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전지식 및 관여도가 소비자의 신념불일치에 미치는 효과

        한웅희(Woong Hee Han),김재일(Jae Il Kim),이유재(You Jae Yi),박기완(Ki Wan Park) 한국마케팅학회 2009 마케팅연구 Vol.24 No.1

        본 연구에서는 어떤 대상에 대한 사전지식과 관여도가 소비자의 신념 불일치와 그 감소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신념체계에 대한 주관적 확률모델을 통해 논리적인 신념 불일치의 발생과 그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첫째, 신념 불일치의 크기는 사전지식 수준이 높은 경우에 사전지식 수준이 낮은 경우보다 더 크게 나타날 것인가? 둘째, 제품 카테고리의 관여도에 따라 사전지식이 반복측정에 의한 신념불일치 감소효과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질 것인가? 라는 연구문제를 제시하였다. 연구문제 해결을 위해 두 번의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념 불일치의 크기는 사전지식 수준이 낮은 경우보다 사전지식 수준이 높은 경우에 더 크게 나타났다. 둘째, 제품 카테고리의 관여도가 높은 경우에는 사전지식 수준이 높은 경우의 반복측정에 의한 신념 불일치 감소효과와 사전지식 수준이 낮은 경우의 반복측정에 의한 신념 불일치 감소효과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제품 카테고리의 관여도가 낮은 경우에는 사전지식 수준이 높은 경우의 반복측정에 의한 신념 불일치 감소효과가 사전지식 수준이 낮은 경우의 반복측정에 의한 신념 불일치 감소효과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의 의의와 시사점은 논의 부분에서 다루었다. We frequently see people who have a lot of knowledge on a subject make biased choices and decisions instead of conducting an accurate and objective information process. In other words, when people have a high level of prior knowledge, they tend to examine external information in a way that supports their prior beliefs and thoughts. When new evidence is analyzed in a direction that maintains one`s initial beliefs, the value, validity, reliability, and evaluating behavior of the evidence differs according to whether it matches one`s beliefs.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mechanism of biased information process due to prior knowledge on a subject. Specifically, we examined the effect of prior knowledge on the generation of systematic belief inconsistency and the size of that inconsistency through a subjective probability model. we also examined the effect of the level of involve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ior knowledge and belief inconsistence during that process. The term `belief inconsistency` used in this study refers to th logical inconsistency between beliefs that appear in the subjective probability mode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prior knowledge and involvement levels on logical belief inconsistency, which presents two research questions; a) will the level of belief inconsistency be higher when the level of prior knowledge is high than when it is low? and b) will the effect of prior knowledge on the decrease of belief inconsistency due to repeated measurement differ according to the involvement level on the product category?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we conducted two experiments. Through understanding the effect of prior knowledge and involvement in a product category on the evaluation and belief formation of that product, this study will enable us to search for a way to organize persuasive messages on product attributes and benefits. The study will als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explanatory power of probability models in which the relationship between beliefs is represented in a form of subjective probabilities. The current study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average difference between the predicted belief levels according to the subjective probability model, and the level of beliefs acquired from respondents(i.e., the level of belief inconsistency which is the absolute valu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vel of belief on conclusion B inferred from the reported beliefs on the four premises and the reported level of belief on conclusion B) was 0.1486, which shows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M=.1486; t (59)=9.892, p<.01). Second, the level of belief inconsistency was higher when the level of prior knowledge was high than when the level of prior knowledge was low(M(Low)=.1181 vs. M(High)=.1719; t (58)=-1.810, p<.05). That is, when the level of prior knowledge is high, the irrational cognitive tendency to analyze information according to existing beliefs and form beliefs becomes stronger, and thus the level of belief inconsistency in the probability model became higher. Third, the average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the level of belief inconsistency of the second measure from the first measure, in other words the level of decreased belief inconsistency due to repeated measurement was 0.0302(t (51)=1.847, p<.1) in high involvement product categories and 0.0270(t (60)=2.093, p<.05) in low involvement product categories, and both valu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fore we confirmed the existence of the Socratic effect. Fourth, when the level of involvement in a product category was high, the decrease in belief inconsistency due to repeated measurement did not differ according to the level of prior knowledge(M(Low)=.0280 vs. M(High)=.0318; t (50)=-.116, p>.1). Fifth, when the level of involvement in a product category was low, the decrease in belief inconsistency due to repeated measurement was higher when the prior knowledge level was low than w

