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당소송에 대한 영미법상의 대응방안 및 도입가능성에 관한 연구

        이계정 사법발전재단 2017 사법 Vol.1 No.42

        This paper makes comprehensive research with regard to the Vexatious Litigation Acts in the Anglo-American legal system as an effective countermeasure against vexatious litigants, and considers the possibility of introducing similar statutes in Korea. It appears feasible to formulate a countermeasure unique to the Korean system by synthesizing all the advantages of various countermeasures against vexatious litigations culled from the Anglo-American legal system. The following is a summary. First, the Vexatious Action Act was enacted in England in 1896 as the first statute to cope with litigants who institute a litigation habitually, persistently without any reasonable ground. Civil proceedings order is stipulated in the Act, which prohibits any institution of litigation by vexatious litigants without court’s permission. In addition, by amending the Civil Procedure Rule, England adopted three kinds of civil restraint order, i.e. limited civil restraint order, extended civil restraint order, and general civil restraint order in 2004. This new rule covers diverse types of vexatious litigations and allows for flexibility in responding to different degrees of vexatiousness of litigants. Second, in the U.S, the 1963 enactment of the Vexatious Litigant Statute in the state of California was consecutively followed by corresponding state laws in Texas, Ohio, Hawaii, and Florida. The Statute provides for a prefiling order prohibiting a vexatious litigant from filing any litigation in propria persona without obtaining a court order permitting the filing, as well as an order requiring a vexatious litigant to furnish security, thereby allowing for an aggressive countermeasure against vexatious litigations. In addition, the Federal Rules of Civil Procedure Rule 11 lays out the grounds against vexatious litigations. Third, in Australia, the state of Victoria enacted the Vexatious Proceedings Act in 2014, which subdivides the litigation restraint order into limited litigation restraint order, extended litigation restraint order, and general litigation restraint order, and institutes new orders, such as acting in concert order and appeal restriction order. In conclusion, based upon the comparative research on countermeasures against vexatious litigants and their positive effects, this article proposes that Korea positively consider introducing a version of its own. It would be reasonable for the Korean version of the statute to: (a) regulate vexatious litigations on a gradated system, ranging from limited litigation restraint order, to extended litigation restraint order, and to general litigation restraint order, as is the case with England and Australia; (b) define vexatious litigants by adopting numeric approach; (c) confer the right of motion for litigation restraint order upon the defendant of a vexatious lawsuit; and (d) introduce the order requiring a vexatious litigant to furnish security, as in the case of the U.S. 본 논문에서는 영미법상의 부당소송에 대한 직접적인 대응수단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검토하고 그 도입가능성에 대하여 논하였다. 위 논의를 통해 영미의 부당소송에 대한 다양한 대응방안 중 강점을 가지는 부분을 모아서 우리나라 특유의 부당소송에 대한 대응방안을 마련할 수 있다는 점이 밝혔는바, 그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국은 부당소송을 통제하기 위하여 1896년 부당소송금지법의 제정을 통해 민사절차금지명령을 도입하였고, 민사소송법상 제한적 민사소송금지명령, 확장된 민사소송금지명령, 일반 민사소송금지명령을 규정함으로써 부당소송에 대하여 다채롭고 유연한 대응을 꾀하고 있다. 둘째, 미국은 캘리포니아주가 1963년 부당소송인규제법을 제정한 것에서 촉발되어 텍사스주, 오하이오주, 하와이주, 플로리다주가 순차적으로 주법에 해당하는 부당소송인규제법을 제정하였으며, 오하이오주를 제외하고는 사전소송금지명령, 담보제공명령을 통하여 부당소송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또한 미국은 연방 민사소송법 제11조를 통해 부당소송에 대응하고 있다. 셋째, 호주 빅토리아주는 2014년 부당소송금지법을 제정하여 부당소송을 통제하고 있는데, 소송금지명령을 세분화하고, 협력금지명령, 불복금지명령 등 새로운 대응방안을 모색하였고, 부당소송에 대처하기 위한 별도의 법을 제정하였다는 점에서 특색이 있다. 넷째, 우리나라가 부당소송에 대하여 적절히 대응하기 위해서는 영미법계의 대응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영국과 호주의 단계적 대응방안과 같이 부당소송에 대하여 제한적 소송금지명령, 확장된 소송금지명령, 일반 소송금지명령으로 단계적으로 나누어 규율하고, 부당소송인의 정의도 수적 접근방식 위주로 하고, 소송금지명령의 신청권을 부당소송의 상대방에게도 부여하는 방안이 타당하다. 아울러 미국의 담보제공명령을 별도로 도입하여 부당소송을 규제하는 방안도 적극적으로 모색하여야 한다.

