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동구성의 긴밀성과 피사동자 격 표시

        김기혁 한글학회 2009 한글 Vol.- No.283

        This paper aims to clarify the difference and similarity of the category between morphological and syntactic causative construction in Korean. Conjunctive Sentence can be changed into embedded Sentence. When the adverbial connectives, for example ‘-ke’ are used, the changing is easier in Korean. The predicate of the main or embedding clause can be changed into ‘-ha-’(do). The predicate construction of ‘-ke ha-’ makes new causative expression. In Korean, the case marker of causee in morphological causative construction is expressed in accusative case and dative case maker in ditransitive predicate sentence but it is not expressed in nominative case. Because the predicate of morphological causative is a single verb, it can not be expressed in nominative case. However, the predicates of syntactic causative have two functions like single verb and double verbs. The case marker of causee in syntactic causative construction is expressed not only in accusative case and dative case maker, but also in nominative case. We can infer the development of the causative construction from non causative construction to the causative verbs. Morphological causative was more productive than syntactic causative construc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causative. There were many causative verbs in 15th century compared to those in modern Korean. And the accusative case marker of causee was more productive than that of dative case marker. It is well known that there is semantic distinction between direct causation and indirect causation. Korean is different with the paradigm case in respect to the case maker of oblique case. Accusative and dative causee are in use, but nominative case maker are not in use. And oblique case maker is not natural in modern Korean, with the expression ‘-ro hayeokum’(by doing that). However in 15th century, oblique (instrumental) case was used. And the change of causee’s case marker from accusative to dative is one of the special phenomenon in the typology of causation. 이 글은 범언어적으로 존재하는 어휘적, 형태적, 통사적 사동구성의 범주적 본질과 사동구성의 유형적 차이를 제시하고, 이러한 차이의 원인과 결과 그리고 그 실제 쓰임을 연구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먼저 사동의 범주를 확정하는데, 사동의 범주는 간접 사동과 직접 사동으로 구분됨을 논의한다. 통사적 사동구성은 두 문장의 연결인 접속문에서 두 서술어의 긴밀성이 강화되는 내포문을 거쳐 보조동사 구성이 형성된 것으로 추론된다. 종속 접속과 내포 사이의 변환 관계가 자연스러움에 비해, 인용문이나 희망 구성, 사동구성 등은 뒤섞기나 자리바꿈이 부자연스럽다. 통사적 사동인 ‘동사+게 하다’ 구성은 긴밀성으로 인해 접속문이나 내포문 구조로의 환원이 불가능한 새로운 문법 구성이 된다. 통사적 사동에서 주어로 나타나는 피사동자는 행위성이 크고, 상대적으로 사동자의 사동의 힘은 약하다. 목적격 즉 대격 표시로 나타나는 피사동자는 행위성이 약하고, 여격의 쓰임이, 대격의 쓰임보다 무표적이라는 점에서 여격에서 대격으로의 교체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역사적으로 형태적 사동에서 여격 표현보다 대격 표현이 빈번하였다는 사실은 대격 표현의 이중 타동구성이 국어에 먼저 존재한 문장 구조였다고 해석하게 한다. 현대 한국어의 통사적 사동은 피사동자의 주격, 대격, 여격 표지가 있지만, 형태적 사동에서 대격과 여격 표시만 있고 주격 표지가 없는 점은, 언어 유형론에서 표준적 현상은 아니다. 한국어에서 도구격이 잘 쓰이지 않는다는 점도 유형론적 관점에서 표준적 현상은 아니다.

