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블렌디드 러닝 기반의 교육 체제에 대비한 국악교육 연구의 발전적 방향 모색

        김민하(Kim, Min-Ha) 국립국악원 2022 국악원논문집 Vol.45 No.-

        미래사회의 교육 체제가 온・오프라인을 혼합한 블렌디드 러닝에 기반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본 연구는 그 변화에 대처해 나가는 관점에서 블렌디드 러닝에 기반한 국악교육의 목표와 이에 수반되어야 할 연구 과제를 논의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문헌 분석을 통해 블렌디드 러닝에 대해 고찰하고, 교육부와 시도교육청의 정책 방향을 바탕으로 코로나19 시기에 초・중등 학교교육에 도입된 블렌디드 러닝의 적용 현황을 살펴보았다. 또한 교육부 정책 및 문헌 분석, 빅카인즈(BIGKinds) 시스템 분석을 통해 교육의 패러다임을 파악하고, 이에 기초하여 블렌디드 러닝 체제에서의 국악교육의 목표와 연구 과제를 제안하였다. 그 결과 ‘블렌디드 러닝을 통한 국악 수업의 안정성 및 효과성 제고’, ‘블렌디드 러닝에 기반한 진로・적성 맞춤형 국악교육의 실현’의 두 가지 목표를 설정하였다. 이러한 목표를 구현하기 위해 ‘온・오프라인 연계 국악 수업을 위한 교육 방안 마련’, ‘효과적인 국악 수업을 위한 블렌디드 러닝용 콘텐츠 개발’, ‘국악 관련 선택과목의 블렌디드 러닝형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블렌디드 러닝형 국악 관련 선택과목의 운영 실태 분석’ 연구가 수반되어야 함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국악교육의 실행 기반을 확장하기 위해 학교교육의 환경 변화와 교육 정책의 흐름을 수용하여 미래 지향적 연구를 제안한 의의를 갖는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내용들이 중・장기적 관점에서 계속 연구되고 후속 연구 결과가 적층됨으로써 학교 현장의 국악교육이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As educational systems of future society are expected to be based on blended learning which mixes online and offline, this study aims to discuss the goals of Korean music education based on blended learning and study tasks to be accompanied, from a viewpoint of coping with the changes. To this end, it reviews the literature to understand blended learning, and examines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application of blended learning introduced to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education during the COVID-19 era based on policy direction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its local offices. It also understands the educational paradigm by analyzing policies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literature, and the BIGKinds system, and based on the paradigm, it proposes the goals and study tasks of Korean music education under the blended learning system. As a result, two goals have been established—‘enhancing the stability and effectiveness of Korean music education through blended learning’ and ‘realizing career and aptitude-customized Korean music education based on blended learning’. In order to realize such goals, it discusses the importance of studies on ‘the preparation of education plans for Korean music classes linking online and offline programs’, ‘the development of blended learning contents for efficient Korean music classes’,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blended learning-type programs of optional subjects related to Korean music’, and ‘the analysis of the reality of operation of optional subjects related to blended learning-type Korean music’.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poses future-oriented studies by accepting the change in school education environment and the flow of educational policies, in order to expand the found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in the post-Corona era. Hopefully, the contents proposed by this paper will be studied in the middle-and long-term perspectives and the results of follow-up studies will be laminated, activating the Korean music education at schools.

      • KCI등재

        블렌디드러닝과 플립러닝을 활용한 영어교육연구의 효과 비교를 위한 메타분석

        김혜미(Kim, Hye-mi),김정렬(Kim, Jeong-ryeo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1