      • KCI등재

        한국가사소송법에서 본 이혼 시 미성년자녀의 보호

        한숙희 한국민사소송법학회 2010 민사소송 Vol.14 No.2

        CIVIL ACT, including the recent amendments to KOREA FAMILY LITIGATION ACT to protect minor children upon divorce, new systems were introduced in. To protect children from second marriage, Changing of a child’s previous surname and its origin was established. Standards exercising parental authority was codified and Divorce procedures by agreement was improved. T0 make Child support decree payed easily and quickly from the child’s immediate family, Child support order, Property statement and Property inquiry in the family litigation proceedings, Order for direct payment of child support, Order for offer of security, Lump sum payment and so on were established. We are expecting to not only have a direct impact on national life, but also bring many changes to future procedures for litigation, non-litigation, divorce by agreement practice. 최근 민법과 가사소송법 등 가족법의 개정으로 이혼 시 미성년자녀를 보호하기 위한 새로운 제도들이 도입되었다 . 재혼가정 자녀의 보호 등을 위하여 성과본의 변경제도를 신설하고, 친권행사 기준을 명문화 하였으며, 협의이혼절차를개선하였다. 비양육친으로부터 미성년자녀의 양육비를 쉽고 빠르게 받을 수 있도록 양육비부담조서 가사소송 , 절차 내의 재산명시, 재산조회, 양육비 직접지급명령, 담보제공명령, 일시금지급명령 등이 신설되었다. 앞으로 국민 생활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향후 가사소송, 가사비송, 협의이혼 실무에 많은변화를 가져올 것으로 예상한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國家의 宗敎的·倫理的 中立性과 倫理科目 編成 要求權

        계인국 한국행정판례연구회 2015 행정판례연구 Vol.20 No.2

        This article is devoted to give an overview of a case of the German Federal Administrative Court (Bundesverwaltungsgericht) Urteil v. 6. April 2014 BVerwG 6 C 11. 13 and thus the neutrality of the state is explained in detail. The ethical, religious neutrality is often presented with the terms "independence, impartiality, diversity and justice" and refers to the principle of democracy. At first, this study described the concept of neutrality and its manner of use in the context of history and the “thesis of the economic policy of neutrality (These von der wirtschaftspolitischen Neutralität)”. Thereafter the jurisprudence of the German Federal Administrative Court and the German Federal constitutional Court (Bundesverfassungsgericht) on the religious neutrality is analyzed. Here we find the development of neutrality commandment, from the strict principle of separation to neutral cooperation, "precautionary" or "promoting" neutrality. The state should not get rid of his culturally and historically rooted value. At the same time, the state must respect the limit of intervention. 본 연구는 2014년 독일 연방행정법원 판례 분석으로 Urteil v. 6. April 2014 BVerwG 6 C 11. 13에서 설시된 국가의 종교적·윤리적 중립성과 윤리과목 편성 요구권을 중심으로 하여 국가의 중립성에 대한 논의를 개진하였다. 독립성, 다양성, 비당파성, 공정성 등의 개념을 통해 설명되던 중립성은 헌법상 민주주의 원리와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며 여러 헌법 규정에서도 사용되었으나 통일적 법원칙으로 인정될 것인지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먼저 중립성 개념의 기원과 사용례, 특히 경제정책의 중립성 테제를 통해 중립성 개념의 이해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는 특히 종교의 중립성에 대한 독일 연방행정법원과 연방헌법재판소의 판례를 통해 중립성 개념이 철저한 분리에서 대등원칙, 비동일성원칙 및 주관적 중립성 명령에 입각한 중립적 협력으로 변화하고 더 나아가 사전배려적 중립성, 진흥적 중립성으로 발전하였음을 살펴보았다. 국가의 중립성은 아무런 신념이나 가치판단을 하지 않는 의미가 아니라 오히려 문화적, 역사적 확신과 견해를 유지한다. 동시에 중립성 명령은 국가의 무분별한 개입에 대한 한계를 설정한다.

