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北魏後期친위부대의 정치개입과 그 배경

        최진열(崔珍烈)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08 역사문화연구 Vol.30 No.-

        본고에서는 北魏後期 皇帝를 호위하는 친위부대인 領軍府의 구조와 領軍府 將領들의 정치개입 방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北魏後期 領軍府는 左衛府와 右衛府로 구성되었으며, “領軍將軍-左衛將軍·右衛將軍-武衛將軍-羽林.虎賁.‘直衛’”의 지휘계통을 지녔다. 그리고 宣武帝 永平년간에는 洛陽주위의 外軍인 四中府를 관할하면서 조직과 권력이 비대화하였다. 領軍府 高位將領(領軍將軍·左衛將軍·右衛將軍·武衛將軍)의 인적구성을 분석하면, 北魏宗室인 元氏와 長孫氏·奚氏 등 帝室十姓, 于氏·宇文氏·穆氏 등 鮮卑系와 乞伏氏·尒朱氏·賀拔氏 등 非鮮卑系를 포함한 ‘胡族’은 약 75%의 領軍府 高位將領을 배출하였다. 이는 北魏後期에도 胡族들이 領軍府를 장악하고 侍中 등을 겸임하여 여전히 漢族보다 정치적으로 우위에 있었음을 뜻한다. 皇帝를 至近에서 호위하며 번갈아 宿衛하는 ‘直衛(直閤將軍·直寢·直後·直齋)’는 胡族이 54%, 漢人은 41%를 차지하여 외형상 대등해 보인다. 그리고 元氏 등 소수 가문을 제외하면 대부분 1人이나 2人의 ‘直衛’역임자를 배출하였다. 이는 ‘直衛’임용자가 특정 家系에 편중되지 않았음을 의미하며, 尒朱榮 가문의 예에서 알 수 있듯이 각지의 部落首領이나 漢人胡族의 子弟를 인질로 삼는 정책과 관련있음을 뜻한다. 이는 몽골의 ‘케식’과 비슷함을 알 수 있다. 즉 北魏는 이들을 통해 각 部落首領이나 지방의 유력한 漢人豪族을 견제하며 정권을 안정시킬 수 있었을 것이다. 전체적으로 보면, 北魏皇室 이하 ‘凡胡族勢力’은 領軍府 高位將領과 ‘直衛’, 羽林·虎賁 등 皇帝의 측근으로 활약하며 정치적 세력을 여전히 유지하였다. 그리고 이들의 정치적 세력은 領軍府 將領이 侍中·散騎常侍 등 門下省과 集書省의 侍從官의 겸임을 통해 유지 혹은 확대되었다. 이는 領軍將軍과 侍中을 겸해 實權者로 부상했던 于忠과 元叉의 예에서도 확인된다. 그런데 北魏後期 領軍府將領의 侍從官 혹은 侍奉官(嘗食典御 등) 兼任뿐만 아니라 侍從官과 侍奉官의 겸임 현상도 빈발하였다. 필자는 領軍府 將領과 侍從官, 侍奉官의 겸임 현상을 北魏前期 近侍官 운영방식의 연장선에서 파악하였다. 즉 侍衛와 侍從·侍奉이 결합된 원시적인 鮮卑系 近侍官이 孝文帝의 官制改革으로 중국식 官制로 대체되고 그 기능이 領軍府와 門下省(侍中 등) 및 산하의 6局(侍奉機構), 集書省(散騎常侍 등)으로 분화되었지만, 실제로는 서로 관직을 겸하면서 侍衛武官이 政策·인사·재판에 관여하는 등 前期의 近侍官처럼 복합적인 기능을 수행한 것이다. 따라서 北魏後期 領軍府와 門下省·集書省은 외형상 魏晉南朝의 官制를 수용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北魏前期 近侍官 운영 방식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官制 특히 領軍府의 운영방식에 한정하여 말하면, 孝文帝의 官制改革이 魏晉南朝의 官制를 모방한 것이지만, 領軍府의 구조나 실제 운영방식을 보면 北魏前期 近侍官 조직의 관성과 행태가 여전히 발견된다. 즉 겉모습은 중국제도를 받아들여 ‘漢化’된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北魏前期 유목민들의 친위부대가 여전히 유지되었다. 作为孝文帝‘漢化改革’的一環,废止了胡族近侍官制,采用了領軍將軍等南朝的親衛部隊組織。但是考察北魏後期的政治可以发现領軍將軍的政治比重过于肥大。本文的写作目的就是找出其原因。北魏後期的領軍府分为左衛府和右衛府,指揮系統为“領軍將軍-左衛將軍、右衛將軍-武衛將軍-羽林、虎賁、‘直衛’(直閤將軍·直寢·直後·直齋)”。随着宣武帝永平年間管辖洛陽周圍的外軍四中府开始組織和權力肥大化。本文是把領軍府的人员组成分为領軍府高位將領和‘直衛’来考察的。考察領軍將軍、左衛將軍、右衛將軍、武衛將軍等所谓的領軍府高位將領的人员组成就可发现,北魏宗室元氏和長孫氏、奚氏等帝室十姓、各種‘胡族’占了75%左右。这表明北魏通过任命可信任的宗室、姻戚、親信的胡族为領軍府的高位將領来保持政权的稳定。而且他们兼任了侍中等可参与政治的官職,因此可以说,北魏後期北魏皇室或胡族的势力仍然强大。在至近護衛皇帝、轮番宿衛的‘直衛’中,北魏皇室元氏占全體87人中的15人。但是比‘胡族’占54%的領軍府高位將領的出身分布减少了20%左右,漢人占了41%,在外形上看起来差不多。而且除元氏等小數家族,大部分家族都有1人或2人的‘直衛’歷任者。这表明‘直衛’任用者不偏重于特定的家族,从尒朱榮家族的例子可以看出,这和把各地的部落首領或漢人胡族的子弟为人質的政策有关。这和蒙古的‘怯薛’很相似。卽,北魏通过他们牵制了各部落首領或地方的有力漢人豪族、稳定了政权。可以说北魏皇室的‘凡胡族勢力’仍然是皇帝的亲信,作为領軍府高位將領、‘直衛’、羽林、虎賁等,维持着政治勢力。 而且他们的政治勢力是通过領軍府將領兼任侍中、散騎常侍等門下省和集書省的侍從官来维持或扩大的。这在兼任領軍將軍和侍中而成为實權者的于忠和元叉的例子中可以确认。但是北魏後期不仅是領軍府將領兼任侍從官或侍奉官(嘗食典御等),而且频繁地出现侍從官兼任侍奉官的现象。筆者在北魏前期近侍官運營方式的延長線上考察了領軍府將領和侍從官、侍奉官的兼任現象。卽,侍衛和侍從、侍奉結合的原始的鮮卑系近侍官,因孝文帝的官制改革变成中國式官制,其機能分成領軍府和門下省(侍中等),以及所属的6局(侍奉機構)、集書省(散騎常侍等),但是实际上互相兼任官職,侍衛武官参与政策、人事、裁判等,象前期的近侍官一样履行了複合的的機能。因此可以说,虽然北魏後期領軍府和門下省、集書省在外形上看起来是收容魏晉南朝官制的新的组织,但是实际上仍然维持着北魏前期近侍官的運營方式。这在担任皇帝侍衛的領軍府经常投入到南朝的战争或镇压叛亂軍的例子中也可以看到。