        본 연구의 목적은 개별적으로 이루어진 블렌디드러닝과 플립러닝 적용 연구들을 메타분석의 방법을 통하여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블렌디드러닝과 플립러닝의 효과성을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블렌디드러닝과 플립러닝을 독립변인으로 하는 23 개의 학술지 논문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연구는 학교급별, 처치 기간을 조절변인으로 하고 인지적, 정의적 영역의 종속변인별로 구분하여 전체 연구대상 논문을 코딩하고 각 변인별 종속변인의 효과크기를 분석하여 변인의 범주간 비교 를 실시하였다. 전체 효과크기의 분석 결과 블렌디드러닝의 경우 0.277로 작은 효과 크기를 보였으며 플립러닝의 경우 0.834의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 특히 플립러닝을 활용한 영어 지도의 정의적 영역에 대한 효과 크기는 1.013으로 단연 돋보였다. 연구결과에서 블렌디드러닝과 플립러닝 사이에 영어학습의 인지적인 효과크기 비교에서는 플립러닝이 우세하지만 통계적 유의성은 없으나 정의적 효과크기의 비교에서는 플립러닝이 통계적으로 블렌디드러닝에 비해서 유의한 정도로 학습효과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사실을 통해서 테크놀로지 활용 영어교육에서 온라인으로 학습한 내용은 오프라인 수업에서 인적 상호작용을 통해서 배운 표현을 활용하는 플립러닝의 영어학습 활동이 영어학습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을 유지하는데 아주 중요하 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nglish education using Blended learning and Flipped learning via a meta-analytic approach. To this end, the study extensively searched and collected papers meeting the criteria being a quantitative approach and done in a domestic EFL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setting. 76 studi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ir method and their result in cognitive and affective factors. The moderating factors were classified into learners’ school levels and instructional period, which in turn the study investigated any differential effects moderated by these different factors. Results showed that the overall effect size of Blended learning and Flipped learning were 0.277(p<.05)and 0.834(p<.05) wherein both methods are effective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One noted finding of this study is that affective effect of Flipped learning is significantly bigger than that of Blended learning, which indicates the importance of in-class human interaction using on-line learning materials to maintain confidence and interest in English learning. This study cautions that are limited by not having sufficient number of papers to cover the statistical necessity.

      • KCI등재

        블렌디드 러닝에서 교사에 대한 기대 역할 탐색

        최정순,홍선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3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6 No.1

        학교 교육에서 블렌디드 러닝이 주요 이슈가 되면서 효과적인 블렌디드 러닝의 설계와 실행에 대한 관심은 높은 반면, 블렌디드 러닝에서 교사 역할에 대한 논의는 그리 많은 주목을 받고 있지는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블렌디드 러닝에서 교사에게 기대되는 역할과 구체적인 행동이 무엇인지를 제시해 봄으로써, 갑작스러운 환경변화에 블렌디드 러닝을 체계적으로 적용하지 못했던 교사들과 아직도 학교 현장이 낯선 초임 교사들에게 블렌디드 러닝에서 교사의 역할에 대한 안내를 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먼저 국내외 문헌들에서 제시된 블렌디드 러닝에서의 교사 역할과 역할 행동을 조사하여 블렌디드 러닝에서 교사의 역할 및 역할 행동을 유목화 및 종합하였으며, 전국의 초중고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교사 역할에 대한 현장 인식과 이해 수준을를 확인하였다. 설문 결과는 이론과 현실의 차이를 반영하였는데, 문헌연구에서 분류한 설계자, 촉진자, 지원자, 평가자로 교사의 역할을 구조화한 것과는 달리, 평가자와 관련된 역할 행동들이 촉진자와 설계자로 흡수되는 경향이 있었다. 더불어 학교급, 블렌디드 러닝 경험의 유무, 교사 경력, 지역에 따른 비교 분석을 한 결과 지역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는 초중등학교 교사들이 일반적인 수업 상황에서 블렌디드 러닝을 계획하고 수행하는 데 기본이 되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를 찾을 수 있다. In the field of school education, how to blend online and offline learning effectively have a lot of attentions while what teachers are expected to do in blended learning situation gains little attentions. Along this line, this study focuses on what teachers should do when they teach students in blended learning. To do so, this study reviewed and categorized the teachers’ roles described in studies related to online learning, distance learning, and blended learning and then in on and offline learning situations. The list of teachers’ roles and behaviors was created and then polished . The survey was carried out to confirm the categories of teachers’ roles viva factor analysis. At the last stage, the final list of teachers’ roles and behaviors were compared by school level, experience, and region. Besides region, the results of comparison by components are statistically meaningful. This study contributes to clarify and guideline what a teachers should do in blended learning. The series of what teachers need to be prepared in diverse blended learning situations need to be explored as a follow-up study so that the research results support teachers to get ready their blended learning.

