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파리의 주변부, 불어권 스위스 문학 -두 문학 장에 "걸친" C. F. 라뮈즈의 경우

        레날프뢰디거 ( Reynald Freudiger ) 서울대학교 불어문화권연구소 2009 불어문화권연구 Vol.19 No.-

        파리 중심의 불문학과 비교했을 때 불어권 스위스 문학은 주변적인 위치를 점하고 있다. 파리를 경유해야 더 넓은 불어권으로 작품이 유포될 수 있으며, 많은 불어권 스위스 작가들이 파리의 문학계에 접근하려 한다는 사실은 이를 보여준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독자적인 출판업계와 시장, 작가와 비평가 등을 갖추고 있다는 점에서 불어권 스위스 문학계는 자율적인 장으로서의 면모를 보이기도 한다. 불어권 스위스의 대표적인 작가인 샤를 페르디낭 라뮈즈의 생애는 이러한 불어권 스위스 문학계의 주변적이면서도 자율적인 현실을 반영하고 있을 뿐 아니라, 우리로 하여금 불어권 내 프랑스어의 다양성이라는 문제에 대해 재고하게 해준다. 1878년 스위스 로잔에서 태어나 프랑스어 시집과 단편소설을 출간한 바 있는 라뮈즈는 파리로 건너가 1905년에 첫 장편소설인 『알린느』를 펴낸다. 스위스계 작가로 먼저 파리에서 활동하고 있던 에두아르 로드의 도움으로 출간한 이 소설에서 라뮈즈는 스위스 농촌지역의 삶을 그리고 있다. 이후 약 10년에 걸쳐 그는 파리에서 5편의 소설을 출간한다. 비록 작품의 판매량이 많지는 않았지만, 파리에서 작품을 출간했다는 사실로 인해 그는 불어권 스위스 문학계에서 크게 환영을 받는다. 1913년에 스위스로 돌아온 이후 라뮈즈는 로잔을 대안적인 문학중심지로 만들고자 했다. 많은 작품을 출간하며 불어권 스위스에서 루소에 비견되는 작가로 인정받았던 그는 자신이 원하는 거의 모든 것을 출판할 수 있었다. 그리고 점차 파리에서라면 펴내기 어려웠을 아방가르드적인 글들을 발표하기 시작한다. 그가 스위스에서 발표한 혁신적인 작품들은 특히 아카데미 프랑세즈의 언어와는 다른 스위스의 지방어로 채워져 있었고, 이러한 그의 문체를 두고 불어권 스위스의 비평가들은 프랑스어가 아닌 애매한 언어를 사용한다며 비판을 가한다. 이 시기 그의 작품은 불어권 스위스에서만 유포되었지만, 일부 프랑스의 아방가르드적 작가들이 그의 글쓰기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다. 1919년에 그는 필립 수포로부터 『문학』 지에 참여할 것을 권유받는다. 그리고 1924년에는 갈리마르 출판사와 더불어 파리에서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던 그라세 출판사와 장기 계약을 맺고 1947년 사망하기까지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한다. 라뮈즈는 이처럼 불어권 스위스와 파리라는 두 문학 장을 이용할 줄 알았다. 주목할만한 스위스계 작가로 파리에 소개된 그는 그곳에서의 작품 출간으로 인해 불어권 스위스 문학계에서 중요한 지위를 얻게 되었다. 그리고 불어권 스위스 문학계를 일종의 문학적 혁신의 실험실로 활용함으로써 파리의 문학계에 재입성할 수 있었던 것이다. 또한 그는 자율적인 불어권 스위스 문학 장의 존재를 이용할 줄 알았는데, 스위스 문학계에서 경제적 후원을 받아 자유로운 창작 활동을 할 수 있었기에 그라세 출판사의 지원을 얻고 파리 문학계에 다시 진출할 수 있었던 것이다. 파리에서도 역시 그의 문체를 놓고 비판이 일기 시작했고, 이에폴 클로델을 비롯한 주요 문인들이 그를 옹호함으로써 라뮈즈는 파리 문학계에서 논쟁의 중심에 서게 되었다. 결국 그는 1929년 자신의 작품집 서문에 편집자에게 보내는 편지 형식으로 논쟁에 대한자신의 입장을 직접 표명한다. 여기서 그는 자신이 아카데미 프랑세즈의 "죽은" 언어가 아닌 "살아 있는" 언어로 표현하고자 했음을 분명히 하면서, 이러한 시도가 자신뿐 아니라 주변부 불어권 문학전체와 관련된다는 점을 밝혔다. 프랑스어의 다양성에 대한 그의 변론은 주변부 불어권 문학의 시학에 대한 최초의 정식화이자 일종의 역사적 선언이었던 셈이다. 2차 대전의 발발로 라뮈즈와 파리의 연계는 느슨해졌으며, 1947년 그의 죽음은 파리 문학계에서 별다른 주목을 받지 못했다. 그러나 불어권 스위스에서 그의 입지는 더욱 확고해져 교과서에 그의 작품이 수록되고, 그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불어권 스위스에서의 라뮈즈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은 이후 다시금 파리 문학계의 관심을 불러일으켰고, 결국 그가 파리에서 첫 작품을 출간한 지 100주년이 되는 2005년에 그의 전집이 플레이야드 판으로 출간된다. 이처럼 그가 프랑스 문학의 판테온에 입성할 수 있었던 것은 그의 작품이 이룬 문학적 성취 때문이기도 하지만, 자율적인 장으로서의 불어권 스위스 문학계가 있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라뮈즈의 생애를 통해 우리는 불어권 스위스 문학계가 보이는 주변적이면서도 자율적인 장으로서의 면모를 확인할 수 있었다. 라뮈즈의 시대와 마찬가지로 오늘날에도 많은 불어권 스위스 작가들이 파리로부터 문학적 승인을 받고 자신의 입지를 다진다. 그러나 동시에 상당수의 작가들이 파리를 경유하지 않고 불어권 스위스 내부에서 자신의 문학세계를 열어가고 있다. 그리고 이들 중에는 파리중심주의에 반대하며 자율적인 문학 장을 보존하고 다양성을 구현하기 위해 투쟁하는 작가들이 있다. 오늘날 스위스를 비롯한 불어권 내에서 파리를 벗어나는 대안적인 문학 장을 구성하는 것이 많은 문학인들의 관심사가 되고 있다. 마르세유, 제네바, 다카르에서 파리와 대등한 자리에 서기 위한 시도들이 현재 진행 중이다.

