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파불교 불설 논쟁으로 본 불설의 의미

        황정일 ( Hwang Jung-il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8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35

        한국불교사에서 불설·비불설 논란이 불거진 것은 1990년대 이후 초기불교에 대한 연구가 본격화 되는 시점부터일 것이다. 이후 이 논란은 최근 권오민이 대·소승의 불설 기준은 전통이나 권위가 아닌 법성에 근거한다는 초종파적 불설론을 재기하면서 다시 촉발되었다. 하지만 권오민의 주장은 그의 의도와 상관없이 초기경전과 대승경전의 친설·비친설론으로 변질되어 한국불교의 종파적 입장 차이만 재확인하는 결과를 낳았다. 더욱이 부파불교에서의 불설론이 제대로 평가되지 못한 아쉬움을 남겼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우선 초기불교에서의 불설론 제기와 부파불교에서의 불설론 논쟁을 통한 불설론의 정의 및 의미를 살펴보고, 그것이 대승경전 불설론 주장에 미친 영향을 논구했다. 그 결과, 초기불교는 사대교법에 근거한 불설론을 주장했으며, 부파불교를 대표하는 설일체유부 학파의 불설론은 사대교법을 전승 및 확대한 의미에서의 정의였다. 즉 유부는 법성, 은몰, 밀의라는 방편을 통해, 아비달마가 법성에 위배되지 않고, 사라진 경에 있었으며, 은밀한 뜻으로 전해졌음을 주장했다. 또한 유부의 불설론은 무착, 세친 등의 대승불교 논사에게도 영향을 주었는데, 무착은 『대승장엄경론』에서, 세친은 『구사론』, 『석궤론』을 통해서 전승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청변은 기존의 불설론을 인정하지 않고, 정리와 추리에 근거한 불설론을 주장했다. 이는 무착이나 세친의 불설론이 설일체유부의 불설론에 근거한 것이며, 그러한 불설론으로는 대승불교만의 불설론을 주장할 수 없다고 판단했기 때문일 것이다. 불설론은 초기불교에서부터 시작해서 대승불교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논의되어 왔으며, 최근의 불설론 논쟁도 그 연장선상에 놓여 있다. 따라서 앞으로의 불설론이 보다 의미 있는 논의가 되기 위해서는 기존의 불설론을 넘어선 새로운 정의 및 방법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The Korean history of Buddhism saw arguments surface over the Buddha’s word (Buddhavacana) or not theory as, after the 1990s, studies on early Buddhism began to be conducted in earnest. Afterwards, these arguments were triggered again as Gwon O-min recently presented the super-sectarian Buddhism theory which says that the standards for the Mahayana Buddhism and Hinayana Buddhism and Buddhism theory are not founded on tradition or authority but on dharmata. His insistence, however, regardless of his intention, gave way to the Buddha's real teachings or not theory of the early-time sutras and Mahayana sutras, thus leading to the reconfirmation of the sectarian position difference in Korean Buddhism. Further, this regretably led to the Buddha’s word theory not properly evaluated in the sectarian Buddhism. This study thus examined the arguments over the Buddha’s word theory presented in early Buddhism and over the Buddha’s word theory presented in sectarian Buddhism, and determined the effects of these arguments on the Buddha’s word theory of Mahayana sutras. Thus, it was found that the early Buddhism embraced the Buddha’s word theory based on Mahapadesa, while the Buddha’s word theory of the sarvasti-vada school which represents the sectarian Buddhism helped inherit and spread Mahapadesa. It was insisted that Sarvasti-vada existed in the disappearance sutras by the menas of dharmata, antardhana, and abhipraya without Abhidharma going against dharmata, and thus was handed down by the secret.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Buddha’s genuine word theory of Sarvasti-vada influenced Mahayana Buddhism masters such as Asanga and Vasubandhu, while Asanga was inherited in Mahayanasutralamkara; and Vasubandhu in Abhidharmakosasastra and in Vyakhyayukti. Meanwhile, Bhavaviveka did not accept the existing Buddhism theory, but embraced the Buddha’s genuine word theory based on yukti, nyaya and anumana. This presumably was because they judged that the Buddha’s genuine word theory of Asanga or Vasubandhu was founded on the Buddha’s genuine word theory of Sarvasti-vada, and that such Buddhism theory alone could not postulate Mahayana Buddhism's own Buddhism theory. the Buddha’s word theory has been discussed in various ways from early Buddhism to Mahayana Buddhism, including the recent arguments over the Buddha’s word theory. Thus, for the Buddha’s word theory to be discussed more meaningfully, new definitions and research methodologies beyond the existing Buddhism theories should be presented.