      • KCI등재

        운강석굴을 통해 본 초기 북위석굴조영의 사회적 배경

        문무왕(Moon, Mu-Wang)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5 佛敎學報 Vol.0 No.70

        북위(北魏, 386∼534)는 이민족 출신의 왕조로 출발했지만 화북(華北)의 오호십육국 시대를 마감하고 화북의 지배자로 자리 잡았다. 선비족(鮮卑族)계통인 탁발부(拓跋部)에서 시작된 왕조인 북위는 첫 황제인 태조 도무제 탁발규(拓跋珪)가 386년 나라를 세웠다. 3대인 세조 태무제 때 화북지방을 통일하였다. 이 시기에 이르러 북위는 선비족 특유의 지배질서와 새로이 받아들인 한족 지배질서를 융합하여 새로운 지배질서를 구축하려고 시도하였다. 이러한 북위 흐름을 사상으로 엮어낸 것이 불교라고 할 수 있다. 북위불교의 특징을 흔히 ‘국가불교(國家佛敎)’라고 한다. 이것은 강력한 황제의 통제 아래에서 국가 통제하에 불교가 국가 권력과 밀착됐다는 것이다. 북위불교의 국가불교적 성격과 석굴조성은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으며 이러한 연관관계를 살피기 위해서는 북위불교의 전개과정과 석굴조영과정을 통해서 시각적으로 표출되었다고 할 수 있다. 북위가 화북을 지배하던 시기 동안 수많은 석굴과 불교사원이 건립되었으며 이러한 활발한 불교문화의 업적 이면에는 북위시대의 앞서 언급한 독특한 시대상황도 중요한 작용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급격한 불교의 팽창 이면을 학자들은 북위 황실의 정통성 문제를 가지고 언급하기도 하지만, 단순히 정통성의 문제를 불교를 통해서 해결하려고 시도한 것이 아니라 보다 적극적인 불교수용을 통한 문화축적과 한족문화와의 결합, 그리고 새로운 북위문화를 창출해가는 과정으로도 볼 수 있을 것이다. Northern Wei北魏, which ruled northern China for 148 years during the Southern and Northern Dynasty period, is well-known in Chinese history for its outstanding characteristics. Just like the other countries that formed the Sixteen Kingdoms by the Five Clans of Barbarians五胡十六國, it was begun from a small civilized nomadic tribe. However, it reunited the divided northern countries and became the strongest Kingdom in North, which the ability to defy the Southern Dynasty南朝. The Buddhism of Northern Wei was powerful “National Buddhism國家佛敎”, which was tightly related to the national ruling system under Imperial auspices. However, Buddhism as national religion in Northern Wei was quite different from that in the Southern Dynasty. Northern Wei Buddhism was organized, distributing estates to monks, and excavations of caves in Yungang雲岡 have shown that the religion attempted to forge a solid relationship with the Emperors. This article suggests that the colossi of Buddhist images inside the caves in Pingcheng represent the first five Northern Wei Emperors. Yungang caves were built for the same purpose. Northern Wei’s governors used religion to build up their ruling system. They also tried to spread out and settle this religion over the whole country. This mutual help led to Northern Wei’s epoch-making development, not only in terms of Buddhism but also in culture. It is important to study the changing patterns of the grottoes and Buddhism’s spread into Northern Wei society in order to understand its cultural history.

