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부산항 제1부두의 건립과 변화과정에 관한 건축적 고찰

        남윤순 ( Nam Youn-soon ),김기수 ( Kim Ki-soo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9 石堂論叢 Vol.0 No.73

        본 연구는 부산항 제1부두를 대상으로 건립 당시부터 현재에 이르는 변화과정을 고찰한 결과로, 부산항 제1부두의 건립과정과 더불어 변화요인을 고찰함으로써 제1부두가 갖고 있는 의미와 가치를 살펴보고자 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나아가 이를 통해 근대기 부산항의 변화와 제1부두가 갖는 역사적 의미와 가치를 재조명해 볼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부산항 제1부두는 매축지인 돌제와 잔교로 구성되어 1911년 3월 7일 준공되었다. 이후 1912년 10월 25일 지상에 서양식 철골상옥이 건립되어 기본적인 시설을 갖추었으며, ‘부산축항제2기공사(1919-1929)’를 통해 각종 부속 시설이 확충되었다. 이후 1937년까지 이어진 공사로 철도 관련 부속시설이 완비되어, 무역 및 철도환승형 여객부두로 사용되었다. 해방 이후 6.25전쟁기에는 일제강점기 당시 시설의 현황이 유지되었고, 귀국민 수송 및 전쟁물자, 피란민 수송 기능을 주로 담당하였다. 특히, 해방 이후 일본과의 국교단절, 전쟁 등으로 국제무역 및 여객수송 기능을 대부분 상실하였던 부산항 제1부두는 1960년 이후부터 크게 변화하였다. 1960년 10월 8일 제1부두 남측을 어시장으로 사용하고자 한 정부의 결정에 따라 관련 시설이 설치되었고, 1963년 11월 1일부터 ‘부산종합어시장’으로 개장하였다. 따라서 부산항 제1부두는 여객수송 기능이 상실되고, 무역 및 어시장의 기능으로 사용되었다. 이후 1970년대 급속한 경제개발로 국제무역 기능이 활발해지면서 1973년 1월 어시장이 남부민동으로 이전하였다. 당시 수립된 ‘부산항 제1단계 개발사업(1974~1980)’에 따라 부산항 제1부두에는 잔교와 국제여객터미널 등이 새롭게 건립되어 현재와 같은 모습으로 변화하였다. 하지만 2000년 중반까지 무역항으로 사용 되었던 부산항(북항)의 기능이 부산진해신항 등으로 이전함에 따라 부산항 제1부두는 새로운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이처럼 부산항 제1부두는 개항 이후 약 100여 년 동안 부산항 변화의 한 단면을 충실히 보여주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항만시설이 남겨져 있는 장소로 역사적 의미와 가치를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향후 진행되는 북항재개발사업 과정에서 이와 같은 부산항 제1부두가 갖는 역사적 의미와 가치에 대한 논의가 존중되고 지속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nge in Busan Port Pier No.1 from its construction time to present, and to find the meaning and value of the pier No.1 on the basis of its construction process and change factors.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shed light on the change of Busan port in the modern age and its historical meaning and value. Completely constructed in March 7, 1911, Busan Port Pier No.1 is comprised of a jetty and a landing pier as reclaimed land. On October 25, 1912, when a western-style steel-frame structure was built, the port had basic facilities. Through ‘the 2nd Busan Port Construction (1919-1929)’, various kinds of supplementary facilities were expanded. In 1937, the facilities related to railway were completely built. So the port was used as the passenger port for trade and railway transfer. During the Korean War, the facilities built under Japanese occupation remained and had been used mainly to transport Korean people overseas, war goods, and refugees. The Busan Port Pier No.1 had greatly changed since 1960. According to the government’s decision made to use the southern side of the pier No.1 on October 8, 1960, ‘Busan Cooperative Fish Market’ was opened on November 1, 1963. For this reason, Busan Port Pier No.1 lost its function of passenger transport and was used for trade and fish market. With the rapid economic development in the 1970s, the fish market had functioned international trade actively and ended up being relocated to Nambumin-dong in January 1973. When ‘the 1st stage development project of Busan Port(1974~1980)’ was established, a landing pier and an international passenger terminal were newly built in Busan Port Pier No.1 which was changed to the current status. The function of Busan Port(North Port) which had been used as a trade port until the mid 2000 was moved to Busan Jinhae New Port, and thereby Busan Port faced a new change. As such, Busan Port Pier No.1 has well showed a part of the change in Busan Port, which has been made for about 100 years since it was opened. It has its historic meaning and value as the place that has relevant port facilities lef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spect the discussion of the historic meaning and value of Busan Port Pier No.1 in the process of North Port Redevelopment Project.