      • KCI등재후보

        일본의 근대불교학 형성과 대승 비불설(非佛說) 문제

        조승미(Cho, Seung Mee) 한국불교연구원 2009 불교연구 Vol.30 No.-

        대승 비불설(非佛說), 즉 ‘대승경전은 불설이 아니라’라는 주장은 메이지시기 불교학이 근대 학문으로 정립되어가면서 대두된 주제였다. 이것을 주장한 대표적인 학자는 도쿄제국대학 문과대학 강사들이었던 무라카미 센쇼(村上專精)와 아네자키 마사하루(姉崎正治)였는데 이들의 입장차이와 그 논리전개를 통해 메이지 시대 일본불교학의 형성과정을 살펴보며, 이와 아울러 ‘서구 근대’불교학의 문제점을 검토해 보았다. 아네자키의 일련의 불교관련 저서 『불교성전사론』(1899), 『현신불과 법신불』(1901), 『근본불교』(1910)는 그가 서구 불교학의 관점을 수용함에 따라 불교관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보여준다. 즉, 실증주의 역사관과 성서비평의 과학적인 입장에서 대승불설이 비판되었으며, 불교의 ‘원천’을 규명하고자 하는 불교문헌학은 ‘사료’로서 부정확한 대승불교를 비판했다. 마지막으로 ‘근본불교’에서는 붓다의 인격을 중심으로 재편한 신앙에 대승불교가 소멸되어 있다. 한편, 근대불교학의 고찰에서 잘 조명되지 않았던 이노우에 테츠지로의 동양철학으로서의 서구 인도철학은 아네자키의 서구 수용적 불교학의 배경이 되었다. 무라카미 센쇼의 불교학은 전통불교의 근대적 재편으로 평가되는데 그의 서구 수용에 영향을 미친 것은 이노우에 엔뇨와 난죠분유였다. 그런데 그의 서구 수용은 항상 제한적이었는데, 인간이상의 붓다와 개발적 불교로서의 대승신앙 등이 그것이었다. 그의 『불교통일론』(1901)에서의 대승 비불설은 근대역사주의의 우위에서 전통신앙 영역을 포섭하는 것이었는데, 이후 『대승불설론 비판』(1903)에서는 역사를 신앙의 대칭축으로 배치하는 변화를 보인다. 이러한 변화는 그가 서구 과학주의 눈이 현실불교를 폄하하는 데에 대한 저항이었다. 따라서 그의 ‘불완전한’ 불교학은 근대불교학의 태생적 한계라고 할 수 있는 불교의 타자화문제에 의구심을 던진 것으로 재평가될 필요가 있다. 아네자키와 무라카미의 불교학은 메이지시대를 반영하면서 동시에 현대불교학에 그 영향을 남기고 있는데, 즉, 이들은 각각 불교를 순수와 타락으로 보는 관점과 발전과 일관으로 읽는 관점을 제안했는데 이러한 이질적인 시선의 공존과 함께 신앙과 역사의 문제, 서구불교학의 타자화 문제 등은 현대불교학의 과제로 남겨졌다. The concepts of Mahayana considered heterodoxy was important issue of Japanese buddhist study in Meiji Period. The representative advocate of this theory were Anejaki Masaharu(姉崎正治, 1873~1949) and Murakami Sensho(村上專精, 1851~1929) who were scholars of Tokyo Imperial University. But, they had different viewpoint respectively. Anejaki Masaharu has criticized orthodoxy of Mahayana buddhism from a view of biblical criticism and historic science that was the principal methodo- logy of western buddhist study. He could be said to be a perfect type of modernist. The other side, Murakami Sensho threw doubt on western style buddhist methodology, because it show contempt to Japanese buddhist thoughts and culture based on Mahayana buddhism. So, he approved the concept of Mahayana considered heterodoxy only in the field of history, disapproved it in the province of religious belief. He accepted, so to speak limitedly the modernity of buddhist study. The divergence of opinion like this reflects the characteristic of Japanese buddhist study, that is the coexistence of conflicting viewpoints. Anejaki’s buddhism was western-oriented, so aimed at the ‘Fundamental Buddhism’ that has searched for the original buddhist sermon. Consequently the Mahayana buddhist traditions has been regarded as degraded ones. But, Murakami’s interpretation was a contrast to Anejaki’s. He proposed Mahayana buddhism as developed thought, and intended to preserve the traditional world and the worth of religious experience. So, his buddhism has been criticized as incompletely modernized, but it is also needed to reevaluate for resistance against western modernity.

      • KCI등재

        원효의 진리론 논증

        배경아 ( Gyeong A Bae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6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5

