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메이크업관심도에 따른 비비크림소비특성에 관한 조사

        김미영(Mi Young Kim),정재윤(Jae Yoon Chu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1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17 No.4

        비비크림은 블래미쉬 밤(Blemish Balm)이라고 하여 박피나 필링 등의 피부시술 후 자극 받은 피부를 진정시키고 보호하기 위해 만들어진 제품이었지만, 요즘은 동안과 쌩얼 메이크업이 화두가 되면서 피부색 보정, 자외선차단 등 다양한 기능이 합쳐지면서 점차 보편화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많은 소비와 신상품 홍수 속에서 현재 비비크림은 화장품의 분류에서 분류되는 정식기준이 없는 실정이며 이는 소비자가 정확한 선택을 할수 없게 하고 잘못된 정보 전달로 피부문제의 원인이 예상되므로 비비크림에 대해 점검해 볼 필요성이 제기 되어 진다. 이에 따른 피부인지도, 메이크업관심도와 메이크업 관심도에 따른 비비크림의 인지도, 비비크림 소비성향을 살펴보고 본 연구를 바탕으로 효율적인 화장품개발방향제시와 기초 자료와 연구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연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보고 피부인지도, 메이크업관심도, 메이크업관심도에 따른 비비크림인지도, 비비크림소비특성에 관하여 분석한다. 자료 수집은 문헌연구와 통계 자료, 선행논문과 기타자료를 이용하여 서울 및 경기지역에 거주하는 20-50대 성인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조사기간은 2011년 6월3일부터 17일까지 설문지법을 사용하였다. 조사자가 직접 회수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 분석은 데이터 코딩 (Deta Cording)과 데이터 크리닝(Deta Cleaning)을 거쳐 유의수준 5%에서 검증하였으며, 통계처리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과 피부인지도, 메이크업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 둘째, 비비크림 사용실태와 비비크림 구매에 대한 각 문항의 신뢰도 검사를 실시하여 문항간의 신뢰도는 Cronbach`s α의 계수로 판단하였다. 셋째, 메이크업관심도는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고, 넷째, 메이크업관심도에 따른 비비크림 인지도, 사용실태, 구매행동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카이스 케어 검정(x2)과 일원변량분석과 Scheffe의 다중범위검정을 통하여 p<.05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검정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특성으로는 20대와 30대의 응답률이 높았고, 성별은 여성이 많았고, 월평균 화장품구입에 지출하는 비용으로는 10만원 이상-15만원 미만 75.0%로 가장 많았다. 둘째, 메이크업관심도의 평균은 3.06으로 나타났으며, 메이크업의 특성은 평소 메이크업의 단계는 립, 아이, 볼의 전체색조까지가 가장 많았고, 메이크업의 목적은 만족과 자신감을 위해서가 가장 많았고,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품목으로는 베이스메이크업이 가장 많았다. 셋째, 피부인지도를 살펴본 결과는 피부타입은 지성이 34.5%로 가장 많았고, 건성 23.8%, 피부고민은 트러블, 여드름 34.1%, 주름, 탄력 27.1%, 외출 시 사용하는 기초화장품의 수는 6-7개가 39.0%로 가장 많았고, 외출 시 포인트 메이크업단계 전까지 바르는 베이스메이크업 화장품의 수는 4-5개가 60.4%로 가장 많았고, 일주일에 메이크업을 하는 횟수는 4-5회가 47.3%로 가장 많았고, 사용하고 있는 기능성화장품의수는 5개 이상 38.7% 이었다. 넷째, 메이크업관심도에 따른 비비크림 인지도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비비크림의 인지도는 메이크업 관심도가 중간 그룹, 높은 그룹, 낮은 그룹 순서로 비비크림에 대한 인지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메이크업에 대한 관심이 낮은 그룹의 경우 비비크림에 대한 인지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메이크업관심도에 따른 화장품 품목 상 비비크림 분류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색조 메이크업제품으로의 분류가 메이크업 관심도가 높은 그룹은 64.4%이다. 여섯째, 메이크업관심도에 따른 비비크림의 사용실태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현재 비비크림 사용유무와 비비크림 사용하기 전 과거 파운데이션 사용유무, 비비크림 사용 후 피부부작용 경험, 비비크림사용 후 베이스메이크업(메이크업베이스, 파운데이션, 컨실러 등) 사용유무에서 메이크업관심도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메이크업관심도에 따른 비비크림 구매행동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비비크림 구매행동의 지난 1년간 비비크림 구매경험과 피부타입 고려, 한 가지 컬러의 비비크림, 기능성인증여부 확인, 비비크림 재구매 의향에서 메이크업관심도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메이크업관심도는 비비크림의 소비특성 즉, 사용실태와 구매행동에 영향을 주며 이에 따른 메이크업의 다양한 효과와 방법제안에 반영될 수 있다. Because of be said to is being the Blemish Balm, the BB cream was the product which is made in order to calm down and protect the skin receiving impetus on after the skin surgical operation including the peeling or filling, and etc. However, while the various function including the complexion correction, anti-ultraviolet, and etc. was merged since the face and spirit makeup which it seems to be young became the topic, it was gradually generalized. In many consumption and new product in floods, since the cause for the skin trouble is expected due to the information delivery which is wrong that BBcream is the actual condition without the formal standard classified in the classfication of the cosmetics and the consumer as to this, chooses the exact choice, the necessity to the object of this research checks the BB cream is raised. The skin recognition according to this tries to be helpful to the cosmetics development direction guidance efficient, basic data and research based on the research that it looks into the recognition of the BB cream according to the makeup concern degree and makeup concern degree and BB cream propensity to consume. The method of study looks in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 of the research subject and analyze about the BB cream consumption characteristic whether it is the makeup concern degree and BB cream according to the makeup concern degree whether it is the skin or not or not. The data acquisition selected against the 20-50th adult which lives in Seoul and Kyonggi area by using the library research and statistics and preceding essay and extra data and the investigation period used the questionnaire method from June 3rd in 2011 until 17th. Directly the researcher collected. And collected analysis of data were verified in the significance level 5% through data coding and data cleaning. And by using the statistic processing SPSS WIN 18.0 program, they analyze. First, whether it was the general characteristic of the research subject and skin or not carried out the reliability inspection of each item about the BB cream reality of usage and BB cream purchase and determined the reliability of the between inquiry as the coefficient of the Cronbach`s with the frequency analysis and second in order to look into the makeup characteristic. Third, the makeup concern degree performed th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It was the BB cream according to the makeup concern degree, even whether it approved the meaningful difference with the fourth through the multiple range test of (x2) and one-way ANOVA of variance and Scheffe in the p<.05 in order to look into the reality of usage and difference of the purchasing behavior. In short, it is the research result equal to the next. First, the response rate of 20 and 30 was high for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 The sex had a lot of the woman. It was the most abundant as the cost expended on the monthly average purchase cosmetics with 100,000 circle over -1510,000 circle less than 75.0%. Second, the average of the makeup concern degree showed up as 3.06. And the characteristic of the makeup the step of the makeup was the most abundant till the rib, child, and total tint of the ball usually. The object of makeup was the most abundant in the satisfaction and self confidence. The base makeup was the most abundant as the item occupying the large-scale specific gravity. Third, the intellectual strength as to result, of looking into the skin recognition as to skin type, was the most abundant as 34.5%. Used when the trouble, pimple 34.1%, wrinkle, and elasticity 27.1% the dryness 23.8% and worries about skin went out, 6-7 was the most abundant as 39.0%. When it went out, 4-5 the is straight before the step point make-up number of base makeup cosmetic was the most abundant as 60.4%. 4-5 times as to times, made up on a week were the most abundant as 47.3%. The number of used functional cosmetic was 38.7% over 5. Forth, the makeup concern degree showed up as the medium group

