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 비행행동에 대한 부모양육행동과 비행친구집단간의 조절된 매개효과

        이상균(Sang Gyun Lee) 한국아동복지학회 2008 한국아동복지학 Vol.- No.27

        청소년기에 접어들면서, 비행친구집단과 같은 또래집단의 영향은 청소년 비행행동의 주요한 위험요인으로 보고되고 있다. 부모의 양육행동은 청소년기 비행친구집단의 교류가 비행행동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차단하거나 완충시켜줄 수 있는 중요한 보호요인으로 설명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비행친구와의 교류가 청소년의 비행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부모 양육행동이 차단하는 동시에 완충해주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부모양육행동의 조절된 매개효과(moderated mediation effect)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분석자료는 전국 규모의 종단조사자료인 한국청소년패널자료 중 중학생 패널집단의 1, 2차년도 조사자료였다. 분석결과, 부모의 양육행동이 약화될 경우, 비행친구와의 교류가 증대되고, 이는 청소년 자녀의 비행행동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행친구와의 교류가 비행행동의 경험에 미치는 영향은 부모의 양육행동에 따라 상이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또래집단의 영향력이 청소년 비행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력을 미치지만, 부모의 양육행동이 비행친구와의 교류를 사전에 차단시켜줄 수 있는 기능을 하고 있으며, 비행친구와의 교류가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완충하는 기능도 수행함을 조절된 매개효과를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s of parenting functioning on the relations between deviant peer`s influences and delinquent behaviors in adolescence. To investigate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s, simple slope test and bootstrapping method based on multiple linear regression(MLR) model were used. This study used data from wave 1-2(2003-2004) of the Korea Youth Panel Survey(KYPS). Results showed that poorer parenting increased the probability that adolescents would affiliated with deviant peers, and more association with deviant peers, in turn, was related to delinquency. There was statistical significant interaction between affiliation with deviant peers and parenting in the model for delinquency. It implied that the relation between deviant peers and delinquency depends on the quality of parenting. Finally, indirect effect of earlier parenting on delinquent behavior through affiliation with deviant peers was moderated by later parenting. These results help clarify the conditions under which exposure to parenting behaviors can buffer the negative effect of deviant best friends on delinquent behaviors in adolescence. Practice and policy implications as well as further research topic were discussed to aid the search for highly effective preventive and treatment interventions.

      • KCI등재

        청소년의 약물남용 실태와 심리적 변인에 관한 연구 -서울지역 일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김소야자 ( So Ya Ja Kim ),공성숙 ( Seong Sook Kong ),김명아 ( Myung Ah Kim ) 한국간호과학회 정신간호학회(구 대한간호학회정신간호학회) 2000 정신간호학회지 Vol.9 No.3