      • KCI등재후보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한 기업의 협력사 교육 사례연구

        임태연,김혁,조남채 한국산업교육학회 2016 산업교육연구 Vol.32 No.-

        최근 기업 교육에서 블렌디드 러닝 도입에 대한 관심이 높다. 블렌디드 러닝은 교육생들이 입과하는데 있어 시공간적 제약이 적고, 테크놀로지를 이용한 다양한 기법 활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고, 이러한 장점들이 기업 교육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쳐왔다. S사는 협력사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교육 전담 조직인 교육센터를 건립하여 운영 중이다. 협력사 교육을 실시하면서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었는데, 첫 번째, 협력사와 같은 중소기업은 인력규모가 작고 업무대체인력이 부족하여 장기 교육 참석이 어렵다는 것이고, 두 번째, 각 협력사별로 생산하는 제품과 기술이 다양하여 입과 교육생의 수준을 평준화시키기 어렵다는 것이다. 세 번째, 현실적으로 협력사 현업에 실제적으로 적용 가능한 실무 중심의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협력사가 아닌 자사 임직원에게 교육을 시키는 경우, 위의 문제를 쉽게 해결할 수 있겠으나, 협력사 대상 교육의 경우 강제성을 띌 수 없기 때문에 S사에서는 교육의 질을 높여 협력사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주는 형태로 전략을 수립하고자 한다. 이에, 블렌디드러닝을 도입하여 실시하면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 본 연구를 실시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기업교육에 블렌디드 러닝을 적용해보고, 블렌디드 러닝의 긍정적인 효과에 대해서 검증하는 작업을 거치며 다시한번 그 효과와 가능성을 입증 하였으며,향후, 협력사 교육의 블렌디드 러닝 사례연구에 대해 계량화 작업을 거쳐 확대 연구해 나갈 예정이다. Recently, high interest in blended learning adoption in enterprise education. Blended Learning is that students have the advantage of being less temporal and spatial constraints it to the mouth, using a variety of techniques can be utilized technology, these advantages will have had 가a positive effect on corporate training. Company S living being operated by an established educational organization dedicated training centers in order to strengthen the capacity of partners collaboration. There was a problem that appears while conducting supplier training, First, in case of small business enterprise, such as business partners is staff size is small business alternative manpower shortage and long-term education attended the will is difficult, Second, the goods and technology to produce each partner to various mouth and it is difficult to equalize the level of the students. Third, that it is realistically possible need for hands-on practical application in a production partner training. If letting to its employees, not partners training, but it could easily solve the above problem, in the case of a partner destination education because they can not sensibly and enforced company S in a strategy in the form giving practical assistance to partners to increase the quality of education to be established. Therefore, this study was carried out under the assumption that if you can solve conducted by introducing the Blended Learning. This study try applying a Blended Learning in corporate training, go through the task of verification for the positive effects of Blended Learning was demonstrated the possibility and the effect again, through measurable action on Blended Learning case studies in the future, partner training It plans to expand research.

      • KCI등재

        블렌디드러닝 수업이 학습만족도, 자기주도학습 능력,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박희정,신혜정 한국언어치료학회 2022 言語治療硏究 Vol.31 No.3