        원효는 대승불교가 불설(buddhavacana)인지 아닌지를 가르는 진리기준을 논리적 타당성에 두었다. 이와 같은 입장은 자신이 속한 부파의 전승교학만이 불설이라고 하는 견해를 비판함과 동시에 진리를 인식하고 받아들이는 불교의 근원적인 태도를 보여준다. 전승되어온 성전이 아니라도 ‘논리에 부합하는 것’이라면 대승불교경전도 불설이며 진리일 것이기 때문이다. 대승불교가 불설이라는 것을 입증하려고 시도한 것은 아상가, 자야쎄나, 현장, 원효가 모두 마찬가지였다. 하지만 원효는 그 논증이 성공적이려면 우선은 상대편인 대론자도 인정할 수 있는 논법이어야 할 것이고 다음으로는 불설의 근거에 부합한다면 대승불교가 아니라고 할지라도 불설 일 수 있다. 는 입장에 흔들림이 없어야 한다는 것을 분명히 한다. 이와 같은 태도야 말로 대승불교의 정신과 직결되기 때문이다. 또한 이와 같은 원효의 대승불설논증은 초기유가행파의 대승불설논증과 맥락이 닿아 있다. 이와 관련된 문헌적인 근거로 우선 원효의『대혜도경종요 大慧度經宗要』를 들 수 있다. 원효는 여기에서 붓다의 말이 진실한 것,진리라는 것은 증성도리(證成道理)의 추리(比量)에 의해 증명된다고 말한다. 해심밀경에 등장하고 유가사지론에서 다루어지는 증성도리는 바른인식수단을 의미한다. 유가사지론에서는 불설이란 근본경전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성문경, 율전, 아비달마와 대승의 경전과 논서들 모두 성언에 상응한다면, 즉 증성도리에 부합한다면 그것은 불설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아상가에서부터 자야쎄나, 현장, 원효에 이르기까지 『증일아함경』을 유례로 든 것 또한 같은 맥락이라고 할 수 있다. 유가사지론에 의하면 『증일아함경』은 하나하나의 불교주제들을 전승된 성전이 아니라 상응, 혹은 도리의 관점에서 불설이라고 설명하고 있기 때문이다. For a long time in the east asia, Mahayana Buddhism was thought to be concerned with the established truths. Because it is teaching included in Buddhavacana. Especially, Won-Hyo made an syllogism proving Mahayana``s orthodoxy as follows. Pratijna:The teachings of all the Mahayana scriptures are reasonable. Hetu: Because they are teachings not included in ``non-Buddhavacana admitted by both parties``. Drstanta: Like Anguttaraagama etc. The paksa, ‘Theteachings of all the Mahayana scriptures are reasonable’ is to be distinguished from the cases of the paksa, ‘All the Mahayana scriptures are included in Buddhavacana’ which established by Jayasena, Xuan-Zang. Because of ‘included in Buddhavacana’ changed ‘reasonable’. ‘reasonable’ means to correspond with logic (yukti or nyaya, 正理) in Sanskrit. ‘Yukti’ is interpreted in three regards. Firstly, according to Samghabhadra, ‘reasonable’ means ‘dharmata’(法性) that the criterion by which abhidharma is included in Buddhavacana. Yukti (logic), thus, is a method to achieve the purpose, ‘dharmata’ (法性) Secondly, Bhavaviveka (ca. 490-570) maintained that yukti(logic), or anumana is the criterion by which Mahayana Buddhism is included in Buddhavacana. In the pramana tradition, yukti, or anumana is a source or ‘means’ of right knowledge. Namely, it is understood in respect of pramana or means of right knowledge. Thirdly, in the Yogacaratradition, it means the proof of truth established by ‘means’ of right knowledge, pratyaksa (direct perception), anumana, agama, or upapattisadhanayukti. Won-Hyo’s ‘yukti’ also can be interpreted as to be related Yogacaratradition``s upapattisadhanayukti which is ``means`` of right knowledge. Because of Won-Hyo referenced that Buddhavacana is proved by upapattisadhanayukti in『大慧度經宗要』

