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중년기 복부비만여성의 비만관리 프로그램 실시효과 : 아로마 마사지를 중심으로 With Focus on Aroma Massage

        김명숙,안홍석 대한비만학회 2003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12 No.1

        연구배경: 우리나라 여성의 경우 출산 후 30대 이후 중년기 여성들은 비만 유병률이 특히 높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경제수준의 향상과 식생활의 변화로 인하여 비만이 점차 증가 추세에 있어 중년기 여성비만은 외관상 및 건강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복부비만은 심혈관계질환 등 대사성 질환발생과 관련이 있으므로 이에 본 연구는 30~55세에 해당되는 중년기 복부비만여성을 대상으로 기본관리군과 추가관리군으로 분류하여 두 군에게 각각 다른 비만관리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효과를 측정, 비교하여봄으로써 효율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시행하였다. 방법: 서울시 강남구 여성센타의 프로그램 광고를 통해 30~55세에 해당되는 여성으로서 체질량지수가 25 kg/㎡이상이면서 허리둘러나 80 cm이상인 복부비만여성을 대상자 66명을 선정하였으며, 이들을 식이요법, 운동요법, 행동수정요법으로 구성된 병합요법을 실시하는 기본관리군과 식이요법, 운동요법, 행동수정요법 외에 아로마 복부마사지를 추가적으로 실시하는 추가관리군으로 다시 분류하여 10주간 비만관리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기간동안 계속적인 참여를 한 자는 기본관리군 16명, 추가관리군 23명이었다. 1) 프로그램실시 10주 후 총체중은 기본관리군 추가관리군이 각각 4.14 kg, 5.58 kg, BMI는 1.66kg/㎡, 2.41 kg/㎡ 감소되어 유의적인 차이로 추가관리군에서 감소의 폭이 컸다(p<0.01, p<0.001). 실시 10주 후 신차둘레 중 허리둘레는 기본관리군, 추가관리군이 각각 6.81 cm, 9.09 cm, 복부둘레는4.61 cm, 8.11 cm 감소되어 허리둘레, 복부둘레 모두 유의적인 차이로 추가관리군에서 감소의 폭이 컸으며 (p<0.01 p<0.001), 피하지방두께 중 복부피하지방두께 역시 추가관리군이 유의적인 차이로 기본관리군에 비해 감소의 폭이 컸다(p<0.001). 실시 10주 후 처니방은 기본관리군 추가관리군이 각각 3.19%, 4.94% 감소괴어 두 군간 유의적인 차이로 추가관리군에서 감소의 폭이 컸으며 (p<0.05), 혈압은 추가관리군에서만 수축기혈압이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났다(p<0.05). 2) 혈청성분 중 중성지질과 유리지방산은 두 군에서 모두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나(p<0.05, p<0.01)두 군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총 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은 추가관리군에서만 유의적인 감소를 보여(p<0.001) 두 군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p<0.05), 총항산화능과 AST 역시 추가관리군에서만 유의적인 변화를 가져와(p<0.001, p<0.01), 두 군간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01, p<0.05). 결론: 식이요법과 운동요법, 행동요법에 아로마 복부마사지를 추가 실시했을 때 체중. BMI, 체지방, 허리둘레, 복부둘레, 복부피하지방두께의 감소에 영향을 줄 뿐 아니라. 총콜레스테롤과 LDL-콜레스테롤의 감소와 항산화능의 증가에 변화를 주었다. 따라서 식이요법과 운동요법, 행동수정요법에 아로마 복부마사지를 추가적으로 실시한 프로그램이 식이요법과 운동요법, 행동요법으로 구성된 병합요법에 비해 복부비만을 감소시키고 비만관련 질병의 예방에도 효과적인 관리방법이라고 결론을 내릴 수 있다. Background: Middle-aged Korean women over 30 years old reportedly become fat in particular after delivery. The obesity ratio has steadily increased due to economic growth coupled with change in diet pattern, causing appearance and health problems against middle-aged women. Since abdominal obesity particularly relates to metabolic disease including heart/blood vessel disorder, the middle-aged women with abdominal obesity are divided into basic treatment group and additional abodominal massage group who are subject to different obesity managemant program. Then the outcomes are checked and compared with each other. These basic data are used to develop efficient abdominal obesity managemant program and to operate professional obesity managemant center. Methods: Sixty six women aged between 30 and 55 who have BMI above 25 kg/m2 and live in Seoul, Korea and whose WHR is 0.85 or more are selected as an subject of this study. They are divided into additional abodominal massage group and basic treatment group for 2nd level study. Abdominal massage is done in addition to the diet education, physical exercise therapy and behavior correction therapy for the additional abodominal massage group, whereas the basic treatment group is subject to the diet treatment, physical exercise therapy and behavior correction therapy as an abdominal obesity managemant program. Results: 1) Additional abdominal massage group and basic treatment group lose weight 5.58 kg and 4.14 kg in 10 weeks, respectively, while BMI drops 2.41 kg/㎡ and 1.66 kg/㎡ in additional abdominal massage group and basic treatment group, respectively. This indicates that additional abdominal massage reduces weight and BMI more effectively than combined diet, physical exercise and behavior correction therapy do. In 10 weeks, additional abdominal massage group and basic treatment group witness waist circumference decrease by 9.09 cm and 6.81 cm and abdomen circumference decrease by 8.11 cm and 4.61 cm, respectively. This indicates that additional abdominal massage reduces waist circumference and abdomen circumference more effectively than combined diet, physical exercise and behavior correction therapy do. Meanwhile,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hip circumference and WHR between additional abdominal massage group and basic treatment group. In 10 weeks, additional abdominal massage group and basic treatment group witness body fat decrease by 4.94% and 3.19% respectively. This indicates that additional abdominal massage notably reduces body fat more effectively than combined diet, physical exercise and behavior correction therapy do. In 10 weeks, there is no significant change in skinfold thickness at triceps and suprailiac significant between two groups, whereas there is notable difference in the skinfold thickness between two groups. This indicates that additional abdominal massage effectively reduces abdominal skinfold thickness. There is notable drop in diastolic blood pressure only for additional abdominal massage group in 10 weeks.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in blood pressure between two groups in 10 weeks. 2) There is notable drop in triglyceride level in serum component of both groups. Total 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level change significantly in additional abdominal massage group, showing the remarkable effect of abdominal massage. There is notable change in total antioxidant and AST in additional abdominal massage group, showing the remarkable effect of abdominal massage. Conclusion: This study also shows that diet, physical exercise and behavior correction therapy coupled with abdominal massage using aroma therapy effectively reduces weight, BMI, waist/ abdomen circumference, body fat, abdominal skinfold thicknrss, total 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level while increasing total antioxidant.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the abdominal obesity management program adopting diet, physical exercise and behavior correction therapy coupled with abdominal massage using aroma therapy effectively control abdominal obesity and prevent obesity related disorders.