      • KCI우수등재

        ‘비비다’의 다의성과 의미 변화

        전기량 국어학회 2025 국어학 Vol.- No.113

        이 글은 동사 ‘비비다’의 다의성과 의미 확장에 대해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것이다. ‘비비다’의 의미 변화 양상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비비다「1」은기본 의미로 ‘문지르다’를 의미한다. 둘째, ①비비다「2」(뭉치다)는 비비다「1」의문지르는 행위의 결과가 어휘 의미로 굳어진 것이다. ②비비다「3」(비집다)은 비비다「1」의 문지르는 행위가 행위주 자신에게 적용되며 의미가 확장된 것이다. 셋째, 17세기 이후 등장한 ‘비비다’의 새로운 용법들은 비비다「1」, 비비다「2」, 비비다「3」에서 파생되었다. ①비비다「4」(간청하다)는 두 손을 맞대고 문지르는 행위에서 비롯된 것이다. ②신적 존재를 향한 경우에는 ‘소원을 빌다’, 권력자를 향한경우에는 비비다「5」(아부하다)로 의미가 확장되었다. ③비비다「6」(섞다)은 ‘서로 다른 것을 하나로 합치는 과정’이라는 점에서 비비다「2」와 관련이 있다. ④비비다「7」(부대끼다)은 비비다「3」에서 발달한 것으로 좁은 공간에서 사람 간의 부대낌을 나타내는 의미로 확대된 것이다. ⑤비비다「8」(버티다)은 ‘좁은 공간’에서느끼는 불편함과 고통스러움이 ‘어려운 상황’으로 추상화된 결과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semantic expansion of the Korean verb Bibida by analyzing its patterns of meaning change based on historical data from the 15th to the 20th century. Bibida「1」 originally carried the basic meaning of ‘to rub an object with one’s hand.’ Bibida「2」 (‘to clump’) emerged as the lexicalization of the result of the rubbing motion in Bibida「1」. Bibida「3」 (‘to push through a narrow space’) developed as an extension of Bibida「1」, where the rubbing action was applied to the agent’s own body, shifting the meaning. The meanings that emerged after the 17th century were derived from these earlier senses. Bibida「4」 (‘to plead’) originated from the act of rubbing one’s hands together and extended its meaning to ‘pray’ when directed toward a deity and to Bibida「5」 (‘to flatter’) when directed toward a person of higher status. Bibida「6」 (‘to mix’) shares a conceptual link with Bibida「2」 in that it involves blending different elements. Bibida「7」 (‘to come into friction with others’) developed from Bibida「3」, where the experience of rubbing against a narrow space was metaphorically extended to human interactions in confined spaces and eventually to the abstract concept of coexisting with others. Finally, Bibida「8」 (‘to endure’) resulted from the abstraction of discomfort and pain experienced in confined spaces into a more generalized notion of enduring adversity.

