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Caco-2 세포의 분화에 따른 세포사멸 감수성의 변화

        김태일 ( Tae Il Kim ),양경민 ( Kyoung Min Yang ),채보아 ( Boah Chae ),진수현 ( Soo Hyun Jin ),김원호 ( Won Ho Kim ) 대한장연구학회 2005 Intestinal Research Vol.3 No.2

        목적: 소화관의 상피세포는 점막 표면의 선와구조를 형성하면서 기저부의 미분화된 세포에서 상부로 점차 이동하면서 세포분화의 과정을 거치며, 결국 세포사멸의 과정으로 점막에서 탈락하게 되는데, 이러한 분화, 증식, 사멸의 균형을 통한 항상성에 결함이 생기게 되면 암을 포함한 여러 질환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분화과정에서 미분화된 세포와 분화된 세포 사이에는 여러 가지 생물학적 특성에 차이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분화를 유도한 대장암세포주를 이용하여 세포사멸과정에서 그 분화정도에 따른 세포사멸의 감수성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대장암세포주인 CaCo-2를 이용하였고, sodium butyrate를 처리하여 분화를 유도하거나 세포의 밀집(confluence)에 의한 자연적인 세포분화를 유도하였다. 세포사멸을 위한 자극으로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인 indomethacin과 DNA 손상약제인 MMS(methyl methane-sulfonate)와 VP-16을 이용하였다. 세포분화의 정도는 alkaline phosphatase assa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세포생존율과 세포사멸은 MTT assay와 flow cytometr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Sodium butyrate를 처리하거나 세포 밀집에 의한 자연적 분화유도 상태 모두에서 alkaline phosphatase 활성이 의미있게 증가하였다. MMS 또는 VP-16을 처리한 세포군에서는 세포가 분화됨에 따라 세포사멸률이 감소되어 미분화된 세포일수록 세포사멸에 대한 감수성이 높았다. Indomethacin을 처리하였을 때는 sodium butyrate에 의한 세포분화의 경우 분화도가 높을수록 세포사멸에 민감하였으나, 자연분화를 유도한 경우에는 미분화된 세포일수록 세포사멸에 민감하였다. 결론: 이상의 실험결과로 세포분화 유도 방법에 따라 일부 차이는 있었지만 전반적으로 미분화세포일수록 DNA 손상 자극과 indomethacin에 의한 세포사멸 자극에 대해 세포사멸의 민감성을 보였고, 이러한 현상은 DNA 손상자극에서 더욱 뚜렷하였다. Background/Aims: The balance between proliferation and apoptosis is important for homeostasis during differentiation in crypt-villus axis of intestinal epithelium. In addition, cellular responses to diverse stimuli also vary by the degree of cellular differentiation. We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in apoptotic sensitivities in genotoxin- and indomethacin-induced apoptosis, based on the degree of differentiation of epithelial cells. Methods: Differentiation was induced by post-confluence culture or treatment of sodium butyrate in Caco-2 cells. Indomethacin, VP-16 and MMS (methyl methanesulfonate), which is a direct-acting DNA alkylating agent, were used for apoptosis induction. Degree of differentiation was measured by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assay. The apoptotic cell death was measured by MTT assay and flow cytometry. Results: Compared to the subconfluent Caco-2 cells, both 7 days post-confluent cells and sodium butyrate-treated cells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Both post-confluence- and butyrate-induced differentiated cells showed increased resistance to MMS- or VP-16-induced apoptosis. While post-confluence-induced differentiated cells showed increased resistance to indomethacin-induced apoptosis, butyrate-induced differentiated cells showed increased sensitivity to indomethacin-induced apoptosis. Conclusions: Our data demonstrate that differentiated Caco-2 cells induced resistance to genotoxin- and indomethacin- induced apoptosis, although indomethacin-induced apoptosis was increased in butyrate-induced differentiated Caco-2 cells. (Intestinal Research 2005;3:96-103)

