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강유역 관측유출자료가 지역홍수빈도분석 결과에 미치는 영향

        김남원,이정은,이정우,정용,Kim, Nam Won,Lee, Jeong Eun,Lee, Jeongwoo,Jung, Yong 한국수자원학회 2015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ol.48 No.6

        본 연구에서는 한강유역을 대상으로 관측홍수량 자료의 불확실성이 홍수빈도분석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강유역 내의 17개 수위관측지점의 홍수량 자료를 이용하여, 지역홍수빈도분석을 수행한 결과인 지수홍수와 분위수를 중심으로 정량적인 평가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는 관측자료의 특성에 따라 3가지 경우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첫 번째로 수위자료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평창강 유역의 수위관측지점을 대상으로 지역홍수빈도분석 결과를 분석하면, 평균홍수량에 대한 오차는 0.240으로 평가되었다. 두 번째로 레이팅 적용에 따른 관측자료의 불확실성이 지역홍수빈도분석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해당연도에 개발된 레이팅을 각각 적용한 결과와 가장 최근 개발된 레이팅을 적용한 결과를 분석해보면, 평균홍수량에 대한 오차는 평균 0.246으로 평가되었다. 마지막으로 인위적으로 유량이 조절된 댐하류의 통제된 흐름영역에서의 지역홍수빈도 분석 결과를 유추하였다. 댐하류에서의 홍수량 거동은 댐운영에 의해 조절된 것으로 댐상류의 자연유역에서의 비유량 지역화 결과를 연장할 경우, 댐하류의 조절유역에서의 비유량 거동과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This study assessed the impact of uncertainties in flood data on the results of flood frequency analysis for Han river basin. To meet this aim, this study quantified assessment focused on the index flood and quantile by regional flood frequency analysis using the flood data from 17 water level gauges in Han river basin. We analysed the results categorized by three cas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asured data. Firstly, we analyzed the regional flood frequency for the water level gauge in the Pyungchang river basin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water level data. The results has the error of 0.240 with respect to the mean flood. Secondly, we examined the impact of uncertainty in measurement data generated by the application of rating on the results of regional flood frequency analysis. We have compared the results by applying the rating estimated for each year to the one by the recently estimated rating.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ean error has 0.246 in terms of the mean flood. Finally, we have inferred the regional flood frequency analysis results with the regulated flow in the downstream area of dams. The regulated specific discharge in the downstream area of dams controlled by dam operation showed a large difference to the estimated specific discharge in the downstream area of dams by extension of the natural specific discharge in the upstream area using the regionalization method.

      • KCI등재후보

        홍수피해 발생빈도-피해액 관계분석을 통한 지역별 홍수피해특성 분석

        박태선,최민하,여창건,이승오 한국방재학회 2009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9 No.5

        It has been considered only with the concerned local damage costs whenever the restoration and flood control measures were established in Korea. If the relationship between regional flood frequency and damages is quantitatively analyzed, more resonable and reliable countermeasure for flood protection and restoration can be proposed in local governments. Historical data('70~’07) about flood damage in Korea were utilized and analyzed to present such relationship using the point frequency analysis. Also, the quadrant analysis was employed to divide into 4 categories: high frequency-high damage, high frequency-low damage, low frequency-high damage, and low frequency-low damage. If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utilized well in specific cities and counties in Korea, it would be helpful to establish the countermeasures and action plans for flood protection because it was possible to compare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flood frequency and damage of each region. And it could be fundamental data for estimating the effect of future flood protection plan. 현재까지의 치수대책이나 복구대책은 대부분 당해 연도의 지역별 피해액만을 기준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지역의 홍수발생빈도와 홍수피해액 관계를 분석하면 지역의 홍수피해특성을 고려한 보다 합리적인 대책마련이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점빈도 분석을 이용하여 과거 38년(’70~’07)간의 전국 시군구별 홍수피해자료를 이용하여 무차원 홍수피해 발생빈도와 피해액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사분면적 해석방법을 도입하여 전국 시군구의 홍수피해 유형을 다빈도-대피해 지역, 다빈도-소피해 지역, 소빈도-대피해 지역, 소빈도-소피해 지역이라는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활용하면 시군구별로 홍수피해액별 발생빈도와 발생빈도별 홍수피해액을 손쉽게 비교할 수 있기 때문에 지역의 치수방어년을 설정하는 데에도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발생빈도별 홍수피해액을 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치수사업의 효과를 분석하거나 예측하기 위한 기초자료로도 충분히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저자 기반 코퍼스 구축과 분석 도구 개발