        본 연구의 결과 대상자의 86.1%가 음주경험이 있고 49.1%가 흡연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고등 학생의 84.9%가 음주경험이 있었고 36.1%가 흡연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난 청소년보호위원회(1998)의 연구 결과와 유사하였으며 한국마약퇴치운동본부(1997)가 서울 시내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서도 고등학생의 경우 음주가 86.0%, 흡연이 41.1%로 나타난 것과도 거의 일치하였다. 다른 약물들의 사용경험도 YMCA 동대문지회(1998)에서 수행한 연구 결과를 보면 남자 고등학생의 본드 사용 경험이 3.3%, 가스, 1.9%, 각성제 3.8%, 대마초 0.5% 등으로 나타났고 일반 청소년의 경우 지놀타, 라식스, 에스정, 프링가, 프링가올 등의 약물 사용율은 0%이었던 결과가 본 연구의 결과를 지지하고 있다. 최근 러미나, 루비킹, 지놀타, S정, 라식스, 프링가, 프링가올 등의 약물에 중독된 청소년들이 병원에 입원하는 경우가 늘고 있는 실정이나(청소년보호위원회, 1998) 아직은 일반 청소년의 경우 거의 사용되지 않음을 알 수 있었으며, 주로 소년원에 입소한 약물남용 청소년에서 이러한 약물의 사용경험이 보고되고 있다(YMCA 동대문지회, 1998). 본 연구의 결과 변인간의 상관관계에 있어서는 비행행동과 우울은 순상관관계를 보였다. Puig-Antich(1982)가 우울한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이들 중 30%가 행동장애 진단이 함께 내려진 결과를 통해 우울과 비행행동간에 관계가 있음을 밝혔으며, Craighead (1991)의 연구에서도 우울한 청소년의 23-30%가 문제 행동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의 결과를 지지하였다. 또한 비행행동과 자아존중감은 역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Kaplan(1975)의 연구에서도 자아존중감이 비행행동에 개입하는 정도와 부적 상관관계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비행행동과 사회성의 관계에서는 대부분의 연구에서 사회성이 낮을수록 비행행동이 증가한다는 역상관관계를 지지하고 있다. Maccoby와 Martin(1983)은 부모가 관여를 많이 하고 자녀 중심적인 태도로 양육한 청소년은 책임감과 사회적 역량이 높고 성취지향적인데 반해, 부모의 관여가 적고 부모 중심적인 태도로 양육된 청소년은 충동적이며 일찍부터 술과 담배를 시작하고 학교에 대한 관심이 부족하며 비행경험이 있다고 보고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비행행동과 사회성이 순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비행행동을 보이는 청소년이 비행 집단에 소속되면서 사회성 부분이 충족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Rogenberg와 Rogenberg(1978)는 청소년기에 또래집단과의 관계를 통해 중요한 사회화 과정을 겪게 되는데, 친구와 가족으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지 못한 청소년들이 자신의 소속집단에서는 오히려 일탈적인 행동을 함으로써 주위의 관심을 받으며, 이것이 곧 사회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받는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도 대상자들이 비행행동을 하면서 또래집단에 소속감을 느끼게 되고 이를 통해 사회성이 높아짐을 인지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또한 우울과 사회성은 역상관관계(p<.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Cohen 등(1985)의 연구에서 스트레스가 많을 때 정서적, 정보적, 사회적 지지를 많이 받은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우울 수준이 낮다고 보고하고 있어 우울 수준이 높을수록 사회성 수준이 낮아 진다는 본 연구의 결과와 일치한다. 한편, 사회성과 자아 존중감은 순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Coleman과 Lindsay(1992)의 연구에서도 자아존중감은 또래 집단의 수용감이 클수록 높아지고 사회성이 높을수록 또래 집단의 수용감이 증가한다고 보고하여 사회성과 자아존중감의 정적 관계를 보여주었다. 우울과 자아존중감은 역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우울은 자기자신에 대한 평가나 인식을 낮게 하므로 우울수준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이 저하됨을 알 수 있다(Stein, 1996). 또한 이현만 등(1996)은 부모가 자녀를 과보호할 경우 자녀의 사회적 능력이 제한되어 자아존중감이 잘 발달할 수 없으며, 어린시절 부모의 상실이나 이별을 통해 거절을 경험한 경우 스스로 자신의 가치를 낮게 평가함으로써 우울에 취약하게 된다고 하였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에서 나타난 청소년의 비행행동, 우울, 자아존중감, 사회성의 관계를 통해 청소년 비행행동이 우울, 자아존중감, 사회성과 같은 심리적 변인과 연관되어 나타나며 특히 비행행동의 한 형태인 약물남용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약물남용 정도에 따른 심리적 변인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음주경험이 있는 집단이 경험이 없는 집단보다 비행행동, 우울, 사회성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지난 12개월 동안 흡연경험이 있는 집단은 경험이 없는 집단보다 비행행동, 사회성은 높고 자아존중감은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약물을 사용하는 청소년은 우울이 높고 자아존중감이 낮으며(이미형, 1996) 환각상태에서 비행을 일으키는 사례가 많다(박해안, 1996)는 선행연구의 결과와 일치한다. 사회성이 높게 나타난 것은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약물을 하는 청소년이 비행 집단에 소속되면서 사회성 부분이 충족되었기때문이라고 사료된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추후연구에 대해 몇 가지 제언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에서 사용된 도구는 약물사용과 약물남용이 구분되어 있지 않아 개념을 이해하는데 혼동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향후 본 도구를 보다 많은 대상자에게 적용하여 표준화하는 과정을 통해 약물사용과 약물남용의 기준을 제시하고 그 의미를 명확히 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약물남용이 비행행동, 우울, 자아존중감, 사회성과 관련되어 나타나므로 약물남용을 보이는 청소년에 대한 접근에서 청소년들의 정서적, 사회적 욕구를 인식하고 적절한 상담이나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학교의 상담교사나 양호교사와 청소년 전문가가 협력하여야 하며, 일반 청소년들을 위한 약물남용 예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에도 이러한 심리적 변인들을 고려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rug abuse status in adolescence and to aid the effective drug abuse prevention program and management an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among the variables, ``conduct behavior``, ``depression``, ``self-esteem`` and ``social skills``. This study was also attempted to verify a reliable and valid tool invented by Kim & Oh(1998) which is able to assess the adolescence`` drug abuse state. An exploratory descriptive design was used to describe and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of conduct behavior, depression, self-esteem and social skills in a convenient sample of 444 high school male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use of ``Conduct behavior``, ``Self-esteem Inventory``, ``Social skill Inventory`` and ``CES-D`` instrument to measure depression. Correlational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 The rate of alcohol use in total subjects was 86.1% and the rate of smoking was 49.1%. Correlational analysis revealed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conduct behavior and self-esteem, social skills and depression, depression and self-esteem.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conduct behavior and depression, social skills and conduct behavior, self-esteem and social skill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basis for further study to develop programs for adolescence. The tool used in this study should be modified and developed more precisely for general use. Therefore, strategies and interventions to increase self-esteem and social skills could be carried out in the school and treatment setting and appropriate counseling needs to be given to students who are depressed and have a great deal of conduct behavior problems.