      • KCI등재

        건강한 돌봄을 위한 자기 분화와 영성생활의 관계 연구

        최창국 한국복음주의실천신학회 2016 복음과 실천신학 Vol.39 No.-

        본 연구는 건강한 돌봄을 위한 자기분화와 영성생활의 관계 연구로서 정서적 건강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그 역할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본 논문은 감정과 사고와 정서체계와 지적체계 등의 건강한 관계와 역할에 대해서 특별히 Murray Bowen이 제시한 자기 분화의 개념을 통해서 살피고 있다. 본 연구는 자기 분화와 영성 생활의 관계를 밝히기 위해 기독교 역사에서 그리스도인들의 영성생활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던 Evagrius Ponticus가 말한 ‘로기스모스’(logismos), 즉 ‘나쁜 생각’이나 ‘나쁜 반응’의 정화 또는 분화가 영성생활에 주는 의미와 영향을 살피고 있다. 정서 분화와 영성 생활의 관계도 구체적으로 다루고 있다. 지금까지 기독교적 돌봄 사역에 대한 많은 연구들은 대부분의 경우 돌봄 사역자 자신보다는 돌봄의 대상에 대한 연구가 많았지만 본 연구에서는 돌봄 사역자의 분화의 중요성, 즉 자기 자신이 되는 것의 중요성과 의미들을 밝히고 있다. 자기 분화와 건강한 돌봄의 관계와 실천 원리들을 제안하기 위해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건강한 돌봄 사역자가 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psychological health and its role in spiritual life and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iation of self and spiritual life for healthy care. This study looks into the concept of differentiation of self, especially suggested by Murray Bowen, to see the healthy relationship and its role of emotion, thinking, emotional system and rational system. For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iation of self and spiritual life, this study explores the meaning of ‘logismos’ and its impact on spiritual life, mentioned by Evagrius Ponticus, which means purification of ‘bad thoughts’ or ‘bad reactions’ or differentiation, influenced Christian's spiritual life in those days.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iation of emotion and spiritual life is examined. Many studies in Christian care ministry have focused on the cared rather than the carer, but this study recognizes the importance and the meanings of the carer’s differentiation and of being themselves. This article concludes with some directions how to become a healthy carer, suggesting for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iation of self and healthy care and its practical principles.