      • KCI등재

        <고성오광대> 비비놀음 속 공동체 의식 — 단락 구조와 대사 분석을 중심으로 —

        김민경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24 고전과 해석 Vol.44 No.-

        본고에서는 <고성오광대>의 비비놀음이 풍자나 화합 외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보고, 단락 구조와 대사를 분석함을 통해 비비놀음이 갖는 의미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정체를 알 수 없어 두려운 모호한 존재로 등장한 비비는, 포식자이자 부식자로서의 이미지 를 구축한다. 또한 비비와 양반이 대립하는 모습을 통해 비비와 양반의 전통적 위치를 뒤바뀜과 양반이 자신을 비비의 조상이라고 선언함으로써 두 캐릭터의 특징과 관계가 모 호하고 잡종적인 것이 된다. 양반의 거짓말은 자신을 비비의 위치로 격하하는 것이면서 자신의 생존을 꾀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 생존을 통해 양반은 비비가 가지고 있는 모호함, 비비의 소화력에서 비 롯한 생산력을 더하여 잡종적인 존재가 된다. 비비도 마찬가지로 양반의 말을 진실로 믿 으면서 양반에 대한 부정적인 관념을 입으며 잡종성을 갖는다. 이들의 이러한 섞임은 양반의 거짓말과 비비의 속음에 의해서 발생한다. 또한 거짓말과 속음은 친족 공동체에 관 한 금기, 즉 친족은 먹지 않는다는 금기를 지키고자 함이다. 거짓말과 속음의 공모로 만들어진 공동체는 다정하거나 따뜻하지 않지만, 금기를 지키고 배타적이었던 비비와 양반을 공존할 수 있는 존재로 거듭나게 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3rd act Bibi-Noreum in <Goseong Ogwangdae>, arguing that it carries a deeper significance than simple satire or harmonious interaction with Yangban. Through a paragraph structure and dialogue analysis, this paper seeks to elucidate the implicated meaning of the Bibi-Noreum. This act can be divided into four sections, each defining the existence of Bibi and Yangban, and also their relationship. Chapter 2 presents an analysis of the meanings within each section. Initially, Bibi appears as an ambiguous, fearsome figure that comes from its unknown identity. In the first section, Bibi establishes an image as a formidable predator. And from that Bibi gets a powerful image of production. In the second section, the confrontation between Bibi and Yangban reverses their traditional positions. However, in the third section, Yangban declares himself to be an ancestor of Bibi, leading to an ambiguous intermingling of the characters‘ p rev iously e stablished traits and relationship. By this moment, they become hybrid. Chapter 3 investigates the cause and implications of this ambiguitious blending. Yangban’s lie is both serving as a strategy for his survival and simultaneously lowering him to Bibi’s class, thereby transforming his characteristics. This survival effort enables Yangban to embody Bibi’s ambiguity, and assimilate Bibi’s productive energy, ultimately granting Yangban an image of increased productive power. Similarly, Bibi, in accepting Yangban‘s statements as truth, acquires a negative perception associated with Yangban. This blending is made possible by Yangban’s lie and Bibi’s credulity, rooted in a shared taboo on kinship, particularly the rule that “kin do not eat each other.” The collusion between lie and deception forms a Yangban and Bibi’s community. Though lacking in warmth or affection, this community is meaningful in enabling their mutual coexistence, however ambiguous it may be.