      • KCI우수등재

        캐나다 퀘벡주의 분리독립 문제와 불어권국가연합기구(O. I. F.)의 향후 위상 전망

        한양환(Yanghwan Han) 한국정치학회 2001 한국정치학회보 Vol.35 No.2

        탈냉전 이후 미국 주도 하의 정보통신혁명과 ‘세계 화’로 인한 불어문화권의 위축을 경계해 온 프랑스는 1997년 부트로스-갈리(Boutros-Ghali)전 유엔사무총장을 영입하여 불어권국가연합기구(O. I. F.)를 출범시키고, 40여 개 회원국의 정치적 결속을 통한 국제사회에서의 위상회복을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대다수의 회원국이 제3세계 최빈국들로, 이 기구의 활성화 전망은 그리 밝지 못한 것이 사실인바, 이와 같은 O. I. F.의 구조적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는 프랑스의 노력에 있어 퀘벡주의 독립은 매우 절실한 사안이 될 수 있다. 북미대륙의 영어문화권 내에서 문화적 정체성 유지를 위해 고심하고 있는 퀘백주의 분리독립이 달성될 경우. O. I. F. 회원국 간 경제협력의 활성화는 물론, 프랑스의 국제적 위상 제고, 나아가 세계 각국에서 침체를 겪고 있는 불어교육의 활성화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타국에 대한 내정간섭을 금기시하는 국제사회에서 프랑스 또는 제3국의 퀘벡주 독립에 대한 공개적 지지가 어려운 만큼, 대미종속의 심화로 자체적인 국가 정체성의 위기를 겪고 있는 캐나다 연방의 타협적 양보와 퀘벡 주민들의 현명하고도 신중한 선택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What would happen to the future of la Francophonie if Quebecers vote for independence from Canada? The prospects of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of Francophonie (I.O.F), recently reactivated in France by declaring its political aims under the presidency of Boutros-Ghali, depend a lot on the full membership of Quebec as an independent state. Now only a province in the Canadian federation dominated by English culture within the sphere of American influence, french-speaking Quebec ought to figure out its political status, in the near future, taking into consideration both its own cultural identity and economical circumstances. This study brings the debate up to the present, exploring the political dynamics in Quebec since the landmark referendum of 1995 and examines the implications of eventual separation for Quebec, Canada and the rest of the I.O.F member nations.