      • KCI등재후보

        학습자의 사전지식, 인지부하, 몰입,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 규명

        강명희,김미영,김민정,박효진,구진아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09 교과교육학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학습과정 중 학습자 내면에서 진행되는 인지부하와 몰입이 사전지식의 학업성취도 예측에 어떠한 역할을 수행하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경기도에 위치한 Y여고 2학년 학생 164명을 대상으로 5주 동안 한국 근현대사 수업시간을 통해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서 인지부하는 인지적 노력과 문제해결 시 발생오류를 하위 변인으로, 몰입은 집중, 흥미, 호기심을 하위변인으로 개념화하여 자기보고식 검사지로 측정되었고, 사전지식과 성취도는 해당 교사 2인이 출제한 객관식 문제로 측정되었다. 연구 결과, 사전지식, 인지부하, 몰입, 학업성취도 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도출되었으며, 사전지식, 인지부하, 몰입 및 이의 하위 변인들이 성취도를 유의미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인지부하와 몰입이 사전지식과 학업성취도 사이의 관계를 매개하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인지부하와 몰입 및 각각의 하위변인들에서 모두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발생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수업 설계와 운영에서 학습자의 사전지식 수준에 따른 차별화된 설계 전략의 필요성을 다시금 확인시켜 주며, 수업 운영 시에 인지부하를 감소시키고 몰입을 증진시킬 수 있는 수업 운영전략이 도입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prior knowledge, cognitive load, flow, and achievement. Furthermore, an attempt was made to determine whether these variables could give meaningful influences to learning achievement.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64 from Y Girls' High School, and the study lasted five weeks beginning October to November in 2007. Prior knowledge, learning achievement, cognitive load and flow were measured by a set of questionnaires. The current study has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results of a correlation analysis has proven that a correlation exists among all the variables, particularly with the problem solving time and learning achievement, which showed a high correlation. Prior knowledge and learning achievement, and cognitive effort and achievement also show a relatively high correlation. Second, cognitive effort and the problem solving time, which are sub-variables of the cognitive load, and attention, interest, and curiosity, which are sub-variables of flow, are predicted by prior knowledge.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prior knowledge is a variable predicting cognitive load and flow. Third, it has been proven that prior knowledge, cognitive load, and flow predict achievement, particularly, prior knowledge, which is the highest predicting variable of achievement. Fourth,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cognitive load and flow act as mediating variables between prior knowledge and achievement,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As a result, it has been shown that all the variables have mediating effects. Therefore, further research should focus on teaching strategies that can reduce the students' cognitive load and improving their prior knowledge. In addition, after stud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low and cognitive load, an explicit solution should be suggested to raise the level of study achievement.

      • KCI등재

        뮤지컬 관람객의 사전지식이 관람만족 및 구전의향에 미치는 영향 - 트랜스포테이션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원지영(Won, Jie Young),정창모(Jung, Chang Mo) 한국예술경영학회 2020 예술경영연구 Vol.0 No.54