      • KCI등재후보

        클린룸 산업의 현황과 성공요인에 대한 연구

        배일현(Bae, Il-Hyun) 한국문화산업학회 2015 문화산업연구 Vol.15 No.1

        반도체산업과 같은 국내기술의 발전으로 클린룸(clean room) 산업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클린룸기술 분야에서 오로지 “최고의 기술력을 확보하여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이념으로 고객만족을 실천하고 있는 ㈜비비테크의 성공사례를 분석하고자 연구되었는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비비테크는 대표이사의 경영철학이 기업의 지속적인 성장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 ㈜비비테크는 대표이사의 경영능력과 의사결정이 중소기업에게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셋째, 종업원에 대한 아낌없는 투자이다. 즉, ㈜비비테크는 종업원에게 근무여건 향상 및 교육을 제공하여 종업원의 만족도를 높이고 있다. 넷째, 연구개발에 대한 아낌없는 투자이다.㈜비비테크의 고객기업인 반도체 산업의 경우 기술발전속도가 매우 빠르다. 비비테크는 이러한 상황을 파악하여 끊임없는 기술개발로 많은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비비테크는 중소기업임에도 불구하고 CSR(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활동을 통해 기업의 이윤을 사회에 환원하고 있다. 이는 종업원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기업에 대한 소속감을 높이고 또한 이를 통해 기업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강소중소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와 같은 ㈜비비테크의 성공요인은 기술력으로 승부하려고 하는 중소기업에게 의미하는 바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겠다. As technology is developing, the demand of cleanroomis increasing steadily. A cleanroomindustry was introduced to Koreamore than 30 years ago. This industry requires advanced technical skill and precision work of highest order. In this area, BB Tech Co. Ltd. become a one of the best excellent company among medium and small sized enterpris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at provide a significant implication through analyze the case of BB Tech Co. Ltd.We find some significant implications tomediumand small sized enterprise. Those are as follows. First. CEO of BB Tech Co. Ltd., Sung Youl-Hak, has a great management philosophy. So, this made employers to devoted themselves to company. Second, CEO of BB Tech Co. Ltd., Sung Youl-Hak also has an management ability to grasp market situation rightly. So, BB Tech Co. Ltd has been developed since the foundation. Third, generous investment of employer education and R&D are an another key success factor. These are connected to profit of company. Finally, BB Tech Co. Ltd is devoted to giving back to the community not only by donating money to charity every time but by volunteering his time aswell. As a result, image of BB Tech Co. Ltd continues to improve. In conclusion, this study found management philosophy and management ability to grasp market situation of CEO are very important to mediumand small sized enterprise. And, generous investment on employer education and R&D are also key success factor in cleanroomindustry. Additionally, this study found that CSRmakes company to improve image of companymediumand small sized enterprise. 반도체산업과 같은 국내기술의 발전으로 클린룸(clean room) 산업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클린룸기술 분야에서 오로지 “최고의 기술력을 확보하여 최상의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이념으로 고객만족을 실천하고 있는 ㈜비비테크의 성공사례를 분석하고자 연구되었는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비비테크는 대표이사의 경영철학이 기업의 지속적인 성장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 ㈜비비테크는 대표이사의 경영능력과 의사결정이 중소기업에게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셋째, 종업원에 대한 아낌없는 투자이다. 즉, ㈜비비테크는 종업원에게 근무여건 향상 및 교육을 제공하여 종업원의 만족도를 높이고 있다. 넷째, 연구개발에 대한 아낌없는 투자이다.㈜비비테크의 고객기업인 반도체 산업의 경우 기술발전속도가 매우 빠르다. 비비테크는 이러한 상황을 파악하여 끊임없는 기술개발로 많은 특허를 보유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비비테크는 중소기업임에도 불구하고 CSR(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활동을 통해 기업의 이윤을 사회에 환원하고 있다. 이는 종업원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기업에 대한 소속감을 높이고 또한 이를 통해 기업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강소중소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와 같은 ㈜비비테크의 성공요인은 기술력으로 승부하려고 하는 중소기업에게 의미하는 바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겠다. As technology is developing, the demand of cleanroomis increasing steadily. A cleanroomindustry was introduced to Koreamore than 30 years ago. This industry requires advanced technical skill and precision work of highest order. In this area, BB Tech Co. Ltd. become a one of the best excellent company among medium and small sized enterpris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at provide a significant implication through analyze the case of BB Tech Co. Ltd.We find some significant implications tomediumand small sized enterprise. Those are as follows. First. CEO of BB Tech Co. Ltd., Sung Youl-Hak, has a great management philosophy. So, this made employers to devoted themselves to company. Second, CEO of BB Tech Co. Ltd., Sung Youl-Hak also has an management ability to grasp market situation rightly. So, BB Tech Co. Ltd has been developed since the foundation. Third, generous investment of employer education and R&D are an another key success factor. These are connected to profit of company. Finally, BB Tech Co. Ltd is devoted to giving back to the community not only by donating money to charity every time but by volunteering his time aswell. As a result, image of BB Tech Co. Ltd continues to improve. In conclusion, this study found management philosophy and management ability to grasp market situation of CEO are very important to mediumand small sized enterprise. And, generous investment on employer education and R&D are also key success factor in cleanroomindustry. Additionally, this study found that CSRmakes company to improve image of companymediumand small sized enterprise.