        Purpose: The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a blended learning at universities on the class satisfaction, the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the self-efficacy.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 sophomores in the department of speech-language pathology. Data were collected on blended learning class satisfacti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self-efficacy. Descriptive statistics, paired sample t-tests, and Pearson's correlation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25.0. Results: First, overall satisfaction with the blended learning class was 3.88. The item with the highest score (4.15) in class satisfaction was ‘Blended learning was applied according to the class characteristics.’ The item with the lowest score (2.58) in class satisfaction was ‘It was more convenient to ask questions to the instructor online than offline.’ It was found that subjects preferred classes using blended learning over those that online or offline learning exclusively. Second, after applying blended learni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was improved by a statistically-significant measure. Third, self-efficacy was incr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n the post-test compared to the pre-test. All sub-factors of self-efficacy also showed a statistically-significant improvement.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elf-efficacy, and class satisfaction, all variables showed statistically-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In particular,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self-efficacy showed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Conclusions: It can be seen that blended learning improves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suggests that it can further affect self-efficacy. Based on this study, the direction of follow-up research related to blended learning was discussed.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블렌디드러닝을 적용한 수업이 대학생들의 학습만족도, 자기주도학습 능력,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방법: 블렌디드러닝 수업 참여에 동의한 언어치료학과에 재학 중인 대학생 30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여 블렌디드러닝 학습만족도(13문항), 자기주도학습 능력(20문항), 자기효능감(28문항)을 조사하였다. SPSS for windows 25.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량, 대응표본 t-test, Pearson’s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블렌디드러닝 수업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는 3.88이었다. 블렌디드러닝 수업 후, 가장 높은 학습만족도(4.15점) 문항은 ‘블렌디드러닝은 수업 특성에 맞게 적용되었다’이고, 가장 낮은 학습만족도(2.58점) 문항은 ‘온라인상에서 교수자에게 질문하는 것이 오프라인상에서보다 더 편리하였다’였다. 이는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만 적용된 수업보다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병행한 블렌디드러닝 수업을 더 선호함을 의미한다. 둘째, 블렌디드러닝 수업 후, 자기주도학습 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t=7.198, p<.01). 셋째, 블렌디드러닝 수업 후, 자기효능감은 사후검사가 사전검사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되었다(t=8.334, p<.01). 자기효능감의 모든 하위요소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나타내었다. 넷째, 학습만족도, 자기주도학습 능력, 자기효능감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모든 변인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특히 자기주도학습 능력과 자기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강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r=.796, p<.01). 결론: 블렌디드러닝은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 능력을 향상시키고 더 나아가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블렌디드러닝 관련 후속 연구의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블렌디드 러닝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경험

        박귀조 ( Park Gwijo ),김자경 ( Kim Jakyoung ),서주영 ( Seo Juyoung ) 한국특수아동학회 2023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5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블렌디드 러닝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경험과 성공적인 블렌디드 러닝 운영시 필요한 지원요구사항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B시 소재 특수학급이 있는 유치원 및 특수학교에 재직하고 있으며, 블렌디드 러닝 운영 경험이 있는 유아특수교사 6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면담내용은 개방형 코딩을 통한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블렌디드 러닝 운영의 어려움’, ‘블렌디드 러닝 운영을 위한 노력’, ‘블렌디드 러닝 운영의 효과’, ‘블렌디드 러닝 운영 시 고려할 점’, ‘블렌디드 러닝 운영을 위한 지원’, ‘가정과의 연계를 위한 지원’의 총 6개의 핵심범주를 중심으로 19개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결론: 본 연구결과는 유아특수교육현장에서 내실 있는 블렌디드 러닝 실행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of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with blended learning and to identify the support requirements necessary for successful operation of blended learning. Method: Six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employed at special education schools located in B city who had experience with blended learning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em. The interview content was analyzed qualitatively using an open coding method. Results: Based on the interviews, six core categories were identified as follows: ‘Challenges in operating blended learning', 'Efforts for operating blended learning', 'Effects of blended learning', 'Considerations for operating blended learning', 'Support for operating blended rning', and 'Support for home-school collaboration', and a total of 19 subcategories were derived within these six core categories. Conclus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providing foundational data for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blended learning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settings.