      • KCI등재

        '기능적 분화'로서의 모더니티

        김종길(Kim, Jong-Kil) 한국이론사회학회 2009 사회와 이론 Vol.15 No.-

        기능주의 모더니티 기획의 요체인 ‘기능적 분화’는 대다수 사회과학 담론에서 기정사실로 전제될 만큼 폭넓게 수용되고 있다. 본고는 넓게는 사회학적 기능주의, 그리고 좁게는 루만이 신기능주의적 모더니티 기획에 내장된 기본 가정과 정당화 논리 및 쟁점을 재구성한 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연구 결과에서 보듯, 서구나 비서구 할 것 없이 현대 세계사회에서는 기능적 분화의 확산 못지않게 문화적 생활세계 영역의 분절적 분화 및 급격한 발전과 사회적 재화의 불평등한 분배에 따른 비대칭 분화가 위력을 발휘하고 있다. 세계사회의 이 같은 다층적이고 다면적인 현실은 서구 사회의 구성적 특질들이 불가피한 모더니티 발전 단계로 물화되는, 복잡하긴 하나 단순화된 기능주의 모더니티 프로그램으로는 충분히 포착될 수도, 또 온전히 설명될 수도 없다. 루만의 신기능주의적 접근은 사회의 복잡성과 다양성, 모순의 중첩, 차이, 체계와 환경의 역동성에 주목하고 이를 자신의 자동생산 체계이론 내에 적극 끌어들이고 적절히 자리매김하고 있다는 점에서 한층 진일보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하지만 진화 과정으로서의 모더니티, 계층적 분화 및 분절적 분화에 대한 기능적 분화의 우위 가설 등에서 보듯, 모더니티를 판독하는 그의 기본 코드 역시 기존 패러다임의 틀과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기능주의 모더니티 기획에 대한 회고와 비판적 재인식을 넘어 전통과 현대, 서구와 토착, 분화와 탈분화의 이론적 해체와 재구성 및 새로운 창조가 요구되는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Despite of all its shortcomings and critiques, sociological functionalism has been thought to be one of the most influential sociological theories In particular, the concept of functional differentiation as a basic feature of modernity, which is shared by diverse functionalistic branches, is so widely accepted that it is viewed to be an established fact or common sense in sociolog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rst, to reconstruct the main ideas and key concepts of modernity in sociological functionalism, which is focused on functionally differentiated systems and their operating mechanism, and, second, to review them critically Results of the research show that the comtemporary world society, characterized by the differentiation and dedifferentiation, the increase and decrease of complexity, the pressure for universalism and the reaction upon, it, is too complex and uncertain and can not be explained in full by the expansion and deeping of functional differentiation In the contemporary world society, be it a western or non-western orientation, besides functional differentiation, segmentary differentiation in cultural life world, and the new brand of asymmetric differentiation which primarily originates from the inequality of the distribution of socio-economic assets, tend to wield their power strongly The complex, but unilinear project of modernity in sociological functionalism can neither comprehend the complicated and manifold reality of world society, nor examine it wholly The neo-functionalistic approach of Niklas Luhmann can be appraised to be an advance in discourses of the project of modernity, in that it is paying more attention to the complexity and diversity of world society, the duplication of contradictory factors or differences, and the interaction between system and environment. However, with his concept of modernity, as an evolutional process and an assumption of the superiority of functional differentiation over segmentary or hierarchical differentiation suggests, his understanding of modernity is still caught in the framework of the functionalistic paradigm. It is this reason why it is necessary to deconstruct, reconstruct and reinterpret the discourses of modernity and their theoretical outputs