      • 스위스 불어권 종교개혁의 개척자 기욤 파렐의 영성과 목회신학

        손은실(Son Eun Sil) 혜암신학연구소 2017 신학과교회 Vol.8 No.-

        본고는 스위스 불어권 종교개혁의 1세대 가운데 가장 큰 공로를 세운 개혁자이지만 칼뱅의 그림자에 가려져 있던 기욤 파렐(Guillaume Farel, 1489-1565)의 영성과 신학사상을 소개하고 오늘날 개혁이 절실히 요청되는 한국교회를 위한 시사점을 밝힌다. 이를 위해 먼저 그가 종교개혁시대의 역사적 배경에서 개혁자로 성장해 간 배경과 스위스 불어권에서 종교개혁 운동을 확산시켜 나간 활동 그리고 파렐과 칼뱅 사이에 있었던 ‘예언자들의 우정’을 소개한다. 파렐에 대한 이런 기본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그의 대표적인 신학 저술인 『신앙개요』에서 오늘 한국교회 개혁에 시사하는 바가 가장 큰 부분을 발췌하여 번역한다. 그것은 두 가지 내용에 관한 것이다. 첫째는 한국교회의 중요한 개혁 대상인 기복 신앙과 번영 신학의 폐해를 극복할 수 있는 길을 보여주는 파렐의 기도의 영성에 관한 것이다. 둘째는 한국교회의 최우선적 개혁 대상으로 전락한 목사의 개혁을 위해 귀중한 교훈을 주는 거짓 목사와 좋은 목사의 모델을 제시하는 글이다. This study introduces the spirituality and theological thoughts of Guillaume Farel (1489-1565), who was the most influential among firstgeneration reformers in French-speaking Switzerland, but has often been overshadowed by Calvin. It will also propose implications for the Korean Church which urgently requires a reformation. To do this, it deals with Farel’s growth as a reformer in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Reformation, his role in the expansion of the Reformation movement among the French-speaking Switzerland, and the “friendship of prophets” between Farel and Calvin. With this basic understanding of Farel, it translates excerpts from his theological work Summary and Brief Exposition, which have most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the reformation of the Korean Church. The excerpts consist of two subjects. One is Farel’s Spirituality of Prayer, which show a way to overcome the consequences of the main targets of reformation, that is, the faith for blessing and the theology of prosperity. The other is the models of the Good Pastor and the False Pastor, which give insights for the reform of the pastors, who have been reduced to targets of the most urgent reformation in the Korean Church.

      • KCI등재

        객체에서 주체로 : 캐나다의 아메리카 원주민 영화 -영어권과 불어권을 중심으로-

        이상훈(Lee, Sang-Hoon)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0 인문과학연구 Vol.0 No.66

