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C 반응성 단백과 소아비만과의 관계

        안근영,최윤선,이동원,김건영,김정현,성한나,최경묵,김선미 대한비만학회 2009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18 No.4

        연구배경: 소아비만은 전 세계적으로 급증하며 공중보건의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소아비만이 성인비만으로 이행되고 심혈관 질환의 위험요인들이 조기에 발현될 수 있다. 비만이 염증과 관련이 있다는 많은 연구보고가 있었으며 최근 소아비만과 C-Reactive Protein (CRP)과의 관련성에 대한 여러 연구가 진행되었다. 하지만 이에 대한 국내의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아를 대상으로 비만과 CRP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은 서울 일부 지역 초등학교 3학년 학생(만 9세) 585명이었다. 신장, 체중, 허리둘레, 혈압을 측정하였고 체질량지수를 산출하였다. 공복상태에서 혈액검사를 시행하였고 혈당, 총 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중성지방, High-sensitivity CRP을 측정하였다. CRP와 비만과의 관련성을 밝히기 위해 통계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서 과체중의 유병률은 남아 26.9%, 여아 18.6%로 나타났다. 비만군(BMI≥95백분위수)의 CRP 평균값은 1.48 mg/L, 비만위험군(BMI ≥ 85, < 95백분위수) 0.93 mg/L, 비비만군(BMI < 85백분위수) 0.70 mg/L로 비만도가 증가할수록 CRP평균값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비만군에서 체질량지수, 허리둘레, 수축기혈압, 확장기혈압,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의 평균치가 유의하게 높았고 HDL-콜레스테롤의 평균치는 유의하게 낮았다. Log(CRP)값과 체질량지수, 체중 및 허리둘레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HDL-콜레스테롤과는 유의한 역상관관계를 보였다. 단변량분석을 시행하여 CRP증가와 관련성이 있는 변수를 예측변수로 한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체질량지수, 체중, 허리둘레 및 HDL 콜레스테롤이 CRP변화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 CRP는 소아비만과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따라서 소아비만과 관련하여 염증의 가능성 및 심혈관 질환의 위험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개인 맞춤형 통합 치료가 가능한 비만 관리 시스템 개발

        노시철(Sicheol Noh),김주영(Juyoung Kim),김진수(Jinsu Kim),강상식(Sangsik Kang),최흥호(Heungho Choi) 한국방사선학회 2012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6 No.2

        비만은 체내에 지방조직이 과다한 상태에 이르는 것으로, 최근 세계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질병 중 하나이다. 이러한 비만은 각종 성인병과 함께 고혈압, 당뇨 등의 합병증을 유발하며, 심리적, 정신적으로 위축시켜 우울증 등의 정신 질환까지 갖게 하는 심각한 사회적 문제이다. 현재 일반적인 비만 관리 방법은 다양한 관점에서 각기 다른 효능으로 비만 환자들의 욕구를 채워주고 있지만, 수술 치료의 실패, 치료 중 약물 중독, 우울증, 많은 시간 및 경제적 투자 등으로 근본적인 비만의 치료 효율이 낮다. 이에 체계적이며 개인의 비만 상태에 따른 유형별 치료 접근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수술적인 비만 치료의 단점을 보완하여, 개인의 비만 유형별 비만 치료를 선택할 수 있는 복합 비만 관리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하여 원적외선 치료, 산소 치료, 색 치료, 극초단파 치료 모듈을 이용하여 복합적이며,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또한, 환자의 신체적 조건과 비만의 정도에 따른 맞춤 치료를 위해 치료 및 관리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으며, 부분별로 원하는 부위를 집중적으로 치료가 가능한 자동 슬라이딩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통합 치료가 가능한 비만 관리 시스템은 다양한 치료 프로토콜을 제시함으로 고기능성 비만 치료기 개발에 초석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The obesity is a medical condition in which excess body fat has accumulated to the extent. It may have an adverse effect on health, leading to reduced life expectancy and increased health problems such as lifestyle disease, hypertension, and diabetes. Furthermore, it may cause the mental illness such as depression, bipolar disorder, anorexia, hyperphagia, and so on by shrinking psychologically. So, it is regarded as the serious worldwide social problem. Recently, although there are many general obesity care methods with various approaches, these can’t be the radical obesity care because of the side effects such as surgery aftereffect, drug addiction, and so on. For these reasons, a methodical approach with a consideration of individual obesity pattern is strongly demanded. In this study, complex obesity care and management system which is overcome the weakness of non-surgical obesity treatment is proposed. And the individually adapted obesity treatment system with the far-infrared therapy module, oxygen therapy module, color therapy module, and microwave therapy module was developed. The complex obesity treatment system which is proposed in this study, could improve the efficiency of treatment by suggesting the various treatment protocols. And proposed system could be the foundation of the high quality obesity treatment system.

