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후기 중관사상에서 본 불성과 영성 -『불성론』과 스즈키 다이세츠의 영성관과 비교하여-

        이태승 ( Tae Seung Lee ) 인도철학회 2014 印度哲學 Vol.0 No.41

        본고는 불성과 영성의 개념을 심층의식의 단계적 설명과 관련시켜 고찰한 방식에 의거하여 후기 중관사상에 나타나는 공성의 개념을 살펴 본 것이다. 불성의 개념에 대해서는 『불성론』에, 영성의 개념에 대해서는 스즈키 다이세츠의 견해에 의거해 살펴보았으며, 그것은 『불성론』과 스즈키가 각각의 개념에 대해 불교적 입장을 잘 드러내고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불성론』에서의 불성은 궁극적인 유적 존재, 수행을 통해 얻어지는 존재, 공덕을 지닌 존재의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스즈키의 영성에는 무차별·무분별의 의식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불성과 영성의 개념은 의식의 내면적 단계와 관계를 가지는 까닭에, 보다 구체적으로 의식의 단계로서 설정이 가능하다. 이러한 의식의 단계적 설명은 후기 중관사상에서 공성에 대한 논증의 과정에 나타나는 일련의 개념 즉 외경-형상-유식-무아 개념의 심층적 전개와도 상통하고 있다. 이 후기 중관사상의 인식론적 논의는 나가르주나의 근본중송에 나타나는 이제설과 후기불교의 인식론적 고찰이 어우러져 제법의 무자성 논증이 인식론상에서 상세하게 밝혀지고 있는 것이다. 그와같이 『불성론』의 불성 개념이나 스즈키의 영성 개념, 그리고 후기 중관의 공성의 개념이 모두 인식론상의 고찰과 밀접한 관련을 갖는 까닭에 보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개념을 인식론상의 구조와 관련하여 연관성을 살펴보았다. 이 고찰의 결과 각각의 개념들에 대한 인식론상의 이해가 분명해졌고 아울러 철학적 개념들에 대한 심리적ㆍ인식론적 연구의 필요성도 느꼈다. 오늘날 한국사회에서 많은 논의가 되고 있는 불성·영성·공성 등의 개념이 보다 선명하게 이해되는 하나의 계기가 되고자한다. The concepts of Spirituality and Buddha-nature are the controversial and important concepts from the aspects of society and religion in contemporary times.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concepts of Spirituality and Buddha-nature from the perspective of Later Madhyamaka thoughts. Before entering the Later Madhyamaka thoughts, first of all, we investigated the concepts of Spirituality and Buddha-nature from Suzuki`s works and Bul-sung-ron(佛性論) respectively. According to our investigation, we confirmed that the notion of Spirituality of Suzuki have the relationship with the very deep and indiscernible consciousness which are said to be ``indifferent`` and ``indiscriminate`` in Suzuki`s work and the notion of Buddha-nature in Bul-sung-ron is something that are Ultimate-being in deep consciousness and obtainable from the training and full of the merit and virtue. Considering the notions of Spirituality and Buddha-nature in Suzuki`s works and Bul-sung-ron, the aspect of consciousness are remarkable and noticeable. Therefore we can understood that this aspect of the consciousness is very important to consider the Later Madhyamaka thoughts. According to the Madhyamakalamkara-vrtti of Santaraksita, the representive work of Later Madhyamaka thoughts, we can find that the concept of Sunyata as the Ultimate-being are presented in the deep aspect of our consciousness and the pursuit of the Sunyata with the Logical method is an ultimate work which functions in inside our consciousness. Pursuing the deeping process of the consciousness for the concept of Sunyata, we can find the spectrums of our consciousness, that is, the sphere of Outer-world, the sphere of Idea, the sphere of Mind-only, the sphere of Non-mind. Considering these spectrums of our consciousness in Madhyamakalamakara-vrtti, we can undestand that the Mind-only spectrum of our consciousness corresponds to the concept of Buddha-nature in Bul-sung-ron and the Non-mind spectrum of our consciousness corresponds to the concept of the Spirituality in the Suzuki`s works. Besides these spectrums relative to the concepts of Spirituality and Buddha-nature, there is another sphere of our consciousness, that is, the Ultimate-state that is indescribable with our word. In concluding, we can easily understand the difficult concepts of Buddhism such as Sunyata through the comparative study of Later Madhyamaka thoughts and Suzuki`s works or Bul-sung-ron.