      • KCI등재

        사회연결망 분석을 이용한 컨테이너 정기선 항로 패턴 분석에 관한 연구 : 부산항을 중심으로

        류기진,남형식,조상호,류동근 한국항해항만학회 2018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42 No.6

        The port industry is an important national industry which significantly affects Korea’s imports and exports which are centered on economic structure. For instance, the Port of Busan, which handles 75% of domestic container freight volume, is expected to become increasingly critical for container liner routes. For this reason, there have been continued efforts to expand freight service to attract international freight volume. This study analyzes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port network connected to the Port of Busan by analyzing the pattern of the container liner route from 2012 to 2016 by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According to the Port of Busan’s liner route network, the port with the highest degree of centrality, closeness centrality, and betweenness centrality was found to be the Port of Singapore. The comparison of Busan’s annual container handling rank by countries and the port center network analysis of Port of Busan rank was found to be different. As a result, it was established that China's East Port, which occupies a high percentage of the volume of cargo handled by Port of Busan, is not a hub port of Busan when viewed on the Busan's container terminal liner network. In addition, even if the number of Port of Busan container liner service increases, it is estimated that the vessels to be added to the fleet will be limited to small to medium sized, or that Busan port has characteristic of a feeder port for the Port of Singapore, according to the network. 항만산업은 수출입 중심인 우리나라의 경제구조에서 중요한 국가기간산업이라 할 수 있다. 특히 국내 컨테이너 물동량의 75%를 처리하는 부산항은 지속적으로 글로벌 선사 물동량 유치를 위해 정기선 항로 서비스를 확대하는 노력 등 컨테이너 정기선 항로에 대한 중요도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하여 2012년부터 2016년까지 부산항을 기항하는 컨테이너 정기선 항로 패턴 분석을 통해 세계 주요항만과의 중심성을 파악하여 부산항과 연결되어 있는 항만 네트워크의 구조적인 특성을 파악하였다. 부산항 컨테이너 정기선 항로 네트워크상에 연결정도 중심성, 근접중심성, 매개중심성이 높은 항만은 싱가포르항으로 분석되었으며, 실제 연도별 부산항 주요 국가 항만별 처리물동량 순위와 부산항 컨테이너 정기선 항로 네트워크 중심성 분석 결과 간 순위 비교는 서로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부산항 처리 물동량의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중국 동부항만이 부산항 컨테이너 정기선 네트워크상에서 보았을 때 부산항의 허브항으로 보기 어렵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부산항 컨테이너 정기선 서비스 항로 수는 증가하더라도 해당 항로에 투입되는 선박이 중소형으로 한정되어 있거나 네트워크상 부산항이 싱가포르항 기항을 위한 피더항(Feeder Port)의 성격을 띄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 KCI등재

        부산항 물류환경이 환적화물유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안기명(Ki-Myung An),김명재(Myung-Jae Kim) 한국국제상학회 2010 國際商學 Vol.25 No.3

        2008년도 베이징 올림픽이후 세계의 공장이면서 최대의 소비지인 중국의 경제성장의 둔화와 미국발 금융위기가 전세계적으로 확산되면서 세계경제의 침체로 해운물동량이 급격하게 감소하기 시작되었다. 이러한 여파로 부산항의 물동량도 둔화되면서 부산항은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더욱이 부산항은 신항이 본격적으로 운영에 들어가면서 북항과 신항 간의 물동량 확보를 위한 출혈경쟁이 가속화되고 있다. 또한 북항 컨테이너터미널이 다수의 운영자로 운영되고 있어 심각한 하역요율 덤핑을 통제할 수가 없어 부산항의 대외신인도는 추락되고 인천항 등 국내항만간의 경쟁도 가열되고 있어 부산항의 위기는 그야말로 사면초가의 상태에 직면하고 있다. 수출입물동량이 정체된 현 상황하에서 부산항의 물동량을 증대시킬 방안은 결국 부산항의 동북아에서 지리적인 잇점을 충분히 살려 동북아 물류네트워크의 허브가 되는 환적거점화가 되는 길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부산항이 직면하고 있는 대내외적인 물류환경을 진단하고 이러한 물류환경 하에서 환적화물을 효율적으로 유치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세부적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로, 물류환경을 분석하여 부산항이 처해있는 내외적 물류환경요인을 추출하고, 둘째로, 환적화물 유치 및 환적거점화에 대한 선행연구 및 환적화물이 지속적으로 증대되고 있는 부산항의 A선사의 환적화물 유치전략을 검토하여 환적화물유치 전략요인을 추출하고 셋째로, 물류환경요인과 환적화물유치 전략요인간의 영향관계를 실증분석하여 현 상황에 적절히 대처하여 환적화물을 효율적이고 지속적으로 유치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effect factors of Busan port logistics environments for attracting transshipment cargo. The following steps were taken for this study; Firstly, preceding studies across the domestic and foreign markets regarding the strategy for transshipment hubs and the case study on the carrier ‘A’ have been reviewed and the factors for transshipment hub selection by global carriers were sorted out an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Secondly, Cronbach's alpha test and factor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validity and internal reliability. Thirdly,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of cause-and-effect among environmentalfactors and transshipment cargo attracting factors.