      • KCI우수등재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비만 지수와 죽상경화증 위험인자들과의 상관성

        정병천,박순홍,이주영,이신원,정성창,김정국,하승우,김보완 대한비만학회 2003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12 No.2

        연구배경: 비만은 제2형 당뇨병의 중요한 병인이면서 죽상경화성 동맥질환의 위험인자인 인슐린 저항성, 지질대사 이상 및 고혈압의 원인으로도 인정되고 있다. 한편 비만에 의한 대사성 및 혈관 합병증은전신적 지방량의 증가보다 복강내 지방축적이 병인적 중요성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그러나 국내의 제2형 당뇨병 환자를 차상으로 비만과 이들 죽상경화증 위험인자와의 상관관계를 연구 조사한 성적은 많지않다. 이에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전신적 비만과 복강내 지방 축적을 반영하는 각각의 신체계측지수들과 죽상경화증 위험인자와의 상관성을 검토함으로써 국내 제2형 당뇨병 환자의 비만도가 대사성 및 혈관성 합병증에 미치는 영향과 신체계측지수들의 임상적 가치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 제2형 당뇨병 환자 425명 (남자 196명, 여자 229명)을 차상으로 하였다 임상적 단백뇨가 있거나 인슐린 치료, 혈압강하제 또는 지질대사개선제를 복용하는 환자는 제외시켰다. 전신 비만은 체용적지수 그리고 피부두겹 두께로 산출한 체지방률을, 복강내 지방축적도는 허리둘레 및 요둔위비를 이용하였다. 죽상경화증의 위험인자로는 혈당 조절 정도를 나타내는 공복 혈당과 당화혈색소 농도, 인슐린 저항성을 나타내는 공복 인슐린 및 C-peptide 농도, 지질 대사 상태를 나타내는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및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농도 그리고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을 선택하였다. 전신 비만지수 및 복부 비만지수와 이들 위험인자와의 상관관계는 연령과 당뇨병 이환기간을 보정하고 편상관분석법을 사용하였다. 결과: 1 여성군에서 남성군에 비해 체용적지수(24.2 대 23.0kg/㎡, p<0.01) 및 체지방률(23.8 대13.5%, p<0.01)은 다소 높았으나 허리둘레 (87.0 대 85.8 cm)와 요둔위비 (0.96 대 0.96)는 차이가 없었다. 2. 인슐린 저항성을 반영하는 공복 인슐린 및 C-peptide 농도는 체용적지수. 체지방률, 허리둘레 및 요둔위비가 커질수록 증가하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상관차수 0.21∼0.42, 모두 p<0.05). 3. 혈청 지질중에는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만이 남성 환자군에서 비만지수들과 약한 음의 상관성을 보이는 경향이었고, 총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농도는 상관성이 없었다. 4.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은 남성군에서만 체용적지수. 체지방률, 허리둘레 및 요둔위비가 커질수록 상승하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상관차수 0.21∼0.33, 모두 p.0.05). 결론. 국내 제2형 당뇨병 환자들의 전신 비만도 및 복부 비만도가 서구인에 비해 심하지는 않으나 포도당 대사, 인슐린 저항성, 지질 대사 및 고혈압에 위해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수준에 이르고 있으며 이는 결국 죽상경화증의 위험인자로도 작용하게 될 것임을 시사한다고 하겠다. 그리고 신체계측을 통한전신 비만 및 복부 비만 지수 모두가 당뇨병 및 죽상경화증의 위험을 간접적으로 예견하는 유용한 척도가 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Obesity is the powerful risk factor for type 2 diabetes and also associated with a significantly increased risk of insulin resistance, dyslipidemia, hypertension and atherosclerosis. Although obese individuals have these diseases, the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and these diseases was not certain until regional fat distribution was taken into account. Report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and the risk factors of atherosclerosis in type 2 diabetics in Korea are very rare. To evaluate the relative importance of anthropometric indices on the development of atherosclerosis and obesity-related metabolic and vascular complications, the correlations of these indices with the risk factors for atherosclerosis were studied. Methods: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n=425, male 196, female 229) who not used antihy- pertensives or anti-lipidemic agents were investigated. Body mass index (BMI) and percentage of body fat (%BF) estimated by skinfold-thickness in assessing generalized adiposity, and waist circumference (Wc) and waist-to-hip ratio (WHR) in assessing visceral adiposity were taken as anthropometric indices. We included the indicators of glycemic control (fasting blood sugar and HbAlc), insulin resistance (fasting serum insulin and C-peptide concentrations), lipid abnormalities (serum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HDL-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concentrations), and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as risk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atherosclerosis. Partial correlations of the anthropometric indices with those risk factors were investigated with adjustment of age and duration of illness. Results: 1. BMI and %BF in female patients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in male (24.2 vs 23.0 kg/㎡, 23.8 vs 13.5%, respectively, p<0.01 in all) although Wc and WHR were similar between both groups. In general, both body adiposity and abdominal obesity in them were much lower than in the Western. 2. Serum insulin and C-peptide level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BMI, %BF, Wc and WHR (r=0.21~42, p<0.05 in all). 3. Serum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and LDL- cholesterol were not correlated with any anthropometric indices. A weak negative correlation of serum HDL-cholesterol with these indices was found in male patients group. 4. Both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all these indices only in male group (r=0.21~33, p<0.05 in all).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severity of both generalized and visceral adiposity in these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were only mild but adiposity with abdominal distribution of body fat in diabetes mellitus could be a significant risk factor of developing atherosclerosis. In clinical practice, these anthropometric indices indicating general adiposity and abdominal obesity may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predicting disease risks, especially of diabetes and cardio- vascular disease indirectly.