      • KCI등재

        불성론(佛性論)의 변용으로 본 조사선(祖師禪)의 전개

        김명호 한국선학회 2023 한국선학 Vol.- No.66

        This paper examines Buddha-nature theory and the theory of sudden enlightenment that emerged after Buddhism was introduced to China. And we examine the process by which Chinese Zen emerged from the conflict between Dìngxué(定學) and Bodhidharma Zen(達摩禪), and later the emergence of the Buddha-nature theory of Míngxīnjiànxìng(明心見性) in the Platform Sutra of the Sixth Patriarch. In addition, we examine the process in which ‘nonemotional Buddha nature(無情佛性)’ became the mainstream in the later Patriarchal Seon period that emerged after the Ānshǐ(安史) Rebellion and the Huìchāng((會昌) persecution. In Chinese Buddhism, it was Tao Sheng(道生) who advocated the fullfledged Buddha-nature Theory and sudden enlightenment. At the time, Tao Sheng subdued the theory of dharma nature of Huìyuǎn(慧遠) in the south and the prajna doctrine of reality and impermanence of Kumarajiva in the north, and developed Buddha-nature theory and the theory of sudden enlightenment. However, in Chinese Zen, Dìngxué(定學) centered on Zen was the mainstream during the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However, in the later period of the Northern Dynasty, Zen theory centered on Buddha-nature and Prajna of Bodhidharma(達摩) was introduced, showing an aspect of conflict. In the Tang Dynasty, Zen theory centering on 'mind' emerged in earnest from Dàoxìn(道 信)-Hóngrěn(弘忍)'s Dōngshānfǎmén(東山法門), and the Platform Sutra of the Sixth Patriarch, which succeeded it, emerged in earnest. With this, the Buddha-nature theory of Míngxīnjiànxìng(明心見性)’, with ‘sudden enlightenment’ as its core, emerged. However, after going through the ‘Ānshǐ( 安史) Rebellion’, Buddhism came to accept the non-emotional Buddha nature( 無情佛性) in order to integrate ideas, and especially after the ‘Huìchāng(會昌) persecution’, the ‘non-emotional Buddha nature’ became the mainstream of the later Patriarchal Seon period. This acceptance and development of nonemotional Buddha nature can be evaluated as the realization of Buddhism's complete fusion with traditional Chinese thought. 본 논문에서는 불교가 중국에 전래한 이후 출현한 불성론(佛性論)과 돈오론(頓悟論)을 고찰하였고, 중국선이 정학(定學)과 달마선(達摩禪)의 대립으로부터 후대에 『육조단경』에서 명심견성(明心見性)의 불성론이 출현하는 과정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안사(安史)의 난과 회창법난(會昌法難) 이후에 출현한 후기 조사선에서 ‘무정불성(無情佛性)’이 주류를 이루는 과정을 고찰하였다. 중국불교에서 본격적인 불성론과 돈오를 제창한 것은 바로 도생(道生)에 의한 것이다. 도생은 당시 남방의 혜원(慧遠)의 법성론(法性論)과 북방의 구마라집(鳩摩羅什)의 실상무상(實相 無相)의 반야학을 지양(止揚)하여 불성론과 돈오론을 제창하였다. 그러나 중국선은 남북조 시기에 선정(禪定)을 중심으로 하는 정학(定學)이 주류를 이루었다. 그렇지만 북조 후대에 달마(達摩)의 불성과 반야를 중심으로 하는 선사상(禪思想)이 전래하여 대립의 양상을보였다. 당대(唐代)에 이르러 도신(道信)-홍인(弘忍)의 동산법문(東山法門)으로부터 ‘심(心)’을중심으로 하는 선사상이 본격적으로 대두하였고, 그를 계승한 『육조단경』이 출현하여‘돈오’를 핵심으로 하는 ‘명심견성’의 불성론이 출현하였다. 그러나 ‘안사(安史)의 난’을거치며 사상의 융합을 위해 불교에서 무정불성을 수용하게 되었으며, 특히 ‘회창법난(會昌法難)’ 이후에는 오히려 ‘무정불성’이 후기 조사선의 주류를 이루게 되었다. 이러한무정불성의 수용과 전개는 불교가 중국의 전통 사상과 완전한 융합을 실현한 것이라고평가할 수 있다.