      • KCI등재

        에콰도르 코레아(Correa) 정권과 부엔 비비르(Buen Vivir)

        서지현 한국환경사회학회 2023 환경사회학연구 ECO Vol.27 No.1

        Buen vivir is a concept that originates in the philosophy of life of the various indigenous peoples living in the Andes and Amazon regions of Latin America, and the indigenous peoples have called ‘full life’ by different terms. Since the mid-1980s, when European anthropologists interested in those indigenous peoples began to translate these terms into the Spanish word Buen Vivir, the early concepts have begun to take shape. However, Buen Vivir, which has gained worldwide attention at the turn of the 21st century, can be understood as a transitional development paradigm formed by various national and international alternative eco-social futures that go beyond a philosophy of life limited to indigenous peoples. Against this backdro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goals and practice methods of Buen Vivir under the Rafael Correa regime in Ecuador, which was adopted as a new development paradigm. It also analyses problems and dilemmas the regime faced in the process of carrying them out. Correa, who was elected with the support of indigenous movements and ecologists who have been leading discussions of alternative development within Ecuadorian society since the 1980s, embraced Buen Vivir as a new development paradigm when he came to power. The regime set Buen Vivir’s goal as to seek alternatives to established politics and neoliberal development, but in the actual process of practice, various social forces disagreed over various goals and methods of practicing Buen Vivir. This study examines the practice of Buen Vivir under the Correa regime and derives implications for various alternative development paradigms. 부엔 비비르(Buen vivir)는 라틴아메리카의 안데스와 아마존 지역에 사는 다양한 원주민의 삶의 철학에 기원하는 개념으로, 원주민 종족들은 ‘충만한 삶’을 각기 다른용어로 불렀다. 1980년대 중반 이후 이 지역 원주민들의 삶의 철학과 우주관에 관심을 가진 유럽의 인류학자들에 의해 이들 용어가 스페인어인 부엔 비비르로 번역되기 시작하면서 초기 개념이 형성되기 시작했다. 하지만 21세기 접어들면서 전 세계적인 주목을 받게 된 부엔 비비르는 원주민에게 제한된 삶의 철학을 넘어 대안적인 생태-사회적 미래에 대한 다양한 국내외적 논의가 원주민의 삶의 철학과 상호 영향을 주고 받으며 형성된 전환적 발전 패러다임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새로운 발전 패러다임으로 부엔 비비르를 채택한 에콰도르의 라파엘 코레아 정권이 어떤 목표와 실천 방식으로 부엔 비비르를 실천하고자 했으며, 그 과정에서 어떤 문제와 딜레마를 드러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1980년대 이후 에콰도르 사회 내에서 대안적 발전 논의를 주도해온 원주민 운동과 생태주의자들의 지지를 업고 당선된 코레아는 집권과 함께 부엔 비비르를 새로운 발전 패러다임으로 수용했다. 정권은 기성 정치와 신자유주의 발전에 대한 대안을 모색하는 것을 부엔 비비르의 목표로 두고 이를 실천하고자 하였으나, 실제 실천 과정에서 여러 세력과 부엔 비비르에 대한 목표와 실천 방식을 두고 이견을 보이면서 사회 분쟁 등의 한계를 드러냈다. 본 연구는 코레아 정권하 부엔 비비르의 실천에 대한 분석을 통해 대안적 발전패러다임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비물질적 신체의 중첩과 사회적 공연 - 실감미디어와 <비비런BBRUN> -