        임현열(Im, Hyeon-Yeol)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인문과학연구 Vol.0 No.56

        이 연구에서는 저자 판별 연구를 위해 저자 기반 코퍼스를 구축하고, 그것을 활용할 수 있는 분석 도구를 개발하였다. 또한, 이 연구의 저자 기반 코퍼스와 분석 도구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구축한 저자 기반 코퍼스는 800편의 칼럼 자료를 수록하고 있다. 칼럼니스트 40명이 작성한 칼럼 20편씩을 수집하여 가공한 것이다. 코퍼스 명칭은 구축자의 영문명 이니셜과 구축 자료의 특성이 드러날 수 있게 H-Column Corpus라고 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분석 도구는 형태소 빈도와 품사 빈도 분석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글 전체에 대한 빈도뿐만 아니라 글의 특정 구간별 빈도 분석도 가능하게 하였다. 분석 도구 명칭은 Knalyzer 2.0이라고 하였다. 더불어, 저자 판별에서 자소에 대한 N-gram 분석이 필요한 경우가 있으므로 자모 분석기를 추가로 개발하였다. 자모 분석기는 프로그래머의 이름 일부가 포함된 Gonapps 자모 분석기라고 하였다. 끝으로, 이러한 코퍼스와 분석 도구를 활용하여 저자판별 연구의 중요한 테마 중 하나인 어휘 풍부성 연구에서 적용할 방안을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we constructed author-based corpus for authorship contribution research and developed analysis tool to utilize the corpus. In addition, a case study on how to use the constructed author-based corpus and analysis tool is presented. The author-based corpus constructed in this study contains 800 column data, and the name of the corpus is H-column corpus. The analysis tool developed in this study was developed for the analysis of frequencies of morphemes and parts of speech. The name of the analysis tool was Knalyzer 2.0. In addition, we developed the Gonapps consonant-vowel analyzer to enable N-gram analysis of the authors in the authorship contribution. Finally, using these corpus and analysis tools, we proposed how to apply it to the study of lexical richness, which is one of the important themes of the authorship contribution research.

      • KCI등재

        Regional Frequency Analysis for Rainfall using L-Moment

        고덕구(Deuk-Koo Koh),추태호(Tai Ho Choo),맹승진(Seung-Jin Maeng),찬다 트리베디(Chanda Trivedi) 한국콘텐츠학회 200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8 No.3