      • KCI등재

        어린이 비만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단기 건강교실의 운영 효과

        홍용희,박진경,이동환 대한비만학회 2010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19 No.1

        목 적 : 비만인 초등학생을 대상으로‘어린이 건강교실’을 실시하여 측정한 인체계측, 혈압 및 혈액검사 자료를 토대로 이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여 비만 관리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분석된 자료가 앞으로 최선의 비만관리 프로그램을 마련하는데 기반이 되고자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2007년 국민건강보험공단의 23개 지사에서 각각의 비만교실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12주간‘어린이 건강교실’을 시행하였고 시행 전, 후 측정한 신체계측치(신장, 체중, 허리둘레, 엉덩이둘레, 체지방률), 비만도, 체질량지수, 혈압, 혈액 검사(AST, ALT,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HDL-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혈당)에 대한 자료를 취합하여 이를 분석하였다. 결 과 : 비만아를 대상으로 모집하였으나, 비만도 20% 이상인 참가 아동은 전체 654명 중 401명(61.3%)이었다. 프로그램 시행 전, 후 비만도는 각각 34.97±11.94%, 31.95±13.49%로 의미있는 감소(P value <0.01)를 보였다. 체질량지수 역시 25.48±2.65, 25.25±2.90으로 의미있는 차이(P value=0.009)를 보였다. ALT는 프로그램 시행 전, 후 각각 33.75±38.58 U/L, 27.69±25.82 U/L로 의미있는 감소가 있었다(P value <0.01). 수축기 혈압, 이완기 혈압, AST,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HDL-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혈당은 프로그램 시행 전, 후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다. 결 론 : 단기간의 프로그램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비만도와 체질량지수의 의미있는 감소를 보였다는 것으로 보아 하루 일과 중 많은 시간을 보내는 학교를 기반으로 한 비만교실의 필요성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혈액 검사상의 호전을 나타내기에 단기간의 프로그램으로는 부족한 것으로 추정되며, 표준화된 프로그램을 통해 지속적인 비만교실이 운영된다면 소아 비만의 예방과 치료에 큰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 KCI등재