      • KCI등재

        서울시 중・고등학생의 과체중과 비만 진단기준 비교

        신윤아,신윤정,박진경,박형재 대한비만학회 2011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20 No.2

        연구배경: 다양한 비만진단 기준이 청소년들의 과체중과 비만진단을 위해 사용되어 왔으나, 청소년의 비만진단 기준은 여전히 논란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양한 비만진단기준에 따른 과체중과 비만 유병률의 차이를 비교하여 청소년의 비만진단에 적합한 진단기준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8년부터 2010년 신체검진을 받은 서울시내 중,고등학교 청소년 6,571명(남: 2,755/여: 3,816명)을 대상으로 비만도, 체질량지수, 체지방률을 측정하였다. 비만도를 이용한 진단과 IOTF (International Obesity Task Force), WGOC (the Working Group for Obesity in China) 진단기준 및 체질량지수와 체지방률의 백분위수에 따른 과체중과 비만 유병률을 성별과 연령에 따라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비만 유병률은 연령과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IOTF와 WGOC 진단기준, 체질량지수의백분위수를 이용한 진단기준에 따른 과체중과 비만 유병률은 비만도를 이용한 진단보다 높은 유병률을 나타내었으며, 체지방률 백분위수를 이용한 방법은 비만도를 이용한 진단보다 낮은 유병률을 나타내었다. 남학생의 경우, 과체중 유병률은 IOTF 진단기준이 가장 높은 민감도를 나타내었으며, 비만 유병률은 WGOC 진단기준이 가장 높은 민감도를 나타내었다. 여학생의 경우, 과체중과 비만 유병률은 WGOC 진단기준이 가장 높은 민감도를 나타내었다. 결론: 비만 유병률은 진단기준에 따른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WGOC 진단기준이 비만도에 따른 분류와 비교하였을 때 가장 높은 민감도와 특이도를 나타내었다.