      • KCI등재후보

        미국연방대법원의 사건이송명령에 관한 연구

        김형남 성균관대학교 법학연구원 2005 성균관법학 Vol.17 No.3

        In General the Supreme Court's power to grant or deny certiorari, which means an order to a lower court to send up the records in a case, is fully discretionary. But the Court's choice of cases is not random. This leads one to question whether, as is sometimes claimed, the Court is a passive body waiting until somebody brings a ‘case or controversy’ for decision. A discretionary jurisdiction court like the Supreme Court is active. The ability to pick and choose cases makes it like fisherman of cases. The Court can't place fish in the stream: that is, it can't create a lawsuit where none exists, but it may stimulate others to stock the stream when the Court's pattern of granting review or the justices' statements prompt litigation to resolve previously undecided or currently unsettled issues. By custom, the Supreme Court's certiorari is granted by a vote of at least four justices. This is called the Rule of Four that had been also applicable to decisions to note probable jurisdiction in an appeal. After all the granting of certiorari is discretionary but not random. In the sense of protecting wide suing for constitutional matter, the Supreme Court's certiorari is so well accepted. So I would like to suggest the Korean Constitutional Court should adopt not certiorari's style but it's value.

      • KCI우수등재

        독일연방헌법재판소의 헌법소원 수리절차

        鄭光賢 ( Chung Kwang Hyun ) 법조협회 2022 法曹 Vol.71 No.2

        헌법소원 수리절차는 재판소원 사건의 폭주에 대처하기 위해 헌법재판소 접근에 관한 독특한 종류의 절차로서 도입되었다. 그에 따르면, 헌법소원은 독일연방헌법재판소법 제93a조 제1항에 의해 재판을 위해 수리될 것이 요구된다. 제93a조 제2항에 따르면, 헌법소원은 원칙적인 헌법적 의미가 있거나 제90조 제1항에 열거된 권리의 관철에 적절한 한에서는 수리되어야 한다. 수리절차의 도입연혁을 보면, 이는 처음부터 미국 연방법원의 사건이송명령(certiorari) 절차로부터 크게 영감을 받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사건이송명령 절차를 완전히 모방하는 것은 입법자에 의해 항상 반복적으로 거부되어 왔다. 양자 사이의 가장 큰 차이점 중 하나는, 미국의 경우 어떠한 사건에서 사건이송명령 신청을 받아들일지 여부를 미국 연방대법원 자신이 결정할 수 있는 데 반하여, 독일의 경우는 헌법소원의 불수리가 연방헌법재판소의 자유재량에 맡겨져 있지 않다는 데 있다. 또 다른 차이점은, 미국 연방대법원은 받아들일 사건을 재판관 전원의 회의에서 고르는 데 반하여, 독일에서는 연방헌법재판소 전원재판부 또는 주로 지정재판부에서 헌법소원의 수리에 관한 재판을 하도록 되어 있다는 데 있다. 헌법소원 수리절차는 연방헌법재판소의 업무 경감에 크게 기여하고 있기는 하지만, 문헌에서는 이 절차에 대해 여러 비판적인 견해가 발견된다. ‘원칙적인 헌법적 의미’나 ‘적절함’ 등과 같은 수리 요건의 불명확성으로 인해 연방헌법재판소는 비교적 광범위한 판단재량을 부여받게 되는데, 그런 견지에서 연방헌법재판소로의 접근가능성은 상당히 예측할 수 없게 되었다는 점이 문제로 들어지고 있다. 특히 청구가 이유 있는 헌법소원임에도 수리절차에서 불수리될 수 있다는 것은 개인의 권리보호의 관점에서는 용인되기 어려운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사견에 의하면, 헌법소원 수리절차는 그 밖에도 또 하나의 추가적인 심급이 아닌 완전히 독자적인 절차로서의 헌법소원의 특성하고도 모순된다. 적법하고 이유 있는 헌법소원마저도 수리가 거부될 수 있다고 할 때, 이는 ‘본안판단요건이 완전히 구비되면 법원의 본안판단이 행해져야 한다’는 원칙을 심대하게 훼손한다. 그러므로 불수리결정 대신에 단지 부적법 내지 이유 없음을 이유로 한 각하나 기각결정만 할 수 있는 사전심사절차를 도입하는 것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Um der Flut von Urteilsverfassungsbeschwerde zu begegnen, wurde das Annahmeverfahren als ‘eine Art Gerichts-Zugangsverfahren sui generis’ eingeführt. Demnach bedarf die Verfassungsbeschwerde aufgrund § 93a Abs. 1 BVerfGG der Annahme zur Entscheidung. Gemäß §93a Abs.2 BVerfGG ist die Verfassungsbeschwerde zur Entscheidung anzunehmen, soweit ihr grundsätzliche verfassungsrechtliche Bedeutung zukommt, oder wenn es zur Durchsetzung der in § 90 Abs. 1 genannten Rechte angezeigt ist. Die Entstehungsgeschichte des Annahmeverfahrens zeigt, dass dieses von vornherein von dem certiorari-Verfahren des US Supreme Court inspiriert worden ist. Allerdings wurde eine vollständige Nachahmung des certiorari-Verfahrens immer wieder vom Gesetzgeber verweigert. Ein großer Unterschied besteht darin, dass beim deutschen Annahmeverfahren die Nichtannahme der Verfassungsbeschwerde nicht dem freien Ermessen des BVerfG überlassen ist, während beim amerikanischen Pendant der Supreme Court selbst bestimmen kann, in welchem Fall das Gericht einen Antrag annimmt oder nicht. Ein weiterer Unterschied besteht darin, dass der US Supreme Court anzunehmende Fälle in einer Plenarsitzung auswählt, während in Deutschland die Entscheidung über die Annahme der Verfassungsbeschwerde entweder den Senaten des BVerfG oder zum größeren Teil den sechs Kammern obliegt. Zwar dient das Annahmeverfahren der Entlastung des BVerfG in großem Maße. Allerdings finden sich im Schriftum verschiedene kritische Auffassungen zu diesem Verfarhen. Aus der Unbestimmtheit der Annahme-Voraussetzungen wie etwa “grundsätzlicher verfassungsrechtlicher Bedeutung”, “Angezeigtseins” usw. folgt, dass ein relativ großer Entscheidungsspielraum dem BVerfG eingeräumt ist. In dieser Hinsicht wird beanstandet, dass die Möglichkeit des Zugangs zum BVerfG ziemlich unkalkulierbar ist. Unter Individualschutzgesichtspunkten wird es auch für kaum erträglich gehalten, dass vor allem eine begründete Verfassungsbeschwerde im Annahmeverfahren scheitern könnte. Meines Erachtens widerspricht das Annahmeverfahren außerdem dem Charakteriskum der Verfassunsbeschwerde als eines ganz selbständigen Verfahrens, nicht aber eines zusätzlichen Rechtsmittels. Es höhlt nämlich das Prinzip, dass bei der Erfüllung aller Sachentscheidungsvoraussetzungen eine gerichtliche Sachentscheidung ergehen muss, in starkem Maße aus, wenn die Annahme einer zulässigen und begründeten Verfassungsbeschwerde selbst abgelehnt werden kann. Daher ist die Einführung eines Vorprüfungsverfahrens in Erwägung zu ziehen, in dem statt einer Nichtannahmeentscheidung lediglich eine Abweisungsentscheidung, sei es als unzulässig oder als offensichtlich unbegründetet, zu treffen ist.