      • KCI등재

        초기 대승불교 교단의 성립과 조직에 대한 一考 - 諸異說을 중심으로 -

        홍순우(신해) 한국정토학회 2013 정토학연구 Vol.20 No.-

        새로운 불교운동이라고 할 수 있는 대승불교의 출발이 기존 불교내의 주류였던 소승에 대한 비 판과 그것을 극복하기 위한 운동이었다는 것에 대해서는 별다른 이견이 없지만, 대승불교의 성 립과 배경 등에 관해서는 아직까지 명확한 정설로 내려진 것은 없는 상태이다. 종교사를 고찰하기 위한 방법에는 대략 두 가지의 기법을 들 수 있을 것이다. 하나는 역사적인 변천사로서의 사실에 근거한 조사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종교사 변천동력인 사상사적 측면이 된다. 그러므로 불교사 자체의 전개과정 못지않게 불교교단사의 성립과 조직에 관한 연구는 과 거사의 규명과 함께 미래불교의 방향모색에도 유의미하기에 매우 중요시 여겨지고 있다. 특히 현재 공부하고 있는 대승경전, 그리고 초기의 대승불교라고 하는 것의 근원이 어디서부터 출발 하였는지에 대한 고찰 또한 매우 의미 있는 일이다. 주지하듯 대승불교의 시발점은 언제 어디서 누구로부터 시작되었는지에 대한 확실한 근거를 찾 을 수 없고, 다만 경전의 번역시점으로부터 거슬러 올라가는 방법 외에는 별다른 도리가 없다. 이것은 우리가 대승이라고 굳건히 믿고 있는 경전들이 부처님의 말씀이 아니라고 하는 ‘대승 비 불설’을 계기로 하여 대승불교의 성립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었다. 이에 대한 활발한 연구로 대승 의 성립에 관한 여러 가지 설이 발표되어져 왔지만 현재까지는 히라가와 아키라의 견해로 가장 유력하게 좁혀진 상태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히라가와의 이러한 견해에 대하여 우에다와 사사키, 그리고 서양의 쇼펜과 폴 해리슨등에 의하여 비판이 되어지고, 그들은 새로운 학설을 피력하며 히라가와의 주장을 정면으 로 반박하였다. 대승불교에 있어서의 성립과정, 그리고 대숭의 ‘불설’과 ‘비불설’은 여전히 논란이 되고 있는 상 태이고, 앞으로도 계속 연구되어져야할 과제로 남아있다. 본 논문에서는 초기 대승불교의 성립과 조직에 관하여, 히라가와의 설을 비롯한 그 외 다른 여러 가지의 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There are not many objections that the start of Mahayana Buddhism, which can be called a new movement of Buddhism, was to criticize Hinayana as the major stream of the existing Buddhism as well as a movement to overcome Hinayana, but there is not yet an established theory on the establishment and the background of Mahayana Buddhism. There are about two possible ways to explore history of a religion. One is an investigation method based on the facts as a historical transition and the other is the historical aspect as the force behind of changes in the religion. Therefore, likewise to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history of Buddhism, the study on the establishment and the organization of the history of Buddhist divisions is seen as very important as it investigates the past history as well as meaningful in groping for the directions of future Buddhism. Especially, studying the Mahayana Buddhist Scriptures as the current subject of the author or the exploration on the early Mahayana Buddhism for its origin will be very meaningful. As widely shared, it is not possible to find a definite evidence as to the time and the place of the origin of Mahayana Buddhism, but to trace back from the time of scripture translation. In this sense, the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Mahayana Buddhism was started based on the theory of ‘Mahayana Buddhism as Heterodoxy’, which argues that the scriptures that we firmly believe in as Mahayana are not the words of Buddha. As active researches are carried out on this topic, there have been various theories published on the establishment of Mahayana, where the currently most influential theory is narrowed down to the views presented by Hiragawa Akira. However recently, with regards to such opinion of Hiragawa, Uedawa Sasaki as well as Chopen and Paul Harrison from the West have raised critiques and objections to the theory of Hiragawa by brining up new theories. In Mahayana Buddhism, the establishment process and the issue of whether Mahayana is the ‘original words’ of Budda or not is still in dispute, and they still remain as objects to be studied continuously in the future. This paper explored the establishment and the organization of earlier Mahayana Buddhism, covering the findings of Hiragawa and other various theories.

      • KCI등재

        흑설(黑說)과 대설(大說)에 관하여― 근본/설일체유부의 전적(典籍)과 『유가사지론』 「본지분」을 중심으로

        이영진 보조사상연구원 2018 보조사상 Vol.52 No.-

        This paper is research on the two tricky terms, kālāpadeśa and mahāpadeśa, shown in the closely connected to the (Mūla)sarvāstivāda, such as the Mahāparinirvāṇasūtra discovered in Turfan, the Kṣudrakavastu and the Uttaragrantha of the Mūlasarvāstivādavinaya, and the Basic section (Maulī Bhūmi) of the Yogācārabhūmi. In the Uttaragrantha, the kālāpadeśa is interpreted as “dharmas given by such and such Buddhists who have taught black, i.e., defective (*anārya) teachings,” while the mahāpadeśa as “dharmas given by the great ones consisting of the Great Teacher (*mahāśāsṭṛ) and the nobles (*āryabhūta). In the texts as mentioned above, the two terms are adopted with the intention of incorporating the four kinds of mahāpadeśa (traditionally functioning as the criteria for judging the authenticity of the Word of the Buddha) into the four refuges, which are four rules of textual interpretation for (Mūla)sarvāstivādins. In the Basic section of the Yogācārabhūmi, the sentence, “he knows the kālāpadeśa and the mahāpadeśa,” appears with slight modifications three times. Through analyzing the contexts of the passages, it has come to my knowledge that three different phases are described concerning the criteria for judging the authenticity: 1. Sūtras, Vinaya, and the true nature of dharmas; 2. Strengthening of the true nature by laying particular emphasis on four kinds of reason(ing), which could be identified with the true nature for yoga practitioners; 3. The substitution of the reason(ing) for dharmas composed of Sūtras and Vinaya. 이 논문은 근본/설일체유부 소속과 이 부파와 깊은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 문헌을 중심으로, 『유가사지론』에서 현장이 ‘흑설’(黑說)과 ‘대설’(大說)로 번역한 ‘kālāpadeśa’와 ‘mahāpadeśa’를 연구한 것이다. ‘흑설’과 ‘대설’은 “경(經)에 어울리고 율(律)에 나타나고 법성(法性)에 위배되지 않는다”는 불설(佛說) 판단의 기준을 중심으로, 부합하지 않아 폐기해야만 하는 가르침(=흑설)과 부합하여 ‘불설’(佛說)로 인정해야 하는 가르침(=대설)을 지칭하는, 근본/설일체유부 소속 문헌들에 보이는 정의이다. 또한 흑설과 대설은 이 부파의 문헌들에서 “다르마[法]가 귀의처이지 사람은 아니다”는 4의(依)설의 첫 번째 항목을 실천하는 방안으로 기술된다. ‘근본설일체유부’의 경전에 근거하여 편찬된 『유가사지론』의 「본지분」에는 “흑설과 대설을 안다”는 문장이 세 번 나타나고 있다. 먼저, 「사소성지」에서 이 기술은 문(聞)⋅사(思)⋅수(修)의 수행도 중 두 번째 ‘사유’와 결합하여, 4의(依)설의 첫 번째 항목을 대치하는 것으로 등장한다. 「보살지」<역종성품>에서 이 문장은 “의미[義]가 귀의처이지 문자[文]는 아니다”라는 두 번째 귀의처 이후에 서술된다. 이는 요가수행자들에게 ‘법성’(dharmatā)인 ‘4종 도리(道理)’를 특별히 강조함으로써, 귀의처의 순서가 ‘法→義’에서 ‘義→法’으로 바뀐 것이다. 마지막 「보살지」<보리분품>에서 이 기술은 “도리(yukti)에 의지하지 사람에 의지하지 않는다”로 주석되며, ‘법’=‘불설과 비불설’을 판단하는 기준(pramāṇa)이 다름 아닌 ‘도리’ 즉 ‘법성’이라고 천명(闡明)하고 있다. 이처럼 『유가사지론』「본지분」에는 불설을 판단하는 기준이 ⑴ 다르마(경⋅율) 혹은 이에 법성을 더한 것 → ⑵ 법성(=도리)이 우세해짐 → ⑶ 법성 즉 도리가 다르마를 대치함이라는 서로 다른 세 발전 단계를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돈황문헌의 『佛說佛名經(불설불명경)』 연구