      • KCI등재

        부산항의 장소성과 그 재현

        전성욱(Seongwook Jeon)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2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3 No.3

        부산항은 부산의 도시정체성을 설명하는 핵심적인 키워드이다. 부산항이 구축되고 활용되어온 역사는 곧 근대도시 부산의 성립과 그 이후 부산의 도시 발달사와 겹쳐있다. 부산항이라는 공간의 건설과 활용에는 식민지기의 제국과 탈식민지기의 국가라는 주체의 욕구와 논리가 관철되어있다. 더불어 부산항은 그곳에 터해 생존과 생활을 영위하는 사람들은 물론이고, 그곳에서 벌어졌던 숱한 역사적 사건들을 통해서 사람들의 기억 속에서 특유의 장소적 감각과 정감을 형성해왔다. 그 장소감각의 형성에 있어 다양한 재현과 표상의 담론들이 수행하는 역할은 막대하다. 부산항의 재현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는 윤정규와 윤진상의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전개했다. 부산항을 다룬 소설 자체가 드물고, 특히 부랑자와 빈민의 생활사를 나름의 계급적 관점에서 그려낸 소설은 더욱 희소하다. 그런 의미에서 부산항을 배경으로 밀수와 밀항, 그리고 항구와 관련된 노동과 인근 매축지 빈민들의 삶을 다룬 두 작가의 작품들은 1960년대 이후 본격화된 개발근대화의 이면과 그 진상을 되돌아볼 수 있다는 점에서도 소중하다. 윤정규의 「恨水傳」은 부산항의 공간 구조를 상세하게 소개하는 한편, 그 속에서 벌어지는 밀항과 밀수의 내막을 자세하게 형상화했다. 이 소설은 부두 주변 미군클럽과 양공주의 존재, 외항선원들의 처우, 하역 노동의 실태, 밀수품을 빼돌리는 내막과 그 품목들 등등의 내용들은 물론, 해방 직후의 호열자 유행이나 부관페리호의 취항, 남영호 침몰사건과 같은 당대의 시대상까지를 실증적인 서술을 통해 생생하게 담아냈다. 윤진상의 「謀反의 都市」와 「구멍 속의 햇볕」은, 작가 특유의 휴머니즘을 통해 1970년대의 맹렬한 산업화 이면의 희생자들에 주목한 작품들이다. 「謀反의 都市」은 원양어선 선원들의 비인간적인 처우를 고발하면서, 그들의 비참한 죽음에 아랑곳 않는 기업과 국가의 부당함을 비판했다. 더불어 선상 폭력이나 산재에 대한 보상, 선원법의 적용문제와 같은 현실적인 의제들을 다루었다. 「구멍 속의 햇볕」은 원양어선의 선원으로 일하다가 선사의 부당한 처우로 극빈층으로 전락한 남자의 이야기이다. 이 소설은 나름의 계급주의적 관점에서 매축지 거주 빈민들의 생활상과 부산항 인근 수산가공업의 노동 실태를, 투박한 사회 비판으로써 고발한 작품이다. Busan Port is a key keyword that explains Busan's urban identity. The history of Busan Port's construction and use overlaps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modern city of Busan and the history of Busan's urban development after that. In the construction and utilization of the space called Busan Port, the desires and logic of the subject of the colonial empire and the post-colonial state are implemented. In addition, Busan Port has formed a unique sense of place and affection in people's memories through the numerous historical events that took place there, as well as the people who survive and live there. The role played by various discourses of representation and representation in the formation of that sense of place is enormous. The full-fledged discussion on the reproduction of Busan Port was centered on the short stories of Jeong-gyu Yun and Jin-sang Yun. There are very few novels about Busan Port itself. There are even rarer novels that depict the life history of the vagrants and the poor from their own class point of view. With Busan Port as the background, these works, which deal with smuggling, port-related labor, and the lives of the poor, can look back on the truth behind the development and modernization that took place in earnest after the 1960s. Yoon Jeong-gyu's 'The Story of Hansu' introduces the spatial structure of Busan Port in detail, while expressing the smuggling that takes place therein in detail. This novel expresses through empirical narratives such as the US military club near the pier and 'Yangkongj', the treatment of seafarers, the actual conditions of cargo handling, smuggling, and the cholera epidemic after liberation. Yoon Jin-sang's 'City of Anti-Corruption' and 'Sunshine in a Hole' focused on the victims of industrialization in the 1970s through humanism.