        오래전부터 캐나다에 정주하고 있었지만 새롭게 도래한 유럽인의 정복과 착취의 대상이 되었던 아메리카 원주민은 20세기 후반부터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외부적으로는 연방 정부와 주정부를 대상으로 구조화된 불평등 상황에 대한 구체적인 개선을 요구하였고, 내부적으로는 그들이 처한 차별적인 현실 상황을 본격적으로 자각하기 시작했다. 무엇보다 문화·예술을 통해 아메리카 원주민은 사회적 불평등에 대한 발언을 개시한다. 시기적으로는 1960년대 후반을, 구체적으로는 영화를 통해 그들이 처한 엄혹한 현실과 고유한 문화가 발현되기 시작한다. 특히 이중국어병용 정책에 기반을 둔 영어권과 불어권에서의 제작 지원이라는 제도적 지원을 기반으로 창작 주체인 아메리카 원주민의 정체성 자각과 다양한 영화 교육이 이루어지면서 많은 작품이 제작된다. 캐나다의 아메리카 원주민 영화는 상업영화보다는 독립영화, 극영화보다는 다큐멘터리 영화의 특성을 보인다. 그들의 영화는 전통적 배급망이 아닌 학교나 커뮤니티 기관 등 공적 기관을 통해 상영이 이루어진다. 작품의 주제는 부당한 과거의 역사를 고발하거나 백인 중심 사회에서의 힘겨운 현실 재현의 특징을 보인다. 소수자의 위치로 인해 정체성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내적 탐구의 모습이나 과정도 또 다른 주제가 되고 있다. 20세기 후반부터는 소수자적 삶을 실험적 형식의 영화나 시적 에세이 영화로 재현하는 작품들이 새롭게 등장한다. 특히 이 시기에 등장한 젊은 감독들은 연출 방식에서 독창적인 미학적 형식을 취하면서 사회적 갈등 상황보다 원주민 보호구역과 그곳을 둘러싼 자연적 공간을 다양한 방식을 통해 작품 속에서 재현한다. From the late 20th century, Native Americans, who lived in Canada before the Europeans reached it, began to let their voices be heard through various fields of politics, economy and society. They question the indifference, ignorance, discrimination and isolation they have endured for centuries, and seek to resolve these issues. While the federal and state governments are demanding immediate and concrete improvements to this inequality, internally, specific awareness of their difficult reality and situations is also being visualized in many different ways. In particular, through the collaboration of Native Americans and public film institutions, which want to use the popular art of film as a means to tackle and overcome social inequality, the unique identities of Aboriginal people have been highlighted in film works, specifically documentary films. Through film, the culture, spirituality and livelihood of Native Americans are gradually spreading to the outside, especially since projects are developed with creative supporters in two languages, English and French. In general, films produced by Native Americans tend to be independent films rather than commercial films, and feature documentary films rather than drama films. And most of them are short films. Above all, these individual works accuse the reality they face and the history of inequality, past and present. The search for identity is an equally important subject. Many of the works produced since the 2000s have focused on social problems, and often manifest themselves as essays imbued with poetry and with a deep-rooted sense of the spatial nature of the Aboriginal Sanctuary, the place where they live.