      • KCI등재

        北魏前期 近侍官의 性格

        崔珍烈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07 역사문화연구 Vol.28 No.-

        北魏前期 近侍官의 性格 - 「文成帝南巡碑」의 분석을 중심으로 - 崔 珍 烈 北魏前期의 近侍官은 皇帝의 경호와 일상생활, 행정을 동시에 관장하여 職務가 분화되지 않은 측근관원으로 정의할 수 있다. 近侍官은 유목국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遊牧君主의 ‘親兵集團’, 혹은 친위부대에서 유래한 것인데, 北魏時代에는 皇帝들이 자주 巡幸했기 때문에 여전히 皇帝의 측근이 되어 권력을 행사하였다. 北魏皇帝들은 部族의 首領이나 漢人豪族의 子弟들을 近侍官으로 임명하였는데, 近侍官은 배반하지 않겠다는 담보로 제공된 인질이면서 정치적으로 출세할 수 있는 특권이기도 했다. 北魏時代 近侍官은 皇帝의 ① 최측근과 ② 次측근, ③ 기타 측근 및 일반 친위부대의 重層으로 구성되었다. 그리고 官爵의 高下보다 皇帝의 신임 여부가 최측근이 되었던 자격이었다. 近侍官의 인적구성을 種族별로 살펴보면 각종 胡人들이 다수였다. 이는 近侍官이 무엇보다 무예가 뛰어나야 했던 점도 있지만, 北魏前期에 여전히 皇帝들과 支配層들이 胡語를 사용했기 때문이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따라서 孝文帝의 官制改革과 胡語금지조치가 시행되기 전에 漢人官僚들은 북위정치계에서 주변적인 존재였다. 北魏前期近侍官的性格 - 以分析「文成帝南巡碑」爲中心 - 崔 珍 烈 近侍官一方面是北魏皇帝的親衛部隊, 還一方面是侍從皇帝的官僚集團. ‘序紀時代’就已经存在的‘近侍官’象蒙古的怯薛一样处理皇帝的宿衛和日常琐事,軍國政事等多种事物。分析「文成帝南巡碑」可以确认,大多数近侍官是胡族,特别是‘內侍之官’51人成了巡幸中文成帝的亲信,侍衛、侍從、侍奉皇帝。近侍官象‘拓跋部族聯合體’一样适合于親征和移動頻繁的狀況,所以才维持到了文成帝時期,可以说这是遊牧國家和異民族王朝中普遍存在的現象。 北魏前期的近侍官是重層構成的。按照《文成帝南巡碑》,近侍官構成了三个層位。最重要的是‘內侍之官’或者‘內左右’, 皇帝的最親密的臣下們。第二是外左右, 也是皇帝側近的官僚集團。第三是其他側近官僚還是一般性的親衛軍。從在《文成帝南巡碑》當‘內侍之官’的官僚的資格看, 選拔近侍官的基準不是官爵上的高下, 是皇帝的信任程度。 因此宿衛皇帝、在皇帝的左右輔佐政治的近侍官成了北魏政治和軍事的核心集團,而漢人官僚成了次要的存在。北魏前期的胡族支配層仍然說胡語,所以不太熟悉漢語的漢人官僚不是北魏前期官界的主流的,而且說胡語的各種胡族和一部分漢人是政治的主流了。

      • KCI등재

        北魏 僧官制 성립과 변천에 관한 연구 -法果와 曇曜를 중심으로-

        원영만 한국불교학회 2009 韓國佛敎學 Vol.55 No.-

        The Buddhist priest bureaucracy was one of the particular factors which were brought out with Buddhism settled in Beiwei(the Northern Wei Dynasty). The system had continued through Beiwei from the First Emperor. The Buddhist priest bureaucracy of Beiwei had been continuously systemized and that was why it became one of the specific characters of Beiwei’s Buddhism. This religious ruling system with the Head Priest(Sha men tong) had reached its control to small villages like Zhou, Zhen, Jun. Buddhism of the Northern Wei Dynasty settled on the Emperor’s power well showed the national religion’s center controling aspect. The Buddhist priest bureaucracy had fueled the development of Buddhism under the administrative patronage. However, it also means the religion was subordinated to the government. Fa Guo, the Head Priest(Dao ren tong) of Beiwei showed the process of the start and development of the Buddhist priest bureaucracy. His contributions are good key to follow how Beiwei’s Buddhism nationalized.After the suppression of Buddhism, Dao ren tong was reorganized to Sha men tong. Tanyao, the critical priest of the national Buddhism, settled Yangzhou Buddhism in Beiwei. All the while, Beiwei’s Buddhism accomplished its unique culture. The Buddhist priest bureaucracy of Beiwei was developed by the mutual necessity between Buddhism and the government. It later became the Chinese Buddhism’s distinctiveness. 북위불교에서 나타난 북위불교의 중요한 요소는 僧官制의 성립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은 태조 이래 북위불교에 있어서 지속된 일이다. 승관제 가 북위불교에서 처음 나타난 것은 아니었지만, 북위의 승관제는 후대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체계화 되어 나타났기에 북위불교의 특징으로 볼 수 있다. 북위는 沙門統을 정점으로 하여 州, 鎭, 郡에 이르는 지방지역까지 僧官 制度 하에서 통제를 실시하려고 했다. 이러한 황제의 권위를 기반으로 중 앙통제적인 국가불교의 모습을 극명하게 드러낸 것이 북위불교의 중요한 특징이다. 승관제는 강력한 국가의 비호 아래에서 불교를 발전시킬 수 있는 동력 을 제공하지만 반대로 불교가 국가에 예속화 될 수밖에 없는 치명적인 요 인을 갖추고 있다. 이러한 요인을 중심으로 북위불교가 전개되는 과정을 살피고자 한다. 북위에 있어서 승관제의 성립과 발전 과정은 道人統 法果를 통해 살펴 볼 수 있다. 그의 행적 속에서 살펴지는 승관제는 북위불교의 국가불교화 경향을 살필 수 있는 중요한 단서다.폐불 이후 도인통은 罽賓출신의 師賢이었다. 사현은 불교교단을 새롭게 정비하였으며 사현 이후 曇曜는 승관제 정착의 핵심적 인물로서 북위에 불교를 성공적으로 안착시켰으며, 그의 불교발전의 과정 속에서 북위불교 문화가 찬란하게 개화되어 진다. 이러한 북위시대 승관제의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북위시대 승관제의 시작자인 法果의 경우에서도 볼 수 있듯이 승 관은 국가통제를 위한 수단으로 시작되었다. 이러한 과정 속에 승관의 경 우는 황실의 필요에 의한 임용이지 불교계의 의지와는 관련성이 보이지 않는다. 둘째 승관제의 발전과정 속에서 불교교단은 담요의 경우에서 볼 수 있 듯이 국가통제하의 현실을 불교계의 발전을 위한 도구로 이용하고 있다. 셋째 승관제는 조직적으로 발전을 해 중앙의 大統一人, 統一人, 都維那 三人의 총 5인의 승관과 州, 鎮, 郡維那로 이어지는 유기적으로 구성을 갖 추며 완성되어진 것으로 보인다. 북위의 승관제는 북위황실과 불교계의 상호 필요성에 의해 발전 되었으 며 이러한 승관제의 양상은 후대 중국불교의 하나의 중요한 특징이 되었 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北魏의 律令 수용과 그 실상