      • KCI등재

        불성(佛性) 개념의 중국적 변용 과정

        석길암 한국유교학회 2022 유교사상문화연구 Vol.- No.88

        This article focuses on Buddha-nature as a concept representing Buddhist thought in the process of negotiation between Buddhism and Confucianism in China, Buddha-nature, However, does not represent the original thought of Indian Buddhism. From the same point of view, this article focuses on human nature as a concept representing Confucian thought in the process of its negotiating with Buddhism, but there is also a question as to whether the concept of human nature represents original Confucian thought in China. Nevertheless, the two concepts are representative points of contact between Buddhism and Confucianism in China. In the history of East-Asian thought since the initial meeting of Buddhism and Confucianism, Buddha nature and human nature have been noteworthy as concepts representing their essential thoughts. Especially, noteworthy in the process of the contact and transformation between Buddhist and Confucian thoughts is the change in East-Asian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Buddha nature. Chinese Buddhists have understood Buddha nature or tathāgatagarbha in conjunction with the theory of mind-consciousness (心識說), resulting into a kind of mis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Buddha nature or tathāgatagarbha. From another point of view, however, it might be considered that this misunderstanding has led to East-Asian active contact between the Chinese theory of the concept of human nature and Buddha nature or tathāgatagarbha, transforming the concept of Buddha-nature and tathāgatagarbha in the history of Chinese traditional thought. This article identified that, in the understanding of human nature, such as that shown in Li Ao (李翱, 772-841)'s book entitled On the Recovery of Human Nature (復性書), Chinese Confucianism has reflected one aspect of misunderstanding and erroneous entanglements with the Buddhist concept of Buddha nature [or tathāgatagarbha]. Further, as a result of the negotiation between human nature in traditional Confucianism and Buddha nature in Chinese Buddhism, this article purported to articulate that there have been transformations in East-Asian understanding of Confucian human nature as well as in Buddhist understanding of Buddha nature. 중국에서 일어난 불교와 유교의 교섭 과정에서 불교적 사유를 대표하는 개념으로 불성을 주목한다. 하지만, 불성이 인도불교 본래의 사유를 대표하지는 않는다. 동일한 관점에서 불교와 교섭하는 과정에서 유교적 사유를 대표하는 개념으로 인성을 주목하지만, 인성이라는 개념이 본래의 유교적 사유를 대표하는 것인지도 의문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개념은 중국에서 불교와 유교의 교섭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접점이다. 유불교섭 이후의 사상사에서 각각의 사유를 대표하는 개념으로 불성과 인성이 주목된다. 두 사유의 접촉과 변용 과정에서 주목해야 하는 것은 불성 개념에 대한 이해의 변화이다. 중국 불교인들은 불성 혹은 여래장을 심식설(心識說)과 결부시켜 이해하였으며, 이것은 불성 혹은 여래장의 개념을 오해하는 결과를 낳았다. 하지만 다른 시각에서 본다면, 이러한 오해가 불성 혹은 여래장이라는 개념을 중국의 인성론과 적극적으로 접촉하고, 불성 혹은 여래장 개념과 중국 전통의 인성 개념을 변화시키는 결과를 낳았다고 생각된다. 본 논문은 이고(李翶)의 복성서(復性書) 에 보이는 것과 같은 중국 유학의 인성 이해가, 불교의 불성[혹은 여래장] 개념에 대한 오해와 착종의 한 측면을 반영하고 있다고 파악하였다. 그리고 유교의 전통적 인성론과 불교의 불성론이 교섭한 결과, 유교의 인성론에 대한 이해도 불교의 불성론에 대한 이해에도 역시 변용이 있었음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불성사상의 수용과 조사선의 형성

        김호귀 불교학연구회 2012 불교학연구 Vol.32 No.-

        불성과 조사선의 형성이 문제는 밀접한 관계에 놓여 있다. 조사선의 근본은 본래성불사상에 근거하여 그것을 일상의 생활에서 실천한다는 것이다. 그 본래성불사상의 사상적인 근거가 곧 불성이었다. 때문에 불성에 대한 수용과 그 터득은 조사선수행의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그래서 불성은 초기선종 시대에는 달마의 어록으로부터 깨침과 열반 내지 해탈이라는 개념과 동일시되었다. 나아가서 『유마경』, 『화엄경』, 『열반경』, 『능가경』등으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은 조사선의 입장에서는 그 바탕에 일체중생은 본래 부처와 다름이 없는 존재라는 것을 悉有佛性에서 추구하였다. 곧 일체의 존재가 모두 불성이라는 것이므로 생사를 벗어나야 비로소 열반이 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다만 본래성불임을 자각하지 못하고 있는 경우에 중생으로 살아가는 것이므로 다양한 수행을 통하여 자성이 본래 진성임을 深信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그 근거는 곧 생사와 열반의 동일성이다. 때문에 생사는 열반을 부정하지 않고 열반은 생사를 부정하지 않는다. 바로 이와 같은 내용은 『열반경』에서 말한 중도란 불이고 불성이며 대자대비이고 여래라는 말로부터 찾아볼 수가 있다. 이것이 『열반경』을 중시했던 선종에서는 보리달마 이래로 깨침과 불성의 근본적인 개념이었다. 나아가서 그 깨침은 무분별과 무집착으로서 반야의 청정과 평등이었다. 때문에 住는 일체범부의 속성으로서 집착이고, 무주는 제성인의 속성으로서 무집착으로 설정되었다. 무집착의 개념으로서 해탈은 수행의 과정에 있으면서 더불어 깨침으로서 불성이 현현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것이 달마로부터 혜능에 이르는 육대조사의 사상적인 근거로서 본래성불의 바탕이었음은 물론이다. 달마의 深信, 승찬의 信心, 도신의 守一不移, 홍인의 守本眞心, 혜능의 자성법문 등은 불성사상의 조사선적인 전개였다. The role of Buddha-nature and formation of Patriarch-seon in seon-sects have a deep relationship. The essence of Patriarch-seon is the original-enlightenment of Buddha-nature and daily-life of enlightenment, as it were, no-adherance, no-dispute, no-greed, no-anger, no-ignorance and so forth. The original-enlightenment of Buddha-nature is based on Mahayana sutras. We can examine the Buddhist-sutras of mahayana. For example, the Avatamsaka Sutra, the Great enlightenment-Sutra and the Prajnaparamita-Sutra, the Pundarika-sutra, the Langkavatra-sutra, and the Vimalakirti-sutra etc. In the first instance, the idea that all sentient beings have the Buddha-nature of Mahaparinirvana-sutra was developed from the thoughts of Patriarch-seon for the formative period in early seon-sects. We should notice that the phrase, ‘All sentient beings have the Buddha-nature,’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First, all sentient beings are full of Dharma-kaya in the universe. Second, all sentient beings have equality with-out discrimination. Third, all sentient beings have the Buddhanature, like each other. And the means of Buddha-nature can be divided diversely. Namely, the Buddha-nature has enlightenment, emancipation and nirvana in the analects of Bodhi-dharma. We can see the means of diversity of patriarchs in the formative period in early seon-sects, the so called six patriarchs. For example, Hueike is seon-mind, the analects of Sengtsan are faith and mind, the analects of Taohsin keep the one mind, the analects of Hungjen keep the sincerity-mind, the analects of Hueineng are the original nature-mind, the words of Huairang are of the no contamination-mind, the analects of Matsu are from perfected-mind, and the analects of Paichang are manifested-truth. These are the tradition of enlightenment in seon-analects. These notions of diversity in early seon-sects about Buddha-nature were fundamental principles in Patriarch-seon.