      • KCI등재

        비행청소년의 감각처리능력과 문제행동에 관한 연구

        한수연,장기연,한미애,천승철 대한작업치료학회 2012 대한작업치료학회지 Vol.20 No.1

        목적 : 일반청소년과 비행청소년의 감각처리능력을 비교하고, 비행청소년의 감각처리능력과 문제행동 간에 상관성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 : D광역시에 거주하는 13세 이상 19세 이하로 현재 법적 절차를 거쳐 비행이 인정되어 교호시설에 있거나, 보호 관찰 중인 비행청소년 114명과 일반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일반청소년 124명으로 총 238명이었다. 결과 : 일반청소년과 비행청소년의 감각처리능력을 비교한 결과, 17세~13세의 비행청소년은 일반청소년보다 감각회피(p<.05)와 감각민감성(p<.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점수가 낮았다. 비행청소년의 범죄유형에 따른 감각처리능력을 비교해 본 결과, 17세~13세의 낮은등록(p<.05)에서 강력, 성폭력, 절도사범 순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점수가 낮았고, 감각민감성(p<.05)에서 성폭력, 절도, 강력사범 순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점수가 낮았다. 비행청소년의 감각처리능력과 문제행동에 대한 관계를 알아본 결과, 19세~18세에서는 감각민감성(r=-.47, p<.05), 감각회피(r=-.45, p<.05)의 점수가 낮을수록 약물남용의 점수가 높아졌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17세~13세에서는 낮은등록의 점수가 낮을수록 지위비행(r=-.33, p<.05), 폭력행동(r=-.33, p<.05)의 점수가 높아져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결론 : 일반청소년과 비교할 때 비행청소년의 감각처리능력은 낮았고, 특히 17세~13세 비행청소년의 감각처리능력이 낮았으며, 감각처리능력이 낮은 청소년에게서 문제행동이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문제행동이 보이는 청소년에게 감각처리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청소년/성인 프로파일을 적용하여, 조기에 감각처리능력을 평가하고, 이들의 문제행동에 대한 치료로 감각통합치료를 적용한다면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 KCI등재

        부모의 학대적 양육행동과 청소년기 비행행동간의 상호인과관계 -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

        유정아(Jeong Ah Yoo)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6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51 No.-