        장성권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5 인문사회과학연구 Vol.68 No.1

        본 연구는 ANT의 관점에서 국립아시아문화전당에서 열린 <비비런>을 분석한다. 이를 위해 과학인류학자 브뤼노 라투르의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을 바탕으로 <비비런>의 창제작 과정을 초점화해 인간-비인간 행위자들의 연결성과 새로이 구성되는 상황을 포착하고 행위자들간에 상호작용하는 방식들을 살피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문화예술 기관과 제도 그리고 실행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복합적인 연결망은 창제작이 일종의 복합적인 상호과정에 의한 결과라는 것을 논의한다. 이를 라투르의 번역 개념을 도입해 행위자들 사이에 이루어진 상호작용을 확인하고 이 과정에서 상호의존의 맥락과 현실적인 것과 가상적인 것의 연결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설명한다. 또한 기존의 미학적 규범을 초과하는 예술과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결합이 생성하는 새로운 ‘문제’를 포착함으로써, 예술과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결속이 이뤄내는 성취가 재난에 긴급하게 대응하는 원리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에서는 <비비런>이 작가―작품―관객·독자로 이루어진 전통적인 미학적 원리의 각 항목에 개입하는 테크놀로지를 기입함으로써, 전통적인 ‘작가’나 ‘작품’, ‘관객’의 위상을 네트워크로 ‘배치’하고 일방적인 ‘위계’로 메시지가 전달되는 게 아니라 지속적인 상호작용의 과정을 통해서 콘텐츠가 변형되고 있음을 드러낸다. 이러한 상호작용의 네트워크는 첫째, 국가기관의 예술 제도의 네트워크가 있다. 둘째, 창제작 과정에서 이뤄지는 행정과 예술가 그리고 테크니션 네트워크가 있다. 셋째, 창제작된 결과물을 경함하고 수행하는 관객성의 네트워크가 있다. 이 네트워크에서는 관객-신체-감각의 디지털 변형이 이뤄지며, 이런 변형 자체를 조건짓는 Covid-19 체제가 각각의 네트워크에 동시적으로 기입되어 상호작용하게 된다는 것이다. <비비런>은 Covid-19와 같은 ‘우연’적인 환경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창제작된 결과물에 대한 관객들의 경험은 원하는 방향으로 가지 않는다는 것을 주지시킨다. 역설적으로 이런 사실 때문에, 디지털 테크놀로지가 ‘주체’가 되는 것이 불충분하다는 ‘감각’을 제시할 여지를 남기게 된다. 이는 전통적인 미학적 경험으로 <비비런>의 경험을 환원해버릴 위험을 남기는 ‘요인’이 된다. 상호작용하는 네트워크 속에서의 경험이 아니라, 인간 주체 자체의 신체와 감각을 특권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특징들은 테크놀로지를 수반한 예술이 인간-주체, 기술-객체라는 이원론적 구도가 아닌 인간과 기계, 인간과 자연이 서로 소통하는 행위자로서 새로운 형태의 예술적 경험을 창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production of <BBRUN> at the National Asian Culture Center from the perspective of ANT. Drawing on scientific anthropologist Bruno Latour's Actor-network theory, this study focuses on the production process of <BBRUN> to capture the connectivity of human and non-human actors, the newly constructed situations, and the ways in which actors interact with each other. Specifically, we discuss the complex network of connections between cultural institutions, systems, and practices, and argue that creative production is the result of a complex interactive process. We introduce Latour's concept of translation to identify the interactions between actors and explain that this process creates a context of interdependence and a connection between the real and the virtual. By capturing the new 'problems' created by the combination of art and digital technology that exceeds existing aesthetic norms, it shows that the achievements of the combination of art and digital technology can become a principle for urgent response to disasters. This study shows that by listing the technologies that intervene in each of the traditional aesthetic principles of author-artwork-viewer-reader, <BBRUN>'rearranges' the traditional positions of 'author', 'artwork', and 'audience' into a network, and reveals that content is transformed through a process of continuous interaction, rather than a unilateral 'hierarchy' of messages. These networks of interaction include, first, the network of the art system of state institutions. Second, there is a network of administrators, artists, and technicians in the creative process. Thirdly, there is the network of spectatorship, which is the contemplation and performance of the created product. In this network, the digital transformation of the audience, body, and senses takes place, and the Covid-19 system that conditions this transformation itself is simultaneously entered into and interacts with each network. <BBRUN> reminds us that the audience's experience of the resulting product is not always what we want it to be, due to the interaction of 'accidental' circumstances such as Covid-19. Paradoxically, this fact leaves room for digital technology to present a 'sense' of inadequacy in being a 'subject'. This is a 'factor' that leaves the risk of reducing the experience of <BBRUN> to a traditional aesthetic experience. It can privilege the human subject's own body and senses, rather than the experience of being in an interactive network. These features are significant in that art that involves technology creates a new form of artistic experience in which humans and machines, humans and nature are actors wh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rather than the dualistic constructions of human-subject and technology-object.

      • KCI등재

        비비례 감쇠시스템의 해석을 위한 효율적인 모드 중첩법

        조상원,조지성,이인원 한국지진공학회 2000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Vol.4 No.1

        본 연구에서는 비비례 감쇠시스템을 효율적으로 해석할 수 있도록 모드 가속도법(mode acceleration method)과 모드 절삭 보강법(modal truncation augmentation method)을 확장하고 그 사용성을 검증하였다,. 비례 감쇠시스템의 동응답해서에 널리 사용되는 모드 가속도법과 모드 절삭보강법은 누락된 고차모드의 영향을 보정하여 모드 중첩법의 결과를 개선하는 방법이다. 기존의 방법들로 비비례 감쇠시스템을 해석하는 경우 비비례 감쇠특성을 무시하지 않으며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해석할 수 있도록 모드 가속도법과 모드 절삭보강법을 확장하였다. 비례 감쇠시스템에서는 모드 가속도법보다 모드 절삭보강법이 더 효율적인 반면에 비비례 감쇠시스템에서는 대부분의 경우에 있어서 확장된 두 방법의 효율성이 동일하다. 그러나 수치적 안정성은 확장된 모드 가속도법이 모드절삭 보강법보다 우수하다. 이와 같은 확장된 모드 가속도법과 모드 절삭보강법의 사용성 검?을 위해서 이론적 방법과 수치예제를 수행하였다.