        디지털기술의 발달로 소비자들은 어느 때보다 상품에 관한 해박한 사전지식을 보유하게 되었다. 뮤지컬과 같은 서비스재는 무형성, 비분리성, 이질성 등으로 인해 사전지식 추구 경향이 더욱 강하게 나타난다. 공연예술 분야의 선행연구들은 관람객의 사전지식이 관람만족과 구전의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밝혔으나 최근에는 사전지식이 많은 경우 오히려 상품평가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주장도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뮤지컬사전지식이 어떤 조건에서 관람만족과 구전의향을 높이는지 확인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서, 뮤지컬사전지식이 관람만족을 매개로 구전의향을 높이는 매개모형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이 매개경로를 조절하는 변수로서 트랜스포테이션을 도입하여 트랜스포테이션 수준에 따라 관람만족과 구전의향이 변화하는지를 검증하였다. 스토리로의 몰입과 동일시를 설명하는 개념인 트랜스포테이션을 도입한 이유는 뮤지컬 구성요소로서 스토리의 중요성이 크다는 선행연구결과를 반영한 것이다. 조절된 매개분석 결과, 뮤지컬사전지식이 관람만족을 통해 구전의향에 영향을 주는 매개경로는 트랜스포테이션에 의해 조절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사전지식으로 무장한 관람객들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질 높은 뮤지컬스토리가 중요하다는 사실을 최초로 실증하였다는 점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has made consumers more knowledgeable about products than ever before. In this regard, experts have defined consumers in the digital age as knowledge seekers and pointed out that they are proficient in acquiring and sharing product knowledge prior to purchase. For service goods such as musicals, product prior knowledge executes strong effect due to such characteristics as intangibility, inseparability,and heterogeneity. Prior studies in the field of performing arts, including musicals, have revealed that the prior knowledge of the audience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the audience and WOM(word-of-mouth) intention. However, studies in the marketing field argue that consumers’ high prior knowledge may have a negative impact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product evaluation depending on conditions, as they are more likely to compare, review, and expect products more closely. Therefore, in this study, we tried to identify under what conditions the musical prior knowledge enhances audience satisfaction and WOM inten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a mediating effect model was established in which the musical prior knowledge enhances the WOM intention through the mediation of the audience satisfaction. Then, Transportation was introduced as a mediation variable and it was verified whether the level changed the audience satisfaction and WOM intention. The reason for the introduction of the transportation construct reflects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 that the story is important component of musical.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usical prior knowledg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WOM intention through the mediation of audience satisfac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transport was also significa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al prior knowledge and audience satisfaction. Lastly, through moderated-mediation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ransportation moderates the mediating effect that prior knowledge affects on the WOM intention through audience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we demonstrated that a musical story is fairly important to satisfy audiences with high prior knowledge. This study could contribute to the related filed in that it introduced the transportation construct for the first time, thereby broadening the understanding of the musical audiences in the era of smart consumers.

      • KCI등재

        사전지식과 뉴스 프레임이 공중의 태도와 소셜 미디어 의견 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사드 이슈를 중심으로-

        김미경,이은지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7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0 No.47

        This study focused on the effect of public attitude and social opinion participation of Thaad issue by the combination of prior knowledge(high/low) and news frame(positive /negative). This study set 2×2 factorial design.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ing. First, news frame is more leadingly influenced to issue relevant involvement, one factor of public attitude than prior knowledge. The news consumers of low-prior knowledge and positive news frame showed high issue-relevant involvement. In the other factor of public attitude, value relevant involvement, prior knowledge level and news frame affect interactively. The value relevant involvement is high to the news consumers who have high prior knowledge and read negative news frame. Politic relevant involvement is leadingly influenced by news frame. The news consumers who have high prior knowledge and read positive framing news is strongly involved politically. Secondly, the consistency of attitude is affected leadingly by news frame. The news consumers who have high prior knowledge and read positive framing news is expected to keep consistent attitude. Thirdly, in the social opinion participation behavior such as ‘like’, ‘post’ and ‘share’, only ‘post’ is leadingly influenced by prior knowledge and ‘like’ and ‘share’ is leadingly affected by news frame. 본 연구는 ‘사드’에 대한 지식의 고/저와 뉴스 프레임의 긍정/부정의 각 조합이 이슈에 대한 태도와 소셜 의견 참여 행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2×2 계승(factorial) 설계를 통해서 한 축은 메시지 프레임을 다른 축은 사전 지식의 정보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 이슈관여측면에서 사드에 대한 지식이 낮은 사람들은 뉴스 보도 논조에 의해 영향을 받아서 높은 이슈관여도를 보이고 있다. 연구결과 사전지식이 낮고 긍정적인 뉴스를 읽은 연구 참여자들의 이슈관여가 더욱 높게 나타났다. 가치관여에는 사전지식수준과 뉴스보도 논조가 상호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즉 지식이 높고 부정적인 뉴스를 본 사람의 가치관여도가 높았다. 마지막으로 정치관여는 사전지식 수준 보다는 뉴스 보도의 논조의 영향을 더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사전 지식수준이 높고 긍정적인 뉴스를 읽은 연구 참여자들이 더 높게 나타났다. 두 번째, 태도의 일관성에서는 뉴스 보도 논조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사전지식이 높고 긍정적인 뉴스를 접한 사람들이 태도를 일관적으로 유지할 것으로 기대되었다. 셋째, 소셜 의견 참여를 좋아요, 댓글달기, 공유하기로 나누어 살펴 본 결과 사전지식 수준에는 댓글달기가 영향을 받았으며, 좋아요와 공유하기는 뉴스 보도 논조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가설 생성 과정에서 의문 상황과 관련된 개념의 인지가 사전 지식의 인지에 미치는 효과