      • KCI등재

        한국 아동문학의 해외 번역 현황과 특성 연구

        장영미(Jang, Young-Mi) 돈암어문학회 2012 돈암어문학 Vol.- No.25

        오늘날 국제화 세계화 시대에 번역은 서로 다른 언어를 가진 나라들이 상호 소통하는 데 매개체 역할을 하고 있다. 번역을 통한 문학 교류는 한 나라의 문화를 다른 나라에 효과적으로 전파시키고 이해시킬 수 있는 유력한 수단이 되고 있다. 한국 아동문학 역시 해외 독자들에게 여러 언어로 번역 소개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수입 도서에 비해 수출되는 도서는 극히 미비하다. 결국 한국 아동문학의 적극적인 수출을 위해, 한국 아동문학의 해외로 번역된 현황과 특성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본 논문은 출발하였다. 그 결과 영어권의 경우 창작동화는 판타지 세계를 배경으로 하는 작품이, 그림책은 한국적인 문화와 정서를 느낄 수 있는 작품이 번역되었다. 불어권은 ??고양이 학교??가 선풍적인 인기를 끌면서 창작동화 가운데 단연 두드러진 추세였다. ??고양이 학교??가 인기를 끌면서 한국의 다른 작품에도 관심을 끌게 되었고 이후 한국적인 풍습과 세계를 담고 있는 작품들이 번역되었다. 일어권은 이전에는 그림책에 관심을 보이다가 이후 차츰 창작동화에 관심을 보였다. 창작동화는 일본이라는 나라가 처한 환경적인 영향으로 어려움에 있는 주인공들이 역경을 이겨내고 성공하는 희망을 주제로 한 작품이 많이 번역되었다. 세 언어권을 중심으로 해외에 번역된 한국 아동문학은 한국적인 문화와 정서를 담은 것이 특징적이다. 하지만 한국에 수입되는 도서에 비하면, 수출되는 도서는 극히 미비하다. 따라서 보다 많은 작가의 다양한 작품들이 해외로 번역되는 것이 급선무이다. 하지만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이라는 명제에 빠져서 한국적인 것만을 주제로 한 작품 소개는 피해야 한다. 결국 한국 아동문학의 해외 번역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한국적인 고유성과 상대 국가의 취향을 고려한 번역이 되어야 할 것이다. In this age of globalization, translation works as very important medium to help communication between countries which use different languages. Exchanges in literature via translation are becoming powerful measures to help disseminating and understanding one country"s culture to the other effectively. Korean"s juvenile literature also introduced many translated languages, but still imported books have taken up a lot of space compared to exported books. This thesis is started with the concept that we should study status and character of exported books first, for the more energetic exportation in Korean"s juvenile literature. Consequently, in Englishspeaking countries, the fantasy based created children"s books and picture books which reflect the Korean culture and spirit are translated. In Francophone countries, ??School for cats??gained sensational popularity with readers. It was definitely remarkable in exported created children"s book. Thank you for the popularity of ??School for cats??, Francophone countries are starting to get interest in Korean"s book. As a result many korean atmosphere books are translated. In Japan, they are interested in picture books at first, but started to get interest in created children"s books later. Because of their own environment, particular kind of books are translated which have a story of one character who gets through all the difficulties and finally has a successful life. Distinctively, exported Korean juvenile literature reflects Korean"s culture and spirit. But still, compared to imported books, the percentage of exported books is really inadequate. Thus it"s really urgent to translate the various writers’ diverse stories, but we should not be obsessed with the concept that we always have to write the story based on Korean culture. In the end, to get our books exported actively, we have to consider Korean characteristics identity and other country"s tast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L’éducation pédagogique et culturelle pour les enfants : <Bonjour France>