      • KCI등재

        비만과 근위축비만이 한국고령자의 신체기능에 미치는 영향

        홍승연 대한임상건강증진학회 2008 Kore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Vol.8 No.4

        Background Despite the growing importance of physical function in later life, there is still lack of information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sarcopenic obesity and functional capacity in senior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obesity and sarcopenic obesity on functional capacity. Methods 673 sedentary older women were recruited from 16 different districts and their body compositions as well as 5 different functional capacities (chair stand, arm curl, one leg stand, 2-min steps, and shoulder flexibility) were examined.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into 4 groups by the way of Cogswell and Dietz’s sarcopenic obesity classification; Normal muscle+normal fat(Group-A), normal muscle +high fat(Group-B), low muscle+normal fat(Group-C), and low muscle+high fat(Group-D: Sarcopenic obese). GLM and LSD-test were conducted with SPSS 13.0. Results For 673 older women, mean age of 75, chair-stand (p<.05), arm curl (p<.001), one leg stand(p<.01), 2-min steps(p<.001) were associated with the level of muscle mass and fat mass. For chair stand, sarcopenic obese group has much lower score than that of Group-A and Group-B (p<.05). For arm curl, sarcopenic obese group has lower score that that of Group- A (p<.05). For One leg stand and 2-min steps show same results that sarcopenic obese group has lower score that that of Group A(normal muscle + normal fat) (p<.05). Conclusions We concluded that sarcopenic obese, percent fat affect functional capacity in sedentary older adults. 연구배경 최근 급속한 고령화 및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시행과 더불어 고령자의 신체기능저하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나 국내 고령자를 대상으로 이와 관련된 연구는 극히 제한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고령자의 비만 및 근위축비만이 신체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으로써 고령자를 위한 건강증진 전략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 법 연구대상자는 서울시내 15개 구에서 자립적으로 거주하는 60세 이상 여성 573명이었다. 생체전기저항법으로 체지방률, 체지방량, 제지방량, 체질량지수를 측정하였으며 아시아-태평양지역 지침에 따른 체질량지수를 이용한 5단계 비만구분, 체지방률 5분위수를 이용한 비만구분, 그리고 Cogswell and Dietz의 방식을 이용한 4단계의 근위축비만구분을 실시하였다. 신체기능은 Rikli와 Jones의 노인체력검사로 측정하였으며 통계분석은 SPSS 13.0을 이용하였다. 결 과 여성고령자의 비만과 신체기능간의 관계는 비만구분 방법에 따라서 상이하게 나타났다. 즉, 비만구분을 체지방률 5분위수(quintile)로 나누어 분석할 경우 체지방률이 상위 20%군이 하위 20%군과 비교하여 상지 및 하지근력이 유의하게 낮았으며 (p<.05) 유산소지구력 역시 상위 20%군이 하위 40%군보다 낮았으나(p<.05), 체질량지수로 비만을 분류 시 이 같은 결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근위축비만의 경우 근위축비만군이 정상군에 비하여 하지근력, 상지근력, 정적평형성 및 유산소지구력에서 모두 유의하게 낮았다 (p<.05). 결 론 고령자의 근위축비만과 비만은 신체기능에 영향을 미치므로 노후의 신체기능 향상을 위해서는 단순한 체중감량이 아닌 체지방률 감소와 근육량 증가를 동시에 도모함으로써 근위축비만을 저하시키는 건강증진 전략이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 KCI우수등재

        원저 : 소아의 비만도와 체력 및 사회성에 관한 분석

        김현준 ( Hyun Jun Kim ),이가영 ( Ka Young Lee ),김윤진 ( Yun Jin Kim ),이상엽 ( Sang Yeoup Lee ),김영주 ( Young Joo Kim ),한성호 ( Sung Hoo Han ),공은희 ( Eun Hee Kong ),노명숙 ( Moung Sook No ) 대한비만학회 2006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15 No.1