        본 연구에서는 L-모멘트법에 의한 지역화 빈도분석에 따른 설계강우량 추정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제주도와 울릉도의 강우관측소를 제외한 분석에 사용된 65개 강우관측소의 강우자료 수집과 선정된 강우관측지점의 강우자료의 지속시간, 즉 1, 3, 6, 12, 24, 36, 48 및 72시간 지속의 연최대치 계열을 구성하였다. 관측지점을 대상으로 Cluster 분석을 실시한 결과 우리나라의 강우관측지점에 대한 합리적인 지역화로 5개의 지역으로 구분되었다. 지역화된 지역에 대한 지속기간별 극치강우자료의 적정분포모형 선정을 위한 6가지 분포모형의 적용하고 적용분포의 L-모멘트비를 산정하여 L-모멘트비도를 도시하고 K-S 검정에 의한 적정분포모형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적정분포는 GEV 분포이며 이 분포에 의해 강우관측치의 점빈도 및 지역빈도분석에 의한 설계강우량을 유도하였다. Monte Carlo 기법에 의해 모의발생된 강우량의 점빈도 및 지역빈도분석에 의한 설계강우량을 유도하였다. 실측치 및 모의발생치의 점빈도 및 지역빈도분석에 의한 설계강우량의 비교분석을 위해 상대제곱근오차와 상대편의오차에 의해 분석한 결과 점빈도분석에 의한 설계강우량보다 지역빈도분석에 의한 설계강우량의 사용이 적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rive the optimal regionalization of the precipitation data which can be classified on the basis of climatologically and geographically homogeneous regions all over the regions except Cheju and Ulreung islands in Korea. A total of 65 rain gauges were used to regional analysis of precipitation. Annual maximum series for the consecutive durations of 1, 3, 6, 12, 24, 36, 48 and 72hr were used for various statistical analyses. K-means clustering method is used to identify homogeneous regions all over the regions. Five homogeneous regions for the precipitation were classified by the K-means clustering. Using the L-moment ratios and Kolmogorov-Smirnov test, the underlying regional probability distribution was identified to be the generalized extreme value (GEV) distribution among applied distributions. The regional and at-site parameters of the generalized extreme value distribution were estimated by the linear combination of the probability weighted moments, L-moment. The regional and at-site analysis for the design rainfall were tested by Monte Carlo simulation. Relative root-mean-square error (RRMSE), relative bias (RBIAS) and relative reduction (RR) in RRMSE were computed and compared with those resulting from at-site Monte Carlo simulation. All show that the regional analysis procedure can substantially reduce the RRMSE, RBIAS and RR in RRMSE in the prediction of design rainfall. Consequently, optimal design rainfalls following the regions and consecutive durations were derived by the regional frequency analysis.

      • 빈도분석을 통한 확률풍속지도 개발

        유인상,김하용,정상만 한국방재학회 2015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14 No.-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확률풍속지도를 개발하기 위해 기상관측소를 대상으로 풍속빈도분석을 수행하였다. 우리나라 79개 기상관측소 중 20년 이상 풍속자료를 보유한 69개 기상관측소의 연최대치 풍속자료를 수집하여 빈도분석을 수행하였다. 빈도분석에 적용한 확률분포는 국내·외적으로 극치빈도 분석에 널리 사용되는 Generalized Extreme Value(GEV), Type-Ⅰ Extreme Value(Gumbel), Type-Ⅲ Extreme Value(Weibull), 2-parameters Gamma, 3-parameters Gamma, Log-Pearson Type-Ⅲ 등 6가지이고, 매개변수 추정방법은 모멘트법과 확률가중모멘트법이다. 적합도검정 결과 풍속빈도분석시 우리나라에 가장 적합한 확률분포로는 GEV, 매개변수 추정방법으로는 확률가중모멘트법이 선정되었다. 현재 건축구조설계기준에서 풍속빈도분석시 적용하고 있는 Gumbel 분포는 위에 나열된 확률분포 중 4번째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확률가중모멘트법에 의한 GEV분포를 이용하여 빈도분석을 수행한 결과, 설계빈도인 100년 빈도를 기준으로 가장 높은 풍속이 추정된 관측소는 제주도에 위치한 고산관측소로 71m/s이며 이어서 경상북도 울진관측소에서 60m/s, 전남 완도관측소에서 59m/s, 울릉도 울릉관측소에서 58m/s로 추정되었다. 가장 낮은 풍속이 추정된 관측소는 강원도 홍천관측소로 22m/s이며 이어서 충북 충주, 보은 관측소에서 23m/s로 추정되었다. 기상관측소별 100년 빈도 설계 풍속을 기준으로 ArcGIS의 크리깅 기법을 통하여 지역별 보간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확률풍속지도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확률풍속지도는 향후 강풍에 대비한 건축구조물 설계에 활용 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의미연결망 분석을 통한 혁신행동 연구동향