      • KCI등재

        기능적 분화와 사회 연대

        고봉진 한국법철학회 2022 법철학연구 Vol.25 No.1

        Capitalism today has superseded caste system of the past, and capital has risen to a position comparable to that of status. The division of labor according to function seemed to replace status, but as capital soon rose to the position occupied by status, division of labor became the dependent variable. In the change from a social class society to a capitalist society, I find the reasons why Adam Smith’s theory of division of labor succeeded and Durkheim’s theory of division of labor failed. In modern society, ‘function’ becomes more important. In the transition from the social class society to the capitalist society, the function seemed to be fully functioning. It even appears as if identity has been replaced by a function. Capitalism deviated from the framework of class society, and functions were liberated from being subordinated to class. The power of capital triumphed over the power of status. But capital itself is becoming an identity. Capital becomes a new identity and subordinates functions. An economy liberated from status was expected to usher in an era of genuine individuals, but individuals soon became subordinate to capital. In modern society, ‘function’ is more important, but the logic of capital is embedded within it. It’s hard to see it as a true functional superiority. It is difficult to see it as true functional differentiation. I demand that social theory be standardized in a way that limits the influence of capital on the economic system and reduces the influence of capital on other functional systems. Taking ‘functional differentiation’ as a normative concept means that functional differentiation is not realized properly in reality due to ‘the totality of capitalism’. While insisting on ‘functional differentiation as a normative task’, the author also insists on the differentiation of systems oriented toward social solidarity. Two points should be mentioned here. First, even if ‘functional differentiation as a normative task’ is elicited, the social solidarity effect is not fully achieved through this alone. In fact, it must be a very difficult task to derive ‘functional differentiation as a normative task’. This is because ‘functional differentiation as a normative task’ aims to dismantle ‘the totality of capitalism’ Second, for this reason, in addition to setting ‘functional differentiation as a normative task’, it is thought that various devices oriented toward social solidarity are needed. The normative language of human dignity and human rights is still valid, and the voice of human beings for social solidarity must be raised. Where human dignity and human rights are violated and social solidarity cannot be expected within the system, the struggle for recognition of the socially weak is important. Although I argue for ‘functional differentiation as a normative concept/ normative task’, I do not think this is the only solution. In resolving social problems, I emphasize that no solution can ignore ‘functional differentiation’ in modern society, and that ‘functional differentiation’ should be set as a normative concept rather than a factual concept to present a solution. Nevertheless, there are clearly areas that cannot be covered by ‘functional differentiation’, which means that concepts such as human dignity, human rights, and struggle for recognition have a strong effect on our normative pathos. 오늘날 자본주의는 이전의 신분주의를 대체했으며, 자본은 신분에 버금가는 위치에 올라섰다. 기능에 따른 분업이 신분을 대체하는 것처럼 보였지만, 자본이 이내 신분이 차지했던 위치에 올라섬으로써 기능에 따른 분업은 그 종속변수가 되었다. 신분사회에서 자본주의 사회로의 변화에서 필자는 애덤 스미스의 분업론이 성공하고 뒤르켐의 분업론이 실패한 이유를 찾는다. 현대사회로 갈수록 ‘기능’은 더 중요한 요소가 된다. 신분사회에서 자본주의 사회로의 변화 속에서 기능은 그야말로 제 기능을 발휘하는 것처럼 보였다. 신분이 기능으로 대체된 것처럼 보이기까지 한다. 자본주의는 신분사회의 틀을 벗어났고, 기능은 신분에 종속되는 것에서 해방되었다. 자본의 힘은 신분의 힘을 이겼다. 하지만 자본 스스로 신분이 되고 있다. 자본은 새로운 신분이 되어 기능을 종속시킨다. 신분에서 해방된 경제는 진정한 개인의 시대를 열 것으로 기대했지만, 개인은 이내 자본에 종속되었다. 현대사회로 갈수록 ‘기능’이 중요시되나, 그 내면에는 자본의 논리가 내재해 있다. 진정한 기능 우위라고 보기 어렵다. 진정한 기능적 분화라고 보기 어렵다. 필자는 자본의 영향력을 경제체계에 제한하고, 정치, 학문, 예술 등 다른 기능체계에 미치는 자본의 영향력을 축소하는 방향으로 사회이론을 규범화할 것을 주문한다. ‘기능적 분화’를 규범적 개념으로 삼았다는 것은 기능적 분화가 ‘자본주의의 총체성’에 의해 현실에서는 제대로 실현되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필자는 ‘규범적 과제로서 기능적 분화’를 주장하면서, 사회 연대를 지향하는 체계의 분화도 주장한다. 여기서 두 가지 점을 언급해야 하는데, 첫째는 ‘규범적 과제로서 기능적 분화’를 이끌어낸다고 해도, 이것만으로 사회 연대 효과가 온전히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점이다. 사실 ‘규범적 과제로서 기능적 분화’를 이끌어내는 것은 매우 어려운 과제임에 틀림없다. ‘규범적 과제로서 기능적 분화’는 ‘자본주의의 총체성’의 해체를 목표하기 때문이다. 둘째, 그렇기에 ‘규범적 과제로서 기능적 분화’를 설정하는 것 외에도, 사회 연대를 지향하는 여러 장치들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인간존엄, 인권의 규범적 언어가 여전히 유효하며, 사회 연대를 주장하는 인간의 목소리가 높아져야 한다. 인간존엄과 인권이 침해되고, 사회 연대를 체계 내에서 기대하기 어려운 곳에는 사회적 약자의 인정투쟁이 중요하다. 필자는 ‘규범적 개념/규범적 과제로서 기능적 분화’를 주장하지만, 이것만이 유일한 해결책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필자는 사회 문제를 해결함에 있어 현대사회에서는 어떤 해결책도 ‘기능적 분화’를 도외시할 수 없으며, ‘기능적 분화’를 사실적 개념을 넘어 규범적 개념으로 설정해 해결책을 제시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그럼에도 ‘기능적 분화’로 포섭할 수 없는 영역이 분명 존재하며, 이는 인간존엄, 인권, 인정투쟁과 같은 개념들이 우리의 규범적 파토스에 강력한 효력을 발휘함을 의미한다.