        원혜영 ( Hae Young Won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6 동방학지 Vol.175 No.-

        장외 불교경전들 중에서 주목되는 『불설불명경』의 체계는, 붓다의 명호, 보살의 명호, 경전의 이름들, 벽지불의 명호 등을 나열식으로 필사한 것들이라 독특한 형식을 가진다. 이번 『불설불 명경』을 조사한 결과, 돈황사본에서 12권본, 30권본은 고려대장경을 비교하여 분류체계를 세울 수 있었고, 20권본은 방광창의 주장대로 중국 인들이 만든 위경으로 분류된다. 오랫동안 유통되어 온 16권본은 30권본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완벽한 판본이라고 여겨지는 것은 돈황사본을 고려대장경과 비교할 수 있기 때문이다. 불명 경은 돈황에서 창작된 문학작품 이상으로 민간 신앙과 향토적인 성향이 짙으며 종교적이다. 그 경전을 유통시킨 필사자들은 불교의 향유자, 전 파자라고 할 수 있다. 이본(異本)들이 상당수 존재한다는 것은 대중화된 성향을 의미하지만, 일반적으로 보편화된 불경의 위상과는 다른 양상을 보인다. 불명경은 장외 경전 속에 편입되어 있지만, 붓다와 그 성인들의 모든 명칭을 빠짐없이 열거하면서 염송에서 얻을 수 있는 필사의 공덕에 그 무게 중심을 두고 있다. 이런 형태는 불명경이 재가자의 새로운 헤게모니적 전통을 이어가게 하는 일종의 재가운동으로도 여겨질 수 있다. Among the unlisted Buddhist scriptures, the Foshuo-foming-jing(佛說佛名經) system is particularly peculiar and noteworthy as it transcribed the name and pen name of the Buddhas, of the bodhisattva and of the pratyeka-buddha, the titles of the sacred books, etc. one-by-one. In this study, a classification system was devised for the Tunhuang literature (12 volumes) and was compared with the classification system designed for the Tripitaka Korea (30 volumes). Those 30 volumes were closely related to the 16 volumes distributed over a longer period of time, while 20 other volumes were classified as fake scriptures written by the Chinese according to Bang Kwangchang’s claim. This seems to be a perfect edition, as the copy of the Tunhuang can be compared with the Tripitaka Korea. Many folk beliefs and indigenous materials from the Foming-jing(佛名經) originate from the Tunhuang. The scribes who distributed the sacred book must have adored and propagated Buddhism. The fact that there is a considerable number of other versions means that it was a popular book, although its status was quite different from that of other Buddhist scriptures. Although Foming-jing(佛名經) was excluded from the sacred books, it emphasized desperate good deeds through the recitation of the scripture by enumerating the name of the Buddhas and of all the saints. This could be regarded as an expression of the home-based propagation for home-bound devotees to keep the new hegemonic tradition running. New perspectives departing from those used to discuss the main scriptures are required to understand the real authority of Foming-jing(佛名經).