        연구배경: 소아 비만은 체력의 저하 및 우울과 같은 심리적인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소아비만의 예방 및 관리를 위한 여러 가지 프로그램들 중, 단기간의 건강교실 형태의 프로그램이 주로 실시되고 있으나, 실질적인 효과는 크지 않아 소아 비만에 적합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학교 보건 교육 영역에서는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스포츠 활동이 포함된 비만 캠프에 참여한 아동을 대상으로 비만도에 따른 체력과 사회성의 차이 및 그 특성을 분석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해양스포츠 활동이 포함된 비만 캠프에 참가한 초등학교 4,5,6학년 140명을 대상으로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자들의 체질량지수를 측정해서 체질량지수 백분위곡선에 적용하여 84백분위수 이하면 정상 체중군, 85~94백분위수에 해당하면 과체중군, 95백분위수 이상이면 비만군으로 분류하였다. 대상자의 체력은 근력, 평형성, 유연성, 근지구력, 민첩성에 대해 측정되었으며, 사회성은 사회적인 면을 측정하는 8문항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근력은 남아 (P < 0.01)와 여아 (P < 0.001) 모두 비만군이 정상군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민첩성은 남아와 여아 모두에서 비만군이 과체중군이나 정상군에 비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형성과 근지구력은 남아와 여아 모두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유연성은 남아에서는 비만군이 정상군 (P < 0.01) 및 과체중군 (P < 0.05)에 비해 더 높게 나타났다. 사회성 관련 8개 문항을 모두 분석한 결과 남아와 여아 모두에서 비만도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결론: 남아와 여아 모두에서 비만 군이 과체중군이나 정상군에 비해 민첩성이 현저히 떨어져 있으며, 평형성과 근지구력 같은 일부 체력은 비만도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향후 스포츠 활동이 포함된 비만캠프를 구성할 때 비만도에 따른 체력의 특성이 반영된 프로그램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소아 비만 환자에서 다양한 신체 활동을 통해 체력과 사회성이 함양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Background: Childhood obesity causes psychological problems and decreases physical strength.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hildhood obesity on physical strength and social skills. Methods: In this study 140 elementary students from 4th to 6th grades were recruited from Busan. These students joined a 3-day sports program. The students` body mass index were measured and they were categorized into three different weight groups (normal, overweight, obese) according to the age and sex-specific BMI percentile established by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s. Physical strength such as muscle strength, balance, flexibility, muscle endurance, agility and social skills were examined. Results: Greater muscle strength was noted in the obese group compared to the normal weight group. The normal weight group had better agility level than the overweight or the obese group. Balance and muscle endurance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hree groups. In boys, flexibility was greater among the obese group than the normal or overweight group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ocial skills was observed between the groups. Conclusions: The characteristics of physical strength were different according to BMI. When planning future weight loss programs for children, different aspects of physical strength according to BMI levels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to better enhance their health and social skills.