        대한민국 건강 성인의 체질량지수 및 허리둘레 기준에 따른 복부 비만과 평가사구체여과율의 상관관계 - 2007년 국민 건강 영양조사 자료 중심으로 -

        윤중,김경곤,황인철,이경식,서희선 대한비만학회 2011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20 No.4

        연구배경: 2007년 국민 건강 영양조사자료를 통해서 대한민국 건강한 성인의 체질량지수 및 허리둘레 기준에따른 복부비만과 평가 사구체여과율(eGFR)의 관계를 분석하였다방법: 2007년 시행된 국민건강영양조사 대상자 중 건강면접조사와 건강검진조사에 모두 참여한 20세 이상 인구에서 만성 신장 질환, 암,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 심근경색, 협심증, 뇌졸중 환자와 생리 및 임신 중인 여성을제외한 1,996명(남자 884, 여자 1,112)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자기기입식 설문지로 건강관련 생활습관을 평가하고 혈압을 측정하고 혈당, 당화혈색소, 콜레스테롤을 측정하였다. eGFR은 the original Modification of Diet in Renal Disease study (MDRD) equation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결과: 체질량지수와 허리둘레는 다중공선성의 문제(R > 0.8)로 분리하여 eGFR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eGFR은 연령, 총 콜레스테롤, 고밀도 지질단백 콜레스테롤, 복부비만 또는 체질랑지수와 독립적인 연관성을 띠었다(P < 0.05). 그러나, 여자의 경우, 아시아-태평양 복부비만 기준(허리둘레 ≥ 80 cm15))으로 나누었을때, 복부비만(P = 0.148)은 eGFR과 의미 있는 연관성을 가지고 있지 않았으나 대한비만학회의 복부비만기준(허리둘레 ≥ 85 cm16))을 적용한 경우 복부비만(P = 0.031)이 독립적으로 eGFR과 의미 있는 연관성을 가지고 있었다. 결론: 체질량지수와 허리둘레에 따른 복부비만 모두 eGFR과 연관성을 가진다. 특히 여성의 허리둘레에 있어서아시아 태평양 복부비만 기준(허리둘레 ≥ 80 cm)은 연관성이 없고, 대한비만학회 복부비만기준(허리둘레 ≥ 85cm)경우에만 eGFR과 연관성이 있는 것을 확인하여 비만학회 복부비만기준을 재검증한 간접적인 계기가 되었다.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에서 사회경제적 지위와 비만의 관계 : 도시와 농촌의 비교

