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한 영어교육 연구 동향 분석

        황서연(Hwang, Seo-Yeon),김정렬(Kim, Jeong-Ryeo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3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 diachronic analysis of researches on the North Korea s English education. To this end, 71 studies on North Korea s English education between 1994 and 2018 are collected and analyzed for their changes of research volumes, publication types, research topics, research contents, and research methods. The findings are: The number of studies under the considered topic has notably increased since 2010. This growing increase of studies is also found in the MA and doctoral dissertations in recent years. An analysis of English textbooks outnumbers other topics, and North Korean studies based on the defectors follows in its lead. The most dominant research method is analytic studies followed by case studies. Recent trends indicate that topics and research methods become more diverse as number of studies on North Korea s English education has increased. This is caused by the growing importance of English education and changing circumstances of English education in North Korea, and the fact that the need for unification-related researches is on the rise in order to prepare for the unification as two Koreas come into ever more frequent contacts with each other.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북한 영어교육 연구들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북한 영어교육과 관련한 연구들 71편의 사례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북한 영어교육 연구들을 시기별 양적 변화, 출판 동향, 연구 대상, 연구 내 용, 연구 방법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2010년 이후 북한 영어교육 관련 연구가 양적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학위연구의 연구가 많았으나, 학술지 연구가 최근들어 많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연구 대상은 북한 영어교과서 연구가 가장 많은 비중 을 차지하고 있었고,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연구 내용에서는 북한 영어교과서 분석에 대한 내용을 다룬 연구가 많았다. 연구 방법은 분석연구, 조사연구, 사례연구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 국내 북한 영어교육 연구들은 최근 들어 양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연구 대상과 연구 내용, 연구 방법이 2010년 이후 다양화 되고 있었다. 이것은 북한 교육 분야에서 영어교육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고, 영어교육의 현실이 변화 하며, 우리나라의 북한이탈주민들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하여 영어교육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 KCI등재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국내 북한 영어교육 연구 동향 분석

        황서연(Hwang, Seo-Yeon),김정렬(Kim, Jeong-Ryeo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8

        본 연구는 기존의 국내 북한 영어교육 관련 연구들을 대상으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함으로서, 주요 키워드와 키워드 간 관계를 분석하여 국내 북한 영어교육 연구들의 흐름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993년부터 2019년 4월까지의 북 한 영어교육과 관련한 학술지, 학위논문 83편을 수집하여 출판 시기를 3기로 분류하고 키워드의 빈도, 키워드 중심성과 키워드 간 네트워크 관계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 영어교육 관련연구들의 가장 빈도가 높은 키워드는 language , textbook , South Korea 이었다. 전반적으로 교과서 분석 연구와 남한과의 비교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네트워크 분석 결과, 북한 영어교육 연구들을 크게 3가지의 범주로 분류할 수 있었다. 북한의 영어교육 상황 및 통일을 대비한 영어교육, 영어교과서 분석의 범주, 북한이탈 주민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시기별 특징으로는 전체 기간 동안 큰 3가지 범주들이 꾸준히 연구되어 오고 있지만, 각 시기별로 두드러지는 범주가 있었다. 1기에는 북한 영어교육의 상황, 2기에는 영어교과서 분석 연구, 3기에는 영어 교과서 분석 및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었다. 이렇게 시간이 흐름에 따라 북한 영어교육의 연구들의 수도 급격히 증가하고, 연구 대상과 방법의 키워 드가 중심성이 높아지며 구체화 되고 다양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keywords extracted from English abstracts of selected papers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English education researches on North Korea. To that end, 83 academic journal papers and dissertations on the topic of North Korea s English education are collected from 1993 to April 2019, and the publication dates are classified into three major periods: 1990s, 2000s and 2010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op keywords in their frequency of North Korean English education researches are ‘North Korea’, ‘language’, ‘textbook’ and ‘South Korea’. It is found that number of researches on textbook analysis and comparative studies with the South are most frequent. Second, according to the network analysis, North Korean English education studies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major categories: English educational situations in North Korea, English textbook analysis, and researches on North Korean refugees. These three categories have been consistently studied throughout the entire period. However, a distinction of major research topics can be made for each of three periods: in the 1990s, the situation of North Korea s English education; in the 2000s analyzing English textbooks; and in the 2010s the analysis of English textbooks and the study of North Korean defectors. As time progresses, the number of studies on North Korean English education is distinctively increasing, and the keywords of topics and methods gradually become more central, concrete and diverse.