        본 연구는 부모의 학대적 양육행동과 청소년기 비행행동간의 상호인과적 관계가 청소년의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한국청소년패널조사의 중학교 2학년 패널 1차-4차년도 조사에 참여한 청소년 2724명의 자료가 활용되었다. 자기회귀 교차지연모형 (Autoregressive cross-lagged path model)에 대한 다중집단 분석결과, 학대적 양육행동과 비행 행동간의 상호인과적 관계가 청소년의 성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여아의 경우, 초기 비행행동의 증가와 이에 반응하는 부모의 학대적 양육행동의 증가가 여아의 비행행동을 더욱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부정적 상호작용의 영향은 고등학교 시기까지 지속되었다. 반면 남아의 경우, 초기 비행행동의 증가가 학대적 양육행동의 증가를 가져오지만, 학대적 양육행동의 증가가 비행행동의 증가를 가져오지는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초기 비행행동을 통제하기 위한 학대적 양육행동이 남아보다 여아의 비행행동에 더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는 학대적 양육행동과 비행행동간의 상호관계를 이해하고 개입함에 있어 남아와 여아의 특성을 고려하여 접근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Using four waves of the Korean Youth Panel Study,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 reciprocal relationships between abusive parenting and delinquent behavior differed by adolescent gender. A sample of 2,724 adolescents who participated in all measures across the four waves was analyzed. The findings from cross-lagged path models revealed that the reciprocal relationships between abusive parenting and delinquent behavior were different for adolescent boys and girls. For girls, the two constructs are reciprocally linked; more delinquent behavior predicted more abusive parenting, and more abusive parenting in turn predicted more delinquent behavior in middle-school. Such reciprocal influence continued in high-school years. For boys, only delinquent behavior predicted more abusive parenting in middle-school years. This study exhibited that abusive parenting as a controlling behavior of delinquent acts had stronger effect on later delinquent behavior for girls than for boys. This study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gender when developing interventions to support families with delinquent adolescents.

      • KCI등재

        청소년의 스트레스가 비행행동과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경로분석

        정동하,정미현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2011 한국가족복지학 Vol.1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youth' stress, anger, hopelessness, delinquency and suicide ideas. The subjects were the subjects were 419 middle and highschool students living on Jeju Island in the self-governing province there. A pass way method was used.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First, the levels of youth' stress, anger, despair, delinquency, suicide ideals were M=2.52, M=1.52,M=1.94, M=1.09, M=1.17, and M=1.84. Second, girls were more stressed than boys, but boys were more delinquent than girls. Third, stress affected anger, hopelessness and suicide ideals directly, but affected delinquency indirectly. Fourth, anger mediated stress against delinquency and suicide gesture, but hopelessness didn't mediate stress to delinquency and suicide gesture. Fifth, delinquency effected suicide ideals directly. Therefore, this study showed that an anger intervention program is necessary to reduce delinquency and suicide ideals.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스트레스가 분노, 절망, 비행행동과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조사대상자는 제주도에 거주하는 중․고등학생 419명이었으며, 기술통계, t검정, ANOVA, Amos를 사용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스트레스, 분노, 절망, 비행행동, 자살생각 수준은, 스트레스(M=2.52)는 보통수준이고, 그 외 변인인 상태분노(M=1.52), 특성분노(M=1.94), 절망(M=1.09), 비행행동(M=1.17), 자살생각(M=1.84)은 보통 수준이하로 나타났다. 둘째, 스트레스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높고, 비행행동은 남학생이 더 높았다. 셋째, 청소년의 스트레스는 분노, 절망, 자살생각에 직접 효과를 주고, 비행행동에는 간접효과를 나타냈다. 넷째, 분노는 스트레스가 비행행동과 자살생각에 미치는 효과를 매개하였지만, 절망은 비행행동과 자살을 매개하지 않았다. 다섯째, 비행행동은 자살생각에 직접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는 스트레스가 분노를 매개하여 비행행동과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를 통해 청소년의 비행행동과 자살생각을 감소하기 위한 분노조절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Structural Model of Delinquent Behavior Influenced by Media Violence in Korea