      • KCI우수등재

        중년기 복부비만여성의 비만관리 프로그램 실시효과 : 아로마 마사지를 중심으로 With Focus on Aroma Massage

        김명숙,안홍석 대한비만학회 2003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12 No.1

        연구배경: 우리나라 여성의 경우 출산 후 30대 이후 중년기 여성들은 비만 유병률이 특히 높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경제수준의 향상과 식생활의 변화로 인하여 비만이 점차 증가 추세에 있어 중년기 여성비만은 외관상 및 건강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복부비만은 심혈관계질환 등 대사성 질환발생과 관련이 있으므로 이에 본 연구는 30~55세에 해당되는 중년기 복부비만여성을 대상으로 기본관리군과 추가관리군으로 분류하여 두 군에게 각각 다른 비만관리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효과를 측정, 비교하여봄으로써 효율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시행하였다. 방법: 서울시 강남구 여성센타의 프로그램 광고를 통해 30~55세에 해당되는 여성으로서 체질량지수가 25 kg/㎡이상이면서 허리둘러나 80 cm이상인 복부비만여성을 대상자 66명을 선정하였으며, 이들을 식이요법, 운동요법, 행동수정요법으로 구성된 병합요법을 실시하는 기본관리군과 식이요법, 운동요법, 행동수정요법 외에 아로마 복부마사지를 추가적으로 실시하는 추가관리군으로 다시 분류하여 10주간 비만관리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기간동안 계속적인 참여를 한 자는 기본관리군 16명, 추가관리군 23명이었다. 1) 프로그램실시 10주 후 총체중은 기본관리군 추가관리군이 각각 4.14 kg, 5.58 kg, BMI는 1.66kg/㎡, 2.41 kg/㎡ 감소되어 유의적인 차이로 추가관리군에서 감소의 폭이 컸다(p<0.01, p<0.001). 실시 10주 후 신차둘레 중 허리둘레는 기본관리군, 추가관리군이 각각 6.81 cm, 9.09 cm, 복부둘레는4.61 cm, 8.11 cm 감소되어 허리둘레, 복부둘레 모두 유의적인 차이로 추가관리군에서 감소의 폭이 컸으며 (p<0.01 p<0.001), 피하지방두께 중 복부피하지방두께 역시 추가관리군이 유의적인 차이로 기본관리군에 비해 감소의 폭이 컸다(p<0.001). 실시 10주 후 처니방은 기본관리군 추가관리군이 각각 3.19%, 4.94% 감소괴어 두 군간 유의적인 차이로 추가관리군에서 감소의 폭이 컸으며 (p<0.05), 혈압은 추가관리군에서만 수축기혈압이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났다(p<0.05). 2) 혈청성분 중 중성지질과 유리지방산은 두 군에서 모두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나(p<0.05, p<0.01)두 군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총 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은 추가관리군에서만 유의적인 감소를 보여(p<0.001) 두 군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p<0.05), 총항산화능과 AST 역시 추가관리군에서만 유의적인 변화를 가져와(p<0.001, p<0.01), 두 군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01, p<0.05). 결론: 식이요법과 운동요법, 행동요법에 아로마 복부마사지를 추가 실시했을 때 체중. BMI, 체지방, 허리둘레, 복부둘레, 복부피하지방두께의 감소에 영향을 줄 뿐 아니라. 총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의 감소와 항산화능의 증가에 변화를 주었다. 따라서 식이요법과 운동요법, 행동수정요법에 아로마 복부마사지를 추가적으로 실시한 프로그램이 식이요법과 운동요법, 행동요법으로 구성된 병합요법에 비해 복부비만을 감소시키고 비만관련 질병의 예방에도 효과적인 관리방법이라고 결론을 내릴 수 있다. Background: Middle-aged Korean women over 30 years old reportedly become fat in particular after delivery. The obesity ratio has steadily increased due to economic growth coupled with change in diet pattern, causing appearance and health problems against middle-aged women. Since abdominal obesity particularly relates to metabolic disease including heart/blood vessel disorder, the middle-aged women with abdominal obesity are divided into basic treatment group and additional abodominal massage group who are subject to different obesity managemant program. Then the outcomes are checked and compared with each other. These basic data are used to develop efficient abdominal obesity managemant program and to operate professional obesity managemant center. Methods: Sixty six women aged between 30 and 55 who have BMI above 25 kg/m2 and live in Seoul, Korea and whose WHR is 0.85 or more are selected as an subject of this study. They are divided into additional abodominal massage group and basic treatment group for 2nd level study. Abdominal massage is done in addition to the diet education, physical exercise therapy and behavior correction therapy for the additional abodominal massage group, whereas the basic treatment group is subject to the diet treatment, physical exercise therapy and behavior correction therapy as an abdominal obesity managemant program. Results: 1) Additional abdominal massage group and basic treatment group lose weight 5.58 kg and 4.14 kg in 10 weeks, respectively, while BMI drops 2.41 kg/㎡ and 1.66 kg/㎡ in additional abdominal massage group and basic treatment group, respectively. This indicates that additional abdominal massage reduces weight and BMI more effectively than combined diet, physical exercise and behavior correction therapy do. In 10 weeks, additional abdominal massage group and basic treatment group witness waist circumference decrease by 9.09 cm and 6.81 cm and abdomen circumference decrease by 8.11 cm and 4.61 cm, respectively. This indicates that additional abdominal massage reduces waist circumference and abdomen circumference more effectively than combined diet, physical exercise and behavior correction therapy do. Meanwhile,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hip circumference and WHR between additional abdominal massage group and basic treatment group. In 10 weeks, additional abdominal massage group and basic treatment group witness body fat decrease by 4.94% and 3.19% respectively. This indicates that additional abdominal massage notably reduces body fat more effectively than combined diet, physical exercise and behavior correction therapy do. In 10 weeks, there is no significant change in skinfold thickness at triceps and suprailiac significant between two groups, whereas there is notable difference in the skinfold thickness between two groups. This indicates that additional abdominal massage effectively reduces abdominal skinfold thickness. There is notable drop in diastolic blood pressure only for additional abdominal massage group in 10 weeks.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in blood pressure between two groups in 10 weeks. 2) There is notable drop in triglyceride level in serum component of both groups. Total 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level change significantly in additional abdominal massage group, showing the remarkable effect of abdominal massage. There is notable change in total antioxidant and AST in additional abdominal massage group, showing the remarkable effect of abdominal massage. Conclusion: This study also shows that diet, physical exercise and behavior correction therapy coupled with abdominal massage using aroma therapy effectively reduces weight, BMI, waist/ abdomen circumference, body fat, abdominal skinfold thicknrss, total 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level while increasing total antioxidant.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the abdominal obesity management program adopting diet, physical exercise and behavior correction therapy coupled with abdominal massage using aroma therapy effectively control abdominal obesity and prevent obesity related disorders.