      • 청소년의 자아분화가 스트레스 대처에 미치는 영향

        최연실,김현영 상명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5 社會科學硏究 Vol.21 No.-

        본 연구는 청소년들이 겪고 있는 여러 가지 스트레스 상황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대처하는지 살펴보기 위해 가족역동적 관점 가운데 하나인 Bowen의 자아분화 개념을 적응하였다. 청소년의 자아분화가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밝힘으로써 청소년기 스트레스 대처와 가족역동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통해 청소년의 문제행동 및 상담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를 위해 자아분화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대한 하위개념으로 자아분화는 정신내적 분화, 대인관계 분화, 삼각화, 정서적 단절, 가족투사로 이루어졌으며,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문제중심적 대처, 사회적지지 추구, 정서중심적 대처, 자기위로 능력, 회피적 대응으로 구성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자들의 전체적인 자아분화 수준은 보통으로 나타났으며, 스트레스 대처에 관해서는 중학생과 고등학생 모두 정서중심적 대처를 가장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생과 고등학생 집단간에 차이를 살펴보면, 중학생 집단에서는 스트레스 대처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경제적 수준과 대인관계 분화, 삼각화, 정서적 단절과 관련이 있었으며, 회피적 대응은 삼각화와 가족투사가 영향을 미쳤다. 반면, 고등학생은 정서적 단절만이 영향을 미치고, 스트레스 대처에서 문제중심적 대처는 정신내적 분화와 가족투사가, 사회적 지지추구는 정신내적 분화 및 삼각화와 가족투사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자기위로 능력은 정신내적 분화와 삼각화, 정수중심적 대처는 정신내적 분화와 대인관계 분화 그리고 삼각화와 관련이 있으며, 회피적 대응은 정신내적 분화와 가족투사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연구를 통해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집단간 자아분화와 이에 따른 나타나는 스트레스 상황에서의 대처방식에 어떠한 차이를 나타내는지를 통해 민감한 청소년기에 보다 적절한 방식으로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대한 기초자료로 삼을 수 있으며, 청소년들의 가족과 스트레스 대처에 대한 이해를 위해 활용되고자 한다.

      • KCI등재

        계층화와 기능적 분화

        고봉진 한국법철학회 2017 법철학연구 Vol.20 No.2

        The question I would like to look at in this paper begins with a question about Luhmann's theory of social differentiation (which Luhmann dealt with in Chapter 4 ‘Differentiation’ of Society in Society). Luhmann deals with the functional differentiation of systems from the viewpoint of system theory by recognizing the priority of functional differentiation in the form of modern society, but not in terms of system theory functional differentiation. From the viewpoint of system theory, there is a possibility that if we deal with the functional differentiation of the system, we may miss the meaning of the functional differentiation of the other domain and overlook the variation of hierarchical differentiation. It is true that the main form of the differentiation has changed from the hierarchical differentiation to the functional differentiation, but is not the hierarchical differentiation still a form of differentiation in the modern society? In fact, it seems to be functional differentiation in the outer form, is not the hierarchical differentiation in the inside? If hierarchical differentiation still takes effect in the form of differentiation, is not there a problem with the viewpoint of the system theory of society? In conceiving a normative social theory model, I think the following should be considered essential. First, the new social theory must consider both stratification and functional differentiation. Second, normative social theory is needed to solve social problems on the premise of functional differentiation. Third, the concept of functional differentiation should be considered as a normative task and a plan to prevent the overall system of economic system should be sought. Fourth, it is necessary to operate a functional system that deals with the problem of stratification professionally. 필자가 본 논문에서 살피고자 하는 문제는 루만이 ‘사회의 사회’ 제4장 ‘분화’에서 다룬 ‘사회분화 이론’에 대한 의문에서 시작되었다. 루만은 기능적 분화의 우선성을 현대 사회의 형식으로 파악하여 체계이론의 관점에서 체계의 기능적 분화를 다루었지만, 기능적 분화를 체계이론의 관점에서만 볼 것은 아니다. 체계이론의 관점에서 체계의 기능적 분화를 다루다 보면 의도하지 않게 다른 영역의 기능적 분화가 가지는 의미를 놓쳐 버릴 염려가 있고, 계층적 분화의 변이를 간과하게 될 여지가 있다. 필자는 다음의 의문을 제기하였다. 계층적 분화에서 기능적 분화로 분화의 주요 형식이 바뀐 것은 사실이지만, 현대 사회에서도 계층적 분화는 여전히 힘을 발휘하는 분화 형식이지 않을까? 외형상으로 기능적 분화로 보이는 것도 사실은 그 내면에는 계층적 분화가 작용하는 것이 아닌가? 분화의 형식으로 계층적 분화가 여전히 효력을 띠고 있다면, 사회를 바라보는 체계이론의 관점에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닐까? 규범적 사회이론 모델을 구상함에 있어 다음 사항은 필수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고 필자는 생각한다. 첫째는 새로운 사회이론은 계층화와 기능적 분화를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는 점이다. 둘째는 기능적 분화를 전제로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규범적 사회이론이 요구된다는 점이다. 셋째는 기능적 분화 개념 자체를 하나의 규범적 과제로 제시하면서 경제체계의 총체성을 막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넷째는 계층화의 문제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기능체계의 작동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 KCI등재