      • KCI등재

        落胎反對表現의 規制에 관한 憲法的 考察

        최희경(Choi Hee-Kyung) 한국비교공법학회 2009 공법학연구 Vol.10 No.4

        미국의 경우 여성의 낙태에 대한 결정권이 헌법상 권리로 인정되고 있음에도 낙태클리닉 주변이나 낙태시술의료진의 주거 등에서 낙태반대자들에 의한 시위나 항의가 지속되고 있으며, 물리적 충돌도 행해지고 있다. 따라서 여성의 프라이버시와 진료시설에 대한 접근 및 의료진의 주거의 프라이버시를 보장하기 위해서 일정한 경우 낙태반대표현을 규제하기 위해서 법원은 금지명령을 발하거나 의회는 관련 입법을 제정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낙태시술의사의 주거 근처 및 낙태클리닉 주변에서의 낙태반대표현에 대한 규제문제를 헌법상 표현의 자유와 프라이버시 권리 등을 중심으로 고찰해보고자 한다. 첫째, 낙태시술의사의 거주지 근처에서의 피켓시위를 규제하기 위하여 특정인의 주거 앞이나 근처에서의 피켓시위를 일체 금지하는 것이 헌법상 표현의 자유를 침해하는 지여부를 미연방대법원의 판례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또한 주거의 프라이버시에 대한 헌법적 보호의 의미도 검토해 본다. 둘째, 낙태클리닉 주변에서의 낙태반대표현을 규제하는 것이 헌법상 허용될 수 있는지의 문제를 법원의 금지명령에 의한 경우와 입법에 의한 경우로 나누어서 미연방대법원의 주요판례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또한 그러한 규제가 표현의 자유에 대한 사전제약에 해당하는지, 각 규제의 위헌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적절한 사법심사기준은 무엇인지를 검토하며, 구체적으로 고정된 완충지대(fixed buffer zones)나 유동적 완충지대(floating buffer zones)의 합헌성여부를 판단해 본다. 이를 통해 여성의 헌법상의 권리와 표현의 자유 양자를 고려한 구체적인 낙태반대표현에 대한 규제의 적정한 허용범위를 살펴본다. This thesis will specifically look into problem of picketing around individuals' residence and anti-abortion protests in the vicinity of abortion clinics from the viewpoint of constitutional freedom of expression and privacy rights. First, this thesis will examine precedent of the U.S. Supreme Court whether or not it violates constitutional freedom of expression to fully prohibit picketing in front of or around a certain individual's residence. In addition, it will review the meaning of constitutional protection of residential privacy. Second, this thesis will study on the constitutionality of regulations against anti-abortion protests in the vicinity of abortion clinics and analyze major cases of the U.S. Supreme Court regarding to fixed buffer zone and floating buffer zone by court -imposed injunction and by legislative restrictions. In conclusion, expression of protesting to abortion is one of important fundamental rights under the Constitution, however, a certain regulation can be made if excessive violation of individual's residential privacy or if one directly prevents a woman from entering into a abortion clinic or forcibly gives her communications which she does not want.

      • KCI등재

        한국 기업회생제도의 긴급진단과 처방

        박승두 한국경영법률학회 2019 經營法律 Vol.30 No.1

        Albeit the 58 years history of Corporate Rehabilitation System in Korea, we are still confronted with the numerous challenges. From this perspective, this study aims to diagnose, analyze, and then provide some implications to shape the system and, in turn, contribute to the national economy. Overall, our system has issues in following parts. First, institutional complexity. Typically, separation of applications for bankruptcy procedure and Corporate Rehabilitation shows this aspect. Also, the process for securing the debtors’ property is criticized for the same ground. Second, organizational challenges have emerged at the same time. For instance, the court lacks its expertise because