      • KCI등재

        국내 중년기 비만 여성의 생리적 지표에 대한 복부비만관리프로그램의 효과: 메타분석

        김경진,홍해숙,박완주,고상진,나연경 대한비만학회 2016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25 No.3

        배경: 한국의 중년여성의 복부비만 유병률은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으나 복부비만 관리프로그램의 종류와 그 효과가 다양하고 효과적인 중재 방법을 선택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중년 비만여성을 대상으로 실시한 복부비만관리 프로그램의 효과를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규명하여 학문적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있다. 방법: 학술지 392편, 학위논문 380편으로 총 772편의 논문 중 중복된 자료를 제외한 647편에서 조사연구이거나 나이에 적합하지 않거나 대조군이 선정되지 않는 등, 선정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604편을 제외하여 총 43편의 복부비만관리 프로그램 논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여 주요 비만지표의 효과크기를 분석하고, 각 효과크기의 이질성에 대한 설명을 위해 메타 ANOVA와 메타회귀분석을 활용하여 조절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출간오류분석을 통해 연구 결과의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비만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실시한 복부비만관리 프로그램의 표준화된 평균 효과크기는 0.22로 작은 효과크기를 나타냈고, 염증성 지표와 지방분포율은 각각 0.36으로 중간 정도의 효과크기를 나타냈으며, 대사성 지표는 0.21, 신체계측 지표는 0.18로 작은 효과크기를 보였다. 이질성은 중간 정도의 이질성 (I2=44.5%, Q=844.57, P<0.001)을 보였고, Randomized Controlled Trial (RCT) 여부나 출판여부에 따라 효과크기에 차이가 없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최근 대두되고 있는 비만 여성에 대한 건강 증진 및 복부비만 개선에 대한 중재효과를 계량적으로 분석한 점에서 복부비만프로그램 중재의 효과파악을 위한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대한민국 건강 성인의 체질량지수 및 허리둘레 기준에 따른 복부 비만과 평가사구체여과율의 상관관계 - 2007년 국민 건강 영양조사 자료 중심으로 -

        윤중,김경곤,황인철,이경식,서희선 대한비만학회 2011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20 No.4