      • KCI등재

        북한의 소학교 영어과 교육과정 분석

        김정렬(Jeong-ryeol Kim)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4

        본 연구는 최근 북한의 신교육강령에 따라서 집필된 영어과 교육과정 중에서 그동안 접하기 어려웠던 소학교 영어과 교육과정의 내용을 분석하여 소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북한의 소학교는 5년제이기 때문에 신교육강령에 따른 소학교 교수안 4학년과 5학년, 인민교육에 나온 신교육강령 해설서, 김정일선집등을 기본적인 자료로 입수 가능한 자료로 하였다. 분석방법은 교육과정의 성격, 목표, 내용, 방법, 평가를 분석대상 자료와 함께 김정일 선집에 나타난 외국어교육에 대한 언급을 중심으로 발췌 또는 취합하여 자료를 있는 그대로 기술하고, 내용을 분석하고, 그 의미를 해석하며, 북한 소학교 분석연구인 본 연구의 매락에서 평가한다. 북한의 교육과정은 우리와 달리 성격, 목표, 내용, 방법, 평가로 구분하여 제시하지는 않고 섞여서 함께 제시되는데 이들 내용을 분류하여 우리한테 익숙한 서구식 교육과정의 범주인 성격, 목표, 내용, 방법, 평가로 구분하여 분석한 내용을 기술한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신교육강령의 소학교 영어과 목표는 영어에 대한 흥미를 유지하고 영어 자모와 일상생활 소재를 중심으로 한 기초적인 영어를 익혀서 중학교 영어의 기초를 쌓는데 있다. 이에 따라서 4학년 1학기 때는 문자 없이 구어를 익히고 2학기에는 문자를 주로 익히고 5학년에서는 일상생활의 친숙한 주제를 영어로 익힌다. 교수방법은 교실영어를 사용하여 학생들이 영어에 대한 두려움을 없애도록 격려하고 칭찬하면서 동시에 익혀야 될 언어적 요소는 반복 연습을 자주 시킨다. 평가는 과정중심의 평가를 통해서 학생들의 영어 학습 동기를 자극할 수 있도록 한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and introduce the primary English curriculum of North Korea reformulated according to the New Educational Program. Sources for analysis are the 4th and 5th primary school English syllabus based on the New Educational Program, explanations of the New Educational Program appeared in People’s Education and Kim, Jeong-Il’s selected writings. The analytical sources are classified into characteristics, objectives, contents, methods and evaluation. The findings are as follows: The primary English education aims to reach to the basis of middle school English by learning English alphabets and basic English expressions. 4th graders learn basic oral English such as pronunciation, stress and intonation for the first semester and learn English alphabets and their sounds for the second semester. 5th graders learn familiar topics in English and repeatedly practice the important components of English such as pronunciation, vocabulary and grammar. The method is to maintain students’ interests in English and encourage students to use classroom English. Also, structural practice is an important part of the method. Evaluation is primarily process-oriented and must motivate students to excel in English rather than fail in English.

      • KCI등재

        북한 초급중학교 영어교과서의 2013 개정 전ㆍ후 어휘 비교

        황서연(Hwang, Seo-Yeon),김정렬(Kim, Jeong-Ryeo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5