        최진열 중국고중세사학회 2015 중국고중세사연구 Vol.37 No.-

        ≪魏書≫卷111≪刑罰志≫記錄了在‘序紀時代’拓跋部的法律在: “昭成建國二年: 當死者, 聽其家獻金馬以贖; 犯大逆者, 親族男女無少長皆斬; 男女不以禮交皆死; 民相殺者, 聽與死家馬牛四十九頭, 及送葬器物以平之; 無繫訊連逮之坐; 盜官物, 一備五, 私則備十. 法令明白, 百姓晏然.” 什翼犍(昭成帝)統治的拓跋部法律跟別的遊牧民或者遊牧國家一樣, 是遊牧民的慣習法保留了復讎法和X倍倍償. 這是跟中國的律令, 特別是中國的刑罰不一樣, 比較拓跋部建國二年的刑罰跟前漢呂太后二年的張家山漢簡≪二年律令≫和唐代, 對中國人適用的肉刑, 勞役刑, 笞․杖․徒․流․死等多种多样刑罰跟對鮮卑等遊牧民適用的對殺人罪的物的賠償代贖, 對偷盗或者强盜的X倍倍償不一樣. 所以, 北魏建國以後北魏皇帝們把中國的律令不可能實施鮮卑,烏桓,匈奴,丁零等多种多样的遊牧民或者騎馬民. 在北魏前期可汗(相當于中國的皇帝),可敦(相當于中國的皇后),直勤(可汗氏族男性稱號),胡族的官制,胡族的軍鎭和護軍,俸祿制的未實施是制度方面不實施律令的證據. 在孝文帝時期馮太后和孝文帝把胡族的政治制度改變了中國的律令和法律, 可是反映遊牧,牧畜,日常生活的遊牧民特有慣習法不可能代替反映農耕生活的中國刑律, 所以拓跋部的不文慣習法或者中國的成文法律,卽律令不可能田賦胡人(鮮卑,烏桓,匈奴,丁零等多种多样的遊牧民或者騎馬民)和漢人(中國人). 北魏後期胡人官吏們按照中國刑律被處罰, 所以孝文帝以後對胡人支配層適用中國式律令, 可是住在六鎭和平城一帶的胡人們保持了胡俗, 可能是循遊牧民固有的慣習法. 除了北魏以外, 遼,金,元等其他異民族王朝都使用二元的法律體系, 比如說≪遼史≫卷61≪刑法志≫上, “乃詔大臣定治契丹及諸夷之法, 漢人則斷以律令, 仍置鐘院以達民寃.” 因爲北魏的狀況跟其他異民族王朝一樣, 支配了遊牧民和農耕民, 所以北魏也可能運用二元的法律體系, 可是≪魏書≫沒有記錄關于這個狀況. 除了拓跋鮮卑人以外, 特別是漢人(中國人),西域人,阿拉伯人,非洲人,土耳其系遊牧民,高句麗人也住在北魏後期都城洛陽. 北魏後期洛陽的人口, 在≪洛陽伽藍記≫卷5≪城北≫ “京師東西二十里, 南北十五里, 戶十萬九千餘.” 同書卷3≪城南≫宣陽門條說: “東夷來附者處扶桑館, 賜宅慕化里. 西夷來附者處崦嵫館, 賜宅慕義里. 自葱嶺已西, 至於大秦, 百國千城, 莫不歡附, 商胡販客, 日奔塞下, 所謂盡天地之區已. 樂中國土風, 因而宅者, 不可勝數. 是以附化之民, 萬有餘家.” “萬有餘家”是住在洛陽的西域人, 占了洛陽戶口的9%. 包括其他非漢族或者外國人, 住在洛陽的非漢族占了11.9. 至少北魏政府在‘國際城市’洛陽不可能適用對經驗自己的法律體系的漢人和非漢族一元的中國式律令體系. ≪唐律疏議≫卷6≪名例≫化外人相犯條, “諸化外人, 同類自相犯者, 各依本俗法, 異類相犯者, 以法律論.” 這可能是至少適用北魏後期‘國際都市’洛陽的.