        김종서 한국영상문화학회 2013 영상문화 Vol.0 No.21

        L’education pedagogique et culturelle pour les enfants est le travail le plus important pour l’avenir de notre societe. L’Alliance Francaise Incheon et l’arrondissement de Namgu dans la ville d’Incheon ont cree ensemble ce projet <Bonjour France>. Ce dernier a ete mis en place au CAMF(Centre des arts numeriques pour la jeunesse de Namgu) au mois de septembre en 2009. Nous faisons decouvrir gratuitement la langue francaise et la culture francophone au travers d’un programme specialement concu et adapte a ce jeune public. Le but est d’ameliorer l’education de la langue francaise et de la culture francophone a la jeunesse de notre ville et de renforcer les liens avec la communaute d’Incheon. Il sert aussi pour l’avenir de nos enfants qui souhaiteraient devenir des specialistes politiques et culturels dans le monde. <Bonjour France> est dispense en deux groupes qu’il faut bien separer etant donne la difference d’age et leur niveau francais. Le premier groupe que nous appelerons la <classe A> est compose d’un public d’enfant de 8 a 11 ans. Le deuxieme, la <classe B>, est compose d’un public plus age. Le cours se deroule dans un systeme tres specialise avec la conception pedagogique et culturelle. Nous ne demandons pas aux enfants de memoriser directement, mais plutot d’appeler leur imagination et leur curiosite. Ils apprennent donc atravers divers programmes culturels(jeux, contes, bandes dessinees...). La <classe A> est destinee aux enfants qui decouvrent la langue et la culture francaises pour la premiere fois. Le cours est d’une duree de deux heures. La premiere heure est un cours de langue, la deuxieme, un cours culturel. Les enfants sont en general tous debutants et n’ont aucune notion du francais. Les enseignants francais et coreens se retrouvent face a des enfants qu’ils vont encourager et animer. Le professeur natif enseigne la langue en francais et les coreens enseigent la culture francophone en coreen. En se basant sur une approche actionnelle, les enfants deviennent des acteurs dans la classe et presentent leur imagination et leur curiosite. Avec la gestuelle, ils commencent a parler des choses qu’ils aiment et a poser des questions simples. <La classe B> correspond aux eleves qui sont deja venus plus de 6 mois. Ils sont plus ages et plus matures puisqu’ils sont desormais tous collegiens. Le cours est un apprentissage plus pousse avec des regles de grammaire et du vocabulaire plus riche. Il est possible de creer en meme temps un projet lingustique et culturelle. Le projet de blog, de chanson, encore de conte sur tablette numerique. L’objectif reste toujours de proposer des activites ludiques tout en decouvrant la culture francophone. Le programme permet aussi de faire participer pleinement les enfants aux cours et de les rendre acteurs de <Bonjour France>. Grace au succes de notre programme, les parents de <Bonjour France> participent a nos actions pedagogiques et culturelles. Ils ont cree eux-meme <Bonjour France Maman>qui est une association de benevoles. Leur but est de montrer la diversite culturelle et encourger la creativite des enfants. <Bonjour France> n’existe pas uniquement pour montrer la langue et la culture francaise, mais egalement pour faire connaitre la diversite culturelle et en comprendre les differences. C’est ainsi que nos enfants pourront avoir plus d’imagination et plus de curiosite et qu’ils pourront comprendre la tolerance et porter une autoreflextion sur eux-memes.

      • KCI등재

        불어권 언론 매체의 동해 표기 명칭 고찰

        임은진(Lim, Eunjin),이상균(Yi, Saangkyun) 한국지역지리학회 2016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2 No.4

        지명은 특정 물리적 공간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사회적이고 정치적인 권력 관계를 표상하고 있다. 특히 동해는 우리나라 영역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명일 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는 일본해와 경쟁관계에 있는 지명이다. 우리나라는 국제사회에서 동해 지명 확산을 위해 다방면으로 노력하고 있으며, 점차 그 권력을 확대하고 있다. 본 연구는 프랑스 를 제외한 주요 불어권 국가의 방송사・신문사의 실제 기사와 방송 내용 분석을 통해 동해 관련 표기 명칭의 현 상황을 도출하고, 프랑스에서 생산된 표기 명칭이 불어권 각 국가로 확산되는 과정과 영향력을 지명의 권력 관계 측면에 서 밝히고자 하였다. 불어권 국가 중 북아프리카의 알제리, 서유럽의 벨기에, 룩셈부르크, 캐나다 퀘벡을 주요 연구 지역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 북아프리카 알제리와 룩셈부르크 언론 매체는 동해 표기에 비호의적인 경향을 보인 반면, 벨기에와 퀘벡은 비교적 호의적이었다. 대체로 불어권 국가들은 프랑스의 AFP 통신으로부터 보도 자료를 제공 받고 있었는데, 동일한 기사라 하더라도 각 국가나 언론사에 따라 일본해 단독 표기를 고수하려는 매체가 있기도 하 고, 경우에 따라 동해를 병기 표기하려는 의지를 보이는 곳도 있었다. 이를 통해 지명 확산과 전파의 사회적・정치적 이해 관계와 지명에서 나타난 권력관계, 대중적 지정학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The name of a place represents the social and political power relations as well as showing a certain physical space. In particular, the East Sea is not only a representative name of areas represent our country, but also the name of place being in competition with the Sea of Japan internationally. Korea is committed in many ways to spread the name of East Sea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gradually expand its name pow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ames used in the newspapers and broadcasting in Francophone countries except France by analyzing the newspaper articles and broadcasting contents, and to illuminate how the names of the East Sea produced in France, and the discussion about the names were diffused in Francophone countries and what kind of influence they had on those countries. This study selected Algeria in North Africa, Belgium and Luxembourg in West Europe, and Quebec in Canada for the research areas. As a result, while Algeria in North Africa and Luxembourg are showing inhospitality to the name East Sea, Belgium and Quebec are taking a flexible attitude toward this name. In general, most Francophone countries are provided with press releases from AFP in France. Even in same article provided by AFP, The result shows that some media stick to use the name Sea of Japan solely, and others demonstrate a will to use both name East Sea and Sea of Japan simultaneously. This study was able to show that the diffusion and spread of the place name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social, political interests and powers, the mess geopolitics in pop cultural materials.