      • KCI등재

        중국초기불교의 佛性사상 : 『大般涅槃經集解』를 중심으로

        하유진 불교학연구회 2012 불교학연구 Vol.33 No.-

        불성사상은 초기 중국불교의 역사적 전개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개념이다. 晋宋 교체기에 이르러 중국불교의 사상적 관심은 『般若經』 중심의 般若中觀學에서 『涅槃經』 중심의 涅槃佛性論으로 전환하였으며, 이후 불성에 대한 논의는 자연히 어떻게 성불할 것인가의 실천수행론과 맞물려 전개되었다. 구체적인 수행방법에 대한 논의에 앞서 먼저 성불론의 이론적 토대로서 불성의 근거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涅槃經』에 대한 南朝 시대 涅槃師들의 주석 모음집인 『大般涅槃經集解』에서는 佛性에 대한 논의가 집중적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涅槃經』 및 『集解』는 중국불교 초기의 佛性사상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자료가 된다. 『涅槃經』에서는 성불의 가능성에 대한 논의의 일환으로 불성에 대한 因果적 해석이 전개되었으며, 불성에 대하여 기본적으로 因, 因因, 果, 果果의 네 가지로 파악하였다. 『集解』에서는 불성을 두 종류의 因으로써 설명하였는데, 正因과 緣因, 生因과 了因, 正因과 了因, 緣因과 了因이 그것이다. 이 가운데 正因과 錄因이 2종 因의 기본이 된다. 본 논문에서는 正因佛性과 緣因佛性을 중심으로 『集解』에 나타난 열반사들의 불성의에 대해 살펴보았다. The idea of Buddha-nature played a very important role in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early Chinese Buddhism. During the early years of 5thcentury, the doctrinal interest of Chinese Buddhism moved from the study of the notions of Prajñāand Mādhyamaka to the study of those of nirvana and Buddha-nature, subsequent development of the discussions on Buddha-nature becoming involved accordingly into the theory of actual practice in relation with the problem of how to become a Buddha. Prior to the discussion on the method of particular practice, however, there first developed a lively discussion on the basis of becoming a Buddha, as the foundation of the theory of becoming a Buddha. In the Mahāparinirvāṇa Sūtra, there arose a causal interpretation on Buddha-nature as a way of discussing the possibility of becoming a Buddha. From such a causal interpretation on Buddha-nature, there developed the thought of taking refuge in the Three Jewels within each of us. The above discussion on Buddha-nature in early Chinese Buddhism directly influenced the studies of the Three Treatises, the Treatise on the Ten Stages Sutra(the Daśabhūmikasūtra-śāstra), and the Huayan Thoughts, constructing an important the oretical foundation for the subsequent development and evolution of the thoughts of the Tiantai and Chan Schools that emphasize actual practice.