      • KCI등재

        플립드 러닝 기반 토론 강의의 블렌디드 러닝 활용 방안에 관한 탐색적 연구

        조유현(Cho, Youhyun) 한국소비문화학회 2021 소비문화연구 Vol.24 No.4

        COVID-19의 전 세계적인 확산에 기인한 교육환경의 변화로 전면적인 비대면 강의가 실시되었고 비대면 교육이 대표적인 교육 유형으로 인식되면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도 비대면 학습의 중요성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온라인 비대면 강의는 시간적·공간적 편이성, 유연성, 지식 전달의 효율성, 교육비용의 감소, 교육 기회의 불평등 완화 측면에서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상호작용 기반의 의사소통이나 체험학습을 통한 사회적 역량의 증진을 도모하기에는 여전히 취약한 측면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교재를 위주로 한 지식 전달식 오프라인 대면 강의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인재가 갖추어야 할 비판적 사고 능력이나 소통 및 협업 등과 같은 역량을 강화시키기도 어려울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기존의 대면 수업의 한계를 보완하는 동시에 비대면 강의의 태생적인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강의 유형인 블렌디드 러닝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플립드 러닝 기반 토론 강의에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하는 방안을 탐색적으로 연구하기 위하여, “사회적 책임과 기업윤리” 강의를 사례로 ADDIE 모형에 근거한 플립드러닝 기반 블렌디드 러닝 강의의 특성과 구성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토론의 참가자나 패널로서 강의에 참여하는 학생들에게 대면 혹은 비대면 참여 방법에 대한 자율성을 부여하는 것은 효과적인 블렌디드러닝 강의를 설계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로 판단되었다. 실시간으로 강의에 참여할 수 없는 경우에 LMS 강의자료실에 공유된 녹음이나 녹화자료를 통해 토론 내용을 확인하고 토론방을 통해 의견이나 관련 자료 등을 공유하는데, 이것은 LMS의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블렌디드 러닝을 설계할 때 공정성, 다양성, 자율성 등 평가상의 다양한 측면을 고려하여 학생들의 부담을 줄여줄 수 있는 평가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플립드 러닝 기반 토론 강의를 비대면으로 진행하였던 4개 강좌의 강의 평가 평균 점수는 92.6점으로 같은 강의를 대면으로 진행하였던 5개 강좌의 강의 평가 평균 점수인 90.1점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비대면 토론 강의에 수반된 어려움과 제한점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은 줌을 활용한 비대면 토론 강의에 대해 만족하는 것으로 유추되며, 기존의 대면 강의에 비해서도 강의 만족도와 지지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블렌디드 러닝의 설계 방안을 모색하는데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의 논의는 특정한 대학의 특정 강의를 사례로 전개되어 제시된 모델을 전공이나 강의 유형에 관계없이 모든 강의에 일반화시키기에는 어려움이 있겠지만,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효율적이고 유용한 대학 강의 모델을 제시하였다는 측면에서 그 의의가 크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의 결과가 교육 환경의 변화를 반영한 교육 모델을 융합적 관점에서 연구하고 대안을 모색하는데 체계적으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Due to the change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caused by the worldwide spread of COVID-19, all non-face-to-face lectures were conducted. As non-face-to-face education is recognized as a representative type of education, the importance of non-face-to-face learning is expected to grow even more in the post-corona era. Online non-face-to-face lectures have many advantages in terms of temporal and spatial convenience, flexibility, efficiency of knowledge transfer, reduction of education costs, and alleviation of inequality in educational opportunities; however, it still has a weak aspect to promote social competence through interaction-based communication or experiential learning. On the other hand, it will be difficult to strengthen the critical thinking skills, communication and collaboration skills that talents in the era of the 4th revolution need to have through offline, face-to-face lectures that deliver knowledge mainly based on existing textbooks. In this respect, interest in blended learning, a lecture type that can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face-to-face classes and the inherent limitations of non-face-to-face classes, is increasing. Therefore, in order to explore the use of blended learning in flipped learning-based discussion lectures, this study takes the “Social Responsibility and Business Ethics” lecture as an example and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and the constituent factors of flipped learning-based blended learning lectures with ADDIE model. Giving autonomy over face-to-face or non-face-to-face participation methods to students participating in lectures as participants or panelists was judged to be an important factor for designing effective blended learning lectures. In the case of difficulties in participating in a lecture in real time, it has been shown that there are advantages in the aspect that the LMS is activated by providing an alternative to check the discussion contents using the recorded materials shared in the LMS lecture data room and to share opinions or related materials in the discussion room. In addition, when designing blended learning, it would be desirable to conduct the evaluation in a direction that can reduce the burden on students by considering various aspects of evaluation such as fairness, diversity, and autonomy. The average lecture evaluation score of the four lectures in which the flipped learning-based discussion lectures were conducted non-face-to-face was 92.6, which was higher than the lecture evaluation score of the five lectures in which the same lecture was conducted face-to-face which was 90.1. Despite the difficulties and limitations of non-face-to-face discussions, it is inferred that students are satisfied with the non-face-to-face discussion lectures using Zoom, and the satisfaction and support of the lectures are high compared to the existing face-to-face lectures.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useful information to find a design method for blended learning. The discussion in this study is developed with a specific lecture at a specific university as a case, and thus,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presented model to all lectures regardless of major or lecture type. However, it is of great significance in that respect of suggesting the efficient and useful university lecture model in the post-corona era.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ystematically used to study the educational model that reflects changes in the educational environment from a convergence point of view and to seek alternatives.