        김승곤,설현도 한국기업경영학회 2020 기업경영연구 Vol.27 No.6

        본 연구는 의미연결망 분석을 통해 혁신행동 연구동향을 제시하였다. 국내에서 혁신행동은 지난 21년 동안 학술적으로 실무적으로 많은 관심을 받아 온 연구 주제이다. 그런데 아직 그 연구 내용과 결과가 종합적으로 정리된 바 없다. 혁신행동은 다의적이며,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접근하고 있다. 따라서 혁신행동이 어떠한 연구 개념들과 함께 연구되고 있는지 그 의미적 연관성을 이해할 때 혁신행동의 연구결과는 더 명확해질 수 있다. 1999년 1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에서 혁신행동을 주제로 연구된 논문을 596편 수집 하였으며, 이중 연구목적에 부적합한 40편을 제외한 556편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했다. 키워드 정제를 하여 743 개의 키워드를 추출하였으며, 혁신행동을 제외한, 3회 이상 출현빈도를 보인 124개의 키워드를 최종 분석대상 으로 선정했다. 의미연결망 분석은 특정 연구 분야에서 사용된 세부 개념 간의 상호관계에 기초하여 전체 연구 성과를 네트워크 형태로 요약 제시해줄 뿐 아니라 키워드 간의 상호연관성에 기초한 세부 연구영역을 도출해준 다. 의미연결망 분석의 세부 기법인 키워드 빈도분석, 연결중심성 분석 및 구조적 등위성에 의한 응집집단분석 을 시행하였다. 먼저 빈도분석 결과 조직몰입, 변혁적 리더십, 자기효능감, 직무열의, 셀프리더십의 순으로 빈도 가 높게 나타났다. 연결중심성 분석을 시행한 결과 조직몰입, 자기효능감, 조직지원인식, 셀프리더십의 순서로 연결중심성 지수가 높게 나타났다. 혁신행동 연구에서 중점 연구 개념은 조직몰입, 변혁적 리더십, 자기효능감 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콘커분석을 통해 8개 세부 연구영역을 도출하였으며 영역별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여 영역별 키워드 간 미시적 연결 관계를 바탕으로 세부적인 지식구조를 형성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혁신행동 연구동향 및 방법론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으며, 향후 연구에서 해결해야 할 연구 과제와 방향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presented research trends in innovative work behavior through semantic network analysis. Innovation work behavior is a research topic that has received a lot of academic and practical attention over the past 21 years in Korea. However, the research contents and results have not been comprehensively organized yet. Innovative work behavior is multidisciplinary, and studied in various academic fields, so the results of the study on innovative behavior may become clearer when identifying its semantic association with which research concepts are being studied.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not only summarizes the overall research performance in the form of a network but also derives subordinate research fields based on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keywords used in specific research areas. Keyword frequency analysis, centrality degree analysis, and CONCOR analysis, which are the detailed technique of semantic network analysis were performed. As a result of frequency analysis and centrality degree analysis, key research concepts of innovative work behavior research were derived as organizational commitmen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elf- efficacy and so on. From CONCOR analysis were eight subordinate research fields drived. By conducting network analysis on keywords by subordinate research field, detailed knowledge structure was identified. innovative work behavior is not conceptual or abstract, unlike creativity. It is expressed through visible actions, and the success or failure is clear. Specific examples of innovative behavior, studies of how they are applied to tasks, or field-oriented research trends were presented to enhance innovative work behavior at organizational sites.