        은기수(Eun, Ki-Soo) 한국농촌사회학회 2018 農村社會 Vol.28 No.1

        비만은 개인의 문제를 넘어 심각한 사회문제로 비화하고 있다. 비만으로 인한 각종 만성질환이 증가하고, 의료비용 등을 포함한 비만의 사회적 비용이 갈수록 커져, 이제 비만은 국가적 차원의 문제가 되고 있다. 이 연구는 비만에 관한 사회과학적 연구로, 도시와 농촌의 비만이 성별, 연령별, 사회경제적 지위와 밀접히 연관되어 있음을 밝히려고 하였다. 이를 위해 「국민건강영양조사」의 제 4기(2010-2012년)와 제5기(2013-2015)의 6년간 자료를 합하고, 이 중 20-69세까지의 남녀를 대상으로 사회경제적 지위와 비만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결과, 여러 변수를 통제한 상황에서는 도시와 농촌의 비만의 위험에 유의미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도시의 남성과 농촌의 남성을 비교하면, 사회경제적 요인이 도시 남성의 비만과는 관련이 없고, 농촌의 남성에게서만 학력이 낮은 경우, 비만의 위험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여성은 도시와 농촌을 불문하고, 사회경제적 요인이 비만과 밀접히 연관되어 있다. 특히 도시 여성의 경우, 연령, 혼인상태, 교육수준, 가구소득 등의 사회인구학적, 사회경제학적 요인이 비만과 연관되어 있을뿐만 아니라, 흡연, 스트레스와 같은 건강관련요인도 비만과 밀접히 연관되어 있다. 반면에 농촌 여성의 경우에는 교육수준이 비만과 유의미하게 연관되어 있다. 이 연구는 도시와 농촌의 차별적 비만현상을 과학적으로 해명하고, 특히 성별에 따른 사회경제적 요인이 비만에 차별적으로 연관되어 있음을 밝히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ocioeconomics status including educational attainment on obesity in Korea. To fulfill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raw data from the 4th and 5th wave of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s employed for people aged 20 to 69 in 2010-2015. Total 23,609 men and women were dealt with in this research for the relation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and obesity in urban and rural areas in Korea. Main findings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obesity in urban area is related with socioeconomic status such as educational attainment and household income. Urban residents are also affected by a health factor such as stress in obesity whereas obesity in rural areas is not related to socioeconomic status. Secondly, this research investigated gender differentials in the effect of socioeconomic factors on obesity in both urban and rural areas. Socioeconomic status seems to have no or very weak relations with obesity for men in both urban and rural areas. However, socioeconomic factors are clearly related to obesity for women in both urban and rural areas. The higher educational attainment for women is, the lower the risk of obesity is in urban and rural areas. Age, marital status, education, household income and health-related factors are very significantly related to obesity for female urban residents whereas only education was significant in bringing differential obesity for female rural residents in Korea.

      • KCI우수등재

        한국의 제2형 당뇨병 및 비당뇨병성 비만 환자에서 체지방 분포와 혈청 아디포넥틴 농도와의 관계

        김철식,박진아,조민호,박종숙,남주영,김똘미,윤수지,안철우,차봉수,임승길,김경래,이현철 대한비만학회 2003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12 No.3