      • KCI등재

        한국어 사동 유형으로서의 ‘(-)시키-’ 사동

        김성주 한민족문화학회 2019 한민족문화연구 Vol.67 No.-

        ‘(-)Siki-’ causative construction is a type of Korean causative construction that fulfills both formal and semantic characteristics of general causative construction. It has been classified as a type of Korean causative construction since Choi(1937). However, it has not been recognized as a type of Korean causative construction in Lee & Im(1983) and Nam & Ko(1985/2014) as well as Nam et al.(2019). In addition, relatively recent Korean grammar books such as Ku et al.(2015) and Yoo et al.(2018) have handled it in a smaller way compared to the ‘-i-’ causative. From the viewpoint of the formal typology of causative construction, the (-)siki- causative construction belongs to the middle category between the morphological and the syntactic causative. When divided into on direct and indirect causation, on one hand in the semantic point of view of the causative construction, the ‘-siki-’ causative construction can be interpreted either in direct or indirect causation, but is closer to the direct causation than the indirect one. From the point of view of manipulative and directive causation, it can be basically interpreted as both of them. The modern Korean causative construction is largely classified according to whether the basic verb is a native or Sino-Korean verb. In most Korean grammar books, the type of Korean causative construction is divided into the morphological and syntactic causative construction. However, ‘-i-’ causative constructions are used in the morphological one of the Korean language, and ‘-siki-’ causative constructions are used in the case of Sino- Korean verbs. ‘(-)시키-’ 구문은 사동문의 형식적 특성과 의미적 특성을 모두 지니고 있는 한국어의 사동문이며, 내용을 완비한 최초의 근대적 한국어 문법서라 할 수 있는 최현배(1937)에서부터 한국어 사동의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그러나 이익섭․임홍빈(1983), 남기심․고영근(1985/2014)과 같이 영향력 있는 한국어 문법서 중에서는 ‘(-)시키-’ 사동을 인정하지 않고 있으며, 이러한 경향은 최근의 남기심 외(2019)에서도 유지되고 있다. 또한 비교적 최근의 한국어 문법서라 할 수 있는 구본관 외(2015), 유현경 외(2018)에서도 ‘(-)시키-’ 사동은 형태적 사동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략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범언어의 사동을 어휘적 사동, 형태적 사동, 통사적 사동으로 나눌 때, ‘(-)시키-’ 사동은 형태적 사동과 통사적 사동의 중간 범주에 속한다. 의미의 관점에서 사동을 직접 사동과 간접 사동으로, 또는 조작적 사동과 지시적 사동으로 나눌 때, ‘(-)시키-’ 사동은 주로 직접 사동으로 해석되고, 조작적 사동과 지시적 사동의 관점에서는 조작적 사동과 지시적 사동 양쪽으로 해석된다. 현대 한국어 사동은 원동사가 고유어 동사인가 한자어 동사인가에 따라서 크게 구분되는데, 대부분의 문법서에서 한국어의 사동 유형은 형태적 사동과 통사적 사동으로 분류된다. 그런데 한국어의 사동은 고유어 동사인 경우 형태적 사동문이 사용되고, 한자어 동사인 경우에 ‘(-)시키-’ 사동문이 사용되며, 통사적 사동은 양자에 모두 사용된다. 즉 ‘(-)시키-’ 사동은 주로 ‘한자어+하-’ 동사의 어근을 사동으로 표현하는 데 사용된다.

      • KCI등재

        ‘명사+(조사)+시키다’ 복합서술어의 유형

        김경열(Kim, Gyeong-yeol) 중앙어문학회 2015 語文論集 Vol.62 No.-

        국어의 문장은 용언의 논항구조가 문장의 틀을 결정짓는다. 이에 따라 용언중심의 문법에서는 용언의 논항구조 연구를 지속적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용언의 논항구조로 설명할 수 없는 문장들이 다수 존재한다. 본고는 ‘시키다’의 논항구조로 설명할 수 없는 구문을 ‘시키다’ 복합서술어로 설정하고, 논항구조에 따라 그 유형을 분류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시키다’가 사동성 여부에 따라 세부적으로 유형을 분류하고자 하였다. 일반동사 ‘시키다’는 사동의 의미를 갖는 경우도 그렇지 못한 경우도 있다. 하지만 세 개의 논항을 갖는 세 자리 서술어임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사동의 의미를 갖든 그렇지 못하든 ‘시키다’의 논항구조로 설명할 수 없는 구성이 존재한다. 이에 복합서술어를 설정하고, 그 개념과 식별 기준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들을 바탕으로 ‘시키다’의 사동성을 가지는 복합서술어의 유형을 여섯 가지로, 사동성을 갖지 않는 복합서술어의 유형을 여덟 가지로 분류하였다. The argument structure of the verb determines the frame of the sentence in Korean. Thus, verb argument structure has been studied extensively within verb-oriented grammar. However, there remain many sentences whose structure cannot be explained on the basis of verb argument structure. In this thesis, I labeled sentences that cannot be explained with "시키다" argument structure as "시키다" complex predicates, and classified the types according to their argument structure. Furthermore, I classified the types in terms of whether or not the "시키다" argument structure reflected causativity. The general verb "시키다" may or may not entail causativity in its meaning. The present study shows that it is a three-place predicate with three arguments. However, there are certain structures that cannot be explained in terms of the "시키다" argument structure. Accordingly, I regarded these as complex predicates, and determined criteria for their classification. On this basis, I classified complex predicates with causativity of ‘시키다’ into six types, and complex predicates without causativity of ‘시키다’ into eight types.