        Kim, Hun-Soo,Kim, Hyun-Sil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3

        연구목적 : 청소년의 비행행동을 설명, 예측하기 위하여 복합연합이론(differential association theory), 사회학습이론(social learning theory) 및 문제행동이론(problem behavior theory)을 근거로 폭력매체와 비행행동간의 관계를 설명해주는 가설적 모형을 제시하고 이를 검정하여 수정모형을 구축한 후 비행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제변수들의 효과를 검정하였다. 연구방법 : 표본추출방법은 지역(서울-지방) 및 조사기관의 유형(중학교, 고등학교, 소년원, 분류심사원)을 함께 고려한 비례층화표본추출법을 적용하였으며 총연구대상자는 1,943(비행청소년 : 707, 학생 청소년 : 1,236)이었으나 설문지 응답에 있어서 완벽하게 반응 안한 1,406명은 제외하였다. 따라서 실제 연구대상자는 537명(비행청소년 217명, 학생청소년 : 320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료는 설문지법과 면담법, 학생생활기록부, 기타 재원 생활기록부를 통하여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공볍량구조모형(LISREL, 7.16)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연구에서 청소년의 비행행동을 설명하는 내생변수는 욕구충족/좌절정도, 사회성성향, 반사회적 성격양상, 정신신체증상호소성향, 우울성향 및 폭력매체요인 등이 포함되었으며 외생변수로는 가정역동적 환경변수를 설정하였다. 이들 이론 변수에 대한 측정변수는 모두 18개이다. 연구결과 : 가설적 모형설정 단계에서는 연구변수들간의 가능성 있는 인과관계를 모두 설정하여 포화모형이 이루어졌으나 p값이 0.05이상의 beta값을 보여 변수간의 인과관계에 의미가 없는 변수는 제거하거나 의미없는 통로는 폐쇄하였다. 이와같은 과정을 통하여 가설 모형에 비하여 적합도와 간명도가 보다 개선된 수정 모형을 형성하였다. 수정모형에서 제시한 결과를 보면 청소년들의 비행행동에 가장 큰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폭력매체 요인이었으며, 총체적으로 가장 큰 영향을 준 요인은 가정 역동적 환경요인이었다. 결 론 : 청소년들은 폭력매체에 대한 관심도가 높고 폭력매체에 노출되는 시간이 길고 폭력장면을 모방하고 싶은 충동이나 실제 모방횟수가 많을수록 비행(범죄)행동을 많이 하였고 가정환경이 불안정할수록 청소년들은 그들의 가정에서 파생한 욕구좌절이나 정신신체증상을 텔레비전, 라디오, 영화, 만화, 비디오 등과 같은 매체를 통하여 결국 비행행동화의 경로를 밟았다. 따라서 폭력매체 요인은 청소년들이 비행행동을 하는데 있어서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을뿐만 아니라 가정환경이나 청소년 개개인의 성격특성들에 의해서 영향받아 비행해동을 유발하는데 매개적 역할도 하였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oretical model and to build up of final modified model for explaining juvenile delinquency by media violence. Method :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 survey over a period of 2 months. The subjects served for this study consisted of 1,943 adolescents including 707 delinquent adolescents and 1,236 student adolescents in Korea, sampled from Korean student population and delinquent adolescent population in juvenile correctional institions, using proportional stratified random sampling method. But, only 537 respondents including 217 delinquent adolescents and 320 student adolescents among 1,943 that replied perfectly to questionnaires was employed for this study. In this study, exogeneous variable was family dynamic environment, and endogenous variables were character of adolescents including need satisfaction/frustration, sociability, antisocial personality tendency, complaints of psychosomatic symptoms and depressive trend, juvenile delinquent behavior and media violence themes including the extent of interest in and exposure and modelling impulsiveness and modelling to media violence themes. A total of 18 instruments were used to operationalized concepts in this model. Statistical method employed was covariance structural modelling. Results : For build up of the best fit model, the authors proceed by saturating the model that is, including an arrow for all the possible relationships among all the variables. Afterward, a progressive elimination of the nonsignificant relationships, based on the betas that did not show a p〈0.05 levels, was performed, this level was chosen for reasons of parsimony since the size of sample implied many statistically significance. The results of this analysiswere as follows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fitness of theoretical model to our data, Chi-square and goodness of fit index were identified. These results of chi-square value and fitness index score did not to be fit to the theoretical model which hypothesized the causal effect among various variables established in this study. Therefore the authors removed the endogeneous variable, sociability among character of adolescent because of being not significantly influenced on delinquent behavior for constructing the best fit model. The parsimonious best fit model included the various constructs defining family dynamic environment, need frustration, antisocial personality pattern, complaints of psychosomatic symptoms, depressive trend and media violence themes as direct paths to delinquent behavior. This final modified model yielded a very definitely improved goodness of fit indices. According to final modified model, it was revealed that the effects of media violence, complaints of psychosomatic symptoms, antisocial personality tendency on juvenile delinquency were significant positively higher. Especially, the most exerting influential variable on delinquent behavior in this model was media violence themes. The family dynamic environment also, as direct and /or indirect paths, was assumed a positive influence on juvenile delinquency as well as media violence themes. Conclusion : In brief, it was found that media violence served as the most direct contributor to juvenile delinquency. That is, as the adolescents had the higher extent of interest in and exposure and modelling impulsiveness and modelling to media violence themes, they showed the more frequency of delinquent behavior. The single most powerful contributor by total effect to the development of delinquent behavior identified in this study was the family dynamic environment. That is, as the adolescents had the more unstable family dynamic environment, they became the more frustrated to their psychological need, and revealed the more maladaptive personality pattern, consequently they behaved the higher misconducts such as juvenile delinquency through media violence.