        연구배경: 제2형 당뇨병과 비만은 공통적 병인기전은로서 인슬린저항성이 매개되어 있으며, 지방세포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되고 만들어지는 아디포넥틴은 당대사 및 인슬린저항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비만한 사람 및 제2형 당뇨병 환자뿐만 아니라. 관상동맥질환 환자들에게서 혈청 아디포넥틴 농도치 감소를 관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 2형 당뇨병을 동반한 비만증 환자와 단순 비만증 환자에서혈청 아디포넥틴의 농도와 내장지방 및 골격근내 지방 등의 연관성 및 인슐린 저항성의 특징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법: 체질량지수 25 kg/㎡ 이상의 비만한 제 2형 당뇨병환자 16명과, 체질량지수와 연령을 맞춘 단순 비만 환자 12명을 대조군으로 선정하여 성별 현재의 신체계측. 혈압 측정, 그리고 혈액 생화학 및 내분비검사를 시행하였고, 혈청 아디포넥틴 농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복부내장지방 전산화 단층촬영을 이용하여 복부지방면적, 복부피하지방면적, 정상밀도 골격근면적 및 저밀도 골격근면적을 구하였고, HOMA-IR 및 HOMA-β를 측정하였다. 또한, 혈청 아디포넥틴 농도와 신체계측, 임상적 특성 및 인슐린저항성과의 상관관차를 분석하였다. 결과: 단순 비만인과 당뇨병 비만인에서 연령, 신장. 체중. 체질량지수, 체지방률, 허리둘레 및 혈압등은 차이가 없었으나, 당뇨 비만인에서 총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유리지방산의 농도가 의미있게 높았고, HDL-콜레스테롤의 농도는 낮았다 한편 복부피하지방 면적, 내장지방면적 및 내장지방면적/피하지방면적비 (VSR)는 단순 비만인에서 넓었으며, 반면에 대퇴부 저밀도근육면적은 당뇨병 비만인에게서 높았다 또한, HOMA-IR 수치는 양군간의 차이는 없었으나, C-peptide 값과 HOMA-β는 당뇨병 비만인에서 낮게 나타났고, 혈청 아디포넥틴 농도는 단순 비만인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아디포넥틴 농도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차를 보이는 변수는 나이, 체중, 키, 체질량지수, 수축기혈압. 당화혈색소,HOMA-IR, 내장지방면적, 저밀도근육면적이었으며 다변량회귀분석 결과 아디포넥틴 농도와 상관관계가 높은 변수는 나이, 당화혈색소, HOMA-IR, 내장지방면적 및 저밀도근육면적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결과에서 동일한 인슐린 저항성에서 내장지방은 비만환자에서 유의하게 높았고, 저밀도근육은 당뇨병 환자에서 더 높은 것은 유전적 또는 환경적 측면에서 두 질환의 인슐린 저항성에 기여하는 인자 뿐 만 아니라. 아디포넥틴 등의 adipocytokine 농도의 차이를 시사한다. 이러한 adipocytokine과 인슐린저항성의 특징은 비만과 제 2형 당뇨병의 임상양상과 죽상경화증을 비롯한 합병증의 양상도 다소상이하게 표현되는데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Type 2 diabetes mellitus (T2DM) and obesity share a common pathogenesis involving an insulin resistance, and adiponectin, a factor specific to adipose tissue, plays an important role in a glucose metabolism and an insulin resistance. The adiponectin level is reduced not only in patients with obesity and T2DM, but also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Thu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characterize the insulin resistance an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diponectin level and visceral and skeletal muscle fat areas among obese, T2DM patients and non diabetic obese patients. Methods: The anthropmetric parameters, biochemical profiles,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serum adiponectin concentrations of 16 obese type 2 diabetic subjects (BMI 225 kg/㎡) and 12 obese non diabetic subjects were measured. And, abdominal adipose tissue areas and mid-thigh skeletal muscle areas were measured by computed tomography (CT). The HOMA-IR and HOMA-β scores were calculated to assess the insulin sensitivity and insulin secretory function. We analys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rum adiponectin level with body fat distribution, anthropometric parameters, biochemical profiles,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Result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age, height, weight, BMI, body fat, waist circumference, and blood pressure between T2DM obesity group and non diabetic obesity group, where as total cholesterol, LDL-cholesterol, triglyceride and free fatty acid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2DM obesity group. However, the abdominal subcutaneous fat area, visceral fat area, VSR were higher in non diabetic obesity group, while mid-thigh low density muscle areas were greater in T2DM group. Moreo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ed in HOMA-IR between the two groups, but C-peptide, serum adiponectin concentration, and HOMA-β were lower in T2DM obesity group. The age, weight, height, BMI, systolic blood pressure, HbA_(IC), HOMA- IR, visceral fat area, and low density muscle area were in negative correlations with the serum adiponectin concentration. Also, in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ge, HbA_(IC), HOMA-IR, visceral fat area and low density muscle area were found to correlate well with the serum adiponectin concentration.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in the setting of similar insulin resistance levels, the abdominal visceral fat area is significantly higher in non diabetic obesity group, and the low density muscle area is higher in diabetic obesity group. This implies that in addition to various genetic and environmental factors that affect insulin resistance, adipocytokine concentration, such as adiponectinin, has a significant role in glucose metabolism and insulin resistance. Moreover,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aforementioned characteristics of insulin resistance and adipocytokines may lead to somewhat different clinical manifestations and complications such as atherosclerosis in the diabetic and obese patients.

      • KCI우수등재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비만 지수와 죽상경화증 위험인자들과의 상관성

        정병천,박순홍,이주영,이신원,정성창,김정국,하승우,김보완 대한비만학회 2003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12 No.2