        이창협 ( Chang Hyup Lee ),이효녕 ( Hyo Nyong Lee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1 중등교육연구 Vol.59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의문 상황과 관련된 과학적 개념의 인지가 사전 지식의 인지에 미치는 효과와 ``개념 인지 단계``의 적용이 과학적 개념과 사전 지식의 인지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대상은 광역시 소재 중학생 68명이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학생들이 과학적 상황의 의문과 일상적 상황의 의문에서 사전 지식을 인지하는 능력이 같은지를 확인하고, 의문 상황과 관련된 과학 개념의 인지가 사전 지식의 인지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실험 집단은 ``개념 인지 단계``를 지도하고 통제 집단은 지도하지 않은 후, 일상적 상황의 의문으로 이루어진 두 번째 검사지를 사용하여 두 집단의 의문 상황에 대한 과학적 개념과 사전 지식을 인지하는 능력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첫 번째 단계의 연구 결과로 대부분의 의문에서 일상적 상황의 의문보다는 과학적 상황의 의문에서 사전 지식을 잘 인지하였고, 학생들이 과학 개념을 인지하는 경우가 과학 개념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보다 사전 지식을 더 잘 인지하였다. 두 번째 단계의 연구 결과로는 ``개념 인지 단계``를 지도한 실험 집단이 의문 상황에 대한 과학적 개념과 사전 지식을 더 잘 인지하였다. 이 연구는 학습자들이 선행 학습된 지식의 인지에 어려움을 겪을 때는 관련된 개념들을 먼저 인지하는 학습 습관을 가질 수 있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recognition of scientific concepts on the prior knowledge recognition and to analyze the effects of teaching the concept recognition steps on the recognition of a scientific concept and prior knowledge. The subjects consisted of 68 middle schoolers. The first investigation was designed to identify that the students` ability of recognizing prior knowledge in questions on everyday context is identical to in those on scientific context. and to explore how their recognition of a scientific concept in question situations influences the prior knowledge recognition. As a second step, the experimental group taught concept recognition steps and the control group not taught them. Afterwards, the differences in the two groups` ability to recognize the concept and prior knowledge in the question situations were confirmed by the second inspection composed of the questions on everyday context. The results of first investigation revealed that The pre-existing scientific knowledge is recognized correctly in the questions on scientific context than on everyday context in most of questions and the students who can recognize a scientific concept identify more scientific prior knowledge than those who cannot recognize it. The results of second investigation reveal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taught the concept recognition steps recognizes more scientific concept and more accurately recognizes prior knowledge on the question situation. This investigation suggests that teachers need to help learners develop their learning strategies that they learn relative concepts first when they are conflicted with their prior knowledge.

      • KCI등재

        아동의 "부력 현상"에 대한 지식과 추론

        김은영 ( Eun Young Kim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2 유아교육연구 Vol.32 No.6