      • KCI등재

        당대(唐代) 문헌(文獻)에 나타난 목련구모(目連救母) 설화(說話)의 변화 ―《미륵회견기(彌勒會見記)》와 〈불설정토우란분경(佛說淨土盂蘭盆經)〉을 중심으로

        李廷宰 ( Lee Jeong-jae ),11) 한국중국어문학회 2020 中國文學 Vol.102 No.-

        본고는 시기적으로 〈佛說盂蘭盆經〉과 唐代 講唱의 사이에 등장한 문헌들인 《彌勒會見記》와 〈佛說淨土盂蘭盆經〉의 目連救母 說話의 특징과 역사적 의미를 검토했다. 먼저 唐代 講唱에서는 佛道와 孝의 병립이라는 〈佛說盂蘭盆經〉의 취지가 계승되어 있으면서도 대중들이 佛法을 어기고 惡業을 쌓았을 때 겪게 되는 지옥에서의 고통을 상세하고도 다양하게 형상화하면서 敍事化, 通俗化, 長篇化의 경향이 나타남을 확인했다. 이어 唐代 講唱보다 약 200년 앞선 《彌勒會見記》에 기록된 目連救母 일화를 통해 7세기 무렵부터 目連救母 설화가 西域 지방에서도 전승되었음을 확인했다. 그리고 《彌勒會見記》와 거의 동시대의 문헌인 〈佛說淨土盂蘭盆經〉은 당시 보편적인 민중 신앙으로 자리 잡은 淨土思想의 영향 위에서 형성되었고, 성대하고 화려하게 만든 盂蘭盆을 공양하는 광경을 구체적이고 생동감 있게 묘사하고 다른 불교 문헌들에 기록된 救母 說話들을 차용하여 목련 모친의 惡業의 내용을 대폭 추가했음을 확인했다. 이러한 일련의 변화는 약 200년 뒤에 나타나는 唐代 講唱과 그 이후 강화되는 敍事化, 通俗化, 長篇化의 시작을 의미한다. I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historical meaning of the story of Mulian Rescues his Mother(MRM) through two major texts named the Maytrisimit(彌勒會見記) and the Ullambana Sutra of the Pure Land(淨土盂蘭盆經) of around 600 A.D. Firstly, in Tang Prosimetirc texts, while the thought of Buddhist belief and Filial piety was preserved, various Purgatory scenes in detail in which the people who did not follow the Buddhist teachings suffers great pains are unseen in the previous Ullambana Sutra(盂蘭盆經). This main change of the story content is some evidence of becoming more narrative, more popular and longer. Secondly, through the examination of brief MRM story in the Maytrisimit, I saw the MRM story was transmitted in Xinjiang area from 7th century. Lastly,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 Ullambana Sutra of the Pure Land of 7th century, I pointed out that this sutra was written under the influence of Pure Land Buddhism which was very popular during that era, described the splendid and grand offerings of Yulanpen, and added the evil deeds of Mulian’s mother which were borrowed mother-rescueing stories from other Buddhist texts. These changes mean the beginning of the tendency of becoming more narrative, more popular and longer of the history of MRM stories.

      • KCI등재

        唐代 文獻에 나타난 目連救母 說話의 변화 - 《彌勒會見記》와 〈佛說淨土盂蘭盆經〉을 중심으로

        이정재 한국중국어문학회 2020 中國文學 Vol.102 No.-

        I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historical meaning of the story of Mulian Rescues his Mother(MRM) through two major texts named the Maytrisimit(彌勒會見記) and the Ullambana Sutra of the Pure Land(淨土盂蘭盆經) of around 600 A.D. Firstly, in Tang Prosimetirc texts, while the thought of Buddhist belief and Filial piety was preserved, various Purgatory scenes in detail in which the people who did not follow the Buddhist teachings suffers great pains are unseen in the previous Ullambana Sutra(盂蘭盆經). This main change of the story content is some evidence of becoming more narrative, more popular and longer. Secondly, through the examination of brief MRM story in the Maytrisimit, I saw the MRM story was transmitted in Xinjiang area from 7th century. Lastly,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 Ullambana Sutra of the Pure Land of 7th century, I pointed out that this sutra was written under the influence of Pure Land Buddhism which was very popular during that era, described the splendid and grand offerings of Yulanpen, and added the evil deeds of Mulian’s mother which were borrowed mother-rescueing stories from other Buddhist texts. These changes mean the beginning of the tendency of becoming more narrative, more popular and longer of the history of MRM stories. 본고는 시기적으로 〈佛說盂蘭盆經〉과 唐代 講唱의 사이에 등장한 문헌들인 《彌勒會見記》와〈佛說淨土盂蘭盆經〉의 目連救母 說話의 특징과 역사적 의미를 검토했다. 먼저 唐代 講唱에서는 佛道와 孝의 병립이라는 〈佛說盂蘭盆經〉의 취지가 계승되어 있으면서도 대중들이 佛法을어기고 惡業을 쌓았을 때 겪게 되는 지옥에서의 고통을 상세하고도 다양하게 형상화하면서敍事化, 通俗化, 長篇化의 경향이 나타남을 확인했다. 이어 唐代 講唱보다 약 200년 앞선 《彌 勒會見記》에 기록된 目連救母 일화를 통해 7세기 무렵부터 目連救母 설화가 西域 지방에서도전승되었음을 확인했다. 그리고 《彌勒會見記》와 거의 동시대의 문헌인 〈佛說淨土盂蘭盆經〉은당시 보편적인 민중 신앙으로 자리 잡은 淨土思想의 영향 위에서 형성되었고, 성대하고 화려하게 만든 盂蘭盆을 공양하는 광경을 구체적이고 생동감 있게 묘사하고 다른 불교 문헌들에기록된 救母 說話들을 차용하여 목련 모친의 惡業의 내용을 대폭 추가했음을 확인했다. 이러한 일련의 변화는 약 200년 뒤에 나타나는 唐代 講唱과 그 이후 강화되는 敍事化, 通俗化, 長 篇化의 시작을 의미한다.