        연구배경: 비만은 제2형 당뇨병의 중요한 병인이면서 죽상경화성 동맥질환의 위험인자인 인슐린 저항성, 지질대사 이상 및 고혈압의 원인으로도 인정되고 있다. 한편 비만에 의한 대사성 및 혈관 합병증은전신적 지방량의 증가보다 복강내 지방축적이 병인적 중요성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그러나 국내의 제2형 당뇨병 환자를 차상으로 비만과 이들 죽상경화증 위험인자와의 상관관계를 연구 조사한 성적은 많지않다. 이에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전신적 비만과 복강내 지방 축적을 반영하는 각각의 신체계측지수들과 죽상경화증 위험인자와의 상관성을 검토함으로써 국내 제2형 당뇨병 환자의 비만도가 대사성 및 혈관성 합병증에 미치는 영향과 신체계측지수들의 임상적 가치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 제2형 당뇨병 환자 425명 (남자 196명, 여자 229명)을 차상으로 하였다 임상적 단백뇨가 있거나 인슐린 치료, 혈압강하제 또는 지질대사개선제를 복용하는 환자는 제외시켰다. 전신 비만은 체용적지수 그리고 피부두겹 두께로 산출한 체지방률을, 복강내 지방축적도는 허리둘레 및 요둔위비를 이용하였다. 죽상경화증의 위험인자로는 혈당 조절 정도를 나타내는 공복 혈당과 당화혈색소 농도, 인슐린 저항성을 나타내는 공복 인슐린 및 C-peptide 농도, 지질 대사 상태를 나타내는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및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 농도 그리고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을 선택하였다. 전신 비만지수 및 복부 비만지수와 이들 위험인자와의 상관관계는 연령과 당뇨병 이환기간을 보정하고 편상관분석법을 사용하였다. 결과: 1 여성군에서 남성군에 비해 체용적지수(24.2 대 23.0kg/㎡, p<0.01) 및 체지방률(23.8 대13.5%, p<0.01)은 다소 높았으나 허리둘레 (87.0 대 85.8 cm)와 요둔위비 (0.96 대 0.96)는 차이가 없었다. 2. 인슐린 저항성을 반영하는 공복 인슐린 및 C-peptide 농도는 체용적지수. 체지방률, 허리둘레 및 요둔위비가 커질수록 증가하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상관차수 0.21∼0.42, 모두 p<0.05). 3. 혈청 지질중에는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만이 남성 환자군에서 비만지수들과 약한 음의 상관성을 보이는 경향이었고, 총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농도는 상관성이 없었다. 4.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은 남성군에서만 체용적지수. 체지방률, 허리둘레 및 요둔위비가 커질수록 상승하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상관차수 0.21∼0.33, 모두 p.0.05). 결론. 국내 제2형 당뇨병 환자들의 전신 비만도 및 복부 비만도가 서구인에 비해 심하지는 않으나 포도당 대사, 인슐린 저항성, 지질 대사 및 고혈압에 위해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수준에 이르고 있으며 이는 결국 죽상경화증의 위험인자로도 작용하게 될 것임을 시사한다고 하겠다. 그리고 신체계측을 통한전신 비만 및 복부 비만 지수 모두가 당뇨병 및 죽상경화증의 위험을 간접적으로 예견하는 유용한 척도가 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Obesity is the powerful risk factor for type 2 diabetes and also associated with a significantly increased risk of insulin resistance, dyslipidemia, hypertension and atherosclerosis. Although obese individuals have these diseases, the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and these diseases was not certain until regional fat distribution was taken into account. Report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and the risk factors of atherosclerosis in type 2 diabetics in Korea are very rare. To evaluate the relative importance of anthropometric indices on the development of atherosclerosis and obesity-related metabolic and vascular complications, the correlations of these indices with the risk factors for atherosclerosis were studied. Methods: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n=425, male 196, female 229) who not used antihy- pertensives or anti-lipidemic agents were investigated. Body mass index (BMI) and percentage of body fat (%BF) estimated by skinfold-thickness in assessing generalized adiposity, and waist circumference (Wc) and waist-to-hip ratio (WHR) in assessing visceral adiposity were taken as anthropometric indices. We included the indicators of glycemic control (fasting blood sugar and HbAlc), insulin resistance (fasting serum insulin and C-peptide concentrations), lipid abnormalities (serum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HDL-cholesterol, and LDL-cholesterol concentrations), and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as risk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atherosclerosis. Partial correlations of the anthropometric indices with those risk factors were investigated with adjustment of age and duration of illness. Results: 1. BMI and %BF in female patients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in male (24.2 vs 23.0 kg/㎡, 23.8 vs 13.5%, respectively, p<0.01 in all) although Wc and WHR were similar between both groups. In general, both body adiposity and abdominal obesity in them were much lower than in the Western. 2. Serum insulin and C-peptide level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BMI, %BF, Wc and WHR (r=0.21~42, p<0.05 in all). 3. Serum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and LDL- cholesterol were not correlated with any anthropometric indices. A weak negative correlation of serum HDL-cholesterol with these indices was found in male patients group. 4. Both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all these indices only in male group (r=0.21~33, p<0.05 in all).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severity of both generalized and visceral adiposity in these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were only mild but adiposity with abdominal distribution of body fat in diabetes mellitus could be a significant risk factor of developing atherosclerosis. In clinical practice, these anthropometric indices indicating general adiposity and abdominal obesity may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predicting disease risks, especially of diabetes and cardio- vascular disease indirectly.