      • KCI등재후보

        비교문학연구의 발전과 개방을 위한 선결과제 차원의 `비교가능성` 개념정의라는 도전과제에 관하여 - 일련의 이론적 문제점 되돌아보기

        콩스탕탱마크리스 ( Constantin Makris ) 서울대학교 불어문화권연구소 2016 불어문화권연구 Vol.26 No.-

        본 연구는 개념 자체의 난점 때문에 지금까지 거의 다뤄지지 못했지만, 비교문학연구시 맞닥뜨리게 되는 `비교가능성`의 개념정의라는 도전과제에 대해 다루고 있다. 비교문학연구는 이 개념에 대한 정의와 함께 시작하며, 중요성 역시 가장 높다고 할 수 있다. 문학연구 중에서도 비교문학연구는 외적인 압력이 아닌 연구 자체의 실행 및 발전의 부족이라는 도전과제에 직면한 상태다. 이는 비교문학연구자 스스로가 잘못된 관점에서 연구를 시작하면서, 자연스럽게 최초의 가설 역시 역사적으로도 학문적으로도 근거가 부족해지게 되며, 결국은 연구결과 역시 단순 우연의 일치 수준에 머무르는 상황에 기인한다. 이러한 문제는 비교문학 해석의 실질적인 방식들이 정확한 방향을 잡지 못하면서, 비교문학비평 자체라는 것이 우연적이고 부분적이며 일관성도 부족한 일치현상, 즉 정확한 의미관계가 부실한 텍스트상 관련성 위에서 형성되어버리는 결과와도 연결된다. 본 연구는 `비교가능성의 발생지점과 종점`에 관한 문제제기를 중심으로 하고 있다. 물론이론적인 차원에서만 얼핏 생각해보면 비교가능성이라는 것은 얼마든지 쉽게 나올 수 있는 것 같아보인다. 그러나 문제는 대학 내 학문연구라는 것이 엄밀성을 반드시 필요로 하는 것이라는 차원에서, 연구자가 비교의 대상으로 만들려고 하는 두 개의 축 사이에 비교가능성의 특성이 확실하게 존재한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야 말로 비교문학의 필수과제라는 점이다. 이는 비교문학의 중심이 연구의 결과물에 있지, 연구과정 자체에 있는 게 아니라는 점에서 더욱 그러하다. 물론 그렇다고해서 연구자가 무조건적으로 이러한 점에 주의해야 한다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과도한 조심성은 자칫 혁신 자체를 거부하고 연구의 흐름 자체를 막는 결과를 낳기 때문이다. 비교문학입문의 성향을 가진 본 연구에서는, 비교문학에 대한 중추적인 조합을 이뤄낼 열 가지 단위에 해당하는 주제들에 관해 알아볼 것이다. 이 주제들은 비교문학이 문학연구 및 교육에 동시에 연관성을 가지면서 부딪히는 도전과제들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또한 이 열 가지단위를 통해, 비교문학연구시 직면하게 되는 도전과제들을 파악할 때 꼭 필요할 (프랑스 및 중부유럽에서 사용되는) 이론들에 관해서도 알아볼 것이다. 토도로프, 메쇼닉, 라스티에 같은 프랑스 내 문학이론의 대표적인 연구자들에 기반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프랑스와 함께 유럽을 통틀어 비교가능성의 범위와 틀을 제안하고 있는 다양한 문제제기들에 관해서도 같이 언급할 것이다. 