      • KCI등재

        초기경전과 대승경전의 和諍論 『불교해석학 연구』의 自註, 혹은 補論

        김호성(Ho Sung, Kim) 보조사상연구원 2010 보조사상 Vol.34 No.-

        초기불교와 대승불교의 관계를 어떻게 보아야 할 것인가? 이 문제를 나는 초기경전과 대승경전을 바라보는 관점의 관계로 치환해서 논술하였다. 근래 우리 학계에서 행해진 ‘불설과 비불설’ 논쟁 역시 그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의 불일치에서 초래한 것으로 본다. 이 논문 역시 그러한 문제에 대한 나름의 해답을 제공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다만 종래의 ‘불설과 비불설’ 논쟁 등은 초기경전과 대승경전의 성립을 둘러싼 역사적 측면의 접근이라 한다면, 이 글은 역사적 입장에 서지 않는다. 오히려 역사적 측면의 논의는 가능한 배제하고, 철학적 내지 해석학적 입장에서 이 문제를 다루어 보고자 하였다. 기실 이러한 언급은 이미 나의 『불교해석학 연구』를 통하여 표명한 바 있으나, 그 책의 주된 초점이 초기경전과 대승경전을 바라보는 관점에 있는 것이 아니었으므로 주목을 받지 못하였다. 이에 이 글을 통하여 바로 그러한 점을 집중적으로 부각하여 재조명코자 하였다. 미처 『불교해석학 연구』에서는 활용하지 못하였던 다양한 방법론을 활용하여 보았다. 예를 들어서 자크 데리다의 해체철학, 보르헤스의 단편소설에서 다루어진 상호텍스트성, 롤랑 바르트의 ‘저자의 죽음’, 義相의 ‘저자의 부재’, 이케미 쵸류(池見澄隆)의 심성사적 방법론, 야나기 무네요시(柳宗悅)의 민예미학 등의 입장을 원용하여 아함/니카야와 대승경전은 공히 불설이라 볼 수도 있고, 공히 비불설이라 볼 수도 있음을 논하였다. 결국은 초기경전과 대승경전 사이에는 어떠한 가치의 우열도 있을 수 없다는 것이다. 이러한 논의를 전개해 감에 있어서, 나는 인도철학사의 저술전통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前主張을 먼저 내세운 뒤에 그에 대하여 비판 하면서 자신의 正義를 제기하는 글쓰기 방식을 채택하였다. How should we understand the Mahāyāna sūtras? The focus of the problem with the Mahāyāna sūtras is placed on the absence of the authors. while, the sutras of Early Buddhism are believed to have the 'original' words of the Buddha himself and, therefore, have an author. For this reason, the sutras of early Buddhism are considered to be more trustworthy and authoritative than the Mahāyāna sūtras which is regarded as relatively unreliable. I criticized this claim(pūrvapakṣa) by presenting my own philosophy(siddhānta) and tried to suggest possible solutions to the six important points at issue I'm going to bring up. The first point is over the assertion that the Mahāyāna sūtras have no actual authors while the sutras of Early Buddhism do. According to J. Derrida, neither of them none the more has authors although the names have been written on the covers. He believes that creating a proper noun is the same as its elimination or obliteration. If anyone assumes that the author exists just by looking at the marking of an author, it would just be an illusion of looking at a proper noun as an exposure of a substance. From the standpoint of causality(paṭiccasamuppāda) explained in the sūtras of Early Buddhism, a proper noun do not exist at all. The second point I'm trying to mention is that, in matter of the claim that the authors of the Māhāyana sūtras have brought down an unnecessary disturbance by creating them, it was inevitable. Because time and historicity have to intervene as shown in the philosophical hermeneutics of Heidegger and Gadamer. Looking further at Jorge Luis Borges' novel, "Pierre Menard, Author of the Quixote", people claim that, no matter how well we copy Āgama or Nikāya, it should be understood accordingly in the context of space and time. They could, therefore, become very different texts from the originals. The Mahāyāna sūtras are the literation of the new understanding. With the third claim which argues that it is wrong to call the Mahāyāna sūtras the original teaching of the Buddha, I mean to prove otherwise with the example of Borges' another novel "Tl†n, Uqbar, Orbis Tertius" that "all books are anonymous and written by only one person." Here, we can neither assume that "one person" as God nor as an actual being. In fact, no books have authors. The names of the authors are only needed as an expedient or a hypothesis. This is how only one name is put up as an author. In the same context, 'the Buddha' is called upon to be the author in both the sutras of Early Buddhism and the Mahāyāna Buddhism. They become to be called Buddha's Āgama and Buddha's Mahāyāna. In the fourth, I criticized from four different perspectives the on-going argument that the sūtras of Early Buddhism are indeed the Buddha's original words and have higher values over those of the Mahāyāna Buddhism. 1) Āgama or Nikāya does not explain the original words of Buddha, but 'the original words X' which originally existed regardless of the fact that the Buddha renounces the world. The Mahāyāna sūtras are also an interpretation of this original words X. 2) It's a well known fact appeared in both Āgama and Nikāya that the founder of the original words X is not the Buddha. There were 6 Buddhas of the past including Vipaśyin Buddha of 91 eons ago. Assuming that the theory of 6 Buddhas of the past has been added later, it proves that the founder of the original words X existed even before the Buddha. 3) The Buddha and Mahākāśyapa are equal as founders of the original words X. From that fact, it could be said that the Buddha not only approved Mahākāśyapa's enlightenment of the original words X, but he, at the same time, was approved by Mahākāśyapa as well. Be