      • KCI등재

        「한국언어문화학」의 연구 동향 - 네트워크 분석과 내용 분석의 활용 -

        양길석,구민지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21 한국언어문화학 Vol.1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의 학술지에 실린 논문의 연구 경향을 분석하여 학회의 정체성을 공고히 하고 학회지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창간호부터 17-3호까지의 학술지에 게재된 440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법과 내용 분석법을 병행, 적용하여 연구 경향을 분석하였다. 네트워크 분석 결과 키워드 출현 빈도 측면에서는 ‘한국어교육, 문화 교육, 한국어, 언어문화, 한국어 교재’ 등의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이를 시기별로 구분했을 때 ‘한국어교육, 문화교육, 한국어, 요구분석, 한국어 교재’ 등은 시기와 구분 없이 출현 빈도가 높았으나 등재지 이후 시기에는 보다 한국어교육에 초점화된 키워드의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중심 구조 측면에서는 ‘한국어교육, 문화교육, 언어문화, 한국어 교재/한국어, 한국 문화/문화’ 등의 순으로 연결중심성 값이 높게 나타났고 이 키워드들은 전체 시기의 연구 경향을 대표한다고 볼 수 있다. 내용 분석 결과 전체적으로 한국어교육 관련 주제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기별로 살펴보면 초창기 언어문화를 포함한 문화 자체를 주제로 한 연구가 꽤 많았으나 최근으로 올수록 언어 관련 연구와 교육 관련 연구의 비중이 점차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방법 측면에서는 전반적으로는 질적연구 방법의 비중이 높고 시기별로 보면 최근으로 올수록 설문조사 연구 및 양적 연구방법의 비중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dentity of the society by analyzing the research trends of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s of ‘the International Network Korean Language and Culture’, and to seek the direction the journal should proceed. To this end, the research trend was analyzed by applying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method and the content analysis method in parallel for 440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s published in the first issue through 17-3. As a result of network analysis, in terms of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keywords, the frequenc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culture education, Korean language, language culture, Korean language textbooks’ was found to be high. When categorized by period, ‘Korean language education, cultural education, Korean language, Needs analysis, and Korean textbooks’ appeared in a high frequency regardless of the period, but the frequency of keywords focused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higher than in the period after registration. In terms of the central structure, the value of connection center was high in the order of ‘Korean education, cultural education, language culture, Korean textbooks/Korean, and Korean culture/culture’, and these keywords can be considered to represent the research trend of the entire period. As a result of the content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many topics relat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Looking at each period, there were quite a lot of studies on the subject of culture itself, including language culture in the early days. In terms of research methods, overall, the proportion of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is high, and the proportion of survey research and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tends to increase as they become more recent.

      • KCI등재

        의미연결망 분석을 이용한 웹툰의 연구 동향 분석

        정위,최동혁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20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59

        This study analyzed the research trends of webtoons through semantic network analysis. Webtoons have received a lot of public, practical and academic attention over the past 15 years. However, the research results have not been comprehensively compiled yet. In response, 271 related papers were selected for analysis in order to identify research trends in core research and detailed research areas in the webtoon field, and a total of 726 keywords were extracted from these papers and a semantic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on 99 keywords.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provides a summary of the overall research performance in network form, based on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the detailed concepts used in a particular research field, as well as deriving the areas of study among the detailed concepts. In this study, a detailed technique of semantic network analysis was performed: keyword frequency analysis, centrality analysis, and cohesive group analysis by CONCOR. Key research concepts of webtoon research can be deriv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and centrality degree analysis and can capture sub-research areas of webtoons based on the structural equivalence of the terminology index. The concept of core research in the field of webtoon research was identifi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and centrality degree analysis through semantic network analysis. Keywords for narrative, storytelling, business model, cartoon and media conversion showed high frequency, followed by narrative, storytelling, business model, cartoon, content, platform, media conversion and brand webtoon. Overall, keywords such as narratives, storytelling, business models, and cartoons appear more frequently and are more centrality degree so it was understood that they are the main concept of the webtoon research. After checking the detailed research areas of the webtoon research fiel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seven detailed research areas. [Group 1] Commercial use of webtoons, [Group 2] participation of webtoon users, [Group 3] production of webtoons, [Group 4] webtoons and Internet culture, [Group 5] webtoons education, [Group 6] media OSMU, and [Group 7] webtoons copyright. Based on the abov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presented suggestions on the trend of webtoon research and methodology, and suggested research tasks and directions that should be solved in future research. 웹툰은 지난 15년 동안 대중적으로, 실무적으로, 또 학술적으로 많은 관심을 받아 온 주제이다. 그런데 아직 그 연구 내용과 결과가 종합적으 로 정리된 바 없다. 이에 본 연구는 의미연결망 분석을 통해 웹툰 연구를 분석하여 웹툰 분야의 핵심연구 및 세부연구영역 등의 연구 동향을 포착 하였다. 의미연결망 분석의 세부 기법인 빈도분석과 연결 중심성 분석을 통해 웹툰 연구의 핵심 연구개념을 도출할 수 있다. 구조적 등위성 분석 을 통해서는 웹툰의 하위연구 영역을 포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웹툰 관련 논문 271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했으며, 이들 논문에서 총 726개의 키워드를 추출하여 그중 99개의 키워드를 대 상으로 의미연결망 분석을 하였다. 의미연결망 분석의 세부 기법인 키워 드 빈도분석, 연결 중심성 분석 및 구조적 등위성 분석을 하였다. 서사, 스토리텔링, 비즈니스 모델, 만화, 매체전환의 키워드가 높은 출현빈도를 보였으며, 서사, 스토리텔링, 비즈니스 모델, 만화, 콘텐츠, 플랫폼, 매체 전환, 브랜드 웹툰의 순으로 연결 중심성이 높게 나타났다. 서사, 스토리 텔링, 비즈니스모델, 만화와 같은 키워드들이 출현빈도도 높고 연결 중심 성도 높은 편이어서 웹툰 연구에서 주목하는 중점 개념임을 파악하였다. 웹툰 연구 분야의 세부 연구영역을 확인한 결과 7개의 세부 연구영역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룹 1] 웹툰의 상업적 활용, [그룹2] 웹툰 사 용자 참여, [그룹3] 웹툰 연출, [그룹4] 웹툰과 인터넷문화, [그룹5] 웹 툰 교육, [그룹6] 매체전환, [그룹7] 웹툰 저작권으로 그룹의 특성을 제 시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웹툰 연구 동향 및 방 법론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으며, 향후 연구에서 해결해야 할 연구 과 제와 방향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상대 빈도를 이용한 생산성 측정에 대한 연구