      • 고려해야 할 비만의 원인

        서영성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2002 생물치료정신의학 Vol.8 No.2

        일반적인 비만의 원인은 과잉섭취, 신체활동량 감소, 2차성 비만 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사회 경제적 상태에 따라 비만이 발생할 수도 있다. 비만의 흔한 원인으로 잘 알려진 운동부족이나 음식섭취과잉보다 실제 비만환자 진료시 비만을 좀더 잘 이해하고 치료에 도움이 되는 비만 요인들을 기술하고자 한다. 나 이: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같은 생활습관을 유지하더라도 성인에서 10년 후 3∼4kg의 체중이 증가한다. 가령 체중 증가 기전은 생리적인 변화, 활동정도 및 섭취량의 변화로 추정하고 있다. 출 산: 출신 후 5년 동안 추적 조사한 결과 첫 자녀 출산 후 출산하지 않았던 여성에 비해 2∼3kg의 체중이 증가하였다. 시상하부성 비만: 사상하부 복측내외측신경핵(VML)의 손상으로 1) 과식욕, 2) 낮은 기초 대사율, 3) 자율신경 불균형, 4) 성장호르몬 결핍을 유발하여 비만해지도 한다. 원인질환으로 두개인두종, 프레더 윌리(Prader-Willi) 증후군, 뇌동맥류, 염증성 질환, 방사선치료, 뇌 손상 등이 있다. 약물과 비만: 대체로 식욕조절 효과를 가지는 신경전달물질의 분비작용이 있는 약물들은 진정작용 및 항콜린성 작용으로 체내 네어지 소비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된다. 약물로 인한 체중증가시 치료의 우선순위가 원인 질환이라면 체중이 증가하는 치료제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식사조절, 고열량식품의 섭취제한 및 운동과 같은 기본적인 생활습관을 유지하도록 교육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다. 유전과 비만: 현재까지 비만을 유발하는 단일 유전자가 발견된 적은 없으나 최근 수많은 비만관련 유전자들이 발견되고 있으며 이들 다양한 유전자들이 환경적 요인과 상호 작용하여 비만과 대사장애에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지고 있다. Obdsity has increased in recent years and is now worldwide public health problem. Body weight is determined by an interaction between genetic, environment and psychosocial factors acting through the physiological mediators of energy intake and expenditure. The purpose of the this review is to address several considerable causes of obesity, except diet and exercise. Body weight and obesity tend to increase as a person ages, and then decline in the last decades of the person life, as inverted U or J shaped pattern. The mechanisms for relationship between aging and body weight have to be yet clearly delineated, involving a combination of physiological changes, activity levels, and caloric intake. Several investigators report a net increase in body weight with pregnancy that may persist and even increase with successive pregnancies. Excessive gestational weight gain is probably the most important risk factor for maternal obesity. The neuroanatomical and neuroendocrine basis for hypothalamic obesity is emerging, but multiple mechanisms are involved, varying from one patient to another depending on the extent and distribution of hypothalamic damage. Craniopharyngioma, and its treatment, is the commonest single structural cause of hypothalamic obesity, while Prader-Willi syndrome has been considered the commonest genetic from of obesity to be associated with hypothalamic dysfunction. Many of drugs interfere with central appetitle-regulating neurotransmitter and may produce sedative and anticholinergic effects, ultimately contributing to changes in energy expenditure. Dietry advice, lifestyle and exercise programs are still the fundamentals for the treatment of drug induced obesity. Whether or not someone within a given environment actually becomes obese is determined not only by the nature of the environment but also by the degree of the susceptibility to obesity. A high susceptibility to obesity would be associated with a low adaptive ability of the functional phenotype. Gemes are likely to be involved in determining the adaptive capacity of the functional phenotype.