      • KCI등재

        ‘불성’과 ‘일천제(一闡提) 성불’의 윤리적 쟁점과 교육적 함의

        장승희 한국윤리교육학회 2022 윤리교육연구 Vol.- No.66

        This paper explores the implications and directions of ethical education in the ‘Buddha dhātu’ and ‘Becoming a Buddha(成佛, Abhisamduddha) of Icchantika’ of Mahayana Buddhism. In the transition period of civilization, value confusion occurs, and consensus on the degree is required to maintain social order. Today, the psychopaths of immoral spirits threaten the social order, and the level of civilization is revealed depending on how humankind responds to them. The thought of ‘Buddha dhātu’ declared, “All people have Buddhahood, so it is possible to be a Buddha.” However, only Icchantica is said to be not easy, and the Bodhisattva tried to save him to the end based on the thought of Abhisamduddha(成佛). This study explores the possibility of changes in psychopaths during the great ventilation based on the possibility of ‘Becoming the Buddha of Icchantica.’ The concept of ‘Buddha dhātu’ was formed after Buddha’s death by securing the absoluteness and eternity of Buddhism. This concept transforms the negative worldview of early Buddhism into a positive worldview. As the concept of ‘Buddha dhātu’ and the mercy of the Bodhisattva who wished for salvation met, it was argued that even Icchantika could be saved through Maitri(慈悲). The theory of Buddhist relief has revealed the so-called practice of mercy that Buddha nature can save it. As a spokesman for evil, the Duscrita(惡業) of Icchantika is based on unbelief in the principles of Karma. The two ethical issues of the ‘Becoming a Buddha(成佛, Abhisamduddha) of Icchantika’ are the issue of whether resolving the Duscrita(惡業) is self-reliance or relief from other forces, and the other is the issue of neutralization of ethical responsibility due to the śūnyatā(空性). The former can be solved by emphasizing the “wisdom” that leads to the internalized Buddha nature. The latter can be found in alternatives by respecting the existential, ethical, and transcendent dimensions. The religious relief of Buddhism should be accepted in inevitable cases, but it is by no means a form of sudden salvation. Unlike other religions, Buddhism pursues self-help rather than salvation by transcendent beings. Based on these discussions,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Becoming a Buddha of Icchantika’ were found in three ways. First, expanding the horizon of ethical education. Second, establishing and affirming self-morality. Finally, responsibility for and efforts to resolve the delinquency. In conclusion, the limitations and considerations of the discussion were presented. 이 글은 대승불교 불성사상에서 ‘일천제 성불’의 구조와 윤리적 쟁점을 파악함으로써, 윤리교육적 함의와 방향을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오늘날 사이코패스의 도덕적 정신이상은 사회질서에 매우 위협적인데, 인류가 이에 어떻게 대응하는가에 따라 문명의 수준이 드러난다. “모든 중생은 불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성불이 가능하다.”고 선언한 불성사상에서는 일천제(一闡提)만은 성불이 쉽지 않다고 하면서도 끝까지 구제하려고 하였다. 연구자는 이러한 ‘일천제 성불’의 가능성에서 대전환기 사이코패스 이상인격들의 변화 가능성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대승불교와 불성사상의 전개로 불교의 무게중심은 이론에서 실천으로, 사상에서 종교로, 깨달음에서 중생구제로, 지혜에서 자비로 이행되었다. 불성사상은 붓다 입멸 후 중생구제의 방법으로 성불가능성을 밝히고 불교의 절대성과 영원성을 확보하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 이로부터 불교의 세계관은 보살의 자비실천과 중생구제로 확대되었다. 불신관(佛身觀)의 변화와 중생구제라는 보살의 서원(誓願)이 만나, 불성사상은 대자대비(大慈大悲)에서 일천제(一闡提)마저도 구제 가능하다고 주장하였다. 일천제는 악의 대변자로서 그들의 악업은 업의 논리와 불성을 믿지 않은 데에 근거한다. 일천제는 진심으로 참회하고 ‘불성’에 대한 ‘믿음’과 ‘지혜’를 바탕으로 ‘수행’함으로써 성불이 가능하였고, 이는 불교 구제론으로 발전하였다. ‘일천제 성불’의 구조에서 드러나는 윤리적 쟁점은 두 가지로, 하나는 악업해소가 자력인지 아니면 타력구제인지의 문제, 다른 하나는 불성의 ‘공성(空性)’으로 인한 윤리적 책임의 ‘무화(無化)’ 문제이다. 전자는 내재화된 불성을 이끌어내는 ‘지혜’를 강조함으로써, 후자는 실존적 윤리 차원과 초월적 존재 차원을 존중함으로써 대안을 제시할 수 있다. 불교의 종교적 구제성은 불가피한 경우 수용되어야 하겠지만 그것이 전격적 구원의 형태로는 아니다. 불교는 여타 종교와 달리 타력구제보다 자력구제를 추구하는데, 이는 업의 논리와 윤회를 초월하는 ‘각타(覺他)’에서마저도 ‘지혜’를 바탕으로 한 ‘자각(自覺)’ 수행을 강조하는 데서 잘 드러난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일천제 성불’의 교육적 함의를, 윤리교육의 지평 확대, 자아도덕성 정립과 긍정하기, 비행(非行)에 대한 책임과 해소노력의 세 가지로 살펴보았고, 결론에서는 논의의 한계와 유의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천태지의의 불성론

        김정희(Kim, Jung-Hee)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0 철학사상 Vol.35 No.-