      • KCI등재

        교정시설의 건축공간특성 및 개선방안

        홍영균,문영삼 아시아교정포럼 2008 교정담론 Vol.2 No.2

        교정시설은 교정이념을 실행하는 곳으로, ‘범죄자를 사회로부터 격리구금하고 그 범죄성을 교정하여 건전한 시민으로 재사회화하기 위하여 교육, 교화하는 장이다’ 이라고 할 수 있다. 즉 현대 교정시설의 궁극적 역할은 수용자의 구금을 통하여 재사회화하여 사회복귀토록 하는 것이며, 교정시설도 이에 부합하도록 조성되어야 할 것이다.이에 본 연구는 교정시설이 구금시설인 동시에, 수용자의 거주 생활을 통한 재사회화 시설이라 규정하고, 교정시설의 건축계획적 특성 고찰을 전제로, 효과적 재사회화를 도모할 수 있는 교정시설의 거주공간 개선방안 제시를 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의 전제와 목적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제안한다.첫째, 교정시설의 시설 판단기준은 거주공간(수용동, 수용블럭, 수용실)이며, 이에 교정시설의 건축 유형을 수용자의 거주공간을 중심으로 살펴본 결과, 교정시설의 배치유형은 집중형과 분산형으로 나눌 수 있으며, 집중형은 과거 구금중심의 시설형태인 빅하우스형과 구치소에서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는 고층형으로 세분된다. 감시유형에 있어서는 수용자 거주공간 내에 감시공간이 위치하는 직접감시와 수용자 거주공간과 분리된 별도의 감시실을 갖는 간접감시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둘째, 최근 국내 교정시설의 건축유형은 배치유형에 있어 분산형으로 선진 교정시설과 유사한 형태를 취하고 있으나, 1개 수용동에 370명 정도를 수용하고 있어, 과밀수용에 따른 문제 발생 소지를 안고 있다. 수용동의 유형에 있어서도 외국 교정시설에서는 전시대에 사용하였던 방사형과 전주형, 편복도식과 중복도식 및 내부중정식을 주로 사용하고 있어, 수용자의 거주공간으로서의 시설 조성에 미흡하다고 판단되었으며, 또한 시설 기준에 있어서도 선진 교정시설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셋째, 이러한 국내 교정시설의 개선방향을 모색한 결과 수용규모의 소규모화, 수용자 특성을 반영한 시설 보안등급의 기준 설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수용자의 거주공간으로서 홀식 수용블럭 유형 반영, 수용공간의 직접감시의 채택, 수용실은 독거실 운영, 그리고 쾌적한 환경과 프라이버시 확보를 위한 공간 구성, 시설 사용자 간 건전한 접촉 증대 등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넷째, 교정시설의 수용자 거주공간 개선을 위하여 시설수용규모에 있어 일상적인 생활환경 조성이 가능한 450-500명을 제안한다. 수용동의 수용규모는 직원들이 수용자 개개인을 인지할 수 있는 범위인 80-120명을 제안하며, 수용블럭의 수용규모는 병원의 간호단위개념을 접목하여 40명을 제안한다. 여섯째, 수용자 특성을 반영한 개별처우를 실현하기 위한 보안등급별 시설 차별화를 위해, 추후 신축되는 교정시설은 경보안 시설 및 개방시설이 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보안 등급별 시설 계획을 위한 시설 유형은 배치유형에 있어 분산형을 전제로 엄중보안시설과 중간보안시설은 연결형을 제안하며, 경보안시설과 개방시설은 캠퍼스형을 제안한다. 보안등급별 수용동 유형은 클러스터 형을 제안하며, 엄중보안시설과 중간보안시설의 경우 기존의 전주형과 방사형도 가능하리라 사료한다. 수용블럭은 모든 시설에 홀식의 적용을 제안하나, 엄중보안시설은 전주형과 방사형도 가능할 것으로 판단한다. 수용실은 독거실로 원칙으로, 경보안시설과 개방시설의 경우는 수용자의 사회적응 훈련을 위하여 집단실도 가능할 것으로 판단한다.일곱째, 수용자 거주공간 세부 계획으로 수용실은 수용자의 프라이버시 확보를 위해 좌식생활에서 입식생활로의 전환을 제안한다. 또한 선진 교정시설의 사례와 시설기준을 분석한 결과, 선진 교정시설의 독거실은 일반 주택의 1인 침실 기준에 상응한 단위면적을 충족시키고 있으며, 이에 국내 교정시설의 독거실 기준도 국내 일반 주택의 최소 1인 침실 면적인 5.76㎡를 제안한다. 또한 시설환경 개선을 위해 공기조화방식의 채택하여야 할 것이며, 일조확보를 위해서 수용자의 거주공간인 수용실은 국내 건축법의 거실 채광창 기준(바닥면적의 10% 이상)을 적용함이 타당하리라 판단한다. 색채 및 재료의 다양성을 제고하여야 할 것이며, 수용자 개인 별 가구 구성을 제안한다. 특히 집단실의 경우도 수용자 침대사이에 칸막이를 설치하여 프라이버시를 확보해야 할 것이다.이상과 같은 결론을 통하여 본 연구는 교정시설 건축계획에 대한 기초적 건축계획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교정시설이 보안을 위한 시설이 아닌 수용자의 재사회화를 위한 시설임을 주지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role of correctional facilities is to protect society from unruly or dangerous persons who have broken the law and have been sentenced to incarceration by the courts. The physical environment of the modern correctional facility has much effort on the rehabilitation of the inmate. This study is aimed to offer the basic architectural data and to suggest desirable direction for the inmate in correctional facility designs,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American instances. Especially,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and standards of the prison architecture are important to analyze in this paper.As the result of study, the foreign instances have various type of the spatial composition and the shape. These characteristics of planning are purposed to express based on the escort and management of correctional facility. But most of domestic correctional facilities are very much similar in the site planning type, housing shape and housing plan. The correction facilities in the USA have always sought to reinforce correctional philosophy and practice. Administrative standards of correctional facility in the USA have been developed by the American Correctional Association(ACA). This standards are the basic threshold for facilities where are safe and humane and essential human and civil rights are respected. However, most of domestic correctional facilities have been thought of the role which is only the confinement of inmates. A domestic institution also is considered achieving a more normal or humane environment for inmates like American instances.