      • 팔로워십 특성과 리더십 행동이 비행교육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구관모 ( Koo Kwan Mo ) 공군사관학교 2017 군사과학논집 Vol.68 No.1

        본 연구에서는 공군의 비행교육과정에 입과한 학생조종사를 대상으로 학생조종사의 팔로워십 특성과 비행교관의 리더십 행동이 비행교육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과 리더십 행동의 조절효과에 대해 분석하였다. 학생조종사의 팔로워십 특성은 Kelley의 측정도구를 활용하여 능동적 참여, 팀 정신, 목표일치성 지각, 비판적 사고로 분류하였고, 비행교관의 리더십 행동은 House의 경로-목표이론에서 제시된 지시적, 지원적, 성취지향적, 참여적 리더십 행동으로 구분하여 측정하였으며, 비행교육효과성은 직접적 성과로 비행교육 수료성적을, 간접적 성과로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측정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학생조종사 16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학생조종사의 목표일치성 지각은 비행교육 수료성적에 정(+)의 영향을, 능동적 참여와 목표일치성 지각, 비판적 사고는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목표일치성 지각은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비행교관의 참여적 리더십 행동은 비행교육 수료성적에 부(-)의 영향을, 지시적·성취지향적·참여적 리더십 행동은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지시적·성취지향적 리더십 행동은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비행교관의 지시적 리더십 행동은 목표일치성 지각과 비행교육 수료성적 간의 관계(+)와 조직몰입 간의 관계(+)를 조절하였고, 성취지향적 리더십 행동은 능동적 참여와 직무만족 간의 관계(-)와 목표일치성 지각과 직무만족 간의 관계(+)를 조절하였으며, 참여적 리더십 행동은 목표일치성 지각과 직무만족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공군의 비행교육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characteristics of student pilots' followership and their perceptions of flying instructors' leadership on pilot training effectiveness. Moreover, the moderation effect of flying instructors' leadership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 followership and pilot training effectiveness was also investigated. Followership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by Kelley's followership scale, classifying it into four followership dimensions such as active engagement, team mindedness, goal alignment, and critical thinking. In addition, leadership was measured by four different styles such as directive leadership, supportive leadership, achievement- oriented leadership, and participative leadership. Pilot training effectiveness was represented by a proximal indicator, pilot training performance, and also by distal indicator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o test the hypotheses, data were collected from 161 student pilots in an air force pilot training program. Results supported the positive relationship of goal alignment perception of student pilots to pilot training performance, the positive relationship active engagement, goal alignment, and critical thinking to job satisfaction, and the positive relationship of goal alignment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Results also indicated the negative relationship of flying instructors' participative leadership to pilot training performance, the positive relationship of directive leadership and achievement-oriented leadership not only to job satisfaction but also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respectively. Meanwhile, directive leadership of flying instructors moder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goal alignment of students and their pilot training performance as well as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Achievement-oriented leadership style was also found to have moderation effects between active engagement and job satisfaction and between goal alignment and job satisfaction. Finally, participative leadership had a moderating effect between goal alignment and job satisfaction. Based on these findings,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the air force pilot training were suggested.