        이 글은 천태지의의 삼인불성을 통해 그의 불성론을 살펴본 것이다. 중국불교도들은 불성론을 모든 중생의 깨달음의 가능성을 주장하는 이론으로서 대승불교의 가장 뛰어난 교의로 간주했다. 현대의 중국불교학자들은 종종 불성을 인도불교의 중국화와 관련해서 논의했다. 이들에 따르면, 불성은 중생과 부처가 공유하는 형이상학적 실체로서 깨달음 자체이자 모든 중생의 최종적인 깨달음을 보장하는 초월적 실재이다. 이러한 불성은 모든 존재가 조건에 의존해서 존재한다는 불교의 연기(緣起)와 대립한다. 불성론은 인도불교로부터의 일탈이자 비불교라는 주장은 이렇게 성립했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에 직면해서 천태지의의 삼인불성을 통해 불성의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지의는 자신의 불교사상이 공사상에 근거한다고 주장하는 한편, 불성을 대승불교의 핵심적 교의로 간주했다. 이는 지의가 불성을 형이상학적 실체로서 보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공사상은 모든 존재가 조건에 의존해서 일어나기 때문에 실체가 없다고 주장했기 때문이다. 본고는 지의의 삼인불성을 통해 중관사상에 근거한 불성의 의미를 밝혔다. 그 의미는 두 가지로 요약된다. 하나는 중생과 부처의 불이(不二)를 주장한다는 것, 수행은 중생 자신의 참된 모습을 통찰하는 과정이기 때문에 모든 중생은 불교의 수행을 실천할 수 있다는 주장이 다른 하나이다. This article is an inquiry into the meaning of Buddha-nature in Chinese Buddhism through the theory of Threefold Buddha-nature of T"ian-T"ai Zhiyi. In general, Buddhist scholars have regarded Buddha-nature to be a metaphysical principle which all sentient beings share and which ensures their final enlightenment. Here, we run across a contradiction: If Buddha-nature means transcendental reality, it could not be compatible with N?g?rjuna’s theory of emptiness, which denies metaphysical substance free from causes and conditions. In regard to this question, this article focused on T’ian-T’ai Zhiyi’s theory of Threefold Buddha-nature. The Buddhist thought of Zhiyi was based on N?g?rjuna’s theory of emptiness. He regarded the Buddha-nature doctrine as being among the principal tenets of Mah?y?na Buddhism. It follows from these that Zhiyi didn’t consider Buddha-nature as a metaphysical substance. There are two ways to analyze Zhiyi’s theory of Threefold Buddha- nature. The first way is to interpret the meaning of Buddha-nature as a direct cause of Buddhahood. Second, I examine the relationship of Buddha-nature as a direct cause of Buddhahood, Buddha-nature as a complete cause of Buddhahood and Buddha-nature as an auxiliary cause of Buddhahood. According to Zhiyi, the theory of Threefold Buddha-nature signifies the theory of nonduality that negates the duality of sentient beings and Buddha in terms of soteriological context. Negating dualism is justified on the basis of the theory of emptiness.