        본 연구는 2013 개정 이후 북한의 영어교육의 특징을 파악하고자 개정 북한 초급중학교 영어교과서의 어휘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2013 개정 북한 초급중학교 1~3학년 영어교과서 코퍼스를 구축하였다. 그리고 북한의 교육과정 개정 전ㆍ후의 영어교과서 변화 양상을 살펴보기 위하여 워드스미스툴즈 7.0을 사용하여 비교ㆍ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휘 구성 정보를 분석한 결과, 개정 이후 초급중학교 영어교과서 어휘의 전체 출현양은 줄었지만, 다양한 어휘가 제시되었다. 둘째, 고빈도 내용어 분석 결과, 2013 북한 초급중학교 영어교과서에서는 단원 구성 체재, 교과서 활동 구성, 영어교과서 지시문과 관련한 어휘들이 높은 빈도를 나타내었다. 개정 전에 비하여 다양한 활동이 제시 되고,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의 언어 기능적인 면이 고르게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핵심어 분석 결과, 영어교과서 활동 지시문과 관련된 어휘 뿐만 아니라 정보ㆍ통신, 문화 관련 어휘가 개정 전보다 많이 등장하였다. 이것으로 북한의 영어교육은 개정 전의 읽기와 문법 중심 교육에서 벗어나 학습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흥미를 높인 수업이 될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정보ㆍ통신과 문화, 타교과 관련 어휘가 증가함에 따라 과거에 비해 수학, 과학, 사회 과목과의 내용통합, 서구문화에 대하여 조금 더 개방적인 면을 찾아 볼 수 있었다. 또한 실리주의를 강조함에 따라, 기존보다 일상적인 대화를 위한 의사소통기능에 중점을 둔 어휘들을 살펴볼 수 있었다. This study analyzed the vocabulary of the revised English textbook for junior middle schools in North Korea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English education in North Korea after the revision of 2013. To that end, it has established the Corpus of North Korean English textbooks for junior middle schools which was revised in 2013. In order to look at the changes in English textbooks before and after the revision of the curriculum in North Korea, textbooks before and after 2013 were compared and analyzed using Word Smith Tools 7.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fter analyzing the vocabulary information, the total amount of English textbook vocabulary in junior middle school has decreased compared to the previous textbooks, but the range of vocabulary has been more diversified. Second, the high-frequency content vocabulary analysis showed that the new English textbooks showed high frequency in vocabulary fields such as unit, textbook activity, and textbook directions. Compared to previous textbooks, activities are more diverse in the new textbooks, and the four skills of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are evenly divided. Third, as a result of the keyword analysis, more words related to information, communication and culture as well as activity instructional words were more frequent compared to the pre 2013 textbooks. From this, implications can be drawn as follows: English education in North Korea has expanded to cover listening and speaking with new books compared to the previously reading and grammar focused. In the new textbooks, a group of vocabulary on information science, communication, culture and other subjects increased, and contents integration with other subjects such as mathematics, science and social studies subjects maintained in its high integration rate. It is also found that a slow and gradual opening to Western culture has been in progress.