      • KCI등재

        472~475년 백제 · 고구려의 對북위 외교전과 한성 함락

        위가야(Wee, Kaya) 고구려발해학회 2020 고구려발해연구 Vol.66 No.-

        이 글은 475년 고구려가 백제의 수도 한성을 함락시킨 사건의 배경을 정리한 것이다. 이를 위해 472년에서 475년 사이에 백제와 고구려가 북위를 상대로 진행한 외교전의 양상을 검토하였다. 472년 8월 백제는 북위를 상대로 청병 외교를 진행하였다. 이 외교전에 대해서 기존의 견해에서는 대체로 對고구려전에서 수세에 몰린 백제가 북위에 구원을 요청한 것으로 파악해 왔지만, 백제와 북위 사이에서 오고 간 표문과 조성의 내용을 분석하면 실제로 이 시기 백제가 북위를 공격하려는 계획의 일환으로 청병 외교를 진행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백제는 북위에 보내는 표문에서 고구려가 북위를 적대하고 있음을 부각시키는 동시에 지금이 고구려를 공격할 적기임을 구체적인 사례를 들어 알렸다. 또한 故事를 활용해 북위를 자극하면서 백제 자신은 고구려와는 달리 적극적으로 신종할 의사를 전달 했는데, 이는 북위의 고구려 공격을 유도하기 위한 백제의 외교적 전술로 파악된다. 기존 연구에서는 북위가 백제의 요청을 거절한 것으로만 파악했다. 하지만 북위가 백제에 보낸 조서 내용을 분석하면 백제의 청병 이후 북위와 고구려 사이에 모종의 갈등이 발생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북위는 고구려에 사신을 파견하여 백제가 표문을 통해 고발한 사신 파견 방해 사건에 대한 진상 조사를 시도했다. 북위는 고구려가 이에 대해 적극적으로 해명하자 그 해명을 받아들여 백제의 청병 요청을 거절하였지만, 조서를 통해 조건부로 고구려 공격에 나설 수 있음을 언명하기도 하였다. 이때 북위는 백제로 귀환하는 사신을 고구려를 경유하게 하였다. 고구려의 북위에 대한 태도를 확인하기 위한 조치였다. 고구려는 사신의 통과를 가로막았고 북위와 백제의 사신은 다시 북위로 귀환하였다. 이로써 북위가 백제에 내린 조서에서 언명한 고구려 공격에 나설 수 있는 조건이 충족된 셈이었지만, 이후 북위의 사신이 백제에 파견되지 못하여 양국의 연계를 통한 합공이 실행에 옮겨지지는 못했다. 백제는 북위의 반응을 확인하지 못한 상황에서 북위를 설득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 물길과의 연계를 시도하였고, 이는 물길의 사신을 통해 북위에 알려질 수 있었다. 그러나 물길의 사신이 도착한 것은 고구려가 한성 공격에 나선 한 달 뒤의 일이었기 때문에 백제의 시도는 결과적으로 실패하였다. 고구려는 백제의 對북위 교섭 시도를 확인한 후 우선 양자의 연계를 저지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북위 사신의 백제 파견과 백제 사신의 귀환을 가로막은 것은 이러한 노력의 일환이었다. 이와 동시에 북위와의 관계를 원활히 하기 위해 노력하였는데, 그것은 과거 핑계를 대며 거절했던 북위와의 통혼 재개 제안이었다. 다만 고구려는 통혼 제안을 통해 북위에 적대할 의사가 없음을 전달하려 했을 뿐이고 실제로 통혼을 성사시킬 의도는 없었다. 그러나 북위는 실제로 통혼을 진행하려 했고, 이를 위한 사신의 파견 과정에서 고구려와 북위 사이에 다시 갈등이 발생하였다. 이에 고구려는 북위와 백제의 연계로 인한 위협을 제거하기 위한 근본적인 해결책을 마련하려 했고, 그것은 수도 강습을 통한 백제의 완전한 제압이었다. 475년에 고구려가 백제의 수도 한성을 기습하여 함락시킨 것은 이러한 국제정세를 배경으로 해야 실상에 부합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This article aims at analyzing the aspects of diplomatic war of Baekje and Goguryeo from 472 to 475 against the Northern Wei, and the background of the fall of Baekje’s capital Hanseong(漢城) by Goguryeo. A summary of analysis is as follows. In 472, Baekje conducted diplomacy requesting reinforcements to the Northern Wei. This article confirmed that this diplomacy was carried out as part of a plan to attack Goguryeo unlike existing understanding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diplomatic documents and the activities of Baekje at the time. The Northern Wei first refused the request, but notified Baekje that they could conditionally go on a conquest of Goguryeo. However, the contents of the report of the Northern Wei were not delivered to Baekje the envoy’s return to Baekje was blocked by Goguryeo. Baekje attempted to connect with Mulgil(勿吉) as another means to persuade the Northern Wei. The envoy of Mulgil arrived in the Northern Wei and announced the connection with Baekje, but this too failed. The reason was that Goguryeo raided Hanseong and captured it at that point. After confirming that Baekje was negotiating with the Northern Wei, Goguryeo tried to block the connection between the two. Goguryeo also proposed resuming a royal marriage to improve relations with the Northern Wei. This proposal was only to convey that Goguryeo had no intention of being hostile to the Northern Wei, and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that there was a willingness to practice the royalmarriage. Northern Wei, on the other hand, tried to proceed it in practice. Goguryeo refused it by making excuses, and prepareda way to resolve the situation more fundamentally. The way was to completely suppress Baekje. This was the reason why Goguryeo raided Hanseong, the capital of Baekje in 475.