      • KCI등재

        종성무위론의 기원에 관한 한 고찰 : 『보성론』과 『불성론』의 'gotra'의 번역 용례를 중심으로

        김성철 韓國佛敎硏究院 2013 불교연구 Vol.38 No.-

        논자는 이전 논문에서 현존하는 산스크리트본 『보성론』의 종성개념을 검토하면서, 적어도 현존하는 산스크리트본 『보성론』에는 종성을 무위로 간주할 만한 어떤 근거도 없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몇몇 현대 학자들의 견해를 포함하여, 티벳과 동아시아 여래장 사상 전통에서는 종성을 무위로 간주하는 견해가 나타난다. 본고의 주목적은, 특히 동아시아 여래장사상 전통에서, 현존하는 산스크리트본 『보성론』에는 보이지 않는 종성무위론이 어디에서 유래하고 있으며, 그 배경은 무엇인지 고찰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전 논문에서 비판적으로 살펴본 현대 학자들의 종성무위설은, 기실 티벳과 동아시아 전통의 해석을 무의식적으로 현존하는 산스크리트본 『보성론』의 종성 개념 해석에 적용한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본고의 고찰 결과, 동아시아 전통에 나타난 여래장사상의 종성무위론은 『보성론』의 번역용어상의 문제와 진제역 『불성론』에서 유래하는 것으로 보인다. 『보성론』과 『불성론』은 'gotra'를 '종성'이 아니라 '불성'으로 번역한다. 『보성론』은 여기서 한발 더 나아가 '진여불성' 혹은 '진여성'으로 번역함으로써 후대 동아시아 불교인에게 종성을 진여로 간주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였다. 『불성론』에는 『보성론』에는 보이지 않는 독창적인 설이 발견된다. 3인 불성론과 3종 불성론도 그 중 하나다. 『불성론』은 3인 중의 하나인 응득인을 진여로 정의하고 3종의 불성이 응득인에 포함된다고 명시적으로 주장한다. 나아가 3종 불성의 하나인 주자성(불)성(prakṛtistha-gotra)을 주자성여여(*prakṛtistha-tathatā)로 간주함으로써 이를 재확인하고 있다. 따라서 동아시아 여래장사상 전통에서 명시적으로 종성을 진여로 해석하는 것은 『불성론』에서 유래한다고 볼 수 있다. 『보성론』과 『불성론』 이전의 동아시아적 논의를 일단 별개로 한다면, 이러한 종성무위론의 연원은 두 가지로 추측할 수 있다. 그 중 하나는 『보성론』의 주석게송이나 산문주석보다는 기본 게송을 보다 중시한 경향의 반영일 수 있다. 다른 하나는 유가행파 계통의 종성개념이 아니라 『현관장엄론』 계통의 종성 개념의 영향일 가능성이다. In the previous paper, I have already observed that there is no evidence by which we can consider the gotra as asaṃskṛta in the extant sanskrit version of the RGV. Nevertheless, some modem scholars, as well as some Tibetan and East Asian Tathāgathagarbha thought traditions, consider gotra as asaṃskṛta.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origin and the background of the concept of gotra as asaṃskṛta which is not found in the extant sanskrit version of RGV, especially in the tradition of East Asian Tathāgatagarbha thought. This is because it seems that the view of some modern scholars is influenced by the traditional one which regards gotra as asaṃskṛta. The concept of gotra as asaṃskṛta in the tradition of East Asian Tathāgatagarbha thought seems to be derived from the Chinese translation of RGV viz. the 寶性論and the compilation of the 佛性論. In the 寶性論 and the 佛性論, gotra is not translated into 種姓 but into 佛性. Furthermore, in the 寶性論, gotra is translated into 眞如佛性 or 眞如性, which seems to become a basis for East Asian Buddhists to regard gotra as tathatā. In the 佛性論, there are some new theories which are not found in the RGV or the 寶性論, for example, 三因佛性 and 三種佛性. Out of 三因佛性, the first one, viz. 應得因 is defined as tathatā, which comprises the 三種佛性. Furthermore, out of the 三種佛性, the first one, viz. 住自性(佛)性(prakṛtistha-gotra) is identified with 住自性如如(*prakṛtisthatathatā). Consequently, we can observe that the concept of gotra, especially prakṛtistha-gotra, as asaṃskṛta is originated from the 佛性論 in the tradition of East Asian Tathāgatagarbha thought. Apart from the debate on the Buddha-dhātu theory before the Chinese translation of the RGV and compilation of the 佛性論, we can conjecture that there are two possibilities of the origin of gotra as asaṃskrta: the one is to attach greater importance to the śloka than to the prose commentary of the RGV, and the other is the influence of the concept of gotra of the Abhisamayālaṃkāra.