      • 일본어교육에서 Blended Learning 도입에 대한 고찰

        김민희 ( Kim Min-hee ) 순천대학교 인문학술원 2022 인문학술 Vol.8 No.-

        COVID-19(이하 코로나19로 표기함)로 인해 대한민국을 비롯하여 세계적으로 교육의 판도가 변화하고 있다. 사회적 거리두기(Social Distancing)로 인해 비대면 수업의 비율이 높아지고 원격 형 수업, 동영상 수업 등 수업의 형태도 매우 다양해지고 있다. 학습자들은 다양한 교육 및 학습방법이 필요하고, 일본어 교육 현장 또한 변화가 필요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흐름을 반영하여 본 연구에서는 비대면수업과 대면수업을 혼합한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 혼합하다 + E-러닝)을 이용한 수업방법을 분석해보고 이를 바탕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도출해보고자 한다. 블렌디드 러닝을 대학 내 일본어교육에 적용하여 수업을 본격적으로 실시하기 시작한 것은 최근 1,2년에 지나지 않아 선행연구 수 역시 적은 편에 속함을 알 수 있다. 선행연구 에서는 교수자의 입장에서 기술한 논문이 대부분이었으며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하는 방법, 교수법과 교실활동 운영 등에 관한 내용에 대해서는 미흡한 부분이 많았다. 본 연구는 S대학교의 일본어일본문화학전공 재학생 총 101명 중, 응답자 7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1-4학년 재학생으로, 일본어 전공교과목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행하였으며, 주요 연구 결과로는 첫째, 블렌디드 러닝의 장단점 등이었으며 둘째, 블렌디드 러닝의 일본어 교육 도입 방법 등, 온라인 콘텐츠의 학습동기 유발에 활용 가능성 등 온라인 사전학습과 오프라인 학습의 연계성을 확보 하는 것이 효과적인 블렌디드 러닝 수업을 위한 중요한 요인임을 알았다. 온라인 수업을 진행하다 보면 학습 환경으로 인한 학습 저해 요인 등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학습지원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한 역할을 갖는다고 볼 수 있다.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인하여 학력미달 및 학습수준의 저하가 도래하고 있다. 더욱더 일본어교육에 블렌디드 러닝의 효율적 도입을 위해 블렌디드 러닝의 장단점에 관한 구체적인 연구의 활용 방식에 대한 홍보와 세미나 및 워크숍 등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를 바탕으로 일본어교육에 접목한 블렌디드 러닝의 효과성을 분석해보고 이를 보완하는 분석과, 블렌디드 러닝의 효과를 검증하는 점은 향후의 과제로 남기기로 한다. The global trend of COVID-19 has changed the power of education in Korea and around the world. With the implementation of Social Distancing, the proportion of non-face-to-face classes has increased, and the form of classes such as remote classes and video classes has become very diverse. Due to the changes in education due to the Corona disaster, learners need a variety of education and learning methods, and the Japanese language education site also needs to be changed. Therefore, reflecting this trend, in this study, class methods using blended learning (blended learning) that mix non-face-to-face and face-to-face classes are analyzed, and questionnaires are conducted based on this and the results are derived.It has been only in the past year or two that blended learning has been applied to Japanese language education in universities and the number of prior studies has not been large. Most of the previous research papers were written from the professor's point of view, and there were many deficiencies in how to use blended learning, teaching methods, and management of classroom activities.This study was conducted on 72 respondents out of 101 students majoring in Japanese language and culture at S University. A survey was conducted on students in the first to fourth grades who are taking Japanese major courses. First,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blended learning were cited, and second, securing the link between online pre-learning and offline learning was found to be an important factor for effective blended learning classes, such as how to introduce blended learning in Japanese language education. If online classes are carried out, learning inhibitors may occur due to learning environments, and it is considered important to establish a learning support system to solve the difficulties. The prolonged COVID-19 epidemic has led to a lack of academic ability and a decline in the level of learning. Furthermore, in order to efficiently introduce blended learning into Japanese language education, an environment must be established to provide necessary information such as public relations, seminars, and workshops on how to utilize specific research on the pros and cons of blended learning.Based on the above, we will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blended learning combined with Japanese language education, complement it, and verify the effectiveness of blended learning as future issues.