      • KCI등재

        5~6세기 2개의 요동(遼東) -북위(北魏)의 천하관(天下觀)과 역사왜곡이 만들어낸 고구려(高句麗)의 요동과 북위의 요동

        최진열 동북아역사재단 2018 東北亞歷史論叢 Vol.- No.62

        Although Chinese history has no record on the periods of Koguryo’s occupation of Ryodong or occupation of Ryodong at all, Ryodong had been Koguryo’s territory from the fourth or fifth century until its collapse, as can be seen in a number of Chinese historical publications, including the Historical Records of the Three Kingdoms(三國史記) and the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三國遺事). However, the History of Northern Wei(魏書) records as if Ryodong was in Northern Wei’s territory. Japanese researchers accepted this history distortion and produced maps showing Ryodong as part of Northern Wei’s territory. Such distortion of history results from attempts to give legitimacy to the Northern Wei Dynasty, whose rulers originated from the Tuoba tribe of Xianbei tribes and ruled the Northern Chinese territory, to argue that Northern Wei is the only legitimate dynasty of China and ruled the Whole China Proper through remote governance(遙領) and empty investiture(虛封) by appointing officials of prefectures and commanderies, and by investing fiefs in Koguryo and Southern Dynasties. In doing so, the Tuoba rulers were satisfied with the false recognition of being the only legitimate and unified dynasty, and Ryodong was a scapegoat of Northern Wei’s attempt to distort the outlook on the world and history. 이 논문은 학계에서 주목하지 고구려의 요동과 북위의 요동이 양립한 현상과 그 배경을 북위의 정통성과 천하관 분식이라는 시각에서 논증한 글이다. 『위서』에서는 요동·낙랑·대방·현토의 명칭이 발견된다. 특히 『위서』와 묘지명에 ‘요동’이 자주 등장하였다. 즉 요동군을 본적지로 한 인물들의 기록이 보였고, 일부는 관리를 추천하는 대중정에 임명되기도 하였다. 뿐만 아니라 『위서』에는 요동이 실토(實土)로 오인할 수 있는 기사가 있다. 고숭의 아버지 고잠은 헌문제 시기에 고구려에서 북위로 이주하여 ‘요동’에 거주했다고 한다. 헌문제 시기는 고구려 장수왕 시기였는데, 이때 요동은 북위의 땅이 아니라 고구려의 땅이었다. 따라서 고구려를 탈출한 고잠이 머무른 ‘요동’은 요수 서쪽, 특히 의무려산 서쪽 지역을 지칭하는 것으로 보는 것이 자연스럽다. 이민족이 세운 북위는 정통왕조임을 강조하기 위해 북위 중심의 천하관과 역사관을 만들었고 외교를 통해 이를 상대방에게 강요하였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북위가 지배하지 못하는 지역을 지배하는 것처럼 분식하기 위해 동진남조의 주군현명을 차용한 자사·태수 등 지방관 임명(遙領), 작위 수여(虛封)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를 통해 북위는 남방 지역을 지배하여 중국의 유일한 통일왕조라는 허위의식을 만족시킬 수 있었다. 북위의 문서에 고구려의 영토인 요동을 자신의 영토인 것처럼 표기한 것도 이러한 허위의식의 결과였다.

      • KCI등재

        장수왕대 고구려의 對中外交와 그 動因

        최일례(Choi, Il-rye) 한국고대사학회 2013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71