        이광호 ( Lee Kwang-ho ) 국어학회 2007 국어학 Vol.0 No.50

        어기와 접사의 분석적 처리는 접사의 생산성을 결정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단일어처럼 처리되는 파생어는 접사의 생산성에 기여하는 바가 없지만, 어기와 접사가 분석적으로 처리되는 파생어는 접사의 표상을 강화시켜서 생산성을 높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계량적 방법으로 생산성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어기와 접사가 분석적으로 처리되는 파생어를 구별하는 일이 매우 중요한데 상대 빈도가 그 객관적인 기준이 될 수 있다. 상대 빈도(r)는 ‘파생어 對 어기’의 빈도 비율을 뜻하는데 ‘r>1’은 파생어의 빈도가 어기의 빈도보다 높아서 해당 파생어가 단일어처럼 처리될 가능성이 높음을 의미하는 반면, ‘r<1’은 어기의 빈도가 파생어의 빈도보다 높아서 어기와 접사가 분석적으로 처리될 가능성이 높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사실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생산성 계량의 방법을 정밀화하여 ‘-化’, ‘-性’, ‘-的’, ‘-스럽-’의 상대적 생산성을 계량하였고, 생산성과 상대 빈도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생산성 순위는 절대 빈도 50회 이하 파생어수를 기준으로 한 이광호(2007)과 그 결과가 같았지만 각 접사 생산성 간의 상대적 격차는 작게 나타났다. 이는 생산적 접사들 사이의 실제적 생산성 격차가 그리 크지 않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생산성이 높은 접미사가 만든 파생어 집합일수록 상대 빈도가 낮은 파생어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고, 상대 빈도의 평균도 생산성이 높은 접미사가 만든 파생어 집합일수록 대체로 낮게 나타났다. 이는 해당 접사의 생산성을 결정하는 근본 요인이 ‘r<1’의 속성을 가지는 파생어의 비율임을 의미한다. 어기와 접사의 분석적 처리를 반복하는 과정이 접사의 생산성을 끌어올리는 매우 중요한 요인인 것이다. It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the productivity of affix to process base and affix in an analytical way. A derivative which is processed like a simplex word is rarely dedicated to productivity of an affix. However, A derivative which has base and affix processed analytically increases the productivity of affix, strengthening the representation of affix. Therefore, to approach the productivity in a quantitative way, it is very important to discern a derivative in which base and affix are processed analytically. Relative frequency can be an objective criterion for that discernment. Relative frequency means the frequency ratio of ‘derivative to base’, ‘r>1’ means that given derivative is likely to be processed like a simplex word, whereas ‘r<1’ means that given derivative is likely to be processed in a analytical way. Based on theses facts making methodology for quantification refined, this paper calculates the relative productivity of ‘-化’, ‘-性’, ‘-的’, ‘-스럽-’ and examines relation between relative frequency and productivity. The productivity raking is the same as that of 이광호(2007) which is base on absolute frequency below 50. However, each gap of productivity among suffixes is calculated smaller than that of 이광호(2007). This means real productivity gap among productive suffixes is not large. The more productive a suffix is, the more ratio of low relative frequency word increases and the lower an average of relative frequency is calculated. This means that primary factor in determining productivity of given affix is the ratio of derivative which has a property of ‘r<1’. Repeated analytical process of base and affix is a very important factor in elevating the productivity of an affix.