        이 연구는 부력현상에 대한 아동의 지식과 추론이 연령과 과제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추론을 통해 아동의 사전지식이 사후지식으로 변화되는지 여부와, 사후지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서울과 경기도의 중류층 어린이집 세 곳과 초등학교 두 곳의 4, 6, 8세 아동 각 40명씩 총 12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해 ``무게과제``와 ``크기과제``를 수행하고 부력현상 사전지식, 추론과 사후지식을 살펴보았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에서 평균, 표준편차, 반복측정 변량분석, 쌍체t검증,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통계처리되었다. 연구결과 아동의 부력현상 사전지식 수준은 연령에 따라 다르지 않았으나, 크기과제보다 무게과제의 인지 수준이 더 높았다. 아동의 부력현상 추론과 사후지식 수준은 4세보다 6, 8세가 더 높았으며, 크기과제보다 무게과제의 수행 수준이 더 높았다. 부력현상 사전지식은 실험을 통한 추론 과정을 거치면서 4, 6, 8세 모두 지식의 변화가 일어났다. 부력현상 사후지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추론이었으며, 무게과제 추론보다 크기과제 추론의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s (1)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children`s knowledge and reasoning skills about buoyancy according to their ages and tasks assigned; (2) to ascertain whether the children`s prior knowledge transforms to post knowledge, that is to say, new knowledge, through reasoning skills; and (3) to discover what variables influence the children`s post knowledge. Subjects were 120 children divided into forty each from three groups of 4, 6 and 8 year-olds from three preschools and two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middle class residential areas of Seoul and Kyoung-Ki province. Each child`s prior knowledge of buoyancy, reasoning skills and post knowledge were observed and recorded. Their performance tasks involved ``weight`` and ``size``. Statistical methods used for data analysis were means, standard deviations, repeated measures ANOVA, paired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 is to be noted in the results that follow that the children`s prior knowledge of buoyancy did not differ according to the different age groups although subjects` prior knowledge level of the ``weight`` task was higher than the ``size`` task. Children from age groups 6 and 8 demonstrated better reasoning skills and post knowledge of buoyancy compared to the 4 year old age group; and the performance level on the ``weight`` task was higher than on the ``size`` task. Transformative changes in prior knowledge of buoyancy were observed among all the age groups as they engaged in the reasoning tasks of the experiments. In sum, for all the subjects, the variable responsible for post knowledge about buoyancy is reasoning skills; and the effect of ``size`` task reasoning was found to be stronger than ``weight`` task reasoning.

      • KCI등재

        ‘낙하현상’에 대한 아동의 지식 변화

        김은영,이순형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2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5 No.4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children's knowledge of and reasoning about the free-fall phenomenon according to their ages and tasks, and (2) to investigate whether the children's prior knowledge changes to post knowledge through reasoning. Forty from each of three age groups-4-, 6-, and 8-year-olds, for a (total of 120 subjects)were selected for the study. The subjects were chosen from three preschools and two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the middle class residential areas of Seoul and of Kyoung-Ki Province. Each child was to perform tasks dealing with weight and size. Under observation were each child's prior knowledge, reasoning and post knowledge of the free-fall phenomenon.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children's prior knowledge of the free-fall phenomenon according to the different age groups. However the prior knowledge level of the size task was higher than for the weight task. There was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ages and tasks. Second, 6-and 8-year old children showed higher levels of reasoning than did 4-year old children. However,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children's reasoning between the different tasks. Third, 6-and 8-year old children showed higher levels of the post knowledge than 4-year old children.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children's post knowledge according to different tasks. Fourt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rior and the post knowledge. Through measuring the reasonings in the two task experiments, changes in the prior knowledge of the free-fall phenomenon were observed among all three age groups. The difference between prior and post knowledge was higher in the weight than in the size task. 이 연구는 낙하현상에 대한 아동의 지식이 연령과 과제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밝히고, 추론을 통해 아동의 사전지식이 사후지식으로 변화되는지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서울과 경기도의 중류층 거주 지역 어린이집 3 곳과 초등학교 2 곳에 다니는 4, 6, 8세 아동 각 40명씩 총12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무게과제’와 ‘크기과제’를 수행하도록 하고 낙하현상에 대한 사전지식, 추론과 사후지식을 살펴보았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낙하현상에 대한 사전지식은 연령에 따라 차이가 없었으며, 크기과제의 수행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고, 연령과 과제의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낙하현상에 대한 아동의 추론은 4세보다 6, 8세의 수행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그러나 과제에 따른 추론 수행 수준의 차이는 없었다. 셋째, 낙하현상에 대한 아동의 사후지식은 4세보다 6, 8세의 수행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 그러나 과제에 따른 사후지식의 차이는 없었다. 넷째, 추론 후 낙하현상에 대한 아동의 사후지식은 4, 6, 8세 모두 사전지식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크기과제보다 무게과제에서 낙하현상 사전지식과 사후지식의 차이가 더 크게 나타났다. 이 연구는 4, 6, 8세 아동이 낙하현상에 대한 초보적 사전지식을 가지고 있음을 밝혔다. 그리고 실험 결과를 확인하고 해석하는 추론을 거치며 새로운 지식을 구성할 수 있음을 밝혔다.