        연구배경: 2007년 국민 건강 영양조사자료를 통해서 대한민국 건강한 성인의 체질량지수 및 허리둘레 기준에따른 복부비만과 평가 사구체여과율(eGFR)의 관계를 분석하였다방법: 2007년 시행된 국민건강영양조사 대상자 중 건강면접조사와 건강검진조사에 모두 참여한 20세 이상 인구에서 만성 신장 질환, 암,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 심근경색, 협심증, 뇌졸중 환자와 생리 및 임신 중인 여성을제외한 1,996명(남자 884, 여자 1,112)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자기기입식 설문지로 건강관련 생활습관을 평가하고 혈압을 측정하고 혈당, 당화혈색소, 콜레스테롤을 측정하였다. eGFR은 the original Modification of Diet in Renal Disease study (MDRD) equation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결과: 체질량지수와 허리둘레는 다중공선성의 문제(R > 0.8)로 분리하여 eGFR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eGFR은 연령, 총 콜레스테롤, 고밀도 지질단백 콜레스테롤, 복부비만 또는 체질랑지수와 독립적인 연관성을 띠었다(P < 0.05). 그러나, 여자의 경우, 아시아-태평양 복부비만 기준(허리둘레 ≥ 80 cm15))으로 나누었을때, 복부비만(P = 0.148)은 eGFR과 의미 있는 연관성을 가지고 있지 않았으나 대한비만학회의 복부비만기준(허리둘레 ≥ 85 cm16))을 적용한 경우 복부비만(P = 0.031)이 독립적으로 eGFR과 의미 있는 연관성을 가지고 있었다. 결론: 체질량지수와 허리둘레에 따른 복부비만 모두 eGFR과 연관성을 가진다. 특히 여성의 허리둘레에 있어서아시아 태평양 복부비만 기준(허리둘레 ≥ 80 cm)은 연관성이 없고, 대한비만학회 복부비만기준(허리둘레 ≥ 85cm)경우에만 eGFR과 연관성이 있는 것을 확인하여 비만학회 복부비만기준을 재검증한 간접적인 계기가 되었다.

      • KCI등재

        비만이 청소년 발달에 미치는 영향

        이상록 ( Sang Rok Lee ),김진희 ( Jin Hee Kim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1 청소년복지연구 Vol.13 No.4

        청소년기 비만은 단순히 신체건강 문제의 차원을 넘어 청소년의 심리적, 사회적, 정서적 발달에 주요하게 영향을 미치는 문제일수 있음에 주목하여, 비만이 청소년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 데이터 중 4차년도의 가구 및 아동부가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비만을 체질량 지수(BMI), 협의의 비만(정상/과체중/비만), 광의의 비만(정상/과체중+비만) 등으로 다양하게 정의하고, 청소년 발달 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비만의 영향이 성별로 차이가 있는지를 부가적으로 분석, 검토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에서는 비만 지위에 따라 청소년 발달의 양상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으며, 체질량 지수와 청소년 발달 간에는 대체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회귀모델 분석결과에서는, 관련 변수들을 통제한 상황에서도 비만이 위축, 자존감, 주의집중, 학업성취, 공격성 및 비행성향 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비만이 청소년 발달에 부정적 영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성별 차이에 대한 분석결과에서는 비만은 성별 구분 없이 공히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만의 영향이 청소년 발달의 제반 영역에 부정적임을 감안하면, 청소년 비만 대책은 비만의 예방 및 감소 뿐 아니라 비만의 부정적 심리사회적 영향을 차단할 수 있는 측면까지를 포괄할 수 있도록, 적극적인 대책 마련과 재정비가 필요한 것으로 평가된다. In the western countries, it is widely known that obesity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adolescent development. So,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obesity on the adolescent development in Korea. Using the Korea Welfare Panel Study data, this study estimates the effect of BMI index, narrow obesity(normal/overweight/obese), broad obesity(normal/overweight+obese) on the adolescent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and adolescent development. And, this study is to verify that the effect on adolescent development varies depending on adolescent`s gender.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We find significant effects of obesity status on the adolescent development. Obesity has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the adolescent`s withdrawal, self-esteem, educational achievement, aggression, delinquency traits. Regarding the overall harm of obesity to the adolescent development, government need to make efforts to prevent excessive obesity of students and to reduce the negative effects of adolescent obes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