      • KCI등재

        키워드 출현 빈도 분석과 CONCOR 기법을 이용한 ICT 교육 동향 분석

        이영석 대한산업경영학회 2023 산업융합연구 Vol.21 No.1

        In this study, trends in ICT education were investigated by analyzing the frequency of appearance of keywords related to machine learning and using conversion of iteration correction(CONCOR) techniques. A total of 304 papers from 2018 to the present published in registered sites were searched on Google Scalar using “ICT education” as the keyword, and 60 papers pertaining to ICT education were selected based on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Subsequently, keywords were extracted based on the title and summary of the paper. For word frequency and indicator data, 49 keywords with high appearance frequency were extracted by analyzing frequency, via the term frequency-inverse document frequency technique in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nd words with simultaneous appearance frequency. The relationship degree was verified by analyzing the connection structure and centrality of the connection degree between words, and a cluster composed of words with similarity was derived via CONCOR analysis. First, “education,” “research,” “result,” “utilization,” and “analysis” were analyzed as main keywords. Second, by analyzing an N-GRAM network graph with “education” as the keyword, “curriculum” and “utilization” were shown to exhibit the highest correlation level. Third, by conducting a cluster analysis with “education” as the keyword, five groups were formed: “curriculum,” “programming,” “student,” “improvement,” and “informa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ractical research necessary for ICT education can be conducted by analyzing ICT education trends and identifying trends. 본 연구는 기계학습의 키워드 출현 빈도 분석과 CONCOR(CONvergence of iteration CORrealtion) 기법을 통한ICT 교육에 대한 흐름을 탐색한다. 2018년부터 현재까지의 등재지 이상의 논문을 ‘ICT 교육’의 키워드로 구글 스칼라에서304개 검색하였고, 체계적 문헌 리뷰 절차에 따라 ICT 교육과 관련이 높은 60편의 논문을 선정하면서, 논문의 제목과 요약을중심으로 키워드를 추출하였다. 단어 빈도 및 지표 데이터는 자연어 처리의 TF-IDF를 통한 빈도 분석, 동시 출현 빈도의 단어를 분석하여 출현 빈도가 높은 49개의 중심어를 추출하였다. 관계의 정도는 단어 간의 연결 구조와 연결 정도 중심성을 분석하여 검증하였고, CONCOR 분석을 통해 유사성을 가진 단어들로 구성된 군집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교육’, ‘연구’, ‘결과’, ‘활용’, ‘분석’이 주요 키워드로 분석되었다. 둘째, 교육을 키워드로 N-GRAM 네트워크 그래프를 진행한 결과 ‘교육과정’, ‘활용’이 가장 높은 단어의 관계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을 키워드로 군집분석을 한 결과, ‘교육과정’, ‘프로그래밍’, ‘학생’, ‘향상’, ‘정보’의 5개 군이 형성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ICT 교육 동향의 분석 및 트렌드 파악을 토대로ICT 교육에 필요한 실질적인 연구를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