      • KCI등재

        물체의 움직임 현상에 대한 사전지식과 추론이 아동의 사후지식 형성에 미치는 영향

        김은영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13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prior knowledge and reasoning about object movement phenomenon on children’s post knowledge formation. Forty 4-, 6- and 8- year-olds (a total of 120 subject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chosen from three preschools and two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middle-class residential areas of Seoul and Kyoung-Ki province. Each child was asked to perform the tasks of “weight” and “size”. The child's prior knowledge, reasoning, and post knowledge of 3 object movement phenomena(buoyancy, free-fall, sloping) were observed. The influential variables for post knowledge of the three phenomena were both reasoning and prior knowledge. For the buoyancy phenomenon, the effect of the size task reasoning was found to be stronger than that of the weight task reasoning. For the free-fall phenomenon, the effect of the weight task reasoning was found to be the strongest, followed by the size task reasoning and the size task prior knowledge. Whereas, for the sloping phenomenon, the effect of the size task reasoning was found to be the strongest, followed by the weight task reasoning, and the size task prior knowledge. Thus, this study revealed that reasoning and prior knowledge about phenomena related to object movement affected the formation of post knowledge. 이 연구는 물체의 움직임 현상에 대한 아동의 사전지식과 추론이 사후지식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과 경기도의 중류층 거주지역 어린이집 3곳과 초등학교 2곳에 다니는 4, 6, 8세 아동 각 40명씩 총 12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물체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부침(浮沈)현상, 낙하현상, 경사면이동현상에서 두 물체의 크기는 같고 무게가 다른 ‘무게과제’와 두 물체의 무게는 같고 크기가 다른 ‘크기과제’를 이용하여 아동의 사전지식, 추론 및 사후지식을 측정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물체의 움직임 현상에 대한 아동의 사후지식 형성은 추론과 사전지식의 영향을 받았다. 부침현상 사후지식은 크기과제 추론과 무게과제 추론의 순으로 영향을 받았다. 낙하현상 사후지식은 무게과제 추론, 크기과제 추론, 크기과제 사전지식의 순으로 영향을 받았다. 경사면이동현상 사후지식은 크기과제 추론, 무게과제 추론, 크기과제 사전지식의 순으로 영향을 받았다. 이 연구는 물체의 움직임 현상에 대한 아동의 사전지식과 추론이 사후지식 형성에 영향을 미침을 밝혔다.

      • KCI등재

        제품 사전지식과 속성 정렬가능성이 브랜드 확장 비교광고의 제품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남아영(Nam, Ahyoung),김미정(Kim, Mi Jeong) 한국상품학회 2020 商品學硏究 Vol.38 No.1

        This research examined how to present effective attributes according to consumer s prior knowledge when conducting brand extension comparative advertising. This study hypothesizes that for the consumers with high prior knowledge of product, alignable attribute would have more positive effects than nonalignable attribute on the consumers attitude toward product and purchase intention of brand extension comparative advertising. On other hand, for the consumers with low prior knowledge of product, there is no difference in attribute alignability. Suggested and tested in an experimental situation with 2x2(Prior knowledge: high prior knowledge vs low prior knowledge X Alignability: alignable attributes vs. nonalignable attributes) to 182 undergraduate students. 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 Consumers with high prior knowledge of products showed higher attitude toward product and purchase intention for brand extension comparative advertising that presented alignable attributes than nonalignable attribute.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attribute alignability. Finally, the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findings. 본 연구는 브랜드 확장 신제품의 비교광고 시행 시 소비자의 사전지식에 따른 효과적인 속성 제시 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사전지식이 높은 소비자는 정렬가능한 속성을 제시하는 것이 정렬불가능한 속성을 제시하는 것이 더 호의적인 제품태도와 더 높은 구매의도를 보일 것이나 사전지식이 낮은 소비자는 속성 정렬가능성에 따른 제품태도와 구매의도가 차이가 없을 것임을 실증적으로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2(제품 사전지식: 높은 제품사전지식 vs 낮은 제품사전지식) X 2(정렬가능성: 정렬가능한 속성제시 vs 정렬불가능한 속성제시) 요인설계방안을 적용하여 실험을 실시하였고, 이에 따른 제품태도와 구매의도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제품에 대한 사전지식이 높은 소비자는 정렬불가능한 속성을 제시한 브랜드 확장 신제품의 비교광고보다 정렬가능한 속성을 제시한 비교광고에서 높은 제품태도와 구매의도를 보였다. 그러나 사전지식이 낮은 소비자는 브랜드 확장 신제품의 비교광고의 속성 정렬가능성에 따른 제품태도와 구매의도가 차이가 없었다. 이후 실증적으로 나타난 결과들을 바탕으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유아의 빛과 그림자 현상에 대한 지식의 변화