      • KCI등재

        미용 전공 대학생의 학년에 따른 블렌디드 러닝 관련 학습자 특성, 블렌디드 러닝, 학습 몰입, 교육 만족도의 차이

        송송이 ( Song-yi Song ),김형은 ( Hyoung-eun Kim ) 한국미용예술경영학회 2021 미용예술경영연구 Vol.15 No.3

        본 연구는 미용 전공 대학생의 학년에 따른 블렌디드 러닝 관련 학습자 특성, 블렌디드러닝, 학습 몰입, 교육 만족도의 차이를 알아보아 학년에 따른 학습 몰입과 교육 만족도를 높이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조사대상자는 서울·경기 지역의 미용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총413부의 설문자료를 최종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블렌디드 러닝 관련 학습자 특성은 학습 가치와 학습 애착 2개 요인으로, 블렌디드 러닝은 의사소통, 인식 정도, 학습 암기 3개 요인으로, 학습 몰입은 학습 태도, 학습 적극성 2개 요인으로, 교육 만족도는 교육적 특성 요인이 도출되었다. 또한 학년에 따른 블렌디드 러닝 관련 학습자 특성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2, 3학년이 1학년보다 학습 가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3학년이 1학년보다 학습 애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블렌디드 러닝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3학년이 1학년보다 의사소통과 인식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학습 몰입의 차이는 3, 4학년이 1학년보다 학습 태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1학년이 2, 3학년 보다 학습 적극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교육 만족도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2, 3학년이 1학년보다 교육적 특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연구결과를 통해 학년에 따라 블렌디드 러닝 관련 학습자 특성, 블렌디드 러닝, 학습 몰입, 교육 만족도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코로나 팬데믹 이후 온라인 학습 환경이 중요시되고 있는 앞으로의 상황을 고려하여 온라인 교육 환경의 특성을 심도 있게 파악하고 다양한 표본 데이터를 확보하여 블렌디드 러닝 학습 환경 발전에 의의 있는 연구가 도출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differences in characteristics of blended learning, learning immersion,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of beauty major college students by their grade year levels in order to increase learning immersion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for each grade level. Total of 413 surveys were collected from student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for analysis. Results indicate two learner characteristics related to blended learning are learning value and learning attachment. Blended learning consists of three factors of communication, recognition and learning memorization, Learning immersion consists of two factors of learning attitude and learning activity, while educational satisfaction consists of one factor which was named as educational trait factor. As a result of looking at the differences in learner characteristics of blended learning, second and third years indicated higher learning values than first year students and third year students had higher learning attachment than first year students. Blended learning differences according to grade levels indicated third years had higher communication and awareness than first year students. Differences in learning immersion by grade years showed higher learning attitude for third and fourth year students compared to first year students, and first year students demonstrated higher learning activity than second and third year students. In educational satisfaction, second and third years indicated higher educational trait than first year students. These findings indicate there are differences among students in varying grade years for learner characteristics, blended learning, learning immersion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in blended learning. Future studies should consider the greater emphasis o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due to corona virus pandemic when analyzing characteristics of online education in depth and executing research in a variety of sample populations to conduct meaningful research for further developing blended learning environments.