judges should circulate their workplace. Add to it, DIP(debtor in possession) system, which appoints the existing CEO as a trustee tends to cause moral hazards. Besides, uniformly appointed inspectors, who should be appointed to all cases under the current rule, and creditors who are not guaranteed to participate in the process seem to lead the significant unproductivity and unfairness. These issues cause critical difficulties in raising the new fund or proceeding M&A. Third, the voting system holds an issue. Such as Prior Submission of Rehabilitation Proposal does not admit the vote of Rehabilitation Proposal before the process has begun, and the conditions of voting compare to other OECD countries. Moreover, the system rules that the value of settlement evidently overtakes when the business is continued, it is possible to shutdown rehabilitation procedure, however, it appears irrational rule which does not reflect the reality. Furthermore, international cases are far less than the international standard. In order to settle the aforementioned issues, it is required to adopt the American-type Automatic Stay System for securing debtor’s property at a time that application starts. Second, rotation of workplace of judges has to be downsized in case of Bankruptcy court for building capacity in Corporate Rehabilitation System. Including the reform of DIP system, inspectors’ appointment system should take account of productivity. Moreover, debtors must hold proper right to engage in the process as granting to appoint manager, CRO, and M&A process. At last but not least, the international case seems to be ameliorated in a ground of The United Nations Commission on International Trade Law(UNCITRAL). 우리나라에서 기업회생제도가 시행된 지도 약58주년이 되었지만, 아직도 해결해야 할 과제가 산적해 있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 기업회생제도를 진단하여 그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 해결방안을 제시함으로써, 기업구조정의 효율성 제고와 경제위기 상황의 극복에 기여하고자 한다. 먼저 우리나라 기업회생제도를 진단하여 보면, 첫째 기업회생절차의 신청 및 채무자의 재산하는 제도가 매우 번잡하며 비효율적이다. 둘째, 기업회생절차의 진행과 관련된 기관들을 보면, 먼저 법원은 전문성이 부족하고 기존 경영주를 관리인으로 선임하는 DIP제도(debtorinpossession)는 도덕적 해이를 조장하고 있다. 그리고 모든 회생사건에 일률적으로 조사위원을 선임하는 제도는 시간과 경제적으로 낭비를 초래하고 공정성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채권자에게는 참여기회가 제대로 보장되지 못하고 있으며, 그 결과 신규자금의 조달이나 M&A의 진행이 비효율적이다. 셋째, 회생계획안 의결제도가 비효율적이다. 회생계획안 사전제출제도도 가장 핵심적인 사항인 회생절차 신청전에 회생계획안을 의결하는 제도를 인정하지 않고 있으며, 회생계획안의 의결요건도 선진각국에 비하여 매우 엄격하게 규정하고 있다. 그리고 채무자의 사업을 청산할 때의 가치가 채무자의 사업을 계속할 때의 가치보다 크다는 것이 명백하게 밝혀진 때에는 회생절차를 폐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데, 이는 현실을 무시한 비합리적인 규정이다. 또한 국제적 회생사건에 대한 처리가 국제기준에 비하여 미흡하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는, 첫째 미국식 자동중지제도를 도입하여 신청과 동시에 자동적으로 채무자의 재산을 보전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둘째, 법원의 전문성 강화를 위하여 판사의 순환근무제를 지양하고, DIP제도도 개선하여야 한다. 그리고 조사위원도 모든 사건에 일률적으로 선임하지 않고 필요한 경우에 한하여 선임하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채권자에게 관리인 및 기업구조조정임원(CRO)의 선임, M&A의 진행 등에서 결정권을 부여하여야 한다. 셋째, 회생계획안 결의제도도 선진국의 수준으로 완화하여야 한다. 그리고 국제적 회생사건에 대한 처리도 UN의 상거래위원회(UNCITRAL)모델법 정신에 맞게 개선하여야 한다.