이 중 특히 소르본대학의 비교문학연구가인 브뤼넬과 셰브렐, 그리고 비교문학연구 내 새로운 세대를 대표하는 로잔대학의 우테 하이드만의 연구가 본 연구의 논지전개에 영향을 주었던 불어권 이론가들이었음을 밝히는 바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비교문학이론의 중심개념인 `영향`과 `수용`에 대해 특히 중요성을 부여하고 있다. 전통적인 `영향`에 대한 연구와, 이전통이후에 이뤄진 `수용`에 관한 연구의 간격에서 나오는 도전과제들이 대체로 무시되어온 편이지만, 이 문제점들은 계속해서 잔존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는 (과거 비교문학연구에서 이미 그 가치를 입증한 바 있는) 영향에 관한 이론보다 주로 수용에 관한 이론을 다뤘는데, 이는 수용개념이 영향작과 수용작간의 관계에 좀더 이론차원에서 발전된 설명을 제공하기 때문이었다. 본 연구는 또한 현재까지 비교문학비평에서 정당한 평가를 받지 못했다고 보이는 문학작품간의 `접촉`에 관한 이론적 논의에 관해서도 소개할 것이다. 여기서 수용의 이론시도에 관한 야우스의 연구와 나란히 브뤼넬의 비교문학 연구방식의 이론시도에 관한 일련의 연구에 관해서도 참조하였다. 특히 브뤼넬의 `출현`, `가변`, `발산` 이 세 용어로 요약되는 3단계 접근방식이 본 연구에서 중요하게 언급되었음을 밝힌다. 다음으로, 예전부터 비교문학연구시 여러 도전과제들을 만들어낸다고 여겨지는 한 가지 현실, 즉 번역상의 실수 혹은 변형으로 인해 생기는 도전과제들에 대한 가장 중요한 해결책으로 제시되는 비교문학연구시의 다언어주의에 관한 언급이 이어질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되는 단위들은 비교문학연구시 여러 도전과제들을 만들어낸다고 여겨지는 요소에 관한 언급으로 이뤄져 있다. 먼저 다룰 것은 `학제적 차원의 개방성 숙고와 비교문학연구의 필요성`이다. 비교문학이 다양한 문학이론에 대한 개방 및 비교문학과 관련해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도전과제의 해결차원에서 연구대상이 되는 주제들을 다루기 위한 요소 혹은 방법의 차용을 역설하고 있다. 이는 비교문학 자체가 아직은 인식론적 차원에서 많은 경험이 필요하며, 동시에 독자적인 대학교육과정의 위치를 차지한지 얼마되지 않았다는 점에서도 더욱 그러하다. 이러한 문제제기와 함께 본 연구는 `학제적 차원의 개방성`에 관해서도 언급할 것이다. 의외의 문학적 일치현상들을 발견하게 만들어주고, 가능성이 없는 문학접촉을 어떻게 다뤄야 할지 가늠케 하는 `문학현상의 국제적 순환`이 대표적인 예 중에 하나이다. 이 중 가능성 없는 문학접촉에 대한 연구에서 갖가지 도전과제들이 나타난다. 또, 본 연구에서는 불어권 지역과 비교문학간의 관계를 통해 나타나는 도전과제들에 관해 다룰 예정인데, 그중에서 이민소재 불문학이 중점적으로 다뤄질 것이다. 비교문학에 관한 입문적 성격의 본 연구의 마지막 주제는 `문학간 비교와 문화간 비교`인데, 이는 비교문학연구시의 도전과제들 해결을 위한 중요한 도구를 통해 비교문학연구를 가능하게 할 기본원칙에 대한 비판적 이해 및 종합의 시도와 연결됨을 밝히는 바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