      • KCI등재

        양육환경이 보호관찰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비행또래의 매개효과 검증

        박연재,김현경,이주영 한국청소년학회 2018 청소년학연구 Vol.25 No.10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extent to which caregiving environments influenced juvenile probationers’problem behaviors(externalizing behaviors, risky sexual behaviors, and substance use) directly as well as indirectly through deviant peer associations. The study also examined whether such developmental paths differed by gender. Two hundred twenty-nine juvenile probationers who were 13~18 years old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Findings indicated that direct effects of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on externalizing behaviors, risky sexual behaviors, and substance use were significant. Addition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adversities and juvenile probationers’ problem behaviors was significantly mediated through deviant peer associations. Multigroup analysis further indicated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in the mediating paths: the path from caregivers’ psychological control to externalizing behaviors through deviant peer associations was significant only for girls. The results showed the need to consider detrimental effects of childhood adversities and potential gender differences when designing intervention programs to prevent problem behaviors among juvenile probationers. 본 연구는 보호관찰 청소년들에 대한 주 양육자의 심리적 통제와 모니터링, 그리고 아동기 부정적 경험과 같은 양육환경이 이들 청소년의 외현화 문제행동, 위험 성행동, 그리고 약물 남용과 같은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또한 이러한 양육환경의 영향력이 비행또래와의 어울림을 매개하여 문제행동에 미치는지를 분석하고, 성별에 따라 매개경로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만 13~18세 보호관찰 청소년 229명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들의 아동기 부정적 경험은 외현화 문제행동과 위험 성행동, 약물 남용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동기 부정적 경험은 비행또래를 매개로 하여 외현화 문제행동, 위험 성행동, 약물 남용에 영향을 미쳤다. 남자의 경우, 아동기 부정적 경험은 비행또래를 매개로 하여 위험 성행동과 약물 남용에 영향을 주었고, 청소년이 지각한 양육자의 모니터링은 비행또래를 매개로 하여 위험 성행동에 영향을 주었다. 여자는 아동기 부정적 경험이 비행또래를 매개로 하여 외현화 문제행동에 영향을 주었고, 청소년이 지각한 양육자의 심리적 통제는 비행또래를 매개로 하여 외현화 문제행동과 위험 성행동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심리적 통제가 비행또래를 매개로 하여 외현화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는 유의한 성차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보호관찰 청소년을 위한 개입에 고려되어야 하는 요인들을 확인할 수 있었고, 개입 방안이 성별에 따라 달라져야함을 보여주었다.