        청년층 흥미 분화 및 직무환경과의 일치도 변화 추정: 개인차에 영향을 미치는 생활사 효과 검증

        어윤경 한국교육학회 2009 敎育學硏究 Vol.47 No.2

        This study estimated the change in the differentiation of interest and the degree of congruence in the youth according to the time, and examined the factors that affect the individual differences. Related factors of the changes,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focused on the gender, age of the first measurement, self-esteem, and fostering environment.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multi-level model was applied to verify the change of the differentiation in time. Also, it searched for the relativity of the differentiation of interest and the degree of congruence, and looked at the change pattern as time goes.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 differentiation of interest was found to decrease in general as time goes. The initial value of the differentiation of interest and the ratio of change came out to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gender, age, and the self-esteem. That is, the female with older age has higher initial value of the differentiation of interest in the first measurement than the male, and has a relatively slower differentiation speed. On the other hand, person with a higher self-esteem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differentiation of interest as the number of measurement increases. And the differentiation of interest and the degree of congruence came out to have a static relativity. That is, as the differentiation increases, the degree of congruence with the desired work environment also increased. As the differentiation of interest proceeds well, it becomes easier to select a desired job that suits himself or herself, and the expectation for achieving it increases as well. Therefore, if the various factors of the differentiation of interest are found, they may provide implications for career counseling. 본 연구에서는 29세 미만 청년층의 흥미 분화도와 일치도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추정하고 변화에 있어서 개인차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살펴보았다. 관련변인은 선행연구에 기초하여 성(gender), 최초 측정시점의 연령, 자존감, 양육환경에 초점을 맞추었다. 본 연구목적을 위하여 우선 다층모형을 적용하여 흥미 분화도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검증하였다. 또한 흥미 분화도와 일치도의 관련성을 탐색해 보고,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패턴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첫째, 청년층의 흥미 분화도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전체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 연령과 자존감에 따라 흥미 분화도 초기치와 변화율이 다르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즉, 여성이 남성보다 최초 검사시 연령이 높을수록 흥미 분화도 초기치가 높았고 상대적으로 분화속도는 늦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자존감이 높은 사람은 검사 실시차수가 많아질수록 흥미 분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흥미 분화도와 일치도의 관계는 정적인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분화도가 높아질수록 희망직업 환경과의 일치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신의 흥미를 탐색하고 이에 맞추어 희망직업을 선택한다는 것은 진로가 성숙되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기 때문에 우선, 흥미 분화를 촉진하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다. 흥미 분화가 잘될수록 자신에 맞는 희망직업을 선택하기가 용이해질 뿐만 아니라 이를 달성할 수 있다는 기대감도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흥미를 분화시키기 위한 다양한 변인이 규명된다면 심층적인 진로상담을 위해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중학생의 자기 존중감 및 자기 분화가 진로 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이정실,김형균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21 實科敎育硏究 Vol.27 No.2

