language made by free-will of the Korean race and they became the foundation for the birth of (Joseonmal) Keunsajeon. Especially, as not only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is properly reflected in “Hangeul Matchumbeop Tongilan” but also wisdom of the Korean race is gathered and united in it, it has been positioned in a short period of time as an official orthography for communities where the Korean language is used. Each of assessment for standard language, establishment of orthography, compilation and publication of unabridged dictionary is so vast to accomplish but the Joseoneo Hakhoe made them successful in such an ordeal period when it wasn`t easy for every body to live their own lives through. Looking ahead the future of the Korean race in deep darkness, they carried out in silence and with prudence to arrange the basis for refined and smooth verbal and written language life. Due to such an insight, efforts and sacrifice, the Korean race could have strived for the language education for the Korean race without any trials-and-errors at the same time when they were independent from Japan. Another important point to mention is that the above was processed with vast participations. The people from all ranks and classes in Seoul and other regions were made to participate depending upon their individual conditions and abilities, and also it wasn`t neglected to go through the process to have public opinions even under the restricted conditions. By doing that, not only social concerns and interests were gathered but also trust and sympathy were gained, which made it successful for the Joseoneo Hakhoe to arrange norms for verbal and written Korean language. Truly, arrangement of norms for both verbal and written Korean language by the Joseoneo Hakhoe is a kind of a crystal total power of the race is blended with harmony; the power of wisdom, the power of wealth and the power of mind.

      • KCI등재

        헝가리어 사전의 역사와 ‘헝가리어-한국어 사전’ 작업

        박수영(Park, Soo Young)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04 동유럽발칸연구 Vol.13 No.1

        이 논문에서는 헝가리어 사전 편찬의 역사와 어휘체계를 살펴보고, 현대 헝가리어 사전 편찬작업의 한 예로 서 2000년도에 출판된 ‘헝가리어-한국어 사전’ 작업의 과정과 내용을 소개한다. 사전편찬이 한 언어의 어휘목록을 수록하고 그 의미를 풀이하는 작업이라 할 때, 어휘목록은 역사적으로 축적되어온 결과이며, 이러한 어휘목록을 이루는 표제항의 범위는 어휘체계에 대한 이해를 전제로 사전편찬 의 목적에 의해 결정된다. 사전을 어휘항목인 표제항과 이에 대한 뜻풀이로 정의할 때, 사전작업에서 일차적인 작업은 표제항의 범위 와 선정이다. 이것은 사전의 목적과 성격(표준어 학습용 사전, 어원사전, 방언 사전 등)에 따라 결정되는데, 실제로 표준어와 방언의 구분은 명확하지 않으며, 외국어 사전의 경우에서 이러한 구분은 더욱이나 어렵기 때 문에 표제항은 기존의 사전을 모방하거나 편찬자의 우연적 선택에 의해 선정되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문제 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언어의 역사와 어휘체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사전의 목적을 분명히 해야한다. 이 논문에서는 특정 헝가리어 사전을 자세히 소개하기보다는 헝가리어 사전편찬의 역사와 어휘체계를 살 펴보고, 현대 헝가리어 사전 편찬작업의 한 예로서 2000년도에 출판된 ‘헝가리어-한국어 사전’ 작업을 하면 서 기본 자료로 사용한 네 가지 사전 ’Magyar értelmező kéziszótár(헝가리어 풀이 사전)‘ ‘Magyar-német kéziszótár(헝가리어-독일어 사전)‘, ’Magyar angol kéziszótár(헝가리-영어 사전)’, 그리고 헝가리와 북한의 공동 작업에 의해 출판된 ’Magyar-koreai szótár(웽조사전)‘과 ’헝가리어-한국어 사전(magyar-koreai kéziszótár)‘의 내용을 소개하고, 이 작업과정에서 느낀 몇 가지 문제에 대해 언급하였다.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on account of hungarian historical lexicography the development of the whole system of hungarian vocabularies, and also to show the working process of the 'Hungarian-Korean Dictionary'(2000) which is the latest published bilingual dictionary of hungarian. Lexicography is a storing work of the whole vocabulary of a language, which consists of two part: headword part and sense part. The headword part as one of the main entry is based on this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whole vocabulary. To establish the list of headword,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system of vocabulary and its components and to clarify the aims of the dictionary related with its users and its object. The first step of working process of a dictionary is to decide the categories and volume of dictionary and to list up headword according to its aim and its properties(dictionary of standard language, dialects, etymology etc). On case of bilingual dictionaries, it is difficult to list up categories of headword, so that it comes frequently to take up the headword of existing dictionaries or arbitrary selection of words. To tackle these difficulties, we have to clarify the aim of the dictionary based on the history of language and its vocabulary system. Firstly introducing the history of hungarian lexicography and its vocabulary system, I describe some important aspects of four hungarian bilingual dictionaries, 'hungarian-hungarian dictionary', 'hungarian-german dictionary', 'hungarian-english dictionary', and 'hungarian-korean dictionary(1957)'. The working process of the 'hungarian-korean dictionary'(2000) is based on these four main dictionaries. Finally I comment on some lexiographical aspects and problems of 'Hungarian and Korean dictionary'