      • KCI등재

        부산항의 환적경쟁력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이주원(Joo Won Lee),유염봉(Yanfeng Liu),이충배(Choong Bae Lee) 한국국제상학회 2021 國際商學 Vol.36 No.4

        본 연구에서는 해운항만의 환경 변화에 따른 환적 결정요인이 부산항 컨테이너 환적물동량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환적경쟁력의 확보 전략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대부분의 기존연구가 질적연구방법에 의한 환적경쟁력 요인 분석을 실시한 반면 본 연구는 패널분석을 통한 계량적 방법을 활용하였다. 부산항 환적물동량을 종속변수로 하고 대상항만물동량, 거리, 선박대형화, 얼라이언스영향력, 벙커C유 가격, 운임율, 환적처리비용, 항만네트워크수, 선석생산성, 인센티브 금액을 독립변수로 활용하였다. 실증분석결과 부산항의 환적대상항만 컨테이너 수출입물동량은 부산항 환적물동량 증가에 유의한 결과를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대외적 요인에서는 선박대형화, 얼라이언스영향력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내적 요인에서는 부산항의 선석생산성, 항만네트워크수가 환적물동량에 정(+)의 영향력이 도출되었다. 반면 환적인센티브는 환적물동량에 부(-)의 영향이 나타났다. 부산항 환적물동량 증대를 위한 전략으로는 첫째, 부산항 환적화물과 연계된 주요 국가 항만의 수출입컨테이너물동량 증가가 부산항 환적물동량 증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어 이들 항만을 대상으로 한 적극적인 항만마케팅 및 정기항로 서비스를 확대해 나가야 할 것이다. 두 번째로 선박대형화 및 글로벌얼라이언스 영향력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어 글로벌선사의 초대형선박이 부산항에 지속 기항할 수 있도록 시설개발 등 항만인프라 확대가 요구된다. 세 번째로 선석생산성 향상에 대한 노력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환적인센티브는 예상과 달리 부산항 환적물동량 증가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어 환적인센티브 실효성 검증과 더불어 제도 개선 방안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strategies for strengthening transshipment competitiveness by analyzing the effects of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container transshipment volume of Busan Port. In order to analyz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cargo volume, which is the transshipment competitiveness of Busan Port, the panel data analysis was conducted by setting the transshipment volume of Busan Port as a dependent variable and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of Busan Port s transshipment competitiveness as independent variables during 2001 and 2018. The independent variables are 10 variables: transshipment handling cost, transshipment incentive, number of port networks, berth productivity, vessel enlargement, shipping alliance influence, oil price, freight rate, container import/export volume of target port and geographical distance. It was analyzed that the import and export volume of containers of partner por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transshipment volume of Busan Port. The external factors such as mega-trend of vessel and influence of allianc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internal factor such as berth productivity and port connectivity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cargo volume of Busan Port. On the other hand, the incentive money for transhipment which used to provide to shipping company from Busan Port Authority until 2017 had a negative impact on the transshipment volume of Busan Port. It was suggested several strategies to attract transshipment container cargo including the expansion of container liner services and progressive marketing strategies, development of port infrastructure, enhancement of berth productivity. Lastly but not least, since transshipment incentives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transshipment volume of Busan Port, further researches on how to improve the system as well as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ransshipment incentives should be carried out.