      • UNCITRAL 모델중재법의 개정

        강병근(Kang Pyoung-Keun) 한림대학교 법학연구소 2006 한림법학 FORUM Vol.17 No.-

        At its thirty-ninth session in July 2006, the UNCITRAL adopted its Working Group II's suggestions on the revised provisions of articles 7, 17, 35(2) of the Model Law and on the introduction of a new provision on interpretation of the Model Law as article 2 A. The Working Group II has been considering on how to update domestic arbitration laws on the question of the writing requirement for the arbitration agreement and interim measures of protection since its thirty-second session in March 2000. As for the issue of writing requirement, the Working Group II decided to present to the Commission two options at its forty-forth session in January 2006. The first option describes detailed provisions on the writing requirements. With these revised provisions, arbitration agreements made orally or exchanged through data messages could satisfy the writing requirement. The second option deletes the writing requirement altogether. The Commission has also adopted a suggestion made by its Working Group II that “a modified understanding of the writing requirement be reflected in article 35(2).” The revised article 35(2) provides that only the original award or a certified copy thereof be supplied for the enforcement of an award. As for the issue of interim measures of protection, the Working Group II agreed to create a new chapter, numbered chapter IV bis of the Model Law, for the provisions of interim measures and preliminary orders. The concept of preliminary order is devised in reflection of the strong objection to the idea of ex parte interim measures. The Commission decided to accept the suggested provisions to be inserted into the Model Law as a new chapter IV A, for theenforcement of interim measures by an arbitral tribunal to be made through a competent court, for court-ordered interim measures in support of an arbitration, and for the introduction of the regime of preliminary order into the new chapter. Under the new regime, interim measures could be recognised or enforced by a competent court, but, the preliminary order shall not be subject to enforcement by a court.