        본 논문은 장수왕대 외교의 방향을 살핌으로써 그에 부응했던 세력들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장수왕대 對中外交의 추이는 크게 3시기로 구분할 수 있었다. 장수왕 전기는(즉위~27년) 남북조와 고르게 외교하였다. 장수왕 중기는(28~49년) 북위와 외교를 단절한 채 송과만 외교하였다. 장수왕 후기는(50~79년) 북위와 더 중점적으로 외교하였다. 장수왕은 평양세력의 협력 아래 평양으로 천도하였고(427), 남북조와 고르게 외교하였다. 이후 북연이 멸망하자 북연민을 영입하였다(436). 이는 고구려의 전세를 강화하여 특히 백제를 강하게 압박할 수 있는 군사력이 되었다. 그러나 고구려가 북연민을 영입했던 사건은 한편으로는 북위와의 갈등을 초래하였다. 이후 고구려는 북위와 단절한 채 송과만 외교하였고 이 시기 신라가 고구려를 압박할 정도로 성장해갔다. 광개토왕의 남정 이후 고구려에 줄곧 종속적인 관계를 유지했던 신라가 급기야는 실직의 들판에서 사냥하던 고구려의 변장을 살해하는 사건마저 발생하였다(450). 얼마 후 고구려는 신라의 북변을 침입하였고(454) 신라 또한 축성 등을 하면서 적극적인 공격태세를 갖추어 나갔다. 신라의 성장은 고구려 내부에서 대송외교에 반대하여 대북위외교를 지지하는 세력의 입장을 강화시켜 주었던 듯하다. 이후 장수왕은 북위와의 외교를 재개하였고(462), 얼마 후 북위가 고구려에 국혼을 제의하였다(466). 비록 고구려와 북위가 국혼에 합의하지는 못했지만 이를 통해 친북위세력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장수왕 60년을 기점으로 고구려는 북위에 보내는 공물의 양을 이전의 배로 하였고, 북위 또한 이에 대한 보답을 조금 늘렸다(472). 그런데 바로 이 시기, 개로왕이 북위에 보낸 국서에는 고구려 내부가 극도로 혼란했고 심지어는 권세있는 귀족과 호족들마저 숙청되었다고 한다. 공교롭게도 장수왕 50년 북위외교가 재개되었고, 점차 북위에 치중해가는 시기에 행해진 숙청이었던 점에서 외교정책과 연관이 있을 것으로 짐작하였다. 그러한 맥락에서 시기별로 차이를 보이는 장수왕대 對中外交의 변화는 대외적인 조건과 그에 대한 대응을 둘러싼 고구려내 귀족세력의 동향과 관계가 깊었던 것으로 파악하였다. This study looked into the direction of diplomacy under the reign of King Jangsoo in Goguryo and explained the relevant powers. The transitions of diplomacy with China at that time was roughly categorized into three periods: In the early period of King Jangsoo’s reign(from his enthronement to his 27th year), Goguryo had a balanced diplomacy with the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In the middle period of King Jangsoo’s reign(from his 28th year to his 49th year), diplomacy with the Northern Dynasty stopped while that with the Song Dynasty was maintained. In the late period of King Jangsoo’s reign(from his 50th year to his 79th year), it focused on diplomacy with the Northern Dynasty. King Jangsoo moved the capital to Pyeongyang through cooperation with the powers there(427) and had equal diplomacy with both the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Then when North Yeon collapsed, he included its people in his country(436). This added military power to Goguryo and King Jangsoo could intensify pressure on the Baekje Kingdom. However, the strategy where Goguryo accepted people from the Northern Dynasty caused conflicts with the Northern Dynasty. Then Goguryo stopped diplomacy with the Northern Dynasty while maintaining diplomacy with the Song Dynasty while the Shilla Kingdom grew and exerted pressure on Goguryo. After King Gwanggaeto invaded the South, Shilla, which had been subordinate to Goguryo, even killed a commander of Goguryo who was hunting in a field(450). After a while, Goguryo invaded across the northern boundary of Shila(454) and Shila defended itself against this attack while constructing fortresses. It seemed that Shilla’s growth reinforced the positions of powers who advocated diplomacy with the Northern Dynasty while opposing diplomacy with the Song Dynasty. King Jangsoo resumed diplomacy with the Northern Dynasty(462) and after a while, the Northern Dynasty suggested a royal marriage to Goguryo(466). Even though they did not agree to the marriage, this confirmed the existence of powers friendly to the Northern Dynasty. With the 60th year of King Jangsoo’s reign as a base, Goguryo doubled payments to the Northern Dynasty, and the Northern Dynasty also increased its returns(472). However, at this time, in a national letter King Gaero sent to the Northern Dynasty, it was written that the political atmosphere of Goguryo was in disorder and the nobility and powerful families were reformed. Unexpectedly, diplomacy with the Northern Dynasty was resumed in the 50th year of the reign of King Jangsoo and in that the reform was performed in a period when diplomatic focus was inclined toward the Northern Dynasty, it is assumed that the reform was related with diplomatic policy. In such a context, changes in diplomacy with China under King Jangsoo’s reign were closely related with external conditions and Goguryo’s aristocratic trends.