      • KCI등재

        지평융합-불설(buddha vacana)은 해석의 지평에서 현존한다

        이규완 ( Yi Kyoo-wan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8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35

        이 논문은 선행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기간에 간과된 부분이나 보다 진전된 연구를 요구하는 부분에 대한 탐색의 일환으로 작성되었다. 먼저 논문에서는 서구학계와 일본을 중심으로 이루어진 선행연구의 내용과 의의에 대해 개괄하면서 두 가지 상이한 해석학적 접근이 수렴하는 과정을 검토하였다. 불교의 전통이 살아있는 한국과 일본 등에서의 문제의식은 서구학계의 관심과 차이가 날 수 밖에 없으며, 그로 인해 연구방법과 내용에 차이를 노정하였다. 그러나 서로 상이한 접근은 불설(佛說)에 대한 보다 다면적이고 심층적인 이해를 가능하게 하는 해석지평에서 합류하게 된다. 불설의 판정기준으로 라모트(Lamotte)와 후학들의 ‘4대교법’에 대한 연구가 있다. 비교적 초기의 ‘4대교법’과 함께, 대승적인 관점이 두드러진 ‘4의(依)’에 대해서도 충분한 일차적 연구가 이루어져 있다. 이 논문에서는 ‘4대교법’의 정형구와 수사적 기법의 변주를 통해 불설에 대한 해석이 어떻게 변화되어 갔는지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후 ‘4의’의 관점을 예고하는 ‘4대교법’의 결론은 ‘이치(理致, yukti)에 따른 해석’으로 귀결된다. 이는 대승일반을 비롯하여 원효의 해석학적 관점과도 일치한다. 논문은 이 ‘이치에 다른 해석’이 함축하는 해석학적 함의를 ‘지평융합’이라는 개념을 통해 확장하고자 한다. 가다머의 표현을 빌어, 영향사 속에 있으며, 전통에서의 해석적 역사를 체화하고 있는 경전은 해석자의 지평에서 지평융합을 촉발한다. 이 사건을 통해 전승은 새로운 의미를 지닐 뿐만 아니라, 새로운 경전이 창출될 수도 있다. The debates on buddhavacana in the Korean Buddhist schools have been a very exceptional case in that the open debates on the press attracted public attention to the scholastic subject crucial to the Buddhist studies, consequently increasing the public understanding of the subject as well as betraying the scholastic accomplishment of the Korean Buddhist studies. The paper stands on the shoulder of the participants of the debates and examines, if any, details unnoticed or subjects required for further advancement afterwards. First of all, this paper reviews the contents and meaning of the studies in Japan and the West in the 20th century, comparing the two distinct approaches. The East Asian perspective should have been different from the West since Buddhism is a live tradition in the East whereas it has been a subject of intellectual concern or a subject investigated by the eyes of Judeo-Christian tradition. The differences on the interests and methods of the two traditions, in fact, mutually supported each other to converge into a new hermeneutical horizon to make deeper and more diverse understanding of the buddhavacana. The most typical and outstanding research on this topic is the work of Lamotte on the 4 mahapadesa, the critical standards for buddhavacana. With accompanying publications on mahapadesa and the 4 pratisarana, I presume, fundamental researches have been carried out well enough. So, in this paper, I rather focus on the variations made by the application of rhetorical devices to the formula of the 4 mahapadesa. From the observation, I reveal how the discussion on the buddhavacana had reached the final standard, the hermeneutics by reason, yukti, which continued in the blood of Wonhyo as well as other Mahayana Buddhist canonical interpretors. This paper eventually explores a possibility to extend the hermeneutics by reason to the concept of ‘the fusion of horizon.’ According to Gadamer, every canonical literature is formed and lived through ‘the effectual history’ and the canon in turn comes to be fusing into the horizon of the readers of the canonical literatures or the creators of the new scriptures. Through the events of ‘the fusion of horizon,’ the buddhavacana can not just be newly interpreted but also be created in the voice of contemporary audi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