      • KCI등재

        ser-M 모델 기반 글로벌 K-푸드 브랜드 확장 전략에 관한 연구- 비비고 사례를 중심으로 -

        이형진,하수경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24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22 No.2

        K-푸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K-콘텐츠의 활성화와 시너지를 내며 다양한 한국의 음식이 국내·외 메스컴을 통해 소개되고 있다. CJ제일제당의 ‘비비고’는 이러한 K-푸드 열풍의 대표 브랜드로, 식품산업이라는 제한된 영역에서 문화라는 소프트파워와 융합하여 시너지를 창출하여 글로벌화에 성공적으로 안착한 브랜드로 평가받는다. 이에 본 연구는 ‘비비고’의 글로벌 브랜드 확장전략을 ser-M 모델을 기반으로 분석하여 브랜드 성장 과정에 따른 브랜드경영 메커니즘의 변화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 결과 최고경영자(S)는 글로벌화에 대한 강력한 의지 아래 ‘한식의 세계화’라는 미션 달성을 최상위 목표로 설정하였다. 기존에 없던 한식 외식사업(R)의 해외 중심 확장을 목표로 2010년 ‘비비고’를 론칭(launching)하였으나, 당시 환경(E)은 한식 문화에 대한 인식이 미흡한 상태였다. 이에 국내시장(E)으로 눈을 돌려 전략적으로 ‘만두’(R)제품의 혁신을 통해 한국시장에서 피보팅(pivoting)을 시도하였다. 여기에 영화, 음악, 스포츠 등 K-콘텐츠의 활성화(E)는 비비고의 문화마케팅에 자연스럽게 흡수되었다. 이러한 자원혁신형 메커니즘을 통한 브랜드 전략은 비비고의 비약적 성장의 발판이 되었다. 본 연구는 비비고의 브랜드 경영 차원의 주체, 환경, 자원별 변화 과정을 살펴보고 메커니즘 관점에서 분석했다는 점에서 차별성이 있다. 향후 다양한 분야에서 자원의 창조 또는 혁신을 통해 글로벌화를 추진하고자 하는 기업들에게 본 사례에서 제시된 주체, 환경, 자원의 상호작용과 메커니즘을 고려하여 브랜드 전략을 수립하고 실행하는데 본 연구가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increasing interest in K-Food, coupled with the activation of K-Contents, has led to the introduction of various Korean cuisines. CJ CheilJedang's 'Bibigo' stands out as the epitome of this K-Food trend, recognized for successfully integrating culture, the software aspect, with the food industry, to create synergy and establish itself as a globally successful brand. Analyzing Bibigo's global brand expansion strategy based on the ser-M model, this study examined the evolution of distinct brand management mechanisms throughout its growth process. The CEO set the goal(S) as achieving the mission of "globalizing Korean food". In 2010, "Bibigo" was launched with the goal of expanding overseas-focused Korean dining(R) which did not exist before, but the market(E) at that time was insufficient in terms of awareness of Korean culture. Therefore, they tried pivoting the market to domestic(E) by innovation in the "Mandu"(R). The activation of K-content such as movies, music, and sports was naturally absorbed into Bibigo's cultural marketing, and this resource innovation mechanism-based brand strategy became the foundation for Bibigo's exponential growth. This study is distinguished by its examination of the changes in subjects, environments, and resources at the brand management level of Bibigo and its analysis from a mechanism perspective. It is anticipated that this research could be beneficial for companies aiming to promote globalization through resource creation or innovation in various fields.