      • KCI등재

        북한 제1중학교와 남북한 일반중학교 영어교과서 어휘 분석

        김정렬,황서연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6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의 과학과 기술 분야의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제1중학교의 영어 교과서의 어휘 구성 정보를 파악하여 북한 수재 교육에서의 영어 교육의 특징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북한정보센터에 소장되어 있는 북한 제1중학교 영어 교과서의 코퍼스를 구축하고, 워드스미스 코퍼스 분석 도구를 활용해서 코퍼스에 나타난 어휘 정보를 우리나라 중등학교, 북한 일반 중학교의 영어 교과서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북한 제1중학교 영어 교과서에서는 우리나라 영어 교과서 보다는 어휘 다양성이 작지만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그러나 북한 제1중학교가 북한 일반 중학교보다 약2배정도 높은 어휘 다양성을 보여 수재 교육의 차별화된 모습을 양적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다빈도 내용어를 통한 분석의 결과, 우리나라 영어 교과서와 북한 제1중학교에서 언어 기능을 나타내는 동사들이 모두 높은 빈도를 보여 언어 기능을 균형 있게 학습하도록 제시하고 있었다. 차별적인 어휘 분석 결과, 제1중학교 영어 교과서는 우리나라 영어 교과서에 비해 영국식 철자를 더 사용하며, 이념어휘 등의 사용이 많았다. 북한 일반중학교와의 비교에서 제1중학교는 과학, 지리 관련 어휘 학습을 강조하며, 퍼즐 활동과 협력활동을 강조하는 등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같은 특징들은 2007, 2008년 개정된 제1중학교 1학년과 2학년 영어 교과서가 언어기능통합 및 내용중심통합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으며, 현재 개정·집필된 북한 일반중학교의 영어 교과서의 본보기로 앞으로 북한의 전반적인 영어 교육의 방향을 제시해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certain characteristics of English education for the gifted by analyzing the composition of vocabulary found in the English textbooks of First Middle School in North Korea. To this end, a corpus was created with the First Middle School’s English textbooks provided by the Information Center on North Korea, after which their vocabulary components were compared against those found in English textbooks at ordinary middle schools in both South and North Korea using the Wordsmith, a corpus analysis tool. Findings of the assessment showed that while the vocabulary in the textbooks of First Middle School appeared to be less diverse, differences were minimal. When compared against other textbooks used at ordinary middle schools in the North, the vocabulary used at first middle school for the gifted was twice as diverse. This demonstrates the attention that is being placed on gifted education programs. Analysis of high frequency content words appearing in the English textbooks of North Korea’s First Middle School and South Korea’s ordinary middle schools indicate that verbs which facilitate linguistic functions were of high frequency, helping target students learn their functions in a balanced manner. Analysis of discriminative words indicated that North Korea’s gifted school adopted the British English writing style by spelling words unlike their South Korean counterparts, and were more likely to use words to describe ideological concepts. Compared with the ordinary middle schools in North Korea, a shift in priorities in English education was detected: First Middle School seemed to place an emphasis on acquiring vocabulary pertinent to science and geography, with an equal focus on puzzles and engagement in collaborative activities. These are some of the shared characteristics in revised English textbooks used for first and second graders when they incorporated linguistic functions and became more content-oriented. These textbooks seem to be establishing precedent for other ordinary middle schools in North Korea in regard to the direction they should take their English education programs.

      • KCI등재

        북한이탈주민 어머니의 유아기 자녀 영어교육 실태와 어려움

        조혜영,김미경,이문옥 한국보육지원학회 2013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9 No.5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북한이탈주민 어머니의 영어교육에 대한 실태와 어려움을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대상은 유아기 자녀를 둔 북한이탈주민 201명이며, 영어교육의 실태에 대한 설문지와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대부분의북한이탈주민 어머니는 자녀에게 영어교육을 실시하고 있었으며, 만 3세 이전에 영어교육을시작하는 경우가 많았다. 영어교육을 시키는 가장 주된 이유는 같은 또래들이 영어교육을받고 있기 때문인 경우가 많았다. 자녀의 영어교육을 위한 도움제공은 10분 미만이 가장 많았고, 유아 혼자 복습을 하게하거나, 숙제를 강조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북한이탈주민 어머니들이 자녀에게 영어교육을 시킬 때의 어려움은 비용부담, 정보부족, 영어교육을 시킬 시간부족, 불만족스러운 영어교육 순으로 나타났다. 자녀의 한 달 영어교육비용은 3만원 미만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영어교육을 위한 지출은 가계에 부담이 된다는 응답이 많았다.