      • KCI우수등재

        담연의 무정불성론 연구

        김정희(Kim Jung-hee) 불교학연구회 2016 불교학연구 Vol.47 No.-

        This work is an inquiry into the meaning of Buddha-nature in the theory of non-sentient beings' Buddha-nature of Zhan-ran, centering on the Jingangpilun (金剛錍論). Contrasting with the theory of sentient beings’ Buddha-nature, he asserts that the non-sentient beings of walls and pebbles also have Buddha-nature. According to Zhan-ran, the sentient beings’ Buddha-nature defines the Buddha-nature concept with respect to the mind. As a result, it holds that there is Buddha-nature only in the sentient beings that have faculties of the mind. And it considers the nature of the Buddha as a transcendental reality which is present in all sentient beings, with life of the conditioned realm, as their intrinsic pure-mind (眞心). The idea of the Buddha-nature as intrinsic pure-mind contradicts the first principle of emptiness. Zhan-ran criticizes that the sentient beings’ Buddha-nature is not based on the Buddha-nature concept in the Nirvāṇa-sūtra. Then he interprets the meaning of Buddha-nature as the direct cause of Buddhahood, and describes the direct cause of Buddhahood as the first principle of emptiness. He integrates the doctrine of emptiness in the Mādhyamika and the concept of Buddha-nature in the Nirvāṇa-sūtra. Emptiness exists in both sentient beings and non-sentient beings. The theory of emptiness negates duality between the polluted mind of all beings and the pure-mind of the Buddha. The theory of non-sentient beings’ Buddha-nature of Zhan-ran is none other than a re-presentation of the theory of non-duality maintained by Nāgārjuna. As we saw above, T'ien-t'ai scholar Zhan-ran aims for establishment of perfect and sudden teaching of T'ien-t'ai tradition through the theory of non-sentient beings' Buddha-nature. 이 글은 담연의 [금강비론]을 중심으로 무정불성의 의미를 살펴본 것이다. 그의 불성사상은 [열반경]의 일체중생실유불성에 근거한다. 여기서 불성은 모든 중생이 궁극적으로 깨달음을 성취할 수 있는 가능근거를 가리킨다. 불교의 깨달음은 마음 과 관계한다. 마음이 있으면 불성이 있다는 유정불성은 이렇게 성립한다. 담연의 무정불성에서 무정은 마음이 없다. 무정과 불성은 양립하기 어렵다. 무정과 불성의 이러한 모순에 대해, 기존 중국불교연구자들 중에는 만물을 일체로 보는 중국적인 도가(道家)의 자연관에 근거해서 유정과 무정의 상대성을 해소함으로써 무정불성의 의미를 설명하는 이들이 있다. 이러한 설명은 유정불성과 무정 불성의 불성이 동일한 의미임을 전제한다. 담연은 그의 금강비론에서 불성에 관한 열반경의 가르침이 한 종류만 있지 않다고 평가한 뒤, 유정불성에 대해 무정불성을 주장했다. 본고는 무정불성 중 불성에 주목해서, 무정불성의 의미를 다음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먼저 불성과 법 성에 대한 담연의 설명이다. 그에 따르면, 무정불성의 불성은 무자성(無自性), 공(空)의 진리를 가리킨다. 진리가 편재하듯이, 불성도 편재한다. 그의 무정불성은 불성의 편재함을 주장한다. 다음으로 진여와 불성의 관계에 대한 담연의 설명이다. 그에 따르면, 진여는 중생의 번뇌심과 부처의 깨달음이 공통적으로 근거하는 무자성, 공의 진리로서 불성을 가리킨다. 진여에 근거하면 불성은 중생의 번뇌심과 부처의 깨달음의 공통적인 모 습으로 중생즉불의 不二論을 의미한다. 담연은 불이론으로서의 불성을 유정불성에 대해 천태원교의 불성 의미로 주장한다. 본고는 이상의 논의를 통해, 중국불교사에서 불성이 유식사상과 중관사상과 관련해서 다양한 의미로 이해되었다는 것을 밝히고자 했다.

      • KCI등재

        『열반경』 계통의 경전에 나타난 공과 불성

        윤종갑 ( Jong Gab Yun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5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4

        본 논문은 『열반경(涅槃經)』 계통의 경전에 나타난 공과 불성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열반경』 계통의 경전에서는 실유불성론(悉有佛性論)과 일체개성(一切皆成)을 주창한다. 즉, 모든 중생은 불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깨달음을 성취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 깨달음의 근거로서 제시된 불성 개념이 인도와 중국불교사상사에서 실재 또는 공으로 해석되어 많은 논쟁이 벌어지기도 하였다. 최근에 와서도 이 문제는 국내외 학계에서 쟁점이 되었던 것으로 불성에 토대하고 있는 여래장사상이 불교가 아니라는 주장과 이에 대한 반론으로 논란이 되었다. 이 논문에서는『열반경』계통의 경전에 나타난 불성 개념은 반야중관의 공성과 일치하는 것으로 결코 실재로 해석될 수 없음을 논증하고자 하였다. 즉, 『열반경』 계통의 경전에 나타난 불성 개념은 초기불교의 무아설과 대승불교의 공사상과 동일한 것으로 붓다의 가르침을 온전히 구현하고 있는 불교의 중심 사상이다. 따라서 불성 개념을 실재론적으로 해석하여 성불(成佛)의 불가능성을 주장한 인도 유가행파(瑜伽行派)와 중국의 법상종(法相宗)의 오성각별설(五性各別論)과 일천제(一闡提) 사상은 잘못된 것이며, 이러한 계보를 잇고 있는 일본의 마츠모토 시로(松本史郞)의 비판불교 역시 붓다의 가르침에서 벗어난 것이다. This paper purposed to study about Sunya and Buddha-nature on the basis of Mah parinirv as tra(涅槃經)’s affiliations. they claims Reality is the nature of Buddha(悉有佛性論) and All Entire be acheive(一切皆成). All people could achievable Nirvana. But the concept of The nature of Buddha(佛性), suggested that the base of Nirvana was interpritated to Sunya or Reality, had lots of hot discussions. Recently this topic was hot issued, so there are two positions appeared. The point is tathagatagarbha(如來藏) thought is Buddhism or not. This paper purposed to point out the concept of The nature of Buddha(佛性) on Mah parinirv as tra(涅槃經)’s affiliations correspond to Sunyata(空性). So it could’t be interpreted Reality. Because the concept of The nature of Buddha(佛性) on Mah parinirv as tra(涅槃 經)’s affiliations correspond to Selfless theory(無我說) of Early Buddhism and Sunya theory(空思想) of Mahayana Buddhism, it’s the central thought that realize a teaching of Buddha. Then India Yogacara(瑜伽行派) and East Asian Yogacara(法相宗)’s suggestion about Entering Nirvana couldn’t achievable were wrong. So the Matsumoto siro(松本史郞)’ s criticism of Buddhism, which connect with them, was off the point of a teaching of Buddh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