      • KCI등재

        중국항만과 경쟁력분석을 통한 부산항 환적화물 유치전략 연구

        임일규(Il-Kyu Rim),김명재(Myung-Jae Kim),안기명(Ki-Myung Ahn) 한국항만경제학회 2010 韓國港灣經濟學會誌 Vol.26 No.3

        본 논문으 목적은 물동량 감소로 위기를 맞고 있는 부산항이 환적거점항으로 발돋음할 수 있는 전략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환적에 관한 선행연구의 검토 및 부산항의 환적화물 유치에 위협적인 존재인 중국 경쟁항만의 개발현황과 물류변화를 조망하고 지금까지 부산항에서 환적화물을 증대시키면서 부산항을 동북아의 환적거점항으로 자리매김한 A선사의 사례분석을 통해여 화물화물을 유치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추출하였다. 이러한 요인에 의해 부산항을 이용하는 선사의 임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에 의하여 중국경쟁항만(상하이, 닝보, 칭타오, 텐진)과의 경쟁력을 비교 분석하였다. 사례분석과 비교분석결과에 의하면, 부산항을 이용하는 선사의 본사 및 이들의 부산지점 또는 대리점의 부산항을 환적거점화하여는 의지와 환적에 대한 전문성 및 정부의 실질적인 지원정책이 절실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 new strategy from a different angle to become a preferred transshipment hub for sustainable growth. This study would derive new competitive factors through the case study on a global carrier ‘A’ who shows constant growth in transshipment via Busan and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s to analysis results by matrix, Busan Port needs to strengthen its competitiveness against North China ports due to less local import/export cargo volume and less government support while North China ports continue to be developed with incremental direct calling and government's flexible cabotage rule.

      • KCI등재

        부산항터미널의 운영문제점과 경쟁력간의 관련성분석

        안기명(Ki-Myung Ahn),김성용(Sung-Yong Kim),추연길(Yeon-Gil Choo),김인수(In-Su Kim) 한국항해항만학회 2008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32 No.8

        현재 부산항은 수출입화물량의 정체와 북중국 주요항만의 급속한 물동량 증가세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더욱이 일부 개장된 신항과 북항간의 물동량 유치를 위한 과잉경쟁으로 인한 급격한 효율하락으로 항만경쟁력이 급속도로 악화되는 현상을 보여 주고 있다. 이러한 부산항의 운영문제점이 부산항 경쟁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 빛 진단하여 이를 개선할 수 있는 운영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부산항 컨테이너부두의 가장 큰 문제점은 가격경쟁력 약화요인이며 신항배후단지시설과 연계수송체제 미흡성 요인과 운영능력 미흡성요인도 문제점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특히 비효율적인 노무공급체계가 가장 문제가 큰 변수로 지적되고 있고 그 다음으로는 신항개발로 인한 효율경쟁 격화, 국내항만간의 과다경쟁, 신항배후단지시설의 미흡성, 과다한 내륙운송비용, 북항과 신항간의 연계수송체제의 미홉성 순으로 보이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요인들은 부산항 경쟁력 영향요인에도 영향을 미치어 물동량증대효과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부산항의 경쟁력 제고를 통해 부산항이 동북아 허브항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컨테이너터미널의 통합운영을 통한 항만생산성 및 효율성 제고, 메가케리어의 터미널 운영권 확대, 항만노사평화체제 구축을 통한 항만안정성 제고, 신항 및 배후물류단지 활성화를 통한 새로운 물동량 창출이 시급한 과제로 나타났다. In this paper operational problems of Busan Port and competitiveness deciding factors are analyzed by field data research and interview with employees in shipping companies and terminal operation companies. In the analysis, the problems Busan Port currently has are identified as follows: 1) low price competitiveness, 2) Lack of new port back facilities and connecting transportion system 3) Lack of operation ability of container terminal 4) Inefficient poor labor supply system In order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and leap up to a hub port in North East Asia, Busan port is investigated to enhance below requirements. 1) Hiring more equipment and increase productivity in terminal 2) Integrating terminal operation companies to react maximization of vessel 3) Maintaining cost advantages 4) Proactively inviting global carriers to participate in the terminal operation 5) Making business environment for Global Terminal Operator to participate in the terminal operation in order to take advantage of their global marketing power.