        이 연구는 진로 결정을 해야 하는 중요한 시기의 중학생을 대상으로 진로 결정 시 자기 존 중감과 자기 분화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충청남 도 D 지역 중학교 3곳을 선정하여 각 학교에 100부씩 총 3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고, 수집된 228부에서 남자 105명, 여자 123명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1 통 계프로그램을 활용해 t-검증, 일원 배치분산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인구 사회학적 요인 중 학년은 자기 분화의 하위 요인인 정서 인지 분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차이에서는 자기 존중감, 자기 분화 전체와 자기 분화 하위 요인인 자아 통합에 영향을 미치며, 남학생이 관계나 상황으로부터 정서적 압력을 받을 때 자신의 신념에 따라 독립적임을 보여주고 있다. 둘째, 중학생의 자기 존중감과 자기 분화 정도에 따라 진로 결정수준은 자기 존중감, 자기 분화 전체와 하위 요인 자아 통합, 가족 투사, 정서적 단절, 가족 퇴행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학생의 자기 존중감 및 자기 분화에 있어서 진로 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기 존중감, 자기 분화 하위 요인 중 정서 인지 분화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를 통해 중학생의 진로 결정 시 자기 존중감과 자기 분화가 인구 사회학적 요인 중 학년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의 결과는 탐색과 많은 경험을 해야 하는 중요한 시기에 가정, 학 교, 사회적으로 자기 존중감과 정서인지 분화 및 자아통합의 자기 분화 수준을 높일 수 있는 적절한 환경조성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effects of self-esteem and self-differentiation when making career decisions for middle school students in critical times when they need to make career decisions. For this study, three middle schools in Chungcheongnam-do D area were selected, total of 3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from 228 collected, For the collected data, t-test, one-way batch varianc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IBM SPSS 21 statistical program. The summary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factors of middle school students, grade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emotional and cognitive differentiation, a sub-factor of self-division. Second, according to the degree of self-esteem and self-differenti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level of career decision was found to be related to self-esteem, overall self-differentiation and sub-factors self-integration, family projection, emotional disconnection, and family regression. Third, the factors affecting the career decision level in middle school students' self-esteem and self-differentia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emotional and cognitive differentiation among the sub-factors of self-esteem and self-differentiation. In this study, among the demographic and social factors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higher the grade, the more self-esteem and self-differentiation influenced the level of career decision-making. This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to create a home, school, and social environment that can enhance the level of self-esteem, emotional perception, and self-integration in middle school students' career search and rational decisions.