      • 한국청소년 음주 및 약물남용과 비행행동간의 상관관계

        김헌수,김현실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2 신경정신의학 Vol.41 No.3

        연구목적: 청소년 음주 및 약물남용과 비행행동간의 상관관계 및 관련 제 변수간의 경로를 규명함으로써 향후 청소 년의 비행·범죄행동 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함이다. 방 법: 본 연구는 횡단적(cross sectional), 대단위 실태조사(mass survey)연구이며 연구 대상으로는 비례층 화 표본추출법을 적용하여 학생청소년 1,192명과 비행·범죄 청소년 843명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 서는 비행행동의 원인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비행행동을 종속변수로 음주(Ⅰ, Ⅱ), 흡연 및 약물남용 을 매개변수로 설정하였으며 인구사회학적 특성(성별, 연령), 가정 역동적 환경 및 성격특성을 독립변 수로 설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SAS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사용한 통계방법은 Chi-square, t 검정 및 경로분석법 등이다. 결 과: 1) 비행 청소년은 학생 청소년과 비교하여 보다 역기능적 가정환경과 부적응적 성격적 특성을 보였다. 2) 비행청소년은 학생 청소년에 비해 흡연·음주량 및 약물남용도가 높았으며 특히 여러 종류의 약물을 남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흡연 이유 면에서 비행청소년은 또래관계의 유지를 위해, 무료함을 달래 기 위해, 니코틴 중독으로 흡연하는 반면 학생청소년은 단지 긴장감을 풀기 위해 흡연하는 경우가 많았으 며 담배를 끊기 위한 시도도 비행청소년은 학생청소년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알코올 및 약물사용 이유에 있어서도 비행청소년은 친구가 하니까 나도 따라서, 호기심에, 성적충동을 느끼기 위해 복용하는 반면 학 생청소년은 신체적 고통을 덜기 위해 복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3) 청소년의 비행행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반사회적 성격양상, 약물남용, 흡연, 성별, 부 모-자녀 관계 및 정신신체 증상호소성향의 순으로 나타났다. 매개변수인 흡연, 음주 및 약물 남용 등은 청소년의 비행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청소년 비행 및 폭력행동 예방전략을 위해서는 흡연·음주 및 약물남용에 대한 대책과 함께 분출구가 없는 청소년의 반사회적 성향이나 공격성을 순화시킬 수 있는 대안제시가 필요하다고 본다. Objectives: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relationship between sex, age, family dynamic environment, personality, smoking, alcohol drinking, substance abuse and delinquent behavior, and to determine the extent of influence of alcohol drinking and substance abuse on delinquent behavior among Korean adolescents. Method:The research design of this study was cross-sectional, nation-wide survey. Data collection was done through questionnaire surve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consisted of 1,948 adolescents including 784 delinquents and 1,164 students in Korea, selected by proportional stratified random sampling method. In this study, independent variables were sex, age, family dynamic environment. Intermediating variable was smoking, alcohol (I, II), drug abuse. Dependent variable was delinqu-ent behavior. The Cronbach’s Alpha of the instruments using in this study ranged from 0.63 to 0.93. Statistical methods employed were Chi-square, t-test and path analysis. Results: 1) The delinquent adolescents were reared in more dysfuntional family dynamic environment, and have higher maladaptive personalities than the student adolescents. 2) The delinquent adolescents were larger users of smoking, alcohol and drug than the student adolescents. 3) Powerful contributory variables on delinquent behavior were:antisocial personality, tendency, drug abuse, smoking, sex difference, psychosomatic symptoms II and parent-child relationship of adolescents in their order. Conclusion:Our findings indicated that alcohol drinking and drug abuse were the powerful contributing variables to delinquent behavior, but family dynamic environment, personality of adolescents, especially antisocial personality tendency, depressive trend, were related to drug use and deviance

      • KCI등재후보

        생의 의미와 청소년 비행과의 관계

        김영희,강혜원 아시아교정포럼 2010 교정담론 Vol.4 No.2

        본 연구는 생의 의미와 청소년 비행 간의 관계를 탐구하여, 청소년 비행을 줄이거나 예방하는 중요요인으로 생의 의미의 활용가능성을 탐색하려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사용변인은 생의 의미와 비행성향 및 비행행동이었다. 대상은 경기도 소재 중고등학교에 재학하는 남녀 학생 602 명이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의 의미수준은 성별 차이는 없으나 학교급간 차이가 있었는데 중학생보다 고등학생의 생의 의미가 더 낮았다. 둘째, 비행성향은 성별, 학교급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셋째, 비행행동은 학교급간 차이는 없었으나 성별 차이가 있었는데, 여학생에 비해 남학생이 비행행동을 더 많이 하였다. 넷째, 생의 의미와 비행성향 및 행동 간에는 유의미한 관계가 있었는데, 생의 의미수준이 높은 학생들이 생의 의미수준이 낮은 학생들에 비해 비행성향과 비행행동이 더 낮았다. 연구결과를 통해 비행성향과 행동을 낮추거나 예방하기 위해 생의 의미수준을 높이는 것의 중요성이 논의되었다. 그리고 생의 의미 중 어떤 측면이 청소년 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가를 규명하는 연구와 청소년의 생의 의미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이 제안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