      • KCI등재

        부산항의 장소성과 그 재현-윤정규와 윤진상의 소설에 나타난 산업화 시기의 ‘부산항’을 중심으로

        전성욱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2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3 No.3

        Busan Port is a key keyword that explains Busan's urban identity. The history of Busan Port's construction and use overlaps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modern city of Busan and the history of Busan's urban development after that. In the construction and utilization of the space called Busan Port, the desires and logic of the subject of the colonial empire and the post-colonial state are implemented. In addition, Busan Port has formed a unique sense of place and affection in people's memories through the numerous historical events that took place there, as well as the people who survive and live there. The role played by various discourses of representation and representation in the formation of that sense of place is enormous. The full-fledged discussion on the reproduction of Busan Port was centered on the short stories of Jeong-gyu Yun and Jin-sang Yun. There are very few novels about Busan Port itself. There are even rarer novels that depict the life history of the vagrants and the poor from their own class point of view. With Busan Port as the background, these works, which deal with smuggling, port-related labor, and the lives of the poor, can look back on the truth behind the development and modernization that took place in earnest after the 1960s. Yoon Jeong-gyu's 'The Story of Hansu' introduces the spatial structure of Busan Port in detail, while expressing the smuggling that takes place therein in detail. This novel expresses through empirical narratives such as the US military club near the pier and 'Yangkongj', the treatment of seafarers, the actual conditions of cargo handling, smuggling, and the cholera epidemic after liberation. Yoon Jin-sang's 'City of Anti-Corruption' and 'Sunshine in a Hole' focused on the victims of industrialization in the 1970s through humanism. 부산항은 부산의 도시정체성을 설명하는 핵심적인 키워드이다. 부산항이 구축되고 활용되어온 역사는 곧 근대도시 부산의 성립과 그 이후 부산의 도시 발달사와 겹쳐있다. 부산항이라는 공간의 건설과 활용에는 식민지기의 제국과 탈식민지기의 국가라는 주체의 욕구와 논리가 관철되어있다. 더불어 부산항은 그곳에 터해 생존과 생활을 영위하는 사람들은 물론이고, 그곳에서 벌어졌던 숱한 역사적 사건들을 통해서 사람들의 기억 속에서 특유의 장소적 감각과 정감을 형성해왔다. 그 장소감각의 형성에 있어 다양한 재현과 표상의 담론들이 수행하는 역할은 막대하다. 부산항의 재현에 대한 본격적인 논의는 윤정규와 윤진상의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전개했다. 부산항을 다룬 소설 자체가 드물고, 특히 부랑자와 빈민의 생활사를 나름의 계급적 관점에서 그려낸 소설은 더욱 희소하다. 그런 의미에서 부산항을 배경으로 밀수와 밀항, 그리고 항구와 관련된 노동과 인근 매축지 빈민들의 삶을 다룬 두 작가의 작품들은 1960년대 이후 본격화된 개발근대화의 이면과 그 진상을 되돌아볼 수 있다는 점에서도 소중하다. 윤정규의 「恨水傳」은 부산항의 공간 구조를 상세하게 소개하는 한편, 그 속에서 벌어지는 밀항과 밀수의 내막을 자세하게 형상화했다. 이 소설은 부두 주변 미군클럽과 양공주의 존재, 외항선원들의 처우, 하역 노동의 실태, 밀수품을 빼돌리는 내막과 그 품목들 등등의 내용들은 물론, 해방 직후의 호열자 유행이나 부관페리호의 취항, 남영호 침몰사건과 같은 당대의 시대상까지를 실증적인 서술을 통해 생생하게 담아냈다. 윤진상의 「謀反의 都市」와 「구멍 속의 햇볕」은, 작가 특유의 휴머니즘을 통해 1970년대의 맹렬한 산업화 이면의 희생자들에 주목한 작품들이다. 「謀反의 都市」은 원양어선 선원들의 비인간적인 처우를 고발하면서, 그들의 비참한 죽음에 아랑곳 않는 기업과 국가의 부당함을 비판했다. 더불어 선상 폭력이나 산재에 대한 보상, 선원법의 적용문제와 같은 현실적인 의제들을 다루었다. 「구멍 속의 햇볕」은 원양어선의 선원으로 일하다가 선사의 부당한 처우로 극빈층으로 전락한 남자의 이야기이다. 이 소설은 나름의 계급주의적 관점에서 매축지 거주 빈민들의 생활상과 부산항 인근 수산가공업의 노동 실태를, 투박한 사회 비판으로써 고발한 작품이다.