      • KCI등재후보

        한국어 사동문과 이탈리아어 사동문 비교 : 사동의 유형과 피사동주의 격을 중심으로

        니콜라프라스키니 ( Nicola Fraschini ) 한국이탈리아어문학회 2009 이탈리아어문학 Vol.27 No.-

        E sotto gli occhi di tutti che la madrelingua di uno studente puo avere effetti determinanti, sia positivi che negativi, sul processo di apprendimento di una lingua straniera e sull`interlingua dello studente stesso. La linguistica comparata si propone di

      • 한국어 보문의 유형과 사동구성

        김정민 淸州大學敎 學術硏究所 2005 人文科學論集 Vol.31 No.-

        Die morphologische Kausativierung im Koreanischen ist keine Cmax-Komplementation, wie Baker (1988) in einigen ähnlichen Sprachen annimmt, sondern eine Vmax-Komplementation. Die Annahme der Cmax-Komplementation ist bei dieser Konstruktion empirisch unmotiviert. Die Annahme der morphologischen Kausativierung im Koreanischen als Vmax-Komplementation hat folgende Vorteile: Erstens kann man die Einwände der Lexikalisten gegen eine syntaktische Behandlung entkräften. Zweitens wird die Kasuszuweisung zufriedenstellend erklärt. Drittens kann man die eingebetteten Sätze empirish gut motivijert untersheiden.

      • KCI등재

        한국어의 ‘시키다’ 사동 구문

        최정진(Choi, Jeong-jin) 한국어문학회 2016 語文學 Vol.0 No.134

        Although it has been accepted that the verb ‘siki-’ is a representative causative verb, there has been some misunderstandings on the syntactic features of siki- constructions. A significant misunderstanding is in analysing siki- constructions only as a kind of lexical causative constructions. However, there are at least three kinds of constructions, which can be described from the prototypical perspectives on the constructions. In this context, this paper suggests three types of causatives for (X)siki- constructions; syntactic, psuedo-syntactic, and lexical causatives.

      • KCI등재

        언어유형론 개관과 국어 연구

        김건희 ( Keon Hee Kim ) 한말연구학회 2014 한말연구 Vol.- No.3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ortant preceding study of the language typology and the main analysis instruments of language typology applied in the explanation of the Korean grammar. (1) The principal studies, Sapir(1921), Greenberg(1963), Croft(1999) are made a general survey and the main terminology of language typology, ‘concepts type, implication, typological classification, animacy, definiteness, abstractness’ are observed. (2) The general purpose, the subject and method of language typology are examined, which are mentioned in the major language typologist’s thesis. (3) The Korean grammar, ‘causative, adjective, relative clause, part of speech’ are newly dealt with these language typological approach which are comparative, functional, semantic pragmatic.

      • KCI등재

        기능∙유형 문법에 기반한 한국어 구문 연구 -연재훈(2011), 『한국어 구문 유형론』 깊이 읽기-

        김민국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2017 언어사실과 관점 Vol.42 No.-

        This article aims to overview main arguments and characteristics of Yeon(2011) and to suggest critical viewpoints of Yeon(2011) and new issues on Korean grammatical constructions through our overviews. Yeon(2011) suggests new ideas and solutions of problems about Korean grammatical constructions of passive, causative, Locative alternation, dative subject, promotion of Possessor to object, relative clauses etc. which is difficult to resolve by observing simply Korean language through a study from the functional-typological perspective. In this article, we bring up new issues of 1) the effect of cognitive contiguity(metonymy) on grammatical behavior, 2) diverse functions of passive, 3) semantic properties of dative subject construction, 4) similarity Locative alternation construction with voice, 5) the function of Korean adnominal clauses by critical reviewing of Yeon(2011) and comment on these issues. These issues are expected to prospect Korean syntax and morpholog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