      • KCI등재

        중재법의 개정방향 -국제상사중재의 측면을 중심으로-

        石光現 ( Kwang Hyun Suk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서울대학교 法學 Vol.53 No.3

        한국의 현행 중재법은 UN국제거래법위원회(UNCITRAL)가 1985년 채택한 "국제 상사중재에 관한 모델법"(Model Law on International Commercial Arbitration) (이하"모델법"이라 한다)을 전면 수용한 것이다. 그 결과 우리나라도 국제적으로 검증된 보편성이 있는 중재법을 가지게 되었다. 그런데 주지하는 바와 같이 UN국제거래법 위원회는 2006년 모델법을 개정하였다. 개정 모델법의 중요한 두 가지 착안점은 첫째, 중재합의의 방식에 관한 것이고, 둘째, 중재판정부의 임시적 처분과 사전명령에 관한 것이다. 중재합의에 관한 모델법의 문언은 1958년 뉴욕협약 제2조 제2항을 기초로 한 것이다. 제7조의 개정은 국제거래에서 진화하는 실무와 기술적 발전을 반영하기 위한것이다. 임시적 처분에 관하여는 개정 모델법은 별도의 장(제IV장A)을 신설하였다. 임시적 처분에 관한 제17조의 개정은 임시적 처분이 국제상사중재의 실무에서 점차널리 이용되고 있다는 사실을 반영하기 필요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개정 모델법은 또한 임시적 처분의 집행 체제를 포함하고 있는데 이는 임시적 처분의 집행가능성이 자주 중재의 실효성에 의해 좌우됨을 고려한 것이다. 중재법 제35조 제2항에 규정된 중재판정의 승인 및 집행판결을 위하여 제출할 서류요건도 개정 모델법에 의하여 완화되었는데 이는 중재합의에 관한 제7조의 개정을 반영한 것이다. 이러한 배경하에서 저자는 한국의 입법자들이 장래 고려할 개정의 착안점으로 아래 사항들을 제시한다. ① 중재합의의 방식, ② 중재판정부의 임시적 처분과 사전명령, ③ 중재 판정의 승인 및 집행을 위한 서류요건, ④ 중재판정의 승인과 집행가능선언(또는 집행허가)요건의 완화, 즉 집행판결 제도의 완화, ⑤ 중재가능성, ⑥ 분쟁의 실체의 준거법, ⑦ 중재판정의 취소의 소와 배제합의, ⑧ 국제상사중재에서 소비자의 보호, ⑨ 대한상사중재원의 지위와 권한과 ⑩ 기타 논점들(법원의 전문성 보장과 관할, 중재대리, 중재의 비밀보장, 중재비용, 중재판정 원본의 보관, 이자 지급, 집행권원의 보충 등)이 그것이다. 마지막으로 필자는 한국 중재실무가들이 중재법학의 발전에도 좀더 적극적 역할을 해주기를 당부한다. The current Korean Arbitration Act ("KAA") has been modelled on the "Model Law on International Commercial Arbitration" ("Model Law") adopted by the United Nations Commission on International Trade Law (UNCITRAL) in 1985. Therefore, one could say that Korea has succeeded in introducing well-organized arbitration law. As is widely known, the Model Law has been revised by the UNCITRAL in 2006. The principal contents of the revised Model Law ("Revised Model Law") adopted in 2006 relate to the form of the arbitration agreement and to interim measures. The text of the provision on the form of the arbitration agreement in Article 7 of the Model Law was modelled on Article II (2) of the New York Convention of 1958. The revision of Article 7 is intended to reflect the practice in international trade and technological developments. As to the interim measures, the Revised Model Law has introduced a new chapter on interim measures and preliminary orders (chapter IVA). The revision of Article 17 on interim measures was considered necessary in light of the fact that interim measures are increasingly relied upon in the practice of international commercial arbitration. The Revised Model Law also includes an enforcement regime for interim measures considering that the effectiveness of arbitration often depends on whether interim measures could actually been forced. The document requirements under Article 35(2) were also amended in 2006 to liberalize formal requirements and reflect the amendment made to Article 7 on the form of the arbitration agreement. Against the foregoing background, the author suggests that Korean legislators consider the following points for amendment in the future : ① form of arbitration agreement; ② interim measures and preliminary order; ③ documents necessary for recognition and enforcement of foreign arbitral award; ④ requirements for the enforcement of arbitral award, especially the enforcement judgment (exequatur); ⑤ arbitrability; ⑥ law applicable to the substance of the dispute; ⑦ challenge of arbitral award and the validity of exclusion agreement under the Korean Arbitration Act; ⑧ consumer protection in international commercial arbitration; ⑨ status of the Korean Commercial Arbitration Board; and ⑩ other issues such as enhancement of expertise of Korean courts involved in arbitration and confidentiality and costs of arbitration. Finally, the author urges Korean lawyers who play important roles in international commercial arbitration to make greater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the doctrine of arbit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