      • KCI등재

        백과사전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현황 분석

        김미숙(Kim Mi-Suk) 인문콘텐츠학회 2009 인문콘텐츠 Vol.0 No.16

        본 연구는 디지털 시대 백과사전의 편찬에 있어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어떠한 기준으로 선정하고 수록할 것인지, 그리고 어떠한 방식으로 서비스할 것인지에 대한 방안을 찾아보려는 목적을 갖고 있다. 그를 위해『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발행 당시의 도판 자료 분석을 통해, 멀티미디어적 요소가 어떻게 기획?제작되었는지 살펴보고, 현재 어떻게 온라인 서비스를 하고 있는지 분석함으로써, 본격적인 디지털 편찬 방식을 채택한 개정?증보 사업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 개발의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로, 초판본 발간에서 현재에 이르기까지『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이 어떻게 편찬되고 개정되어 왔는지 살펴보기로 하겠다. 특히 인쇄본 편찬 과정에서 도판자료가 어떤 과정을 거쳐 제작되었는지를 중점적으로 정리해 보고자 한다. 둘째로, 항목별 수록 도판 자료를 중심으로 실제 자료의 현황을 정리하고 양적?질적 측면에서 분석하여 특성을 드러냄과 동시에 그 문제점은 어떤 것이 있는지 살펴볼 것이다. 마지막으로, 현재의 편찬 환경이나 서비스 환경에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제작과 서비스에 적용할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This research aims to suggest, in compiling a digitalized encyclopedia, criteria by which we should select and list multimedia items, and a way to serve them. By analyzing illustrations in the first edition of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I will look into the process of designing and making of multimedia items, and by analyzing how it is currently served on-line I will suggest a way how we should develop multimedia content for a full-scale digitalized encyclopedia. Firstly, I will look into the process of compiling and revising of Encyclopedia of Korean Culture since the first edition up to the current one. My specified interest will be on the process how the illustrated items were made for the printed version. Secondly, I will itemize the listed illustrations and exhibit the characteristic in both quantity and quality while pointing out necessary improvements. Lastly, I will suggest a better way to produce and serve multimedia content under the current circumstances of compiling and serving encyclopedia.

      • KCI등재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구축 방안 연구

        도원영 ( Doh Won-young ),신상현 ( Shin Sang-hyun ),최경봉 ( Choi Kyeong-bong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7 民族文化硏究 Vol.75 No.-

        이 글은 개화기 이후부터 2010년까지 국내에서 간행된 사전을 목록화하고 메타사전학적 방법론에 따라 사전 정보를 분석하여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를 구축하는 방법론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개화기 이후부터 2010년까지 국내에서 출간된 모든 사전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여 사전 목록을 정비하고 사전편찬 정보에 대한 자료적 토대를 구축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어서 사전편찬학과 메타사전학의 연구 방법론을 활용하여 사전의 유형 정보와 구조 정보, 사전의 역사 정보를 분석하고 이에 해당하는 정보를 입력하여 DB화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사전은 해당 학문 분야의 지식 체계를 형성하고,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며, 학문 체계를 구축하는 토대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지닌다. 첫째, 사전편찬사에 기반한 분과 학문별 사전사 연구에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학문 분야별 지식체계의 형성과 전파 파악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셋째, 국내 사전 기획 능력 및 편찬 능력의 강화에 기여할 수 있다. 넷째, 국가 지식정보의 생산관리 운영에 관한 정책수립의 토대가 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 methodology to build a dictionary compilation information integrated database by cataloging the dictionaries published in the period after the flowering period to 2010 and analyzing the dictionary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eta-dictionary methodology. To do this, we conducted a survey of all the dictionaries published in Korea from the beginning of the flowering period to the year of 2010, and developed a dictionary list and proposed a plan to build a database for lexicographical information. Then, using the research methodology of lexicography and meta-dictionary, we analyzed dictionary type information, structure information, dictionary history information, and suggested a method to enter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into a database. Dictionaries are the foundation for forming knowledge systems in the field of study, creating new knowledge, and building academic systems. In this respects,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significance. First, it can be provided as basic data to the research of dictionary history based on the lexicographical dictionary in the field of study. Second,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formation of knowledge system and understanding of spread of knowledge by academic field. Third, it can contribute to strengthening domestic dictionary planning ability and compilation ability. Fourth, it is the foundation of the policy on production management and operation of national knowledge inform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