      • KCI등재

        북위 平城期 沙嶺벽화고분의 연구

        서윤경 한국미술사학회 2010 美術史學硏究 Vol.267 No.267

        During the Pingcheng Period (398-494), which designates the time period when the capital of the Northern Wei was located in Pingcheng, a unique type of artistic culture was developed thanks to the ethnic blending between northern nomadic peoples and the Han Chinese, which eventually became one of the main currents in the history of Chinese art. The Northern Wei funerary art in the Pingcheng Period is considered particularly important for understanding the origins of the artistic traditions and styles as well as the ideas and practices regarding funerals and rituals in the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Period. Past scholarship on Northern Wei funerary art has focused mainly on tombs from the post-Pingcheng Period. In recent years, however, a series of new archaeological discoveries were made, casting new light on the tomb art of the Pincheng Period in Northern Wei and calling for its new assessment. The Shaling Mural Tomb in Shaling Village of Datong in Shanxi Province constructed in the 1st year of Taiyan era (435) i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examples of this period. Mural paintings on richly-varied themes, found inside this tomb,bear great testimony to the art of Northern Wei during the Pingcheng Period. This paper examines the development of the art of the Pingcheng Period by comparing the murals of Shaling Tomb with other murals in contemporary tombs. During the earlier part of the Pingcheng Period, the Northern Wei tomb murals followed the tradition of the Han and Jin Dynasties both in terms of subject and composition. The Northern Wei was exposed to the influence of Han and Jin art as part of the process of integrating northeastern painting style during the Wei and Jin Period. The way people are portrayed and details of lifestyle and customs depicted in these murals echo certain aspects of the northern burial culture of the Xianbei. Meanwhile, among new influences, Buddhist themes and iconography were seamlessly blended into the native concept of afterlife and became recreated into something that is distinctively of the Northern Wei. The overall composition of paintings, compared to the Jin and Han Period, became freer and less stilted, and their visual style, bolder, livelier and more spirited. This tendency persisted until the mid-5th century,to become embodied in the art of the Pingcheng Period. Later with the coming of the age of Buddhist culture and an increased exchange with the Central Asian region and beyond,the Northern Wei developed a yet more open and diversified artistic culture. Once into the late Pingcheng Period, legendary or historical events with Confucian subtexts became the dominant subjects in paintings, while stylistically there was a shift toward Southern Dynasties style. The Northern Wei paintings in the late Pingcheng Period show overall a greater degree of maturity and refinement than in the early or mid-Pingcheng Period. These themes and expressive techniques were creatively inherited by the Northern Wei tomb art of the subsequent Luoyang Period, exerting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art of the late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Period. While the Northern Wei had its capital in Pingcheng, it gave birth to remarkably diversified and eclectic art forms with a strong northern undertone. This unique cultural vivaciousness of the Northern Wei was no doubt the result of this dynasty’s openness to cultures from the outside. Research on Northern Wei art of the Pingcheng Period could also shed light on the 5th-century tomb art and funeral customs of East Asia as a whole and provide an understanding of the underlying structure of burial-related art forms developed in this region. 북위 平城期(398-494)는 다양한 북방유목민족과 한족이 융합되면서 특수한 미술문화를 창출하였으며, 이는 중국 고대미술문화의 한 흐름을 형성하였다. 북위 평성기의 고분미술은 중국 남북조시대 미술의 연원및 화풍, 그리고 당시의 喪葬관념과 의례문화를 이해하는 데에 중요한 연구대상이다. 북위의 고분미술에관한 기존의 연구는 주로 평성기의 후기 고분에 집중되었는데, 최근 일련의 고고학적인 발굴과 자료가 축적되었기에, 이를 토대로 북위 평성기의 고분미술을 재논의해야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 山西省 大同 沙嶺村에서 발견된 북위 太延원년(435)의 사령벽화고분은 이러한 북위 평성기의 대표적인 벽화고분으로, 고분에서 발견된 다양한 제재의 회화자료는 당시의 미술상을 잘 반영하고 있다. 본고는 사령벽화고분과 동시기 출토된 기타 고분의 회화자료들을 비교·대조하여, 북위 평성기 고분미술의 전개양상을 살펴보았다. 평성 전기 고분회화의 제재와 구성은 漢晉시대 회화전통을 계승했으며, 이는 위진시기 중국 동북지역의 회화양식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형성되었다. 각 인물의 형상과 복식 및 생활풍속의 장면에는 북방 선비족의 상장문화가 잔존한다. 한편 새로운 양식이 수용되는데, 그 가운데 불교적제재의 도상과 문양은 고분미술이 지니는 내세관과 융합되어 독자적인 차용이 이루어진다. 전체 화면은진한대와 비교하여 보다 자유로운 화면이 운용되며, 힘차고 활달한 화풍이 구사되어 생동감이 넘친다. 이러한 미술의 특징은 5세기 중엽까지 지속되어, 북위 평성기의 미술상으로 정착된다. 이후 불교문화가 성숙되고 서역과의 문물교류가 활발해지면서, 다양하고 개방적인 미술양식이 형성된다. 평성기 후기에 접어들면서, 회화제재는 유교적인 이념의 고사들로 채워지고, 남조의 화풍이 수용된다. 전체적인 화풍은 평성기전·중기의 양식과는 다르게 숙련되고 뛰어난 정제미를 보이는데, 이러한 회화제재와 표현법은 북위가 낙양으로 천도한 이후의 고분미술로 연결되어 남북조 후기 미술양식의 토대를 이룬다. 북위는 평성이라는 무대를 중심으로 강한 북방적 기질이 어우러진 다양하고 복잡한 미술문화를 배태시켰는데, 이는 외부문화를 긍정적으로 수용하는 과정에서 비롯된 북위의 독자적인 문화양상이었다고볼 수 있다. 이러한 북위 평성기의 고분미술에 관한 연구는 5세기 동아시아 고분미술과 예제문화의 실상을규명하고 구조적인 체제를 이해하는 데 일조하리라 본다.

      • KCI등재후보

        北魏 文明太后 執政期의 韓 · 中 관계

        강문호 동국대학교 WISE(와이즈)캠퍼스 신라문화연구소 2004 新羅文化 Vol.24 No.-

        文明太后 집정기에 북위와 고구려 사이에 발생했던 두 가지 사건, 즉 ‘六宮未備’를 내세우며 문명태후가 勅令으로 장수왕에게 그 王女를 천거하도록 요청했던 사건과, 고구려를 연합공격하자는 백제의 요청에 따라 발생했던 북위와 고구려의 대립 이 두 사건은 兩國 관계사상 어떠한 의미를 가지는가에 대한 이해가 이 글의 주지이다. 納妃문제는 문명태후가 정치적 혼란을 극복하고 통치권을 안정시키려는 목적으로 요청한 것이었지만 일방적이고 강압적 요구에 고구려 장수왕이 반발하면서 목적한 바를 이루지 못했고, 고구려를 연합공격하자는 백제의 요청을 북위는 비록 거부하였지만 사건의 진행과정에서 나타났던 북위의 강압적 태도로 이 또한 고구려의 반발을 야기하였다. 그런데 문명태후의 2차 臨朝稱制기간, 즉 太和年間에 들어와 북위는 고구려를 우대, 회유하기 시작하였다. 이것은 납비문제나 백제의 청병사건에서 보듯 강압적 방법을 통해서는 고구려를 통제할 수 없다고 인식한 북위의 고구려에 대한 정책변화였다. 북위의 강압적 對高句麗정책의 고구려 우대 혹은 회유정책으로의 변화, 이것이 바로 납비문제와 청병사건의 양국관계사에서의 의의라 생각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