      • 초등학생의 비만 실태 및 태도 조사 : 경기도 안산시 중심으로

        김찬호(Chan-ho Kim) 인하대학교 스포츠과학연구소 2004 스포츠과학논문집 Vol.16 No.-

        본 연구의 목적은 경기도안산시 전체 초등학생의 최근 3년간의 비만 출현율과 실태를 조사하여 비만 아동의 예방치료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의 대상자는 위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교 5-6학년 어린이를 모집단으로 하여 그 중 임의로 1개교를 선정하여 신체검사결과 중등도 이상의 비만아동 62명과 정상체중 아동 147명의 어린이 총 209명을 조사하였다. 자료의 처리방법으로는 비만 실태를 백분율로 산출하였고 SPSS 10.001 사용되었다. 또 두 집단 간 카이검증(×2)을 실시하여 빈도와 기대빈도 비율(%)을 산출하여 얻어진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안산시 전체초등학생의 2001년-2003년까지의 비만 출현율. 경도비만 이상 남 · 여 총계의 비만 이환율이 ‘01년 13.1%에서 ‘03년 16.8%로 높은 증가율이 매우 빠름을 알 수 있었고 남자 어린이의 비만 출현율이 여학생 보다 높고 고도 비만의 경우도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보여주었다. 2. 비만체중군과 정상체중군 학생의 비만 실태 조사. 두 집단 간 부모님의 체격을 조사한 결과 어머니보다는 아버지의 체격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고, 두 집단 간에 식사습관에 관한 조사 결과 식사횟수, 가공식품선호도, 식후간식 섭취여부, 인스턴트 섭취횟수 등을 조사한 결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운동습관의 조사결과 두 집단 간 주당 운동 횟수 및 평소 신체활동은 비만 체중군 학생의 신체 활동량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일상생활에서 비만 체중군 학생은 평소 자기 체형에 대한 만족도가 매우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비만관련 지식을 조사한 결과 두집단 간 일반적인 인식의 차이는 없었으나 비만과 교우관계 조사에서 비만 체중군 학생은 비만으로 인해 원만한 교우관계가 유지하기 어렵다고 높은 응답을 보였다. 3. 초등학교 학생들의 비만 예밥을 위한 전략. 초등학교 학생들의 비만 예방을 위한 교수 · 학습지도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국가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체계적인 영양교육 및 비만예방과 관리 차원의 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이 필요하고, 교사 및 비만학생 들을 대상으로 각종 연수의 기회를 제공해 주어야 하며 교내에서의 적절한 환경과 공간이 우선적으로 제공되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is past 3 years of the incidence rate of obesity and its status on the subjects of total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Ansan si, Gyeonggi do, and to propose the basic date for the prevention for children with obes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otal 209 elementary students, 62 obese children above the medium degree of obesity and 147 normal-weight children on their annual physical examinations among 5th and 6th graders from a randomly selected school in Ansan si, Gyeonggi do. The method used for data analysis was SPSS 10.0, and the status of obesity was calculated by percentage. The frequency and the rate of expected frequency obtained from x2 test between two groups were as follows: 1. The incidence rate of obesity among total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Ansan si, Gyeonggi do between 2001 and 2003: The total incidence rate of more than the mild degree of obesity was rapidly increased from 13.1 % in 2001 to 16.8 % in 2003. The boy's incident rate showed higher than the girl's, and severe obesity was shown to be increasing every year. 2. The status of obesity between the obese group and the normal group: There were mo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father's physical features than those of mother's in the investigation of parents' physical feature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ating habits, the frequency of meal, the instant food preference, the numbers of the times of having snakes after meal, and the frequency of having instant food. But, in the investigation of exercise habits of two groups, physical activity in obese children was shown less than that of non-obese group for weekly exercise frequency and usual physical activities. Obese children's satisfaction with their body in daily living was significantly low,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knowledge related to obesity between two groups. However, obese children responded in the investigation of relationship with their peers that they had difficulties in keeping relationships with friends due to their obesity. 3. The strategies for the prevention of elementary students' obesity: To apply strategies for the prevention of elementary students' obesity to teaching and learning at elementary schools, organized nutritional education at the level of government ought to be provided, and the programs for obesity prevention and management should be developed. Furthermore, various training opportunities and education for teachers and obese students ought to be provided and proper school environments and spaces should be established firs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