      • KCI등재

        기후위기 시대 전환 담론과 추출주의의 딜레마: 에콰도르 북부 아마존의 사례

        서지현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22 아태연구 Vol.29 No.4

        최근 기후위기와 관련해 국내외에서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는 전환 논의는 그동안의 발전 방식(혹은 모델)의 전환에 주목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논의를 우리나라보다 먼저, 그리고 적극적으로 진행해온 라틴아메리카의 에콰도르 사례에 주목한다. 특히 1990년대 이후 원주민 운동을 중심으로 천연자원 개발에 근거한 주류 발전 방식에 대한 전환 담론으로 ‘부엔 비비르(Buen Vivir)’ 담론이 형성되었다. 이후 라틴아메리카에서 주류 발전 모델에 대한 다양한 대안을 포괄하는 용어로 발전하였다. 한편, 에콰도르에서는 2007년 집권에 성공한 라파엘 코레아 정권이 부엔 비비르의 개념에 근거하여 신헌법을 제정하고 다양한 대안 정책을 시행했다. 본 연구는 에콰도르의 부엔 비비르 담론과 그 실천을 에콰도르 북부 아마존의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한다. 시민 사회가 탈석유 발전을 부엔 비비르 담론의 급진적 실천안으로 제안했던 반면, 코레아 정권은 현실 정치에서의 다양한 이해관계를 고려한 단계적 실천 과정에서 탈석유 발전과 추출주의 사이의 딜레마를 노정했다. 에콰도르의 전환 담론과 실천 과정에서의 딜레마를 분석함으로써 본 연구는 기후위기 시대 전환에 대한 함의를 도출한다. In recent times, the transition discussions that have been actively developing at home and abroad in relation to the climate crisis are focusing on the transformation (or transition) of the development model. This study focuses on the case of Ecuador in Latin America, which has been actively pursuing these discussions before our country. Since the 1990s, the Buen Vivir discourse has been formed by indigenous movement as a transition discourse, distancing from the mainstream development model based on extractivism. It has since evolved into an umbrella term in Latin America that encompasses various alternatives to the mainstream model of development. Meanwhile, in Ecuador, the regime of Rafael Correa, which came to power in 2007, drafted a new constitution based on the concept of Buen Vivir and implemented various alternative policies. This study analyses the Buen Vivir discourse and its practice in Ecuador, focusing on the case of the northern Ecuadorian Amazon. While civil society proposed Post-oil development as a radical practice of the Buen Vivir discourse, the Correa regime faced the dilemma between Post-oil development and extractivism in a phased process of action that took into account the various interests of realpolitik. By analysing the dilemmas in Ecuador’s transition discourse and practice, this study draws implications for transition in the era of climate crisis.

      • KCI등재

        대안 발전 담론으로서의 사이 철학: 부엔 비비르와 우분투를 통한 확장과 비교 분석

        박채원 국제개발협력학회 2025 국제개발협력연구 Vol.17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사이 철학’을 중심 개념으로 삼아, 부엔 비비르와 우분투와의 비교를 통해 발전 개념의 존재론적 전환 가능성을 모색하고, 나아가 ‘사이 철학’을 관계 중심 대안 발전 담론으로 확장힐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한다. 연구의 중요성: 본 연구는 관계론적 존재론에 기반하여 기존 발전 담론을 재구성함으로써, 지속가능성과 실천 가능성을 아우르는 새로운 대안 발전 패러다임 정립에 기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론: 관계론적 존재론의 관점에서 ‘사이 철학’, 부엔 비비르, 우분투의 핵심 개념을 비교⋅분석하고, 발전 개념의 철학적 재구성과 실천적 함의를 도출한다. 연구결과: 연구 결과, 부엔 비비르와 우분투는 ‘사이 철학’과 마찬가지로 관계론적 존재론을 공유하며, 발전을 공동체적 조화와 상호작용의 과정으로 이해한 다는 공통점을 지닌다. 이러한 철학적 접점은 ‘사이 철학’의 이론적 정당성을 강화하고, 발전 담론의 전환 가능성을 뒷받침한다. 결론 및 시사점: ‘사이 철학’은 단지 철학적 사유에 머무르지 않고, 국제개발협력이나 지역 공동체 기반 정책 등 다양한 실천 영역에서 적용 가능한 관계 중심 발전 패러다임으로 확장될 수 있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otential of ‘Inter-’ Philosophy as a central framework for a relational and alternative development paradigm, by examining the ontological reconfiguration of the concept of development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with Buen Vivir, and Ubuntu. Originality: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reconfiguration of development discourse based on relational ontology, aiming to establish an alternative development paradigm that embraces both sustainability and practical applicability. Methodology: Employing a relational ontological perspective, this study compares and philosophically analyzes the key concepts of ‘Inter-’ Philosophy, Buen Vivir, and Ubuntu, and examines the theoretical reconstruction of development and its practical implications. Result: The analysis reveals that Buen Vivir and Ubuntu, like ‘Inter-’ Philosophy, are grounded in relational ontology and share a common understanding of development as a process of harmony and interaction. These philosophical convergences enhance the theoretical legitimacy of ‘Inter-’ Philosophy and support the potential for a paradigm shift in development discourse. Conclusion and Implication: The study demonstrates that ‘Inter-’ Philosophy can be extended beyond abstract theorization into various practical domains―such as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and community-based policy design, as a relationally grounded alternative development paradig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