        김헤라,이순형 한국유아교육학회 2009 유아교육연구 Vol.2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hanges in young children's knowledge about light and shadow, specifically the relation of object size to shadow's size and the relation of base length to shadow's size. The subjects, 169 young children ranging from 4 to 6 years of age, were presented with related tasks.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mean, χ2, t-test and logistic regression using the SPSS Win 13.0 program.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majority of subjects initially recognized the positive relation between object size and the shadow size, while only approximately 30% of the subjects recognized the negative relation between base length and shadow size.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ior knowledge according to age. Thus, children have similar concepts about light and shadow regardless of age and they easily understand the concept of perceptual predominance or familiar phenomena. 2) Though we provided the evidence to subjects by means of actual experimentation, only the 6-year-old children showed an increase in post-test scores. This means that children's prior knowledge is not easily changed, but young children can alter their pre-existent knowledge as they grow when evidence is presented to them. 3) Subjects' age, result interpretation('the shorter the base is, the larger the shadow is') and predictions ('the shorter the base is, the larger the shadow is' and 'the larger the object is, the larger the shadow is') influence their posterior knowledge. The effect of subjects' result interpretations('the shorter the base is, the larger the shadow is') is greatest on posterior knowledge. In conclusion, the process of result interpretations and prediction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knowledge. These findings contribute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young children's learning processes, specifically, regarding knowledge of light and shadow, and can be used in preschool science education programs and curriculums. 이 연구의 목적은 빛과 그림자 현상에서 ‘물체의 크기와 그림자의 크기’, ‘물체와 광원 간 거리와 그림자의 크기’의 관계에 대한 유아의 사전지식을 조사하고, 실험을 통한 예측, 증거제시, 결과해석의 과정을 반복하면서 사전지식이 어떻게 변화되었는가를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만 4~6세 유아 169명으로 대상으로 일대일 실험 면접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평균, χ2 분석, t-검정, 순위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주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 유아의 대부분은 물체의 크기와 그림자의 크기가 비례관계라는 것을 알고 있었고, 조사대상 유아의 약 30%는 물체와 광원 간 거리와 그림자의 크기가 반비례관계라는 것을 알고 있었으며 이는 연령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만 4, 5, 6세 유아의 빛과 그림자 현상에 대한 이해는 연령에 관계없이 유사한 것으로 지각적 특성이 우세하고 유아에게 친숙한 ‘물체의 크기와 그림자의 크기’ 관계에 대한 이해도는 높은 반면, 그렇지 못한 ‘물체와 광원 간 거리와 그림자의 크기’ 관계에 대한 이해도는 높지 않게 나타났다. 둘째, 실험을 통해 증거를 제시한 후 유아의 사후지식은 사전지식과 크게 달라지지 않았으나 만 6세 유아의 ‘물체와 광원 간 거리와 그림자 크기’에 대한 사후지식은 사전지식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사전지식은 쉽게 변화되기 어렵지만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유아는 자신의 지식과 제시되는 증거를 조정할 수 있게 되었다. 셋째, 연령뿐 아니라 예측과 결과해석이 유아의 사후지식의 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었다. 특히 ‘물체와 광원 간 거리가 짧을수록 그림자가 크다’는 결과해석과 예측이 사후지식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유아의 사전지식과 일치하지 않는 증거가 지식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빛과 그림자 현상에 대한 유아의 지식과 유아의 사고가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이해하는 데 기여하며, 이를 토대로 과학현상에 대한 보다 발달적이고 교육적인 유아과학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