      • KCI등재

        개항장으로서의 부산항과 기록

        송정숙 한국기록관리학회 2011 한국기록관리학회지 Vol.11 No.1

        The Treaty of Friendship, Commerce and Navigation between the Chosun dynasty and Japan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etc. began signing procedures from Feb. 1876. Thus, Busan port became an open port to foreign vessels in 1876. This has resulted in Busan port becoming the greatest port in Korea. This study explored records which were made by the Chosun dynasty and Japan on the opening and development of Busan port. The results are as follows ; According to making treaties between the Chosun dynasty and foreign countries, Chosun dynasty gradually opened a door to the international community. Various institutions were established in and around Busan port by Chosun and Japan. For example, maritime customs, a court of justice, police station by the Chosun side, a Japanese consulate, the Board of Trade for Japan etc by the Japan side. Records made by or related to these institutions and on the development of the Busan port during the open-port period and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ere preserved at the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and the Busan Metropolitan Simin Municipal Library. 이 연구에서는 부산항이 개항장으로 거듭나면서 조선과 일본을 비롯한 국가 간에 체결한 조약과 조선과 일본이 부산항에 설치한 기관과 그 기관이 생산했거나 관련된 기록들, 그리고 부산항의 개발과정에서 생산하거나 관련된 기록들을 살펴봄으로써 개항기와 식민지 시기 부산항을 중심으로 부산에 관한 로컬리티를 재현하는 데 필요한 맥락을 분석하였다. 일본은 조선과 조약을 체결해 가면서 부산항을 중심으로 일본인의 활동범위를 확대하고 초량왜관을 전관거류지로 함에 따라 이 지역을 중심으로 일본영사관, 상업회의소 등을, 조선은 동래감리서, 개항장재판소 등을 설치하였다. 부산항의 개발과 관련해서는 조선총독부 관보 등에 당시 상황들이 잘 나타나 있으나, 관련 기록이 규장각과 국사편찬위원회와 부산시민도서관에도 상당량이 소장되어 있었다. 개항 이후 부산항의 개발과 변모에 관련된 기록들을 국내뿐 아니라 국외에 소장되어 있는 자료들을 망라적으로 수집하여 생산기관별 기록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앞으로의 과제이다.

      • KCI등재

        SWOT·AHP를 이용한 부산항 경쟁력 평가요인과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채기영(Chae, Gi-Young),이철용(Lee, Chul-Yong) 한국항만경제학회 2020 韓國港灣經濟學會誌 Vol.36 No.1

        부산항은 세계 6위의 컨테이너 항만이자 국내 1위의 수출입 항만이다. 급변하는 대외 환경과 심화되는 글로벌 항만 간 경쟁으로 부산항 경쟁력의 유지 및 향상이 쉽지 않다. 부산항은 국가 산업적으로 매우 중요한 산업 인프라임에도 최근 부산항 발전전략을 다룬 연구는 경쟁요인의 일부분만을 다루거나, 전략들에 대한 우선순위 제시가 부족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와 전문가 검토를 통해 부산항 경쟁력 평가요인에 대한 SWOT 매트릭스를 도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계층분석구조 모형을 구성하였다. 다음으로 산학연관 전문가를 대상으로 SWOTㆍAHP 설문지를 배포, 분석하여 부산항의 발전에 중요한 경쟁력 요인들에 대한 우선순위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부산항 발전방향에 대한 S/O, S/T, W/O, W/T 전략방향 및 과제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가 국가의 부산항 운영과 발전전략 수립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해본다. This study suggests a strategic direction for developing the Port of Busan based on evaluating and prioritizing the relative importance of competitiveness factors for ports using SWOT analysis and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method. The Port of Busan is the world’s sixth largest container port and the largest port in South Korea. The Port of Busan constitutes a key industrial infrastructure for an exporting country. Despite the economic and industrial importance of the Port of Busan, little research has examined its strategic development. This study derives a SWOT matrix for evaluating the competitiveness of factors from previous studies and expert reviews, and it constructs a hierarchical analysis structure model based on the SWOT matrix. To deduce a strategic direction for developing the Port of Busan, a questionnaire based on SWOT·AHP was distributed to industrial and academic associations to prioritize competitive factors. This study presents four strategic tactics based on strengths (S), weaknesses (W), opportunities (O), and threats (T) (S/O, S/T, W/O, and W/T) as strategic directions for developing the Port of Busan. This study will contribute objectively to the overall effort by the government to improve the operation of the Port of Busan and establish development strateg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