      • KCI등재

        학습자가 원하는 전공 영어 블렌디드 러닝 수업 유형 조사 연구

        정성희(Cheong, Sung Hu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1

        본 연구는 15주간 전공 금융영어 수강생이 영어강의 온오프 혼합 블렌디드 러닝 수업 참여 후(이하 영어 블렌디드 러닝) (1) 영어 블렌디드 러닝수업 경험 전/후 곤란도나 우려점의 차이(이하 영어 블렌디드 러닝 우려점), (2) 영어 블렌디드 러닝의 장단점 인식 차이(이하 블렌디드 러닝 장단점), (3) 학습자 입장에서 이상적인 블렌디드 러닝 형태는 무엇인지(이하 학습자 선호 블렌디드 러닝 수업 유형) 고찰하는 질적 연구이다. 서울 소재 종합대학 경영대 금융학부 2개 분반 54명(사전), 52명(사후)에게 15주 동안 주당 2시간 연강 수업 중 홀수 차수 주-오프라인 대면 수업에서 학습자 주도 참여 및 토론 중심 플립러닝 수업방식을 실시하였다. 짝수 차수 주에는 교수자 중심 전공지식 온라인 강의를 통해 각 주 차별 수업방식 차이를 구축하였다. 정규성 검정(NormalQ-Q Plot) 후 두 분반의 동질성을 입증하였고 참여 사전 사후 변화, 장단점, 학습자 선호 블렌디드 러닝 유형은 반구조화된 자유 설문지, 워크숍 참여 관찰, 동영상 자료 수집, 문서 수집 내용분석을 바탕으로 해석학적 관점의 분류체계분석을 시행하였다. 반복 시청을 온라인 강의 장점으로 선호하면서도 최선을 다해 학습하지 않은 상황에 대한 제재가 없다는 점을 학습자들이 가장 걱정하였고, 학생 상호작용 및 교수자 소통을 최대화하는 오프라인 수업을 이상적이라 여김에도 교수자가 소통을 구조화해 이끌어주어야 참여가능하다는 수동적 태도를 보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학생 니즈를 수렴할 경우 참여자들이 만족하는 블렌디드 전공영어 수업 모델 개발이 가능함을 시사하고 체계적인 블렌디드 전공 영어 수업을 위해 고려할 점이 무엇인지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qualitative study examined the perception changes of learners’ (1) concerns (2) strengths and weakness, and (3) ideal types about blended learning in a finance-major-affiliated English program. The free-style open-ended semi-structured research questionnaire, video-taping, face-to face interview were used to observe learners perception changes about this type of class. A total of 54(pre-data) and 52(post-data) participants who were enrolled at the Finance Department in a university located in Seoul completed various qualitative data. The normality test that was performed for each class before starting this study verified the equivalence of these groups. The results portrayed that the study participants were fond of blended-learning class due to the advantages of time-management while they were anxious about no-penalty or free-regulation for less-diligent work for their on-line sessions. On the other hand, they preferred for learning through teacher’s active guide and encouragement for the participation no matter how they were eager for “communicating well with the instructor”. This means that they are passive enough for the instructor to provide them with the systematic participation-activities and active communications. The findings imply that learner-centered blended learning should consist of active interaction, participation, communication and feedback about students’ performances. Even though this study revealed the limitations of research design and population, the success of blended learning in major English area is contingent upon creating relevant in-class activities, which improve learners’ motivation and understanding about the cont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