      • KCI등재

        남북한 공통 영어과 교육과정 개발 연구

        정채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18 외국어교육연구 Vol.32 No.4

        In this study,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latest English national curriculums in South and North Korea, then we set up a theoretical model for the development of a Common English National Curriculum for Koreans (CENCK). The goal of developing a common English national curriculum between the two Koreas is to encourage South and North Korean students in this age of globalization to learn more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people in order to communicate these to the world. CENCK aims to foster English communication skills in the global knowledge community. CENCK differs in its teaching content in that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are not necessarily treated equally but are taught at different rates dependent on student cognitive development. CENCK also stresses the knowledge of World Englishes; hence it offers various assessment methods in the curriculum. We hope CENCK will be useful to key stakeholders who may influence educational policies and researchers co-leading the next generation of English education studies in South and North Korea. 이 연구는 남한과 북한의 최신 영어과 교육과정을 조사, 연구, 분석하여, 남한 영어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내용 영역과 교과 역량의 두 축을 바탕으로 통합 교과 역량 부분을 추가하여 남북한 공통 영어과 교육과정개발을 위한 이론적 모델을 설정하였다. 남북한 공통 영어과 교육과정의성격은 국제화 시대와 정보화 시대를 살아가는 데 필요한 국제 공용어인영어를 적극적으로 학습하여 남북한 학생들이 세계인과 의사소통하며 글로벌 지식 공동체에서 맡은 일을 수행하는 인재 양성으로 큰 방향을 제안하였다. 남북한 공통 영어과 교육과정의 목표는 학교급에 따른 점진적인 학습 목표 설정에 유의하며 의무교육 기간 내에 도달할 수 있는 의사소통 능력에 대한 학교급별 지침을 제안하였다. 물론 이때 남북한 학생들의 전반적인 영어 수준과 지역적 학습환경을 고려하여, 장기적으로 한반도 통일 시대를 함께 살아가는 남북한 학생들이 한민족 공동체뿐 아니라한반도 밖 글로벌 지식 사회를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글로벌 공동체에 참여할 수 있도록 평생교육 기반 영어 의사소통 능력을 키워주는 것을 영어교육 목표의 큰 방향을 제시하였다. 남북한 공통 영어과 교육과정 내용체계의 방향은 기본적으로 음성언어(듣기, 말하기)를 우선 가르치되, 문자언어(읽기, 쓰기)를 나중에 가르칠 것을 강제하지는 않는다. 또한,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를 구분하여 가르치고 학습하기보다는 통합형 영어교육 학습을 제안한다. 학년군별 내용 체계는 내용 요소에 포함되는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하였고, 남북한 학생 중 어느 쪽으로 지나치게 치우치지않고 남북한 학생들의 영어 습득 정도가 점진적으로 향상될 수 있도록고려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수학습방법의 평가에 있어서 가급적 영어 사용권에서 사용하는 표준어 중심으로 학습하되, 영어 상용 나라만이 아니라비상용 나라에서 사용되는 세계 영어도 폭넓게 학습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였고, 다양한 문항을 중심으로 학습자 스스로 학습하고 평가해보는방식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북한 이탈 주민 대학생의 북한말 및 사회언어적 배경을 활용한 영어 교수법 활용 연구

        정성희(Cheong Sung Hui),조은식(Cho Eun Si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7

        본 연구는 북한 이탈 주민 학습자(이하 탈북 학습자)들의 모국어인 북한어 배경을 활용하여 영어를 가르친 후, 학습자 영어능력과 선호도 향상에 기여하였는지 고찰한 연구이다. 한국어적 표현과 의미가 아닌 북한어 식 어휘와 표현을 활용하여 뜻을 이해시킨 후 영어를 가르치는 학습자 모국어와 사회언어적 특성을 고려한 교수법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3인의 교수자가 주 1회 - 75분, 15주간 교수하였다. 중학교 2학년 수준의 어휘와 문법을 활용한 사전ㆍ사후 시험을 통해 학습자 영어능력 향상을 살펴보았으며, 영어 선호도 변화는 참여관찰기록 및 사전ㆍ사후 설문과 인터뷰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북한 이탈 주민 학습자의 모국어 및 사회언어적 지식을 활용한 영어 프로그램은 탈북자 영어 학습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영어능력 부족으로 한국 사회 정착에 곤란을 겪고 있는 탈북 학습자들이 사회언어적ㆍ문화적 스키마 활용 후 어휘, 문장 습득, 말하기, 쓰기 능력의 향상이 일어났다. 끝으로 본 프로그램은 학습자가 가졌던 영어에 대한 두려움을 긍정적 호감으로 바꾸는 데 기여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탈북 학습자들의 한국 교육과정 적응에 도움을 주어 영어 학습의 긍정적 언어 자아실현을 돕고자 하였다. 소수에 대한 질적 연구이므로 본 교수법의 실효성을 입증할 수 있는 후속 연구의 필요성 또한 제기된다. This study developed an English teaching program and methodologies designed to improve North-Korean defectors (hereafter language learners) preferences and performances for English, using their mother-language and socio-linguistic backgrounds. A total of seven language learner participants enrolled at one of the universities in Seoul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and reported their opinions through interviews. The three researcher-participants observed learners performances in accordance with learners socio-linguistic language backgrounds and analyzed their achievements in the pre-post tests. The results portrayed that some learners improved their preferences and performances for English while the others did not. Their willingness and frequency of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were most important factors to cause the diversified preferences and performances. Further studies regarding how this type of program would motivate North-Korean defectors to learn English more actively are suggested. Pedagogical implications of enhancing North-Korean Defectors abilities of speaking and writing English were additionally presented.