      • KCI등재

        삼대록계 국문 장편소설에 나타난 가족치료양상 연구 ― 보웬의 이론에 근거하여 ―

        이희수 동양고전학회 2012 東洋古典硏究 Vol.0 No.49

        이 논문에서는 보웬의 가족치료 이론의 관점에서 삼대록계 국문 장편소설의 서사를 분석하였다. 보웬은 가족 내에서 문제를 일으키는 개인의 행동을 설명함에 있어 자기분화와 불안이라는 두 변인을 사용하였는데 이들 작품에서 문제나 갈등이 표출된 가정의 경우, 문제의 중심에 자아 미분화된 인물이 존재하였다. 자아가 미분화된 인물들은 적장자 위주의 가족 관계에서 소외될 때 극도로 불안감을 느꼈으며, 불안을 해소하고 가족 관계에서 자신의 입지를 확고히 하기 위해 자아 미분화된 인물들끼리 연대의식을 강하게 발휘하였다.『소현성록』과 『조씨삼대록』 연작의 가정 내 문제 발생의 구조와 양상은, ‘자아 미분화된 어머니와 자아 분화된 아들, 자아 분화된 어머니와 자아 미분화된 아들, 자아 미분화된 어머니와 자아 미분화된 아들’로 세분화할 수 있다. 서사 전개 방식에 있어 이들 간의 공생 관계 성립과 미성립, 치료자의 존재 양상 등이 달랐으며, 그에 따라 자결하는 아들, 처형당하는 아들, 회개를 통해 거듭나는 아들로 나뉘어졌다. 서술상의 전개나 구조는 무엇보다 치료자 존재 유무에 따라 달라졌다. 자아 미분화된 어머니와 자아 미분화된 아들의 경우, 가족 내에 치료자가 존재함으로써 가족문제는 해결되고, 문제를 일으킨 아들은 회개하여 거듭나는 아들이 된다. 그러나 자아 미분화된 어머니와 자아 분화된 아들, 자아분화된 어머니와 자아 미분화된 아들은 가정 내 치료자 부재로 각각 아들이 자결하고 처형되는 비극이 빚어졌다. 이처럼 보웬의 가족 치료 이론을 적용하여 삼대록계 국문 장편소설을 분석했을 때 가정에서 발생한 갈등이나 문제에 대해 개인의 차원이 아니라 가족 간의 관계 차원에서 조망이 가능하였다. 즉 가정 내의 심각한갈등과 문제는 어느 한 개인의 인성이나 욕망이 아니라 가족 제도 자체에 근본 원인이 있었다. 그리고 가족 치료자의 유무에 따라 서사의 전개양상이 크게 달라졌는데 그의 역할에 따라 나머지 가족의 안위와 평화여부가 결정됨으로써 삼대록계 국문 장편소설에서 남성의 수신은 중요한 서사축을 형성하고 있음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삼대록계 국문 장편소설 속의 문제 상황을 한 개인의 욕망 혹은 인성에 국한하지 않고 가족 전체의 차원에서 살피고 심리학적 외재적 접근을 통하여 삼대록계국문 장편소설의 주요 서사인 여성수난담의 배경에 대해 접근한 것에의의를 두고자 한다. In this paper, Bowen's family therap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heory, narrative analysis of Korean novels, three Regis - tration Subsection.Bowen's description of the individual's behavior is causing problems within the family of anxiety and self-differentiation using two variables. The home if problems or conflicts expressed in these works, the figures showed that the undifferentiated ego at the center of the problem. Undifferentiated ego character felt extreme anxiety when their alienation from the relationship of the family-oriented jeokjangja Undifferentiated ego to relieve anxiety and to consolidate their position in the family relationship, so people were strongly united with each other. 『Sohyunseongnok』, 『Chossisamdaerok series』 structures and patterns of a series of domestic problems occur, "mother and son, self-differentiation self undifferentiated undifferentiated ego and self-differentiation mother son, mother and self-ego undifferentiated undifferentiatedcan be subdivided into the son '.Established a symbiotic relationship between them and the U.S. established the presence of a pattern, healer, depending on the deployment method depends narrative. And is divided accordingly, self-determination and to the Son, a son, a son to be born again through repentance of the execution.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healer than what was described on the deployment structure differs. Undifferentiated ego and self undifferentiated mother son family therapist within the family, the problem is solved. Son, a son to repent and be born again, and that caused the problem. Ego Undifferentiated mother and son self-differentiation, undifferentiated ego and self-differentiation mother son home my healer in the absence son committed suicide and executions each tragedy occurred. Personal level, but occurred at home conflicts or problems about this when analyzing the Three-generation stories of the Joseon Dynasty, by applying the theory of Bowen's Family Therapy view dimen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were. Toughness or desire of any one individual, but serious conflicts and problems within the family, the institution of the family itself is the root cause was. And was able to reveal aspects of narrative flow, depending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family therapists vary significantly depending on his role in the rest of the family comfort and peace determines whether the Three-generation stories of the Joseon Dynasty, received an important narrative of men and axis formation. In a gauze-like situation of this problem in the Three-generation stories of the Joseon Dynasty, a personal desire or toughness in confined without the dimension of the entire family. And extrinsic psychological approach against the background of the wall in the main narrative of the sufferings of women of Korean novels, approached signific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