      • KCI등재

        북한 소학교 4학년 영어교과서의 ‘수정 완성된 전개된 집필요강’ 분석

        이소영(Lee, So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에서 영어를 처음으로 배우는 소학교 4학년의 영어교육 양상을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소학교 4학년 영어교과서의 초안인 ‘수정 완성된 전개된 집필요강’을 분석하였다. 통일부의 북한자료센터에 입수된 DVD 자료 내의 ‘수정 완성된 전개된 집필요강’을 2018년 5~9월에 전반적 구성 체제, 단원 구성 체제, 단원 학습 내용 측면에서 분석, 정리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학교4학년 영어교과서는 10개의 정규 단원, 5개의 복습 영역, 총복습 영역, 그리고 알파 벳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단원과 영역별로 ‘수업’ 혹은 ‘련습’으로 지정되어 있다. 둘째, 정규 단원은 4차시 수업을 위한 8개의 하위 요소를 통해 점진적으로 학습자 참여를 늘려가고 있다. 셋째, 정규 단원은 학습자 및 학습자의 주변과 관련된 소 재를 바탕으로 한 음성언어위주의 교육으로 이루어져 있다. 반면, 알파벳 영역에서는 음성언어뿐만 아니라 문자언어도 다루고 있으며 어휘 학습에 초점을 두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우리나라 초등학교 3학년 영어교과서의 체제 및 내용과 비교해 보면 남북한 간의 격차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North Korea’s elementary English education by analyzing the Revised and Completed Outline for 4th Grade English Textbook. The document is in a DVD material acquired by the Information Center on North Korea of the Ministry of Unification. It was analyzed in terms of overall organization, unit organization, and its contents from May to September, 2018.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elementary 4th grade English textbook is composed of 10 regular units, 5 revisions, 1 general revision, and 1 English alphabet section. They are designated as either class or practice. Second, each regular unit is made up of 8 components, in which learners’ participation is gradually increased. Third, each regular unit covers subject matters related to learners themselves or their surroundings, focusing on oral language mainly. By contrast, the alphabet section deals with both oral and written language, particularly focusing on vocabulary learning. These results show that North and South Korea’s English textbooks are similar in term of textbook organization and subject matters.

      • KCI등재

        북한 공장대학교 영어교과서 읽기지문에 대한 코퍼스 기반 분석

        윤미정,김정렬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2023 The SNU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Vol.3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 공장대학교 영어교과서 읽기 지문을 분석하여 북한에서 이루어지는 “일하면서 배우는” 성인 고등수준의 영어교육이 가진 특징을 살펴보는 것이다. 북한 공장대학교 영어교과서 읽기지문을 코퍼스로 구축하여 Wordsmith, AntConc 그리고 Readable을 이용하여 기초 통계 분석과 어휘 빈도 분석 그리고 이독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주로 과학 및 기술 관련 소재를 다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영어교과와 기술교육을 결합시켜 교육과 산업 현장을 연계하고자 하는 공장대학교의 교육 목표와 부합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어휘 다양성과 이독성을 분석한 결과, 북한 고등학교 영어교과서보다 난이도가 급상승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우리나라 수능 영어 읽기지문과 비교하였을 때 이독성은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이를 바탕으로 남북한 영어 학습 교류의 기초를 마련해 볼 수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reading passages found in an English textbook used at Factory College in North Korea and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English education for adults, particularly “learning while working system” implemented in North Korea. To investigate the linguistic properties; lexical frequency(high frequency vocabulary, keywords, and 4gram) and readability(measured by FKGL and FRE), this corpus-based analysis was conducted with Wordsmith, AntConc and Readable. The findings demonstrate frequent appearance of science and technology terms, and their frequent description. This confirms that North Korea attempts to connect education with industrial sites by combining English and technical education.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vocabulary diversity and readability,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difficulty increased rapidly compared to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The vocabulary appeared less varied than English reading passages of Korean SAT and readability showed a similar lev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